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2109A -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2109A
KR20240022109A KR1020220100383A KR20220100383A KR20240022109A KR 20240022109 A KR20240022109 A KR 20240022109A KR 1020220100383 A KR1020220100383 A KR 1020220100383A KR 20220100383 A KR20220100383 A KR 20220100383A KR 20240022109 A KR20240022109 A KR 20240022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kiosk
local
regional
pub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아
Original Assignee
박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아 filed Critical 박윤아
Priority to KR1020220100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2109A/ko
Publication of KR2024002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210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23Multimodal routing, i.e. combin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ation, where the modes can be any of, e.g. driving, walking, cycling,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키오스크 시스템은 오픈 API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공공서버로부터 수집되는 공공정보를 이용하여 제1 지역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지역콘텐츠 및 인증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지역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제2 지역콘텐츠를 생성하는 미디어 서버 및 미디어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지역콘텐츠 또는 제2 지역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특산물의 구매를 유도하도록 결제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키오스크를 포함한다. 지역부가정보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지역정보로서, 복수의 키오스크 중 지역부가정보별로 노출될 하나 이상의 키오스크를 지정하는 키오스크식별정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Kiosk system for providing provisional contents service}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키오스크는 정부기관이나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 정보단말기로 터치스크린과 사운드. 그래픽. 통신카드 등 첨단 멀티미디어 기기를 활용하여 음성서비스, 동영상 구현 등 이용자에게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무인 종합정보안내시스템을 말한다. 키오스크는 각 소상공인의 무인결제 시스템이나, 인구 이동수가 많은 지역 등에 공연 홍보나 티켓 발매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손을 화면에 접촉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채택하여 단계적으로 쉽게 검색할 수 있다. 최근에는 무인화/자동화 확산과 비대면화 서비스 선호 현상 및 인력절감 차원에서 많은 식당 또는 프랜차이즈 음식점 등에서 음식 주문용으로도 점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키오스크는 통상적으로 업체별로 설치되고 특정 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별 결제서비스 제공에 한정적으로 이용되어서, 지역전반의 편의시설, 교통 등 정보를 얻으려면 별도의 단말장치로 인터넷 검색을 통해 찾아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90132호, 2011년 12월 7일 공고, 지역정보 키오스크 운용 시스템
본 발명은 지역에 특화된 콘텐츠에 대한 접근 가능성을 확장하고, 지역특산물의 판매를 활성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지역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위한 키오스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은, 오픈 API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공공서버로부터 수집되는 공공정보를 이용하여 제1 지역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지역콘텐츠 및 인증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지역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제2 지역콘텐츠를 생성하는 미디어 서버와, 미디어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지역콘텐츠 또는 제2 지역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특산물의 구매를 유도하도록 결제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키오스크를 포함하고, 지역부가정보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지역정보로서, 복수의 키오스크 중 지역부가정보별로 노출될 하나 이상의 키오스크를 지정하는 키오스크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공정보 및 지역부가정보는 분리되어 저장되고 관리되고, 공공정보는 지리적 표장 관련 정보, 지역별 특산물 정보, 지역별 관광지 정보, 지역특화서비스정보, 대중교통정보 및 지역별 편의시설 정보을 포함하고, 지리적 표장 관련 정보는, 지리적표시단체표장 데이터 및 지리적표시증명표장 데이터를 포함하고, 지리적표시단체표장 데이터 및 지리적표시증명표장 데이터는 각각 권리정보, 출원번호, 상품분류정보, 지정상품정보 및 상표권 존속기간정보를 포함하고, 지역별 특산물 정보는, 도시명, 상품명, 업체정보, 상품명 및 인증정보를 포함하고, 인증정보는 각 인증정보에 대한 인증유효기간정보를 더 포함하고, 업체정보는 업체별 이용시간 및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역부가정보는 숙박업체 및 식당을 포함하는 지역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로서 각 지역업체의 지리적위치 및 이용가능시간정보를 더 포함하여, 키오스크 이용자가 이용하는 제1 키오스크의 위치(P1) 및 이용자가 제1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현재시간(T(t))을 기준으로 검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역부가정보는 각각의 정보별로 정보가 제공될 하나 이상의 키오스크 식별정보, 정보노출시간, 정보제공업체정보 및 상세서비스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는 새로운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역부가정보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새로운 사용자 단말의 인증 절차를 진행하고, 인증 절차를 완료한 경우 새로운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지역부가정보의 수집을 허용하고, 