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4661A -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24661A KR20240024661A KR1020220102925A KR20220102925A KR20240024661A KR 20240024661 A KR20240024661 A KR 20240024661A KR 1020220102925 A KR1020220102925 A KR 1020220102925A KR 20220102925 A KR20220102925 A KR 20220102925A KR 20240024661 A KR20240024661 A KR 202400246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fastening
- variable
- protective cover
- ring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5—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comprising a viscous mass, e.g. harden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배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접하도록 제2배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의해 결합되는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패킹, 상기 체결부에 의해 결합된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체결부에 의해 결합된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부근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보호장치,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두 배관의 연결부분을 보호할 수 있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두 배관의 연결부분을 보호할 수 있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두 배관의 연결부분을 보호할 수 있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일정 길이로 제작된 다수 개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각 배관의 단부에는 플랜지 등이 형성되어 고정볼트와 너트로 고정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배관의 연결부위는 견고함을 더하기 위해 용접을 하기도 한다.
종래 등록특허 10-1045662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일측 배관의 이음 단부에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플랜지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고, 타측 배관 역시 이음 단부에 플랜지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다.
플랜지를 상호 맞닿는 형태로 배치한 이후에, 볼트를 플랜지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하고, 너트로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배관이 상호 연결된다.
배관 내부를 흐르는 액체 또는 기체가 플랜지의 결합부분을 통해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되는 한 쌍의 플랜지 사이에는 합성수지, 우레탄, 고무 등으로 제조된 패킹이 부착된다.
이러한 플랜지를 사용하여 배관을 연결하는 경우에, 연결된 배관의 이음 단부에 플랜지를 각각 용접한 이후에, 맞닿는 양 플랜지의 결합공을 일치시키고,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므로, 플랜지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을 상호 맞추는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다.
또한 외부에서 충격이 전달될 경우, 직접적인 충돌이 발생됨에 따라, 플랜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특히, 지중에 설치된 경우, 충격에 취약함에 따라,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제1배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접하도록 제2배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의해 결합되는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패킹, 상기 체결부에 의해 결합된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체결부에 의해 결합된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부근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보호장치,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두 배관의 연결부분을 보호할 수 있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제1배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접하도록 제2배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의해 결합되는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패킹, 상기 체결부에 의해 결합된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체결부에 의해 결합된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부근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보호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플랜지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제2플랜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체결공,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되며, 제2플랜지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제1플랜지의 내부에 형성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체결공, 상기 제2체결공의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고, 제1체결공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링, 및 상기 체결링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체결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장치는, 상기 제1배관에 구비되는 제1보호커버, 상기 제1보호커버를 덮도록 상기 제1배관에 결합되는 제2배관에 구비되는 제2보호커버, 및 상기 제1보호커버와 제2보호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변 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가변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변체결부는, 상기 제1보호커버와 제2보호커버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된 가변홈, 상기 가변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변링, 상기 가변링이 가변홈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변고정블럭, 및 상기 가변링을 상기 제1보호커버와 제2보호커버 중 다른 하나와 체결시켜 동일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가변체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변홈은 상기 제1보호커버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변체결부는 상기 가변링을 상기 제2보호커버와 체결시킨다.
또한, 상기 가변홈은 상기 제2보호커버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변체결부는 상기 가변링을 상기 제1보호커버와 체결시킨다.
그리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결합된 제1배관 및 제2배관과의 사이에 완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탄성을 갖고, 상기 제1배관과 제2배관의 연결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에어백, 및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에어백이 가압될 경우, 확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확장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압력확장유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제1배관과 제2배관의 연결되는 부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에어백, 상기 제1에어백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에어백, 상기 제1에어백과 제2에어백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3에어백, 및 상기 제1에어백과 제2에어백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4에어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 보호에어백은, 해당 배관의 외주방향으로 복수의 구획부가 형성되어 복수 구간으로 구획되며, 각 구획부에는 입출밸브가 구비되어 압력이 가해진 구간의 고압기체가 인접한 다른 구간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각 구간에는 압력센서가 구비되고, 각 압력센서의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는 상기 보호부로 압력이 전달된 방향이나 부분을 실시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두 배관의 연결부분을 보호할 수 있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에 제2체결링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유동방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에 제2체결링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유동방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에 제2체결링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유동방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10)는 제1배관(1)와 제2배관(2)의 연결구조(10)를 살펴보면,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 결합수단(300), 패킹(400), 고정부재(500), 및 보호장치(700)를 포함한다.
