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024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024A
KR20240019024A KR1020230082259A KR20230082259A KR20240019024A KR 20240019024 A KR20240019024 A KR 20240019024A KR 1020230082259 A KR1020230082259 A KR 1020230082259A KR 20230082259 A KR20230082259 A KR 20230082259A KR 20240019024 A KR20240019024 A KR 20240019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il
wind power
ship
control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2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시 아오노
아키히코 마스타니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9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02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2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Magnus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9Wind propelled vessels comprising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ther than wind propulsion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uch as sails, running rigging, or the like, and other than sailboards or the like or related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범주 시에 있어서의 추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한다.
선박(1)은, 풍력에 의하여 선체(11)를 추진시키는 복수의 풍력 추진부(10)를 구비한다. 그 때문에, 선박(1)은, 바람이 불었을 때에는, 풍력 추진부(10)에 의한 추진력으로 범주를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풍력 추진부(10)는, 다른 주돛(10A, 10B, 10C)(제1 풍력 추진부)에 비하여 작은 제어돛(10D)(제2 풍력 추진부)을 갖는다. 이로써, 선박(1)은, 작은 제어돛(10D)으로 모멘트를 조정함으로써, 다른 주돛(10A, 10B, 10C)에 의한 모멘트와의 균형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키의 조작(첵 헬름)에 의하지 않고, 범주 시에 있어서의 선체(11)의 선회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하여, 범주 시에 있어서의 추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출원은, 2022년 8월 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22-123947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최근, CO2 등의 GHG 가스의 삭감을 위하여, 풍력 등의 재생 가능 에너지를 이용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는 선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선박은, 프로펠러에 의한 추진기에 더하여, 선체 상에, 풍력에 의하여 선체를 추진시키는 풍력 추진부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20-45018호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선박은, 로터돛 등을 갖는 풍력 추진부를 선체에 복수 구비하고 있다. 선박은, 모든 풍력 추진부에 있어서 최대의 추력이 얻어지도록 각 풍력 추진부를 제어한다. 선박에 있어서는, 풍속의 변화에 의하여 선체가 선회해 버리는 경우가 있어, 당해 선회에 대하여 키의 조작(첵 헬름(check helm))을 행함으로써, 당해 선회에 대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첵 헬름의 저항에 의하여 범주(帆走)의 추진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범주 시에 있어서의 추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선박은, 선체와, 풍력에 의하여 선체를 추진시키는 복수의 풍력 추진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풍력 추진부는, 다른 제1 풍력 추진부에 비하여 작은 제2 풍력 추진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선박은, 풍력에 의하여 선체를 추진시키는 복수의 풍력 추진부를 구비한다. 그 때문에, 선박은, 바람이 불었을 때에는, 풍력 추진부에 의한 추진력으로 범주를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풍력 추진부는, 다른 제1 풍력 추진부에 비하여 작은 제2 풍력 추진부를 갖는다. 이로써, 선박은, 작은 제2 풍력 추진부에서 모멘트를 조정함으로써, 다른 제1 풍력 추진부에 의한 모멘트와의 균형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키의 조작(첵 헬름)에 의하지 않고, 범주 시에 있어서의 선체의 선회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하여, 범주 시에 있어서의 추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풍력 추진부는, 선체에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제2 풍력 추진부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端部)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2 풍력 추진부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측의 위치에서, 다른 제1 풍력 추진부에 의한 모멘트와의 균형의 조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선회의 모멘트를 억제할 수 있다.
적어도 제2 풍력 추진부는, 에너지의 공급에 의하여 구동되어도 된다. 제2 풍력 추진부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경우, 당해 제2 풍력 추진부에 대한 에너지 공급 기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제1 풍력 추진부와 동일한 크기의 풍력 추진부를 마련하고, 당해 풍력 추진부에 대한 에너지를 저감시켜 모멘트를 조정하는 경우, 에너지 공급 기구가 과잉이 되지만, 제2 풍력 추진부를 작게 함으로써, 에너지 공급 기구가 과잉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범주 시에 있어서의 추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로터돛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의 (b)는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모멘트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략평면도이다.