미디어 서버가 인증 절차를 수행할 때 인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정보인 인증기준데이터는 공공서버에서 오픈 API로 수집할 수 있는 공공정보를 검색하여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키오스크 중 제1 키오스크는 서비스 초기 화면 제공 상태에서, 제2 키오스크가 위치되는 제1 관광지를 선택하는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1 키오스크의 위치(P1)부터 제2 키오스크가 위치하는 제1 관광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제공하고, 제2 지역콘텐츠 중에서 제1 키오스크의 위치(P1) 및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된 현재시간(T(t))에 기초하여 제1 관광지 및 제1 관광지 주변에서 일별로 이용가능한 상세관광정보를 검색하고, 제1 관광지까지의 경로 정보는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가능하며, 제1 키오스크 및 제1 관광지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제2 관광지를 나타내는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고, 검색된 상세관광정보는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된 당일에 이용가능한 숙박정보, 특산물정보, 식당정보, 체험행사정보 및 편의시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광지까지의 경로 정보에 포함되며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가능한 복수의 항목은 제1 관광지로 이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교통수단정보 및 복수의 제2 관광지로 각각 이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교통수단정보를 더 포함하고, 제1 교통수단정보 및 제2 교통수단정보는 각각 현재시간(T(t))을 기준으로 이용가능한 교통수단, 교통수단이용방법, 교통수단 현재위치(P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역부가정보는 인증된 사용자 단말별로 지역부가정보를 제공한 정보제공시간정보 및 제공된 지역부가정보가 유효한 기간을 나타내는 유효기간정보를 더 포함하고, 미디어 서버는 각각의 지역부가정보별로 유효기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유효기간이 지나면 유효하지 않은 정보로 결정하고, 결정된 유효하지 않은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에 특화된 지역콘텐츠에 대한 접근 가능성을 확장하고, 지역특산물의 판매를 활성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지역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위한 키오스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콘텐츠를 생성할 때 공인된 공공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지역콘텐츠 생성의 신뢰도를 높이면서도 지역에 위치한 업체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 이용 현황을 제공받고 업데이트할 수 있으므로, 지역별 최신 현황을 반영할 수 있는 지역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미디어 서버 및 키오스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미디어 서버에서 생성하고 관리하는 콘텐츠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키오스크의 지역콘텐츠 서비스 제공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제1 키오스크의 지역콘텐츠 서비스 제공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미디어 서버의 동작의 흐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1 키오스크의 동작의 흐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역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10)은 미디어 서버(110), 복수의 키오스크(120-1, 120-2), 공공서버(130), 결제서버(140) 및 복수의 사용자단말(150-1, 150-2, 150-3)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10), 복수의 키오스크(120-1, 120-2), 공공서버(130), 결제서버(140)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150-1, 150-2, 150-3)은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연결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LTE 통신망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제한되지 않는다.
미디어 서버(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콘텐츠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서 또는 복수의 키오스크(120-1, 120-2) 각각의 요청에 따라 지역콘텐츠를 배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디어 서버(110)는 오픈 API(Open API)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공공서버(130)로부터 수집되는 공공정보를 이용하여 제1 지역콘텐츠를 생성한다. 제1 지역콘텐츠는 공공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와 연관되어 제공되는 지도데이터 및 공공정보와 관련된 상품판매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10)는 위치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를 포함한 지도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할 수 있으며, 해당지역의 지도, 관광지 위치정보, 공공기관정보, 병원, 편의시설정보, 주요 건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10)는 수집된 공공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될 수 있는 지도데이터와 연계하여 지도상에 수집된 공공정보의 항목이 표시되도록 제1 지역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서버(110)는 생성된 제1 지역콘텐츠 및 인증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150-1, 150-2)로부터 수집되는 지역부가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제2 지역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2 지역콘텐츠는 제1 지역콘텐츠에 비하여 해당지역의 실시간 상황(예를 들어, 관광지별 운영상황, 실시간 동영상, 교통상황정보 등)을 반영하기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150-1, 150-2)로부터 직접 정보를 제공받거나 정보가 업데이트되도록 하는 정보이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운영체제(OS)나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앱), 라이브러리 등을 활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오픈 API는 플랫폼 기능 또는 콘텐츠를 외부에서 누구나 웹 프로토콜(HTTP)로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개방한 API를 말한다.
