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346A -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346A
KR20240026346A KR1020220103472A KR20220103472A KR20240026346A KR 20240026346 A KR20240026346 A KR 20240026346A KR 1020220103472 A KR1020220103472 A KR 1020220103472A KR 20220103472 A KR20220103472 A KR 20220103472A KR 20240026346 A KR20240026346 A KR 20240026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coccus lactis
bifidobacterium bifidum
kccm13223p
kccm13222p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동화약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화약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화약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3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6346A/ko
Priority to PCT/KR2023/012291 priority patent/WO2024039229A1/ko
Publication of KR20240026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34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5Bifido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46Streptococcus ; Enterococcus; Lactococc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i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유산균인 락토코커스 락티스 (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Bifidobacterium bifidum) P45(KCCM13223P 또는 이의 혼합물과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균주 및 이의 혼합물은 질염, 골다공증, 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New lactic acid bacteria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유산균인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 또는 이의 혼합물과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정상적인 조건 하에서 여성의 질은 질 내부의 많은 유산균으로 인해 약산성의 환경이며, 이는 병원성 미생물의 침범이나 곰팡이가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질 내의 약산성의 환경은 외부적인 요인, 예를 들면, 과도한 질 세정, 항생제 또는 피임약의 장기투여, 임신, 출산, 폐경 등으로 인한 호르몬 균형의 파괴로 인해 질 내의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유익균인 유산균의 양에 변화가 발생할 경우 깨질 수 있으며, 이는 분비물, 가려움증, 통증을 유발하는 질염 발생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질염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많이 연구되어왔다. 근래에는 질의 세균 감염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과 같은 질염 치료제를 경구 투여하거나 크림 형태로 투여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메트로니다졸과 같은 광범위 스펙트럼의 항생제의 사용은 항생제 내성이라는 문제점을 내포할 뿐만 아니라, 유익한 유산균을 포함한 질 내의 광범위한 정상 세균총을 사멸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항생제의 장기간 사용은 질을 통한 항생제의 흡수로 인하여 전신적 독성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질 감염을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는 부작용이 문제되지 아니하는 안전한 질염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골다공증은 유전적 요인이나 식이, 생활 방식과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복합적인 질병으로,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기에 이르면 호르몬의 변화에 의해 골 감소가 급격히 진행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골다공증 치료제는 비타민 D, 여성호르몬제, 비스포스포네이트제제,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칼시토닌 제제 등이 있는데 대부분 파골세포의 활성을 감소시켜 골 흡수를 조절함으로써 뼈의 소실을 막아주는 방식에 의하고 있다. 그러나 파골세포의 활성억제를 통한 골다공증 치료법들은 근본적으로 골다공증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법이 아니기 때문에 완치에 한계가 있으며 실질적인 골밀도 증가 및 골 강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조골세포 활성의 증가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골다공증 치료제는 대부분 에스트로겐 계통의 물질로서, 이들은 장기 투여할 경우 암, 담석, 혈전증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골다공증은 약물의 단기 투여만으로는 치료할 수 없고 약물의 장기 투여가 필수적인 질환이므로, 약물을 장기 투여할 때에도 상기와 같은 부작용이 없고 에스트로겐을 대체할 수 있을 만큼 우수한 약효를 갖는 새로운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른 한편, 감염질환, 호르몬 불균형(갱년기)질환 등은 우울증, 불안장애와 같은 질환을 동반할 수 있다. 이러한 정신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우울제 등의 약물은 심혈관계 질환 및 자살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사용이 제한적이며, 이러한 정신 질환은 약물의 단기 투여만으로는 치료할 수 없어 장기 투여가 필수적인 질환이므로, 약물을 장기 투여할 때에 부작용이 없는 우수한 약효를 갖는 새로운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4302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KCCM13222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KCCM13223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는 건강한 인간의 분변으로부터 분리 및 동정된 신규한 유산균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의 동정 및 분류를 위한 16S rDNA 염기서열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서열번호 1과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는 서열번호 1의 16S rDN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1의 16S rDNA 염기서열의 분석 결과, 공지된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균주들과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락티스와 가장 높은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보였다(도 1). 따라서 유산균을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로 동정하고,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로 명명하였으며,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22. 08. 03. 자로 기탁하였다(KCCM13222P).