도 5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 "후"라는 용어는 선체의 선수와 선미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것이고, "횡"이라는 용어는 선체의 좌우(폭)방향에 대응하는 것이며, "상", "하"라는 용어는 선체의 상하방향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선박(1)은, 예를 들면 원유나 액체가스 등의 석유계 액체화물을 운반하는 선박이며, 예를 들면, 오일탱커이다. 다만, 선박은, 오일탱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벌크캐리어, 그 외에, 다양한 종류의 선박이어도 된다.
선박(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11)와, 추진기(12)와, 복수의 풍력 추진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선체(11)는, 선수부(2)와, 선미부(3)와, 기관실(4)과, 화물실(6)을 갖고 있다. 선체(11)의 상부에는(또는 선내에는) 상갑판(19)이 마련되어 있다. 선수부(2)는, 선체(11)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선미부(3)는, 선체(11)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선수부(2)는, 예를 들면 만재흘수(滿載吃水) 상태에 있어서의 조파(造波) 저항의 저감이 도모된 형상을 갖고 있다. 추진기(12)는, 선체(11)의 추력을 기계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며, 예를 들면 스크루샤프트가 이용되고 있다. 추진기(12)는, 추진 시에 선미부(3)에 있어서의 흘수선(바다(W)의 수면)보다 하방에 설치된다. 또, 선미부(3)에 있어서의 흘수선보다 하방에는, 추진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키(15)가 설치되어 있다.
기관실(4)은, 선미부(3)의 선수측에 이웃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기관실(4)은, 추진기(12)에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메인 엔진(16)을 배치하기 위한 구획이다. 상갑판(19)상에는, 기관실(4)의 상방에 거주구(22), 및 배기용 굴뚝(23)이 마련된다. 화물실(6)은, 선수부(2)와 기관실(4)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화물실(6)은, 화물을 수용하기 위한 구획이다. 화물실(6)은, 외판(20)과 내저판(內底板)(21)의 이중선각구조(二重船殼構造)를 채용함으로써, 복수의 화물실(26)과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27)로 구획되어 있다. 밸러스트 탱크(27)는, 배의 크기 등에 따른 양의 밸러스트수(水)를 수용한다.
풍력 추진부(10)는, 풍력에 의하여 선체(11)를 추진시키는 기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풍력 추진부(10)로서 로터식의 풍력 추진 기구가 채용되어 있다. 풍력 추진부(10)는, 선체(11)의 상갑판(19)상에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복수(여기에서는 4개) 마련되어 있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력 추진부(10)는, 상하방향으로 뻗는 원기둥 형상의 로터돛(31)과, 로터돛(31)을 회전시키는 전동기(32)를 구비한다. 로터돛(31)에 대하여 횡측으로부터 바람(WD)이 불어 오면, 후측에서는 로터돛(31)의 회전 방향과 바람(WD)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고, 전측에서는 로터돛(31)의 회전 방향과 바람(WD)의 방향이 일치한다. 이로써, 로터돛(31)의 전후에서 압력차가 발생함으로써, 전측으로 향하는 추력(PF)이 발생한다(마그누스효과).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11)에 대하여 횡측으로부터 바람(WD)이 부는 것에 의해, 각 풍력 추진부(10)의 추력(PF)에 의하여, 선체(11)는 전방으로 진행한다. 다만,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풍력 추진부(10)를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주돛(10A)", "주돛(10B)", "주돛(10C)", "제어돛(10D)"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제어 장치(50)를 구비하는 제어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장치(5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풍력 추진부(10)를 갖는 선박(1)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제어 장치(50)는, 복수의 풍력 추진부(10)를 제어함으로써, 선체(11)를 선회시키는 모멘트를 억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시스템(100)은, 전술한 복수의 주돛(10A, 10B, 10C)(제1 풍력 추진부)과, 제어돛(10D)(제2 풍력 추진부)과, 추진기(12)와, 키(15)를 구비한다. 또, 제어 시스템(100)은, 이들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50)와, 정보 검출부(51)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50)는,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일반적인 컴퓨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기이다.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기억매체이다. 스토리지는, HDD(Hard Disk Drive) 등의 기억매체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통신을 실현하는 통신 기기이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스토리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괄하고, 후술하는 제어부(30)의 기능을 실현한다. 제어부(30)에서는, 예를 들면, ROM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RAM에 로드하고, RAM에 로드된 프로그램을 CPU로 실행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제어부(30)는, 복수의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 장치(50)는, 주돛(10A, 10B, 10C)의 전동기(32A, 32B, 32C), 및 제어돛(10D)의 전동기(32D)로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로터돛(31)을 원하는 회전수로 회전시킨다. 제어 장치(50)는, 추진기(12)의 구동부(메인 엔진(16) 등)로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추진기(12)를 동작시킨다. 제어 장치(50)는, 키(15)의 구동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키가 원하는 각도가 되도록 동작시킨다.
