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359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 설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359A
KR20240018359A KR1020230081035A KR20230081035A KR20240018359A KR 20240018359 A KR20240018359 A KR 20240018359A KR 1020230081035 A KR1020230081035 A KR 1020230081035A KR 20230081035 A KR20230081035 A KR 20230081035A KR 20240018359 A KR20240018359 A KR 20240018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band
informa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set based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1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PCT/KR2023/01027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29787A1/ko
Publication of KR20240018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35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송수신 및 상향링크 송수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subband) 설정 정보를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한다. 단말은 수신된 서브밴드 설정 정보에 기반한 서브밴드를 통해 하향링크 수신 또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 및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공통 자원 블록(CRB, Common Resource Block)을 기반으로 설정되며,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서브밴드의 시간 자원은 주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패턴을 기반으로 설정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 설정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of configuring subband for full duplex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명세서는 3GPP 5G NR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트래픽을 요구하게 되면서, 기존 LTE 시스템보다 향상된 무선 광대역 통신인 차세대 5G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NewRAT이라고 명칭되는, 이러한 차세대 5G 시스템에서는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 Ultra-reliability and low-latency communication (URLLC) /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 등으로 통신 시나리오가 구분된다.
여기서, eMBB는 High Spectrum Efficiency, High User Experienced Data Rate, High Peak Data Rate 등의 특성을 갖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나리오이고, URLLC는 Ultra Reliable, Ultra Low Latency, Ultra High Availability 등의 특성을 갖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나리오이며 (e.g., V2X, Emergency Service, Remote Control), mMTC는 Low Cost, Low Energy, Short Packet, Massive Connectivity 특성을 갖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나리오이다. (e.g., IoT).
본 명세서의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이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subband)를 통해 하향링크 송수신 및/또는 상향링크 송수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subband)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서브밴드 설정 정보에 기반한 서브밴드를 통해 하향링크 수신 또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 및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공통 자원 블록(common resource block, CRB)을 기반으로 설정되며,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서브밴드의 시간 자원은 주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패턴을 기반으로 설정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subband)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전송된 서브밴드 설정 정보에 기반한 서브밴드를 통해 하향링크 전송 또는 상향링크 수신을 수행하는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 및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공통 자원 블록(common resource block, CRB)을 기반으로 설정되며,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서브밴드의 시간 자원은 주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패턴을 기반으로 설정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명령어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subband)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수신된 서브밴드 설정 정보에 기반한 서브밴드를 통해 하향링크 수신 또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 및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공통 자원 블록(common resource block, CRB)을 기반으로 설정되며,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서브밴드의 시간 자원은 주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패턴을 기반으로 설정되는 통신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명령어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subband)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전송된 서브밴드 설정 정보에 기반한 서브밴드를 통해 하향링크 전송 또는 상향링크 수신을 수행하는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 및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공통 자원 블록(common resource block, CRB)을 기반으로 설정되며,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서브밴드의 시간 자원은 주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패턴을 기반으로 설정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SCS) 정보 및 순환 전치(cyclic prefix)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i) 상단, 중심 또는 하단의 주파수 위치정보와 RB(resource block) 수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거나, ii) 시작(starting) RB 정보와 RB 수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거나 또는 iii) 시작(starting) RB 정보와 끝 RB 정보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시작(starting) RB(resource block)와 RB(resource block) 수를 도출할 수 있는 RIV(resource indication value)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패턴의 개수 및 각 서브밴드 패턴의 주기는, TDD(time division duplex)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 공통(tdd-UL-DL-ConfigurationCommon)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에 포함된 대응되는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밴드의 시간 자원은 각 서브밴드 패턴의 특정 심볼로부터, 심볼 개수를 기초로 하는 구간(duration)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상기 서브밴드를 포함하는 서브밴드 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밴드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는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서브밴드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활성화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서브밴드의 설정을 해제(release)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subband)를 통해 하향링크 송수신 및/또는 상향링크 송수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NR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나타낸 예시도들이다.
도 4는 NR 프레임의 슬롯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는 NR에서의 서브프레임 유형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자기-완비(self-contained) 슬롯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7a 내지 도 7b는 서브밴드(subband) 전이중통신(full duplex)의 개략적인 예시들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밴드(subband)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슬롯 설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밴드(subband)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슬롯 설정의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된 프로세서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제1 장치의 송수신기 또는 도 13에 도시된 장치의 송수신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의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의 내용과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내용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의 내용과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의 내용과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내용과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A 및/또는 B(A and/or B)”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A, B 또는 C(A, B or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슬래쉬(/)나 쉼표(comma)는 “및/또는(and/or)”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는 “A, B 또는 C”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및 B(at least one of A and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또는 B(at least one of A or B)”나 “적어도 하나의 A 및/또는 B(at least one of A and/or B)”라는 표현은 “적어도 하나의 A 및 B(at least one of A and B)”와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B 및 C(at least one of A, B and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A, B 또는 C(at least one of A, B or C)”나 “적어도 하나의 A, B 및/또는 C(at least one of A, B and/or C)”는 “적어도 하나의 A, B 및 C(at least one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괄호는 “예를 들어(for example)”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보(PDCCH)”로 표시된 경우,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의 “제어 정보”는 “PDCCH”로 제한(limit)되지 않고, “PDDCH”가 “제어 정보”의 일례로 제안될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즉, PDCCH)”로 표시된 경우에도,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도면 내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예시적으로 UE(User Equipment)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된 상기 UE는 단말(Terminal), ME(Mobile Equipment)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UE는 노트북, 휴대폰,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멀티미디어 기기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거나, PC,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 UE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예: 무선 통신 장치, 무선 장치, 또는 무선 기기)의 예시로 사용된다. UE가 수행하는 동작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 무선 통신 장치, 무선 장치, 또는 무선 기기 등으로도 지칭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무선 기기와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odeB(evolved-Node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gNB(Next generation NodeB), RRH(remote radio head), TP(transmission point), RP(reception point), 중계기(relay)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LTE 시스템, LTE-A 시스템 및 NR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상기 정의에 해당되는 어떤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4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LTE(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LTE-A)의 성공에 힘입어, 차세대 즉, 5세대(소위 5G) 이동통신에 대한 상용화 완료 및 후속 연구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정의하는 5세대 이동통신은 최대 20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어디에서든 최소 100Mbps 이상의 체감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정식 명칭은 ‘IMT-2020’이라고 지칭된다.
ITU에서는 3대 사용 시나리오, 예컨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를 제시하고 있다.
