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989A - 차량 스토퍼 - Google Patents

차량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989A
KR20240020989A KR1020220099398A KR20220099398A KR20240020989A KR 20240020989 A KR20240020989 A KR 20240020989A KR 1020220099398 A KR1020220099398 A KR 1020220099398A KR 20220099398 A KR20220099398 A KR 20220099398A KR 20240020989 A KR20240020989 A KR 20240020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ke
stopper
vehicle
stopper body
cla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송수
안영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99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989A/ko
Publication of KR20240020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3/00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e.g.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차량 스토퍼가 개시된다. 차량 스토퍼는, 일측에는 차량의 바퀴에 측면이 지지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스토퍼 바디와, 스토퍼 바디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정 각도의 회전시 스토퍼 바디의 하부로 돌출되어 바닥면에 마찰 접촉되는 회전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스토퍼{STOPP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바퀴의 밀림을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차량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미콘, 트럭을 비롯한 각종 차량은 차체와 적재물의 중량이 무거워 경사로에는 앞 또는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고임목을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고임목을 설치지 않은 경우, 경사로에서 차량이 밀려 다른 차량 또는 사람에 충격을 가해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레미콘 또는 트럭 등의 경사로 주차시 필수적으로 고임목을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 고임목은 바닥면에 마찰 접촉되는 지지력이 한정되어, 충분한 지지력으로 차량의 밀림을 방지하는 것이 어려워, 차량 밀림에 따른 차량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바퀴를 지지한 상태에서 회전 스파이크의 작동으로 마찰력을 더욱 부가하여 차량의 밀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스토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측에는 차량의 바퀴에 측면이 지지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스토퍼 바디와, 스토퍼 바디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정 각도의 회전시 스토퍼 바디의 하부로 돌출되어 바닥면에 마찰 접촉되는 회전 고정부를 포함한다.
스토퍼 바디의 하부에는 바닥면에 마찰 접촉되는 복수개의 마찰 돌부가 돌출될 수 있다.
경사면은 바퀴에 접촉되는 부분에 오목면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는, 스토퍼 바디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에 일부분에는 톱니부가 형성되는 회전 스파이크와, 회전 스파이크의 측면에 돌출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스파이크는, 스토퍼 바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의 일부분에는 제1 톱니부가 형성되는 제1 스파이크와, 스토퍼 바디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의 일부분에는 제2 톱니부가 형성되는 제2 스파이크와, 제1 스파이크와 제2 스파이크를 서로간에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파이크는, 회전축의 회전력 전달에 의해 설정 각도 범위로 회전되어 제1 톱니부가 스토퍼 바디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스파이크는, 외주면의 일부분에 제1 톱니부가 형성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1 회전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2 스파이크는, 회전축의 회전력 전달에 의해 설정 각도 범위로 회전되어 제2 톱니부가 스토퍼 바디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스파이크는, 외주면의 일부분에 제2 톱니부가 형성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2 회전 플레이트일 수 있다.
손잡이부는, 제1 스파이크의 측면에 돌출되는 제1 손잡이와, 제2 스파이크의 측면에 돌출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은, 일단은 제1 스파이크의 내표면의 편심된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토퍼 바디를 통과하여 제2 스파이크의 내표면의 편심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측에는 차량의 바퀴에 측면이 지지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스토퍼 바디와, 스토퍼 바디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정 각도의 회전시 스토퍼 바디의 하부로 돌출되어 바닥면에 마찰 접촉되는 회전 고정부와, 스토퍼 바디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표시부는, 일단은 스토퍼 바디의 측면에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에는 표시 돌부가 돌출될 수 있다.
표시부는, 일단은 스토퍼 바디의 측면에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바와, 삽입바의 단부에 돌출되며, 표면에 반사부재가 도포된 표시 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바디의 하부에는 바닥면에 마찰 접촉되는 복수개의 마찰 돌부가 돌출될 수 있다.
경사면은 바퀴에 접촉되는 부분에 오목면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는, 스토퍼 바디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에 일부분에는 톱니부가 형성되는 회전 스파이크와, 회전 스파이크의 측면에 돌출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스파이크는, 스토퍼 바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의 일부분에는 제1 톱니부가 형성되는 제1 스파이크와, 스토퍼 바디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의 일부분에는 제2 톱니부가 형성되는 제2 스파이크와, 제1 스파이크와 제2 스파이크를 서로간에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파이크는, 회전축의 회전력 전달에 의해 설정 각도 범위로 회전되어 제1 톱니부가 스토퍼 바디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스파이크는, 외주면의 일부분에 제1 톱니부가 형성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1 회전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2 스파이크는, 회전축의 회전력 전달에 의해 설정 각도 범위로 회전되어 제2 톱니부가 스토퍼 바디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스파이크는, 외주면의 일부분에 제1 톱니부가 형성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2 회전 플레이트일 수 있다.
