KR20240028777A -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777A
KR20240028777A KR1020220106961A KR20220106961A KR20240028777A KR 20240028777 A KR20240028777 A KR 20240028777A KR 1020220106961 A KR1020220106961 A KR 1020220106961A KR 20220106961 A KR20220106961 A KR 20220106961A KR 20240028777 A KR20240028777 A KR 20240028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charging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민
Original Assignee
문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민 filed Critical 문현민
Priority to KR1020220106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777A/ko
Publication of KR20240028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77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Fina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주차장 내의 전기차 충전소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으로 입차하는 차량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입차량 영상에서 차량번호판을 분석함으로써 친환경차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친환경차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에서 차량모형 또는 텍스트를 분석하여 차종에 따른 전기차판단을 수행하는 전기차판단부; 및 전기차판단의 결과 입차량이 전기차인 경우, 전기차 충전소 관리를 위해 상기 입차량의 차량번호를 저장관리하는 중앙관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Electric vehicle parking and charging st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parking lot}
본 발명은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차관리 시스템으로서 과거에는 인력에 의한 관리가 주였으나, 근래에는 번호판 인식 장치(LPR, License Plate Recognition)를 설치하는 주차장이 늘고 있다. 주차면에 LPR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주차 차량의 입출차 시간, 번호판 인식 및 요금 정산까지, 유료 주차 서비스에 필요한 거의 모든 기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완전 무인 시스템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또한 설비/설치 비용을 최소화 하면서도 LPR장치의 장점과 유인 시스템의 장점을 접목하여 투자 대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반무인시스템, 혹은 유인시스템으로도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러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의 운영에 있어, 전기차에 대한 관리가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늘어나는 전기차의 수에 따라 현재 대부분의 주차장에는 전기차 충전소가 설치 및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많지 않은 충전소의 개수로 인해 전기차 차주는 충전소 위치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고, 충전소를 이용하는 차량은 늘고 있으나, 충전소의 수는 적어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더욱이 전기차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림으로 인해 전기차 차주는 충전소에 차량을 주차 및 충전을 시작한 이후 자리를 떠나게 되며, 충전이 완료되어도 돌아오지 않고 주차한 상태를 유지함으로 인해 다른 전기차 차주가 이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4070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노외 주차장 주차 관리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입차하는 전기차를 인식하여 충전소 이용 관리를 수행하는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이 완료된 전기차량에 대해 보다 빠른 이동주차를 유도하여 보다 많은 전기차들이 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차장으로 입차하는 차량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상기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입차량 영상에서 차량번호판을 분석함으로써 친환경차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친환경차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에서 차량모형 또는 텍스트를 분석하여 차종에 따른 전기차판단을 수행하는 전기차판단부; 및 상기 전기차판단의 결과 입차량이 전기차인 경우, 전기차 충전소 관리를 위해 상기 입차량의 차량번호를 저장관리하는 중앙관제부를 포함하는, 주차장 내의 전기차 충전소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입차하는 차량으로부터의 소음을 녹취하기 위한 음원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기차판단부는 상기 전기차판단을 수행할 때 상기 음원입력부로부터의 외부소리를 더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충전소에 설치되는 충전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중앙관제부는 전기차량이 상기 충전소에서의 충전을 완료하면, 차량번호 및 충전시간을 포함하는 충전정보를 상기 충전관리부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차량번호에 상응하는 주차요금의 처리에 상기 충전시간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부는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어 미리 등록되거나 상기 충전관리부에 구비된 입력수단에 차주로부터 입력된 단말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완료시점에 상응하여 충전완료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부는 상기 충전소에 근접한 비어있는 주차구획을 확인하고, 관련정보를 상기 충전완료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부는 상기 충전완료메시지로서 안내한 주차구획을 예약처리하고, 일정시간내로 예약된 주차구획으로 상기 전기차량이 이동주차한 경우 주차요금을 할인적용하고,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상기 전기차량이 상기 충전소에 위치하는 경우 주차요금을 추가징수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부는 상기 예약된 주차구획의 상단에 구비된 HUD수단을 