본 발명의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는 그람양성 구균이다. 보다 구체적인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의 생리학적 특성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방법에 따라 분석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는 D-리보오스, D-자일로오스, D-갈락토오스, D-글루코오스, D-프럭토오스, D-만노오스, 만니톨, N-아세틸-글루코사민, 아미그달린, 알부틴, 에스큘린, 살리신, 셀로비오스, 말토오스,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트레할로오스, 전분(Starch), 겐티오비오스를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는 건강한 인간의 분변으로부터 분리 및 동정된 신규한 유산균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의 동정 및 분류를 위한 16S rDNA 염기서열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서열번호 2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는 서열번호 2의 16S rDN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2의 16S rDNA 염기서열의 분석 결과, 공지된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균주들과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어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과 가장 높은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보였다(도 3). 따라서 유산균을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으로 동정하고,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로 명명하였으며,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22. 08. 03. 자로 기탁하였다(KCCM13223P).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는 그람양성 간균이다. 보다 구체적인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의 생리학적 특성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방법에 따라 분석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는 D-글루코오스, D-락토오스, D-사카로즈, D-말토오스, L-아라비노스, 젤라틴, 에스쿨린 구연산철, D-셀로비오스, D-만노오스, D-라피노오스를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 또는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및/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가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 및/또는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는 바(표 6), 항균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또는 포도상구균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염증성 질환”은 염증을 주병변으로 하는 질병을 총칭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은 관절염, 통풍, 간염, 비만, 각막염, 위염, 장염, 신장염, 대장염, 당뇨, 결핵, 기관지염, 흉막염, 복막염, 척추염, 췌장염, 염증 통증, 요도염, 방광염, 질염, 동맥경화증, 패혈증 및 치주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질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질염은 여성의 질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크게 3가지 주요 원인으로 나뉘는데, 세균성 질염(Bacterial vaginosis, BV), 칸디다증(Candida vaginitis, CV), 트리코모나스 질염(Trichomonas vaginalis)이다. 이 중에서 세균성 질염은 최근 가장 흔한 질염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세균성 질염 환자로부터 분리한 질 분비물에서는 아토포비움 바지나에(Atopobium vaginae),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 프레보텔라 비비아(Prevotella bivia) 등이 발견된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특히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는 질염의 주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신규 유산균은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에 대해 유효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바, 질염 치료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및/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는 바(표 6), 이를 이용하여 염증성 질환에 대한 치료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골다공증”은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의 평형이 무너져 골 흡수가 골 형성보다 항진됨으로서 유발되는 질병으로, 골 조직의 석회가 감소되어 뼈의 치밀질이 엷어지고 그로 인해 골수강이 넓어지게 되며, 증세가 진전됨에 따라 뼈가 약해지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골절되기 쉽다. 골다공증의 원인으로는 노령, 운동 부족, 저체중, 흡연, 저칼슘 식이, 폐경, 난소 절제 등이 알려져 있는데, 특히 여성의 경우 30세 이후부터 골 감소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며, 폐경기에 이르면 호르몬의 변화에 의해 골 감소가 급격히 진행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및/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가 골다공증 지표 개선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9 및 표 10).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우울장애”는 의욕 저하와 우울감을 주요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으로, 주요 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지속성 우울장애(Persistent Depressive Disorder, 기분저하장애(Dysthymia), 파괴적 기분조절 곤란장애(Disruptive Mood Dysregulation Disorder), 월경전 불쾌장애(Premenstrul Dysphoric Disorder), 물질 또는 약물로 유발된 우울장애(Substance/Medication-Induced Depressive Disorder), 기타 의학적 상태와 관련된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 ude to Another Merical Condition), 달리 분류되지 않는 우울장애(Other Specified Depressive Disorder) 및 기타 우울장애(Unspecified Depressive Disorder)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불안장애”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상적, 병적인 불안과 공포로 인하여 일상 생활에 장애를 일으키는 정신 질환으로, 범불안장애(gerneralized anxiety disorder), 특정공포증(specific phobia), 광장공포증(agoraphobia), 사회불안장애(social anxiety disorder), 공황장애(panic disorder), 분리불안장애(separation anxiety) 및 선택적 무언증(selective mutism)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는 염증성 질환 또는 여성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하여 생길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기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및/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가 염증 유발 및/또는 난소 적출(ovariectomy)로 여성 호르몬 불균형을 유발한 마우스 모델에서, 우울 및 불안 행동을 현저히 개선시키는 것을 행동 실험 및 BDNF, Claudin -5 수치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표 8 내지 표 10).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서의 상기 혼합물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KCCM13222P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KCCM13223P가 1:1 내지 4:1 의 집락형성단위(CFU, Colony Forming Unit) 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질염 및/또는 골다공증 질환 모델 마우스에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혼합물을 처리하여 또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표 8 내지 표 10).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KCCM13222P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KCCM13223P는 각각 이의 생균체, 이의 사균체,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일 수 있으나,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균체”는 본 발명의 신규한 유산균 그 자체를 의미하고, “사균체”는 가열, 가압 또는 약물처리 등으로 살균 처리된 유산균을 의미하며, “파쇄물”은 유산균을 효소 처리, 균질화 또는 초음파 처리 등으로 파괴된 유산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유산균을 공지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산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배양물” 또는 “배양액”은 유산균을 공지의 배지에서 배양시켜 수득한 산물을 의미하며, 상기 산물은 신규한 유산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지는 공지의 액체 배지 또는 고체 배지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MRS 액체 배지, GAM 액체 배지, MRS 한천 배지, GAM 한천 배지, BL 한천 배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약학적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신규한 유산균의 활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균주 또는 상기 균주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골다공증, 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염증성 질환”, “골다공증”, “우울장애” 및 “불안장애”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질염일 수 있다.