URLLC는 높은 신뢰성과 낮은 지연시간을 요구하는 사용 시나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주행, 공장자동화, 증강현실과 같은 서비스는 높은 신뢰성과 낮은 지연시간(예컨대, 1ms 이하의 지연시간)을 요구한다. 현재 4G (LTE)의 지연시간은 통계적으로 21-43ms (best 10%), 33-75ms (median) 이다. 이는 1ms 이하의 지연시간을 요구하는 서비스를 지원하기에 부족하다. 다음으로, eMBB 사용 시나리오는 이동 초광대역을 요구하는 사용 시나리오에 관한 것이다.
즉, 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현재의 4G LTE보다 높은 용량을 지원하며, 모바일 광대역 사용자의 밀도를 높이고, D2D(Device to Device), 높은 안정성 및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를 지원할 수 있다. 5G 연구 개발은 또한 사물의 인터넷을 보다 잘 구현하기 위해 4G 이동 통신 시스템 보다 낮은 대기 시간과 낮은 배터리 소모를 목표로 한다. 이러한 5G 이동 통신을 위해서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 New RAT 또는 NR)이 제시될 수 있다.
NR 주파수 밴드(frequency band)는 2가지 type(FR1, FR2)의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로 정의될 수 있다.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가지 type(FR1, FR2)의 주파수 범위는 하기 표 1과 같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NR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 중 FR1은 “sub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FR2는 “above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밀리미터 웨이브(millimeter wave, mmW)로 불릴 수 있다.
Frequency Range designation Corresponding frequency range Subcarrier Spacing
FR1 410MHz - 7125MHz 15, 30, 60kHz
FR2 24250MHz - 52600MHz 60, 120, 240kHz
NR 시스템의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은 표 1와 같이 410MHz 내지 7125MHz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FR1은 6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 내에서 포함되는 6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은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포함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을 위한 통신(예를 들어, 자율주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3GPP 기반 통신 표준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기원한 정보를 나르는 자원 요소들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물리 채널들과, 물리 계층에 의해 사용되나 상위 계층으로부터 기원하는 정보를 나르지 않는 자원 요소들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물리 신호들을 정의된다. 예를 들어,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물리 멀티캐스트 채널(physical multicast channel, PMCH),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물리 하이브리드 ARQ 지시자 채널(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HICH)들이 하향링크 물리 채널들로서 정의되어 있으며, 참조 신호와 동기 신호가 하향링크 물리 신호들로서 정의되어 있다. 파일럿(pilot)이라고도 지칭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는 gNB와 UE가 서로 알고 있는 기 정의된 특별한 파형의 신호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셀 특정적 RS(cell specific RS), UE-특정적 RS(UE-specific RS, UE-RS), 포지셔닝 RS(positioning RS, PRS) 및 채널 상태 정보 RS(channel state information RS, CSI-RS)가 하향링크 참조 신호로서 정의된다. 3GPP LTE/LTE-A 표준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기원한 정보를 나르는 자원 요소들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물리 채널들과, 물리 계층에 의해 사용되나 상위 계층으로부터 기원하는 정보를 나르지 않는 자원 요소들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물리 신호들을 정의하고 있다. 예를 들어,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가 상향링크 물리 채널로서 정의되며,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신호를 위한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와 상향링크 채널 측정에 사용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가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HICH((Physical Hybrid automatic retransmit request Indicator CHannel)/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은 각각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CFI(Control Format Indicator)/하향링크 ACK/NACK(ACKnowlegement/Negative ACK)/하향링크 데이터를 나르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집합 혹은 자원요소의 집합을 의미한다. 또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는 각각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상향링크 데이터/랜덤 엑세스 신호를 나르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집합 혹은 자원요소의 집합을 의미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상기 BS는 gNodeB(혹은 gNB)(20a)와 eNodeB(혹은 eNB)(20b)로 구분된다. 상기 gNB(20a)는 5세대 이동통신을 지원한다. 상기 eNB(20b)는 4세대 이동통신, 즉 LTE(long term evolution)를 지원한다.
각 기지국(20a 및 20b)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이라고 함)(20-1, 20-2, 20-3)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UE(user equipment)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셀에 속하는데, UE가 속한 셀을 서빙 셀(serving cell)이라 한다. 서빙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serving BS)이라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룰러 시스템(cellular system)이므로,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이 존재한다.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을 인접 셀(neighbor cell)이라 한다. 인접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인접 기지국(neighbor BS)이라 한다. 서빙 셀 및 인접 셀은 UE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이하에서, 하향링크는 기지국(20)에서 UE(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는 UE(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UE(1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UE(10)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일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은 크게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과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F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이루어진다. T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서로 다른 시간에 이루어진다. TDD 방식의 채널 응답은 실질적으로 상호적(reciprocal)이다. 이는 주어진 주파수 영역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과 상향링크 채널 응답이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은 상향링크 채널 응답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DD 방식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시분할되므로 기지국에 의한 하향링크 전송과 UE에 의한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될 수 없다.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는 T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된다.
도 2는 NR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NR에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은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무선 프레임은 10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5ms 하프-프레임(Half-Frame, HF)으로 정의된다. 하프-프레임은 5개의 1ms 서브프레임(Subframe, SF)으로 정의된다. 서브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슬롯으로 분할되며, 서브프레임 내 슬롯 개수는 SCS(Subcarrier Spacing)에 의존한다. 각 슬롯은 CP(cyclic prefix)에 따라 12개 또는 14개의 OFDM(A) 심볼을 포함한다.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각 슬롯은 14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확장 CP가 사용되는 경우, 각 슬롯은 12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여기서, 심볼은 OFDM 심볼 (혹은, CP-OFDM 심볼), SC-FDMA 심볼 (혹은, DFT-s-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뉴머롤로지(numerology)의 지원>
NR 시스템에서는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단말에 다수의 뉴머롤로지(numerology)가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CS가 15kHz인 경우, 전통적인 셀룰러 밴드들에서의 넓은 영역(wide area)을 지원하며, SCS가 30kHz/60kHz인 경우, 밀집한-도시(dense-urban), 더 낮은 지연(lower latency) 및 더 넓은 캐리어 대역폭(wider carrier bandwidth)을 지원하며, SCS가 60kHz 또는 그보다 높은 경우, 위상 잡음(phase noise)을 극복하기 위해 24.25GHz보다 큰 대역폭을 지원한다.
상기 뉴머롤로지는 CP(cycle prefix) 길이와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셀은 복수의 뉴머롤로지를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뉴머롤로지의 인덱스를 μ로 나타낼 때, 각 부반송파 간격과 해당하는 CP 길이는 아래의 표와 같을 수 있다.