정보 검출부(51)는, 제어 장치(50)의 연산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검출한다. 정보 검출부(51)는, 풍향, 및 풍속 등의 바람에 관한 정보를 검출 가능한 풍향 풍속계(52)를 갖는다(도 1 참조). 정보 검출부(51)는, 키(15)의 각도를 검출하는 타각계(舵角計)(53)를 갖는다(도 1 참조). 또, 정보 검출부(51)는, 선체(11)의 자세·동요(動搖) 등의 선체 운동이나 방위를 계측하는 계측기(54)를 구비한다(도 1 참조). 그 외에, 정보 검출부(51)는, 일기예보 등의 미리 바람의 상태를 파악해 둘 수 있는 것 같은 정보 수신부를 구비한다. 정보 검출부(51)는, GPS 등, 선체(11)의 위치를 검출 가능한 계측기를 구비한다. 정보 검출부(51)는, 검출한 정보를 제어 장치(50)로 송신한다.
다음으로, 주돛(10A, 10B, 10C), 및 제어돛(10D)에 대하여, 도 4의 (a)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돛(10D)은, 다른 주돛(10A, 10B, 10C)에 비하여 작은 돛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터돛(31)을 갖는 풍력 추진부(10)는, 전동기(32)에 대한 에너지의 공급에 의하여 구동된다. 제어돛(10D)은, 다른 주돛(10A, 10B, 10C)보다 작기 때문에, 에너지의 공급량도 적어도 되고, 그에 비례하여 전원이나 유압 용량, 송풍기 용량, 모터 사이즈 등의 에너지 공급 기구도 소형화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어돛(10D)의 전동기(32D)는, 다른 주돛(10A, 10B, 10C)의 전동기(32A, 32B, 32C)보다 작아도 된다. 그 외에, 제어돛(10D)의 에너지 공급 기구로서 관련되는 기기, 기능 전반을, 다른 주돛(10A, 10B, 10C)의 것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제어돛(10D)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측에 배치된다. 제어돛(10D)은, 선체(1)의 후단부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돛(10D)은, 거주구(22)보다 후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주돛(10C)과 제어돛(10D)의 사이의 이간 거리는, 주돛(10B)과 주돛(10C)의 사이의 이간 거리, 및 주돛(10A)과 주돛(10C)의 사이의 이간 거리보다 크다. 이와 같이, 최후단의 제어돛(10D)을 거주구(22)의 뒤에 배치함으로써, 거주구(22) 바로 앞의 주돛(10C)과 조작실의 거리가 넓어져, 시각적으로 호영향(好影響)이 된다. 단, 제어돛(10D)은, 거주구(22)보다 전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여기에서, 제어돛(10D)이 주돛(10A, 10B, 10C)에 비하여 어느 정도 작은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돛(10D)의 크기는, 선체의 설계 조건에 의존하지만, 예를 들면 8만 톤의 탱커에서 로터돛(31)을 4개 갖는 것을 상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사고 방식에 근거하여 주돛(10A, 10B, 10C)과 제어돛(10D)의 역할을 분리하면, 무게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장소에 설치되는 선체 후방의 제어돛(10D)은 다른 주돛(10A, 10B, 10C)과 비교하여 최대 양력(揚力)으로 약 20% 정도 작게 할 수 있다. 