상기 대상체는 동물을 말하며,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유산균을 이용한 치료로 유익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포유동물일 수 있다. 이러한 대상체의 바람직한 예로 인간과 같은 영장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염증성 질환” 및 “골다공증”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질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는 염증성 질환 또는 여성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하여 생길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균주들의 혼합물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KCCM13222P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KCCM13223P가 1:1 내지 4:1 의 집락형성단위 (CFU,Colony Forming Unit) 비로 혼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유산균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은 소시지, 육류, 빵, 초콜릿류, 스넥류, 캔디류, 과자류, 라면, 피자,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음료수로 제형화할 경우에 신규한 유산균 이외에 첨가되는 액체 성분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예,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예,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등의 당 알코올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산균은 이의 생균체, 이의 사균체,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일 수 있으나, 염증 질환 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유산균의 형태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생균체”, “사균체”, “배양물”, “파쇄물” 및 추출물”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품은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 식품은 식품의 생체 조절 기능을 강조한 식품으로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특정 목적에 작용 및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이다. 이러한 건강기능 식품의 성분은 생체 방어와 신체 리듬의 조절, 질환의 방지 및 회복에 관계하는 신체 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하게 되며, 식품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 감미료 또는 기능성 원료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를 건강기능식품(또는 건강기능 음료 첨가물)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신규한 유산균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및/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개선,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질염, 골다공증, 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의 공지된 락토코커스 락티스 균주와 16S rDNA의 상동성을 확인한 것이다.
도 2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의 계통분류학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의 공지된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균주와 16S rDNA의 상동성을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 의 계통분류학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실험예 6 내지 8에 따른 본 발명 유산균의 질염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산균 분리 및 동정
1-1. 사람 분변으로부터 유산균의 분리
건강한 사람 분변을 GAM 액체 배지(GAM broth; Nissui Pharmaceutical, Japan)에 넣고 현탁하였다. 이후, 상등액을 취해 GAM 한천 배지(GAM agar medium; Nissui Pharmaceutical, Japan), MRS 한천 배지(BD, USA) 또는 BL 한천 배지(BL agar medium; Nissui Pharmaceutical, Japan)에 이식하고 37℃에서 약 48시간 동안 혐기적으로 배양한 후, 콜로니(colony)를 형성한 균주들을 분리하였다.
1-2. 분리된 유산균의 동정
사람 분변으로부터 분리한 균주들을 그람 염색, 생리학적 특성 및 16S rDNA 유전자 서열 등을 분석하여 균주를 동정하고, 균주명을 부여하였다. 부여된 유산균의 균주명은 하기 표 1과 같다.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6종(표 1의 번호 1 내지 6),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5종(표 1의 번호 6 내지 10),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2종(표 1의 번호 11 및 12),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3종(표 1의 번호 13 내지 15),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5종(표 1의 번호 16 내지 20),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3종(표 1의 번호 21 내지 23),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3종(표 1의 번호 24 내지 26)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4종(표 1의 번호 27 내지 30) 이었다.
1-3. 신규 유산균 락토코커스 락티스( Lactococcus lactis ) P32의 생리학적 특성
상기 표 1에 기재된 균주들 중 락토코커스 락티스 (Lactococcus lactis) P32는 그람양성 구균이며, 혈액배지에서 용혈성은 보이지 않았다.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의 16S rDNA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6s rDNA 염기서열을 BLAST 검색으로 비교한 결과, 동일한 16S rDNA 염기서열을 갖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균주는 검색되지 않았고, 공지된 락토코커스 락티스 균주의 16S rDNA 서열과 99% 상동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의 생리학적 특성 중 탄소원 이용성을 API 50 CHL 키트(BioMerieux's, USA)를 사용하여 당 발효 시험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하기 표 2에서 “+”는 탄소원 이용성이 양성인 경우를 나타내고, “-“는 탄소원 이용성이 음성인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신규한 균주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는 공인기탁기관인 한국미생물보존센터(주소: 대한민국 서울 서대문구 홍제내 2가길 45 유림빌딩)에 특허기탁하여 KCCM13222P의 수탁번호를 부여받았다.
1-4. 신규 유산균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Bifidobacterium bifidum ) P45의 생리학적 특성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P45는 그람양성 간균이며, 혈액배지에서 용혈성은 보이지 않았다.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의 16S rDNA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6s rDNA 염기서열은 BLAST 검색으로 비교한 결과, 동일한 16S rDNA 염기서열을 갖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균주는 검색되지 않았으며, 공지된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균주의 16S rDNA 서열과 99% 상동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의 생리학적 특성 중 탄소원 이용성을 API 20 CHL 키트(BioMerieux's, USA)를 사용하여 당 발효 시험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및 기타 생리학적 특성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하기 표 3에서 “+”는 반응이 양성인 경우를 나타내고, “-“는 반응이 음성인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신규한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는 공인기탁기관인 한국미생물보존센터(주소: 대한민국 서울 서대문구 홍제내 2가길 45 유림빌딩)에 특허기탁하여 KCCM13223P의 수탁번호를 부여받았다.