μ △f=2μ15 [kHz] CP
0 15 일반
1 30 일반
2 60 일반, 확장
3 120 일반
4 240 일반
5 480 일반
6 960 일반
일반 CP의 경우, 뉴머롤로지의 인덱스를 μ로 나타낼 때, 슬롯 당 OFDM 심볼 개수(Nslot symb), 프레임당 슬롯 개수(Nframe,μ slot) 그리고, 서브프레임 당 슬롯 개수(Nsubframe,μ slot)는 아래의 표와 같다.
μ △f=2μ15 [kHz] Nslot symb Nframe,μ slot Nsubframe,μ slot
0 15 14 10 1
1 30 14 20 2
2 60 14 40 4
3 120 14 80 8
4 240 14 160 16
5 480 14 320 32
6 960 14 640 64
확장 CP의 경우, 뉴머롤로지의 인덱스를 μ로 나타낼 때, 슬롯 당 OFDM 심볼 개수(Nslot symb), 프레임당 슬롯 개수(Nframe,μ slot) 그리고, 서브프레임 당 슬롯 개수(Nsubframe,μ slot)는 아래의 표와 같다.
μ SCS (15*2u) Nslot symb Nframe,μ slot Nsubframe,μ slot
2 60KHz (u=2) 12 40 4
NR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단말에게 병합되는 복수의 셀들 간에 OFDM(A) 뉴머롤러지(numerology)(예, SCS, CP 길이 등)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개수의 심볼로 구성된 시간 자원(예, SF, 슬롯 또는 TTI)(편의상, TU(Time Unit)로 통칭)의 (절대 시간) 구간이 병합된 셀들 간에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무선 통신의 서비스를 위한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나타낸 예시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UE는 LTE/LTE-A 기반의 셀과 그리고 NR 기반의 셀에 DC(dual connectivity)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NR 기반의 셀은 기존 4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즉 EPC(Evolved Packet Core)에 연결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와 달리 LTE/LTE-A 기반의 셀은 5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코어 네트워크 즉, 5G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
위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키텍처에 기반한 서비스 방식을 NSA(non-standalone)라고 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UE는 NR 기반의 셀에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아키텍처에 기반한 서비스 방식을 SA(standalone)이라고 한다.
한편, 상기 NR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이용하고, 기지국으로의 송신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이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 방식은 쌍으로 된 스펙트럼 및 쌍을 이루지 않은 스펙트럼에 적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펙트럼은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동작을 위해 두 개의 반송파 스펙트럼을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스펙트럼에서, 하나의 반송파는 서로 쌍을 이루는 하향링크 대역 및 상향링크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NR 프레임의 슬롯 구조를 예시한다.
슬롯은 시간 도메인에서 복수의 심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반 CP의 경우 하나의 슬롯이 14개의 심볼을 포함하나, 확장 CP의 경우 하나의 슬롯이 12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RB(Resource Block)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복수(예, 12)의 연속한 부반송파로 정의된다. BWP(Bandwidth Part)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복수의 연속한 (physical, P)RB로 정의되며, 하나의 뉴머롤로지(numerology)(예, SCS, CP 길이 등)에 대응될 수 있다. 단말은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서 각각 최대 N개(예, 4개)의 BWP가 구성될 수 있다.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전송은 활성화된 BWP를 통해서 수행되며, 정해진 시간(at a given time)에는 단말에게 구성된 BWP들 중 하나의 BWP만 활성화될 수 있다. 자원 그리드에서 각각의 요소는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로 지칭되며, 하나의 복소 심볼이 매핑될 수 있다.
도 5는 NR에서의 서브프레임 유형의 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NR(또는 new RAT)을 위한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으로 불릴 수 있다. 도 5의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은, 데이터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NR(또는 new RAT)의 TDD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은 14 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앞부분 심볼은 하향링크(downlink, DL) 제어 채널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뒷부분 심볼은 상향링크(uplink, UL) 제어 채널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나머지 심볼들은 DL 데이터 전송 또는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구조에 따르면,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은 하나의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에서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내에서 하향링크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고, 그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내에서 상향링크 확인 응답(ACK/NACK)이 전송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구조를 자기-완비(self-contained)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롯 내의 처음 N개의 심볼은 DL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데 사용되고(이하, DL 제어 영역), 슬롯 내의 마지막 M개의 심볼은 UL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이하, UL 제어 영역). N과 M은 각각 0 이상의 정수이다. DL 제어 영역과 UL 제어 영역의 사이에 있는 자원 영역(이하, 데이터 영역)은 D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거나,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L 제어 영역에서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이 전송될 수 있고, DL 데이터 영역에서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이 전송될 수 있다. UL 제어 영역에서는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전송될 수 있고, UL 데이터 영역에서는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구조를 사용하면, 수신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어 최종 데이터 전송 대기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자기-완비(self-contained)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구조에서,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또는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의 전이 과정에 시간 차(time gap)가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브 프레임 구조에서 DL에서 UL로 전환할 때의 일부 OFDM 심볼은 보호 구간(Guard Period: GP)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자기-완비(self-contained) 슬롯의 구조를 예시한다.
NR 시스템에서 프레임은 하나의 슬롯 내에 DL 제어 채널, DL 또는 UL 데이터, UL 제어 채널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는 자기-완비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슬롯 내의 처음 N개의 심볼은 DL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데 사용되고(이하, DL 제어 영역), 슬롯 내의 마지막 M개의 심볼은 UL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이하, UL 제어 영역). N과 M은 각각 0 이상의 정수이다. DL 제어 영역과 UL 제어 영역의 사이에 있는 자원 영역(이하, 데이터 영역)은 D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거나,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음의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각 구간은 시간 순서대로 나열되었다.
1. DL only 구성
2. UL only 구성
3. 혼합된(Mixed) UL-DL 구성
- DL 영역 + GP(Guard Period) + UL 제어 영역
- DL 제어 영역 + GP + UL 영역
DL 영역: (i) DL 데이터 영역, (ii) DL 제어 영역 + DL 데이터 영역
UL 영역: (i) UL 데이터 영역, (ii) UL 데이터 영역 + UL 제어 영역
DL 제어 영역에서는 PDCCH가 전송될 수 있고, DL 데이터 영역에서는 PDSCH가 전송될 수 있다. UL 제어 영역에서는 PUCCH가 전송될 수 있고, UL 데이터 영역에서는 PUSCH가 전송될 수 있다. PDCCH에서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예를 들어, DL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 UL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 등이 전송될 수 있다. PUCCH에서는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예를 들어, DL 데이터에 대한 ACK/NACK(Positive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정보,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정보, SR(Scheduling Request) 등이 전송될 수 있다. GP는 기지국과 단말이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 또는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시간 갭을 제공한다. 서브프레임 내에서 DL에서 UL로 전환되는 시점의 일부 심볼이 GP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
TDD(Time Division Duplex)는 상용 NR(New Radio), 즉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이용되는 듀플렉싱(duplexing) 방법이다. TDD에서는 시구간 무선 자원을 하향링크 슬롯과 상향링크 슬롯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며, 보통 상향링크 트래픽과 하향링크 트래픽의 분포 비율에 따라 하향링크 슬롯이 상향링크 슬롯 대비 더 많은 비율로 분포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상향링크 슬롯의 제한은 커버리지와 지연 시간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전이중통신(Full duplex)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최근 관심을 받고 있다.
