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356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356A
KR20240019356A KR1020247001155A KR20247001155A KR20240019356A KR 20240019356 A KR20240019356 A KR 20240019356A KR 1020247001155 A KR1020247001155 A KR 1020247001155A KR 20247001155 A KR20247001155 A KR 20247001155A KR 20240019356 A KR20240019356 A KR 20240019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information
display
display screen
set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1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미치 다카하시
미사토 야츠시로
미노루 이나타
사토코 다케시타
가즈시 이케다
가즈야 이리사와
사토루 스즈모토
사토시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데지타루 소류숀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데지타루 소류숀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240019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더 효율적으로 화면을 작성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미리 정해진 기능을 갖는 복수의 부품을 배치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표시 화면을 사용하여 지정된 부품의 설정을 접수하는 접수부와, 접수된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기억 제어부를 구비한다. 표시 제어부는, 설정 정보에 따라 부품이 설정된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미리 정해진 유저 인터페이스(UI)용의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유저가 조작하는 화면을 개발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화면에 복수의 부품이 배치되어, 복수의 부품을 관련지어 관리하는 것 및 복수의 부품을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 등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복수의 부품을 포함하는 화면에 대해서도 효율적으로 개발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 제6779101호 공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더 효율적으로 화면을 작성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미리 정해진 기능을 갖는 복수의 부품을 배치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표시 화면을 사용하여 지정된 상기 부품의 설정을 접수하는 접수부와, 접수된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기억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부품이 설정된 상기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설정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JSON 형식의 설정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면 작성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표시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부품을 설정한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설정 메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카드 팔레트를 포함하는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카드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그룹에 추가하기 전의 카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설정 메뉴 버튼이 눌러진 경우의 카드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부품이 그룹에 추가된 후의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복수의 부품의 연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부품 사이의 연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품질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가동 정보」 탭이 선택된 경우의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품질 트렌드」 탭이 선택된 경우의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이동 경로 카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트리 카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센서 일람 카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설비 일람 카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가 조작하기 위한 표시 화면에서 사용되는 주요한 기능을 UI 부품으로서 공통화함으로써, 더 효율적으로 화면을 개발 가능해진다. 원칙적으로, 그래픽·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사용한 부품의 설정에 의해 화면을 개발할 수 있다. GUI에서는, 예를 들어 부품의 배치, 각 부품의 설정, 복수의 부품의 그룹화 및 복수의 부품의 연계의 설정 등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코딩 작업을 최소한으로 하여, 더 효율적으로 화면을 작성할 수 있다.
이하에는, 1 이상의 에지 디바이스(전자 기기의 일례)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센싱 데이터 등)를 표시하여 관리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작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적용 가능한 화면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어느 장치 및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화면이어도 된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해 수집된다. 즉, 정보 처리 시스템은, 1 이상의 에지 디바이스, 서버 장치(플랫폼) 및 데이터를 사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구비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은, 서버 장치 및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합한 장치(통합 데이터 기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에지 디바이스는, 1 이상의 센서(검지 장치)를 구비하고,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 센싱 데이터를 서버 장치로 송신하는 기능 등을 구비한다.
서버 장치는, 1 이상의 에지 디바이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능 등을 구비한다. 서버 장치는, 예를 들어 클라우드 환경 위에 구축된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수집된 데이터 및 서버 장치에 의한 분석 결과 등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예를 들어 클라우드 환경 위에 구축된다.
정보 처리 시스템은, 실세계(Physical)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사이버 세계(Cyber)에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실세계(Physical)에 피드백하는 CPS(Cyber Physical System)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정보 처리 시스템은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고, 어떤 시스템이어도 된다.
여기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주된 용어의 정의에 대하여 기재한다.
· 리소스: 관리해야 할 애셋(회사, 조직, 설비 및 디바이스 등)의 단위를 나타낸다. 리소스는, 예를 들어 트리 구조에서 관리된다. 또한 리소스는 리소스 ID로 일의적으로 식별된다.
· 카드: 화면을 구성하는 그래프 및 표 등의 요소(부품)를 나타낸다.
· 그룹: 복수의 카드를 통합한 단위를 나타낸다.
