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7672A -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 - Google Patents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7672A
KR20240027672A KR1020240026713A KR20240026713A KR20240027672A KR 20240027672 A KR20240027672 A KR 20240027672A KR 1020240026713 A KR1020240026713 A KR 1020240026713A KR 20240026713 A KR20240026713 A KR 20240026713A KR 20240027672 A KR20240027672 A KR 20240027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metal electrode
window frame
smart glass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6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전
안장호
이동윤
송진희
Original Assignee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26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7672A/ko
Publication of KR20240027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6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featuring transparency control by applying voltage, e.g. LCD, electrochromic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미서기 창호에 구비된 스마트 유리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상시 전원 연결이 가능하고, 창호 개폐 시 배선을 위한 프레임 내부 공간이 충분한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전원 공급을 통해 구동되는 스마트 유리가 구비되고 창틀 수용부가 형성된 창짝; 및 상기 창틀 수용부에 삽입되고,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창짝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창틀;을 포함하는 스마트 유리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틀 수용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금속전극과, 상기 창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금속전극에 접촉되도록 제2 금속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Electrode integrated type sliding window structure for supplying power of smart window}
본 발명은 미서기 창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미서기 창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물질의 색을 바꾸는 전기변색 기술이 직사광선 차단을 위한 전기변색 유리, 투명 디스플레이 등 전원 공급이 필요한 스마트 유리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유리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유리의 색을 변화시키거나 디스플레이 상태 변화를 위해 유리판에 전원 공급을 해야 하는데, 창호 개폐 시 프레임의 이동 범위를 감안할 때 배선을 위한 프레임 내부 공간이 불충분하고, 배선의 내구성 확보가 어려워 상시 전원 공급이 쉽지 않다. 일부 미서기 창호 프레임 상의 레일 위를 좌우로 이동하여 개방과 폐쇄를 하는 미닫이창의 경우에는 폐쇄 위치에서 플러그-소켓 방식 등을 통하여 스마트 유리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므로, 창호 개방 시에는 전원 공급이 중단될 수 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7-0034464호, 한국 등록특허 제1083672호, 한국 공개특허 제2017-0063293호, 한국 공개특허 제2018-0024214호 등에서는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에 관한 다앙한 방법이 소개되어 있으나, 미서기 창호에 구비된 스마트 유리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상시 전원 연결이 가능한 구조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미서기 창호에 구비된 스마트 유리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상시 전원 연결이 가능하고, 배선 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프레임 내부 공간 및 창틀 수용부의 깊이가 충분한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 공급을 통해 구동되는 스마트 유리가 구비되고 창틀 수용부가 형성된 창짝; 및 상기 창틀 수용부에 삽입되고,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창짝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창틀;을 포함하는 스마트 유리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틀 수용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금속전극과, 상기 창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금속전극에 접촉되도록 제2 금속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금속전극과 상기 제2 금속전극은 각각 단면이 'ㄷ'자인 테잎 형태의 탄성 재질로서 상기 창짝의 수평 이동에 따른 상기 창틀과의 교차 시 상기 제1 금속전극과 상기 제2 금속전극이 서로 누르면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창짝 및 상기 창틀은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끼움재 및 제2 끼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1 금속전극 및 상기 제2 금속전극의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제1 끼움재 및 제2 끼움재에 형성된 고정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창짝은 상기 제1 금속전극에 연결된 배선의 간섭 방지를 위한 프레임 