손잡이부는, 제1 스파이크의 측면에 돌출되는 제1 손잡이와, 제2 스파이크의 측면에 돌출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은, 일단은 제1 스파이크의 내표면의 편심된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토퍼 바디를 통과하여 제2 스파이크의 내표면의 편심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바퀴의 밀림을 회전 고정부에 형성된 스파이크의 마찰 작용에 의해 더욱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여, 차량 밀림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토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 스토퍼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 스토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토퍼의 회전 스파이크의 미회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회전 스파이크의 회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토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차량 스토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토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 스토퍼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차량 스토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토퍼(100)는, 일측에는 차량의 바퀴에 측면이 지지되는 경사면(11)이 형성되는 스토퍼 바디(10)와, 스토퍼 바디(1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정 각도의 회전시 스토퍼 바디(10)의 하부로 돌출되어 바닥면에 마찰 접촉되는 회전 고정부(20)를 포함한다.
스토퍼 바디(10)는 차량의 바퀴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고임목 기능이 가능하도록 차량 바퀴를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 바디(10)는 차량 바퀴의 밀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측면에 경사면(11)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1)은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 바디(10)의 대향하는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경사면(11)은 라운드 형상의 바퀴의 외표면에 대응하여 접촉 면적의 극대화를 위해 오목면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차량 바퀴는 외표면이 경사면(11)에 마찰력이 극대화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접촉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 바디(10)의 측면에는 파지부(미도시)가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지부는 작업자가 한 손 또는 양 손으로 적절하게 파지 가능하도록 스토퍼 바디의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부는 작업자가 손을 넣어 파지 가능한 고리 형상으로 스토퍼 바디(10)의 측면에 돌출될 수 있다. 물론, 파지부는 고리 형상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가 스토퍼 바디의 용이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적절한 형상과 크기로 변경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토퍼 바디(10)는 차량 바퀴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바퀴와 효과적인 마찰 접촉 지지가 가능하도록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스토퍼 바디(10)는 고무 재질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퀴와 용이한 마찰 접촉이 가능한 우레탄 등의 소정의 재질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스토퍼 바디(10)의 하부에는 바닥면에 마찰 접촉되는 복수개의 마찰 돌부(13)가 돌출될 수 있다.
마찰 돌부(13)는 스토퍼 바디(10)의 하부면의 일부분에 복수개가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돌출될 수 있다. 마찰 돌부(13)는 스토퍼 바디(10)의 하부면에 사각 단면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고, 일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밀림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스토퍼 바디(10)에는 차량 바퀴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을 더욱 제공하는 회전 고정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20)는, 스토퍼 바디(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에 일부분에는 톱니부(22a, 22b)가 형성되는 회전 스파이크(21)와, 회전 스파이크(21)의 측면에 돌출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손잡이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토퍼의 회전 스파이크의 미회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회전 스파이크의 회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스파이크(21)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스토퍼 바디(1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 톱니부(22a, 22b)가 스토퍼 바디(10)의 하부로 돌출되어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 스파이크(21)는, 스토퍼 바디(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의 일부분에는 제1 톱니부(22a)가 형성되는 제1 스파이크(21a)와, 스토퍼 바디(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의 일부분에는 제2 톱니부(22b)가 형성되는 제2 스파이크(21b)와, 제1 스파이크(21a)와 제2 스파이크(21b)를 서로간에 연결하는 회전축(2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파이크(21a)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스토퍼 바디(10)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의 일부분에는 일정 길이의 제1 톱니부(2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스파이크(21a)는 제1 회전 플레이트로 적용될 수 있다.
제2 스파이크(21b)는 제1 스파이크(21a)의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의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파이크(21b)는 스토퍼 바디(10)를 사이에 두고 제1 스파이크(21a)가 설치된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스토퍼 바디(1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파이크(21b)는 제2 회전 플레이트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스파이크(21a)와 제2 스파이크(21b)는 서로간에 회전축(21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21c)은 일단은 제1 스파이크(21a)의 내벽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토퍼 바디(10)를 통과하여 제2 스파이크(21b)의 내벽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21c)은 제1 스파이크(21a)와 제2 스파이크(21b) 각각의 회전 중심축에 편심된 상태로 각각의 내벽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21c)의 회전 작동에 따라 제1 스파이크(21a)와 제2 스파이크(21b)의 각각의 일부분은 스토퍼 바디(1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톱니부(22a)와 제2 톱니부(22b)는, 제1 스파이크(21a)와 제2 스파이크(21b)의 회전 작동에 따라 스토퍼 바디(10)의 하부로 돌출되어 바닥면에 마찰 접촉되는 바, 본 실시예의 차량 스토퍼(100)가 차량 바퀴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1 스파이크(21a)와 제2 스파이크(21b)의 측면에는 회전 작동을 위한 손잡이부(23)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손잡이부(23)를 파지한 상태로 인력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바, 회전축(21c)의 회전 작동에 연동하여 제1 스파이크(21a)와 제2 스파이크(21b)의 각각이 회전되어, 제1 톱니부(22a)와 제2 톱니부(22b)가 바닥면에 마찰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손잡이부(23)는, 제1 스파이크(21a)의 측면에 돌출되는 제1 손잡이(23a)와, 제2 스파이크(21b)의 측면에 돌출되는 제2 손잡이(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23a)는 제1 스파이크(21a)의 외표면에서 회전 중심 위치의 일측으로 치우친 편심된 위치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 손잡이부(23)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축(21c)에 회전력을 용이하게 전달 가능하다.
