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173A - 앱 연동 클러스터 및 이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앱 연동 클러스터 및 이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173A
KR20240028173A KR1020220106333A KR20220106333A KR20240028173A KR 20240028173 A KR20240028173 A KR 20240028173A KR 1020220106333 A KR1020220106333 A KR 1020220106333A KR 20220106333 A KR20220106333 A KR 20220106333A KR 20240028173 A KR20240028173 A KR 20240028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
vehicle
cluster
vehicle clust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젠
Priority to KR1020220106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173A/ko
Publication of KR20240028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17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5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vehicle- or driver-related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앱 연동 클러스터 및 이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앱 연동 클러스터 및 이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단말이 접속되어 단말의 특정 앱이 실행될 때, 제어부는 특정 앱에 대응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차량 클러스터의 운영체계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특정 앱의 앱 유형 정보에 따라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에서 생성되는 정보에 대한 화면의 비율, 크기, 위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앱에 대응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차량 클러스터에서 직접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차량 상태 정보, 안전 정보 및 편의 정보 뿐 아니라 실행되는 앱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의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차량의 안전 운행 및 운전자 요구 사항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앱 연동 클러스터 및 이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Cluster related ap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luster}
본 발명은 앱 연동 클러스터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이 접속되어 스마트폰 앱이 실행될 경우에 스마트폰 앱에 대응하기 위해 차량 클러스터에 내장시킨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실행시키는 앱 연동 클러스터 및 이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클러스터는 운전자에게 필요한 차량 상태 정보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장치이다.
차량 클러스터는 속도계, 엔진회전계, 엔진온도계, 연료계를 기본적으로 표시하며, 방향지시등 표시등, 조명 점등 표시등, 변속기 위치 표시등을 포함한 각종 표시등과, 엔진오일 압력 경고등, 배터리 충전 경고등, 에어백 경고등, 엔진 경고등, 냉각수 수온 경고등, ABS(Anti-lock Brake System) 경고등, 타이어 공기압(TMPS) 경고등, VDC(Vehicle Dynamic Control) 경고등을 포함한 차량 이상을 나타내는 경고등과, 안전벨트 미착용 경고등, 브레이크 경고등, 연료 부족 경고등, 워셔액 잔량 경고등, 도어 열림 경고등, 트렁크 열림 경고등, 이모빌라이저 경고등을 포함한 운전자 대처를 필요로 하는 경고등을 표시한다.
이렇게 차량 클러스터에는 차량의 안전 운행에 필요한 차량 상태 정보들이 표시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정확하고 직관적으로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최근에는 차량의 안전 운행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장비(카메라, 센서 등등)가 차량에 설치되고 있으며, 이에 이들 장비로부터 생성되는 안전 정보 및 편의 정보도 차량 클러스터에 표시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기존 아날로그 클러스터는 공간상의 한계로 인해 안전 정보 및 편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디지털 클러스터로 대체되고 있다.
디지털 클러스터는 평판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한 차량 상태 정보 뿐만 아니라 안전 정보 및 편의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클러스터는 자율 주행 차량과 친환경 차량을 포함한 미래 지향적인 차량에의 적용이 가속화되고 있다.
일례로서, 자율 주행 시대를 맞아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를 통해 얻어지는 정보를 디지털 클러스터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 대표적일 것이다. ADAS로는 긴급자동브레이크(AEB) 시스템, 차선이탈경보시스템(LDWS), 차선유지지원시스템(LKAS), 사각지대감지(BSD) 시스템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평판 디스플레이의 크기도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디지털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는 차선 유지 등의 안전 정보를 그래픽을 통해서 쉽고 명확하면서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운행 환경에 맞게 디지털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바뀌는 시각적인 즐거움도 줄 수 있다. 또한, 디지털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네비게이션이나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도 함께 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 차량은 단순 이동수단이었으나, 최근 차량은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다.
한편, 최근 차량에서와 같이 콘텐츠를 실행하는 환경은 다양해지고 있으나, 일상 생활에서 콘텐츠의 실행은 대부분 스마트폰을 이용한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온라인을 통한 거의 모든 활동이 실질적으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최근 디지털 클러스터와 스마트폰을 연계한 다양한 서비스 기술이 선보이고 있다.
스마트폰의 화면 크기는 디지털 클러스터의 화면 크기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스마트폰의 화면을 디지털 클러스터의 화면으로 전송하여 공유하는 스크린 미러링 기술이 그 예이다.
스크린 미러링 기술의 대표적인 예로서, 디지털 클러스터와 스마트폰을 유ㆍ무선으로 접속하여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App)을 디지털 클러스터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안드로이드 오토, 애플 카플레이 등이 있다.
