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3251A -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3251A
KR20240023251A KR1020220100343A KR20220100343A KR20240023251A KR 20240023251 A KR20240023251 A KR 20240023251A KR 1020220100343 A KR1020220100343 A KR 1020220100343A KR 20220100343 A KR20220100343 A KR 20220100343A KR 20240023251 A KR20240023251 A KR 20240023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coining
supply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하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to KR1020220100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3251A/ko
Publication of KR20240023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25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07Surface contacts, e.g. 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피시비에 솔더 페이스트된 범프의 높이 편차를 균일하게 맞추도록 이루어지는 코이닝 시스템의 코이닝유닛(200)에 피시비를 공급 및 회수하도록 구비하는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100)에 있어서, 장방형 판상의 테이블바디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코이닝 대상이 되는 피시비를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이닝작업홀(111,121)을 구비하는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과, 코이닝유닛(200)의 공급위치(O)와 작업위치(I) 사이에 양측 한 쌍의 테이블구동바디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을 결합하여 구동하도록 구비하는 테이블구동모듈(130)과,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의 코이닝작업홀 각각에 양측 한 쌍의 피시비구동바디를 설치하여 피시비를 고정하고 코이닝 위치를 세팅하도록 구비하는 피시비구동모듈(140)을 포함하고, 테이블구동모듈(130)은, 상기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을 상호 교차로 슬라이딩 구동하도록 동기 제어하여 피시비의 공급 및 회수 작동을 동시에 구현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코이닝 대상이 되는 복수의 피시비를 모델 별로 공급 및 회수, 위치 이동 동작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APPARATUS FOR CROSS FEEDING OF PCB COINING SYSTEM}
본 발명은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시비에 솔더 페이스트된 범프의 높이 편차를 균일하게 맞추도록 이루어지는 코이닝 시스템에 탑재하여 코이닝 대상이 되는 복수의 피시비를 모델 별로 공급 및 회수, 위치 이동 동작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시비는 절연체 및 회로, 솔더레지스트로 이루어진다. 솔더레지스트에는 회로와 외부소자를 연결하기 위해 납땜 형식의 솔더볼이라는 범프를 형성한다.
아울러, 전자기기의 초소형화를 위하여 피시비를 제조하는 과정에는 범프의 높이를 평탄화하는 코이닝(Coining) 공정을 추가로 실시한다. 즉, 피시비 원판 상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이용해 범프를 형성한 후에는 코이닝 공정을 통해 범프의 상면을 일정 높이 및 직경을 형성하도록 평평하게 눌러주는 공정을 거치는 것이다.
공지된 기술을 통해 피시비의 제조 시 코이닝 공정을 실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일례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109240 호에는 솔더레지스트 오픈부에 의해 노출된 접속 패드를 갖는 베이스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솔더레지스트 상에 상기 오픈부와 대응되는 솔더범프 형성용 개구부를 갖는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솔더범프 형성용 개구부에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단계와, 도포된 솔더 페이스트를 1차 리플로우하는 단계와,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 1차 리플로우된 솔더 페이스트를 2차 리플로우하는 단계와, 2차 리플로우 후 잔재하는 플럭스를 제거하는 단계와, 플럭스를 제거한 후 리플로우된 솔더범프를 코이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제조방법을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0726242 호에는 도전층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솔더 레지스트층 형성하는 단계와, 솔더 레지스트층의 개구부에 플럭스를 도포하는 단계와, 솔더 레지스트층 상부에 금속 박막층을 적층하는 단계와, 금속 박막층을 상기 플럭스가 도포된 위치에 상응하도록 가압하는 단계와, 감압하는 단계와, 기판을 리플로우하는 단계와, 플럭스를 제거하는 단계와, 기판을 코이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판의 제조방법을 구성한다.