제2 손잡이(23b)는 제2 스파이크(21b)의 외표면에서 회전 중심 위치의 일측으로 치우친 편심된 위치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2 손잡이부(23)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축(21c)에 회전력을 용이하게 전달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제1 손잡이(23a) 또는 제2 손잡이(23b)를 파지한 상태로 제1 스파이크(21a)와 제2 스파이크(21b)가 일정 각도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수작업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 스토퍼(100)는, 차량 바퀴의 밀림을 회전 고정부(20)의 마찰 작용에 의해 더욱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여, 차량 밀림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토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차량 스토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토퍼(200)는, 일측에는 차량의 바퀴에 측면이 지지되는 경사면(11)이 형성되는 스토퍼 바디(10)와, 스토퍼 바디(1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정 각도의 회전시 스토퍼 바디(10)의 하부로 돌출되어 바닥면에 마찰 접촉되는 회전 고정부(20)와, 스토퍼 바디(10)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표시부(110)를 포함한다.
표시부(110)는, 일단은 스토퍼 바디(10)의 측면에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에는 표시 돌부(113)가 돌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부(110)는, 일단은 스토퍼 바디(10)의 측면에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바(111)와, 삽입바(111)의 단부에 돌출되며 표면에 반사부재가 도포된 표시 돌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바(111)는, 스토퍼 바디(10)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홀(14)에 삽입되도록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바(111)의 단부에는 라운드 또는 다각 형상의 표시 돌부(113)가 돌출될 수 있다.
표시 돌부(113)의 표면에는 반사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야간의 차량 라이트에 의한 반사에 의해 차량 운전자가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 바디(10)의 측면에 표시 돌부(113)가 설치되는 바, 운전자는 차량 스토퍼(100)의 고임 상태에서 차량 주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주행 이전에 차량 스토퍼(100)의 용이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스토퍼 바디 11...경사면
14...삽입홀 20...회전 고정부
21...회전 스파이크 21a..제1 스파이크
21b..제2 스파이크 21c..회전축
22a..제1 톱니부 22b..제2 톱니부
23...손잡이부 23a,,제1 손잡이
23b..제2 손잡이 110..표시부
111..삽입바 113...표시 돌부

Claims (24)

  1. 일측에는 차량의 바퀴에 측면이 지지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스토퍼 바디; 및
    상기 스토퍼 바디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정 각도의 회전시 상기 스토퍼 바디의 하부로 돌출되어 바닥면에 마찰 접촉되는 회전 고정부;
    를 포함하는, 차량 스토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바디의 하부에는 바닥면에 마찰 접촉되는 복수개의 마찰 돌부가 돌출되는, 차량 스토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바퀴에 접촉되는 부분에 오목면이 형성되는, 차량 스토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고정부는,
    상기 스토퍼 바디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에 일부분에는 톱니부가 형성되는 회전 스파이크; 및
    상기 회전 스파이크의 측면에 돌출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차량 스토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스파이크는,
    상기 스토퍼 바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의 일부분에는 제1 톱니부가 형성되는 제1 스파이크;
    상기 스토퍼 바디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의 일부분에는 제2 톱니부가 형성되는 제2 스파이크; 및
    상기 제1 스파이크와 상기 제2 스파이크를 서로간에 연결하는 회전축;
    을 포함하는, 차량 스토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파이크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 전달에 의해 설정 각도 범위로 회전되어 상기 제1 톱니부가 상기 스토퍼 바디의 하부로 돌출되는, 차량 스토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파이크는, 외주면의 일부분에 상기 제1 톱니부가 형성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1 회전 플레이트인, 차량 스토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파이크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 전달에 의해 설정 각도 범위로 회전되어 상기 제2 톱니부가 상기 스토퍼 바디의 하부로 돌출되는, 차량 스토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파이크는, 외주면의 일부분에 상기 제2 톱니부가 형성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2 회전 플레이트인, 차량 스토퍼.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스파이크의 측면에 돌출되는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스파이크의 측면에 돌출되는 제2 손잡이;
    를 포함하는, 차량 스토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일단은 상기 제1 스파이크의 내표면의 편심된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토퍼 바디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스파이크의 내표면의 편심된 위치에 연결되는, 차량 스토퍼.