여기에서, 공공정보는 국가기관에서 전국 공공시설 정보나 대중교통 운행 정보와 같은 데이터로서 개방 API로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오픈 API로 관리되는 공공정보는 복수의 공공기관의 공공서버에서 제공하며 데이터의 분류에 해당하는 분류체계, 서비스유형, 제공기관유형, 검색에 이용될 수 있는 태그정보, 확장자 정보 등 검색조건에 따라 검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표적인 공공정보의 일 예는 공공데이터포털(https://www.data.go.kr/index.do)의 공공데이터일 수 있다.
미디어 서버(110)는 공공기관에 아닌 지역의 개인별로 제공가능한 지역부가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미디어 서버(110)는 지역부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미리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제1 사용자 단말(150-0) 및 제2 사용자 단말(150-2)은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 사용자 단말이고, 제3 사용자 단말(150-3)은 아직 사용자 인증 절차가 진행되지 않은 새로운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미디어 서버(110)는 소정의 지역별, 예를 들어, ○○시, ○○군, ○○도 관할의 행정지역별로 운영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미디어 서버(110)는 미디어 서버(110)를 통해 지역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 복수의 키오스크(120-1, 120-2)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서버(110)는 복수의 키오스크(120-1, 120-2) 각각에 제공되는 지역콘텐츠에 차이가 있는 경우, 각 키오스크(120-1, 120-2)별로 제공받는 지역콘텐츠 식별정보, 업데이트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복수의 키오스크(120-1, 120-2)는 미디어 서버(110), 결제서버(140)와의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통신부, 프로세서, 데이터 저장부, 터치 스크린형 디스플레이, 키오스크 몸체 전면에 위치된 카메라, 스피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키오스크(120-1, 120-2)는 그 형태 및 개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키오스크(120-1, 120-2)는 특정 지역, 예를 들어, ○○시, ○○군, ○○도 관할의 행정지역별로 운영될 수 있다.
복수의 키오스크(120-1, 120-2)는 미디어 서버(110)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지역콘텐츠 또는 제2 지역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특산물의 구매를 유도하도록 결제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키오스크(120-1, 120-2)는 버스터미널, 버스정류장, 기차역, 공항 또는 관광지와 같은 소정의 지점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광객과 같은 키오스크 이용자가 제1 키오스크(120-1)를 이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공공서버(130)는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며 공개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한다. 도 1에는 한 개의 공공서버(130)가 도시되어 있으나, 공공서버(130)의 종류 및 개수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공공기관에서 이용되는 여러 공공서버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공서버(130)는 지리적 표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친환경 지역특산물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등 행정기관(ex. 특허청,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행정기관의 서버에서 미디어 서버(110)에서 지역콘텐츠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공공정보가 수집되어 별도로 저장되는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공정보는 지리적 표장 관련 정보, 지역별 지역특산물 정보, 지역별 관광지 정보, 지역특화서비스정보, 대중교통정보 및 지역별 편의시설(예를 들어, 병원, 약국, 관공서, 은행 등) 정보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공정보는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정보로 오픈 API에 의해 수집가능한 정보를 의미한다.
