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406A - 미스트 분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장치 - Google Patents

미스트 분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406A
KR20240021406A KR1020220099676A KR20220099676A KR20240021406A KR 20240021406 A KR20240021406 A KR 20240021406A KR 1020220099676 A KR1020220099676 A KR 1020220099676A KR 20220099676 A KR20220099676 A KR 20220099676A KR 20240021406 A KR20240021406 A KR 20240021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t
water tank
ultrasonic vibrator
liqui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희환
Original Assignee
천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희환 filed Critical 천희환
Priority to KR1020220099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1406A/ko
Publication of KR20240021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40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2Piezo or ultrasonic elements for dispen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자로 발생시킨 미스트를 정체되지 않게 신속하게 고압 기류에 고르게 섞어 외부로 배출되게 함은 물론이고 체적이 큰 미스트를 분리하여 초음파 진동자로 재분무하게 하거나 또는 직접 미세 미스트화하여 배출되게 함으로써 미스트를 미세화하여 다량으로 배출되는 미스트 분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를 담아두며 고압 공기를 통과시키는 구조의 수조(110)와, 부유시킨 초음파 진동자(121) 위에 다공성 부재(122)를 배치한 미스트 발생부(120)와, 미스트 발생부(120)의 최대 높이를 제안하며 수위에 따라 승강시키는 가이드봉(130)과, 초음파 진동자(121)와 다공성 부재(122) 사이로 고압 공기의 일부를 유도하는 에어 가이드부(1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스트 분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장치{MIST SPRAY DEVICE AND DEODORIZ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탈취제, 방향제, 약제 등의 원액을 희석하여 제조한 액체를 수조에 담아두고, 수조의 내부에서 초음파 진동자로 분무하며, 수조의 내부에 고압 공기를 불어넣어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분무된 미스트를 수조 외부로 분사되게 하는 미스트 분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생시킨 미스트를 정체되지 않게 신속하게 고압 기류에 고르게 섞여 외부로 배출되게 함은 물론이고 체적이 큰 미스트를 분리하여 초음파 진동자로 재분무하게 하거나 또는 직접 미세 미스트화하여 배출되게 함으로써 미스트를 미세화하여 다량으로 배출되게 하는 미스트 분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탈취제, 방향제, 약제(예를 들어 살충제 또는 살균제) 등의 원액을 희석하여 제조한 액체를 다량으로 살포하는 미스트 분무 장치는 액체의 미스트를 고압의 기류에 의해 분사되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서 이류체 노즐을 사용할 수 있으나, 노즐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다량으로 살포하기도 어렵다. 액체를 뿌린 담지체, 흡수 패드, 다공성 패드 등에 고압 기류를 통과시키게 하는 방식도 있으나, 이 방식에서도 구동장치의 추가에 따른 잔 고장의 문제점이 있고, 더욱이, 고압 기류를 방해하여 다량 살포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 어려움 및 살포량 한계를 해소하기 위해서, 등록특허 제10-1651257호 및 등록특허 제10-234128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액체를 진동시키는 초음파 진동기 또는 액체의 수중에서 버블을 일으키는 버블 발생기를 미스트 발생기로 사용하여 액체의 수면 위에 미스트를 발생시키고, 수면 위 공간에서 고압 기류에 의해 미스트를 살포하도록 미스트를 유도하는 수단을 설치한다.
하지만, 등록특허 제10-1651257호는 미스트를 부압에 의해 고압 기류의 공기에 섞이게 하므로, 미스트가 정체되기 쉽고, 미스트가 고압 기류의 공기와 고르게 섞이기 이전에 응축되기 쉽고, 공기와 고르게 섞이지 않은 상태로 배출되기 쉽다.