한편, 통상적인 코이닝 시스템의 구성은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 10 - 1156860 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기판에 프렛 타입 범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솔더 볼을 눌러 가압하는 코이닝부와, 핀 또는 판 형상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코이닝부의 가장자리에 형성하여 기판을 향해 돌출되도록 코이닝부에 구비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기판용 코인 헤드로 이루어진다.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5 - 0046614 호에는 인쇄회로기판상에 형성된 솔더 범프를 가압하여 평탄화시키는 상부헤드와, 상부헤드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부헤드 및 가압부를 연결하며, 상부헤드의 이동을 제어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코이닝 장치를 구성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 - 1109240 호 (2012.01.30) 한국등록특허 제 10 - 0726242 호 (2007.06.11) 한국등록특허 제 10 - 1156860 호 (2012.06.20)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5 - 0046614 호 (2015.04.30)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피시비 코이닝 공정은 피시비 제조 라인 상에 코이닝 시스템를 구비하여 솔더 페이스트된 범프를 형성하는 피시비를 투입하고 범프의 높이 편차를 균일하게 맞추는 공정을 실시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피시비의 모델 종류에 따라서 설비를 설계하므로 공정라인 별로 단일 피시비 모델에 대한 작업만을 수행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에 피시비를 공급하는 장치의 구성 역시 단순 컨베이어 방식을 주로 적용되므로 피시비를 한 단위씩 공급 및 회수하며 코이닝 작업의 진행 중에는 대기 시간이 발생하는 등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피시비에 솔더 페이스트된 범프의 높이 편차를 균일하게 맞추도록 이루어지는 코이닝 시스템의 코이닝유닛(200)에 피시비를 공급 및 회수하도록 구비하는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100)에 있어서,
장방형 판상의 테이블바디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코이닝 대상이 되는 피시비를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이닝작업홀(111,121)을 구비하는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과,
코이닝유닛(200)의 공급위치(O)와 작업위치(I) 사이에 양측 한 쌍의 테이블구동바디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을 결합하여 구동하도록 구비하는 테이블구동모듈(130)과,
상기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의 코이닝작업홀(111,121) 각각에 양측 한 쌍의 피시비구동바디를 설치하여 피시비를 고정하고 코이닝 위치를 세팅하도록 구비하는 피시비구동모듈(140)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구동모듈(130)은, 상기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을 상호 교차로 슬라이딩 구동하도록 동기 제어하여 피시비의 공급 및 회수 작동을 동시에 구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코이닝 대상이 되는 복수의 피시비를 모델 별로 공급 및 회수, 위치 이동 동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에 탑재하여 코이닝 대상이 되는 복수의 피시비를 모델 별로 공급 및 회수, 위치 이동 동작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의 피시비에 대한 X, Y, Z축 동기 및 비동기 제어 구성을 통해 복수의 피시비를 코이닝유닛에 공급 및 회수하는 동작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규격 및 범프의 위치가 상이한 이종 모델의 피시비에 대한 동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이종 모델에 대한 혼류 생산이 가능한 코이닝 시스템을 구현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하고 공정의 연속성 및 효율화를 도모하여 고품질의 코이닝 공정을 실현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의 피시비구동모듈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의 피시비구동모듈의 동기(a) 및 비동기(b) 작동 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의 적용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는 피시비에 솔더 페이스트된 범프의 높이 편차를 균일하게 맞추도록 이루어지는 코이닝 시스템에 탑재하여 코이닝 대상이 되는 복수의 피시비를 모델 별로 위치 보정, 공급 및 회수 동작을 구현하도록 구성하는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100)는 코이닝 시스템의 코이닝유닛(200)에 피시비를 공급 및 회수하도록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과, 테이블구동모듈(130)과, 피시비구동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은 장방형 판상의 테이블바디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코이닝 대상이 되는 피시비를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이닝작업홀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은 피시비를 공급하는 로더의 일측에서 피시비 코이닝 공정이 이루어지는 코이닛유닛 내, 외측을 교차로 전, 후 슬라이딩 구동하되, 후술하게 될 테이블구동모듈(130) 및 피시비구동모듈(140)과 연동하여 Z축 승강, Y축 전후진, X축 위치 이동이 일련의 동작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코이닝유닛(200)에 피시비를 공급하는 동작과, 코이닝유닛(200)에서 피시비를 회수하는 동작, 및 위치 이동이 일괄적으로 구현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상부테이블(110)에는 제1테이블작동부(112)와, 제3테이블작동부(113)를 구비한다.