전이중통신(Full duplex)은 gNB, 즉 기지국에서 동일한(또는 정해진) 무선 자원을 통해 DL 송신과 UL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술이다. 단말 측에서도 DL 수신과 UL 송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즉, 기지국과 단말 모두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지원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구조적으로 자기 간섭 제거(self-interference cancelation)에 용이한 기지국과 달리 단말의 경우에는 DL 수신 성능이 UL 송신 신호의 자기 간섭(self-interference)에 영향을 받기 쉽다. 따라서, gNB에서는 전이중통신(full duplex)으로 동작하고 단말에서는 반이중통신(half duplex)으로 동작하는 경우(case)가 일반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추가적으로, gNB에서도 자기 간섭(self-interference)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DL 송신과 UL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되, DL/UL 간 동일한 자원이 아닌 주파수 자원을 구분하여 송신 및 수신하도록 하는 서브밴드 비중첩 전이중통신(subband non-overlapping full duplex) 방식이 1차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 및 단말의 능력(capability), 주파수 대역, 타사업자와의 주파수 간섭 문제 등에 기반하여 다양한 전이중통신(full duplex) 적용 시나리오가 고려되고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서브밴드(subband) 전이중통신(full duplex)의 개략적인 예시들이다.
OFDM을 활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서브밴드(subband) 전이중통신 (full duplex)라 불리는 듀플렉싱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밴드(subband) 전이중통신(full duplex)은, SBFD(subband full duplex) 또는 FDSB(full duplex subband)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SBFD 또는 FDSB 용어가 혼용해서 사용되더라도 실질적으로는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서브밴드(subband) 전이중통신 (full duplex)에 있어서, 정해진 캐리어 상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일부는 하향링크를 위해 사용되고, 그리고 그 동일한 캐리어 상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일부는 상향링크를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하향링크 자원과 상향링크 자원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서로 구분되어 송수신에 이용된다.
도 7a 내지 도 7b는 서브밴드(subband) 전이중통신 (full duplex)의 예시들을 나타내는데, 주파수 도메인에서 도 7a는 상향링크 서브밴드가 하향링크 서브밴드들 사이에 위치하는 예시를 나타내고, 도 7b는 하향링크 서브밴드가 상향링크 서브밴드들 사이에 위치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향링크 서브밴드와 상향링크 서브밴드 사이에는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호 밴드(guard band) 또는 보호 구간(guard period)이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gNB에서 비중첩 전이중통신(subband non-overlapping full duplex)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 서브밴드 기반의 UL-DL 슬롯(slot) 설정 방법을 제안한다. 하지만, 동일한 내용이 다양한 전이중통신(full duplex) 적용 시나리오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페어드 스펙트럼(unpaired spectrum)에서의 전이중통신(full duplex) 동작 및 페어드 스펙트럼(paired spectrum)의 DL 주파수 대역 혹은 UL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이중통신(full duplex)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gNB 측면에서만 서브밴드 비중첩 전이중통신(sub-band non-overlapping full duplex) 혹은 완전한(pure) 형태의 전이중통신(full duplex)(즉, 동일 주파수 자원에서 동시에 DL 전송 및 UL 수신)을 지원하고 단말(UE)에서는 반이중통신(half duplex) 동작을 수행하는 시나리오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gNB 뿐 아니라 단말(UE)에서도 서브밴드 비중첩 전이중통신(sub-band non-overlapping full duplex) 혹은 완전한(pure) 형태의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지원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에서 서브밴드 비중첩(sub-band non-overlapping) 기반의 전이중통신(full duplex) 지원 시, 임의의 언페어드 스펙트럼(unpaired spectrum)에서 특정 서브밴드(sub-band)의 주파수 자원은 DL 전송을 위한 DL 심볼(symbol)들로 사용되고 또 다른 서브밴드(sub-band)의 주파수 자원은 UL 수신을 위한 UL 심볼(symbol)들로 사용되는 UL-DL 설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NR에서 정의된 UL-DL 슬롯(slot) 설정은 셀 특정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cell-specific RRC signaling)을 통해 셀 단위로 이루어지도록 정의되어 있다. 즉, 해당 UL-DL 슬롯 설정(slot configuration)을 위한 RRC 메시지 'tdd-UL-DL-ConfigurationCommon'를 통해 일정 주기적인 DL 심볼, UL 심볼 및 플렉서블(flexible) 심볼의 패턴(pattern)이 설정된다. 추가적으로, 단말 특정 RRC 시그널링(UE-specific RRC signaling)인 'tdd-UL-DL-ConfigurationDedicated'를 통해 앞서의 'tdd-UL-DL-ConfigurationCommon'를 통해 설정된 플렉서블(flexible) 심볼들에 대해서만 단말 별로 UL 심볼, DL 심볼 혹은 플렉서블(flexible) 심볼로 재할당할 수 있다. 또한, 단말 그룹 공통 PDCCH(UE-group common PDCCH)를 통한 다이나믹 슬롯 포맷(dynamic slot format) 지시 방법 역시 NR에서 정의되어 있다. 이를 위해, NR에서는 DCI format 2_0을 통해 다이나믹(dynamic)한 형태의 슬롯 포맷(slot format) 지시 방법도 지원한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밴드(subband)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슬롯 설정의 예시를 나타낸다.