지리적 표장 관련 정보는, 지리적표시단체표장 데이터 및 지리적표시증명표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지리적표시단체표장 데이터 및 지리적표시증명표장 데이터는 각각 권리정보, 출원번호, 상품분류정보, 지정상품정보 및 상표권 존속기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리적표시단체표장의 권리번호는 44이고, 지리적표시증명표장의 권리번호는 48이므로, 출원번호가 44 또는 48로 시작하고, 복수의 키오스크(120-1, 120-2)가 위치되는 지역(예를 들어, 서산, 태안 등)의 지리적명칭을 포함하여 오픈 API를 이용하여 상표권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면 해당 지역에서 지리적 표장 관련 정보로 등록된 표장의 명칭, 출원인 및 주소 등이 검색되고, 검색결과를 위치정보를 포함한 지도데이터에 매핑하여 신뢰도있는 지역특산물 및 관련업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지역별 지역특산물 정보는, 도시명, 상품명, 업체정보, 상품명 및 인증정보를 포함하고, 인증정보는 각 인증정보에 대한 인증유효기간정보(예를 들어, 20○○년 ○○월 ○○일 내지 20○○년 ○○월 ○○일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고, 업체정보는 업체별 이용시간 및 지리적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역별 관광지 정보는 지역별 관광지 정보, 숙박업체정보, 맛집 정보, 체험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역특화서비스정보는 해당지역에 특화된 서비스종류, 서비스제공업체명, 서비스제공시간 및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중교통정보는 지역별 버스노선번호, 정류소명, 정류소번호, 출발지와 도착지 입력에 따라 검색될 수 있는 경로정보 및 실시간 버스 운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서버(140)는 다수의 업체가 이용하는 다양한 결제플랫폼을 제공한다. 결제서버는 직접적으로 은행 또는 신용카드사의 서버가 될 수도 있고 이들을 대행하여 전자 결제를 수행하는 전자 결제 대행사의 서버가 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50-1, 150-2, 150-3)은 미디어 서버(110)에 접속하여 통신가능한 컴퓨터, 휴대전화 등 다양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50-1, 150-2, 150-3)은 미디어 서버(11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부가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소정의 절차에 따른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지역부가정보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50-1, 150-2)에 의해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지역정보로서, 지역 관광상품정보, 관광관련업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역부가정보에 포함된 상세서비스정보가 이용가능한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와 함께 관리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지역부가정보는 숙박업체 및 식당을 포함하는 지역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로서 각 지역업체의 지리적위치 및 이용가능시간정보를 더 포함하여, 키오스크 이용자가 이용하는 제1 키오스크(120-1)의 위치(P1) 및 이용자가 제1 키오스크(120-1)를 이용하는 현재시간(T(t))을 기준으로 검색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역부가정보는 복수의 키오스크(120-1, 120-2) 중 지역부가정보별로 노출될 하나 이상의 키오스크를 지정하는 키오스크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역부가정보는 각각의 정보별로 하나 이상의 정보 노출이 요구되는 키오스크 식별정보, 정보노출시간, 정보제공업체정보 및 상세서비스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지역부가정보의 상세서비스정보는 예를 들어, 각 업체별 판매하는 특산물 및 서비스를 실제 구매가능한 서비스 이용시간정보 및 위치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되고 관리되어, 키오스크 이용자가 키오스크를 이용할 때의 실시간 위치 및 시간 중심으로 검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부가정보에 포함된 상세서비스정보가 체험시설의 체험서비스정보인 경우, 지역부가정보는 체험서비스가 제공되는 지리적위치정보 및 이용시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지역부가정보는 인증된 사용자 단말들(150-1, 150-2)이 지역부가정보를 제공한 정보제공시간정보 및 제공된 지역부가정보가 유효한 기간을 나타내는 유효기간정보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10)는 각각의 지역부가정보별로 유효기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유효기간이 지나면 유효하지 않은 정보로 결정하고, 결정된 유효하지 않은 정보를 삭제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150-1, 150-2)이 계속적으로 제공하게 되는 지역부가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10)는 미리 인증되지 않은 새로운 제3 사용자 단말(150-3)로부터 지역부가정보를 제공하려는 요청이 있는 경우, 새로운 사용자 단말(150-3)의 인증 절차를 진행하고, 인증 절차를 완료한 경우 새로운 사용자 단말(150-3)로부터의 지역부가정보의 수집을 허용할 수 있다. 지역부가정보는 복수의 각 지역업체에 의해 실시간으로 수신되어 누적 저장되는 정보로서, 시간별, 위치별,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별로 저장되어 검색될 수 있다. 