제1플랜지(100)는 제1배관(1)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2플랜지(200)는 제1플랜지(100)와 접하도록 제2배관(2)의 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수단(300)은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를 결합시키되,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워진다.
패킹(400)은 결합수단(300)에 의해 결합되는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고정부재(500)는 결합수단(300)에 의해 결합된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보호장치(700)는 결합수단(300)에 의해 결합된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 부근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체결부(3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체결공(310')과 제2체결공(320'), 체결링(330') 및 체결구동부(340')를 포함한다.
제1체결공(310')은 제1플랜지(100)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제2플랜지(200)의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체결공(320')은 제1체결공(310')에 대응되며, 제2플랜지(200)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제1플랜지(100)의 내부에 형성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체결링(330')은 제2체결공(320')의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고, 제1체결공(310')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체결구동부(340')는 체결링(330')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체결구동부(340')는 체결구동웜(342')과 체결구동축(344') 및 체결구동손잡이(346')를 포함한다.
체결구동웜(342')은 체결링(330')의 나사산에 치합되도록 제1체결공(310')에 위치된다.
그리고 체결구동축(344')은 체결구동웜(342')을 제1플랜지(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시킨다.
체결구동손잡이(346')는 체결구동축(344')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체결부(300')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체결구동손잡이(346')를 이용하여 체결구동축(344')과 체결구동웜(342')을 회전시켜 제2플랜지(200)의 제1체결공(310')에 위치된 체결링(330')을 제1플랜지(100)의 제2체결공(320')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체결링(330')의 나사산이 제2플랜지(200)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가 체결된다.
다시 말해, 체결링(330')은 제1체결공(310')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체결구동웜(342')에 치합되어 나선방향으로 회전되며 제2체결공(320')으로 이동되면서 제2플랜지(200)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밀폐부(400')는 제1밀폐부(410')와 제2밀폐부(420')를 포함한다.
제1밀폐부(410')는 체결부(300')의 각 체결공(310', 320')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되고, 제2밀폐부(420')는 각 체결공(310', 320')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되어 2중으로 밀폐된다.
이러한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10)는 고정부재(500)이 더 포함되며, 이 고정부재(500)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여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체결링(350')을 더 포함한다.
이 제2체결링(350')은 체결링(330')의 내주면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고, 체결링(330')의 내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제2체결링(350')은 체결링(430) 내주면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것으로, 체결링(430)의 이동 시, 함께 이동되어 일부분이 제2체결공(420)으로 삽입됨에 따라, 제1체결공(410)과 제2체결공(420)에 걸쳐서 위치된다.
그리고 체결링(430) 내주면의 나사산을 따라 제2체결링(4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은 것으로, 체결링(430)을 보조하여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의 연결부위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장치(700)는 제1보호커버(710)와 제2보호커버(720) 및 가변체결부(730)를 포함한다.
제1보호커버(710)는 제1배관(1)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2보호커버(720)는 제1보호커버(710)를 덮도록 제1배관(1)에 연결되는 제2배관(2)에 구비된다.
가변체결부(730)는 제1보호커버(710)와 제2보호커버(7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변 가능하도록 체결시킨다.
이러한 상하수도관 보호장치(700)에 의하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해당 배관 즉, 두 배관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완화시킬 수 있어 두 배관의 연결부분의 파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지중에 설치될 경우, 토압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가변체결부(730)는 가변홈(732)과 가변링(734), 가변고정블럭(736) 및 가변체결부(738)를 포함한다.
가변홈(732)은 제1보호커버(710)와 제2보호커버(720)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가변링(734)은 가변홈(73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가변고정블럭(736)은 가변링(734)이 가변홈(732)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가변체결부(738)는 가변링(734)을 제1보호커버(710)와 제2보호커버(720) 중 다른 하나와 체결시켜 동일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외부에서 충격이 전달될 경우, 가변체결부(738)에 의해 제1보호커버(710)와 제2보호커버(7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배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배관(1, 2)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가변홈(732)은 제1보호커버(7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가변체결부(730)는 가변링(734)을 제2보호커버(720)와 체결시킨다.
다른 실시 예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홈(732)은 제2보호커버(72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가변체결부(730)는 가변링(734)을 제1보호커버(710)와 체결시킨다.