· 이벤트: 각 카드에 대하여 발생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어느 카드 중에 다른 카드를 배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카드 중에 배치되는 카드를 서브 카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카드와, 이 카드 중에 배치되는 1 이상의 서브 카드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어도 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서버 장치(100)와, 단말 장치(200)가, 네트워크(300)로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네트워크(300)는, 예를 들어 인터넷 또는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AN)이지만, 그밖의 어떤 형태의 네트워크여도 된다. 네트워크(300)는, 무선 네트워크,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와 유선 네트워크가 혼재된 네트워크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서버 장치(100)는, 부품을 사용한 화면의 작성 기능을 구비하는 장치이고, 예를 들어 클라우드 환경 위에 구축된다. 서버 장치(100)는, 상기한 서버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통합 데이터 기반의 어느 것에 상당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서버 장치(100)가 구비하는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을 작성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에서는 1개의 단말 장치(200)만이 기재되어 있지만, 정보 처리 시스템은, 2개 이상의 단말 장치(200)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은, 서버 장치(100) 및 단말 장치(200)의 양쪽의 기능을 구비한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서버 장치(100)는, 기억부(121)와, 통신 제어부(101)와, 접수부(102)와, 표시 제어부(103)와, 기억 제어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부(121)는, 서버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이다. 예를 들어 기억부(121)는, 화면에 포함할 수 있는 부품에 관한 정보 및 표시 화면에 포함되는 1 이상의 부품의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기억한다. 부품에 관한 정보에는, 후술하는 KPI(Key Performance Indicators) 카드 및 타임 슬라이더 카드 등, 각각의 부품이 갖는 기능 및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종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도 2는, 설정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 정보는, 복수의 설정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 항목으로서는, 카드(부품)를 식별하는 카드 ID 외에, 당해 카드의 화면상에서의 위치 및 사이즈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카드 사이의 연계를 나타내는 「구독 토픽」이 설정 항목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카드에 의한 이벤트 등에 따라 어느 카드가 동작하는 경우에, 이 이벤트를 특정하는 정보가 구독 토픽으로 설정된다.
도 2의 설정 정보는 일례이고, 이들 이외의 설정 정보가 사용되어도 된다. 설정 정보는, 어떤 형식으로 기술되어도 되지만, 예를 들어 JSON(JavaScript(등록 상표) Object Notation)을 사용하여 기술할 수 있다. 도 3은, JSON 형식의 설정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묘화 툴 등으로 작성된 화상(다이어그램)을 포함하는 부품의 설정의 일부를 포함하는 JSON 형식의 설정 정보의 예이다. 도 3에서는, 기본적인 부품의 설정(basicSetting) 및 이벤트의 설정(eventEntries)이 예시되어 있지만, 다른 설정 항목에 관한 설정이 포함되어도 된다. 화상은 어떤 형식으로 작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부품의 설정으로서 포함하는 화상은, 스케일러블·벡터·그래픽(SVG: Scalable Vector Graphics)을 따른 형식으로 작성되어도 된다.
도 3에서는, 이벤트의 종류로서, 입력값이 변경으로 되었을 때 발행되는 이벤트 "item-property-changed" 및 표시를 갱신했을 때 발행되는 이벤트 "update-diagram"이 예시되어 있다. 이벤트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어떤 이벤트가 사용되어도 된다.
도 1로 돌아가, 기억부(121)는, 유저의 권한 등을 나타내는 유저 정보를 더 기억해도 된다. 유저 정보는, 예를 들어 부품의 설정이 허가된 유저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기억부(121)는,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RAM(Random Access Memory), HDD(Hard Disk Drive) 및 광 디스크 등의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각종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01)는, 단말 장치(200) 등의 외부 장치와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01)는, 단말 장치(200)의 표시부(221)(후술)에 표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101)는, 표시 화면을 사용하여 지정된 부품의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다.
표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는 어떤 형식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에 의해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표시 정보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에 따라 기술되어도 된다.
접수부(102)는, 서버 장치(100)에 의한 각종 처리에서 사용되는 각종 정보의 입력을 접수한다. 예를 들어 접수부(102)는, 통신 제어부(101)에 의해 수신된 설정 정보를 접수한다.
표시 제어부(103)는, 단말 장치(200)의 표시부(221) 등에 대한 화면의 표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03)는, 미리 정해진 기능을 갖는 복수의 부품(카드)을 배치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표시부(221)에 표시하는 처리를 제어한다. 단말 장치(200)에 의해 부품이 설정된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103)는, 설정 정보에 따라 부품이 설정된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 화면은, 복수의 부품(제1 부품, 제2 부품 등)을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표시 제어부(103)는, 어느 부품(제1 부품)의 동작에 따른 다른 부품(제2 부품)의 동작을 나타내는 연계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더 표시해도 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에 의해 연계 정보가 설정된 경우는, 표시 제어부(103)는, 연계 정보에 따라 각 부품이 동작하도록 표시 화면의 표시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103)는, 부품의 설정이 허가된 유저에 대하여, 부품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표시 화면을 표시해도 된다. 허가된 유저인지는, 예를 들어 기억부(121)에 기억된 유저 정보를 사용하여 판정할 수 있다.