지역부가정보는 지역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 현황을 지역주민 또는 지역업체의 복수의 사용자 단말(150-1, 150-2, 150-3)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디어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50-1, 150-2, 150-3)의 인증 절차를 수행할 때 인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정보인 인증기준데이터를 공공서버(130)에서 오픈 API로 수집할 수 있는 공공정보를 검색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110)는 제3 사용자 단말(150-3)의 인증과정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가 미리 수집된 공공정보로서 지역별 숙박업체정보 리스트, 특산물판매점정보 리스트, 음식점 정보 리스트 또는 편의시설 정보 리스트에서 검색되는 경우, 제3 사용자 단말(150-3)에게 해당업체의 지역부가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역부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150-1, 150-2, 150-3)을 미리 획득된 공공정보에 기반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지역부가정보가 실시간 정보를 반영함과 동시에 인증절차를 효율적이면서 신뢰성있게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미디어 서버 및 키오스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디어 서버(110)는 지역콘텐츠 생성부(210), 데이터베이스(2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포함한다. 지역콘텐츠 생성부(210)는 오픈 API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공공서버(130)로부터 수집되는 공공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할 수 있다. 지역콘텐츠 생성부(210)는 수집되는 공공정보를 이용하여 제1 지역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지역콘텐츠 및 인증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150-1, 150-2)로부터 수집되는 지역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제2 지역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10)의 데이터베이스(220)는 공공정보 및 지역부가정보는 분리되어 저장되고 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서버(110)에는 복수의 키오스크(120-1, 120-2)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관리하여, 에를 들어 제1 키오스크(120-1)로부터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1 키오스크(120-1)의 실제위치에 해당하는 키오스크 이용자의 현재위치(P1)에 기반하여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키오스크(120-1)는 시스템(10)에 이용되는 키오스크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며, 제어부(310), 저장부(320), 통신부(330), 출력부(340) 및 감지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제1 키오스크(120-1)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고, 미디어 서버(110)로부터 수신되는 지역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부(320)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340)는 디스플레이, 오디오 출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350)는 일 실시예에 따라 근접 센서,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하여,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1 키오스크(120-1) 앞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350)는 카메라 및 음성인식센서 등을 포함하고, 촬영되는 영상 또는 입력된 음성을 제어부(310)로 전달하고, 제어부(310)가 전달된 영상 또는 음성을 분석하여, 키오스크 이용자와 음성으로 양방향 대화하도록 제어하거나, 이용자의 연령대 및 성별 등의 특징을 추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키오스크 이용자에게 표시될 화면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구성부(312)와, 키오스크 이용자가 소정의 상품 선택에 따라 결제서버(140)와의 통신을 통해 결제 절차를 진행하는 결제처리부(314)와, 키오스크 이용자의 현재 위치(P1) 및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현재 시간(T(t))을 기준으로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경로안내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미디어 서버(110)에서 생성하고 관리하는 콘텐츠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디어 서버(110)에서 '서산지역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서산지역콘텐츠' 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부 트리 형태로 분류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서산지역콘텐츠'는 파노라마기반의 가상현실(VR)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서산지역콘텐츠'의 세부 카테고리의 상세정보는 연관되어 관리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콘텐츠 서비스 제공 키오스크 시스템(10)에서 복수의 키오스크(120-1. 120-3)에 대한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키오스크 제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310)을 포함할 수 있다.
