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168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168A
KR20240054168A KR1020230116619A KR20230116619A KR20240054168A KR 20240054168 A KR20240054168 A KR 20240054168A KR 1020230116619 A KR1020230116619 A KR 1020230116619A KR 20230116619 A KR20230116619 A KR 20230116619A KR 20240054168 A KR20240054168 A KR 20240054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power
propulsion unit
hull
power propulsion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6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아라이
아키히코 마스타니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54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16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2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Magnus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63B3/52Pillars; Deck gi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9Wind propelled vessels comprising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ther than wind propulsion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uch as sails, running rigging, or the like, and other than sailboards or the like or related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Abstract

풍력으로 추진하는 선박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한다.
선박은, 풍력에 의하여 선체를 추진시키는 복수의 풍력 추진부(10)를 구비한다. 그 때문에, 선박(1)은, 풍력에 의하여 추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풍력 추진부(10)는, 상갑판(19)에 마련된다. 상갑판(19)에 풍력 추진부(10)를 마련하는 경우, 상갑판(19)의 지지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풍력 추진부(10)는, 선체(11)의 보강 부재(6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선체(11)의 보강 부재(60)가, 풍력 추진부(10)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의 지지 부재가 불필요하거나, 또는 저감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풍력으로 추진하는 선박(1)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출원은 2022년 10월 1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22-166766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최근, CO2 등의 GHG의 삭감을 위하여, 풍력 등의 재생 가능 에너지를 이용하여 추력을 발생하는 선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선박은, 프로펠러에 의한 추진기에 더하여, 선체 상에, 풍력에 의하여 선체를 추진시키는 풍력 추진부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20-45018호
여기에서, 선체의 상갑판에 풍력 추진부를 마련하는 경우, 상갑판의 지지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선체에 대하여 지지 부재를 추가로 마련하면 비용이 증가하고, 선체의 제조 시의 공수도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풍력으로 추진하는 선박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선박은, 선체와, 상갑판에 마련되고, 풍력에 의하여 선체를 추진시키는 풍력 추진부를 구비하며, 풍력 추진부는, 선체의 보강 부재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관한 선박은, 풍력에 의하여 선체를 추진시키는 복수의 풍력 추진부를 구비한다. 그 때문에, 선박은, 풍력에 의하여 추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풍력 추진부는, 상갑판에 마련된다. 상갑판에 풍력 추진부를 마련하는 경우, 상갑판의 지지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풍력 추진부는, 선체의 보강 부재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선체의 보강 부재가, 풍력 추진부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의 지지 부재가 불필요하거나, 또는 저감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풍력으로 추진하는 선박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풍력 추진부는, 접는 것이 가능하고, 접은 상태에서는, 선체의 선폭 방향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선박이 만구(灣口) 등으로 침입하는 경우에도, 풍력 추진부가 육지측의 구조물과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풍력 추진부는, 접은 상태에서는, 선체의 선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풍력 추진부를 다른 풍력 추진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접는 것이 가능해져, 풍력 추진부를 길게 할 수 있다.
풍력 추진부는, 접은 상태에서는, 다른 풍력 추진부의 지지 구조, 또는 보강 부재로 지지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접은 상태의 풍력 추진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추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풍력으로 추진하는 선박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로터돛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이며, 도 2의 (b)는 선박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3은 선박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4는 선체를 후측에서 보았을 때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5는 지지 구조가 보강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 "후"라는 용어는 선체의 선수와 선미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것이고, "횡"이라는 용어는 선체의 좌우(폭)방향에 대응하는 것이며, "상", "하"라는 용어는 선체의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선박(1)은, 예를 들면 원유나 액체가스 등의 석유계 액체화물을 운반하는 선박이며, 예를 들면, 오일탱커이다. 다만, 선박은, 오일탱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벌크캐리어, 그 외에, 다양한 종류의 선박이어도 된다.