제어하여 예약된 일정시간 동안 바닥에 예약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요금을 추가징수처리하는 경우, 시간이 경과할수록 비례하여 추가요금의 비율을 높이며, 주차요금이 증가할 때마다 상기 단말정보를 이용하여 주차비용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부는 상기 입차량이 전기차로서 미리 등록된 차량인 경우, 저장 관리되는 충전패턴을 분석하여 가용충전소에 대한 안내 또는 충전소에 근접한 가용 주차구획에 대한 안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전기차 충전소 관리 방법에 있어서, 주차장으로 입차하는 차량을 촬영한 영상에서 차량번호판을 분석함으로써 친환경차판단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친환경차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에서 차량모형 또는 텍스트를 분석하여 차종에 따른 전기차판단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차판단의 결과 입차량이 전기차인 경우, 전기차 충전소의 관리를 위해 상기 입차량의 차량번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장 내의 전기차 충전소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전기차량이 충전소에서의 충전을 완료하면, 차량번호 및 충전시간을 포함하는 충전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차량번호에 상응하는 주차요금의 처리에 상기 충전시간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어 미리 등록되거나 충전소에 구비된 입력수단에 차주로부터 입력된 단말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완료시점에 상응하여 충전완료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충전소에 근접한 비어있는 주차구획을 확인하여 관련정보를 상기 충전완료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완료메시지로서 안내한 주차구획을 예약처리하고, 일정시간내로 예약된 주차구획으로 상기 전기차량이 이동주차한 경우 주차요금을 할인적용하고,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상기 전기차량이 상기 충전소에 위치하는 경우 주차요금을 추가징수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차량이 전기차로서 미리 등록된 차량인 경우, 저장 관리되는 충전패턴을 분석하여 가용충전소에 대한 안내 또는 충전소에 근접한 가용 주차구획에 대한 안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주차장 내의 전기차 충전소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계들은, 입차하는 차량을 촬영한 영상에서 차량번호판을 분석함으로써 친환경차판단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친환경차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에서 차량모형 또는 차종을 분석하여 전기차판단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차판단의 결과 입차량이 전기차인 경우, 전기차 충전소의 관리를 위해 상기 입차량의 차량번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차하는 차량에 대해 전기차를 식별함으로써 충전소에 대한 효율적인 이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이 완료된 전기차량에 대해 보다 빠른 이동주차를 유도함으로써, 보다 많은 전기차들이 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내의 전기차 충전소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와 차단봉을 구비한 차량인식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내의 전기차 충전소 관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정보를 이용한 주차비 정산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완료 전기차량에 대한 관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완료된 전기차량에 예약된 주차구획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차주의 단말로 전송되는 충전완료메시지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등의 용어는 실질적으로는 각각 상이하거나 일부는 동일한 값인 임계값들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임계값이라는 동일한 단어로 표현될 때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구분의 편의상 제1, 제2 등의 용어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내의 전기차 충전소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와 차단봉을 구비한 차량인식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차장 내의 전기차 충전소 관리 시스템은 촬영부(10), 전기차판단부(20), 충전관리부(30) ? 중앙관제부(40)를 포함한다.
촬영부(10)는 주차장으로 입차하는 차량을 촬영하기 위한 수단이고, 전기차판단부(20)는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입차량이 전기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반적으로는 입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번호판 인식 장치(LPR, License Plate Recognition)가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차량 번호판만을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 자체를 촬영하여 차량의 형상 또는 차량에 부착 또는 인쇄된 텍스트를 인식하여 차종을 식별한다.
전기차판단부(20)는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입차량 영상에서 차량번호판을 분석함으로써 친환경차판단을 수행하고, 친환경차판단의 결과에 따라 영상에서 차량모형 또는 텍스트를 분석하여 차종에 따른 전기차판단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는 전기차, 수소차 등의 친환경차는 번호판의 배경색이 파란색이다. 즉, 친환경차판단은 차량 번호판의 색상 등을 분석하여 친환경차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기차판단부(20)는 차량번호판의 텍스트 또는 차량의 형상 또는 차량영상에 인식되는 텍스트를 분석하여 해당 차종을 식별하고, 해당 차종이 전기차인지 또는 수소차인지 등을 식별함으로써 전기차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는 차단봉장치에 촬영부(10)와 전기차판단부(20)가 구비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00)를 더 구비하여, 인식된 차량에 대한 차량번호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입차량이 전기차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바로 충전이 가용한 충전소의 위치에 대한 정보(또는 모든 충전소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안내한다.