키오스크 제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3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역콘텐츠 및 제2 지역콘텐츠를 생성하고, 복수의 키오스크(120-1, 120-2) 각각으로 수신되는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을 처리하여 이용자 요청에 적합한 지역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구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특산물 콘텐츠(320)가 선택되면, 특산물 콘텐츠(320)의 하위 카테고리로, 예를 들어, 서산특산물 리스트, 시간대별 특산물 판매정보, 위치(관광지)별 특산물 판매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서산특산물 리스트는 특산물 종류별 하나 이상의 관련업체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업체 리스트는 텍스트 형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관광지도 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선택가능한 항목으로 그래픽으로 제공될 수 있다. 관련업체 리스트에 포함된 각 업체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각 업체 항목에 해당하는 업체 정보는 파노라마 영상으로 촬영된 업체의 내외부 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영상에는 판매하는 상품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가 표시되어, 해당 가상객체를 선택시에 선택된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결제기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간대별 특산물 판매정보는 서산특산물 리스트에 포함되는 각 특산물을 구매할 수 있는 시간 단위로 그룹화된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위치(관광지)별 특산물 판매정보는 각 특산물을 구매할 수 있는 구역 또는 관광지 단위로 그룹화된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산물 정보는, 특산물 판매업체의 판매시간 및 위치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되고 관리됨으로써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가 입력된 제1 키오스크(120-1)의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키오스크 이용자의 현재위치(P1) 및 이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된 현재시간(T(t))을 기준으로 제1 키오스크(120-1)의 위치(P1) 및 현재시간(T(t))에 근접한 소정의 범위의 시간정보(T(t)+Δt) 및 위치정보(P1±Δp)에 관련된 특산물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키오스크(120-1)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실제위치(P1) 및 시간(T(t))에 따라 현실적으로 접근가능한 신뢰성있는 특산물 구매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제1 키오스크(120-1)의 지역콘텐츠 서비스 제공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제1 키오스크(120-1)는 버스터미널이나 버스정류장에 설치되고, 제2 키오스크(120-1)는 임의의 지역 관광지(관광지 D)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제1 키오스크(120-1)는 서비스 초기 화면 제공 상태에서, 제2 키오스크(120-2)가 위치되는 제1 관광지(관광지 D)를 선택하는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용자의 현재위치인 제1 키오스크(120-1)의 위치(P1)부터 제2 키오스크(120-2)가 위치하는 관광지(관광지 D)까지의 제1 경로 정보(400)를 제공하고, 제2 지역콘텐츠 중에서 제1 키오스크(120-1)의 위치(P1) 및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된 현재시간(T(t))에 기초하여 제1 관광지(관광지 D) 및 제1 관광지(관광지 D) 주변에서 일별로 이용가능한 상세관광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관광지(관광지 D)까지의 제1 경로 정보(400)는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가능하며 제1 키오스크(120-1)와 제1 관광지(관광지 D)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제2 관광지(관광지 A, 관광지 B, 관광지 C)를 나타내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관광지(관광지 A, 관광지 B, 관광지 C)를 나타내는 항목은 각각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면 각 항목에 대응하는 상세관광정보(410)가 검색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검색된 상세관광정보(410)는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된 당일에 이용가능한 숙박 항목, 특산물 항목, 식당 항목, 체험행사 항목 및 편의시설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에 의해 '숙박' 항목이 선택되면, 제2 키오스크(120-1)가 위치되는 관광지 D 근방에서 현재시간(T(t))을 기준으로 이용가능한 숙박업체명, 숙박업체 위치, 연락처 및 객실 현황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키오스크의 지역콘텐츠 서비스 제공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키오스크(120-1)의 위치(P1)부터 제2 키오스크(120-2)가 위치하는 제1 관광지(관광지 D)까지의 제1 경로 정보(400)와 다른 제2 경로 정보(500)를 제공하는 화면이다.
여기에서, 제1 관광지(관광지 D)까지의 제2 경로 정보(500)는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가능하며 제1 키오스크(120-1)와 관광지(관광지 D)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제2 관광지(관광지 E, 관광지 F, 관광지 G)를 나타내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된 상세관광정보는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된 당일에 이용가능한 숙박정보, 특산물정보, 식당정보, 체험행사정보 및 편의시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관광지(관광지 D)까지의 제2 경로 정보(500)는 제1 관광지(관광지 D)로 이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교통수단정보(522) 및 하나 이상의 제2 관광지로 각각 이동하기 위한 복수의 제2 교통수단정보(5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교통수단정보(522) 및 제2 교통수단정보(512)는 각각 현재시간(T(t))을 기준으로 이용가능한 교통수단, 교통수단이용방법, 교통수단 현재위치(P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교통수단정보(522)는 '자동차' 항목, '버스' 항목 및 '택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 항목에 대한 키오스크 이용자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제1 키오스크(120-1) 위치부터 제2 키오스크(120-2) 위치 즉, 관광지 D까지 운행하는 버스 번호, 버스 운행 현황 예를 들어, 버스 현재 위치(PT), 제1 키오스크(120-1)에서 해당 버스가 도착하는 데 걸리는 예상시간 등 정보 등이 추가 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미디어 서버(110)의 동작의 흐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미디어 서버(110)는 오픈 API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공공서버(130)로부터 공공정보를 수집한다(610).
