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321B1 -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321B1
KR102631321B1 KR1020210075415A KR20210075415A KR102631321B1 KR 102631321 B1 KR102631321 B1 KR 102631321B1 KR 1020210075415 A KR1020210075415 A KR 1020210075415A KR 20210075415 A KR20210075415 A KR 20210075415A KR 102631321 B1 KR102631321 B1 KR 102631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protective
construction
connector
finishing
protecti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534A (ko
Inventor
박종석
송민규
신동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75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321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1)는 폴리에틸렌 소재의 플렉시블 방호관(10)이 고압전선(100)을 감싸 쌍태에서 한쪽 트임 절개 구조에 의한 벌어짐으로 결합되어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10)의 중간 구간에 위치되어 위험 표지판(40)이 걸리는 회전 연결재(20) 및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10)의 양쪽 끝부를 상기 고압전선(100)과 고정시켜 주는 마감 연결재(30)로 구성됨으로써 직접 활선작업에 의한 감전 사고나 추락사고 위험성을 간접 활선 작업으로 모두 해소하여 주고, 특히 방호관이 회전 연결재에 의해 복수개 연결 구조로 이어짐으로써 절연 버켓의 협소 공간에 맞게 짧은 길이의 방호관으로 제조 가능하면서 일정한 휨이 가능하여 직선과 곡선(즉, 점퍼선)의 전선에도 사용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Construction Flexible Protective Device}
본 발명은 건축용 방호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선의 방호관 작업을 직접 활선 작업의 단점이 해소된 간접 활선 작업으로 가능하게 하는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방호 관은 건설시공이나 건물 외벽 리모델링 공사 등의 건설 작업 현장이 송전이나 배전 계통의 전력선 부근일 경우, 작업자의 감전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전력선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는 장비이다.
즉, 상기 건축용 방호 관은 신축, 증축 및 크레인, 환타기, 중장비, 고소작업차량 사용 작업등과 건축용 비계 등의 접촉에 의한 작업자 감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작업 전 특고압 전선에 대한 방호조치에 적용,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상기 건축용 방호 관은 2m 이상의 직선형 길이로 이루어지고, 이를 여러개 탑재한 절연 버켓을 특고압 전선을 올려 준 후 작업자가 방호 관을 전선의 측면에서부터 설치 위치까지 밀어 배열하고, 외부 인식이 용이하도록 위험 표지판을 와이어 등으로 고정하여 준다.
국내특개 KR 10-2017-0007033 A
하지만, 상기 건축용 방호 관은 여러 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직접 활선작업으로 진행됨으로써 특 고압 전선의 피복 손상 및 상간 특 고압선의 인체 접촉에 의한 감전사고 및 떨어짐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이다. 둘째, 절연 버켓에 탑재된 복수개의 건축용 방호 관으로 인해 협소해진 작업 공간애서 방호 관을 설치 위치까지 밀어 배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셋째, 전주와 전주 사이 전선의 경간 이도의 늘어짐 상태에 따라 흘러내림 및 밀림이 발행하고, 이음세 부분의 분리고 건축용 방호 관이 밀림이 발생함으로서 방호 부분의 부재 발생으로 사고의 위험이 발생하고 있다. 넷째, 현재 사용 중인 건축용 방호관의 내부가 평평하면서 매끄러운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바람과 진동과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한 전선의 흔들림으로 방호위치에서 이탈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 방호관이 전선을 감싼 상태에서 한쪽 트임 절개 구조의 회전 연결재와 마감 연결재로 간접 활선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직접 활선작업에 의한 감전 사고나 추락사고 위험성이 모두 해소되고, 특히 방호관이 회전 연결재에 의해 복수개 연결 구조로 이어짐으로써 절연 버켓의 협소 공간에 맞게 짧은 길이의 방호관으로 제조 가능하면서 일정한 휨이 가능하여 직선 전선과 점퍼선에도 용이하게 사용 가능한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는 방호관 몸체에 한쪽 트임 절개 구조에 의한 벌어짐으로 고압전선 감싸는 플렉시블 방호관, 회전 연결재 몸체의 한쪽 트임 절개 구조에 의한 