표시 화면은, 이하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단위로 하여 작성되어도 된다.
(A1) 유저마다
(A2) 유저에게 부여되는 권한(롤)마다
(A3) 전 유저(전 유저에 대하여 공통의 표시 화면이 작성된다)
예를 들어, 설정 정보는, 복수의 유저마다 정해지는 설정 정보(제1 설정 정보), 권한마다 정해지는 설정 정보(제2 설정 정보) 및 복수의 유저에게 공통으로 정해지는 설정 정보(제3 설정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기억부(121)는, 예를 들어 설정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A1), (A2), (A3)의 어느 것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유저마다 기억해도 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03)는, 복수의 설정 정보 각각에 대하여 정해지는 우선도에 따라 선택되는 어느 설정 정보에 따라 부품이 설정된 표시 화면을 표시해도 된다. 우선도는, 예를 들어 (A1), (A2), (A3)의 순으로 높아지도록 설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03)는, 유저 등에 의해 설정된 부품의 설정 정보에 따라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103)는,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JSON 형식으로 기술된 설정 정보를 기억부(121)로부터 읽어내고, 읽어낸 설정 정보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작성하여 표시시키는 기능(UI 기반)을 포함한다.
기억 제어부(104)는, 기억부(121)에 대한 각종 정보의 기억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기억 제어부(104)는, 접수부(102)에 의해 접수된 설정 정보를 기억부(121)에 기억시킨다. 연계 정보가 설정된 경우는, 기억 제어부(104)는, 연계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기억부(121)에 기억시켜도 된다.
상기 각 부(통신 제어부(101), 접수부(102), 표시 제어부(103) 및 기억 제어부(104))는, 예를 들어 1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각 부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 즉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상기 각 부는, 전용의 IC(Integrated Circuit) 등의 프로세서, 즉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상기 각 부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병용하여 실현해도 된다. 복수의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경우, 각 프로세서는, 각 부 중 하나를 실현해도 되고, 각 부 중 둘 이상을 실현해도 된다.
이어서, 단말 장치(200)의 기능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는, 표시부(221)와, 통신 제어부(201)와, 표시 제어부(202)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221)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이고, 액정 디스플레이 및 터치 패널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201)는, 서버 장치(100) 등의 외부 장치와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01)는, 표시부(221)에 표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서버 장치(100)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201)는, 표시 화면을 사용하여 지정된 부품의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서버 장치(100)로 송신한다.
표시 제어부(202)는, 표시부(221)에 대한 화면의 표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202)는, 서버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각 부(통신 제어부(201) 및 표시 제어부(202))는, 예를 들어 1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각 부는, CPU 등의 프로세서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 즉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상기 각 부는, 전용의 IC 등의 프로세서, 즉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상기 각 부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병용하여 실현해도 된다. 복수의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경우, 각 프로세서는, 각 부 중 하나를 실현해도 되고, 각 부 중 둘 이상을 실현해도 된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 형태에 관한 서버 장치(100)에 의한 화면 작성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면 작성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표시 제어부(103)는, 부품 설정용의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스텝 S101).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03)는, 표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통신 제어부(101)를 통해 단말 장치(200)로 송신하고, 단말 장치(200)의 표시 제어부(202)에 표시 정보에 기초하는 표시 화면을 표시시킨다.
표시 화면은, 어떤 부품도 설정되어 있지 않은 화면이어도 되고, 사전에 부품이 설정된 디폴트 화면이어도 된다. 디폴트 화면은, 예를 들어 관리자 등에 의해 미리 정해진 설정 정보(디폴트 설정 정보)에 따라 부품이 설정된 표시 화면이다. 단말 장치(200)의 유저는, 표시된 표시 화면을 사용하여, 각종 부품을 설정할 수 있다. 부품의 설정 방법의 상세는 후술한다.
표시 화면을 사용하여 유저에 의해 부품의 설정이 행해진 경우, 유저가 지정한 부품의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가 단말 장치(200)의 통신 제어부(201)에 의해 송신되고, 서버 장치(100)의 통신 제어부(101)에 의해 수신된다. 접수부(102)는, 이와 같이 하여 수신된 설정 정보를 접수한다(스텝 S102).
표시 화면에서는, 그때까지 설정한 부품의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지정할 수 있다. 접수부(102)는, 부품의 설정을 기억하는 것이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3).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03: "아니오"), 스텝 S102로 복귀되어, 처리가 반복된다.
