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781A - 케이블 풀러 - Google Patents

케이블 풀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781A
KR20240020781A KR1020220098933A KR20220098933A KR20240020781A KR 20240020781 A KR20240020781 A KR 20240020781A KR 1020220098933 A KR1020220098933 A KR 1020220098933A KR 20220098933 A KR20220098933 A KR 20220098933A KR 20240020781 A KR20240020781 A KR 20240020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able
pair
couple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개발
Priority to KR1020220098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781A/ko
Publication of KR20240020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78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65H51/08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 B65H51/10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with opposed coacting surfaces, e.g. providing n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32Supporting or driving arrangements for forwar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3Articul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90Machine drive
    • B65H2403/94Other features of machine drive
    • B65H2403/941Manually powered hand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2Roller pairs arranged on movable frame
    • B65H2404/1422Roller pairs arranged on movable frame reciproc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4Roller pairs with relative movement of the rollers to / from each other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풀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작업자 없이 케이블의 연속 포설 과정에서 다발의 케이블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원터치 조작 방식으로 상부롤러를 상하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해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포설 과정에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에 개재된 케이블의 직경에 맞게 상부롤러를 자동적으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케이블의 포설 과정에서 케이블의 직경이 갑자기 변화하거나, 또는 케이블이 겹쳐 공급되는 상황에서도 보다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포설 과정에서 케이블의 과압박에 의한 외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풀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풀러{Cable puller}
본 발명은 케이블 풀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통신용 고하중 장 케이블 뿐만 아니라, 소정의 굵기 및 무게를 갖는 삼실, 강철, 섬유 따위로 꼬아 만든 로프 등 또한 자동으로 포설되도록 구성하여 작업성을 대폭 개선하고, 작업인력을 획기적으로 줄여 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케이블 풀러에 관한 것이다.
전력용 케이블은 이동 중에 지면과의 마찰에 의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한 채로 이동시켜야 하고, 항상 지면과 수평 방향이나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지면 아래로 포설되거나 이동 방향이 곡선을 이루는 경우도 존재하므로, 케이블을 포설하거나 반대로 철거할 때, 케이블의 이동 경로,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건축, 선박, 및 토목과 같이 케이블의 포설 및 철거가 빈번하게 요구되는 기술분야에서, 높은 하중, 큰 부피를 가지고 가요성이 떨어지는 케이블을 다루기 위하여 케이블 풀러가 이용되며, 이러한 케이블 풀러와 관련된 기술은 등록특허 10-2237575, 등록특허 10-2380674, 공개특허 10-2021-0022458, 등록특허 10-2221612 등에 구체적으로 제안된 바 있다.
대표적으로, 상기 종래기술 중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등록된 기술인 등록특허 10-2237575호를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기술은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1 회전축을 감싸는 제 1 마찰 볼을 갖는 제 1 롤러; 상기 제 1 회전축과 평행한 제 2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을 감싸는 제 2 마찰 볼을 가지며, 상기 제 1 롤러에 대한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 2 롤러; 상기 제 1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롤러를 회전시키는 제 1 모터; 및 상기 제 2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롤러를 회전시키는 제 2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종래기술은 구동 지지체 및 구동기를 이용하여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에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데 주요 특징이 있는데, 구동 지지체와 구동기는 사용자의 수조작을 통해 일일이 작동이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 이격 거리거 한 번 고정되면, 다시 구동지지체와 구동기를 조작하지 않는 이상 이 이격 거리가 고정되어지는바,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의 직경이 급진적으로 가변될 경우 이에 신속하고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힘들었으며, 또한, 래칫 바퀴, 스크류 등을 회전시켜 구동 지지체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이격 거리를 수작업으로 조절해야 하는 문제로,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2237575 등록특허 10-2380674 공개특허 10-2021-0022458 등록특허 10-2221612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전력, 통신용 고하중 장 케이블 뿐만 아니라, 소정의 굵기 및 무게를 갖는 삼실, 강철, 섬유 따위로 꼬아 만든 로프 등 또한 자동으로 포설되도록 구성하여 작업성을 대폭 개선하고, 작업인력을 획기적으로 줄여 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케이블 풀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하부롤러; 상기 하부롤러와 결합되어 하부롤러를 회전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프레임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롤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롤러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조작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하부로 탄성 견인하는 견인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가이드홀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 하부로 상기 하부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면판; 및 상기 전면판에서 후방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전면판을 바라보는 방향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축이 형성되는 후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축에 