등록특허 제10-2341286호는 미스트 발생 공간이 격리되어 있고 미스트 유도 수단이 기류를 방해하는 저항요소가 되므로, 등록특허 제10-1651257호와 마찬가지로 미스트가 정체되기 쉽고, 미스트가 고압 기류의 공기와 고르게 섞이기 이전에 응축되기 쉽고, 공기와 고르게 섞이지 않은 상태로 배출되기 쉽다. 더욱이, 다량의 미스트를 살포하는 데 부족함이 있고, 발생시킨 미스트 전체를 고압 기류에 혼합하기 이전에 다공성 부재(118)로 통과시키므로 미세한 미스트까지 응축되는 문제도 발생하여 가동 시간 대비 미스트 배출량도 줄어든다.
KR 10-1651257 B1 2016.08.19. KR 10-2341286 B1 2021.12.1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 기류의 흐름을 최대한 방해하지 아니하면서, 초음파 진동자로 발생시킨 미스트를 지체 없이 고압 기류에 고르게 섞어 배출되게 하며, 초음파 진동자에서 발생한 미스트 중에 체적인 큰 미스트를 걸러내어 고압 기류로 운반되지 않게 함으로써 배출되는 미스트를 미세화하면서 가능하면 균일한 양으로 다량 배출할 수 있는 미스트 분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미스트 분무 장치에 있어서, 미스트화할 액체를 담아두며, 액체 수면 위 공간에 고압 공기를 주입할 에어 주입구(111)와 액체 수면 위 공간에서 발생하는 미스트를 배출할 미스트 배출구(112)를 대향하도록 측면에 구비한 수조(110); 액체를 미스트화하는 초음파 진동자(121)를 부력체(123)에 안착하여 액체에 소정 수심으로 잠긴 상태로 부유하게 하고, 초음파 진동자(121) 위에 소정 높이로 위치하도록 부력체(123)에 지지되게 하여 초음파 진동자(121)의 위를 덮게 한 다공성 부재(122)를 구비하는 미스트 발생부(120); 수조(110)의 바닥에 수직으로 세워 부력체(123)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미스트 발생부(120)가 수면 높이에 따라 승강하게 하되, 다공성 부재(122)가 에어 주입구(111)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가이드봉(130); 및 에어 주입구(111)의 내부 통로 중에 하부측 내부 통로와 마주하며 수조(110) 바닥을 향해 하향 경사진 판 형태로 구성하여 미스트 배출구(112)를 향해 흐르는 공기의 일부를 초음파 진동자(121)와 다공성 부재(122) 사이의 공간을 향해 유도하는 에어 가이드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110)의 바닥 부위 중에 상기 가이드봉(130)이 세워진 부위에는 상기 부력체(123) 중에 초음파 진동자(121)를 안착한 부분을 여유 있게 끼워넣을 수 있는 집수 홈(115)이 조성된다.
상기 미스트 배출구(112)의 내부 통로 중심에는 공기 흐름 방향의 전면 및 후면을 각각 테이퍼지게 한 응축 부재(151)와, 응축 부재(151)의 후면을 감싸는 다공성 부재(152)와, 다공성 부재(152)를 감싸는 망체(153a) 및 응축 부재(151)의 최대 지름 부위를 간격을 두고 둘레방향을 따라 감싸는 물받이(153b)를 갖춘 부재 고정체(153)를 포함한 과대 액적 포집부(150)를 배치한다.
상기 과대 액적 포집부(150)는 상기 물받이(153b)에 고인 액체를 수조(110) 내부로 환수하기 위한 배수관(154)을 포함한다.