설정의 기억이 지정된 경우(스텝 S103: "예"), 기억 제어부(104)는, 그때까지 접수된 설정 정보를 기억부(121)에 기억시키고(스텝 S104), 화면 작성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작성된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표시 제어부(103)는, 표시 화면의 표시 대상이 되는 유저에 대하여 복수의 설정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설정 정보 중, 우선도가 가장 높은 설정 정보를 선택한다(스텝 S201). 또한 복수의 설정 정보를 설정 가능하지 않은 경우는, 우선도에 기초하는 설정 정보의 선택은 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표시 제어부(103)는, 유저에 대하여 설정된 설정 정보를 기억부(121)로부터 읽어내면 된다.
표시 제어부(103)는, 선택한 설정 정보에 따라 부품을 설정한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스텝 S202).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03)는, 설정 정보에 따라 부품이 설정된 표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통신 제어부(101)를 통해 단말 장치(200)로 송신하고, 단말 장치(200)의 표시 제어부(202)에 표시 정보에 기초하는 표시 화면을 표시시킨다.
표시된 표시 화면은,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한 센싱 데이터의 관리(감시)에 사용된다. 이 표시 화면에서, 부품의 설정의 변경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설정의 변경이 지정된 경우는, 도 4에 따른 화면 작성 처리가 더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서 작성되는 화면 및 화면에 대한 부품의 설정 방법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표시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화면(600)은, 부품을 설정하는 기초가 되는 화면이다. 도 6에서는, 그룹화한 복수의 카드를 부품으로서 포함하는 화면의 예가 나타나 있다. 예를 들어 카드(601)는, 2개의 서브 카드(611, 612)를 포함한다. 카드(601) 및 서브 카드(611, 612)가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도록 그룹 ID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부품을 설정한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표시 화면(600)의 부품을 배치하는 영역(콘텐츠 영역) 전체에 지도를 표시하는 부품이 배치되고(도 6의 카드(601)에 해당), 그 부품 상에, 지도 내의 복수 지점에서의 데이터를 가시화하는 부품 등이 더 배치된(도 6의 서브 카드(611, 612)에 해당) 화면의 예이다.
콘텐츠 영역에 배치하는 부품(카드)은 복수 종류 준비되어 있고, 여기서는 설비 감시의 화면 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준비되어 있는 부품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부품은 일례이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맵 카드」: 지도 및 리소스 트리에 포함되는 각 리소스의 로케이션 정보를 지도 위에 표시하기 위한 카드.
「이동 경로 카드」: 리소스를 계층화하기 위한 카드.
「프로세스 플로 카드」: 리소스에 할당된 디바이스나 디바이스의 센서값을 흐름도로서 표시하기 위한 카드.
「KPI 카드」: 리소스에 할당된 KPI 정보를, 게이지 그래프와 시계열 그래프로 표시하기 위한 카드.
「가동 정보 카드」: 디바이스의 가동 정보를 그래프로 표시하기 위한 카드.
「VS 트렌드 카드」: 리소스 관리 하에 있는 디바이스의 시각, 센서값을 복수 지정하여 취득한 각종 트렌드 데이터를 그래프로서 표시하기 위한 카드.
「이벤트 일람 카드」: 지정한 리소스 관리 하에, 혹은 지정한 디바이스의 이벤트 정보를 일람으로 표시하기 위한 카드.
「센서 일람 카드」: 지정한 리소스 관리 하에, 혹은 지정한 디바이스의 센서 정보를 일람으로 표시하기 위한 카드.
「타임 슬라이더 카드」: 콘텐츠 영역에 표시하고 있는 각종 데이터의 시각을 표시, 조작하기 위한 카드.
「트리 카드」: 유저에 관련지어지는 리소스 트리를 표시하고, 리소스 트리로부터 리소스를 선택함으로써 계층 이동하기 위한 카드.
「확대·축소 카드」: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카드.
설정 메뉴 버튼(701)은, 눌러진 경우에 설정 메뉴(후술)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부품(702)은, 지도 위의 대응하는 거점에 구비되는 에지 디바이스(설비)의 KPI를 표시하기 위한 부품이다. 부품(702)은, 예를 들어 상술한 KPI 카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상술한 맵 카드의 기능의 일부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부품(702)은, 대응하는 거점을 나타내는 아이콘의 우측 상단에 분출 형상으로 표시된다. 또한 각 거점에 대응하는 부품은, 거점의 위도 및 경도의 정보를 바탕으로 지도 위에 배치할 수 있다.