가이드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 설치되며 가이드보스가 형성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상기 가이드보스에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연결링크를 매개로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스프링의 상단은 가이드부에, 하단은 상기 지지바에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좌우측에 고정 설치되며 가이드보스가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레버; 각각의 가이드보스에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연결링크를 매개로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한 쌍의 로드;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좌우 양 단이 상기 한 쌍의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작업자 없이 케이블의 연속 포설 과정에서 다발의 케이블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원터치 조작 방식으로 상부롤러를 상하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해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포설 과정에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에 개재된 케이블의 직경에 맞게 상부롤러를 자동적으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케이블의 포설 과정에서 케이블의 직경이 갑자기 변화하거나, 또는 케이블이 겹쳐 공급되는 상황에서도 보다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포설 과정에서 케이블의 과압박에 의한 외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풀러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부롤러와 하부롤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전면판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풀러의 평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부롤러의 상하 이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가이드부가 틸팅되는 현상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가이드부의 일측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손잡이부의 조작에 따라 상부롤러가 상사점으로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손잡이부의 조작에 따라 상부롤러가 하사점으로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가이드부가 스트로크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3은 손잡이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풀러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의 후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4의 일측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모터와 하부롤지지축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후면판과 가이드축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풀러는 전력 케이블 또는 통신 케이블의 포설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예시들은 본 발명에 제한되지 않으며, 소정의 굵기 및 무게를 갖는 다양한 케이블의 포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삼실, 강철, 섬유 따위로 꼬아 만든 로프(rope)의 포설에도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엄밀하지 않은 방향기준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y), 좌우(x), 전후(z)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풀러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부(100), 하부롤러(200), 모터(300), 가이드부(400), 손잡이부(500) 및 견인스프링(6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프레임부(100)는 케이블 풀러의 전체적인 골격을 구성하며, 하부롤러(200), 모터(300), 가이드부(400), 손잡이부(500) 등의 각종 주요 구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프레임부(100)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전면판(110)과 후면판(1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으며, 먼저, 전면판(110)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가이드홀(111)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관통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각각의 가이드홀(111)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 형성되어 후술 될 가이드부(400)의 상부롤지지축(440)을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전면판(110)은 상기 가이드홀(111) 하부로 상기 하부롤러(200)를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으며, 예컨대, 각각의 가이드홀(111) 직하방에는 한 쌍의 하부롤지지축(112)이 베어링을 통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전면판(110)의 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 설치될 수 있으며 이 하부롤지지축(112) 외측으로 하부롤러(200)가 각각 결합되는 구조이다.
즉, 하부롤러(200)는 제자리 회전되는 것 외에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한 구성으로서, 후술 될 모터(300)의 동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홀(111) 사이 지점에는 축보스(미도시)가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축보스 상에 모터(300)의 회전축(310)이 통과하여 전면판(110)의 전방으로 노출 형성될 수 있다.
후면판(120)은 전면판(110)에서 후방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전면판(110)을 바라보는 방향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축(121)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즉, 전면판(110)과 후면판(120)은 서로 전후로 이격되어 그 사이로 일정 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후술 될 가이드부(400)는 상기 전면판(110)과 후면판(120) 사이의 공간에서 전면판(110)과 후면판(120)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축(121)에 가이드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판(110)과 후면판(120) 사이에는 서로 전후로 이격된 전면판(110)과 후면판(120)에 상호 결합하여 전면판(110)과 후면판(120)을 이격 지지하는 복수 개의 이격바(130)가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이격바(130)는 좌우 모서리 부분에 마련되어 전면판(110)과 후면판(120)이 서로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후술 될 가이드부(400), 손잡이부(500)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손잡이부(500)의 설치 고정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모터(300)는 하부롤러(200)와 결합되어 하부롤러(200)를 회전구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후면판(120)의 후방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모터(300)의 회전축(310)이 후면판(120)과 전면판(110)을 상호 관통해 연장되고, 이 연장된 모터(300)의 회전축(310) 상에 전면판(110)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하부롤러(200)가 연결되어 동기 회전하는 구조이다.