앞서 기술한 기존의 슬롯 설정(slot configuration) 방법에 따르면, 임의의 한 심볼은 DL, UL 혹은 플렉서블(Flexible) 중 하나로 설정 혹은 지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8의 왼쪽은 기존의 슬롯(slot configuration)을 통해 임의의 슬롯 포맷이 DDDSU로 설정된 예이다. 여기서, D라 함은 하향링크 슬롯(downlink slot)으로 해당 슬롯을 구성하는 모든 OFDM 심볼이 DL로 설정된 것을 의미한다. U라 함은 상향링크 슬롯(uplink slot)으로 해당 슬롯을 구성하는 모든 OFDM 심볼이 UL로 설정된 것을 의미한다. S라 함은 특별 슬롯(special slot)으로 DL/UL 전이(transition)을 위한 플렉서블(flexible) 심볼을 포함하고 있는 슬롯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특별 슬롯(special slot)은 일반(normal) CP의 경우, 총 14개의 심볼 중 DL 심볼 12개와 플렉서블(flexible) 심볼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혹은, DL 심볼 10개와 플렉서블(flexible) 심볼 2개 및 UL 심볼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임의의 한 TDD 캐리어 내에서 한 심볼은 DL 혹은 UL 혹은 플렉서블(flexible) 중 하나로만 설정 혹은 지시된다.
하지만. 도 8의 오른쪽과 같이 전이중통신(full duplex) 동작(operation)을 지원하기 위해 슬롯 설정(slot configuration) 정보에 의해 설정된 전송 방향(Tx direction) 설정(즉, DL, UL 혹은 플렉서블(flexible))과 다른 방향의 전송 방향(Tx direction)을 지원하기 위한 임의의 주파수 자원, 즉 서브밴드(subband)를 지원할 수 있다. 즉, 도 8의 오른쪽과 같이 임의의 DL 슬롯 혹은 DL 심볼에서 일부 주파수 자원을 단말의 UL 전송(transmission) 혹은 DL/UL 전환(transition)을 위한 플렉서블(flexible) 심볼로서 활용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임의의 UL 슬롯 혹은 UL 심볼에서 일부 주파수 자원을 기지국의 DL 전송(transmission)을 위해 활용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임의의 DL 슬롯/심볼에서 UL FDSB(full duplex subband), 또는 UL 슬롯/심볼에서 DL FDSB를 설정하고 운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I. 제1 개시: 반정적 설정(semi-static configuration) 방안
임의의 FDSB는 셀 특정(cell-specific) 혹은 단말 특정(UE-specific)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반정적(semi-static)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FDSB 설정 정보는 서브밴드 타입(subband type) 정보(DL SBFD 또는 UL SBFD), 해당 FDSB의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 SCS(subcarrier spacing) 정보,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 정보 및 해당 FDSB의 시구간 자원 할당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DSB의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의 한 방법으로서, FDSB의 주파수 위치(frequency location) 정보와 FDSB의 대역폭(bandwidth, BW) 정보로 구성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주파수 위치(frequency location) 정보라 함은 임의의 TDD 캐리어(carrier)의 시스템 대역폭 내에서 FDSB가 구성되는 위치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한 예로서 해당 위치 정보는 해당 TDD 캐리어(carrier)의 시스템 대역폭의 상단(upper edge), 하단(lower edge) 및 중심(center)의 3가지 타입(type) 중 하나로 지칭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와 함께, FDSB의 BW 정보는 상단(upper edge) 혹은 하단(lower edge)으로부터 FDSB로 할당된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 수(number of RBs)로 구성되며, 이 때 해당 RB는 공통 자원 블록(common resource block, CRB) 기반으로 해당 RB 수(number of RBs)가 설정되거나 혹은 초기(initial) DL BWP(bandwidth part)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를 기반으로 해당 RB 수(number of RBs)가 설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 (즉, system 대역폭의 정중앙)에 FDSB가 설정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FDSB의 BW 정보가 RB 수(number of RBs) 값이 설정되며 해당 값이 N이라고 할 때, 해당 FDSB는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를 기준으로 상위 대역폭이 N/2, 하위 대역폭이 N/2의 상하 대칭 형태로 구성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해당 N값은 각각 상위 대역폭 및 하위 대역폭의 값을 의미하도록 정의하여, 이를 기반으로 중심(center frequency)에 FDSB의 대역폭은 2N이 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FDSB의 주파수 자원을 설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시작(staring) RB와 시작(starting) RB로부터 FDSB가 구성되는 연속적인 RB의 수가 설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시작(starting) RB는 CRB로서, NFDSB start = Ocarrier + RBstart로서, Ocarrier는 SCS에 대한 캐리어 오프셋(offsetToCarrier for the subcarrierSpacing)에 의해 주어진다. 여기서, 해당 시작(starting) RB, RBstart와 연속적인 RB 수(number of contiguous RBs), NFDSB size=LRB 값은 RIV(resource indication vector/value) 설정을 통해 구성되거나, 혹은 해당 값이 별도의 정보 영역을 통해 각각 구성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서브밴드의 시작점과 끝점에 해당하는 RB 인덱스(index) 값을 설정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FDSB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는 FDSB 패턴(pattern) 별 주기 정보, 오프셋 정보, 구간(duration) 정보, 슬롯 포맷 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FDSB는 하나 혹은 두 개의 시구간 패턴(pattern)이 설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패턴(pattern) 별로 주기 정보, 오프셋 정보(해당 주기 내에서 FDSB 시작 심볼, 혹은 FDSB 마지막 심볼), 구간(duration) 정보(FDSB의 길이), 해당 구간(duration) 내에서의 슬롯(slot) 포맷 정보(즉, UL 심볼, DL 심볼, flexible 심볼 등 설정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해당 설정 정보는 각각 별도의 정보 영역으로 구성되어 기지국/네트워크에서 각각의 파라미터(parameter)를 설정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특정 정보의 경우 다른 설정 파라미터(parameter)들에 의해 암묵적(implicit)으로 결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tdd-UL-DL-ConfigurationCommon' 및 추가적으로 'tdd-UL-DL-ConfigurationDedicated'에 의해 설정된 슬롯 설정(slot configuration) 정보에 따라 FDSB의 일부 값들이 결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롯 설정(slot configuration)을 위한 앞서의 'tdd-UL-DL-ConfigurationCommon'에 의해 설정된 슬롯 설정 패턴(slot configuration pattern)의 수와 각각의 패턴(pattern) 별 주기 값에 따라 해당 FDSB의 패턴(pattern)의 수 및 패턴(pattern) 별 주기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즉, 'tdd-UL-DL-ConfigurationCommon'에 의해 하나의 슬롯 설정 패턴(slot configuration pattern) 설정이 이루어진 경우, FDSB도 하나의 패턴(pattern)이 설정되도록 하고, 'tdd-UL-DL-ConfigurationCommon'에 의해 두개의 슬롯 설정 패턴(slot configuration pattern)이 설정된 경우, FDSB에 대해서도 두개의 패턴(pattern)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FDSB의 주기 정보의 경우에도 'tdd-UL-DL-ConfigurationCommon'을 통해 설정된 슬롯 설정(slot configuration) 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한 예로 FDSB의 주기 정보는 해당 'tdd-UL-DL-ConfigurationCommon'을 통한 슬롯 설정(slot configuration) 주기 정보와 동일한 값을 갖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dd-UL-DL-ConfigurationCommon'을 통해 하나의 슬롯 설정 패턴(slot configuration pattern) 설정이 이루어지고 해당 슬롯 설정 패턴(slot configuration pattern)의 주기가 P일 경우, 임의의 FDSB도 주기, P를 기반으로 하나의 패턴이 설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반면, 'tdd-UL-DL-ConfigurationCommon'을 통해 각각 P+P2의 주기로 두개의 슬롯 설정 패턴(slot configuration pattern) (각각 주기, P의 패턴(pattern) 1과 주기 P2의 패턴(pattern) 2)이 설정될 경우, 해당 FDSB도 각각 P+P2의 주기를 갖는 패턴(pattern) 1 (주기 P 기반)과 패턴(pattern) 2 (주기 P2 기반)가 설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밴드(subband)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슬롯 설정의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다.