양력을 작게 하는 방법으로서 로터돛(31)의 물리적 사이즈(직경·높이, 면적 등)를 작게 하거나, 물리적인 사이즈는 동일하고 운전 조건(로터돛(31)의 경우는 최대 회전수) 등을 작게 하거나, 또는 그 쌍방을 균형있게 채용하는 등의 대책이 생각된다. 이와 같은 제어돛(10D)의 채용에 의하여, 조선소는 돛의 장치 본체의 물량뿐만 아니라 발전기의 소형화, 선체 보강의 용이화나 배치의 유연성이라는 메리트를 가질 수 있다. 배의 운항자는 실제로는 최대출력으로 운전하는 경우가 적은 돛의 잉여 사양분의 초기 비용과, 운용 비용, 메인터넌스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1)의 선체(11)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4의 (b)를 참조하여, 비교예에 관한 선박(200)의 선체(11)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교예에 관한 선박(200)의 최후단의 풍력 추진부(10)는, 작은 제어돛(10D) 대신에, 다른 주돛(10A, 10B, 10C)과 동일한 크기의 주돛(10E)이 마련된다. 여기에서는, 주돛(10A, 10B, 10C)의 3개의 돛의 합력 중심(P1)에 작용하는 모멘트와, 최후단의 주돛(10E)의 착력점(P2)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선박(1)을 향하여 횡측으로부터 바람(WD)이 불면, 주돛(10E)에서 양력, 및 항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돛(10E)의 착력점(P2)에 양력과 항력의 합력 Faft가 작용한다. 이 합력 F1의 전방의 성분이 추진력 Fxaft가 되고, 선폭방향의 성분이 횡력 Fyaft가 된다. 선박(1)을 향하여 횡측으로부터 바람(WD)이 불면, 주돛(10A, 10B, 10C)의 3개의 돛의 합력 중심(P1)에 3개의 돛분의 추진력 Fxfore가 전방으로 작용하고, 횡력 Fyfore가 선폭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때의 무게 중심(P3) 회전의 회두(回頭) 모멘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게 중심(P3)과 최후단의 주돛(10E)의 착력점(P2)의 전후 방향의 거리는 "거리 xaft"이기 때문에, 착력점(P2)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xaft·Fyaft"가 된다. 무게 중심(P3)과 3개의 돛의 합력 중심(P1)의 전후 방향의 거리는 "거리 xfore"이기 때문에, 합력 중심(P1)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xfore·Fyfore"가 된다. 비교예에 있어서는, 최후단의 주돛(10E)에 의한 모멘트가 과잉이기 때문에, "xaft·Fyaft>xfore·Fyfore"라는 관계가 성립한다. 그 때문에, 선체(11)에 대하여 좌회두의 회두 모멘트(MT)가 작용한다. 이와 같은 회두 모멘트(MT)를 상쇄하여 선체(11)의 선회를 회피하기 위하여 키(15)를 꺾은 경우(도 4의 (b)의 가상선의 키(15) 참조), 키(15)에 의한 저항이 증가해 버려, 선박(1)이 감속되어 버린다.