상기 미스트 발생부(120)의 부력체(123)는 상기 초음파 진동자(121)를 안착한 부위에서 수면을 따라 연장되어 부유하는 연장 부위(123a)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탈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미스트 분무 장치(100); 수조(110)의 에어 주입구(111)에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1); 및 수조(110)의 미스트 배출구(112)에서 액체의 미스트가 섞인 공기를 외부로 고르게 분사하는 분사기(2);를 포함하며, 수조(110)에는 탈취제 원액의 희석액 또는 탈취제 및 방향제 원액의 희석액을 담아두어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자(121)에서 발생시킨 미스트 중에 체적인 큰 미스트를 흡수하는 다공성 부재(122)와, 미스트 발생 공간을 향해 가압 공기를 강제적으로 유도하는 에어 가이드부(140)를 구비하며, 가압 공기의 기류에 가해지는 저항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다량의 미세 미스트만 지체 없이 고압 기류에 고르게 섞어 배출되게 할 수 있고, 초음파 진동자(121)를 부유시켜서, 액체 수위의 변화에도 미스트 배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과대 액적 포집부(150)를 구비함으로써, 배출되는 미스트를 더욱 미세화하고, 미스트의 응축액을 수조 밖으로 유출되지 않게 하여, 외부 살포 과정에서 미스트 응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무 장치(100)의 외형과 이를 포함한 탈취 장치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무 장치(100)의 내부 투시 사시도.
도 3은 미스트 발생부(120) 및 과대 액적 포집부(150)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무 장치(100)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무 장치(100)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무 장치(100)는 미스트화하여 살포할 액체를 담아둘 수 있는 수조(110)에 에어 주입구(111), 미스트 배출구(112), 점검구(113) 및 원액 주입구(114)를 조성하고, 후술하는 내장 요소들(미스트 발생부(120), 가이드봉(130), 에어 가이드부(140), 과대 액적 포집부(150))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점검구(113)는 후술하는 내장 요소들을 수조(110)에 설치하거나 상태 점검 또는 교체 수리를 위해 사용할 수 있고, 액체를 내부에 투입 또는 보충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수조(110) 내부의 액체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유면계를 수조(11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미스트 분무 장치(100)는 에어 주입구(111)를 통해 고압 공기를 불어넣기 위한 송풍기(1)와, 미스트 배출구(112)에 연결하여 액체 미스트를 살포 구역에 고르게 살포하기 위한 분사기(2)와, 원액 주입구(114)를 통해 원액을 주입하기 위한 원액 공급기(3)와, 송풍기(1), 원액 공급기(3) 및 하기의 초음파 진동자(121)를 가동시키기 위한 조작반(4)을 결합하여 탈취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살포할 액체는 예를 들어 탈취제, 방향제, 탈취제와 방향제의 혼합제, 살충제나 살균제와 같은 약제 등의 액체일 수 있고, 이러한 액체의 원액을 물로 희석한 것일 수 있다. 물론, 원액 공급기(3)로 주입할 원액은 수조(110)에 담아두는 액체의 원액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성분일 수 있다. 그리고, 살포할 구역은 축산시설, 어폐류 가공공장, 악취가 발생하는 공장,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 살균/소독 구역,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 폐기물 처리시설 등으로 할 수 있고, 해당 구역에 맞춰 적절한 액체를 살포할 수 있다.
도 2는 점검구(113)를 열어놓은 상태의 수조(110) 내부를 투시하여서, 수조(110) 내부 공간 상에서 에어 주입구(111), 미스트 배출구(112), 점검구(113) 및 원액 주입구(114)의 조성 위치와, 내장된 미스트 발생부(120), 가이드봉(130), 에어 가이드부(140) 및 과대 액적 포집부(150)의 배치 위치 및 구조와, 수조(110) 내부의 바닥에 조성된 집수 홈(115)의 조성 위치 및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조(110)는 뉘어놓은 원통형 형상을 갖추며 양 측면 개구를 덮개로 막고, 양 측면 덮개에서 상부측에 가까운 부위에 배관 연결구를 조성하여 어느 한쪽 배관 연결구를 상기 에어 주입구(111)로 사용하고, 다른 한쪽 배관 연결구를 상기 미스트 배출구(112)로 사용하여, 상기 에어 주입구(111) 및 미스트 배출구(112)가 상기 수조(110)의 내부 공간 중 상부측 공간에서 상호 대향하게 한다. 