FDSB의 슬롯 포맷(slot format)의 경우, FDSB의 타입(type)에 따라 일정한 포맷(format)을 갖도록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L 심볼 (혹은 추가적으로 플렉서블(flexible) 심볼) 내에서 UL FDSB가 설정될 경우, 해당 UL FDSB는 연속적인 플렉서블(flexible) 심볼 + 연속적인 UL 심볼의 포맷을 갖도록 정의할 수 있다. 반면, UL 심볼 내에서 DL FDSB가 설정될 경우, 해당 DL FDSB는 오직 DL 심볼들로만 구성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한, FDSB의 타입(type)에 따라 오프셋 값도 특정 위치로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의 도 8과 같이 UL FDSB가 설정될 경우, 각각의 UL FDSB 패턴(pattern) 내에서 해당 UL FDSB이 구성되는 마지막 심볼의 위치를 'tdd-UL-DL-ConfigurationCommon'에 의해 설정된 마지막 DL 심볼 혹은 마지막 플렉서블(flexible) 심볼 혹은 첫번째 UL 심볼의 이전 심볼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패턴(pattern) 내에서의 UL FDSB 구간(duration)은 해당 오프셋에 해당하는 심볼(즉, UL FDSB 구성되는 마지막 심볼)로부터의 심볼 인덱스 역방향으로 해당 FDSB를 구성하는 연속적인 심볼의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구간(duration) 설정 없이 해당 마지막 심볼의 역방향으로 해당 UL FDSB를 구성하는 연속적인 UL 심볼의 수 (도 9와 같이 UL FDSB가 구성될 경우, 35)와 이어서 해당 UL FDSB를 구성하는 플렉서블(flexible) 심볼의 수 (도 9와 같이 UL FDSB가 구성될 경우, 7)가 설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오프셋 값은 설정되고, 구간(duration) 혹은 해당 FDSB의 슬롯 포맷 정보가 도출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앞서의 도 8과 같이 UL FDSB가 설정될 경우, 해당 패턴(pattern) 주기의 시작점으로부터 UL FDSB가 시작되는 첫번째 심볼까지의 오프셋 정보(e.g. 도 8의 경우, 14 - 오프셋의 사이즈가 설정될 경우, 혹은 15 - 해당 UL FDSB 시작되는 심볼이 몇 번째 심볼인지 설정될 경우)가 설정되고, 해당 시작 오프셋 심볼로부터 연속적인 플렉서블(flexible) 심볼의 개수(도 9의 경우, 7)가 설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tdd-UL-DL-ConfigurationCommon'에 의해 설정된 마지막 DL 심볼 혹은 마지막 플렉서블(flexible) 심볼 혹은 첫번째 UL 심볼의 이전 심볼까지 해당 UL FDSB에 대해서는 UL 심볼로 활용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다만, 앞서의 예는 UL FDSB는 플렉서블(flexible) + UL 심볼의 순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다른 구성으로 UL FDSB가 설정될 경우 예를 들어, UL FDSB는 모두 UL 심볼로 설정될 경우, 앞서의 예에서 플렉서블(flexible) 심볼 설정을 위한 정보 영역은 생략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tdd-UL-DL-ConfigurationCommon'에 의해 설정된 UL 심볼들 내에서 DL FDSB가 설정될 경우, 각각의 DL FDSB 패턴(pattern) 내에서 해당 DL FDSB이 구성되는 마지막 심볼의 위치를 'tdd-UL-DL-ConfigurationCommon'에 의해 설정된 마지막 UL 심볼 혹은 첫번째 DL 심볼의 이전 심볼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패턴(pattern) 내에서의 DL FDSB 구간(duration) 및 슬롯 포맷 정보로서 해당 오프셋에 해당하는 심볼(즉, DL FDSB 구성되는 마지막 심볼)로부터의 심볼 인덱스 역방향으로 해당 DL FDSB를 구성하는 연속적인 심볼의 개수, 즉, 해당 DL FDSB 내에서 DL로 활용되는 심볼의 개수를 설정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혹은, 반대로 오프셋 값은 설정되고, 구간(duration) 혹은 해당 FDSB의 슬롯 포맷 정보가 도출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패턴(pattern) 주기의 첫번째 UL 심볼로부터 DL FDSB가 시작되는 첫번째 심볼까지의 오프셋 정보만 설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DL FDSB는 설정된 DL FDSB의 시작 심볼로부터 마지막 UL 심볼까지 구성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의의 FDSB가 셀 특정(cell-specific) 혹은 단말 특정(UE-specific) RRC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반정적(semi-static)으로 설정될 경우, 해당 FDSB 타입(type) 별로 하나의 FDSB만을 설정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즉, 하나의 UL FDSB 및 하나의 DL FDSB만이 설정되도록 제한할 수 있으며, 해당 RRC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임의의 설정된 FDSB를 해제(release)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임의의 FDSB가 셀 특정(cell-specific) 혹은 단말 특정(UE-specific) RRC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반정적(semi-static)으로 설정될 경우, 해당 FDSB 구성/재구성(configuration/reconfiguration) RRC 메시지를 통해 임의의 기지국/셀은 임의의 TDD 캐리어(carrier)에서 하나 이상의 FDSB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설정된 FDSB에 대한 해제(release) 정보 혹은 수정(modification)도 해당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임의의 TDD 캐리어에서 하나 이상의 FDSB가 설정될 경우, 각각의 FDSB를 확인하기(identify) 위한 FDSB 별 ID 정보가 함께 설정될 수 있다.