선박(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11)와, 추진기(12)와, 복수의 풍력 추진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선체(11)는, 선수부(2)와, 선미부(3)와, 기관실(4)과, 화물실(6)을 갖고 있다. 선체(11)의 상부에는(또는 선내에는) 상갑판(19)이 마련되어 있다. 선수부(2)는, 선체(11)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선미부(3)는, 선체(11)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선수부(2)는, 예를 들면 만재흘수(滿載吃水) 상태에 있어서의 조파(造波) 저항의 저감이 도모된 형상을 갖고 있다. 추진기(12)는, 선체(11)의 추력을 기계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며, 예를 들면 스크루가 이용되고 있다. 추진기(12)는, 추진 시에 선미부(3)에 있어서의 흘수선(바다(W)의 수면)보다 하방에 설치된다. 또, 선미부(3)에 있어서의 흘수선보다 하방에는, 침로를 조정하기 위한 키(15)가 설치되어 있다.
기관실(4)은, 선미부(3)의 선수측으로 이웃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기관실(4)은, 추진기(12)에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메인엔진(16)을 배치하기 위한 구획이다. 상갑판(19) 상에는, 기관실(4)의 상방에 거주구(居住區)(22), 및 배기용 굴뚝(23)이 마련된다. 화물실(6)은, 선수부(2)와 기관실(4)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화물실(6)은, 화물을 수용하기 위한 구획이다. 화물실(6)은, 외판(20)과 내판(21)의 이중선각구조(二重船殼構造)를 채용함으로써, 복수의 화물실(26)과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27)로 구획되어 있다. 다만, 화물실(26)을 구획하는 격벽을 선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격벽(28A, 28B, 28C, 28D, 28E)으로 한다. 화물실(26)은, 전후방향으로 뻗는 격벽(28F)에 의하여 구획된다(도 3 및 도 4 참조). 밸러스트 탱크(27)는, 배의 크기 등에 따른 양의 밸러스트수(水)를 수용한다.
풍력 추진부(10)는, 풍력에 의하여 선체(11)를 추진시키는 기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풍력 추진부(10)로서 로터식의 풍력추진기구가 채용되어 있다. 풍력 추진부(10)는, 선체(11)의 상갑판(19) 상에 전후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복수(여기에서는 4개) 마련되어 있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력 추진부(10)는, 상하 방향으로 뻗는 원기둥 형상의 로터돛(31)(추진부)과, 로터돛(31)을 회전시키는 전동기(32)를 구비한다. 로터돛(31)에 대하여 횡측으로부터 바람(WD)이 불어 오면, 후측에서는 로터돛(31)의 회전방향과 바람(WD)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고, 전측에서는 로터돛(31)의 회전방향과 바람(WD)의 방향이 일치한다. 이로써, 로터돛(31)의 전후에서 압력차가 발생함으로써, 전측으로 향하는 추력(PF)이 발생한다(마그누스효과).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11)에 대하여 횡측으로부터 바람(WD)이 붊으로써, 각 풍력 추진부(10)의 추력(PF)에 의하여, 선체(11)는 전방으로 진행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11)에는, 레이더(51)와, 풍향풍속계(52)와, 타각계(舵角計)(53)와, 계측기(54)가 마련된다. 레이더(51)는, 선박(1) 주위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기기이다. 풍향풍속계(52)는, 풍향, 및 풍속 등의 바람에 관한 정보를 검출 가능한 기기이다. 선체(11)에는, 가장 선수측에 마련되는 풍력 추진부(10A)보다 선수측에, 레이더(51) 및 풍향풍속계(52)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레이더(51) 및 풍향풍속계(52)는, 상갑판(19) 상 중, 격벽(28A)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타각계(53)는, 키(15)의 각도를 검출하는 기기이다. 타각계(53)는, 선미부(3)에 마련된다. 계측기(54)는, 선체(11)의 자세·동요 등의 선체운동이나 방위를 계측하는 기기이다. 계측기(54)는, 선수부(2)에 마련된다. 그 외에, 선체(11)에는, 일기예보 등의 미리 바람의 상태를 파악해 둘 수 있는 것 같은 정보 수신부, GPS 등, 선체(11)의 위치를 검출 가능한 계측기를 구비해도 된다.
다음으로, 풍력 추진부(10)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3, 4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의 (a)는, 선체(11)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선체(11)를 선미측에서 보았을 때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11)는, 우현측의 밸러스트 탱크(27A)와, 좌현측의 밸러스트 탱크(27B)와, 바닥측의 밸러스트 탱크(27C)를 구비한다. 밸러스트 탱크(27A, 27B)는, 선폭 방향의 외판(20A, 20B)과 내판(21A, 21B)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도 3도 참조). 밸러스트 탱크(27C)는, 바닥측의 외판(20C)과 내판(21C)의 사이에 형성된다.