이는, 배관이 설치되는 위치와 환경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지중에 설치될 경우, 토사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가변링(734)이 이동되는 것을 방해받지 않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해당 배관(1, 2) 외주면에 접하는 제1보호커버(710)와 제2보호커버(720)의 각 단부와의 사이에 패킹(74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하수도관 보호장치(700)는 완충부(750)를 더 포함한다.
이 완충부(75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결합된 제1배관(1) 및 제2배관(2)과의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완충부(750)는 에어백(752) 및 압력확장유지부(754)를 포함한다.
에어백(752)은 탄성을 갖고, 제1배관(1)과 제2배관(2)의 연결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압력확장유지부(754)는 외부충격에 의해 에어백(752)이 가압될 경우, 확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확장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에어백(752)은 제1에어백(7522)과 제2에어백(7524), 제3에어백(7526) 및 제4에어백(7528)을 포함한다.
제1에어백(7522)은 제1배관(1)과 제2배관(2)의 연결되는 부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에어백(7524)은 제1에어백(7522)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3에어백(7526)은 제1에어백(7522)과 제2에어백(7524)의 일측에 형성된다.
또한 제4에어백(7528)은 제1에어백(7522)과 제2에어백(7524)의 타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각 보호에어백(7522, 75824, 7526, 7528)은 해당 배관(1, 2)의 외주방향으로 복수의 구획부(756)가 형성되어 복수 구간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각 구획부(756)에는 입출밸브(758)가 구비되어 압력이 가해진 구간의 고압기체가 인접한 다른 구간으로 이동된다.
물론, 가해진 압력이 해제될 경우, 해당 입출밸브(758)를 통해 압축기체가 다시 이동되어 가해지는 외부압력에 대응됨에 따라, 제1배관(1)과 제2배관(2)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압력확장유지부(754)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압축기체가 다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압력확장유지부(754)는 복수의 압력확장유지판(7542)과 유지판고정부(7544) 및 유지판연결부(7546)을 포함한다.
각 압력확장유지판(7542)은 해당 보호커버(710, 720)의 내측 원주방향으로 따라 구비된다.
그리고 유지판고정부(7544)는 탄성을 갖고, 각 압력확장유지판(7542)을 해당 보호커버(710, 72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회전된 압력확장유지판(7542)을 원위치시킨다.
유지판연결부(7546)는 신축성을 갖고, 인접한 압력확장유지판(7542)들을 상호 연결시켜 유지판고정부(7544)와 함께 회전된 압력확장유지판(7542)을 원위치시킴에 따라, 확장된 에어백(752)을 가압시킨다.
또한 각 구간에는 압력센서(760)가 구비되고, 각 압력센서의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770)는 해당 배관(1, 2)으로 압력이 전달된 방향이나 부분을 실시간 확인 할 수 있다.
그리고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1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수단(30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수단(300)은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으로 구성된다.
결합돌기(310)는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 중 어느 하나에 다수 개 형성되고, 결합홈(320)은 결합돌기(310)에 대응되도록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 중 다른 하나에 다수 개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수평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돌기(310)는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결합홈(320)은 결합돌기(3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의 어느 한 측면이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양 측면이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결합돌기(310)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굴곡지게 형성되고, 결합홈(320)은 결합돌기(3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의 어느 한 측면이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굴곡지거나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양 측면이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굴곡지거나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돌기(310)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결합홈(320)은 결합돌기(3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돌기(310)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굴곡지게 형성되고, 결합홈(320)은 결합돌기(3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굴곡지거나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굴곡지거나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패킹(400)은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고정부재(500)는 제1고정공(510)과 제2고정공(520), 고정볼트(530) 및 고정너트(540)로 구성된다.
제1고정공(510)은 제1플랜지(100)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제2고정공(520)은 제1고정공(510)에 대응되도록 제2플랜지(200)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볼트(530)는 일직선상에 위치된 제1고정공(510)과 제2고정공(520)에 관통 삽입되기 위해 구비된다.
고정너트(540)는 제1고정공(510)과 제2고정공(520)을 통과한 고정볼트(530)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를 고정시킴에 따라, 결합된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된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을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가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유동방지부(600)가 더 포함된다.
이 수직유동방지부(600)는 수직삽입공(602)과 수직삽입편(604)으로 구성된다.