II. 제2 개시: 동적 지시(Dynamic indication) 방안
FDSB 설정 정보는 기지국에 의해 PDCCH를 통해 동적(dynamic)으로 지시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해당 FDSB 설정을 위한 새로운 DCI 포맷(format)을 정의할 수 있다. FDSB를 위한 DCI format은 FDSB의 타입(type) 및 주파수(frequency), 시간(time) 자원 지시를 위한 앞서의 제1 개시의 방안에서 기술한 정보 영역들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는 해당 DCI를 수신하는 단말의 DL BWP 설정 혹은 UL BWP 설정 정보와 관계없이 해당 TDD 캐리어(carrier)의 시스템 대역폭을 구성하는 CRB에 기초하여 앞서의 제1 개시의 방안에서 제시한 FDSB의 주파수 자원 설정 방안에 따라 지시될 수 있다. 또는, UL FDSB의 경우, 단말을 위해 활성화된 DL BWP의 PRB에 기초하여 FDRA(frequency domain resource assignment)가 이루어지고, DL FDSB의 경우 해당 단말을 위해 활성화된 UL BWP의 PRB에 기초하여 FDRA가 이루어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FDSB 지시를 위한 DCI format에 의한 FDSB 시간(time) 자원 지시 방법 역시 앞서의 제1 개시의 방안에서 제시한 방법을 따르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해당 FDSB 지시를 위한 DCI format에 대한 모니터링 주기를 기반으로 해당 주기 내에서 일회성으로 FDSB의 시구간 자원 할당이 이루어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DSB 심볼을 포함하는 슬롯 포맷(slot format)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슬롯 포맷 테이블(slot format table)을 구성하여 해당 모니터링 주기 내의 슬롯 들에 대해서 슬롯 포맷 테이블(slot format table) 기반의 슬롯 포맷 조합(slot format combination)을 구성하고, FDSB 지시 DCI format을 통해 슬롯 포맷 조합 ID(slot format combination ID)를 지시해주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FDSB의 시간 자원 할당을 위한 TDRA(time domain resource assignment)를 위한 단일 슬롯 기반의 'timedomainresourceallocation list' 혹은 복수 슬롯(multi-slot) 기반의 'timedomainresourceallocation list'를 구성하여, 해당 list 내의 TDRA 인덱스(index)를 지시해주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FDSB 설정을 위한 정보 영역들 중 일부는 앞서의 제1 개시의 방안과 같이 셀 특정(cell-specific) 또는 단말 특정(UE-specific) RRC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설정될 수 있고, 다른 일부 정보에 대해서만 DCI 기반으로 동적(dynamic)으로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FDSB에 대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frequency domain resource assignment) 정보에 대해서는 셀 특정(cell-specific) 혹은 단말 특정(UE-specific) RRC 시그널링(signaling)에 의해 설정되고, 해당 FDSB의 TDRA 정보에 대해서만 DCI를 통해 동적(dynamic)으로 지시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FDSB 설정을 위한 DCI는 단말 그룹 공통(UE-group common) 혹은 셀 특정(cell-specific) 시그널링(signaling) 방식으로 전송되거나, 혹은 단말 특정(UE-specific) 시그널링(signaling)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해당 FDSB 설정을 위한 DCI format에 대한 수신 설정 정보를 단말 특정(UE-specific) 혹은 셀 특정(cell-specific) RRC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수신한다. FDSB 설정 지시 DCI format에 대한 수신 설정 정보는 해당 DCI 모니터링 주기 정보,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정보 페이로드 크기(payload size)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해당 FDSB 지시를 위한 DCI format은 해당 DCI format의 모니터링 주기 내에서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FDSB 설정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FDSB 설정이 지원될 경우, 해당 FDSB 지시를 위한 DCI format을 통해 지시될 수 있는 FDSB 수(number of FDSBs) 또는 최대 FDSB 수(maximum number of FDSBs)가 기지국에 의해 설정되어, 셀 특정(cell-specific) 혹은 단말 특정(UE-specific) RRC 시그널링(signaling)에 의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FDSB 지시를 위한 DCI format의 페이로드(payload)가 결정될 수 있다. 또는, 해당 FDSB 지시를 위한 DCI format의 페이로드 크기(payload size)가 직접 설정되어 기지국에서 단말로 셀 특정(cell-specific) 혹은 단말 특정(UE-specific) RRC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III. 제3 개시: FDSB 활성화/비활성화(FDSB activation/deactivation) 방안
RRC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하나 이상의 FDSB 리스트(list) 설정 정보가 전송된다. FDSB 리스트(list) 설정 정보는 하나 이상의 FDSB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FDSB 설정 정보는 FDSB ID 정보와 연관될 수 있다. 그리고, 각 FDSB의 설정 정보는 앞서 설명한 제1 개시의 반정적 설정(semi-static configuration) 방안에서 기술한 내용을 기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임의의 셀/기지국에서 하나 이상의 FDSB로 구성된 FDSB 리스트(list)가 RRC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설정될 경우, 해당 기지국/셀은 단말 특정(UE-specific) 혹은 단말 그룹 공통(UE-group common) DCI 혹은 MAC CE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특정 FDSB를 활성화(activation)하거나, 혹은 비활성화(deactivation)할 수 있다. 임의의 FDSB가 활성화(activation)된 경우, 해당 FDSB는 기지국에 의해 명시적(explicit)으로 비활성화(deactivation)되거나, 혹은 FDSB를 위한 비활성화 타이머(deactivation timer)가 정의되어 해당 타이머(timer)가 만료되면(expire) 비활성화(deactivation)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FDSB의 비활성화(deactivation timer)가 정의될 경우, 해당 타이머(timer) 값은 고정된 값을 갖거나 혹은 기지국/네트워크에 의해 단말 특정(UE-specific) 혹은 셀 특정(cell-specific) RRC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해당 타이머(timer) 값이 정의될 경우, 타이머(timer) 값은 해당 셀 내의 모든 FDSB 설정에 대해 공통(common)된 값을 갖거나, 혹은 FDSB 별로 별도의 값을 각각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제1 개시의 방안 1, 제2 개시의 방안 및 제3 개시의 방안의 모든 조합의 형태로 FDSB 설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5G NR 시스템을 기반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구체적인 무선 통신 기술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되는 모든 경우에 대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정리>
도 10는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subband)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S1001).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 및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데, 수신된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공통 자원 블록(common resource block, CRB)을 기반으로 설정되고, 수신된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서브밴드의 시간 자원은 주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패턴을 기반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서브 밴드 설정 정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되거나 또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단말 특정(UE-specific) RRC 시그널링(signaling) 또는 셀 특정(cell-specific) RRC 시그널링(signaling)일 수 있다.