상기 제1테이블작동부(112)는 상부테이블(110)의 테이블바디의 양측 단부에 결합하고 후술하게 될 테이블구동모듈(130)과 연동하여 상부테이블(110)의 테이블바디를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3테이블작동부(113)는 상부테이블(110)의 테이블바디의 양측 단부에 결합하고 후술하게 될 테이블구동모듈(130)과 연동하여 테이블바디를 Z축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하부테이블(120)에는 제2테이블작동부(122)와, 제4테이블작동부(123)를 구비한다.
상기 제2테이블작동부(122)는 상부테이블(110)의 테이블바디의 양측 단부에 결합하고 후술하게 될 테이블구동모듈(130)과 연동하여 상부테이블(110)의 테이블바디를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4테이블작동부(123)는 상부테이블(110)의 테이블바디의 양측 단부에 결합하고 후술하게 될 테이블구동모듈(130)과 연동하여 테이블바디를 Z축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테이블구동모듈(130)은 코이닝유닛(200)의 공급위치(O)와 작업위치(I) 사이에 양측 한 쌍의 테이블구동바디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을 결합하여 구동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테이블구동모듈(130)은 T 또는 I 형상의 테이블구동바디의 상측에 상기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을 단차를 두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상기 테이블구동모듈(130)은 상기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을 상호 교차로 슬라이딩 구동하도록 동기 제어하여 피시비의 공급 및 회수 작동을 동시에 구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테이블구동모듈(130)은 상기 상부테이블(110) 구동을 위한 제1테이블가이드부(131) 및 제1테이블구동부(133), 제3테이블가이드부(135) 및 제3테이블구동부(137)와, 상기 하부테이블(120) 구동을 위한 제2테이블가이드부(132) 및 제2테이블구동부(134), 제4테이블가이드부(136) 및 제4테이블구동부(138)를 포함한다.
상기 제1테이블가이드부(131)는 테이블구동바디에서 Y축 방향으로 장착하고 상기 상부테이블(110)의 제1테이블작동부(112)를 슬라이딩 결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테이블가이드부(132)는 테이블구동바디에서 Y축 방향으로 장착하고 상기 하부테이블(120)의 제2테이블작동부(122)를 슬라이딩 결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테이블가이드부(131) 및 제2테이블가이드부(132)는 양측 테이블구동바디의 상부에 소정의 레일 또는 가이드바 형태로 장착하며,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의 구동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양측 테이블구동바디에 배치한다.
상기 제1테이블구동부(133)는 테이블구동바디의 일측에서 Y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서보모터와 연동하여 상부테이블(110)의 제1테이블작동부(112)를 제2테이블작동부(122)와 교차로 전, 후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테이블구동부(134)는 테이블구동바디의 일측에서 Y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서보모터와 연동하여 하부테이블(120)의 제2테이블작동부(122)를 제1테이블작동부(112)와 교차로 전, 후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테이블구동부(133) 및 제2테이블구동부(134)는 각각의 서보모터의 원동축과 결합하는 수평축을 구비하여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 각각을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3테이블가이드부(135)는 테이블구동바디에서 Z축 방향으로 장착하고 상부테이블(110)의 제3테이블작동부(113)를 수직 축결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4테이블가이드부(136)는 테이블구동바디에서 Z축 방향으로 장착하고 하부테이블(120)의 제4테이블작동부(123)를 수직 축결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3테이블가이드부(135) 및 제4테이블가이드부(136)는 양측 테이블구동바디의 측부에 수직축 형태로 장착하며,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의 구동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양측 테이블구동바디에 배치한다.