디지털 클러스터와 스마트폰이 접속되어 안드로이드 오토, 애플 카플레이가 실행되면, 디지털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스마트폰의 화면으로 대체되게 된다. 즉, 스마트폰의 운영체계가 포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되고, 디지털 클러스터의 운영체계가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실행되어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안드로이드 오토, 애플 카플레이가 실행되면 차량 상태 정보 중에서 안전과 관련된 일부 안전 정보만이 디지털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에 표시되거나 일시적으로 표시되게 된다. 즉, 안드로이드 오토, 애플 카플레이가 실행된 상태에서는 차량의 속도 정보 등을 포함한 소수의 필수 정보만이 표시되므로, 디지털 클러스터의 주요한 기능(안전 및 편의)이 실질적으로 상실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서로 다른 별개의 운영체계가 디지털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를 공유하게 될 경우, 타 운영체계(스마트폰 운영체계)가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디지털 클러스터는 자신의 디스플레이임에도 불구하고 정보를 표시하는데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클러스터를 통해 출력되던 멀티미디어 재생, 네비게이션 등도 표시되지 않게 되어 편의 정보도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단지 디지털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를 공유하기 위해 디지털 클러스터의 고유 기능을 상실시키는 것은 개선할 필요가 있다할 것이다.
또한, 스크린 미러링 연결 시에, 차량 클러스터의 화면 비율과 스마트폰의 화면 비율이 상이하여 차량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전체를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화면 비율을 일치시킬 경우에는 차량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해상도 차이로 인해 화면이 왜곡되는 문제뿐 아니라 화면 비율 전환에 따른 딜레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결국, 디지털 클러스터를 포함한 차량 클러스터는 스마트폰과의 접속을 통한 스마트폰 기능 실행시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해 차량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할 필요성이 요구될 뿐 아니라 스크린 미러링 연결 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출원번호 제10-2021-0188793호, "스크린 미러링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제10-1188684호,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이 접속되어 스마트폰 앱이 실행될 경우에 스마트폰 앱에 대응하기 위해 차량 클러스터에 내장시킨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앱 연동 클러스터 및 이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앱 연동 클러스터는,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과의 근거리 접속이 이루어지는 내부통신부; 이동 통신망 또는 데이터 통신망과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외부통신부; 차량 클러스터의 운영체계,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 및 입출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의 운행시 생성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접속되어 상기 단말의 특정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앱에 대응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차량 클러스터의 운영체계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 앱의 앱 유형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에서 생성되는 정보에 대한 화면의 비율, 크기,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앱에 대응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설치 여부에 확인하여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설치하는 앱 설치 관리부; 상기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우선 순위를 관리하며, 상기 단말의 접속에 따라 상기 특정 앱이 차량 클러스터에서 실행될 때, 실행되는 앱의 앱 유형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상기 단말에서 생성되는 정보의 우선 순위를 관리하는 우선 순위 관리부; 상기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하는 화면 구성 컨트롤러; 및 상기 단말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앱 연동 클러스터의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차량 클러스터;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 및 앱 유형 정보를 갖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클러스터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내장하며, 상기 차량 클러스터는 상기 단말이 접속되어 상기 단말의 특정 앱이 실행될 때, 상기 특정 앱에 대응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차량 클러스터의 운영체계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앱의 앱 유형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앱 유형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에서 생성되는 정보에 대한 화면의 비율, 크기,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한다.