수직삽입공(602)은 결합된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을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수직삽입편(604)은 수직삽입공(610)에 끼워지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수직유동방지부(600)는 제1수직유동방지부(610)와 제2수직유동방지부(6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수직유동방지부(610)는 연결된 두 개의 배관(1, 2)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위치된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 부분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2수직유동방지부(620)는 연결된 두 개의 배관(1, 2)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위치된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 부분에 구비된다.
물론, 제1수직유동방지부(610)와 제2수직유동방지부(620)는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100 : 제1플랜지
200 : 제2플랜지
300 : 결합수단 300' : 체결부
400 : 패킹 500 : 고정부재
600 : 수직유동방지부 700 : 보호장치
710 : 제1보호커버 720 : 제2보호커버
730 : 가변체결부 750 : 완충부
300 : 결합수단 300' : 체결부
400 : 패킹 500 : 고정부재
600 : 수직유동방지부 700 : 보호장치
710 : 제1보호커버 720 : 제2보호커버
730 : 가변체결부 750 : 완충부
Claims (5)
- 제1배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접하도록 제2배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의해 결합되는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패킹;
상기 체결부에 의해 결합된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체결부에 의해 결합된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부근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보호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플랜지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제2플랜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체결공;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되며, 제2플랜지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제1플랜지의 내부에 형성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체결공;
상기 제2체결공의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고, 제1체결공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링; 및
상기 체결링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체결구동부;를 포함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장치는,
상기 제1배관에 구비되는 제1보호커버;
상기 제1보호커버를 덮도록 상기 제1배관에 결합되는 제2배관에 구비되는 제2보호커버; 및
상기 제1보호커버와 제2보호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변 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가변체결부;를 포함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체결부는,
상기 제1보호커버와 제2보호커버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가변홈;
상기 가변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변링;
상기 가변링이 가변홈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변고정블럭; 및
상기 가변링을 상기 제1보호커버와 제2보호커버 중 다른 하나와 체결시켜 동일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가변체결부;를 포함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홈은 상기 제1보호커버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변체결부는 상기 가변링을 상기 제2보호커버와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홈은 상기 제2보호커버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변체결부는 상기 가변링을 상기 제1보호커버와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2925A KR20240024661A (ko) | 2022-08-17 | 2022-08-17 |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2925A KR20240024661A (ko) | 2022-08-17 | 2022-08-17 |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24661A true KR20240024661A (ko) | 2024-02-26 |
Family
ID=90058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2925A KR20240024661A (ko) | 2022-08-17 | 2022-08-17 |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24661A (ko) |
-
2022
- 2022-08-17 KR KR1020220102925A patent/KR202400246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633947A (en) | Coupling | |
JP4837473B2 (ja) | 管内面補修継手 | |
KR101900397B1 (ko) | 배관용 내진장치 | |
CA3022595A1 (en) | Expanding gate valva assembly with pressure equalization system | |
KR20240024661A (ko) | 내구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 |
KR20240024656A (ko) | 상하수도관 보호장치 | |
KR20240025130A (ko) | 보호장치를 갖는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 |
JP5346271B2 (ja) | 分岐管接続装置 | |
KR102285050B1 (ko) | 파형강관이 사용된 내진형 맨홀 | |
KR101613358B1 (ko) | 부단수 누수방지대 | |
JP6327897B2 (ja) | フランジ離間防止装置 | |
JP5819179B2 (ja) | 補修伸縮可撓継手 | |
KR100908619B1 (ko) | 무진동 암반절개장치 | |
KR102247270B1 (ko) | 상수도관용 플랜지구조 | |
KR100866173B1 (ko) | 방진용 신축 이음구 | |
KR102276835B1 (ko) |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 |
JP2018053465A (ja) | コンクリート函体の可撓継手構造 | |
JPH08303640A (ja) | 地下埋設管の更生方法 | |
JP4474014B2 (ja) | 管路の耐震構造 | |
JP3708859B2 (ja) | 可撓継手 | |
JP4776461B2 (ja) | マンホール用可撓継手およびそこに用いられる止水ゴム構体 | |
JP2008095304A (ja) | 橋桁止水手段及び橋桁止水構造 | |
KR100550294B1 (ko) | 하수도용 신축관 | |
KR102502748B1 (ko) | 복합 내진 성능을 구비한 밸브보호실 어셈블리 | |
KR102664616B1 (ko) |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