상기 제3테이블구동부(137)는 테이블구동바디의 일측에서 Z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서보모터와 연동하여 제3테이블작동부(113)를 승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4테이블구동부(138)는 테이블구동바디의 일측에서 Z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서보모터와 연동하여 제4테이블작동부(123)를 승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3테이블구동부(137) 및 제4테이블구동부(138)는 각각의 서보모터의 원동축과 결합하는 수직축을 구비하여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 각각을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피시비구동모듈(140)은 상기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의 코이닝작업홀(111,121) 각각에 양측 한 쌍의 피시비구동바디를 설치하여 피시비를 고정하고 코이닝 위치를 세팅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피시비구동모듈(140)은 상기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 상에서 X축 위치 이동 동작을 구현하여 상기 테이블구동모듈(130)에 의한 Z축 승강, Y축 전후진 동작과 함께 일련의 동작에 의해 연속적으로 구현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피시비구동모듈(140)은 피시비 모델의 종류에 상응하여 피시비구동바디를 피시비에 고정, 또는 피시비의 코이닝 위치를 이동하여 세팅하도록 비동기 또는 동기 제어하여 작동 위치를 가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피시비구동모듈(140)은 코이닝작업홀(111,121)을 중심으로 좌, 우 대향하도록 제1,2피시비클램프(141)와, 그 후측으로 제1,2피시비승강구동부(142)와, 제1,2피시비좌우구동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2피시비클램프(141)는 피시비구동바디에서 코이닝작업홀(111,121)에 인접하여 전측이 상호 대향하도록 장착하고 피시비의 측면부를 클램프하여 고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2피시비승강구동부(142)는 상기 제1,2피시비클램프(141) 각각의 후측에 결합하고 Z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에어실린더와 연동하여 제1,2피시비클램프(141)를 승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2피시비좌우구동부(143)는 상기 제1,2피시비승강구동부(142)의 후측에 결합하고 X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에어실린더와 연동하여 제1,2피시비클램프(141) 및 제1,2피시비승강구동부(142) 일체를 이동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2피시비승강구동부(142) 및 제1,2피시비좌우구동부(143)는 피시비의 클램프 작동 시 피시비의 모델 종류에 상응하도록 비동기 상태에서 양 방향으로 동작하여 피시비를 고정하며, 코이닝유닛(200) 내에서 피시비의 모델 종류별 범프의 위치에 따라서 동기 상태에서 좌, 우로 위치 이동하여 코이닝헤드의 연직 하방에 피시비를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를 이용한 교차공급방법은 크게 공급준비단계(S10), 피시비Z축이동단계(S20), 피시비X축클램프단계(S30), 제1테이블Y축교차단계(S40), 테이블Z축이동단계(S50), 피시비X축이동단계(S60), 제2테이블Y축교차단계(S7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준비단계(S10)는 공급위치(O)에서, 상부테이블(110)의 테이블바디에 형성된 코이닝작업홀(111,121) 각각에 피시비를 안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공급준비단계(S10)에서는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공급픽커에 의해 공급위치(O)에서 대기 중인 상부테이블(110)의 코이닝작업홀(111)에 하나 또는 복수의 피시비를 안착한다.
상기 피시비Z축이동단계(S20)는 제1,2피시비승강구동부(142)가 코이닝작업홀의 양측에 구비하는 제1,2피시비클램프(141)를 해당 피시비 모델의 클램프에 적합한 위치로 승강하는 단계이다.
상기 피시비X축클램프단계(S30)는 제1,2피시비좌우구동부(143)가 각각의 제1,2피시비클램프(141)를 비동기 제어하여 해당 피시비 모델의 양 측면부를 향해 구동하여 클램프하는 단계이다.
상기 피시비Z축이동단계(S20) 및 피시비X축클램프단계(S30)는 피시비 모델의 종류에 따라서 해당 사이즈에 맞게 제1,2피시비클램프(141)의 높이 및 폭을 조절하여 고정한다.