실험예 1.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확인
항생제에 대한 MIC(최소저해농도)는 항생제 함유 BHI(Brain Heart Infusion) 배지(BD Biosciences Korea, 서울, 한국) 2ml에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를 2X105CFU/ml로 이식하고, 혐기적으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판단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 AM, 암피실린(ampicillin); VM, 반코마이신(vancomycin); GM, 겐타마이신(gentamicin); KM, 카나마이신(kanamycin); SM,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EM,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ClM,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 TC,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CM,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실험예 2. 질염 원인균에 대한 본 발명 유산균의 항균 효과 확인
BHI(Brain Heart Infusion) 배지(BD Biosciences Korea, 서울, 한국)에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BD) 1%, 말토오스(maltose) 0.1%, 글루코스(glucose) 0.1% 및 말 혈청(horse serum) 10%를 첨가한 BHIS 배지를 준비하였다. BHIS 배지에 분리한 유산균(1X106CFU/ml)와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 또는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1X106CFU/ml)를 이식하고, 37℃, 혐기적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집균하여 Qaigen DNA purification kit(Qaigen, Germany)로 박테리아 DNA를 추출하고, qPCR로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와 포도상구균 균주를 정량하였다.
구체적으로, qPCR은 추출한 DNA(100 ng), 사이버 프리믹스(Syber premix, 다카라 바이오, 일본), 프라이머(Primer)를 넣고, 서머 사이클러(Thermal cyclier, 퀴아젠, 일본)에서 수행했다. 하기 표 5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였으며, 95℃ 30초동안 처리하고, 95℃ 5초, 72℃ 30초로 40 싸이클(cycle)동안 수행하였다. 항균 효과 측정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본 발명 유산균의 염증 억제 효능 확인
C57BL/6 마우스(수컷, 6주령 19-22 g)를 한 군 당 10 마리씩 이용하였다. 마우스의 복강에 멸균된 4% 티오글리콜산(thioglycolate) 2 ㎖를 투여하고, 4일 후에 마취시켜, 마우스의 복강에 RPMI 1640 배지 8 ㎖를 투여하였다. 5~10분 후에 마우스 복강 내의 RPMI 배지(대식세포를 포함)를 다시 뽑아낸 뒤, 1,000 rpm의 조건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다시 RPMI 1640 배지로 2회 세척하였다. 대식세포를 각 웰(well)당 0.5×106의 수로 24-웰(well) 플레이트에 깔고, 유산균과 염증 반응 유도 물질인 열처리한 불활성화 G. vaginalis(1X105CFU/ml)를 넣고, 24시간 동안 CO2/air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상등액을 얻어 TNF-α, IL-1βIL-10 사이토카인 발현량을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eBioscience, San Diego, CA, U.S.A.)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등액 0.05 ㎖를 TNF-α, IL-1βIL-10 각 항체가 코팅된 96 웰 플레이트에 넣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포스페이트 버퍼 살린-트윈(phosphate buffered saline-Tween, PBS-Tween)으로 세척하고, 발색제를 넣고 20분 동안 발색시켜 4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그리고, 웰 플레이트에 부착한 세포의 양은 MTT 법으로 생존세포량을 측정하였다. 유산균의 염증 억제 효능 시험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4. Caco2 세포의 claudin-1 단백질 발현 효과
Caco2 세포를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분양받아 RPMI 1640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Caco2 세포를 웰 당 2X106 세포수로 분주하였다. 이 후, 각 웰에 분리된 유산균(1X104CFU/ml)를 넣고, 이와 함께 G. vaginalis(1X105CFU/ml) 20ng/ml를 넣어 CO2/air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후, 세포를 모으고, RIPA 버퍼를 넣고, 세포를 용해시킨 뒤, 원심분리(10,000g, 10min)하였다. 상등액을 분리하여, claudin-1 단백질양을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eBioscience, San Diego, CA, U.S.A.)로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3의 방법을 참고한다. 각 유산균 별 claudin-1 의 발현량은 하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다.
1) 저해율: -, <5% 저해; +, 5-20% 저해; ++, 21-40%저해; +++, 41-60% 저해; ++++, 61-80% 저해; +++++, 81-100% 저해. 저해율(%)=100 x ([G. vaginalis 또는 S. aureus만을 처리한 군 - 유산균과 G. vaginalis 또는 S. aureus을 처리한군] / [G. vaginalis 또는 S. aureus만을 처리한 군 - vehicle만 처리한 군])
2) 상승율: -, <5% 상승; +, 5-20% 상승; ++, 21-40% 상승; +++, 41-60% 상승; ++++, 61-80% 상승; +++++, 81-100% 상승. 유도/상승(%)=100 x ([유산균과 G. vaginalis을 처리한군 - G. vaginalis 만을 처리한 군] / [vehicle만 처리한군 - G. vaginalis만을 처리한 군])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리된 유산균 중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또는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염증 반응을 유도한 마우스에서 항염증성 사이토카인(IL-10) 대비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1β)의 수치를 감소시켰다. 이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가 항균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유산균임을 시사한다.
실험예 5. 질염 개선 유산균의 선별
5-1. 질염 모델 마우스 제작 및 유산균 투여
C57BL/6 마우스(암컷, 18-21 g, 6주령)를 일주일간 연구실에서 적응시킨 뒤 한 군 당 5마리씩 7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마우스에 β17-benzoate(Sigma 사, MO, 미국) 0.125 mg을 올리브 오일에 녹여 피하주사하고, 72시간 후에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1x108CFU/mouse/20 μL)를 질안으로 감염시켰다. 감염 후 8일째부터 14일간 매일 1회씩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P4,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11,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P51 1x109 CFU/mouse를 경구 투여하였다. 유산균을 14일간 투여하고, 24시간 후 2일간 행동실험을 하였다. 마우스를 익일에 희생시켜 혈액을 분리하고, 질을 세척하여 질세척액을 확보하였다. 이어서, 질, 대장, 뇌 조직을 분리하였다.