이때, 하나의 모터(300)가 한 쌍의 하부롤러(200)를 동기 회전시키도록 모터(300)의 회전축(310)과, 각각의 하부롤지지축(112) 상에는 스프라킷(S)이 결합되고, 각각의 스프라킷(S)에 체인이 연결 설치되어 회전축(310)의 동력을 각각의 하부롤지지축(112)으로 전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술한 체인 및 스프라킷 연결방식 대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롤지지축(112)과 모터(300)의 회전축(310)에 복수 개의 스퍼기어를 연결 설치하여 모터(300)의 회전 동력을 전달시킬 수도 있다.
모터(300)는 스텝 모터와 같은 직류(DC) 모터, 피드백 회로를 포함하는 서보 모터(servo motor), 릴럭턴스(reluctance) 모터, 히스테리시스 모터 및 영구자석 모터와 같은 비-여자형(non-excited) 모터와, DC여자형(DC-excited) 모터와 같은 동기 모터(synchronous motor), 비동기/유도 모터(asynchronous/induction motor), 단상 동기 모터, 3상 모터와 같은 교류(AC)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교류 모터는, 비제한적 예로서, 유도 모터(induction motor) 가역 모터(reversible motor) 또는 속도 조절 모터(speed control motor)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도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이드부(400)는 상기 하부롤러(20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롤러(41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프레임부(100) 상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위치 고정된 하부롤러(20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부롤러(410)와 하부롤러(200) 사이 간격을 케이블의 두께(직경)에 맞게 조절하고, 아울러, 포설 작업의 개시 또는 완료시 케이블을 보다 쉽게 케이블 풀러 내에 장착 내지 철거할 수 있도록 한다.
포설 될 케이블은 하부롤러(200)와 상부롤러(410) 사이로 공급이 되며, 하부롤러(200)의 회전에 따라 케이블이 좌우 방향으로 견인되어 연속 포설이 이루어지는 한편, 상부롤러(410)는 별도의 동력원 없이 연속 포설되는 케이블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케이블을 적정 압력으로 가압해 케이블이 흐트러짐 없이 정렬된 상태로 포설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400)는 상부롤러(410), 가이드블럭(420), 지지블럭(430), 상부롤지지축(440) 및 스프링지지축(45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가이드블럭(420)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축(121)에 접속되어 상하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블럭(420)은 후면판(120)과 전면판(110) 사이 공간에 배치된 상태로 후술 될 손잡이부(500)의 조작에 따라 가이드축(121)을 타고 상하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블럭(420)에는 가이드축(121)을 수용하는 홀(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블럭(430)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블럭(420) 각각의 전방에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며, 전방으로 상부롤지지축(440)을 지지한다.
상부롤지지축(440)은 상부롤러(4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 쌍의 지지블럭(430) 각각에서 가이드홀(111)을 통과해 전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전단은 자유단 형태를 이루는 구조를 갖춘다.
상부롤러(410)는 상기 상부롤지지축(440) 상에 결합되어 하부롤러(200)와 상하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하부롤러(200)와 상부롤러(410)는 각각 설치면에 대해 평행하도록 상하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특징인데, 이에 따라, 다발의 케이블을 하부롤러(200)와 상부롤러(410) 사이로 공급 하더라도, 각각의 케이블이 전후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 채 서로 꼬이지 아니하고, 포설이 가능해지는 구조가 갖춰진다.
반면, 하부롤러(200)와 상부롤러(410)가 설치면에 대해 수직인 상태로 전후 또는 좌우로 배치될 경우, 다발의 케이블을 동시에 포설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작업자가 각각의 케이블이 상하로 이격되도록 잡은 상태에서 한 번에 공급하여야만이 각각의 케이블이 서로 꼬이지 않게 되는바, 불필요한 인력이 투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스프링지지축(450)은 한 쌍의 지지블럭(430) 각각의 후면에서 후면판(120)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후술 될 견인스프링(600)의 상단을 고정한다.