상기 제1테이블Y축교차단계(S40)는 제1,2테이블구동부가 공급위치(O)의 상부테이블(110)과, 작업위치(I)의 하부테이블(120)을 Y축 방향으로 상호 교차하여 코이닝유닛(200)에 피시비의 공급 및 회수 작동을 동시에 구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테이블Y축교차단계(S40)에서는 공급위치(O)에서 코이닝 대상이 되는 피시비가 고정된 상부테이블(110)과, 작업위치(I)에서 코이닛유닛에 의해 코이닝 작업이 완료된 피시비가 교차된 하부테이블(120)을 제1,2테이블구동부가 동기 제어하여 상호 교차함으로써 피시비를 공급 및 회수한다.
상기 테이블Z축이동단계(S50)는 제3,4테이블구동부가 작업위치(I)의 상부테이블(110)과, 공급위치(O)의 하부테이블(120)을 Z축 방향으로 승강하여 코이닝 작업 또는 회수 작업에 적합한 높이로 각 테이블을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테이블Z축이동단계(S50)에서는 작업위치(I)로 교차된 상부테이블(110)을 승강하여 코이닝유닛(200)의 헤드가 해당 피시비 모델에 형성된 범프의 코이닝이 가능하도록 위치하고, 공급위치(O)로 교차된 하부테이블(120)을 승강하여 회수픽커에 의한 회수가 가능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피시비X축이동단계(S60)는 작업위치(I)에서, 제1,2피시비좌우구동부(143)가 각각의 제1,2피시비클램프(141)를 동기 제어하여 피시비의 범프가 코이닝 헤드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도록 피시비 일체를 좌 또는 우로 이동하는 단계이다.
상기 피시비X축이동단계(S60)에서는 작업위치(I)에서 코이닝 대상이 되는 피시비 모델에 형성된 범프와 코이닝헤드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제1,2피시비좌우구동부(143)가 제1,2피시비클램프(141)를 동기 제어하여 상부테이블(110) 상에서 피시비의 위치를 좌, 우로 이동한다.
상기 제2테이블Y축교차단계(S70)는 작업위치(I)에서 코이닝 작업이 완료되면, 제1,2테이블구동부가 각각의 서보모터를 작동하여 작업위치(I)의 상부테이블(110)과, 공급위치(O)의 하부테이블(120)을 Y축 방향으로 상호 교차하여 코이닝 유닛에 피시비를 공급 및 회수 작동을 동시에 구현하는 단계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는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에 탑재하여 코이닝 대상이 되는 복수의 피시비를 모델 별로 공급 및 회수, 위치 이동 동작을 효율적으로 실시하도록 구성하는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의 피시비에 대한 X, Y, Z축 동기 및 비동기 제어 구성을 통해 복수의 피시비를 코이닝유닛(200)에 공급 및 회수하는 동작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규격 및 범프의 위치가 상이한 이종 모델의 피시비에 대한 동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이종 모델에 대한 혼류 생산이 가능한 코이닝 시스템을 구현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하고 공정의 연속성 및 효율화를 도모하여 고품질의 코이닝 공정을 실현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100: 교차공급장치 O: 공급위치
I: 작업위치 110: 상부테이블
111: 코이닝작업홀 112: 제1테이블작동부
113: 제3테이블작동부 120: 하부테이블
121: 코이닝작업홀 122: 제2테이블작동부
123: 제4테이블작동부 130: 테이블구동모듈
131,132: 제1,2테이블가이드부 133,134: 제1,2테이블구동부
135,136: 제3,4테이블가이드부 137,138: 제3,4테이블구동부
140: 피시비구동모듈 141: 제1,2피시비클램프
142: 제1,2피시비승강구동부 143: 제1,2피시비좌우구동부
200: 코이닝유닛 S10: 공급준비단계
S20: 피시비Z축이동단계 S30: 피시비X축클램프단계
S40: 제1테이블Y축교차단계 S50: 테이블Z축이동단계
S60: 피시비X축이동단계 S70: 제2테이블Y축교차단계

Claims (6)

  1. 피시비에 솔더 페이스트된 범프의 높이 편차를 균일하게 맞추도록 이루어지는 코이닝 시스템의 코이닝유닛(200)에 피시비를 공급 및 회수하도록 구비하는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100)에 있어서,
    장방형 판상의 테이블바디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코이닝 대상이 되는 피시비를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이닝작업홀(111,121)을 구비하는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과,
    코이닝유닛(200)의 공급위치(O)와 작업위치(I) 사이에 양측 한 쌍의 테이블구동바디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을 결합하여 구동하도록 구비하는 테이블구동모듈(130)과,
