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957A - 방호관 설치 장치 - Google Patents

방호관 설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957A
KR20240018957A KR1020220096950A KR20220096950A KR20240018957A KR 20240018957 A KR20240018957 A KR 20240018957A KR 1020220096950 A KR1020220096950 A KR 1020220096950A KR 20220096950 A KR20220096950 A KR 20220096950A KR 20240018957 A KR20240018957 A KR 20240018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otective
protective pipe
protective tube
install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영선
박재준
모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96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957A/ko
Publication of KR20240018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퍼선 또는 인하선의 방호작업시 간접활선 방법으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방호관 설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관 설치 장치는, 방호관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일측에 곡면이 형성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입력축이 외부의 회전 공구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 공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방호관과 연결되어 상기 방호관을 이동시키는 방호관 이송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호관 설치 장치{protective tube installation device}
본 발명은 방호관 설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점퍼선 또는 인하선의 방호작업시 간접활선 방법으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방호관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년 신증축 건축현장에서 건축 작업자가 건축현장 인근에 위치한 전력설비와 접촉하여 감전되는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신증축 건축현장 인근에 전력선이 존재시 전기공사 유자격자가 절연고소차량을 이용하여 고무절연장갑, 고무소매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직접 전력선에 접촉하여 전력선에 방호관을 설치하였으며 이 공법을 직접활선 방호관 설치공법이라 한다.(도 1 참조)
이때 직접 활선작업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송배전 설비와 같이 전력을 차단하는 것이 곤란한 제한적인 경우에만 수행되며, 직접활선 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절연용 보호구나 방호구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한편, 2022년 1월 직접활선 공법이 전면 폐지됨에 따라 기존에 직접활선으로 설치하였던 건축용 방호관 및 점퍼선 방호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근접 작업이 불가피하므로 해당 구간을 전부 휴전(사선)시킨 후 정전상태에서 건축용 방호관 및 점퍼선 방호관을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구간 휴전(사선)을 위해서는 정전관련 협의에 장시간이 소요되며, 이 경우 긴급을 요하는 건축현장의 일정에 맞춰 전력선을 방호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점퍼선에 방호관 설치시 간접활선 방법으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방호관 설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관 설치 장치는, 방호관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일측에 곡면이 형성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입력축이 외부의 회전 공구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 공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방호관과 연결되어 상기 방호관을 이동시키는 방호관 이송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는, 결합면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면에는 상기 방호관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 롤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각각은, 상기 방호관의 외둘레면을 지지하는 곡면 형태의 방호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각각은, 상기 방호관 지지부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방호관의 절단된 일측과 타측이 삽입되는 방호관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롤러는, 외둘레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방호관 지지부와 상기 방호관 삽입부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기어부는, 상기 회전 공구와 동축 결합되어 상기 회전 공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1 베벨기어 및; 상기 제1 베벨기어와 수직 치합되는 제2 베벨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각각에는, 상기 제1 베벨기어가 수용되는 제1 기어홈 및, 상기 제1 기어홈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베벨기어가 수용되는 제2 기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호관 이송 롤러는, 상기 제2 베벨기어와 동축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방호관의 주름 형태에 맞물리도록 교번하는 돌기와 홈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방호관의 외주면주름과 서로 치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의 입력축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과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호관을 점퍼선(또는 인하선)에 설치함에 있어서 개발된 설치 장치를 이용하면 작업자와 점퍼선이 충분히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휴전없이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에서도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포함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직접활선 공법을 이용한 방호관 설치 작업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관 설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을 분리한 나머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베벨기어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베벨기어와 방호관 이송 롤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관 설치 장치를 이용하여 점퍼선에 방호관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관 설치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을 분리한 나머지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 롤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베벨기어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베벨기어와 방호관 이송 롤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관 설치 장치(10)는, 프레임부(100), 기어부(200) 및 방호관 이송 롤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방호관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프레임부(100)의 일측에는 방호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곡면과 대응하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은 결합면(110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면(110a)은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에 각각 형성되며 각자의 결합면이 맞대어져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에는 볼트 등 공지의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각 프레임(110,120)의 결합면에는 후술할 지지 롤러(400)의 회전축(420)과 기어부(200)의 회전축(210a,220a)이 수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부(100)가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을 포함하고 결합면(110a)에 홈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축들의 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관 설치 장치(10)는 복수개의 지지 롤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 롤러(400) 각각은 결합면(110a)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 롤러(400)는 원통 형태의 롤러 바디(410)와 롤러 바디(410)의 상하면 중심에 연결되는 회전축(420)으로 이루어진다.