풍력 추진부(10)는, 상갑판(19)에 장착되는 지지 구조(40)와, 추진력을 발생하는 추진부로서의 로터돛(31)을 구비한다. 지지 구조(40)의 하단부는, 상갑판(19)에 고정된다. 로터돛(31)의 하단부는, 지지 구조(40)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로써, 로터돛(31)의 하단부는, 상갑판(19)에 직접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 구조(40)를 개재하여 상갑판(19)에 마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풍력 추진부(10A, 10B, 10C, 10D)가 마련되기 때문에, 4개의 로터돛(31) 및 4개의 지지 구조(40)가 마련된다. 단, 로터돛(31) 및 지지 구조(40)의 수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구조(40)는, 상갑판(19)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간된 위치에서 선폭 방향으로 뻗는 상벽부(41)와, 상벽부(41)의 선폭 방향의 좌우의 단부(端部)로부터 하방으로 뻗는 측벽부(41A, 41B)를 구비한다. 상벽부(41)는, 선폭 방향에 있어서, 선체(11)의 중앙위치로부터 우현측 및 좌현측의 단부 부근까지 뻗어 있다. 상벽부(41)의 상면으로부터는, 선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위치에서, 로터돛(31)이 상방으로 뻗는다. 측벽부(41A, 41B)의 하단부는, 상갑판(19)에 고정된다. 상벽부(41) 및 측벽부(41A, 41B)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상 부재에 의하여 구성된다. 상벽부(41) 및 측벽부(41A, 41B)는, 소정의 두께로, 전후방향으로 뻗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갑판(19) 상에, 지지 구조(40)가 구성된다. 상벽부(41)와 상갑판(19)의 사이에는, 공간(SP)이 형성된다. 당해 공간(SP)에는, 배관 등, 상갑판(19)에 마련된 의장품(艤裝品)(46)이 배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지지 구조(40)는, 상갑판(19)의 의장품(46)을 가로지르는 상태에서, 상갑판(19)에 장착되어도 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력 추진부(10A)의 지지 구조(40)는, 격벽(28B)의 상측의 위치에 마련된다. 풍력 추진부(10B)의 지지 구조(40)는, 격벽(28C)의 상측의 위치에 마련된다. 풍력 추진부(10C)의 지지 구조(40)는, 격벽(28D)의 상측의 위치에 마련된다. 풍력 추진부(10D)의 지지 구조(40)는, 격벽(28E)의 상측의 위치에 마련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력 추진부(10A)의 지지 구조(40)의 후단부(40b)는, 격벽(28B)의 상측에 배치된다. 풍력 추진부(10B)의 지지 구조(40)의 후단부(40b)는, 격벽(28C)의 상측에 배치된다. 풍력 추진부(10C)의 지지 구조(40)의 전단부(40a)는, 격벽(28D)의 상측에 배치된다. 풍력 추진부(10D)의 지지 구조(40)의 전단부(40a)는, 격벽(28E)의 상측에 배치된다.