상기 점검구(113)는 상기 수조(110)의 상부측 공간의 위에 조성되고, 상기 원액 주입구(114)는 상기 에어 주입구(111)가 조성된 덮개 중에 상기 에어 주입구(111)가 조성된 부위보다 약간 높은 부위에 조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조(20)의 형태는 액체를 가능하면 많이 담아둘 수 있게 하고, 상기 에어 주입구(111)를 통해 주입되는 고압 공기에 의해서 원액을 미스트화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조(110)에 내장한 상기 미스트 발생부(120), 가이드봉(130), 에어 가이드부(140) 및 과대 액적 포집부(150)에 대해서는 도 3에 도시한 미스트 발생부(120) 및 과대 액적 포집부(150)의 사시도와, 도 4에 도시한 수조(110)의 횡단면도와, 도 5에 도시한 수조(110)의 종단면도를 참조하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에어 주입구(111)에서 상기 미스트 배출구(112)를 향하는 방향을 종방향이라 하고 도시한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상기 미스트 발생부(120)는 액체를 미스트화할 초음파 진동자(121)와, 초음파 진동자(121)를 안착 고정하며 액체에 담겨 초음파 진동자(121)를 소정 수심으로 잠긴 상태로 부유하게 하는 부력체(123)와, 초음파 진동자(121)의 위에 소정 높이로 위치하도록 부재 고정체(124) 및 이격재(124a)를 이용하여 부력체(123)에 지지되게 설치한 다공성 부재(122)를 포함한다.
초음파 진동자(121)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 에너지에 의해 초음파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판으로 진동자(121a)를 진동시키며, 액체를 미스트화(또는 무화)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진동자(121a)를 액체에 잠기게 하여야 한다. 이러한 초음파 진동자(121)의 진동자(121a)는 상면에 설치되고, 제품마다 차이는 있지만 예를 들어 5cm 이내의 수심으로 침수되어야만 분무 성능을 기대할 수 있고, 1~2cm 수심으로 침수되었을 시에 최고의 분무 성능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즉, 사용할 초음파 진동자(121)의 진동자(121a)를 소정 수심으로 침수시킨 상태에서 초음파 진동자(121)를 가동시켜야만 분무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이에, 상기 부력체(123)는 상기 초음파 진동자(121)를 소정 수심으로 잠기게 하는 부력을 갖고,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가 상기 초음파 진동자(121)를 향해 유입되게 할 유로를 측면 측에 충분히 확보한 형태로 구성한다. 이를 위한 상기 부력체(123)는 초음파 진동자(121)의 질량과, 액적이 흡수된 상태의 상기 다공성 부재(122)의 질량과, 상기 다공성 부재(122)를 상부에 이격 설치하기 위한 부재 고정체(124) 및 이격재(124a)의 질량을 반영하면서 상기 초음파 진동자(121)를 소정 수심으로 잠기게 하는 부력을 갖게 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초음파 진동자(121)에 전원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은 상기 부력체(123)에 고정하고 부력쳬(123)가 수조(110 바닥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액체의 수중으로 늘어뜨려놓은 후 수조(110)를 관통시켜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받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케이블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고려한 부력이 발휘되게 하고, 비록 고압 공기의 영향을 적게 받지만 고압 공기에 의한 풍압도 고려한 부력이 발휘되게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부력체(123)는 종방향으로 연장한 부위(123a)를 갖게 구성하였다. 이러한 연장 부위(123a)는 상기 초음파 진동자(121)를 안착 고정하는 부위보다 얇으면서 안착 고정하는 부위의 상단 높이에 맞춰 길게 형성하여서, 수면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부유하여, 안착 고정하는 부위의 부피는 줄이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착 고정하는 부위를 집수 홈(115)에 삽입할 수 있게 하고, 충분한 부력을 갖게 하기도 한다. 또한, 연장 부위(123a)는 액체 수면을 부분적으로 덮어서 고압 공기에 의해 일어나는 액체의 물결 파고를 낮추는 역할도 한다. 