미디어 서버(110)는 인증된 사용자 단말(150-1, 150-2)로부터 지역부가정보를 수집한다(620).
미디어 서버(110)는 수집되는 공공정보를 이용하여 제1 지역콘텐츠를 생성하고(630). 미디어 서버(110)는, 미리 저장되거나 실시간 수집되는 지도데이터, 소정의 지점별 파노라마 영상 및 수집되는 공공정보를 이용하여 제1 지역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서버(110)는 생성된 제1 지역콘텐츠 및 인증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150-1, 150-2)로부터 수집되는 지역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제2 지역콘텐츠를 생성한다(640). 제1 지역콘텐츠 및 제2 지역콘텐츠는 복수의 키오스크(120-1, 120-2)로 전송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 단말(150-1, 150-2, 150-3)의 요청에 따라 노출될 키오스크를 지정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1의 제1 키오스크(120-1)의 동작의 흐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1 키오스크(120-1)는 근처에 사람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지역홍보콘텐츠, 예를 들어, 지역관광지 홍보 광고, 특산물 판매점 홍보 광고를 영상 및 오디오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710).
제1 키오스크(120-1)는 근처에 사람이 감지되면(7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초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730).
제1 키오스크(120-1)는 제1 키오스크(120-1) 위치(P1) 및 현재시간(T(t))에 기초하여 제1 지역콘텐츠 또는 제2 지역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740). 제1 지역콘텐츠를 이용할지 제2 지역콘텐츠를 이용할지는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요청되는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오스크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이용가능한 숙박정보를 검색하는 경우, 제1 키오스크(120-1)는 지역부가정보가 포함된 제2 지역콘텐츠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키오스크(120-1)는 현재위치(P1)와 다른 새로운 위치정보(P2) 및/또는 현재시간(T(t))과 다른 새로운 시간정보(TNEW)를 선택하는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750), 새로운 위치정보(P2) 및/또는 새로운 시간정보(TNEW)에 기초하여 제1 지역콘텐츠 또는 제2 지역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760).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미디어 서버 120-1: 제1 키오스크
120-2: 제2 키오스크 130: 공공서버
140: 결제서버 150-1: 제1 사용자 단말
150-2: 제2 사용자 단말 150-3: 제3 사용자 단말

Claims (8)

  1. 오픈 API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공공서버로부터 수집되는 공공정보를 이용하여 제1 지역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지역콘텐츠 및 인증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지역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제2 지역콘텐츠를 생성하는 미디어 서버; 및
    미디어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지역콘텐츠 또는 제2 지역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특산물의 구매를 유도하도록 결제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키오스크; 를 포함하고,
    지역부가정보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지역정보로서, 복수의 키오스크 중 지역부가정보별로 노출될 하나 이상의 키오스크를 지정하는 키오스크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가 수집하는 공공정보 및 지역부가정보는 분리되어 관리되고,
    공공정보는 지리적 표장 관련 정보, 지역별 특산물 정보, 지역별 관광지 정보, 지역특화서비스정보, 대중교통정보 및 지역별 편의시설 정보을 포함하고,
    지리적 표장 관련 정보는, 지리적표시단체표장 데이터 및 지리적표시증명표장 데이터를 포함하고, 지리적표시단체표장 데이터 및 지리적표시증명표장 데이터는 각각 권리정보, 출원번호, 상품분류정보, 지정상품정보 및 상표권 존속기간정보를 포함하고,
    지역별 특산물 정보는, 도시명, 상품명, 업체정보, 상품명 및 인증정보를 포함하고, 인증정보는 각 인증정보에 대한 인증유효기간정보를 더 포함하고, 업체정보는 업체별 이용시간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지역부가정보는 숙박업체 및 식당을 포함하는 지역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로서 각 지역업체의 지리적위치 및 이용가능시간정보를 더 포함하여, 키오스크 이용자가 이용하는 제1 키오스크의 위치(P1) 및 키오스크 이용자가 제1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현재시간(T(t))을 기준으로 검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지역부가정보는 각각의 정보별로 정보가 노출될 키오스크식별정보에 부가하여 정보노출시간, 정보제공업체정보 및 상세서비스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는 새로운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역부가정보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새로운 사용자 단말의 인증 절차를 진행하고, 인증 절차를 완료한 경우 새로운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지역부가정보의 수집을 허용하고,
    미디어 서버가 인증 절차를 수행할 때 인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정보인 인증기준데이터는 공공서버에서 오픈 API로 수집할 수 있는 공공정보를 검색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키오스크 중 제1 키오스크는 서비스 초기 화면 제공 상태에서, 제2 키오스크가 위치되는 제1 관광지를 선택하는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1 키오스크의 위치(P1)부터 제2 키오스크가 위치하는 제1 관광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제공하고, 제2 지역콘텐츠 중에서 제1 키오스크의 위치(P1) 및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된 현재시간(T(t))에 기초하여 제1 관광지 및 제1 관광지 주변에서 일별로 이용가능한 상세관광정보를 검색하고,