풍력 추진부(10)는, 선체(11)의 보강 부재(60)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구조(40)는, 선체(11)의 보강 부재(60)의 상측에 배치된다. 보강 부재(60)는, 선체(11)의 구조의 강도를 보강하는 부재이다. 보강 부재(60)로서, 선체(11) 내에 마련되는 격벽, 및 종통재(longitudinals)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판(21A, 21B)(도 3 및 도 4), 격벽(28A~28F)(도 1 및 도 3), 및 종통재(47)(도 4 참조)가 보강 부재(60)에 해당한다. 이들 보강 부재(60)는, 상갑판(19)의 하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갑판(19)을 하면측으로부터 보강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구조(40)의 측벽부(41A, 41B)가, 내판(21A, 21B)의 상측에 마련된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부(41A)는, 선폭 방향에 있어서, 내판(21A)의 판 두께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측벽부(41A)의 하단부와 내판(21A)의 상단부가, 상갑판(19)을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다만, 내판(21)의 주면(主面)(21a)과 주면(21b)의 사이의 범위 내에, 측벽부(41A)의 주면(41a)과 주면(41b)의 사이의 범위의 어느 하나의 개소가 들어가 있으면 된다. 단, 지지 구조(40)의 일부와, 보강 부재(60)의 일부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겹쳐져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구조(40)가 선폭 방향으로 뻗는 측벽부(45)를 갖고 있는 경우, 당해 측벽부(45)의 일부와, 내판(21A)의 일부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겹쳐져 있는 구조는, 지지 구조(40)가 보강 부재(60)의 상측에 마련되는 구조이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력 추진부(10A, 10B, 10C, 10D)의 지지 구조(40)의 일부는, 보강 부재(60)인 격벽(28B, 28C, 28D, 28E)과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다만, 지지 구조(40)의 측벽부(41A, 41B)는, 종통재(47)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또, 지지 구조(40)의 측벽부의 수는 한정되지 않고, 측벽부(41A, 41B)에 더하여, 격벽(28F)과 겹쳐지는 것 같은 측벽부를 더 가져도 된다. 그 외에, 지지 구조(40)의 측벽부의 위치, 수, 뻗는 방향 등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력 추진부(10)는, 접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로터돛(31)은, 지지 구조(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수평 방향으로 뻗도록 접을 수 있다. 여기에서는, 풍력 추진부(10A, 10C)의 로터돛(31)은, 후방으로 접힌다. 풍력 추진부(10B, 10D)의 로터돛(31)은, 전방으로 접힌다. 풍력 추진부(10)의 로터돛(31)은, 접은 상태에서는, 선체(11)의 선폭 방향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즉, 풍력 추진부(10A, 10B, 10C, 10D)의 접힌 로터돛(31)의 상단부는, 모두, 외판(20A, 20B)보다 선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배치된다. 또, 풍력 추진부(10A, 10B, 10C, 10D)의 로터돛(31)은, 접은 상태에서는, 선체(11)의 선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CL)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로터돛(31)의 중심선(CL)에 대한 경사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른 로터돛(31)과 접촉하지 않으며, 선체(11)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면 된다.
풍력 추진부(10A, 10B, 10C, 10D)의 로터돛(31)은, 접은 상태에서는, 다른 풍력 추진부의 지지 구조(40), 또는 보강 부재(60)로 지지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도 3의 (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풍력 추진부(10A)의 로터돛(31)의 상단부는, 옆의 풍력 추진부(10B)의 지지 구조(40) 상에서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풍력 추진부(10B)의 로터돛(31)의 상단부는, 옆의 풍력 추진부(10A)의 지지 구조(40) 상에서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풍력 추진부(10C)의 로터돛(31)의 상단부는, 옆의 풍력 추진부(10D)의 지지 구조(40) 상에서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풍력 추진부(10D)의 로터돛(31)의 상단부는, 옆의 풍력 추진부(10C)의 지지 구조(40) 상에서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다만, 로터돛(31)의 상단부는, 보강 부재(60)의 위치에 있어서, 당해 보강 부재(60)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갑판(19) 상에 직접 배치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1)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은, 풍력에 의하여 선체를 추진시키는 풍력 추진부(10)를 구비한다. 그 때문에, 선박(1)은, 풍력에 의하여 추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풍력 추진부(10)는, 상갑판(19)에 마련된다. 상갑판(19)에 풍력 추진부(10)를 마련하는 경우, 상갑판(19)의 지지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풍력 추진부(10)는, 선체(11)의 보강 부재(6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선체(11)의 보강 부재(60)가, 풍력 추진부(10)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의 지지 부재가 불필요하거나, 또는 저감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풍력으로 추진하는 선박(1)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풍력 추진부(10)는, 접는 것이 가능하고, 접은 상태에서는, 선체(11)의 선폭 방향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선박(1)이 만구 등으로 침입하는 경우에도, 풍력 추진부(10)가 육지측의 구조물과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풍력 추진부(10)는, 접은 상태에서는, 선체(11)의 선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CL)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풍력 추진부(10)를 다른 풍력 추진부(10)와 접촉하지 않도록 접는 것이 가능해져, 풍력 추진부(10)를 길게 할 수 있다.