    상기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의 코이닝작업홀 각각에 양측 한 쌍의 피시비구동바디를 설치하여 피시비를 고정하고 코이닝 위치를 세팅하도록 구비하는 피시비구동모듈(140)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구동모듈(130)은, 상기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을 상호 교차로 슬라이딩 구동하도록 동기 제어하여 피시비의 공급 및 회수 작동을 동시에 구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테이블(110) 및 하부테이블(120)에는,
    테이블바디의 양측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테이블구동모듈(130)과 연동하여 테이블바디를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비하는 제1테이블작동부(112) 및 제2테이블작동부(122)와,
    테이블바디의 양측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테이블구동모듈(130)과 연동하여 테이블바디를 Z축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구비하는 제3테이블작동부(113) 및 제4테이블작동부(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구동모듈(130)은,
    테이블구동바디에서 Y축 방향으로 장착하고 상부테이블(110)의 제1테이블작동부(112) 및 하부테이블(120)의 제2테이블작동부(122)를 슬라이딩 결합하도록 구비하는 제1테이블가이드부(131) 및 제2테이블가이드부(132)와,
    테이블구동바디의 일측에서 Y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서보모터와 연동하여 제1테이블작동부(112) 및 제2테이블작동부(122)를 교차로 전, 후진하도록 구비하는 제1테이블구동부(133) 및 제2테이블구동부(134)와,
    테이블구동바디에서 Z축 방향으로 장착하고 상부테이블(110)의 제3테이블작동부(113) 및 하부테이블(120)의 제4테이블작동부(123)를 수직 축결합하도록 구비하는 제3테이블가이드부(135) 및 제4테이블가이드부(136)와,
    테이블구동바디의 일측에서 Z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서보모터와 연동하여 제3테이블작동부(113) 및 제4테이블작동부(123)를 승강하도록 구비하는 제3테이블구동부(137) 및 제4테이블구동부(1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구동모듈(140)은,
    피시비구동바디에서 코이닝작업홀에 인접하여 전측이 상호 대향하도록 장착하고 피시비의 측면부를 클램프하여 고정하도록 구비하는 제1,2피시비클램프(141)와,
    제1,2피시비클램프(141) 각각의 후측에 결합하고 Z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에어실린더와 연동하여 제1,2피시비클램프(141)를 승강하도록 구비하는 제1,2피시비승강구동부(142)와,
    제1,2피시비승강구동부(142) 각각의 후측에 결합하고 X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에어실린더와 연동하여 제1,2피시비클램프(141) 및 제1,2피시비승강구동부(142) 일체를 이동하도록 구비하는 제1,2피시비좌우구동부(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구동모듈(140)은,
    피시비 모델의 종류에 상응하여 피시비구동바디를 피시비에 고정, 또는 피시비의 코이닝 위치를 이동하여 세팅하도록 비동기 또는 동기 제어하여 작동 위치를 가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를 이용한 교차공급방법에 있어서,
    공급위치(O)에서, 상부테이블(110)의 테이블바디에 형성된 코이닝작업홀 각각에 피시비를 안착하는 공급준비단계(S10)와,
    제1,2피시비승강구동부(142)가 코이닝작업홀의 양측에 구비하는 제1,2피시비클램프(141)를 해당 피시비 모델의 클램프에 적합한 위치로 승강하는 피시비Z축이동단계(S20)와,
    제1,2피시비좌우구동부(143)가 각각의 제1,2피시비클램프(141)를 비동기 제어하여 해당 피시비 모델의 양 측면부를 향해 구동하여 클램프하는 피시비X축클램프단계(S30)와,
    제1,2테이블구동부가 공급위치(O)의 상부테이블(110)과, 작업위치(I)의 하부테이블(120)을 Y축 방향으로 상호 교차하여 코이닝유닛(200)에 피시비의 공급 및 회수 작동을 동시에 구현하는 제1테이블Y축교차단계(S40)와,
    제3,4테이블구동부가 작업위치(I)의 상부테이블(110)과, 공급위치(O)의 하부테이블(120)을 Z축 방향으로 승강하여 코이닝 작업 또는 회수 작업에 적합한 높이로 각 테이블을 위치시키는 테이블Z축이동단계(S50)와,
    작업위치(I)에서, 제1,2피시비좌우구동부(143)가 각각의 제1,2피시비클램프(141)를 동기 제어하여 피시비의 범프가 코이닝 헤드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도록 피시비 일체를 좌 또는 우로 이동하는 피시비X축이동단계(S60)와,