스프링지지축(450)은 하나의 지지블럭(430) 상에 적어도 복수 개가 마련되도록 하여 복수 개의 견인스프링(600) 상단을 각각 개별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스프링지지축(450)은 각각의 지지블럭(430)의 좌우 모서리 부위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일정 간격 이격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400)를 구성하는 상부롤러(410), 가이드블럭(420), 지지블럭(430), 상부롤지지축(440), 스프링지지축(450) 등은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후술 될 손잡이부(500)의 조작에 따라 서로 연동해 이동하게 되며, 이에, 상부롤러(410)가 하부롤러(200)의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하부롤러(200)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부롤러(410)가 더 이상 하방 이동이 불가한 위치를 상부롤러(410)의 하사점이라 하며, 이때, 상부롤러(410)의 하사점에서는 상부롤러(410)가 하부롤러(200)의 인접하게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상부롤러(410)와, 회전하는 하부롤러(200) 사이에 케이블이 개재되면 케이블의 견인에 따른 포설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상부롤러(410)가 더 이상 상방 이동이 불가한 위치를 상부롤러(410)의 상사점이라 하며, 이때, 상부롤러(410)의 상사점에서는 상부롤러(410)가 하부롤러(200)로부터 상부로 완전히 이격되어 포설 작업의 개시 또는 완료시 케이블을 상부롤러(410)와 하부롤러(200) 사이에 장착 내지 철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손잡이부(500)는 프레임부(100)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4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조작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으로, 원터치 조작 방식으로 가이드부(400)의 상부롤러(410)를 상사점 내지 하사점으로 한 번에 변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손잡이부(500)와 견인스프링(600)은 상부롤러(410)의 하사점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스트로크를 가능케 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포설 과정에서 케이블의 직경변화에 보다 탄력적인 대응을 가능케 하며, 아울러, 케이블이 과도하게 압박되어 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본 설명에서 스트로크라 함은 가이드부(40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롤러(410)의 하사점 위치에서 별도의 손잡이부(500) 조작 없이 상부롤러(4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트로크는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에서 상부롤러(410)와 하부롤러(200) 사이에 개재된 케이블의 직경변화나, 케이블 외면에 각종 이물질이 고착되어 있는 경우 발생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상부롤러(410)의 스트로크를 통해 포설 과정에서 케이블에 과도한 압박을 가하지 아니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손잡이부(500)는 크게, 고정브라켓(510), 레버(520), 로드(530) 및 지지바(5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510)은 적어도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부(100)의 좌우측에 마련된 이격바(130)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고정브라켓(510)의 상단에는 레버(5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대(511)가 형성되고 회동대(511)의 하부로는 로드(530)를 상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보스(512)가 형성될 수 있다.
레버(520)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단은 상기 고정브라켓(510)의 상부에 형성된 회동대(511)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인 긴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버(520)는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어 양 손을 이용해 동시에 레버(5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회동대(511)와 레버(520)의 일단에는 제1 힌지핀(p1)이 상호 결합되어 레버(520)가 상기 제1 힌지핀(p1)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로드(530)는 상기 가이드보스(512)에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링크(540)를 매개로 상기 레버(520)와 연결됨으로써 레버(52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을 할 수 있다.
연결링크(540)는 운동 방향을 변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연결링크(540)의 일단과 레버(520)에는 제2 힌지핀(p2)이, 연결링크(540)의 타단과 로드(530)의 상단에는 제3 힌지핀(p3)이 각각 상호 결합되어 레버(520)의 회전운동이 로드(53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지지바(550)는 후술 될 견인스프링(600)의 하단 고정점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가이드부(4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진 상태에서 로드(53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바(550)는 좌우 양 단이 각각 한 쌍의 로드(530) 하단에 연결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렇게 길게 연장된 지지바(550) 상에 복수 개의 견인스프링(60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바(550)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홈(551)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홈(551) 상에 견인스프링(600)의 하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인스프링(600)의 좌우 방향 편심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손잡이부(500)는 좌우 양 측의 레버(520)를 동시에 파지해 아래로 회동 조작하게 되면 이에 따라, 지지바(55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반대로, 레버(520)를 위로 회동 조작하게 되면 지지바(55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 구조이다.