벌어짐으로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을 감싸주고,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의 중간 구간으로 위치 이동되는 회전 연결재, 및 마감 연결재 몸체의 한쪽 트임 절개 구조에 의한 벌어짐으로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을 감싸주고,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의 양쪽 끝부를 상기 고압전선과 고정시켜 주는 마감 연결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은 상기 고압전선의 직선 길이에 적용되는 직선 플렉시블 방호관, 상기 고압전선의 점퍼선에 적용되는 점퍼선 플렉시블 방호관으로 구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 상기 회전 연결재 및 상기 마감 연결재의 각각은 폴리에틸렌 소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 상기 회전 연결재 및 상기 마감 연결재의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쪽 트임 절개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한쪽 트임 절개 구조는 서로 마주하는 부위에 원형 돌기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 상기 회전 연결재 및 상기 마감 연결재의 각각은 나사 체결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나사 체결 구조는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의 수나사와 맞물리는 상기 회전 연결재의 암나사 및 상기 마감 연결재의 암나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은 상기 방호관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수나사를 형성하며, 상기 방호관 몸체의 내주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고압전선을 감싼 상태에서 마찰력을 증가시켜 주며, 상기 돌기는 원형 형상, 반구 형상, 사각 형상 및 톱니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 연결재는 상기 회전 연결재 몸체의 내주면에 상기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 연결재 몸체는 상기 암나사를 전체 길이의 전 구간에 구비하며, 상기 회전 연결재 몸체의 외주면에 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고리는 서로 간격을 두고 3개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마감 연결재는 상기 마감 연결재 몸체의 내주면에 상기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마감 연결재 몸체는 상기 암나사를 전체 길이의 반쪽 구간에 구비하며, 상기 마감 연결재 몸체의 외주면에 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고리는 서로 간격을 두고 2개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 연결재에는 위험 표지판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 연결재는 상기 위험 표지판의 결합을 위해 제1 회전 연결재와 제2 회전 연결재의 쌍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는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방호관을 전선에서 설치가 위치까지 밀어 넣지 않는 간접 활선 작업으로 수행함으로써 직접 활선작업의 감전 사고나 추락사고 위험성이 없이 작업이 가능하면서도 직접 활선작업의 불편이 모두 해소된 안전성 높은 시공이 가능하다.. 둘째, 회전 연결재와 고정 연결재의 조합으로 짧은 길이의 방호관이 기존과 같이 긴 길이로 만들어 지는 방호관 상호 결합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절연 버켓의 협소 공간에서도 작업의 편리성이 확보되면서도 시공의 편이성 제공이 가능하다. 셋째, 일정한 휨이 가능한 플렉시블 방호관의 특성으로 직선과 곡선(즉, 점퍼선)의 전선에도 사용 가능함으로써 방호관 시공 시 편이성과 시공 품질 향상도모 가능하다. 넷째, 회전 연결재와 고정 연결재 및 방호관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방호관 시공 후 밀림 및 탈락 현장 제거 가능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다섯째, 회전 연결재를 이용한 위험표지판 간접 활선으로 안전하고 표준적 시공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의 플렉시블 방호관이 특고압 전선에 결합하는 작업 상태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방호관의 양쪽을 고정하는 작업 상태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 플렉시블 방호관이 제1,2 방호관의 연결로 길이를 늘여 주는 작업 상태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의 작업 완료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축용 방호장치(1)는 플렉시블 방호관(10), 회전 연결재(20) 및 마감 연결재(30)로 구성된다.