지지 롤러(410) 각각은 결합면(110a)에 형성된 지지 롤러 홈(114)에 배치된다.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에 각각 형성된 지지 롤러 홈(113)에 지지 롤러(410)가 배치되고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이 결합됨으로써 지지 롤러(400)는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의 결합면(110a)에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 각각은, 방호관의 외둘레면을 지지하는 곡면 형태의 방호관 지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방호관 지지부(111)는 방호관의 외형과 유사하게 소정의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형성된다.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 각각은 방호관의 절단된 일측과 타측이 삽입되는 방호관 삽입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호관 삽입부(112)는 방호관 지지부(111)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방호관 삽입부(112)는 방호관이 끼워질 수 있는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방호관 삽입부(112)는 방호관 지지부(111)의 곡률 반경의 외측으로 연장된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방호관에는 방호관의 곡률 반경 외측을 향해 돌출된 돌기가 존재하며 방호관 삽입부(112)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질 수 있다.
방호관 삽입부(112)의 일측은 방호관 지지부(111)와 연결되고 타측은 방호관 고정부(113)와 연결된다.
방호관 고정부(113)는 방호관 삽입부(112)와 연결되며 방호관 지지부(111)를 향해 돌출 연장된 일면으로 정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호관 지지부(111)가 형성하는 곡면을 연장하여 가상의 타원을 가정한다면 방호관 고정부(113)는 상기 타원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태가 된다.
이처럼 곡률 반경보다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방호관 고정부(113)에 의해, 방호관은 방호관 삽입부(112)로부터의 탈출을 방해받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번 방호관 삽입부(112)에 삽입된 방호관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작업 중 방호관이 장치(10)로부터 탈출하는 상황이 방지된다.
한편, 지지 롤러(400)는 외둘레면의 적어도 일부가 방호관 지지부(111)와 방호관 삽입부(11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 롤러(400)의 롤러 바디(410)의 일측 일부가 방호관 지지부(111)와 방호관 삽입부(11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롤러(410)의 원주면에서 회전 방향을 향해 그린 가상의 접선은, 방호관이 방호관 지지부(111)와 방호관 삽입부(112)에 지지 및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했을때, 방호관의 주름이 형성된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방호관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지지 롤러(400)의 돌출된 면이 방호관과 마찰하면서 지지 롤러(400)가 회전되며, 지지 롤러(400)의 회전으로 인해 방호관의 이동 또한 더욱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만일 지지 롤러(40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라면 방호관의 상하 방향 이동시 방호관 지지부(111)와 방호관 삽입부(112)에 지지 롤러(400)가 구비되는 경우 대비 큰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고 방호관의 이동이 방해받게 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방호관의 상하 방향 이동이라고 할때 상하 방향이란 후술할 베벨기어(210,220)를 기준으로 제1 베벨기어(210)의 축과 제2 베벨기어(220)의 회전축에 모두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기어부(200)는, 프레임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기어부(200)의 입력축은 외부의 회전 공구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 공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어부(200)는, 상기 회전 공구와 동축 결합되어 상기 회전 공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1 베벨기어(210) 및 제1 베벨기어(210)와 수직 치합되는 제2 베벨기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베벨기어(210)는 회전력을 입력받는 입력측에 해당하고, 제2 베벨기어(220)는 제1 베벨기어(2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축을 교차하며 방향이 교차된 회전력을 방호관으로 전달하는 출력측에 해당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기어부(200)의 입력축이란 제1 베벨기어(210)의 회전축(210a)을 의미한다.