중앙관제부(40)는 주차장 이용차량에 대한 주차료를 정산하며, 특히 전기차판단부(20)에 의해 입차량이 전기차로 판단되는 경우, 전기차 충전소 관리를 위해 해당 입차량을 전기차로서 등록하여 차량번호, 차종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전기차충전소는 충전소를 이용하는 고객정보(차량번호 등), 충전량, 충전요금 정보 등을 포함하는 충전정보를 중앙관제부(40)로 제공한다. 중앙관제부(40)는 전기차의 주차장 이용료를 정산할 때, 충전정보를 반영한다. 예를 들어 주차장 총 이용시간이 3시간이고, 충전시간이 1시간이라면, 2시간에 대해서만 주차장 이용료를 정산하며, 또는 충전요금의 일정비율을 주차장 이용료에서 차감하거나, 또는 충전시간의 일정비율만큼에 대해 주차요금을 징수할 수도 있다. 이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차후 설명하겠으나, 전기차충전소에는 고객이 자신의 단말(예를 들어 모바일폰 등)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충전을 수행할 때 또는 충전완료 후 결제를 진행할 때 차량번호와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 중앙관제부(40)는 고객의 전화번호로 충전완료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충전소 관리 처리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내의 전기차 충전소 관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충전소 관리 시스템은 입차하는 차량을 촬영하면(S310), 먼저 촬영영상 내의 차량번호판을 분석하여 친환경차판단을 수행한다(S320).
친환경차판단을 수행한 결과(S330), 일반차량인 경우 일반적인 입차량 관리를 수행한다(S340). 예를 들어, 차량번호와 입차시간 정보를 중앙관제부(40)에서 저장 및 관리한다.
만일 친환경차라 판단되는 경우, 촬영영상을 더 분석하여 차종에 따른 전기차판단을 수행한다(S350). 예를 들어, 모든 차량(또는 전기차만)에 대한 각 차량별 형태정보를 저장한 DB를 참조하여, 입차량의 형태와 비교함으로써 입차량의 차종을 식별함으로써 전기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형태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입차량의 전면뿐 아니라 후면까지도 촬영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2개의 카메라를 이용하거나 또는 반사경을 구비하여 하나의 카메라로 입차하는 차량의 전면과 함께 입차하여 지나가는 차량의 후면까지도 촬영하여 차량후면 영상까지도 확보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충전소 관리 시스템은 외부의 소리를 녹취하기 위한 마이크로폰과 같은 음원입력수단(미도시)을 출입구에 더 구비하여, 입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의한 외부소리를 녹취하고, 이를 분석하여 전기차판단 또는 친환경차판단에 이용한다. 예를 들어, 전기차의 경우 엔진소리가 없으며, 특정한 패턴의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기차판단부(20)는 외부소리를 녹취하고 분석하여 입차량에 대한 전기차 여부의 판단에 활용하는 것이다.
또한, 주차장 입구 바닥에 전자기장 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함으로써, 입차하는 차량이 전기차인 경우 모터 등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센싱함으로써, 전기차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전자기장 센서(electri8c field sensor)는 설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최대 약 2m의 폭, 수직 방향으로는 약 5m 높이까지 입체적인 감지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주차장 입구 바닥에 전자기장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전자기장을 센싱하여 입차량에 대한 전기차 여부 판단에 이용한다.
전기차판단 결과(S360), 전기차라 판단되는 경우에는 입차량을 전기차로서 등록하며, 가용한 충전소 위치 등을 안내한다(S370, 도 2 참조). 여기서, 인식된 입차량의 차량번호로 등록된 회원정보(전화번호 등의 차주정보를 포함)가 존재한다면, 해당 회원에게 모든 충전소의 위치, 바로 이용가능한 충전소위치를 안내할 수 있으며, 또는 예약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기차로 한번 등록된 입차량에 대해서는, 그 충전 이력을 괸리함으로써, 충전패턴에 따라 충전소 안내 여부, 충전소 예약서비스 등을 맞춤형 서비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의 매일 주차장에 출입하되, 주로 월요일에만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 월요일에만 가용 충전소를 안내하고, 나머지 날에는 충전소에 근접한 비어있어 주차 가능한 주차구획에 대해 안내(또한, 차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예약서비스도 진행할 수 있음)한다.
이와 달리 전기차판단결과 전기차가 아니라 판단되는 경우, 충전소 위치정보만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380). 예를 들어 입차량이 친환경차이지만 충전이 필요없는 수소차 등이라 판단되는 경우인데, 이 경우에는 가용충전소의 안내가 불필요할 수 있으므로, 가용한 주차위치 등을 안내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차인데 전기차판단에서의 오류로 인해 인식이 실패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친환경차이나 전기차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가용충전소가 아닌 충전소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충전소가 위치한 층에 대한 정보 등)를 안내하는 것이다.