5-2. 질염 발생 확인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균주의 정량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를 감염시킨 질과 자궁에 부종을 동반한 염증이 발생정도를 외관상으로 확인하였다. 마우스에서 확보한 세척액을 Qaigen DNA purification kit(Qaigen, Germany)로 DNA를 분리하고, PCR로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를 정량하였다. PCR은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5-3. 질, 대장, 해마의 사이토카인 분석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질, 대장, 해마에 RIPA lysis buffer를 넣어 균질화(homogenize)하여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얻어 ELISA kit를 사용하여 TNF-α, IL-1βIL-6, IL-10, BDNF 및 코르티코스테론(Corticosterone) 양을 측정하였다. 단백질 양은 Bradford assay로 측정하였다. 또한, 혈액에서 corticosterone, IL-6 양도 ELISA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방법은 실험예 3의 방법을 참고한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5-4. 행동실험
5-4-1. 고가플러스미로(elevated plus maze, EPM) 시험
고가플러스미로 실험장치는 두 개의 개방 통로(Open arm, 30 x 7 cm)와 20cm 높이의 벽을 가진 두 개의 폐쇄 통로(Enclosed arm, 30 x 7 cm)가 각각 중앙 플랫폼으로부터 7cm 씩(7 x 7cm) 뻗어 있는 장치이다. 검정색 플렉시 유리로 만들어 졌으며 바닥보다 50cm 높이 올린 벽으로 되어있다. 20 lux의 밝기에 비디오 카메라가 위에 설치되어 있는 방에서 고가플러스미로에 놓인 마우스의 움직임을 기록하였다.
마우스를 고가플러스미로(EPM)의 정중앙에 머리가 오도록 개방 통로를 향하게 하여 놓고, 5분 동안 개방 통로와 폐쇄 통로에서 보낸 시간과 횟수를 측정하였다. 통로의 진입(Arm entry)은 네 개의 발이 모두 들어간 것으로 하였다. 전체 실험 시간 중 개방 통로에서 보낸 시간(Time spent in open arms)은 (Open arm에서 보낸 시간)/(Open arm에서 보낸 시간+Enclosed arm에서 보낸 시간)x100) 으로, 각 마우스마다 계산하였다. 매행동실험 종료 후에는 70% 에탄올로 남아있는 냄새를 제거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5-4-2. 꼬리 매달기 실험(Tail Suspension Test, TST)
직경 35 cm, 높이 50 cm인 통의 중앙에 마우스 꼬리 끝 1 cm를 고정 장치로 매달았다. 총 6분 동안 마우스의 부동상태(immobility) 시간을 측정하였다. 부동상태는 움직이지 않고, 최소한의 행동만 하는 상태를 말한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5-4-3. 강제수영 실험(Forced Swimming Test, FST)
높이 40cm, 직경 20cm의 원통형 수조에 온도 25 ±1°C의 물을 30 cm 높이까지 채웠다. 마우스를 한 마리씩 수조에 넣었다. 총 6분 중 최초 2분은 적응시간으로 측정하지 않고, 마지막 4분 동안의 실험동물 부동상태(immobility) 시간을 측정하였다. 부동상태는 머리만을 물 위로 드러내기 위한 최소한의 움직임만 하면서 똑바로 서서 움직이지 않고 떠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1) 저해율: -, <5% 저해; +, 5-20% 저해; ++, 21-40%저해; +++, 41-60% 저해; ++++, 61-80% 저해; +++++, 81-100% 저해. 저해율(%)=100 x ([G. vaginalis 또는 S. aureus만을 처리한 군 - 유산균과 G. vaginalis 또는 S. aureus을 처리한군] / [G. vaginalis 또는 S. aureus만을 처리한 군 - vehicle만 처리한 군])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리된 유산균 중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는 질에서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의 성장 저해 효과가 우수하며, 질, 혈액, 대장, 해마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치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또한, 상기 유산군 투여군에서 고가플러스미로시험의 개방통로에서 보내는 시간과 빈도가 증가하고, 강제수영실험 및 꼬리 매달기 실험에서 부동상태의 시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가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우울장애, 불안장애 등의 개선에 효과적인 균주임을 시사한다.
실험예 6. 질염 유발 마우스에서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및 혼합 균주의 질염 개선 효과 확인
6-1 질염 유발 마우스 제작 및 유산균 투여
C57BL/6 마우스(암컷, 18-21 g, 6주령)를 한 군 당 5마리씩 5군으로 나누어 1주일간 실험실에 적응시켰다. 마우스에 β17-benzoate(Sigma 사, MO, 미국) 0.125 mg을 올리브 오일에 녹여 피하주사하고, 72시간 후에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 (1x 108 CFU/mouse/20 μL)를 질안으로 7일간 매일 1회씩 감염시켰다. 음성대조군(NC)에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의 현탁에 사용한 생리식염수만를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GV)에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를 감염시킨 후 유산균을 투여하지 않았다.