부품(703)은, 특정한 시각의 데이터를 표시할 때 사용하는 타임 슬라이더(상술한 타임 슬라이더 카드)이다. 부품(704)은,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 표시시키기 위한 부품(상술한 확대·축소 카드)이다. 부품(704)에 의해 가장 확대하는 것이 지정되면, 선택되어 있는 부품(702)이 확대 표시로 바뀐다.
도 8은, 설정 메뉴 버튼(701)이 눌러진 경우에 표시되는 설정 메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설정 메뉴 버튼은, 부품 각각에 대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어떤 부품의 설정 메뉴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도, 도 8과 마찬가지의 설정 메뉴가 표시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 메뉴는, 이하와 같은 메뉴를 포함한다.
(M1) 표시 모드: 편집 모드로부터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 클릭되면 모드가 편집 모드로부터 표시 모드로 전환됨과 함께, 표기가 「편집 모드」로 변경된다. 표기가 「편집 모드」일 때 본 메뉴가 클릭되면 모드가 표시 모드로부터 편집 모드로 전환됨과 함께, 표기가 「표시 모드」로 변경된다.
(M2) 카드 팔레트: 설정하는 부품(카드)을 선택하기 위한 팔레트를 표시한다.
(M3) 탭의 추가: 콘텐츠 영역에 탭을 추가한다. 각 탭에는, 각각 부품을 설정할 수 있다.
(M4) 화면 기본 설정: 화면 전체에 대한 설정을 행한다.
(M5) 그룹 일람: 설정되어 있는 그룹의 설정을 일람 표시한다.
(M6) 카드 일람: 설정되어 있는 카드의 설정을 일람 표시한다.
(M7) 이벤트의 설정: 개별의 데이터 처리 등의 이벤트의 설정을 정의한다.
(M8) 설정 보존: 편집된 설정 정보를 서버 장치(100)(기억부(121))에 보존한다. 설정 정보를 보존이란, 당해 설정 정보에 따른 표시 화면의 표시가 가능해지도록 보존하는 것을 의미한다.
(M9) 설정 파일 업로드: 설정 파일(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서버 장치(100)에 업로드한다. 업로드 후, (M8)의 설정 보존이 클릭되면, 업로드된 설정 파일 내의 설정 정보가 기억부(121)에 보존된다.
(M10) 설정 파일 다운로드: 로그인되어 있는 유저(로그인 유저)에게 대응지어진 설정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허가된 유저에 대해서만, 설정 메뉴가 표시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설정 메뉴 내의 메뉴마다, 로그인 유저에 대하여 조작이 허가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도 9 내지 도 13은, 부품(카드)을 추가하여 그룹화하는 조작에 사용되는 각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지도 표시, 지도 상에의 부품 배치에 대한 설정 조작의 설명으로 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화면예 등은, 도 7의 지도 표시 부품(맵 카드), 타임 슬라이더 부품(카드) 및 확대·축소 부품(카드)과는 다른 예로 설명한다.
도 9는, 카드 팔레트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카드 팔레트를 포함하는 표시 화면의 예이다. 카드 팔레트에서는, 그룹의 추가 및 각종 카드의 추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하면, 카드 추가 조작으로, 지도 표시 부품, 지도 상에 표시하는 타임 슬라이더 부품(카드) 및 확대·축소 부품(카드)을 배치하는 조작으로 된다.
그룹의 추가가 선택되면, 표시 제어부(103)는, 콘텐츠 영역 내에 그룹을 배치한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도 표시, 지도 상에 타임 슬라이더나 확대·축소 부품(카드)이 배치된다. 그룹은, 다른 1 이상의 부품을 더 배치하기 위한 부품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카드 팔레트 화면에 있어서, 배치한 부품(카드)에 대한 그룹 설정을 위해, 그룹의 설정 메뉴 버튼(901)이 눌러진 경우의 카드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룹 ID란에는, 추가한 그룹의 그룹 ID가 설정된다. 이 그룹 ID를 다른 카드의 그룹 ID란에 기재함으로써, 이 카드를 동일한 그룹 ID의 그룹에 추가할 수 있다. 도 7의 표시예에서 설명하면, 지도 표시 부품으로 설정된 그룹 ID가, 타임 슬라이더 부품(카드) 및 확대·축소 부품(카드)의 그룹 ID로서 설정된다. 또한, 그룹 ID란에 그룹 ID가 자동적으로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도 11은, 소정의 부품(후술하는 그래프 뷰어)을 그룹에 추가하기 전의 카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도 7의 표시예로 설명하면, 지도가 표시된 상태에 있어서, 타임 슬라이더 부품(카드) 및 확대·축소 부품(카드) 등을 그룹에 추가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카드의 추가 기능에 의해, 예를 들어 그래프를 표시하기 위한 부품(1101)(그래프 뷰어)이 추가된 상황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부품(1101)이 표시 화면 위에 추가되었을 뿐이고, 추가된 부품(1101)의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부품(1101)을 그룹에 추가할 수 있다.