이 때, 상기 차량 클러스터와 상기 단말의 스크린 미러링 연결 시에는 상기 차량 클러스터의 운영체계가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실행될 때에는, 차량 클러스터의 운영체계가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실시간 생성되는 상기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상기 단말에서 생성되는 정보의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클러스터는 상기 차량 클러스터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좌표값을 상기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좌표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기능의 실행에 따른 화면 정보를 상기 차량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앱 연동 클러스터의 제어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a)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이 접속되면, 가상 디스플레이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인스턴스에 대응하여 차량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단말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c)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단말의 특정 앱이 실행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클러스터에 내장 여부를 확인한 후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실행하는 단계; (d)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앱 유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e) 상기 앱 유형 정보에 대응하여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차량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단계 (c)는,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접속 정보,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 유형 정보는 상기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의 처리 우선 순위를 규정한 매핑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f)는, 상기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를 포함한 이벤트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이벤트 신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차량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는, 상기 차량 클러스터와 상기 단말의 접속에 따른 스크린 미러링 연결 시, 상기 단말로 제어채널 확인 요청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채널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 클러스터로부터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좌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좌표값을 상기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단말에서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앱 연동 클러스터 및 이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스마트폰 앱에 대응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차량 클러스터에서 직접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차량 상태 정보, 안전 정보 및 편의 정보 뿐 아니라 실행되는 앱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의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차량의 안전 운행 및 운전자 요구 사항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앱 연동 클러스터의 제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앱 연동 클러스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앱 연동 클러스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앱 유형 정보에 대응한 차량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스크린 미러링시 차량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 클러스터와 스마트폰의 상호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앱 연동 클러스터 및 이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앱 연동 클러스터의 제어 시스템 구성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앱 연동 클러스터는 차량 클러스터에 적용되며,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차량 클러스터와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앱 연동 클러스터의 제어 시스템은 차량 클러스터(1)와, 스마트폰(2)과, 서버(3)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 클러스터(1)는 차량 상태 정보, 안전 정보 및 편의 정보를 표시하며, 스마트폰(2) 접속시 스마트폰(2)으로부터 전송되는 화면 정보를 표시하고,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스마트폰 앱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설치되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실행되는 것에 대응하여 서버(3)로 해당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앱 유형 정보를 요청하고, 서버(3)로부터 해당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앱 유형 정보를 수신하여 앱 유형 정보에 대응하여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한다. 한편, 차량 클러스터(1)는 사용자(운전자 포함)에 의해 발생된 입력 신호(음성, 터치, 제스처 등)를 스마트폰(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폰(2)은 차량에서 사용되는 전용앱을 포함한 앱 설치가 이루어지며, 차량 클러스터(1)에 유ㆍ무선 접속되어 차량 클러스터(1)로부터의 실행 가능한 앱 요청에 대응하여 실행 가능한 앱을 추출하여 차량 클러스터(1)로 전달한다. 스마트폰(2)은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입력 신호를 차량 클러스터(1)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2)은 온라인 앱 서비스 장치뿐 아니라 서버(3)로부터 차량 클러스터(1)에서 실행 가능한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
서버(3)는 차량 클러스터(1)의 앱 유형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앱 유형 정보를 검색하여 차량 클러스터(1)로 전달한다. 이에 서버(3)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차량 클러스터 종류별로 사용되는 기본적인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규정하고 있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저장하고 있으며, 또한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실행된 후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정보들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규정하고 있는 해당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앱 유형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2)을 일례로서 예시하고 있으나, 차량 클러스터(1)에 접속 가능한 단말이면 되며, 해당 단말에는 차량 클러스터(1)에서 실행 가능한 앱이 설치되어 있으면 본 발명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서버(3)를 포함시켜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여 서버(3)를 통해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 및 앱 유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일례로 제시하고 있으나, 스마트폰(2)에서 앱 설치시, 앱 유형 정보도 함께 다운로드하여 스마트폰(2)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차량 클러스터(1)에 스마트폰(2) 접속이 이루어지면 앱 실행시 해당 앱의 앱 유형 정보를 스마트폰(2)에서 차량 클러스터(1)로 직접 전달할 수도 있다. 즉, 서버(3)는 해당 앱을 다운로드하는 외부장치로서만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3)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차량 클러스터(1)로 전달하는 외부장치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차량 클러스터(1)에 스마트폰(2)이 적용되고, 또한 서버(3)를 포함한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 화면 구성을 제어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 클러스터(1), 스마트폰(2), 서버(3)는 기본적으로 무선 접속이 이루어지며, 차량 클러스터(1)와 스마트폰(2)은 유선 접속도 지원할 수 있다.
차량 클러스터(1)와 스마트폰(2) 최초 접속시, 차량 클러스터(1)는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이의 특정 영역에 스마트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차량 클러스터(1)는 스마트폰(2)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스마트폰(2)의 해상도에 대응하여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포함한 스마트폰 앱을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이의 특정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차량 클러스터(1)와 스마트폰(2)은 일례로서 미라캐스트(Miracast) 등의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차량 클러스터(1)와 스마트폰(2)은 동일한 제어채널을 이용할 수 있고, 미라캐스트 통신 방식을 사용할 경우 제어채널은 UIBC(User Input Back Channel)일 수 있다.