    제1 관광지까지의 경로 정보는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가능하며, 제1 키오스크 및 제1 관광지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제2 관광지를 나타내는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고,
    검색된 상세관광정보는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된 당일에 이용가능한 숙박정보, 특산물정보, 식당정보, 체험행사정보 및 편의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제1 관광지까지의 경로 정보에 포함되며 키오스크 이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가능한 복수의 항목은 제1 관광지로 이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교통수단정보 및 복수의 제2 관광지로 각각 이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교통수단정보를 더 포함하고, 제1 교통수단정보 및 제2 교통수단정보는 각각 현재시간(T(t))을 기준으로 이용가능한 교통수단, 교통수단이용방법, 교통수단 현재위치(PT)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지역부가정보는 인증된 사용자 단말별로 지역부가정보를 제공한 정보제공시간정보 및 제공된 지역부가정보가 유효한 기간을 나타내는 유효기간정보를 더 포함하고, 미디어 서버는 각각의 지역부가정보별로 유효기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유효기간이 지나면 유효하지 않은 정보로 결정하고, 결정된 유효하지 않은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
KR1020220100383A 2022-08-11 2022-08-11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 KR20240022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383A KR20240022109A (ko) 2022-08-11 2022-08-11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383A KR20240022109A (ko) 2022-08-11 2022-08-11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109A true KR20240022109A (ko) 2024-02-20

Family

ID=90056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383A KR20240022109A (ko) 2022-08-11 2022-08-11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21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132B1 (ko) 2010-09-27 2011-12-07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지역정보 키오스크 운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132B1 (ko) 2010-09-27 2011-12-07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지역정보 키오스크 운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501B1 (ko) 부동산 매물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2236546B1 (ko)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관광목적에 따른 선택이 가능한 스마트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JP4950508B2 (ja) 施設情報管理システム、施設情報管理装置、施設情報管理方法および施設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2019023851A (ja) データ分析システム及び分析方法。
KR20180042968A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여행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901873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of a building, campus or retail structure with a mobile device
KR20000024414A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생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JP2021093088A (ja) 処理装置、処理方法、および処理プログラム
JP2005327128A (ja) 地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地図コンテンツ配信方法
JPWO2018172906A1 (ja) 行動管理方法、行動管理装置、並びに決済補助コンピュータ
JP2019121200A (ja) 旅行支援装置並びに旅行者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241903A (ja) 観光客の動態記録方法
CN111861139A (zh) 商户推荐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JPWO2005066862A1 (ja) 移動体通信端末の位置情報を用いたマイレージ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170057985A (ko) 창업을 위한 사업성 평가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22109A (ko) 지역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
KR101786875B1 (ko) 교통 수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726049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20791B1 (ko) 산림빅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하여 데이터 상품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JP202019427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859529B1 (ko) 부동산 매물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210070000A (ko) 스마트 여행일정관리서비스 시스템
JP2003132076A (ja) 情報管理システム
JP743839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サーバ
JP7280421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