풍력 추진부(10)는, 접은 상태에서는, 다른 풍력 추진부(10)의 지지 구조(40), 또는 보강 부재(60)로 지지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접은 상태의 풍력 추진부(1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추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풍력 추진부로서, 로터돛을 갖는 것을 예시했지만, 풍력 추진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풍력 추진부로서, 윈드챌린저(wind challenger)로 대표되는 경익돛(硬翼帆), 그 외에, 석션돛 등의 타입의 풍력 추진부를 채용해도 된다.
상술한 풍력 추진부는, 지지 구조를 갖고 있었지만, 지지 구조를 생략하고, 추진부를 직접 상갑판에 추가하여 마련해도 된다.
[형태 1]
선체와,
상기 상갑판에 마련되고, 풍력에 의하여 상기 선체를 추진시키는 풍력 추진부를 구비하며,
상기 풍력 추진부는, 상기 선체의 보강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선박.
[형태 2]
상기 풍력 추진부는, 접는 것이 가능하고, 접은 상태에서는, 상기 선체의 선폭 방향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형태 1에 기재된 선박.
[형태 3]
상기 풍력 추진부는, 접은 상태에서는, 상기 선체의 선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형태 2에 기재된 선박.
[형태 4]
상기 풍력 추진부는, 접은 상태에서는, 다른 상기 풍력 추진부의 지지 구조, 또는 상기 보강 부재로 지지되도록 배치되는, 형태 2 또는 형태 3에 기재된 선박.
1… 선박
10… 풍력 추진부
11… 선체
31… 로터돛(추진부)
40… 지지 구조
60… 보강 부재

Claims (4)

  1. 선체와,
    상갑판에 마련되고, 풍력에 의하여 상기 선체를 추진시키는 풍력 추진부를 구비하며,
    상기 풍력 추진부는, 상기 선체의 보강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추진부는, 접는 것이 가능하고, 접은 상태에서는, 상기 선체의 선폭 방향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추진부는, 접은 상태에서는, 상기 선체의 선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선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추진부는, 접은 상태에서는, 다른 상기 풍력 추진부의 지지 구조, 또는 상기 보강 부재로 지지되도록 배치되는, 선박.
KR1020230116619A 2022-10-18 2023-09-04 선박 KR202400541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66766 2022-10-18
JP2022166766A JP2024059222A (ja) 2022-10-18 2022-10-18 船舶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168A true KR20240054168A (ko) 2024-04-25

Family

ID=9069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6619A KR20240054168A (ko) 2022-10-18 2023-09-04 선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059222A (ko)
KR (1) KR20240054168A (ko)
CN (1) CN1179020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45018A (ja) 2018-09-20 2020-03-26 株式会社大内海洋コンサルタント ゼロエミッション発電帆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45018A (ja) 2018-09-20 2020-03-26 株式会社大内海洋コンサルタント ゼロエミッション発電帆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02026A (zh) 2024-04-19
JP2024059222A (ja) 202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7285B2 (en) Variable hybrid catamaran air cushion ship
US7712426B1 (en) Multi-purpose expedition vessel
CN105143033B (zh) 用于船舶的推进系统
US7040244B1 (en) Watercraft having plural narrow hulls and having submerged passive flotation devices
EP2643206A1 (en) Spar based maritime access vehicle
US20040112268A1 (en) Hybrid catamaran air cushion ship
KR20240054168A (ko) 선박
KR20240055630A (ko) 선박
KR101314332B1 (ko) 수륙양용선의 선체 구조
KR102367115B1 (ko) 대형 배수형 선체 선박
JP2009190717A (ja) コンテナ船
KR101879253B1 (ko) 전치 트윈 러더 프로펠러선
KR101318889B1 (ko) 수륙양용선의 선체 구조
JP2006123814A (ja) 船舶
KR20240031009A (ko) 선박
CN215399177U (zh) 液化气运输船
JP2024021241A (ja) 船舶
JP7312991B2 (ja) 船舶
JP2002316688A (ja) 貨物船
EP4021795B1 (en) Vessel of modular construction
CN211494406U (zh) 一种抗摇及加强航向稳定性的全回转拖轮
KR20240046018A (ko) 선박
KR20230137833A (ko) 선박, 및 제어 장치
CN116767416A (zh) 船舶
JP2021195013A (ja) スラスター配置船尾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