도 12는, 부품(1101)(그래프 뷰어)의 설정 메뉴 버튼이 눌러진 경우의 카드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룹 ID란에, 예를 들어 도 10의 카드 설정 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그룹 ID를 입력함으로써, 부품(1101)을 당해 그룹 ID의 그룹에 추가할 수 있다. 확인 버튼이 눌러지면, 추가의 설정이 반영되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
도 13은, 부품(1101)이 그룹에 추가된 후의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품(1101)은, 도 9에서 추가된 그룹을 나타내는 부품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13에서는, 부품(1101)(그래프 뷰어)을 그룹 추가하여 콘텐츠 영역에 배치하는 점에 포커스하여 설명했지만, 도 7의 지도 표시 부품(맵 카드), KPI 카드, 타임 슬라이더 카드, 확대·축소 카드와 동일한 그룹 ID를 설정하면, 도 7에 나타내는 콘텐츠 영역에 부품(1101)(그래프 뷰어)이 추가 표시된다.
계속해서, 상술한 조작으로 콘텐츠 영역에 배치한 부품(카드)에 대한 상세 설정(부품 간 연계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복수의 부품의 연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센서 선택을 위한 부품 내의 전압 표시란(1401)의 값이 변경되면, 우측의 화상을 표시하는 부품 내의 전압 표시란(1402)이 연동하여 변경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부품 간의 연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전압 표시란(1401)과 같이 입력값이 변경으로 되었을 때 발행되는 이벤트(item-property-changed)에 대한 동작(메소드)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동작의 상세는,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스크립트 언어(예를 들어, Javascript)에 의한 스크립트를 스크립트란 속에 기술함으로써 설정된다. 예를 들어, 이벤트의 발행자 및 발행처의 부품의 정보가 인수로서 전달되어, 스크립트 내에서 사용 가능해진다. 도 14의 예에서는, 이벤트의 발행자의 부품 내의 전압 표시란(1401)의 값을 취득하여, 발행처의 부품 내의 특정한 텍스트 내에 설정하는 등의 스크립트가 기술된다.
도 16은, 현재 선택되어 있는 전자 기기의 품질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품(1601)은, 복수의 탭을 포함한다. 복수의 탭은, 적절히 전환하여 표시 가능하다. 도 16에서는, KPI를 표시하는 「품질 정보」 탭의 표시예가 나타나 있다. 이 「품질 정보」 탭에는, KPI 카드가 배치되어 있다. 이 KPI 카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준비되어 있는 카드이고, 몇 가지의 KPI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과 하단으로 나뉘어 표시된다. 상단에서는 각종 KPI 정보의 지정한 시각에서의 최신값을 게이지 그래프로서 표시하고, 하단에서는 시계열 그래프로서 표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품질 정보」 탭에서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전자 기기(설비)의 대표적인 KPI인 설비 종합 효율(OEE: Overall Equipment Effectivenes)이 게이지에 의해 표시되고, 그밖의 3개의 KPI(시간 가동률, 성능 가동률, 양품률)가 막대 그래프에 의해 표시된다. 또한, 하부에서는, 4개의 KPI의 시계열의 변화가 그래프로 표시된다.
도 17은, 「가동 정보」 탭이 선택된 경우의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동 정보」 탭에는, 가동 정보 카드가 배치되어 있고, 선택된 전자 기기의 상세한 가동 정보가 열람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가동 정보가 띠그래프로 표시되고, 선택된 전자 기기의 고장 이력이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매분 값으로 센서값을 설정해 둠으로써, 가동 상태(가동, 계획 정지, 장치 트러블 등)에 따라 색을 바꾸어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은, 「품질 트렌드」 탭이 선택된 경우의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품질 트렌드」 탭에는, VS 트렌드 카드가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전자 기기, 복수의 센서 및 복수의 시각(기간)에서의 정보의 비교가 가능해진다. 도 18의 예에서는, 전자 기기, 센서 및 시각에 대하여 3개의 조(A, B, C)가 선택 가능하다. 센서란에서는, 전자 기기란에서 선택된 전자 기기가 구비하는 센서를 선택할 수 있다. 각 조에 대하여, 선택된 센서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검지된 데이터(센싱 데이터의 값 등)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하부에 표시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품질 트렌드」 탭은, 전자 기기, 센서 및 시각의 적어도 일부를 동일값(고정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체크 박스(180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조 A와의 비교 대상으로서, 「동일한 기기에서 비교한다」가 체크되면, 조 B 및 C에 대하여, 조 A와 동일한 전자 기기가 설정된다. 「동일한 센서에서 비교한다」가 체크되면, 조 B 및 C에 대하여, 조 A와 동일한 센서가 설정된다. 「동일한 시각에서 비교한다」가 체크되면, 조 B 및 C에 대하여, 조 A와 동일한 시각이 설정된다.