다음으로, 도 4의 (a)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1)의 선체(11)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1)의 최후단의 풍력 추진부(10)는, 작은 제어돛(10D)이다. 이 경우, 제어돛(10D)의 착력점(P2)에 작용하는 횡력 Fyaft가 작아진다. 그 때문에, 착력점(P2)에 작용하는 "xaft·Fyaft"의 모멘트도 작아진다. 따라서, "xaft·Fyaft=xfore·Fyfore"라는 관계가 성립한다. 그 때문에, 모멘트가 균형을 이룸으로써, 회두 모멘트(MT)가 억제되고, 선체(11)에 직진하는 추력(PF)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회두 모멘트(MT)를 상쇄하기 위한 키(15)에 의한 첵 헬름이 불필요해진다. 제어돛(10D)의 배치를 주돛(10A, 10B, 10C)의 힘의 중심위치로부터 가능한 한 거리를 떨어뜨려 설치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충분한 모멘트를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1)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1)은, 풍력에 의하여 선체(11)를 추진시키는 복수의 풍력 추진부(10)를 구비한다. 그 때문에, 선박(1)은, 바람이 불었을 때에는, 풍력 추진부(10)에 의한 추진력으로 범주를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풍력 추진부(10)는, 다른 주돛(10A, 10B, 10C)(제1 풍력 추진부)에 비하여 작은 제어돛(10D)(제2 풍력 추진부)을 갖는다. 이로써, 선박(1)은, 작은 제어돛(10D)으로 모멘트를 조정함으로써, 다른 주돛(10A, 10B, 10C)에 의한 모멘트와의 균형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키의 조작(첵 헬름)에 의하지 않고, 범주 시에 있어서의 선체(11)의 선회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하여, 범주 시에 있어서의 추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풍력 추진부(10)는, 선체(11)에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제어돛(10D)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돛(10D)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측의 위치에서, 다른 주돛(10A, 10B, 10C)에 의한 모멘트와의 균형의 조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선회의 모멘트를 억제할 수 있다.
적어도 제어돛(10D)은, 에너지의 공급에 의하여 구동되어도 된다. 제어돛(10D)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경우, 당해 제어돛(10D)에 대한 에너지 공급 기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돛(10A, 10B, 10C)과 동일한 크기의 풍력 추진부(10)를 마련하고, 당해 풍력 추진부(10)에 대한 에너지를 저감시켜 모멘트를 조정하는 경우, 에너지 공급 기구가 과잉이 된다. 에너지의 공급량에 따라 추진력을 조정 가능한 돛에서는, 대형의 돛을 탑재하면 그에 비례하여 전원이나 유압 용량, 송풍기 용량, 모터사이즈 등도 대형화된다. 즉 대형의 돛을 탑재하고 있는데 추진력 최대로 사용하지 않으면, 장치의 능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않는 사용법이 되어 과잉인 사양이라는 경우도 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어돛(10D)을 작게 함으로써, 에너지 공급 기구가 과잉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돛(10D)의 역할을 침로(針路)의 제어로 명확화함으로써, 최대의 추력으로 운전할 기회가 적은 단부의 돛은 소형화가 가능하다. 다만, 로터돛(31)을 갖는 풍력 추진부(10)의 경우, 소형의 돛은 그만큼 관성 모멘트도 작기 때문에, 제어돛(10D)의 섬세한 제어의 대한 추종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풍력 추진부의 수나 배치 등, 선체에 대하여 어떻게 마련하는지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횡방향으로 어긋나는 것 같은 풍력 추진부를 마련해도 된다.
또, 추력을 증감시키는 풍력 추진부(10)의 수는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개의 풍력 추진부(10)를 가져도 되고, 그 이상의 풍력 추진부(10)를 가져도 된다. 또, 제어돛은 복수 개 존재해도 된다. 도 5의 (a)에서는, 2개의 제어돛(10D, 10F)이 마련되어 있다. 또,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돛(10F)은 선수측에 존재해도 된다. 다만, 무게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돛이 반드시 제어돛일 필요는 없다. 가장 먼 돛이 주돛이고, 예를 들면 먼 순서에서 2·3번째가 제어돛이어도 된다. 다만, 무게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의 순서에 따라 제어돛의 사이즈가 배열될 필요는 없다. 도 5의 (a)의 경우, 제어돛(10F)을 더 구비함으로써, 제어돛(10D) 단독의 경우보다 추가적으로 선회 모멘트의 억제 제어를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a)의 경우와 비교하여, 제어돛(10F)이 있는 만큼, 제어돛(10D)의 가일층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다만, 도 5의 (a)에서는, 제어돛(10F)과 제어돛(10D)의 실시예를 소개했지만, 주돛(10A~10C)과 제어돛의 거리가 떨어져 있으면 선회모멘트는 해소할 수 있으므로, 선주측에 제어돛(10F)만 배치해도 된다.