중공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유리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 구조에 있어서, 창짝과 창틀의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금속전극과 제2 금속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미서기 창호에 구비된 스마트 유리로의 전원 공급이 상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금속전극에 연결된 배선의 간섭 방지를 위한 프레임 중공층이 구비되어, 창호 개폐 시 배선을 위한 프레임 내부 공간 및 창틀 수용부의 깊이가 충분한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3은 도 1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가 적용된 모습을 설명하는 모식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본 발명의 세부구성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가 적용된 모습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100)는 전원 공급을 통해 구동되는 스마트 유리(111)가 구비되고 창틀 수용부(112)가 형성된 창짝(110); 및 상기 창틀 수용부(112)에 삽입되고, 레일(125)이 형성되어 상기 창짝(110)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창틀(120);을 포함하는 스마트 유리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틀 수용부(112)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금속전극(113)과, 상기 창틀(120)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금속전극(113)에 접촉되도록 제2 금속전극(12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창짝(110)의 창틀 수용부(112)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테잎형의 제1 금속전극(113)과, 동일한 방식으로 창틀(120)에서 상기 제1 금속전극(1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금속전극(121)이 형성되어 있어, 창호 개폐에 따른 슬라이딩 시 제1 금속전극(113)과 제2 금속전극(121)이 접촉되어 스마트 유리(111)로의 전원 공급이 상시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스마트 유리(111)로의 전원 공급은 창호 외부의 전원공급부(미도시)에 연결된 배선을 통해 이루어지며, 배선은 창틀(120)의 배선용 홈(122), 창틀(120)의 상기 제2 금속전극(121), 창짝(110) 창틀 수용부(112)의 상기 제1 금속전극(113) 및 창짝(110)의 배선용 홈(114)을 통해 연결되어 스마트 유리(111)로 전원이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금속전극(113)과 상기 제2 금속전극(121)의 접촉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금속전극(113)과 상기 제2 금속전극(121)은 각각 단면이 'ㄷ'자인 테잎 형태의 탄성 재질로서 상기 창짝(110)의 수평 이동에 따른 상기 창틀(120)과의 교차 시 상기 제1 금속전극(113)과 상기 제2 금속전극(121)이 서로 누르면서 접지 부분이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금속전극(113)과 상기 제2 금속전극(121)의 재질은 창짝(110)의 슬라이딩에 따라 눌려지는 힘에 의해 서로 접촉이 유지될 수 있을 정도의 탄성력을 보유한 통상의 전극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탄성 재질인 상기 제1 금속전극(113)과 상기 제2 금속전극(121)은 각각 단면이 'ㄷ'자인 테잎 형태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창호 폐쇄 시에는 일부분, 즉, 창짝(110)과 창틀(120)이 만나는 각 끝단이 일부 겹쳐지도록 설계하여 배선이 연결되도록 하고, 창짝(110)의 슬라이딩 시에도 항상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스마트 유리(111)로의 상시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금속전극(113)과 상기 제2 금속전극(121)이 각각 창짝(110)과 창틀(120)에 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방법이 제시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창짝(110) 및 상기 창틀(120)은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끼움재(115) 및 제2 끼움재(123)가 장착되고, 상기 제1 금속전극(113) 및 상기 제2 금속전극(121)의 종방향으로의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제1 끼움재(115) 및 제2 끼움재(123)에 형성된 고정 홈에 삽입된다.
상기 제1 끼움재(115) 및 제2 끼움재(123)는 역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각각 창짝(110) 및 창틀(120)에 미리 형성된 끼움 홈에 끼움 결착된다. 상기 제1 끼움재(115) 및 제2 끼움재(123)의 소재는 비전도성 소재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PVC 등의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1 끼움재(115) 및 제2 끼움재(123)는 각각 서로 마주보는 면에 테잎 형태의 금속 전극이 삽입되도록, 역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 홈(116, 124)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 홈(116, 124)에 제1 금속전극(113) 및 제2 금속전극(121)의 종방향 양 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금속전극(113) 및 상기 제2 금속전극(121)의 설치가 용이하고 견고한 장착이 이루어져, 설치 후 상시 전원이 원활히 공급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창호 슬라이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배선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제시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창짝(110)은 상기 제1 금속전극(113)에 연결된 배선의 간섭 방지를 위한 프레임 중공층(117)이 구비된다.