손잡이부(500)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510), 레버(520), 로드(530) 조립체를 좌측 또는 우측에 단일 구성으로서 실시하거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510)을 스크류블럭(510)으로 대체하고, 로드(530)를 상기 스크류블럭(510) 상에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하는 스크류축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로드(530)와 지지바(550) 사이에 스위벨 연결조인를 채택함으로써 로드(530)를 회전시킴에 따라 가이드부(400)를 상하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출 수도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견인스프링(600)은 가이드부(400)와 손잡이부(500) 사이에 설치되어 손잡이부(500)의 조작력이 가이드부(4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되, 가이드부(400)를 하부로 탄성 견인하여, 상부로 이동된 가이드부(400)를 다시 하부로 원위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500)의 조작에 의해 지지바(55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견인스프링(600)은 지지바(550)와 가이드부(400) 사이에서 압축이 이루어지게 되는 한편, 지지바(550)의 상부 이동에 따라 가이드부(400)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롤러(410)가 상사점에 위치하게 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500)의 조작에 의해 지지바(55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견인스프링(600)은 신장되는 한편, 견인스프링(600)의 탄성 견인력이 가이드부(400)에 가해지면서 가이드부(400)가 견인스프링(600)에 끌려 내려와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부롤러(410)가 하사점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400)와 손잡이부(500)가 신장 또는 압축 탄성변형이 가능한 견인스프링(600)에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부롤러(410)의 하사점 상태에서도 가이드부(400)가 상부로 소정 거리 이동과 원위치의 복귀 동작인 스트로크를 가능케 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되며, 이로 인해, 상부롤러(410)를 하사점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손잡이부(500)의 미세한 조작 없이도 상부롤러(410)는 상부롤러(410)와 하부롤러(200) 사이에 개재된 케이블의 직경에 맞게 자동적으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아울러, 케이블의 포설 과정에서 케이블의 직경이 갑자기 변화하거나, 또는 케이블이 겹쳐 공급되는 상황에서도, 스트로크가 가능한 구조로 인해, 상부롤러(410)와 하부롤러(200) 사이에 이를 무리 없이 수용할 수 있으며, 과도하지 아니한 압박력으로 케이블을 상부에서 탄성적으로 압박하여 케이블의 손상 없이 케이블을 견인 포설할 수 있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한편, 상기 견인스프링(60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견인스프링(600)의 상단에는 고리 형상의 상부고리(610)가, 하단에는 고리 형상의 하부고리(620)가 각각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이때, 각각의 견인스프링(600)의 상부고리(610)는 복수 개의 스프링지지축(450) 대응개소에, 하부고리(620)는 상기 지지바(550) 외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고정홈(551)의 대응개소에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손잡이부(500)의 조작 과정에서, 가이드부(400), 손잡이부(500) 및 견인스프링(600) 사이에 별다른 간섭을 발생시키지 아니하는 구조가 갖춰질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400)의 상부롤지지축(440)은 전단이 외팔보 구조로 이루어진바, 케이블 포설 과정에서 가이드부(400)의 후단 지점에서 상부롤러(410)가 하부로 탄성 견인이 이루어지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롤러(200)와의 사이에 개재된 케이블로 인한 지레 효과로 가이드부(400)의 틸팅에 의해 가이드축(121)과의 연결지점에서 큰 모멘트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가이드축(121) 또는 가이드블럭(420)이 쉽게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가이드부(400)의 가이드블럭(420)이 전면판(110)과 후면판(120) 사이에 보다 강하게 밀착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지레효과에 의한 가이드축(121), 가이드블럭(42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복수 개의 스프링지지축(450) 각각의 후단에는 제1 구름부재(700)가 결합되어 후면판(120)에 구름 가능하게 접촉 지지되고, 한 쌍의 지지블럭(430)의 전면에 형성된 설치홈(431) 상에는 제2 구름부재(800)가 삽입 결합되어 전면판(110)에 구름 가능하게 접촉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스프링지지축(450) 후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상기 후면판(12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제1 구름부재(700)의 설치 공간을 형성하고, 한 쌍의 지지블럭(430)은 상기 전면판(11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제2 구름부재(800)의 설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후면판(120)과 전면판(11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고무 재질의 라이너(122,113)가 형성되어 상기 제1 구름부재(700)와 제2 구름부재(800)가 상기 라이너(122,113) 상에 구름 가능하게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제1 구름부재(700)와 제2 구름부재(800)가 금속 재질의 후면판(120)과 전면판(110)에 접촉됨으로 인한 표면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구름부재(700)와 제2 구름부재(800)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다만 설치위치에서만 차이가 있다.
예컨대, 제1 구름부재(700)는 스프링지지축(450)에 결합되며 제1 구름홈이 함몰 형성되는 제1 하우징(710) 및 제1 구름홈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후면판(120)의 라이너(122) 상에 구름 가능하게 접촉 지지되는 제1 지지볼(7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710)은 고정체이고, 제1 지지볼(720)이 후면판(120)의 라이너(122)에 접촉 지지된 상태에서 구름하면서 가이드부(40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가이드부(400)의 틸팅을 억제한다.