차량 클러스터(1)는 스마트폰(2)과 스크린 미러링을 연결할 수 있다. 스크린 미러링 연결 시, 차량 클러스터(1)는 스마트폰(2)과 네고시에이션(negoti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 미러링 연결은 안드로이드 오토, 애플 카플레이의 실행을 의미할 수 있다. 차량 클러스터(1)는 차량 클러스터(1)에서 지원할 수 있는 해상도 정보와 스마트폰(2)에서 지원할 수 있는 해상도 정보를 확인하여 두 장치에서 공통적으로 지원 가능한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해상도로 차량 클러스터 화면과 스마트폰 화면이 모두 포그라운드 상태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차량 클러스터(1)는 스마트폰(2)과의 네고시에이션 시에 스마트폰(2)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차량 클러스터(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2)과 접속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스마트폰(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 클러스터(1)와 접속될 수 있으므로, 양자 식별을 위해 네고시에이션 시에 식별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차량 클러스터(1)는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특정 앱의 실행에 대응하여, 특정 앱에 대응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내장(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내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이어서, 해당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앱 유형 정보를 서버(3)로 요청하고, 이에 서버(3)에서는 해당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앱 유형 정보를 검색하여 차량 클러스터(1)로 전송하며, 차량 클러스터(1)는 해당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차량 클러스터(1)의 운영체계에서 실행하며, 앱 유형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은 앱 유형 정보에 따라 차량 상태 정보, 안전 정보, 편의 정보 및 실행되는 앱 정보의 각 화면의 비율, 크기, 위치 등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차량 클러스터(1)와 스마트폰(2)의 네고시에이션 시에 해당 스마트폰 앱의 화면은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으로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실행될 경우에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포그라운드 상태로 실행하고, 안드로이드 오토, 애플 카플레이 등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 상태로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클러스터(1)와 스마트폰(2)은 네고시에이션 시에는 차량 클러스터(1)의 운영체계가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 실행시에는 차량 클러스터(1)의 운영체계와 스마트폰(2)의 운영체계가 포그라운드 또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정보에 대응하여 포그라운드 상태와 백그라운드 상태를 차량 클러스터(1)가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차량 클러스터(1)는 차량 클러스터(1)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좌표값을 스마트폰(2)으로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마트폰(2)은 스마트폰(2)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좌표값을 차량 클러스터(1)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차량 클러스터(1) 및 스마트폰(2)에 미리 설치된 좌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좌표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상대방 장치에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2)이 연결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차량 클러스터(1)는 다양한 전자기기의 접속에 대응하여 해당 전자기기의 고유기능 또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에 대응하여 서버(3)로부터 해당 전자기기의 정보 또는 앱 유형 정보를 전달받아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앱 연동 클러스터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클러스터(1)는 스마트폰(2)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내부통신부(11)와, 서버(3)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통신부(12)와, 운영체계 어플리케이션과 좌표 어플리케이션,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 및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3)와,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14)와,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15)와, 차량 상태 정보, 안전 정보 및 편의 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스마트폰(2)으로부터 전달된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6)와, 스마트폰 앱에 대응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실행시키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실행에 대응하여 차량 상태 정보, 안전 정보 및 편의 정보와 스마트폰(2)으로부터 전달된 화면 정보를 조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7)를 포함한다.
내부통신부(11)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내부통신부(11)는 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경우,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으로는, MiraCast,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s) 등이 있을 수 있다.
외부통신부(12)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통신부(12)는 이동 통신망 또는 데이터 통신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할 수 있다. 외부통신부(12)는 LTE(Long Term Evolu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는 운영체계 어플리케이션 및 좌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차량 클러스터(1)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앱에 대응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저장하고 있으며, 스크린 미러링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2)의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입출력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입력부(14)는 스마트폰(2)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입력부(14)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입력부(14)는 마이크(mic),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버튼(button), 터치 패널(touch panel) 및 조그 셔틀(jog & shutt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는 발생된 입력 신호를 제어부(17)로 제공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5)는 음성을 포함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6)는 차량 상태 정보, 안전 정보 및 편의 정보, 실행되는 앱 정보를 표시하며,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는 입력부(14)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는 내부통신부(11), 외부통신부(12), 저장부(13), 입력부(14) 및 음향출력부(15)에 입출력되는 정보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며, 내부통신부(11)를 통한 스마트폰(2) 접속에 따른 스마트폰 앱 실행시에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실행시키는 제어를 수행하고,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클러스터(1)의 운영체계와 스마트폰(2)의 운영체계가 포그라운드 상태 및 백그라운드 상태로의 전환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한다.
이에, 제어부(17)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설치하는 앱 설치 관리부와, 실시간 생성되는 정보들의 우선 순위를 관리하는 우선 순위 관리부와,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하는 화면 구성 컨트롤러와, 스마트폰(2)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를 구성하는 앱 설치 관리부, 우선 순위 관리부, 화면 구성 컨트롤러 및 접속 컨트롤러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7)는 스마트폰 앱에 대응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설치 여부에 확인하여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설치하는 앱 설치 관리부(171)와,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차량 상태 정보, 안전 정보 및 편의 정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며, 스마트폰(2) 접속 후 실행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앱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 생성되는 정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우선 순위 정보를 화면 구성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우선 순위 관리부(172)와, 우선 순위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하며, 스마트폰(2) 접속 유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하며, 스마트폰(2) 접속시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되는 차량 상태 정보, 안전 정보, 편의 정보 및 실행되는 앱 정보에 대한 화면의 비율, 크기, 위치 등을 조정하는 화면 구성 컨트롤러(173)와, 스마트폰(2)과의 스크린 미러링 연결을 제어하는 접속 컨트롤러(174)로 구성될 수 있다.