한편, 상기 수조(110)를 원통형으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내부 바닥을 평탄하게 형성한 것이라면, 연장 부위(123a)는 횡방향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부재(122)는 상면과 저면의 망체 사이에 공간을 갖는 부재 고정체(124)의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부력체(123)의 상면에 세운 이격재(124a)의 상단에 부재 고정체(124)를 고정하여서, 상기 다공성 부재(122)가 상기 초음파 진동자(121) 위에 소정 높이로 위치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다공성 부재(122)는 상기 초음파 진동자(121)보다는 넓은 면적을 갖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121)의 위를 덮는 형태로 설치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초음파 진동자(121)에 의해 발생하는 미스트 중에 상기 다공성 부재(122)까지 튀어 닿는 미스트는 상기 다공성 부재(122)에 흡수되고, 고압 공기가 통과함에 따라 미세 미스트로 분무할 수 있고, 흡수량이 많을 시에 액적으로 낙하할 수 있다. 즉, 상기 초음파 진동자(121)가 가동할 시에 부피가 작은 미스트가 다량으로 발생하지만 부피가 큰 액적도 발생하여 상부로 튀어오르는데, 이러한 부피가 큰 액적은 미세한 미스트보다는 높게 튀므로 상기 다공성 부재(122)로 흡수하여 재사용 또는 미세 미스트화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 진동자(121)와 다공성 부재(122) 사이의 간격은 사용하는 초음파 진동자(121)에 발생하는 액적의 튐 높이에 따라 적절한 값을 갖게 하며, 시판되는 초음파 진동자(121)에 따르면 대략 5~10cm이면 적당한다.
상기 가이드봉(130)은 상기 미스트 발생부(120)를 수면 높이에 따라 승강하게 가이드하여 상기 초음파 진동자(121)의 잠김 깊이를 가능하면 일정하게 유지하게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이드봉(130)은 수조(110)의 바닥에 수직으로 수직으로 세운 후 상기 부력체(123)에 관통시켜서 상기 부력체(123)의 상하 이동을 자유롭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봉(130)은 상기 다공성 부재(122)가 에어 주입구(111)의 가장 아래쪽 부분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승 높이를 제한하며, 이를 위해서, 제한된 높이에 놓일 시에 상기 부력체(123) 중에 관통되는 부분의 상면에 걸리는 지름 확장 부위(131)를 갖게 한다. 그리고, 상기 미스트 발생부(120)가 상기 가이드봉(130)을 따라 수조(110) 바닥으로 내려가기 위해서, 지름 확장 부위(131)를 여유있게 관통시킬 관통구(122a)를 상기 부재 고정체(124)에 설치한 다공성 부재(122)에 형성하였고, 상기 부재 고정체(124)도 지름 확장 부위(131)를 여유있게 관통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게 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수조(110)의 내부 바닥면 중에 상기 가이드봉(130)을 세워 놓는 부위에는 상기 부력체(123) 중에 상기 초음파 진동자(121)를 안착 고정한 부분을 여유 있게 끼워넣을 수 있는 집수 홈(115)이 조성되어서,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집수 홈(115)에 고인 액체로 미스트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집수 홈(115)의 바닥에는 상기 부력체(123)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낮추기 위해서 예를 들어 스폰지와 같은 완충재를 깔아놓는 것이 좋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123)에 연장 부위(123a)를 형성한 경우에는 수조(110) 바닥면 중에 연장 부위(123a)에 닿는 부분에도 완충재를 깔아놓는 것이 좋다.
상기 에어 가이드부(140)는 상단 부위의 면이 에어 주입구(111)의 하부측 내부 공간과 마주하게 하고, 에어 주입구(111)와는 약간 이격되어 에어 주입구(111)와 미스트 발생부(120) 사이의 공간 중에 에어 주입구(11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며, 수조(110) 바닥을 향해 하향 경사진 판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부(140)의 하향 경사진 각도는 수조(110) 바닥까지 내려간 상기 미스트 발생부(120)에도 고압 공기를 불어줄 수 있는 각도로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기 에어 가이드부(140)는 에어 주입구(111)를 통해 수조(110) 내부 상부 공간으로 주입되어 미스트 배출구(112)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를 초음파 진동자(121)와 다공성 부재(122) 사이의 공간으로 유도하여서, 초음파 진동자(121)에 의해 발생한 미스트가 포함되는 공기를 에어 주입구(111)와 미스트 배출구(112) 사이에서 흐르는 공기와 고르게 섞이게 한다.