특히 따라서 상기 건축용 방호장치(1)는 플렉시블 방호관(10)과 회전 연결재(20) 및 마감 연결재(30)의 각각에 적용된 폴리에틸렌 소재로 절연 성능을 기본으로 구비하면서 재질의 유연성도 부여됨으로써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로 특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10)은 직선 플렉시블 방호관(10-1)과 점퍼선 플렉시블 방호관(10-2)으로 제조된다. 이 경우 상기 직선 플렉시블 방호관(10-1)은 직선 길이로 이루어져 고압 전선(100)(도 2 참조)의 직선 구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제1,2 방호관(10a,10b)(도 4 참조)과 같이 2개 이상으로 구성됨으로써 그 길이를 전선 길이에 맞춰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퍼선 플렉시블 방호관(10-2)은 소정의 곡률을 준 곡선 길이로 이루어져 고압 전선(100)(도 2 참조)의 방향 전호나 구간이나 곡선 구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직선 플렉시블 방호관(10-1)과 상기 점퍼선 플렉시블 방호관(10-2)의 각각은 수나사(11), 전선 삽입구(13) 및 돌기(15)를 구성요소로 동일하게 구비한 방호관 몸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직선과 곡선의 형상 차이로 구분된다. 이 경우 상기 직선 플렉시블 방호관(10-1)과 상기 점퍼선 플렉시블 방호관(10-2)의 방호관 몸체 직경은 회전 연결재(20)와 마감 연결재(30)의 내경과 일치하는 크기를 적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수나사(11), 상기 전선 삽입구(13) 및 상기 돌기(15)에 대한 기술은 직선 플렉시블 방호관(10-1)과 점퍼선 플렉시블 방호관(10-2)의 구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수나사(11)는 방호관 몸체의 외주면에서 외부 노출되고, 피치(Pitch)가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전선 삽입구(13)는 방호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방호관 몸체의 한쪽이 트여진 절개 구조로 형성되고, 한쪽 트임 절개 구조는 서로 마주하는 부위에 원형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상기 돌기(15)는 방호관 몸체를 따라 방호관 몸체의 내주면을 이용하여 다수 구간에서 일정하게 안쪽 공간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나, 필요 시 방호관 몸체의 입구나 출구 부위에 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나사(11)는 회전 연결재(20)의 결합이 나사체결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회전 연결재(20)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전선 삽입구(13)는 절개 구조를 이용하여 전선 삽입구(13)의 양쪽을 잡고 벌려줌으로써 고압 전선(100)(도 2 참조)에 대한 결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기(15)는 방호관 몸체의 내경에서 마찰력을 형성함으로써 고압 전선(100)(도 2 참조)을 감싼 방호관 몸체가 전선과 마찰력 증가로 탈락되거나 밀리는 형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돌기(15)는 원형 형상 또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필요 시 사각 형상이나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연결재(20)는 플렉시블 방호관(10)(즉, 직선 플렉시블 방호관(10-1) 또는 점퍼선 플렉시블 방호관(10-2))과 결합되어 길이를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위험 표지판(40)(도 5 참조)을 걸어주도록 작용한다.
특히 상기 회전 연결재(20)는 플렉시블 방호관(10)이 고압 전선(100)(도 2 참조)의 길이에 맞춰 서로 이어지는 제1,2 방호관(10a,10b)(도 4 참조)을 연결 상태로 만들어줌으로써 제1,2,3 회전 연결재(20-1,20-2,20-3)의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채 상기 회전 연결재(20)는 암나사(21), 전선 삽입구(23) 및 고리(25)를 구비한 회전 연결재 몸체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회전 연결재 몸체는 그 내경을 플렉시블 방호관(10)의 방호관 몸체 외경과 일치하는 크기로 적용된다.
일례로 상기 암나사(21)는 회전 연결재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됨으로써 플렉시블 방호관(10)의 수나사(11)와 나사 체결되고, 나사 체결 구조로 플렉시블 방호관(10)을 축으로 하여 부드럽게 미끄러지듯이 회전 및 좌우, 횡 이동이 가능하면서 제1,2 방호관(10a,10b)(도 4 참조)이 서로 이어져 연결되도록 작용한다.
특히 상기 암나사(21)는 회전 연결재 몸체의 전 구간에 형성되고, 수나사(11)와 동일한 피치를 갖는다.
일례로 상기 전선 삽입구(23)는 회전 연결재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회전 연결재 몸체의 한쪽이 트여진 절개 구조로 형성되고, 한쪽 트임 절개 구조는 서로 마주하는 부위에 원형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선 삽입구(13)는 절개 구조를 이용하여 전선 삽입구(23)의 양쪽을 잡고 벌려줌으로써 플렉시블 방호관(10) 및 전선에 대한 삽입과 해체의 시공성 편이가 제공되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고리(25)는 회전 연결재 몸체의 외부에서 원형 또는 반구형의 고리 구조로 돌출됨으로써 간접 활선 공기구(도시되지 않음)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상기 고리(25)는 서로 간격을 갖는 3개의 제1,2,3 고리로 쌍을 이룸으로써 회전 이동 조작의 편이성이 부여되면서, 회전 위치에 상관없이 위험 표지판(40)(도 5 참조)이 정 위치로 설치 가능하도록 작용한다. 이 경우 상기 3개의 고리는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그 미만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감 연결재(30)는 제1 마감 연결재(30-1)와 제2 마감 연결재(30-2)로 구성되고, 상기 제1,2 마감 연결재(30-1,0-2)의 각각은 플렉시블 방호관(10)의 한쪽 끝단 부와 반대쪽 끝단 부에 각각 결합됨으로서 고압 전선(100)(도 2 참조)에 설치된 플렉시블 방호관(10)을 잡아 고정시켜 준다.