앱 설치 관리부(171)는 차량에서 사용되는 안전 정보 및 편의 정보를 생성하는 스마트폰 앱에 대응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앱 설치 관리부(171)는 내장되지 않은 스마트폰 앱에 대응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서버(3) 또는 외부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앱 설치 관리부(171)는 스마트폰 앱의 실행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설치 여부에 확인하여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내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우선 순위 관리부(172)는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정보들에 대한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의 우선 순위를 규정하고 있다. 우선 순위 관리부(172)는 차량 상태 정보, 안전 정보, 편의 정보 및 실행되는 앱 정보가 생성될 때 해당 정보들의 우선 순위를 규정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화면 구성 컨트롤러(173)로 우선 순위 정보를 제공한다.
화면 구성 컨트롤러(173)는 차량 클러스터(1)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한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하고, 스마트폰(2) 접속에 따른 스마트폰 앱이 차량 클러스터(1)에서 실행될 경우에 우선 순위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차량 상태 정보, 안전 정보, 편의 정보 및 실행되는 앱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한다.
화면 구성 컨트롤러(173)는 어플리케이션(안드로이드 오토, 애플 카플레이) 실행에 따른 스마트폰(2)과의 스크린 미러링 실행이 요청되면 복수의 화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에서 차량 클러스터 화면과 스마트폰 앱의 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량 클러스터 화면과 스마트폰 앱의 화면은 서로 다른 운영체계에 의해 실행되는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정보로서, 모두 포그라운드 상태로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실행되면, 해당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포그라운드 상태로 실행하고, 안드로이드 오토, 애플 카플레이 등은 백그라운드 상태로 실행할 수 있다.
화면 구성 컨트롤러(173)는 스마트폰(2)이 접속되면, 스마트폰(2)의 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 클러스터(1)는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폰(2)으로 전송 중인 해상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화면 구성 컨트롤러(173)는 실행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앱 유형 정보에 대응하여 스마트폰(2)으로부터 전송 중인 화면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화면 구성 컨트롤러(173)는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된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포함한 스마트폰 앱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화면 구성 컨트롤러(173)는 접속 컨트롤러(174)를 통해 좌표값을 스마트폰(2)으로 전송하여 스마트폰(2)에서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 구성 컨트롤러(173)는 차량 클러스터(1)에서 발생된 좌표값을 스마트폰(2)의 좌표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함으로써, 스마트폰(2)의 좌표 어플리케이션에서 좌표값의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접속 컨트롤러(174)를 통해 스마트폰(2)에서 생성된 좌표값을 이용하여 차량 클러스터(1)의 좌표 어플리케이션에서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접속 컨트롤러(174)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2)과 스크린 미러링을 연결할 수 있다. 접속 컨트롤러(174)는 입력부(14)로부터 스마트폰(2)과 스크린 미러링을 연결하기 위한 스크린 미러링 실행신호가 수신되면 차량 클러스터(1)와 스크린 미러링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2)을 검색할 수 있다. 접속 컨트롤러(174)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2)에 대한 목록을 디스플레이(16)에 표시할 수 있다. 접속 컨트롤러(174)는 입력부(14)로부터 상기 목록에서 스마트폰(2)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스마트폰(2)과 스크린 미러링을 연결할 수 있다.
접속 컨트롤러(174)는 스마트폰(2)과의 스크린 미러링 연결 시에 스마트폰(2)과 네고시에이션(negoti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접속 컨트롤러(174)는 차량 클러스터(1)에서 지원할 수 있는 해상도 정보와 스마트폰(2)에서 지원할 수 있는 해상도 정보를 확인하여 두 장치에서 공통적으로 지원 가능한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접속 컨트롤러(174)는 스마트폰(2)과의 스크린 미러링 연결 시에 스마트폰(2)에서 제어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폰(2)으로 제어채널 확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폰(2)에서 제어채널의 사용이 가능하면 차량 클러스터(1)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이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채널은 스마트폰(2)에서 차량 클러스터(1)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채널로서, 차량 클러스터(1)와 스마트폰(2)이 미라캐스트 통신 방식을 이용할 경우 UIBC일 수 있다. 접속 컨트롤러(174)는 스마트폰(2)과 스크린 미러링 연결 시, 스마트폰(2)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접속 컨트롤러(174)는 입력부(14)로부터 스크린 미러링 종료 신호가 수신되거나, 제어채널을 통해 스마트폰(2)으로부터 스크린 미러링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폰(2)과 수행 중인 스크린 미러링을 종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3)는 차량 클러스터 종류별로 사용되는 기본적인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규정하고 있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데이터베이스(31)에 저장하고 있으며, 또한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실행된 후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정보들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규정하고 있는 해당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앱 유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에 저장하고 있다.