또는 차후 수소 충전 시설까지도 갖추게 되는 경우, 친환경차량의 차종에 따른 충전방식을 식별함으로써, 맞춤형 충전소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히 번호판만으로 전기차를 식별하는 것이 아니라, 입차하는 차종 및 외부소리까지도 분석하여 보다 정확히 전기차를 식별함으로써, 전기차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정보를 이용한 주차비 정산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차장으로 입차한 전기차량이 주차장 내에 구비된 충전소에서 전기충전을 수행하면, 충전관리부(30)는 충전시간, 차량번호에 대한 충전정보를 중앙관제부(40)로 제공한다. 즉, 전기차량의 충전정보를 취득하면(S410), 해당 전기차량의 주차비 정산에 충전정보를 반영한다(S420). 다시 예를 들면, 주차장 총 이용시간이 3시간이고, 충전시간이 1시간이라면, 2시간에 대해서만 주차장 이용료를 정산하며, 또는 충전요금의 일정비율을 주차장 이용료에서 차감하거나, 또는 충전시간의 일정비율 만큼에 대해 주차요금을 징수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완료 전기차량에 대한 관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완료된 전기차량에 예약된 주차구획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차주의 단말로 전송되는 충전완료메시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충전완료에 따른 충전정보를 취득하면(S510), 해당 충전소에 근접한 비어있는 주차구획(즉, 바로 주차가 가능한 근접한 주차구획)을 예약처리한다(S520).
그리고, 예약된 주차구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완료메시지를 전기차량에 대응된 단말정보로 전송한다(S530).
예약된 주차구획에 대한 정보를 해당 전기차량의 차중에게 안내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 7을 참조하면, 왼쪽의 단말이미지와 같은 충전완료와 예약된 주차구획을 안내하는 충전완료메시지를 전기차량의 차주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등록된 회원정보를 이용하거나 충전관리부(30)를 통해 입력받은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충전완료메시지를 전송한다. 일례에 따르면, 주차장 이용을 위해 배포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한 단말장치를 보유한 전기차 차주는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충전소를 예약하거나, 위치를 안내받거나, 상술한 충전완료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도, 충전 시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충전완료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중앙관제부(40)는 예약된 주차구획의 상단에 구비된 HUD수단(600)을 제어하여 예약된 일정시간 동안 바닥에 예약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주차장의 각 주차구획에는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등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구역에는 빨간색의 불빛이, 비어있는 주차구획에는 파란색(또는 초록색)의 불빛이, 예약된 주차구획에는 주황색의 불빛이 표시될 수 있다. 특히, 각 안내등 장치에는 로고빔과 같은 헤드업디스플레이(HUD)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예약된 주차구획이라는 것을 안내하여 예약된 차량 외에 다른 차량이 주차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과 같이, 예약된 시간 동안 예약 표시가 주차구획에 표시되도록 하여, 전기차량이 해당 주차구획에 예약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전기차량 차주는 멀리서도 안내등의 색깔을 확인함으로써 예약된 주차구획을 직관적으로 바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중앙관제부(40)는 충전소에 근접한 비어있는 주차구획을 확인하고, 관련정보를 충전완료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며, 충전완료메시지로서 안내한 주차구획을 예약처리하고, 일정시간내로 예약된 주차구획으로 전기차량이 이동주차한 경우 주차요금을 할인적용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전기차량이 충전소에 위치하는 경우 주차요금을 추가징수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요금을 추가징수 처리하는 경우, 시간이 경과할수록 비례하여 추가요금의 비율을 높이며, 주차요금이 증가할 때마다 단말정보를 이용하여 주차비용을 주기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 7을 참조하면, 예약시간이 경과되도록 충전소에서 전기차량이 떠나지 않음을 인식하면(각 주차구획마다 차량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음), 도면의 우측 휴대폰 이미지와 같이 예약취소를 안내하며, 주차료 패널티가 부과됨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예를 들어, 10분 등)이 다시 경과하면 더 높아진 패널티 요금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다시 전송하여, 전기차량을 보다 빨리 다른 장소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내의 전기차 충전소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주차장 내의 전기차 충전소 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촬영부
20 : 전기차판단부
30 : 충전관리부
40 : 중앙관제부

Claims (14)

  1. 주차장으로 입차하는 차량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상기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입차량 영상에서 차량번호판을 분석함으로써 친환경차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친환경차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에서 차량모형 또는 텍스트를 분석하여 차종에 따른 전기차판단을 수행하는 전기차판단부; 및
    상기 전기차판단의 결과 입차량이 전기차인 경우, 전기차 충전소 관리를 위해 상기 입차량의 차량번호를 저장관리하는 중앙관제부를 포함하는,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입차하는 차량으로부터의 소음을 녹취하기 위한 음원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기차판단부는 상기 전기차판단을 수행할 때 상기 음원입력부로부터의 외부소리를 더 분석하는,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충전소에 설치되는 충전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중앙관제부는 전기차량이 상기 충전소에서의 충전을 완료하면, 차량번호 및 충전시간을 포함하는 충전정보를 상기 충전관리부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차량번호에 상응하는 주차요금의 처리에 상기 충전시간을 반영하는,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부는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어 미리 등록되거나 상기 충전관리부에 구비된 입력수단에 차주로부터 입력된 단말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완료시점에 상응하여 충전완료메시지를 전송하는,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부는 상기 충전소에 근접한 비어있는 주차구획을 확인하고, 관련정보를 상기 충전완료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부는 상기 충전완료메시지로서 안내한 주차구획을 예약처리하고, 일정시간내로 예약된 주차구획으로 상기 전기차량이 이동주차한 경우 주차요금을 할인적용하고,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상기 전기차량이 상기 충전소에 위치하는 경우 주차요금을 추가징수처리하는,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부는 상기 예약된 주차구획의 상단에 구비된 HUD수단을 제어하여 예약된 일정시간 동안 바닥에 예약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차요금을 추가징수처리하는 경우,