실험군은 감염 후 8일째부터 14일간 매일 1회씩 분리된 유산균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및 혼합 균주(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4:1) 1x109 CFU/마우스를 경구 투여하였다.
유산균을 14일간 투여하고, 24시간 후 2일간 행동실험을 하였다. 익일에 마우스를 희생시켜 혈액을 분리하고, 질을 세척하여 질세척액을 확보하였다. 이어서, 혈액, 질, 대장, 해마를 분리하였다.
6-2. 질염 개선 효과 확인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균주의 정량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질에서 염증 발생 및 유산균 투여에 따른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질에서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균주를 정량하였다. 실험예 5와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하기 도 5 및 표 8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5 및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를 감염시킨 양성대조군(GV)에서 염증이 발생하였으며, 본 발명의 유산균을 투여한 경우 염증이 개선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을 투여한 경우 질에서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균주가 감소하였다. 이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및 이의 혼합 균주가 염증 예방 또는 개선,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균주임을 시사한다.
6-3. 질, 대장, 혈액, 해마의 사이토카인의 분석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질, 대장, 해마를 RIPA lysis buffer를 넣어 균질화(homogenize)하여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얻어 사이토카인 등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질 상등액에서 TNF-α, IL-1βIL-6, IL-10 발현량을, 대장 상등액에서 TNF-α, IL-1βIL-6, IL-10 발현량을, 해마 상등액에서 TNF-α, IL-1βIL-6, IL-10, BDNF 발현량을 ELISA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액의 corticosterone, IL-6 양도 ELISA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방법은 실험예 3의 방법을 참고한다.
또한, 질과 대장 상등액에서 claudin-1를, 해마 상등액에서 claudin-5 발현량을 면역블롯팅(immmunoblotting)으로 측정하였고, 단백질양은 Bradford assay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등액 50 ㎍을 취해 SDS 10%(w/v)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polyacrylamide gel)에서 1시간 30분동안 전기영동을 하였다. 전기영동한 샘플을 니트로셀룰로스지에 100 V, 400 ㎃의 조건에서 1시간 10분간 트랜스퍼(transfer) 하였다. 샘플이 트랜스퍼된 니트로셀룰로스지를 5% 탈지분유(stim milk)로 30분간 블록킹(blocking)한 후, 5분씩 3회에 걸쳐 포스페이트 버퍼 살린-트윈으로 세척하고, claudi-1 또는 claudin-5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 미국)을 1 : 100의 비율로 추가하여 하룻밤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10분씩 3회에 걸쳐 세척하고, 2차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 미국)을 1 : 1000의 비율로 추가하여 1시간 2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15분씩 3회에 걸쳐 세척하고, 형광발색 시킨 후 현상하고, 발색밴드의 강도(Intensity)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6-4. 행동실험
상기 실험예 5와 동일하게 고가플러스미로 시험(EPM), 꼬리 매달기 실험(TST) 및 강제수영 실험(FST)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1) 상승율은 vehicle만 처리한 음성대조군(NC)군을 1로 하여 상대적으로 계산하였음.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또는 이의 혼합 균주는 질, 대장, 혈액, 해마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치를 감소시키고,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치를 증가시켰다.
또한, 상기 유산균 및 이의 혼합 균주 투여시 고가플러스미로시험의 개방통로에서 보내는 시간과 빈도가 증가하고, 강제수영실험 및 꼬리 매달기 실험에서 부동상태의 시간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해마에서 BDNF, Claudin-5 수치가 상승하였다.
이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및 이의 혼합 균주가 질염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염증성 질환으로 인한 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 등의 개선에 효과적인 균주임을 시사한다.
실험예 7. 골다공증 유발 마우스에서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혼합 균주의 골다공증 개선 효과 확인
7-1. 골다공증 마우스 제작 및 유산균 투여
C57BL/6 마우스(암컷, 18-21 g, 6주령)를 한 군 당 7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1주일간 실험실에 적응시켰다. 이소플루란(isoflurane)으로 마취 후 난소를 제거(ovariectomy)하여 골다공증을 유도하였다.
음성대조군(NC)은 난소를 제거하지 않았으며, 양성대조군(OV)은 난소를 제거 한 후 유산균을 투여하지 않았다.
실험군은 4주간(28일간) 매일 1회씩 1x109 CFU/mouse의 분리 유산균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의 혼합 균주(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4:1)를 경구 투여하였다. 마지막 유산균을 투여하고, 24시간 후부터 2일간 행동실험을 하고, 익일에 희생시켜 혈액을 분리하였다. 이어서, 질, 뇌, 대퇴골을 분리하였다.
7-2. 질염 발생 및 개선 효과 확인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질에서 염증 발생 및 유산균 투여에 따른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5와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도 6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난소를 제거한 마우스에서 염증이 발생하였으며, 본 발명의 유산균을 투여한 경우 염증이 개선되었다. 이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의 혼합 균주가 염증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인 균주임을 시사한다.