이에 따라, 초음파 진동자(121)에 의해 발생한 미스트의 응축을 최소화하면서 공기에 고르게 섞인 상태로 미스트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게 한다.
상기 과대 액적 포집부(150)는 미스트 배출구(112)의 중심에 배치하여 지름이 큰 미스트를 분리한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미스트 배출구(112)에는 예를 들어 분무기(2)에 연결하기 위한 배관(112b)과의 사이에 배관(112b)보다 지름이 큰 확장 배관부(112a)를 설치한 후 확장 배관부(112a) 내부에 상기 과대 액적 포집부(15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과대 액적 포집부(150)의 외경 최대값이 확장 배관부(112a)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서, 미스트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과대 액적 포집부(150)를 우회하며 통과한 후 배관(112b)으로 배출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과대 액적 포집부(150)는 공기 흐름 방향의 전면(수조 내부를 향하는 면) 및 후면(배관을 향하는 면)을 각각 테이퍼지게 하여 양면이 원뿔 형상을 갖게 한 응축 부재(151)와, 응축 부재(151)의 후면을 감싸는 다공성 부재(152)와, 다공성 부재(152)를 후방측에서 감싸는 부재 고정체(153)와, 다공성 부재(152)에 의해 모인 액체을 부재 고정체(153)를 통해 받아 수조(110) 내부로 환수시키는 배수관(15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응축 부재(151)를 구비한 상기 과대 액적 포집부(150)를 배치함으로써, 미스트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확장 배관부(112a)로 유입된 후 상기 응축 부재(151)의 전면측 테이퍼 면에서 우회하여 후방측으로 이동하므로, 공기 흐름에 의해 운반되는 미스트는 전면측 테이퍼 면을 우회하는 동안 가속도를 갖고 이동한다. 이에 따라, 체적이 큰만큼 운동관성이 큰 미스트는 전면측 테이퍼 면의 영향을 받아 체적이 큰 다른 미스트와 결합하여 응축하지만, 체적이 작은 미스트는 응축되지 않고 우회될 확률이 높다. 즉, 상기 응축 부재(151)는 체적이 큰 미스트를 포집하는 데 효과적이므로, 특히 수조(110)에 주입한 고압 공기에 의한 난류에 의해서 상기 다공성 부재(122)로 포집되지 않은 체적이 큰 액적이 공기 흐름으로 운반되더라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상기 부재 고정체(153)는 상기 다공성 부재(152)를 감싸는 부분을 망체(153a)로 구성하고, 상기 응축 부재(151)에 의한 응축수를 모으기 위한 물받이(153b)도 구비한다. 여기서, 물받이(153b)는 상기 응축 부재(151)에서 전후 테이퍼 면의 경계인 최대 지름 부위를 간격을 두고 둘레방향을 따라 감싼다.
이에 상기 응축 부재(151)의 전면측 테이퍼 면에서 응축된 액체를 물받이(153b)로 받아 상기 다공성 부재(152)로 유도하여 가압 공기에 의해 미세 미스트로 배출되게 함은 물론이고 응축 액체의 양이 많을 시에는 물받이(153b)에 의해 모인 후 배수관(154)을 통해 수조(110) 내부로 환수되게 한다.