    시간이 경과할수록 비례하여 추가요금의 비율을 높이며, 주차요금이 증가할 때마다 상기 단말정보를 이용하여 주차비용을 안내하는,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부는 상기 입차량이 전기차로서 미리 등록된 차량인 경우, 저장 관리되는 충전패턴을 분석하여 가용충전소에 대한 안내 또는 충전소에 근접한 가용 주차구획에 대한 안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10.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방법에 있어서,
    주차장으로 입차하는 차량을 촬영한 영상에서 차량번호판을 분석함으로써 친환경차판단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친환경차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에서 차량모형 또는 텍스트를 분석하여 차종에 따른 전기차판단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차판단의 결과 입차량이 전기차인 경우, 전기차 충전소의 관리를 위해 상기 입차량의 차량번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전기차량이 충전소에서의 충전을 완료하면, 차량번호 및 충전시간을 포함하는 충전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차량번호에 상응하는 주차요금의 처리에 상기 충전시간을 반영하는,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어 미리 등록되거나 충전소에 구비된 입력수단에 차주로부터 입력된 단말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완료시점에 상응하여 충전완료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충전소에 근접한 비어있는 주차구획을 확인하여 관련정보를 상기 충전완료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충전완료메시지로서 안내한 주차구획을 예약처리하고, 일정시간내로 예약된 주차구획으로 상기 전기차량이 이동주차한 경우 주차요금을 할인적용하고,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상기 전기차량이 상기 충전소에 위치하는 경우 주차요금을 추가징수처리하는,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방법.
  14.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계들은,
    입차하는 차량을 촬영한 영상에서 차량번호판을 분석함으로써 친환경차판단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친환경차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에서 차량모형 또는 차종을 분석하여 전기차판단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차판단의 결과 입차량이 전기차인 경우, 전기차 충전소의 관리를 위해 상기 입차량의 차량번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06961A 2022-08-25 2022-08-25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28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961A KR20240028777A (ko) 2022-08-25 2022-08-25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961A KR20240028777A (ko) 2022-08-25 2022-08-25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777A true KR20240028777A (ko) 2024-03-05

Family

ID=9029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961A KR20240028777A (ko) 2022-08-25 2022-08-25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77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070B1 (ko) 2016-11-22 2017-08-16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노외 주차장 주차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070B1 (ko) 2016-11-22 2017-08-16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노외 주차장 주차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008B1 (ko) 주차유도 영상 카메라, 그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및 주차유도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유도 방법
US8502698B2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KR100794513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JP6588875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0567725B1 (ko)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H0578880B2 (ko)
KR102193430B1 (ko) 이동통신을 이용한 주차비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968203B1 (ko) 주차관제시스템
KR102060599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JP2017157036A (ja) 駐車誘導システムおよび駐車誘導方法
JP7208755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21859A (ko) 주차 유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025889A (ja) 駐車管理システム
JP6535938B2 (ja) 料金収受設備、料金収受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301149A1 (en) Parking assignment system with laser rangefinder and parking meter
KR20210057591A (ko) 주차장을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주차 관제 장치
KR20240028777A (ko) 주차장 내의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27078B1 (ko) 복수의 단말로 구성된 무인 파킹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무인 파킹 방법
KR102064776B1 (ko) 무인 주차장 차량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28778A (ko) 주차장 내의 전기차 충전소 안내 시스템 및 방법
WO2021075278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H11306484A (ja) 無人駐車場の車種別管理システム
JP5613299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CN108898886B (zh) 一种停车场车位管理方法、系统和服务器
US202400874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