한편, 앱 유형 정보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포함한 스마트폰 앱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의 우선 순위를 규정하는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버(3)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포함한 스마트폰 앱별로 우선 순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에 저장하고 있으며, 차량 클러스터(1)의 종류와 스마트폰(2)의 종류를 조합하여 우선 순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에 저장하고 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31)에는 차량 상태 정보, 안전 정보, 편의 정보 및 실행되는 앱 정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조합에서 발생하는 정보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매핑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서, 스마트폰 앱 중에서 네비게이션 앱을 실행할 경우에, 네비게이션 앱에 대응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비게이션 앱을 실행시키고, 차량 상태 정보와 지도 정보의 디스플레이(16) 화면 비율을 5 : 5로 분할하고, 안전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화면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며, 편의 정보는 디스플레이(16) 화면의 모퉁이 영역에 일정 크기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클러스터용 네비게이션 앱에서 이벤트(단속 구간, 교차로 회전)가 발생할 경우에는 차량 상태 정보와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 정보의 디스플레이(16) 화면 비율을 3 : 7로 분할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화면 비율 변경 시간도 설정되며, 또한 설정된 시간 이내에 안전 정보가 발생될 경우에는 재차 화면 비율,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선 순위 정보에는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정보들에 대하여 화면 비율 변경, 이벤트 정보의 화면 크기 및 위치 조절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화되지 않은 전자장치가 차량 클러스터(1)에 접속되는 것을 고려하여, 서버(3)에서는 데이터베이스화되지 않은 전자장치에 대해 미리 설정된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매칭시키거나, 미리 설정된 다수의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2)은 운영체계 어플리케이션, 좌표 어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 앱 등을 포함한 다양한 콘텐츠 앱이 저장되어 있다. 스마트폰(2)은 이미 잘 알려진 디바이스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앱 연동 클러스터의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앱 연동 클러스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앱 연동 클러스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클러스터(1)에 스마트폰(2)이 유ㆍ무선으로 접속되면, 차량 클러스터(1)는 가상 디스플레이 인스턴스를 생성한다(S11).
이에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이(16)의 설정 위치에 스마트폰 화면이 표시된다(S12). 이 때,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된 스마트폰 화면은 차량 클러스터(1)가 스마트폰(2)과 스크린 미러링을 연결한 상태일 수 있다.
차량 클러스터(1)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며(S13),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차량 클러스터(1)에서 스마트폰(2)의 특정 앱이 실행되면, 스마트폰(2)에서는 해당 특정 앱에 대한 앱 정보를 차량 클러스터(1)로 전송한다(S14). 앱 정보에는 해당 앱의 접속 정보, 사용자의 계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클러스터(1)는 앱 정보로부터 매칭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내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 때, 앱의 접속 정보,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3) 등으로부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S15).
이어서, 차량 클러스터(1)에서는 해당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앱 유형 정보를 요청한다(S16).
서버(3)는 해당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앱 유형 정보를 검색하여 차량 클러스터(1)로 전송한다(S17). 앱 유형 정보에는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차량 상태 정보, 안전 정보, 편의 정보)와 앱 정보의 처리 우선 순위를 규정한 매핑 테이블이 포함되어 있다. 즉, 매핑 테이블은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의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한다.
차량 클러스터(1)는 해당 앱 유형 정보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차량 상태 정보, 안전 정보, 편의 정보 및 앱 정보를 매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한다(S18). 예를 들어,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6) 영역에서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포그라운드 상태로 실행하고, 안드로이드 오토, 애플 카플레이 등은 백그라운드 상태로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차량 클러스터(1)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다운로드 및 앱 유형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 및 앱 유형 정보의 버전을 확인하여, 최신 버전이 아닐 경우에는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앱 유형 정보에 대응한 차량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실행되면,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앱 유형 정보에 따라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이(16)의 설정 위치에 스마트폰 화면이 표시된다(S21). 이 때,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은 해당 차량 클러스터에 최적화되어 미리 세팅된 상태이므로,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이(16)에 최적화되어 표시된다.