이와 동일하게, 제2 구름부재(800)는 설치홈(431)에 삽입되며 제2 구름홈이 함몰 형성되는 제2 하우징(810) 및 제2 구름홈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전면판(110)의 라이너(113)에 구름 가능하게 접촉 지지되는 제2 지지볼(8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으며, 작용효과는 전술한 제1 구름부재(700)와 동일하다.
이때, 스프링지지축(450)의 상하 높이는 상부롤지지축(440)의 상하 높이보다 높은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431)의 상하 높이는 상부롤지지축(440)의 상하 높이보다 낮은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구름부재(700)와 제2 구름부재(800)가 상하로 편심되어, 상하 높이차를 두고 후면판(120)의 라이너(122)와 전면판(110)의 라이너(113)에 각각 구름 가능하게 동시에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 구름부재(700)는 상부롤지지축(440)을 중심에 두고, 상부로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후면판(120)의 라이너(122)에 접촉 지지되고, 제2 구름부재(800)는 상부롤지지축(440)을 중심에 두고, 하부로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전면판(110)의 라이너(113)에 접촉 지지되어, 가이드블럭(420)의 후방 상부로는 제1 구름부재(700)가, 전방 하부로는 제2 구름부재(800)가 각각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지레효과에 의해 가이드부(400)가 틸팅되면 이에 따라, 가이드블럭(420)의 상단은 후방으로, 하단은 전방으로 각각 틸팅되어 각각 후면판(120)과 전면판(110)에 편심된 위치로 하중을 가하게 되는바, 이때, 가이드블럭(420)의 상단 부분에서는 제1 구름부재(700)가, 하단 부분에서는 제2 구름부재(800)가 편심된 하중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가이드부(400)의 틸팅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작용효과 측면은 동일하나, 프레임부, 가이드부, 손잡이부 등의 구조에서 일부 변형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점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케이블 풀러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부(100), 하부롤러(200), 모터(300), 가이드부(400), 손잡이부(500) 및 견인스프링(6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전면판(110)과 후면판(1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전면판(110)에는 전면 가이드홀(111)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 형성되어 가이드부(400)의 상부롤지지축(440)을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후면판(120)은 전면판(110)에서 후방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전면 가이드홀(111)의 대응지점에 후면 가이드홀(12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후면판(120)의 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축(121)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이때, 각각의 가이드축(121)은 브라켓(B1)을 통해 후면판(120)에 고정되거나, 별도의 체결나사(B2)를 통해 후면판(120)에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이격바(130)는 좌우 모서리 부분에 마련되어 전면판(110)과 후면판(120)이 서로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후술 될 가이드부(400), 손잡이부(500)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모터(300)는 전면판(110)의 후방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모터(300)의 회전축이 전면판(110)을 관통해 연장되고, 이 연장된 모터(300)의 회전축(310) 상에 전면판(110)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하부롤러(200)가 연결되어 동기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상부롤러(410), 가이드블럭(420), 상부롤지지축(440), 스프링지지대(450) 및 가이드베어링(46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블럭(420)에는 가이드축(121)을 수용하는 홀(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지지대(450)는 각각의 가이드블럭(420) 외측에 결합되어 견인스프링(600)의 상단을 고정한다
스프링지지대(450)는 각각의 가이드블럭(420)의 좌우 모서리 부위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일정 간격 이격 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롤지지축(440)은 상부롤러(4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 쌍의 가이드블럭(420) 각각에서 후면 가이드홀(123)과 전면 가이드홀(111)을 통과해 전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전단은 자유단 형태를 이루는 구조를 갖춘다.
가이드베어링(460)은 상부롤지지축(440)에 연결되며 후면판(120)과 전면판(110) 사이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후면판(120)과 전면판(110)에 상호 구름 가능하게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손잡이부(500)는 그 세부 구성 중 고정브라켓(510), 레버(520), 로드(530) 조립체가 설치되는 위치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예컨대, 고정브라켓(510)은 후면판의 후면 중앙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일 고정브라켓 상단에 레버(5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어서, 로드(530)는 가이드보스(512)에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링크(540)를 매개로 상기 단일의 레버(520)와 연결됨으로써 레버(52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을 할 수 있는 구조이다.