제어돛(10D)은 반드시 주돛(10A, 10B, 10C)과 동일한 타입의 돛을 소형화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삼각돛과 같은 상이한 타입의 돛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주돛 및 제어돛은 선체 중심선 상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돛은 일렬로 배열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삼각돛의 타입의 제어돛(10D)이 선체 중심선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한 쌍 마련되어 있다. 다만, 도 5의 (a)의 선미측의 제어돛(10D)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한 쌍 마련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선미측은, 거주구(22)가 마련되지만, 선박의 센터 라인 상에 제어돛(10D)이 배치되면, 거주구(22)로부터 뒤가 제어돛(10D)에 의하여 시야가 차단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제어돛(10D)을 선체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한 쌍 마련함으로써, 거주구(22)로부터의 시야도 확보할 수 있다. 또, 복수개의 제어돛이 존재할 때, 각각의 돛의 사이즈나 타입이 상이해도 된다. 또, 실시형태에 관한 풍력 추진부(10)는, 전동기(32)에 대한 에너지의 공급에 의하여 구동되고 있다. 단, 구동 양태는, 반드시 전동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체(11)의 구조도 도 1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1…선박
11…선체
10…풍력 추진부
10A, 10B, 10C…주돛(제1 풍력 추진부)
10D…제어돛(제2 풍력 추진부)

Claims (3)

  1. 선체와,
    풍력에 의하여 상기 선체를 추진시키는 복수의 풍력 추진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풍력 추진부는, 다른 제1 풍력 추진부에 비하여 작은 제2 풍력 추진부를 갖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풍력 추진부는, 상기 선체에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풍력 추진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측에 배치되는, 선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2 풍력 추진부는, 에너지의 공급에 의하여 구동하는, 선박.
KR1020230082259A 2022-08-03 2023-06-27 선박 KR202400190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123947A JP2024021241A (ja) 2022-08-03 2022-08-03 船舶
JPJP-P-2022-123947 2022-08-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024A true KR20240019024A (ko) 2024-02-14

Family

ID=8975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2259A KR20240019024A (ko) 2022-08-03 2023-06-27 선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021241A (ko)
KR (1) KR20240019024A (ko)
CN (1) CN1175085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45018A (ja) 2018-09-20 2020-03-26 株式会社大内海洋コンサルタント ゼロエミッション発電帆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45018A (ja) 2018-09-20 2020-03-26 株式会社大内海洋コンサルタント ゼロエミッション発電帆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21241A (ja) 2024-02-16
CN117508534A (zh)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4607B1 (en) Steering control system for a vessel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teering control system
US20080053356A1 (en) Steering and propulsion arrangement for ship
US20150127197A1 (en) Use of center engine for docking
KR20140007013A (ko) 선박에서의 추진 장치
KR101185515B1 (ko) 선박
CN111532388A (zh) 主动稳定装置和方法
JP2019112054A (ja) 海洋船舶
KR20240019024A (ko) 선박
JP2007230547A (ja) 3つの軸線を有する電気船舶推進システム
KR20230137833A (ko) 선박, 및 제어 장치
KR20240031009A (ko) 선박
JP2019107984A (ja) 操舵装置及び船舶
KR20240046018A (ko) 선박
KR20170124747A (ko) 전기선박 안정화장치
US20170305522A1 (en) Propeller ship with front positioned twin rudders
KR20130055875A (ko) 타면적이 증가되는 선박용 러더
KR20240054168A (ko) 선박
KR20240055630A (ko) 선박
JP6841540B1 (ja) スラスター配置船尾構造
KR20230143097A (ko) 선박
US11878769B2 (en) Aquatic moving body
JP7405705B2 (ja) 船舶
KR20230048742A (ko) 선박용 풍력 보조 추진장치
KR20170019154A (ko) 시추선의 방향전환 제어방법
KR20100005903U (ko) 선박용 방향전환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