7-3. 질, 대장, 혈액, 해마의 사이토카인 분석 및 뼈의 무게 측정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질, 대장, 해마에 RIPA lysis buffer를 넣어 균질화(homogenize)하여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얻어 사이토카인 등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질 상등액에서 TNF-α, IL-6 발현량를, 해마 상등액에서 TNF-α, IL-1βBDNF 발현량을 ELISA kit로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방법은 실험예 3의 방법을 참고한다. 혈액의 코르티코스테론(corticosterone) 및 IL-6는 ELISA kit로,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은 R&D system ELISA Kit(Minneapolis, MN, USA)로 측정하였다. 칼슘(Ca)은 ASAN Ca-Lq Reagents(아산제약)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대퇴골(femur)의 뼈 무게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7-4. 행동실험
실험예 5와 동일하게 고가플러스미로 시험(EPM), 꼬리 매달기 실험(TST) 및 강제수영 실험(FST)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산균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의 혼합 균주를 투여한 경우 유산균을 투여하지 않은 양성대조군 대비 혈액 내 칼슘 및 오스테오칼신의 수치가 상승하였으며 뼈의 중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상기 유산균의 혼합 균주 투여시 고가플러스미로시험의 개방통로에서 보내는 시간과 빈도가 증가하고, 강제수영실험 및 꼬리 매달기 실험에서 부동상태의 시간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해마에서 BDNF의 수치가 상승하였다.
이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및 이의 혼합 균주가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고, 여성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우울장애 및 불안장애 등의 개선에 효과적인 균주임을 시사한다.
실험예 8. 질염 및 골다공증 동반 유발 마우스에서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및 혼합 균주의 질염 및 골다공증 개선 효과 확인
8-1. 질염 및 골다공증 마우스 제작 및 유산균 투여
C57BL/6 마우스(암컷, 21-23g, 6주령) 7마리를 1주간 실험실에 적응시켰다. 마우스를 이소플루란(isoflurane)으로 마취 후 난소를 제거하여 골다공증을 유도하고, 익일에 마우스에 β17-benzoate(Sigma 사, MO, 미국) 0.125 mg을 올리브 오일에 녹여 피하주사하고, 72시간 후에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 (1x 108 CFU/mouse/20 μL)를 질안으로 7일간 매일 1회씩 감염시켰다.
음성대조군(NC)에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의 현탁에 사용한 생리식염수만를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GV/OV)에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를 감염시킨 후 유산균을 투여하지 않았다.
실험군은 감염 후 8일째부터 4주간(28일간) 매일 1회씩 1x109 CFU/mouse의 분리 유산균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및 혼합 균주(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4:1)를 경구 투여하였다. 마지막 유산균을 투여하고, 24시간 후부터 2일간 행동실험을 하였다. 익일에 희생시켜 혈액을 분리하고, 질을 세척하여 질세척액을 확보하였다. 이어서, 혈액, 질, 대장, 뇌를 분리하였다.
8-2. 질염 개선 효과 확인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균주의 정량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질에서 염증 발생 및 유산균 투여에 따른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질에서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균주를 정량하였다. 실험예 5와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하기 도 7 및 표 10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7 및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를 감염시키고 난소를 제거한 양성대조군(GV/OV)에서 염증이 발생하였으며, 본 발명의 유산균을 투여한 경우 염증이 개선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을 투여한 경우 질에서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균주가 감소하였다. 이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및 이의 혼합 균주가 염증 예방 또는 개선,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균주임을 시사한다.
8-3. 질, 대장, 혈액, 해마의 사이토카인 분석 및 뼈의 무게 측정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질, 대장, 해마에 RIPA lysis buffer를 넣어 균질화(homogenize)하여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얻어 사이토카인 등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질 상등액에서 TNF-α, IL-1βIL-6, IL-10 발현량를, 대장 상등액에서 TNF-α, IL-1βIL-6, IL-10 발현량을, 해마 상등액에서 TNF-α, IL-1βIL-6, IL-10, BDNF 발현량을 ELISA kit로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방법은 실험예 3의 방법을 참고한다.
또한, 질과 대장 상등액에서 claudin-1를, 해마 상등액에서 claudin-5 발현량은 면역블롯팅(immmunoblotting)으로 측정하였고, 단백질양은 Bradford assay로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방법은 실험예 6의 방법을 참고한다.
혈액의 코르티코스테론(corticosterone) 및 IL-6는 ELISA kit로,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은 R&D system ELISA Kit(Minneapolis, MN, USA)로 측정하였다. 칼슘(Ca)과 P(인)은 각각 ASAN Ca-Lq Reagents(아산제약)와 ASAN Pi-Lq Reagents(아산제약, Korea)로 측정하였다. 단백질양은 bradford assay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대퇴골(femur)의 뼈 무게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10에 나타내었다.
8-4. 행동실험
실험예 5와 동일하게 고가플러스미로 시험(EPM), 꼬리 매달기 실험(TST) 및 강제수영 실험(FST)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1) 상승율은 vehicle만 처리한 음성대조군(NC)을 1로 하여 상대적으로 계산하였음.
상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및 이의 혼합 균주는 질, 대장, 혈액, 해마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치를 감소시켰으며,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치를 증가시켰다. 또한, 혈액 내 칼슘, 인, 오스테오칼신의 수치가 상승하였으며 뼈의 중량이 증가하였다.