이를 위채 상기 마감 연결재(30)는 암나사(31)와 고리(35)를 구비한 마감 연결재 몸체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마감 연결재 몸체는 그 내경을 플렉시블 방호관(10)의 방호관 몸체 외경과 일치하는 크기로 적용된다.
그러므로 상기 암나사(31), 전선 삽입구(33) 및 상기 고리(35)에 대한 기술은 제1,2 마감 연결재(30-1,0-2)의 구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암나사(31)는 마감 연결재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됨으로써 플렉시블 방호관(10)의 수나사(11)와 나사 체결되고, 나사 체결 구조로 플렉시블 방호관(10)을 축으로 하여 부드럽게 미끄러지듯이 회전 및 좌우, 횡 이동이 가능하도록 작용한다.
특히 상기 암나사(31)는 마감 연결재 몸체의 전 구간 중 일부 구간에 형성되고, 수나사(11)와 동일한 피치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일부 구간은 전 구간의 1/2을 적용한다.
일례로 상기 전선 삽입구(33)는 마감 연결재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마감 연결재 몸체의 한쪽이 트여진 절개 구조로 형성되고, 한쪽 트임 절개 구조는 서로 마주하는 부위에 원형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선 삽입구(33)는 절개 구조를 이용하여 전선 삽입구(33)의 양쪽을 잡고 벌려줌으로써 플렉시블 방호관(10)의 좌/우 양쪽 단부에 대한 고정 작업 시 전선에 대한 삽입과 해체의 시공성 편이가 제공되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고리(35)는 마감 연결재 몸체의 외부에서 원형 또는 반구형의 고리 구조로 돌출됨으로써 간접 활선 공기구(도시되지 않음)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상기 고리(25)는 서로 간격을 갖는 2개의 제1,2 고리로 쌍을 이룸으로써 회전 이동 조작의 편이성이 부여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2개의 고리는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그 미만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는 상기 건축용 방호장치(1)로 간접 활선 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간접 활선 작업은 작업 차량(200)의 절연 버켓(200-1)을 이용하여 고압 전선(100)에서 수행되는 예로 설명되나, 상기 건축용 방호장치(1)를 활용한 간접 활선 작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간접 활선 작업은 직선 플렉시블 방호관(10-1)을 사용하나 이를 플렉시블 방호관(10)으로 하여 설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건축용 방호장치(1)의 구성요소인 플렉시블 방호관(10), 회전 연결재(20) 및 마감 연결재(30)가 고압 전선(100) 쪽으로 위치 이동되는 작업 차량(200)의 절연 버켓(200-1)에 담겨지지만 플렉시블 방호관(10)이 2M 이내(예, 1M)로 단 길이로 이루어짐으로써 절연 버켓(200-1)에서 작업자의 불편을 초래 하지 않는다.
먼저 작업자는 플렉시블 방호관(10)의 전선 삽입구(13)를 잡고 양쪽을 벌려주고, 벌려진 절개 구조의 방호관 몸체로 고압 전선(100)과 결합함으로써 도 2의 단면 A-A와 같이 고압 전선(100)이 플렉시블 방호관(10)으로 감싸인다. 이 경우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10)의 돌기(15)는 고압 전선(100)의 외경을 감싸 전선과 마찰력 증가시켜 준다.
이어 상기 회전 연결재(20)의 전선 삽입구(23)를 벌려 플렉시블 방호관(10)의 한쪽 끝단부에 결합하고, 3개의 고리(25)중 임의의 고리를 이용하여 간접 활선 공기구(도시되지 않음)와 연결한 후 나사 체결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도2의 회전 연결재 삽입 상태에서 회전 후 회전 연결재 고정 상태로 만들어 준다.
이러한 작업은 상기 회전 연결재(20)가 플렉시블 방호관(10)의 중간 구간에 위치될 때 까지 지속한다.
계속해서 상기 마감 연결재(30)의 전선 삽입구(23)를 벌려 플렉시블 방호관(10)의 한쪽 끝단부에 결합하고, 2개의 고리(25)중 임의의 고리를 이용하여 간접 활선 공기구(도시되지 않음)와 연결한 후 나사 체결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플렉시블 방호관(10)을 고압 전선(100)에 고정시켜 준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10)이 고압 전선(100)을 감싼 상태에서 2개의 제1,2 회전 연결재(20-1,20-2)가 결합되고, 플렉시블 방호관(10)의 한쪽 끝단이 제1 마감 연결재(30-1)로 고압 전선(100)과 함께 고정되면서 반대쪽 끝단이 제2 마감 연결재(30-2)로 고압 전선(100)과 함께 고정된 상태가 예시된다.