한편, 상기 미스트 발생부(120)의 다공성 부재(122)와 상기 과대 액적 포집부(150)의 다공성 부재(152)는 미세한 기공들이 서로 연결된 구조체로서 예를 들어 스폰지, 천, 부직포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부재(122, 152)는 액체를 흡수함은 물론이고 고압 공기가 통과하며 액체를 미스트화하여 분무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체적이 큰 액적(물방울) 또는 응축 액체를 흡수하여 공기 흐름으로 직접 배출되지 않게 하고, 흡수 후 고압 공기에 의해 미스트화하여 배출되게 한다. 이에, 미세 미스트를 고르게 섞은 고압 공기를 배출하여 배관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응축되는 양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미스트 분무 장치(100)를 이용하여 탈취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탈취 장치는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미스트 분무 장치(100)와, 수조(110)의 에어 주입구(111)에 고압 공기를 불어넣기 위한 송풍기(1)와, 수조(110)의 미스트 배출구(112)에서 배출되는 미스트가 포함된 가압 공기를 외부에 고르게 분사하는 분사기(2)를 포함하며, 탈취제 원액의 희석액 또는 탈취제 및 방향제 원액의 희석액을 수조(110)에 담아두어 희석액을 살포한다.
여기서 분사기(2)는 상기 수조(110)의 확장 배관부(112a)에 배관(112b)으로 연결되어 살포 구역에 고르게 분사하는 장치로서, 다수의 분출공이 마련된 분사 파이프로 구성하여 분사 파이프를 따라 고르게 살포하거나, 또는 분사 방향으로 확관된 분사기로 구성하여 넓은 영역에 고르게 살포할 수 있다.
원액을 담아두는 용기와 용기의 원액을 정량 공급하는 정량 펌프를 구비한 원액 공급기(3)를 수조(110)의 원액 주입구(114)에 연결하여, 원액을 수조(110)에 정량 공급할 수도 잇다.
사용자가 가동 또는 가동 중단시키기 위한 조작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반은 송풍기(1), 원액 공급기(3) 및 초음파 진동자(121)의 전원 공급 또는 온/오프(ON/OFF) 제어하는 구성요소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송풍기 2 : 분사기
3 : 원액 공급기 4 : 조작반
100 : 액체 기화 분사 장치
110 : 수조
111 : 에어 주입구 112 : 미스트 배출구
112a : 확장 배관부 112b : 배관
113 : 점검구 114 : 원액 주입구
115 : 집수 홈
120 : 미스트 발생부
121 : 초음파 진동자 121a : 진동자
122 : 다공성 부재 122a : 관통구
123 : 부력체 123a : 연장 부위
124 : 부재 고정체 124a : 이격재
130 : 가이드봉 131 : 지름 확장 부위
140 : 에어 가이드부
150 : 과대 액적 포집부
151 : 응축 부재 152 : 다공성 부재
153 : 부재 고정체 153a : 망체
153b : 물받이 154 : 배수관

Claims (6)

  1. 미스트화할 액체를 담아두며, 액체 수면 위 공간에 고압 공기를 주입할 에어 주입구(111)와 액체 수면 위 공간에서 발생하는 미스트를 배출할 미스트 배출구(112)를 대향하도록 측면에 구비한 수조(110);
    액체를 미스트화하는 초음파 진동자(121)를 부력체(123)에 안착하여 액체에 소정 수심으로 잠긴 상태로 부유하게 하고, 초음파 진동자(121) 위에 소정 높이로 위치하도록 부력체(123)에 지지되게 하여 초음파 진동자(121)의 위를 덮게 한 다공성 부재(122)를 구비하는 미스트 발생부(120);
    수조(110)의 바닥에 수직으로 세워 부력체(123)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미스트 발생부(120)가 수면 높이에 따라 승강하게 하되, 다공성 부재(122)가 에어 주입구(111)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가이드봉(130);
    에어 주입구(111)의 내부 통로 중에 하부측 내부 통로와 마주하며 수조(110) 바닥을 향해 하향 경사진 판 형태로 구성하여 미스트 배출구(112)를 향해 흐르는 공기의 일부를 초음파 진동자(121)와 다공성 부재(122) 사이의 공간을 향해 유도하는 에어 가이드부(140);
    를 포함하는 미스트 분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110)의 바닥 부위 중에 상기 가이드봉(130)이 세워진 부위에는
    상기 부력체(123) 중에 초음파 진동자(121)를 안착한 부분을 여유 있게 끼워넣을 수 있는 집수 홈(115)이 조성된
    미스트 분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배출구(112)의 내부 통로 중심에는
    공기 흐름 방향의 전면 및 후면을 각각 테이퍼지게 한 응축 부재(151)와, 응축 부재(151)의 후면을 감싸는 다공성 부재(152)와, 다공성 부재(152)를 감싸는 망체(153a) 및 응축 부재(151)의 최대 지름 부위를 간격을 두고 둘레방향을 따라 감싸는 물받이(153b)를 갖춘 부재 고정체(153)를 포함한 과대 액적 포집부(150)를 배치한
    미스트 분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과대 액적 포집부(150)는
    상기 물받이(153b)에 고인 액체를 수조(110) 내부로 환수하기 위한 배수관(154)을 포함하는
    미스트 분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발생부(120)의 부력체(123)는
    상기 초음파 진동자(121)를 안착한 부위에서 수면을 따라 연장되어 부유하는 연장 부위(123a)를 구비한
    미스트 분무 장치.