한편, 상기 유산균 및 혼합 균주 투여시 고가플러스미로시험의 개방통로에서 보내는 시간과 빈도가 증가하고, 강제수영실험 및 꼬리 매달기 실험에서 부동상태의 시간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해마에서 BDNF, Claudin-5 수치가 상승하였다.
이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및 이의 혼합 균주가 질염 및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고, 염증성 질환 또는 여성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우울장애, 불안장애 등의 개선에 효과적인 균주임을 시사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3222P 20220803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3223P 20220803

Claims (18)

  1.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는 서열번호 1의 16S rDNA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3.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는 서열번호 2의 16S rDNA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
  5.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6. 제5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 또는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질염인, 약학적 조성물.
  9.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는 염증성 질환 또는 여성 호르몬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KCCM13222P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KCCM13223P가 1:1 내지 4:1 의 집락형성단위 (CFU,Colony Forming Unit) 비로 혼합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KCCM13222P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KCCM13223P는 이의 생균체, 이의 사균체,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3.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질염인, 식품 조성물.
  15.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Lactococcus lactis P32) KCCM13222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Bifidobacterium bifidum P45) KCCM13223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는 염증성 질환 또는 여성 호르몬 불균형에 의해 생기는 것인, 식품 조성물.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KCCM13222P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KCCM13223P가 1:1 내지 4:1 의 집락형성단위 (CFU,Colony Forming Unit) 비로 혼합된 것인, 식품 조성물.
  18.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코커스 락티스 P32 KCCM13222P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P45 KCCM13223P는 이의 생균체, 이의 사균체,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인 것인, 식품 조성물.
KR1020220103472A 2022-08-18 2022-08-18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KR20240026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472A KR20240026346A (ko) 2022-08-18 2022-08-18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PCT/KR2023/012291 WO2024039229A1 (ko) 2022-08-18 2023-08-18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472A KR20240026346A (ko) 2022-08-18 2022-08-18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346A true KR20240026346A (ko) 2024-02-28

Family

ID=89941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472A KR20240026346A (ko) 2022-08-18 2022-08-18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6346A (ko)
WO (1) WO202403922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028A (ko) 2019-10-10 2021-04-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6804B2 (en) * 2016-03-14 2021-09-14 Holobiome, Inc. Modulation of the gut microbiome to treat mental disorders or disease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KR102076089B1 (ko) * 2018-10-02 2020-02-1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니신 z 생산능이 우수한 락토코커스 락티스 서브스페시스 락티스 ldtm 6804 신균주(kctc 13564bp)
KR20200067299A (ko) * 2018-12-03 2020-06-12 김상태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효과를 갖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62968B1 (ko) * 2019-11-25 2022-02-17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유산균 및 프리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65848A1 (ko) * 2020-09-23 2022-03-31 피비엘바이오랩 주식회사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028A (ko) 2019-10-10 2021-04-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9229A1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5922B2 (en) Lactic acid bacteria that co-aggregate with pathogenic bacteria
EP1005353B1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casei rhamnosus
KR102173547B1 (ko)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KR102622219B1 (ko)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JP2022071102A (ja) 新規な乳酸菌およびその用途
US11911422B2 (en) Bifidobacterium lactis BL-99 and application thereof
CN101163788A (zh) 皮肤治疗组合物
KR102139687B1 (ko) 가드네렐라 바기날리스 및 칸디다 알비칸스에 항균 효과를 갖는 질염 치료 또는 개선용 유산균 mg4288
CN112760247B (zh) 用于预防和/或治疗生殖道菌群紊乱和/或骨质流失引起的疾病的鼠李糖乳杆菌
KR102063757B1 (ko) 가드네렐라 바기날리스 및 칸디다 알비칸스에 항균 효과를 갖는 질염 치료 또는 개선용 유산균
TW201408773A (zh) 新穎之卷曲乳酸桿菌(lactobacillus crispatus)菌株
US20120183504A1 (en) Composition and use of probiotic strain gm-263 (adr-1) in treating renal fibrosis in diabetes
Farrokhi et al. Escherichia coli enhances the virulence factors of Candida albicans, the cause of vulvovaginal candidiasis, in a dual bacterial/fungal biofilm
Kern et al. Altered cytokine expression and barrier properties after in vitro infection of porcine epithelial cells with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and probiotic Enterococcus faecium
KR20130002545A (ko)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220211782A1 (en) Composition for treatment, alleviation or prophylaxis of acne
CN117881299A (zh) 包含三种乳酸杆菌属菌株的组合物及其用途
Shazadi et al. Evaluation of inhibitory and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vaginal microflora
CN113337440B (zh) 一株唾液乳杆菌mg-587及其应用
KR102207512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젠세니 swpm104
KR20240026346A (ko)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CN111135157B (zh) 一种包含3-苯乳酸的胚芽乳杆菌tci378的发酵培养液及益生质的组合用于改善菌相的用途
KR20120015644A (ko) 항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균주 및 이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활성 조성물
RU2785355C2 (ru) Новые молочнокислые бактерии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RU2782361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блегчени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костей или метабол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содержащая новый штамм lactobacillus sakei cvl-001 и ее культуральную сред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