아울러, 지지바(550)는 로드(53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되, 로드(530)의 중앙에 상기 지지바(550)가 연결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견인스프링(600)의 상부고리(610)는 상기 스프링지지대(450) 상에, 하부고리(620)는 지지바(550)의 고정홈(551) 상에 연결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가이드베어링(460)은 전면판(110)과 후면판(120) 사이에 보다 강하게 밀착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지레효과에 의한 가이드부의 틸팅을 억제하는 구성이다.
가이드베어링(460)은 한 쌍의 상부롤지지축(440) 각각에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롤지지축(460)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도 역시, 후면판(120)과 전면판(11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고무 재질의 라이너(122,113)가 형성되어 가이드베어링(460)이 상기 라이너(122,113) 상에 구름 가능하게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프레임부
200: 하부롤러
300: 모터
400: 가이드부
500: 손잡이부
600: 견인스프링

Claims (5)

  1.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하부롤러;
    상기 하부롤러와 결합되어 하부롤러를 회전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프레임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롤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롤러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조작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하부로 탄성 견인하는 견인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풀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가이드홀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 하부로 상기 하부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면판; 및
    상기 전면판에서 후방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전면판을 바라보는 방향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축이 형성되는 후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풀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축에 가이드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풀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 설치되며 가이드보스가 형성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상기 가이드보스에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연결링크를 매개로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스프링의 상단은 가이드부에, 하단은 상기 지지바에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풀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좌우측에 고정 설치되며 가이드보스가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레버;
    각각의 가이드보스에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연결링크를 매개로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한 쌍의 로드;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좌우 양 단이 상기 한 쌍의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풀러.
KR1020220098933A 2022-08-09 2022-08-09 케이블 풀러 KR20240020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933A KR20240020781A (ko) 2022-08-09 2022-08-09 케이블 풀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933A KR20240020781A (ko) 2022-08-09 2022-08-09 케이블 풀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781A true KR20240020781A (ko) 2024-02-16

Family

ID=9005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933A KR20240020781A (ko) 2022-08-09 2022-08-09 케이블 풀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78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612B1 (ko) 2020-06-24 2021-03-02 주식회사 한미개발 케이블 풀러
KR20210022458A (ko) 2019-08-20 2021-03-03 이상우 전력 케이블 풀러
KR102237575B1 (ko) 2019-05-07 2021-04-21 이상우 전력 케이블 풀러
KR102380674B1 (ko) 2021-07-06 2022-04-01 주식회사 한미개발 케이블 풀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575B1 (ko) 2019-05-07 2021-04-21 이상우 전력 케이블 풀러
KR20210022458A (ko) 2019-08-20 2021-03-03 이상우 전력 케이블 풀러
KR102221612B1 (ko) 2020-06-24 2021-03-02 주식회사 한미개발 케이블 풀러
KR102380674B1 (ko) 2021-07-06 2022-04-01 주식회사 한미개발 케이블 풀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704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
CN203273010U (zh) 滑轮支架、滑轮支架组件和采矿车辆
CN205489296U (zh) 二次电缆快捷放线架
KR102149670B1 (ko) 송전용 지중케이블 와인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케이블 설치시스템
JP5937133B2 (ja) 電線布設装置
KR200466893Y1 (ko) 케이블 드럼용 지그
KR101794296B1 (ko)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
KR20240020781A (ko) 케이블 풀러
KR20150087041A (ko) 케이블 드럼 풀림대 기구
KR20240002798A (ko) 케이블 포설 장치
US8474234B2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strands from wires
KR101451949B1 (ko)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KR100542154B1 (ko) 강선 삽입기
KR101664802B1 (ko) 세선 그리퍼를 이용한 전선포설장치
CN217051014U (zh) 一种光伏电缆展放架
CN215267574U (zh) 一种电缆敷设装置
CN205140628U (zh) 张紧支架装置
KR20190130320A (ko) 선박용 접안장치
CN114865536A (zh) 一种变电工程辅助安装架
CN103419156A (zh) 接线板固定夹具及电器盒自动化装配装置
CN206680793U (zh) 一种麻布初加工用切割设备
KR20090131936A (ko) 케이블 포설기
CN205140622U (zh) 简易上料装置
JPH1054139A (ja) Pcケーブル送り出し装置
CN218754229U (zh) 一种电力施工用防缠绕的放线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