한편, 제1 베벨기(210)어에 연결된 회전 공구는 작업자가 제공하는 외력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하는 장비일 수도 있고 회전력을 생성하는 동력 장치에 연결되어 자동으로 회전하는 장비일 수도 있다.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 각각에는, 제1 베벨기어(210)가 수용되는 제1 기어홈(115) 및, 제1 기어홈(115)과 연결되며 제2 베벨기어(220)가 수용되는 제2 기어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어홈(116)은 방호관 지지부(111)와 연결된다. 제2 기어홈(116)은 제1 기어홈(115)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의 결합면에는, 제1 베벨기어(210)의 회전축(210a)이 수용되는 제1 기어축홈(117) 및, 제2 베벨기어(220)의 회전축(220a)이 수용되는 제2 기어축홈(118)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각 베벨기어(210,220)는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이 결합된 이후 축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축 지지를 기반으로 각 베벨기어(210,220)는 제1 기어홈(115)과 제2 기어홈(116)에서 각각의 회전축(210a,220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방호관 이송 롤러(300)는, 기어부(2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방호관과 연결되어 방호관을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호관 이송 롤러(300)는 제2 베벨기어(220)와 동축 결합될 수 있다. 즉, 방호관 이송 롤러(300)와 제2 베벨기어(220)는 같은 회전축(210a,220a)을 공유하면서 동일한 각속도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방호관 이송 롤러(300)의 회전 지름은 제2 베벨기어(220)의 회전지름보다 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앞서 가정했던 방호관 지지부(111)가 형성하는 곡면을 연장한 가상의 타원을 기준으로 방호관 이송 롤러(300)의 외주면은 상기 가상의 타원에 맞닿거나 상기 타원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반면, 제2 베벨기어(220)의 외주면은 상기 가상의 타원 외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2 베벨기어(220)의 회전은 방호관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방호관 이송 롤러(300)만이 방호관과 연결되어 방호관을 회전시킬 수 있다.
방호관 이송 롤러(300)는, 외주면에 방호관의 주름 형태에 맞물리도록 교번하는 돌기와 홈 구조가 형성되어 방호관의 외주면주름과 서로 치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호관 이송 롤러(300)는 평기어에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2 베벨기어(220)가 회전하면 방호관 이송 롤러(300)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방호관 이송 롤러(300)와 치합되어 있는 방호관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관 설치 장치(10)는, 기어부(200)의 입력축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과 결합되도록 회전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공구는 공구 삽입부(500)에 삽입되어 기어부(200)의 입력축 즉, 제1 베벨기어(210)의 회전축(210a)과 결합되면, 회전 공구가 회전하면서 제1 베벨기어(210)가 회전될 수 있다. 제1 베벨기어(210)의 회전은 제2 베벨기어(220)로 전달되고 제2 베벨기어(220)는 방호관을 이동시킨다.
이로써, 작업자는 회전 공구를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작업자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방호관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관 설치 장치를 이용하여 점퍼선에 방호관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방호관 설치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방호관을 준비하여 절단선(방호관 입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방호관을 벌린 후, 벌어진 방호관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돌기를 방호관 삽입부(112)에 끼운다. 이보다 먼저 또는 직후에 공구 삽입부(500)에 회전 공구를 연결할 수 있다.(도 8의 (a) 참조)
다음으로, 방호관으로 보호하고자 하는 점퍼선 또는 인하선에 입구가 벌어진 방호관을 연결한다.(도 8의 (b) 참조)
이후, 작업자가 회전 공구를 회전시키면 방호관이 상하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점퍼선 또는 인하선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공구의 회전에 의해 제1 베벨기어(210)가 회전되고 제1 베벨기어(210)와 수직 방향으로 치합되어 있는 제2 베벨기어(220)가 회전하면서 제2 베벨기어(220)와 동축 연결된 방호관 이송 롤러(300)가 회전된다. 방호관 이송 롤러(300)는 방호관의 주름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 공구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방호관이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다.(도 8의 (c) 참조)
이러한 과정을 거쳐 방호관이 점퍼선 또는 인하선에 설치가 완료된다.(도 8의 (d) 참조)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호관을 점퍼선(또는 인하선)에 설치함에 있어서 개발된 설치 장치를 이용하면 작업자와 점퍼선이 충분히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휴전없이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에서도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방호관 설치 장치