전자 기기, 센서 및 시각 중 어느 요소를 고정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지정된 경우는, 고정값으로 설정된 요소 이외의 요소만을, 복수의 조 사이에서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다른 전자 기기가 구비하는 동일한 종류의 센서의 센싱 데이터의 트렌드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9는, 이동 경로 카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 경로 카드는, 선택되어 있는 전자 기기(설비)의 친자 관계를 나타내는 부품이다. 이동 경로 카드에 의해, 예를 들어 선택되어 있는 전자 기기(설비)의 모기기를 용이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경로 카드는, 선택되어 있는 전자 기기(설비)의 계층을 기호 「>」로 구획하여 표시한다. 어느 계층이 클릭되면, 클릭된 계층이 선택 상태로 변경된다.
도 20은, 트리 카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트리 카드는, 전자 기기(설비)의 계층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부품이다. 「-」 아이콘이 클릭되면, 전개되어 있는 계층의 정보가 절첩되어 표시되고, 아이콘이 예를 들어 「+」 아이콘으로 변경된다. 「+」 아이콘이 클릭되면, 절첩되어 있는 계층의 정보가 전개되어 표시되고, 아이콘이 「-」 아이콘으로 변경된다.
전자 기기(설비)의 종류에 따른 아이콘이 더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트리 카드는, 명칭에 의한 검색(부분 일치 검색이어도 됨)을 행하기 위한 기능이 구비되어도 된다.
도 21은, 센서 일람 카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센서 일람 카드는, 선택되어 있는 전자 기기가 구비하는 센서를 일람 표시하는 부품이다.
도 22는, 설비 일람 카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비 일람 카드는, 선택되어 있는 거점(로케이션)이 구비하고 있는 전자 기기(설비)를 아이콘으로 일람 표시하는 부품이다. 설비 일람 카드는, 경보(Warning, 경고)가 발생하고 있는 전자 기기의 아이콘의 표시 양태(표시색 등)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부품의 배치 및 연계의 설정 등을 GUI를 사용하여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효율적으로 화면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도 2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는, CPU(51) 등의 제어 장치와, ROM(Read Only Memory)(52)이나 RAM(53) 등의 기억 장치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을 행하는 통신 I/F(54)와, 각 부를 접속하는 버스(61)를 구비하고 있다.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ROM(52) 등에 미리 삽입되어 제공된다.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인스톨 가능한 형식 또는 실행 가능한 형식의 파일이고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플렉시블 디스크(FD), CD-R(Compact Disk Recordable),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덕트로서 제공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상에 저장하고, 네트워크 경유로 다운로드시킴으로써 제공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경유로 제공 또는 배포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상술한 정보 처리 장치의 각 부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 컴퓨터는, CPU(51)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상에 읽어내어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서버 장치
101: 통신 제어부
102: 접수부
103: 표시 제어부
104: 기억 제어부
121: 기억부
200: 단말 장치
201: 통신 제어부
202: 표시 제어부
221: 표시부
300: 네트워크

Claims (11)

  1. 미리 정해진 기능을 갖는 복수의 부품을 배치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표시 화면을 사용하여 지정된 상기 부품의 설정을 접수하는 접수부와,
    접수된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기억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부품이 설정된 상기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부품은,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부품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제2 부품의 동작을 나타내는 연계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더 표시하고,
    상기 기억 제어부는, 상기 연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연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이 동작하도록 상기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부품은, 1 이상의 전자 기기가 구비하는 1 이상의 검지 장치에 의해 검지된 1 이상의 센싱 데이터를 표시하는 부품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부품은, 전자 기기, 상기 전자 기기가 구비하는 검지 장치 및 상기 검지 장치에 의해 센싱 데이터가 검지된 기간을 각각 선택시키고, 선택된 상기 검지 장치에 의해 상기 기간에 검지된 센싱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1 부품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은,
    상기 전자 기기, 상기 검지 장치 및 상기 기간의 조를 복수 선택 가능하고,
    상기 전자 기기, 상기 검지 장치 및 상기 기간 중 어느 요소를 고정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지정된 경우는, 고정값으로 설정된 요소 이외의 요소만을, 복수의 조 사이에서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부품의 설정이 허가된 유저에 대하여, 부품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복수의 유저마다 정해지는 제1 설정 정보와,
    복수의 유저 각각에게 부여되는 권한마다 정해지는 제2 설정 정보와,
    복수의 유저에게 공통으로 정해지는 제3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설정 정보, 상기 제2 설정 정보 및 상기 제3 설정 정보 각각에 대하여 정해지는 우선도에 따라 선택되는 어느 설정 정보에 따라 부품이 설정된 상기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디폴트 설정 정보에 따라 부품이 설정된 상기 표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접수부는, 디폴트 설정 정보에 따라 부품이 설정된 상기 표시 화면을 사용하여 유저가 지정한 상기 부품의 설정을 접수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부는, 1 이상의 전자 기기가 구비하는 1 이상의 검지 장치에 의해 검지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고,
    복수의 상기 부품은, 상기 센싱 데이터를 표시하는 부품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정보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이며,
    미리 정해진 기능을 갖는 복수의 부품을 배치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스텝과,
    상기 표시 화면을 사용하여 지정된 상기 부품의 설정을 접수하는 접수 스텝과,
    접수된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기억 제어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스텝은,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부품이 설정된 상기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정보 처리 방법.