  6.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에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미스트 분무 장치(100);
    수조(110)의 에어 주입구(111)에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1);
    수조(110)의 미스트 배출구(112)에서 액체의 미스트가 섞인 공기를 외부로 고르게 분사하는 분사기(2);
    를 포함하며, 수조(110)에는 탈취제 원액의 희석액 또는 탈취제 및 방향제 원액의 희석액을 담아두어 사용하는
    탈취 장치.
KR1020220099676A 2022-08-10 2022-08-10 미스트 분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장치 KR20240021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676A KR20240021406A (ko) 2022-08-10 2022-08-10 미스트 분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676A KR20240021406A (ko) 2022-08-10 2022-08-10 미스트 분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406A true KR20240021406A (ko) 2024-02-19

Family

ID=9005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676A KR20240021406A (ko) 2022-08-10 2022-08-10 미스트 분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140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257B1 (ko) 2015-03-19 2016-08-25 (주)에코프랑 액상 탈취제 기화수단을 포함한 탈취시설
KR102341286B1 (ko) 2021-04-01 2021-12-21 주식회사 수본 미스트 분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257B1 (ko) 2015-03-19 2016-08-25 (주)에코프랑 액상 탈취제 기화수단을 포함한 탈취시설
KR102341286B1 (ko) 2021-04-01 2021-12-21 주식회사 수본 미스트 분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2056B2 (en) Fragrance nebulizer with drainage system
KR101955270B1 (ko)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KR101005476B1 (ko) 수세 화장실 설비
EP2850241B1 (de)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mit einer nebelerzeugungseinrichtung
KR101933868B1 (ko) 탈취기
KR102132887B1 (ko) 탈취 장치
KR101954943B1 (ko) 약품 기화 분사장치
KR20240021406A (ko) 미스트 분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장치
CN111417466B (zh) 液体微细化装置及换气装置、空气净化器、空气调节器
RU25538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сыщения воды кислородом
KR960030953A (ko) 탈취방법과 탈취장치
CN210220121U (zh) 一种低噪音雾化加湿器
US5261933A (en) Vent gas deodorizing system
KR20140135425A (ko) 자연 증발식 천연 가습기
JP2002307053A (ja) オゾン水生成装置の気液分離器、及びオゾン水生成装置
KR102385185B1 (ko) 초미세 향 발생 가습기
KR101756829B1 (ko) 탈취장치
JP5830922B2 (ja) 加湿器の吹出構造
JP2002307054A (ja) オゾン水生成装置の気液分離器、及びオゾン水生成装置
JP2008221134A (ja) ミスト発生装置
KR102007305B1 (ko) 오존미스트를 이용한 탈취 및 살균장치
KR101023736B1 (ko) 미세 에어버블 흡수기 장착형 하이브리드 바이오트리클링 필터장치 및 필터방법
CN213762507U (zh) 喷漆机
JP2001286545A (ja) 脱臭装置及び脱臭方法
EP4331358A1 (en) A method of killing a small animal and an animal 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