100: 프레임부
110: 제1 프레임
110a : 결합면
111: 방호관 지지부
112: 방호관 삽입부
113: 방호관 고정부
114: 지지 롤러 홈
115: 제1 기어홈
116: 제2 기어홈
117: 제1 기어축홈
118: 제2 기어축홈
120: 제2 프레임
200: 기어부
210: 제1 베벨기어
210a: 회전축
220: 제2 베벨기어
220a: 회전축
300: 방호관 이송 롤러
400: 지지 롤러
410: 롤러 바디
420: 회전축
500: 공구 삽입부

Claims (8)

  1. 방호관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일측에 곡면이 형성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입력축이 외부의 회전 공구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 공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방호관과 연결되어 상기 방호관을 이동시키는 방호관 이송 롤러;를 포함하는,
    방호관 설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결합면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면에는 상기 방호관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 롤러가 배치되는,
    방호관 설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각각은,
    상기 방호관의 외둘레면을 지지하는 곡면 형태의 방호관 지지부;를 포함하는,
    방호관 설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각각은,
    상기 방호관 지지부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방호관의 절단된 일측과 타측이 삽입되는 방호관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방호관 설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롤러는,
    외둘레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방호관 지지부와 상기 방호관 삽입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호관 설치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회전 공구와 동축 결합되어 상기 회전 공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1 베벨기어 및;
    상기 제1 베벨기어와 수직 치합되는 제2 베벨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각각에는,
    상기 제1 베벨기어가 수용되는 제1 기어홈 및, 상기 제1 기어홈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베벨기어가 수용되는 제2 기어홈이 형성되는,
    방호관 설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관 이송 롤러는,
    상기 제2 베벨기어와 동축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방호관의 주름 형태에 맞물리도록 교번하는 돌기와 홈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방호관의 외주면주름과 서로 치합되도록 배치되는,
    방호관 설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의 입력축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과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방호관 설치 장치.
KR1020220096950A 2022-08-03 2022-08-03 방호관 설치 장치 KR20240018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950A KR20240018957A (ko) 2022-08-03 2022-08-03 방호관 설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950A KR20240018957A (ko) 2022-08-03 2022-08-03 방호관 설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957A true KR20240018957A (ko) 2024-02-14

Family

ID=8989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950A KR20240018957A (ko) 2022-08-03 2022-08-03 방호관 설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89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946B1 (ko) 케이블 포설 장비
KR20240018957A (ko) 방호관 설치 장치
CN207410002U (zh) 一种电缆接头防爆盒
JP2024032801A (ja) 配管の接続構造及び配管の接続方法
KR102110872B1 (ko) 간접활선용 건축용 방호관
KR101520287B1 (ko) 전선배선용 배관박스
JP2013051775A (ja) 防護管挿入機
WO2012149798A1 (zh) 布放尾纤的装置及方法
KR102182863B1 (ko) 송전선용 접지장치
CN213367266U (zh) 一种电缆施工展放装置
JP6097772B2 (ja) 電力ケーブルの修理用ジョイント
KR101179244B1 (ko) 케이블 파손 방지와 탈부착이 용이한 지중 송전용 보호관 구조
JP7295672B2 (ja) 配管装置及び配管工法
CN106646765A (zh) 光缆对接装置及对接方法
KR102631321B1 (ko)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KR20240020833A (ko) 건축용 방호관 및 그의 설치방법
CN219827442U (zh) 一种用于高温高压环境的钢索保护装置
JP2007113197A (ja) マンホール構造及びケーブル敷設方法
CN210246156U (zh) 一种蛇皮管脱落在线修复装置
JPS60207410A (ja) 電線管の継手及びその取付け方法
CN220106102U (zh) 一种集束防火特种电缆
KR20240012933A (ko) 전선용 방호관
JP5702239B2 (ja) 配線・配管材固定具、配線・配管材固定構造及び配線・配管材固定方法
CN214044757U (zh) 一种双固定换线滑轮
CN115236806B (zh) 一种可调节最大弯曲角度的光缆连接器及其安装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