상기 제1 금속전극(113)에 연결된 전선은 창짝(110) 프레임에 형성된 배선용 홈(114)을 통해 스마트 유리(111)에 연결되는데, 상기 프레임 중공층(117)은 상기 제1 금속전극(113) 및 상기 배선용 홈(114)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어 배선의 자유도를 높여, 창틀 수용부(112)의 충분한 깊이를 유지하면서도 배선과 보강철물 등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배선의 내구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발명의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미서기 창호 구조 110 : 창짝
111 : 스마트 유리 112 : 창틀 수용부
113 : 제1 금속전극 114 : 창짝의 배선용 홈
115 : 제1 끼움재 116 : 제1 끼움재의 고정 홈
117 : 프레임 중공층 120 : 창틀
121 : 제2 금속전극 122 : 창틀의 배선용 홈
123 : 제2 끼움재 124 : 제2 끼움재의 고정 홈
125 : 레일

Claims (3)

  1. 전원 공급을 통해 구동되는 스마트 유리가 구비되고 창틀 수용부가 형성된 창짝; 및 상기 창틀 수용부에 삽입되고,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창짝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창틀;을 포함하는 스마트 유리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틀 수용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금속전극과, 상기 창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금속전극에 접촉되도록 제2 금속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금속전극과 상기 제2 금속전극은 각각 단면이 'ㄷ'자인 테잎 형태의 탄성 재질로서 상기 창짝의 수평 이동에 따른 상기 창틀과의 교차 시 상기 제1 금속전극과 상기 제2 금속전극이 서로 누르면서 접촉되어, 상기 창호의 개방 또는 폐쇄와 관계 없이 상기 창호에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 및 상기 창틀은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끼움재 및 제2 끼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1 금속전극 및 상기 제2 금속전극의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제1 끼움재 및 제2 끼움재에 형성된 고정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은 상기 제1 금속전극에 연결된 배선의 간섭 방지를 위한 프레임 중공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
KR1020240026713A 2020-08-03 2024-02-23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 KR20240027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6713A KR20240027672A (ko) 2020-08-03 2024-02-23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050A KR20220016733A (ko) 2020-08-03 2020-08-03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
KR1020240026713A KR20240027672A (ko) 2020-08-03 2024-02-23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050A Division KR20220016733A (ko) 2020-08-03 2020-08-03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672A true KR20240027672A (ko) 2024-03-04

Family

ID=802537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050A KR20220016733A (ko) 2020-08-03 2020-08-03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
KR1020240026713A KR20240027672A (ko) 2020-08-03 2024-02-23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050A KR20220016733A (ko) 2020-08-03 2020-08-03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167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412B1 (ko) 2022-07-27 2023-04-27 주식회사 윈플랜 내진성이 향상된 미서기창이 설치되는 스마트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733A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27672A (ko) 스마트 유리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 일체형 미서기 창호 구조
US10843538B2 (en) Vehicle-door assembly with insertion regions on frame-side guide elements and mounting method
US9623739B2 (en) Construction for securing a trim strip
US8701349B2 (en) Guide arrangement for a movable window pane, in particular of a motor vehicle
US9963088B2 (en) Construction for securing trim strip to automotive door
US8595981B2 (en) Sliding window assembly
US8973307B2 (en) Door weather strip having upper extrusion molded part, molded part, and lower extrusion molded part
US9969250B2 (en) Sealing member of door for car
JP2007177421A (ja) ウインドウガラスの昇降装置
CN108928223B (zh) 汽车玻璃导槽的安装结构
US20220169096A1 (en) Vehicle window glass, vehicle window glass assembly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20220066583A (ko) 차량의 도어글래스용 전력 공급 장치
JP4800176B2 (ja) パーティションサッシュ上端部におけるシール部材の位置決め構造
JP2007176322A (ja) 車両ドア用感圧センサ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JP2007320484A (ja) ドアサッシュのモール取付構造
JP7036673B2 (ja) 車両用ドアのシール構造
JP4307401B2 (ja) 車両用開閉ドアの窓組立体とそのガスケット
JP2016117343A (ja) 車両のドア開口部構造
KR20050005332A (ko) 로어 웨더스트립
JP2019172134A (ja) 車両のドアフレーム構造
KR0121398Y1 (ko) 창문용 밀봉장치
JP2006150993A (ja) 自動車用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2008247196A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JP2007253724A (ja) ランチャンネル
KR100494728B1 (ko) 차량의 웨더스트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