반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압 전선(100)의 길이가 길어 1개l 플렉시블 방호관(10)으로 커버되지 못하는 경우 제3 회전 연결재(20-3)를 더 사용하고, 상기 제3 회전 연결재(20-3)가 제1 방호관(10a)의 한쪽 끝에서 새로운 제2 방호관(10b)의 한쪽 끝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플렉시블 방호관(10)의 길이가 제1,2 방호관(10a,10b)의 합산 길이로 더 길어질 수 있는 상태로 예시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회전 연결재(20-3)의 암나사(31)는 한쪽 암나사 구간으로 제1 방호관(10a)의 수나사(11)와 나사 체결되고 동시에 반대쪽 암나사 구간으로 제2 방호관(10b)의 수나사(11)와 나사 체결됨으로써 제1,2 방호관(10a,10b)의 연결 상태가 고정되어 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최종적으로 작업자는 플렉시블 방호관(10)의 양쪽 부위가 제1,2 마감 연결재(30-1,30-2)를 통해 고압 전선(100)과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플렉시블 방호관(10)의 방호관 몸체에 결합된 제1 회전 연결재(20-1)의 고리(25)와 제2 회전 연결재(20-2)의 고리(25)에 위험 표지판(40)을 걸거나 묶어줌으로써 간접활선 작업의 전 과정을 종료한다. 이 경우 상기 위험 표지판(40)은 고압전선(100)에 대한 작업이 이루어져 접근 시 위험 상황임을 알려 준다.
이와 같이 상기 건축용 방호장치(1)는 작업자의 작업 반경에 있도록 적절한 길이를 갖는 플렉시블 방호관(10)으로 간접 활선작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압 전선(100)과 같이 위험한 작업 공간에서 긴 길이의 방호관을 밀어 주어야 하던 직접 활선작업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1)는 폴리에틸렌 소재의 플렉시블 방호관(10)이 고압전선(100)을 감싸 쌍태에서 한쪽 트임 절개 구조에 의한 벌어짐으로 결합되어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10)의 중간 구간에 위치되어 위험 표지판(40)이 걸리는 회전 연결재(20) 및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10)의 양쪽부에 위치되어 상기 고압전선(100)과 고정시켜 주는 마감 연결재(30)로 구성됨으로써 직접 활선작업에 의한 감전 사고나 추락사고 위험성을 간접 활선 작업으로 모두 해소하여 주고, 특히 방호관이 회전 연결재에 의해 복수개 연결 구조로 이어짐으로써 절연 버켓의 협소 공간에 맞게 짧은 길이의 방호관으로 제조 가능하면서 일정한 휨이 가능하여 직선과 곡선(즉, 점퍼선)의 전선에도 사용 가능하다.
1 : 건축용 방호장치
10 : 플렉시블 방호관 10-1 : 직선 플렉시블 방호관
10-2 : 점퍼선 플렉시블 방호관
10a,10b : 제1,2 방호관 11 : 수나사
13,23,33 : 전선 삽입구 15 : 돌기
20 : 회전 연결재 20-1,20-2,20-3 : 제1,2,3 회전 연결재
21,31 : 암나사 25,35 : 고리
30 : 마감 연결재 30-1,30-2 : 제1,2 마감 연결재
40 : 위험 표지판
100 : 고압 전선 200 : 작업 차량
200-1 : 절연 버켓

Claims (17)

  1. 방호관 몸체에 한쪽 트임 절개 구조에 의한 벌어짐으로 고압전선을 감싸는 플렉시블 방호관,
    회전 연결재 몸체의 한쪽 트임 절개 구조에 의한 벌어짐으로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을 감싸주고,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의 중간 구간으로 위치 이동되는 회전 연결재, 및
    마감 연결재 몸체의 한쪽 트임 절개 구조에 의한 벌어짐으로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을 감싸주고,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의 양쪽 끝부를 상기 고압전선과 고정시켜 주는 마감 연결재가 포함되고,
    상기 회전 연결재는 상기 회전 연결재 몸체의 외주면에 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마감 연결재는 상기 마감 연결재 몸체의 외주면에 고리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 연결재의 상기 고리와 상기 마감 연결재의 상기 고리의 각각에는 간접 활선 공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간접 활선 공기구는 상기 회전 연결재를 나사 체결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연결재 삽입 상태에서 회전 후 상기 회전 연결재의 고정 상태로 만들어 주고, 상기 마감 연결재를 나사 체결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플렉 시블 방호관을 상기 고압 전선에 고정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은
    상기 고압전선의 직선 길이에 적용되는 직선 플렉시블 방호관, 상기 고압전선의 점퍼선에 적용되는 점퍼선 플렉시블 방호관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 상기 회전 연결재 및 상기 마감 연결재의 각각은 폴리에틸렌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 상기 회전 연결재 및 상기 마감 연결재의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쪽 트임 절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쪽 트임 절개 구조는
    서로 마주하는 부위에 원형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 상기 회전 연결재 및 상기 마감 연결재의 각각은
    나사 체결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나사 체결 구조는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의 수나사와 맞물리는 상기 회전 연결재의 암나사 및 상기 마감 연결재의 암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은