  12. 일측에는 차량의 바퀴에 측면이 지지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스토퍼 바디;
    상기 스토퍼 바디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정 각도의 회전시 상기 스토퍼 바디의 하부로 돌출되어 바닥면에 마찰 접촉되는 회전 고정부; 및
    상기 스토퍼 바디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차량 스토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일단은 상기 스토퍼 바디의 측면에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에는 표시 돌부가 돌출되는, 차량 스토퍼.
  14. 제13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일단은 상기 스토퍼 바디의 측면에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바; 및
    상기 삽입바의 단부에 돌출되며, 표면에 반사부재가 도포된 표시 돌부;
    를 포함하는, 차량 스토퍼.
  15. 제1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바디의 하부에는 바닥면에 마찰 접촉되는 복수개의 마찰 돌부가 돌출되는, 차량 스토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바퀴에 접촉되는 부분에 오목면이 형성되는, 차량 스토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고정부는,
    상기 스토퍼 바디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에 일부분에는 톱니부가 형성되는 회전 스파이크; 및
    상기 회전 스파이크의 측면에 돌출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차량 스토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스파이크는,
    상기 스토퍼 바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의 일부분에는 제1 톱니부가 형성되는 제1 스파이크;
    상기 스토퍼 바디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의 일부분에는 제2 톱니부가 형성되는 제2 스파이크; 및
    상기 제1 스파이크와 상기 제2 스파이크를 서로간에 연결하는 회전축;
    을 포함하는, 차량 스토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파이크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 전달에 의해 설정 각도 범위로 회전되어 상기 제1 톱니부가 상기 스토퍼 바디의 하부로 돌출되는, 차량 스토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파이크는, 외주면의 일부분에 상기 제1 톱니부가 형성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1 회전 플레이트인, 차량 스토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파이크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 전달에 의해 설정 각도 범위로 회전되어 상기 제2 톱니부가 상기 스토퍼 바디의 하부로 돌출되는, 차량 스토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파이크는, 외주면의 일부분에 상기 제2 톱니부가 형성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2 회전 플레이트인, 차량 스토퍼.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스파이크의 측면에 돌출되는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스파이크의 측면에 돌출되는 제2 손잡이;
    를 포함하는, 차량 스토퍼.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일단은 상기 제1 스파이크의 내표면의 편심된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토퍼 바디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스파이크의 내표면의 편심된 위치에 연결되는, 차량 스토퍼.
KR1020220099398A 2022-08-09 2022-08-09 차량 스토퍼 KR20240020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398A KR20240020989A (ko) 2022-08-09 2022-08-09 차량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398A KR20240020989A (ko) 2022-08-09 2022-08-09 차량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989A true KR20240020989A (ko) 2024-02-16

Family

ID=9005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398A KR20240020989A (ko) 2022-08-09 2022-08-09 차량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9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2546A (en) Power wrench
US7410336B2 (en) Tool for rewinding winch belts
US6035947A (en) Primary shaft locking device of an electromotive tool
JPH11263278A (ja) 足踏み式自転車
US6257104B1 (en) Lug wrench
US4249682A (en) Spare wheel protecting system
KR20240020989A (ko) 차량 스토퍼
US5613411A (en) Tool for breaking loose lug nuts
JP2012076736A (ja) 自転車用キャリアの車輪保持装置
JP3194326U (ja) 自転車用キャリアの車輪保持装置
JP6239865B2 (ja) 車輪止め
EP0653375A1 (en) Lever-type hoist and traction apparatus
GB2141679A (en) Motor vehicle turntable
KR20080044371A (ko) 차량용 보조발판장치
KR20000065856A (ko) 자동차의 이동용 대차
JP3296143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駐車ブレーキ装置
JP3541836B2 (ja) 駐車ブレーキ装置付きスクータ型車両
KR200222398Y1 (ko) 이물질 제거장치가 부착된 차선도포기
KR200356219Y1 (ko)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장치
KR20240014916A (ko) 차량 발광 스토퍼
KR200219427Y1 (ko) 주행용보드의 보조바퀴수단
US1587778A (en) Power-transmission device
CA2539304C (en) Tool for rewinding winch belts
GB2339412A (en) Vehicle turntable
KR200162902Y1 (ko) 차량의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