차량 상태 정보, 안전 정보, 편의 정보 및 앱 정보를 포함한 이벤트 신호가 생성되면, 이벤트 신호의 종류를 확인하고(S22),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이벤트 신호에 대한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결정한다(S23).
이에 결정된 방식으로 이벤트 신호에 대응한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S24). 예를 들어, 이벤트 신호가 안전과 관련된 중요 신호일 경우에는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이(16) 화면 전체에 해당 안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일정 비율로 화면이 분할되어 해당 영역에 관련 정보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각 영역에서 생성된 중요 정보는 해당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스마트폰(2)으로부터 이벤트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 신호는 스마트폰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에 표시되는 것으로 한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스크린 미러링시 차량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크린 미러링 연결 시, 먼저 차량 클러스터(1)는 스마트폰(2)에서 제어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폰(2)으로 제어채널 확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31). 스마트폰(2)에서 제어채널의 사용이 가능하면 차량 클러스터(1)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이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채널은 스마트폰(2)에서 차량 클러스터(1)를 제어할 수 있는 채널로서, 차량 클러스터(1)와 스마트폰(2)이 미라캐스트 통신을 이용할 경우 UIBC가 될 수 있다. 차량 클러스터(1)는 스마트폰(2)과 스크린 미러링 연결 시, 스마트폰(2)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크린 미러링 연결이 이루어지면, 차량 클러스터(1)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화면 해상도 정보를 획득하여 최초 표시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한다(S32).
이에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이(16)의 특정 영역에 결정된 크기로 스마트폰 화면을 표시한다(S33). 이 때,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이(16)의 특정 영역에 표시되는 스마트폰 화면은 해당 영역에서 풀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화면 크기가 조절되어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클러스터(1)의 운영체계와 스마트폰(2)의 운영체계가 포그라운드 상태에서 실행되도록 한다.
이후, 차량 클러스터(1)에서 스마트폰 화면을 터치하는 것에 대응하여, 차량 클러스터(1)는 설정 시간동안 스마트폰 화면을 포그라운드 상태에서 실행하고, 차량 클러스터 화면을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실행할 수 있다(S34).
설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스마트폰 화면에서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실행시키면, 해당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앱 유형 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결정한다(S35). 이 때,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포그라운드 상태로 실행하고, 안드로이드 오토, 애플 카플레이 등은 백그라운드 상태로 실행한다.
만약, 설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스마트폰 화면에서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실행시키지 않으면, 상기한 S33으로 복귀한다.
이후, 차량 상태 정보, 안전 정보, 편의 정보 및 앱 정보를 포함한 이벤트 신호가 생성되면, 이벤트 신호의 종류를 확인하고,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이벤트 신호에 대한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결정한다(S36).
이와 같이, 차량 클러스터(1)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실행되더라도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여 차량 클러스터(1)의 운영체계의 주도에 의해 포그라운드 및 백그라운드 상태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다(S37).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 클러스터와 스마트폰의 상호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 또는 스마트폰 앱이 실행된 상태에서, 차량 클러스터(1)에서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좌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좌표값을 스마트폰(2)으로 전달한다(S41).
이에 스마트폰(2)에서는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42).
이후, 스마트폰(2)에서의 실행 과정 화면은 차량 클러스터(1)로 전달되며(S43), 이 때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변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 클러스터(1)의 디스플레이(16)와 스마트폰(2)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이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S44). 즉, 스마트폰(2)에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실행 과정이 진행되게 되는데 반해, 차량 클러스터(1)에서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고유 실행 과정이 진행되어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시간 생성되는 이벤트 신호에 따라 차량 클러스터(1)와 스마트폰(2)이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스마트폰(2)에서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좌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좌표값을 차량 클러스터(1)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차량 클러스터(1)에서는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 : 차량 클러스터
11 : 내부통신부
12 : 외부통신부
13 : 저장부
14 : 입력부
15 : 음향출력부
16 : 디스플레이
17 : 제어부
171 : 앱 설치 관리부
172 : 우선 순위 관리부
173 : 화면 구성 컨트롤러
174 : 접속 컨트롤러
2 : 스마트폰
3 : 서버

Claims (11)

  1.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과의 근거리 접속이 이루어지는 내부통신부;
    이동 통신망 또는 데이터 통신망과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외부통신부;
    차량 클러스터의 운영체계,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 및 입출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의 운행시 생성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접속되어 상기 단말의 특정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앱에 대응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차량 클러스터의 운영체계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 앱의 앱 유형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에서 생성되는 정보에 대한 화면의 비율, 크기,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하는 앱 연동 클러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앱에 대응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설치 여부에 확인하여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설치하는 앱 설치 관리부;
    상기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우선 순위를 관리하며, 상기 단말의 접속에 따라 상기 특정 앱이 차량 클러스터에서 실행될 때, 실행되는 앱의 앱 유형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상기 단말에서 생성되는 정보의 우선 순위를 관리하는 우선 순위 관리부;
    상기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하는 화면 구성 컨트롤러; 및
    상기 단말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앱 연동 클러스터.