  11. 컴퓨터에,
    미리 정해진 기능을 갖는 복수의 부품을 배치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스텝과,
    상기 표시 화면을 사용하여 지정된 상기 부품의 설정을 접수하는 접수 스텝과,
    접수된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기억 제어 스텝을 실행시키고,
    상기 표시 제어 스텝은,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부품이 설정된 상기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프로그램.
KR1020247001155A 2021-07-19 2022-07-19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2400193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19070 2021-07-19
JP2021119070 2021-07-19
PCT/JP2022/028030 WO2023002977A1 (ja) 2021-07-19 2022-07-19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356A true KR20240019356A (ko) 2024-02-14

Family

ID=8498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1155A KR20240019356A (ko) 2021-07-19 2022-07-19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52365A1 (ko)
EP (1) EP4375826A1 (ko)
JP (1) JPWO2023002977A1 (ko)
KR (1) KR20240019356A (ko)
CN (1) CN117999539A (ko)
WO (1) WO202300297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101A (ja) 1991-08-30 1994-03-22 Takeshi Sakuma 連続濃縮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8759A (ja) * 2002-07-05 2004-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プリケーション連携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連携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04213148A (ja) * 2002-12-27 2004-07-29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
JP5779556B2 (ja) * 2012-07-27 2015-09-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監視制御装置、監視制御方法及び監視制御システム
JP6076751B2 (ja) * 2013-01-22 2017-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異常診断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6779101B2 (ja) 2016-11-04 2020-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101A (ja) 1991-08-30 1994-03-22 Takeshi Sakuma 連続濃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99539A (zh) 2024-05-07
WO2023002977A1 (ja) 2023-01-26
EP4375826A1 (en) 2024-05-29
JPWO2023002977A1 (ko) 2023-01-26
US20240152365A1 (en) 202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8404B1 (en) Monitoring service-level performance using defined searches of machine data
US11526511B1 (en) Monitoring interfa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US11245586B2 (en) Data insight scoring for performance analytics
US20230102389A1 (en) Providing a user interface reflecting service monitoring adaptation for maintenance downtime
US9727656B2 (en) Interactive sitemap with user footprints
EP3485376B1 (en) Cloud content states framework
CN102906741A (zh) 基于包括在兴趣云中的兴趣标签选择内容
CN106161833B (zh) 操作屏幕提供系统、中继设备和操作屏幕提供方法
US20150058093A1 (en) Reusable user interface control and ranking circle
US20160085428A1 (en) Informational tabs
CN103425483A (zh) 菜单的用户定制
JP2012113614A (ja) 要件構造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42547A (ko) 설비 관리 장치, 화면 표시 방법, 및 기록 매체
JP5049880B2 (ja) 情報処理装置
KR20240019356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US11922110B2 (en) Responsive document authoring
US92922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pattern viewer
JP2020024573A (ja) 閲覧状況解析装置、閲覧状況解析方法および閲覧状況解析プログラム
Yoshioka et al. Unified Symbol Framework to Improve UI Comprehension
JP6377938B2 (ja) サーバ及び方法
US202303674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pecifying Properties for a Protocol-Compliant Uniform Resource Locator
KR101225084B1 (ko)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JP6101880B1 (ja) Webページ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Dimitrov et al. Human-Computer Service Interface in Industrial Monitoring Services
CN118012307A (zh) 一种可视化数据驾驶舱配置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