    상기 방호관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수나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방호관은 상기 방호관 몸체의 내주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고압전선을 감싼 상태에서 마찰력을 증가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원형 형상, 반구 형상, 사각 형상 및 톱니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 연결재는
    상기 회전 연결재 몸체의 내주면에 상기 암나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연결재 몸체는
    상기 암나사를 전체 길이의 전 구간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연결재의 상기 고리는 서로 간격을 두고 3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마감 연결재는
    상기 마감 연결재 몸체의 내주면에 상기 암나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마감 연결재 몸체는
    상기 암나사를 전체 길이의 반쪽 구간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 연결재의 상기 고리는 서로 간격을 두고 2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연결재에는 위험 표지판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 연결재는 상기 위험 표지판의 결합을 위해 제1 회전 연결재와 제2 회전 연결재의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KR1020210075415A 2021-06-10 2021-06-10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KR102631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415A KR102631321B1 (ko) 2021-06-10 2021-06-10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415A KR102631321B1 (ko) 2021-06-10 2021-06-10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534A KR20220166534A (ko) 2022-12-19
KR102631321B1 true KR102631321B1 (ko) 2024-01-31

Family

ID=84535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415A KR102631321B1 (ko) 2021-06-10 2021-06-10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3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262Y1 (ko) * 2002-01-29 2002-05-06 김이성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4753B2 (ja) * 1995-12-27 2001-02-13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の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クランプ取付構造
KR20170007033A (ko) 2015-07-10 2017-01-18 한국전력공사 위험표지판 걸이용 건축용 방호관
KR102342451B1 (ko) * 2019-09-16 2021-12-27 한국전력공사 건축용 방호관장치 및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262Y1 (ko) * 2002-01-29 2002-05-06 김이성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534A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1321B1 (ko) 건축용 플렉시블 방호장치
JP2016025728A (ja) 鳥害防止具
CN212161332U (zh) 一种柔性防损伤电缆
JP4919915B2 (ja) ケーブル布設方法
KR102073408B1 (ko) 전기, 통신, 소방 배관용 캡
KR100622458B1 (ko) 공동주택내의 지중케이블 설치용 케이블인입장치
KR20190136747A (ko) 방호관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설비, 방호관 결합부를 구비하는 데드엔드 커버
JP2017229167A (ja) ケーブル保護管防護金具およびケーブル保護管防護金具の設置方法
CN204615275U (zh) 一种布线牵引装置
KR20210149347A (ko) 전선관 일체형 가요성 금속피 케이블
US3254865A (en) Cable clamp for switch boxes
CN204615278U (zh) 一种拉线器
CN204347311U (zh) 用于盘绕光纤的中转盘
US201802990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ing extended lengths of conduit
CN210246156U (zh) 一种蛇皮管脱落在线修复装置
RU146426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изолятора опоры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JPH0747944Y2 (ja) 鋼管電柱における大径ケーブルの内外誘導構造
CN214124667U (zh) 一种金属管的保护及安装结构
US11761669B2 (en) Duct replace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JPH0729391U (ja) ケーブル用埋設管装置
CN210608390U (zh) 一种电动机配管安装结构
JP5702239B2 (ja) 配線・配管材固定具、配線・配管材固定構造及び配線・配管材固定方法
KR102218393B1 (ko) 인입애자
CN207010099U (zh) 一种电力二次电缆牵引装置
KR20240018957A (ko) 방호관 설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