  3.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차량 클러스터;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 및
    앱 유형 정보를 갖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클러스터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내장하며,
    상기 차량 클러스터는 상기 단말이 접속되어 상기 단말의 특정 앱이 실행될 때, 상기 특정 앱에 대응하는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차량 클러스터의 운영체계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앱의 앱 유형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앱 유형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에서 생성되는 정보에 대한 화면의 비율, 크기,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하는 앱 연동 클러스터의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클러스터와 상기 단말의 스크린 미러링 연결 시에는 상기 차량 클러스터의 운영체계가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실행될 때에는, 차량 클러스터의 운영체계가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실시간 생성되는 상기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상기 단말에서 생성되는 정보의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실시간으로 변경하는 앱 연동 클러스터의 제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클러스터는 상기 차량 클러스터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좌표값을 상기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좌표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기능의 실행에 따른 화면 정보를 상기 차량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로 전달하는 앱 연동 클러스터의 제어 시스템.
  6. (a)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이 접속되면, 가상 디스플레이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인스턴스에 대응하여 차량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단말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c)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단말의 특정 앱이 실행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클러스터에 내장 여부를 확인한 후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실행하는 단계;
    (d)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앱 유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e) 상기 앱 유형 정보에 대응하여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차량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앱 연동 클러스터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접속 정보,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앱 연동 클러스터의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앱 유형 정보는 상기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의 처리 우선 순위를 규정한 매핑 테이블을 포함하는 앱 연동 클러스터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상기 차량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의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를 포함한 이벤트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이벤트 신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차량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앱 연동 클러스터의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차량 클러스터와 상기 단말의 접속에 따른 스크린 미러링 연결 시, 상기 단말로 제어채널 확인 요청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채널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앱 연동 클러스터의 제어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차량 클러스터용 네이티브 앱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 클러스터로부터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좌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좌표값을 상기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단말에서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앱 연동 클러스터의 제어 방법.
KR1020220106333A 2022-08-24 2022-08-24 앱 연동 클러스터 및 이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28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333A KR20240028173A (ko) 2022-08-24 2022-08-24 앱 연동 클러스터 및 이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333A KR20240028173A (ko) 2022-08-24 2022-08-24 앱 연동 클러스터 및 이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173A true KR20240028173A (ko) 2024-03-05

Family

ID=9029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333A KR20240028173A (ko) 2022-08-24 2022-08-24 앱 연동 클러스터 및 이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1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684B1 (ko) 2012-03-06 2012-10-09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684B1 (ko) 2012-03-06 2012-10-09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02794B (zh) 主题切换方法、装置、车辆及系统
US8731627B2 (en) Method of using a smart phone as a telematics device interface
US20170180546A1 (en) In-vehicle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mote control system
US2023003619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device application having vehicle interaction
US20120065815A1 (en) User interface for a vehicle system
WO2011111306A1 (ja) 携帯機器と連携して動作可能な車載機器
US968822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mobile device to emulate a vehicle human-machine interface
JP7223895B2 (ja) 車両のための拡張可能なコンピューティングアーキテクチャ
CN102291426A (zh) 便携式视觉系统
CN106973257B (zh) 用于传送视频图像的方法和系统
KR20160110165A (ko) 차량 애플리케이션 통합 방법 및 장치
US20170124035A1 (en) Layered user interfaces and help systems
KR102124197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410941B1 (ko) 차량과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20117198A1 (en) System and method to recast information communicated between a host system and a remote interface
WO2014185045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240028173A (ko) 앱 연동 클러스터 및 이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28172A (ko) 차량 클러스터 및 이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90123952A1 (en) Host-device functionality supplementation based on portable-system resources
EP40209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gmenting and transmitting data between computing devices and vehicle head units
CN107831825B (zh) 用于安装到参与车辆上并在其间转移用户配置文件的柔性模块化屏幕装置
JP6033186B2 (ja) 携帯端末装置
US9573468B2 (en) Audio/video processing apparatus for a car
KR101462912B1 (ko) 스마트폰용 앱을 차량의 avn장치에서 이용하기 위한 서비스 링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avn장치
CN113696852A (zh) 车辆及其锁闭方法、移动终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