    작업위치(I)에서 코이닝 작업이 완료되면, 제1,2테이블구동부가 각각의 서보모터를 작동하여 작업위치(I)의 상부테이블(110)과, 공급위치(O)의 하부테이블(120)을 Y축 방향으로 상호 교차하여 코이닝 유닛에 피시비를 공급 및 회수 작동을 동시에 구현하는 제2테이블Y축교차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를 이용한 교차공급방법.
KR1020220100343A 2022-08-11 2022-08-11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 KR20240023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343A KR20240023251A (ko) 2022-08-11 2022-08-11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343A KR20240023251A (ko) 2022-08-11 2022-08-11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251A true KR20240023251A (ko) 2024-02-21

Family

ID=9005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343A KR20240023251A (ko) 2022-08-11 2022-08-11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325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242B1 (ko) 2005-12-14 2007-06-11 삼성전기주식회사 플립칩 실장용 기판의 제조방법
KR101109240B1 (ko) 2010-09-03 2012-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제조방법
KR101156860B1 (ko) 2010-09-02 2012-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용 코인 헤드
KR20150046614A (ko) 2013-10-22 2015-04-30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이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242B1 (ko) 2005-12-14 2007-06-11 삼성전기주식회사 플립칩 실장용 기판의 제조방법
KR101156860B1 (ko) 2010-09-02 2012-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용 코인 헤드
KR101109240B1 (ko) 2010-09-03 2012-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제조방법
KR20150046614A (ko) 2013-10-22 2015-04-30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이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2974B1 (en) Component mounting method and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US7220922B2 (en) Electronic component,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US7513284B2 (en) Compression device
CN205255076U (zh) 一种pcb板自动分板装置
KR20020005381A (ko) 프레스 천공 가공 방법 및 프레스 천공 가공 장치
CN216794212U (zh) 一种用于面板检测的反向插拔设备
KR20240023251A (ko)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교차공급장치
JP5690791B2 (ja) 基板処理装置
US20180177085A1 (en) Optimization program and mounting machine
KR19980064126A (ko) 액정 패널의 pcb 압착장치
CN204948535U (zh) 贴片机传动系统
WO2017081724A1 (ja) 屈曲装置
JP2540954B2 (ja) ボンディ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WO2016174715A1 (ja) 作業機
JP3301433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CN112975906B (zh) 一种机械手搭载结构、优化方法及系统
CN220693428U (zh) 一种线路板过炉焊接工装
WO2016056045A1 (ja) 対基板作業機、および装着方法
EP4299319A2 (en) Alignment of singulated substrates
JP2003078289A (ja) 部品実装装置のノズル運用方法及び部品実装方法
JP4589160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JP3137894U (ja) 三次元実装機
KR20240023250A (ko)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
JP4307330B2 (ja) 多層基板用ピン打ち装置
KR20240023252A (ko)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의 틸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