이후, 수신된 서브밴드 설정 정보에 기반한 서브밴드를 통해 하향링크 수신 또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S1002).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SCS) 정보 및 순환 전치(cyclic prefix)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서브밴드를 포함하는 서브밴드 리스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밴드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는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i) 상단, 중심 또는 하단의 주파수 위치정보와 RB(resource block) 수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거나, ii) 시작(starting) RB 정보와 RB 수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거나 또는 iii) 시작(starting) RB 정보와 끝 RB 정보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시작(starting) RB(resource block)와 RB(resource block) 수를 도출할 수 있는 RIV(resource indication value)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패턴의 개수 및 각 서브밴드 패턴의 주기는, TDD(time division duplex)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 공통(tdd-UL-DL-ConfigurationCommon)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에 포함된 대응되는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밴드의 시간 자원은 각 서브밴드 패턴의 특정 심볼로부터, 심볼 개수를 기초로 하는 구간(duration)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가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브밴드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서브밴드의 설정을 해제(release)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subband) 설정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S1101).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 및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데, 전송된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공통 자원 블록(common resource block, CRB)을 기반으로 설정되고, 전송된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서브밴드의 시간 자원은 주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패턴을 기반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서브 밴드 설정 정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거나 또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단말 특정(UE-specific) RRC 시그널링(signaling) 또는 셀 특정(cell-specific) RRC 시그널링(signaling)일 수 있다.
이후, 전송된 서브밴드 설정 정보에 기반한 서브밴드를 통해 하향링크 전송 또는 상향링크 수신을 수행한다 (S1102).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SCS) 정보 및 순환 전치(cyclic prefix)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서브밴드를 포함하는 서브밴드 리스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밴드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는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i) 상단, 중심 또는 하단의 주파수 위치정보와 RB(resource block) 수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거나, ii) 시작(starting) RB 정보와 RB 수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거나 또는 iii) 시작(starting) RB 정보와 끝 RB 정보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시작(starting) RB(resource block)와 RB(resource block) 수를 도출할 수 있는 RIV(resource indication value)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패턴의 개수 및 각 서브밴드 패턴의 주기는, TDD(time division duplex)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 공통(tdd-UL-DL-ConfigurationCommon)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에 포함된 대응되는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밴드의 시간 자원은 각 서브밴드 패턴의 특정 심볼로부터, 심볼 개수를 기초로 하는 구간(duration)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가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서브밴드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서브밴드의 설정을 해제(release)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장치 일반>
지금까지 설명한, 본 명세서의 개시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개시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장치(100a)와 제2 장치(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치(100a)는 기지국, 네트워크 노드, 전송 단말, 수신 단말, 무선 장치, 무선 통신 기기, 차량,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차량, 커넥티드카(Connected Car), 드론(Unmanned Aerial Vehicle, UAV), AI(Artificial Intelligence) 모듈, 로봇, AR(Augmented Reality) 장치, VR(Virtual Reality) 장치, MR(Mixed Reality) 장치, 홀로그램 장치, 공공 안전 장치, MTC 장치, IoT 장치, 의료 장치, 핀테크 장치(또는 금융 장치), 보안 장치, 기후/환경 장치, 5G 서비스와 관련된 장치 또는 그 이외 4차 산업 혁명 분야와 관련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2 장치(100b)는 기지국, 네트워크 노드, 전송 단말, 수신 단말, 무선 장치, 무선 통신 기기, 차량,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차량, 커넥티드카(Connected Car), 드론(Unmanned Aerial Vehicle, UAV), AI(Artificial Intelligence) 모듈, 로봇, AR(Augmented Reality) 장치, VR(Virtual Reality) 장치, MR(Mixed Reality) 장치, 홀로그램 장치, 공공 안전 장치, MTC 장치, IoT 장치, 의료 장치, 핀테크 장치(또는 금융 장치), 보안 장치, 기후/환경 장치, 5G 서비스와 관련된 장치 또는 그 이외 4차 산업 혁명 분야와 관련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1 장치(100a)는 프로세서(1020a)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010a)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송수신기(1031a)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a)는 전술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a)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020a)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계층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10a)는 상기 프로세서(1020a)와 연결되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1031a)는 상기 프로세서(1020a)와 연결되고, 무선 시그널을 송수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2 장치(100b)는 프로세서(1020b)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010b)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와, 송수신기(1031b)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b)는 전술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b)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020b)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계층들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10b)는 상기 프로세서(1020b)와 연결되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1031b)는 상기 프로세서(1020b)와 연결되고, 무선 시그널을 송수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10a) 및/또는 상기 메모리(1010b)는, 상기 프로세서(1020a) 및/또는 상기 프로세서(1020b)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각기 연결될 수도 있고, 유선 또는 무선 연결과 같이 다양한 기술을 통해 다른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장치(100a) 및/또는 상기 제2 장치(100b)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1036a) 및/또는 안테나(1036b)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특히, 도 13에서는 앞서 도 12의 장치를 보다 상세히 예시하는 도면이다.
장치는 메모리(1010), 프로세서(1020), 송수신부(1031), 전력 관리 모듈(1091), 배터리(1092), 디스플레이(1041), 입력부(1053), 스피커(1042) 및 마이크(1052),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2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제안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프로세서(1020)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AP(application processor)일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모뎀(Modem; modulator and demodul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의 예는 Qualcomm®에 의해 제조된 SNAPDRAGONTM 시리즈 프로세서, Samsung®에 의해 제조된 EXYNOSTM 시리즈 프로세서, Apple®에 의해 제조된 A 시리즈 프로세서, MediaTek®에 의해 제조된 HELIOTM 시리즈 프로세서, INTEL®에 의해 제조된 ATOMTM 시리즈 프로세서, HiSilicon®에 의해 제조된 KIRINTM 시리즈 프로세서 또는 대응하는 차세대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091)은 프로세서(1020) 및/또는 송수신부(1031)에 대한 전력을 관리한다. 배터리(1092)는 전력 관리 모듈(1091)에 전력을 공급한다. 디스플레이(1041)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한다. 입력부(1053)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사용될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1053)는 디스플레이(104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SIM 카드는 휴대 전화 및 컴퓨터와 같은 휴대 전화 장치에서 가입자를 식별하고 인증하는 데에 사용되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그와 관련된 키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집적 회로이다. 많은 SIM 카드에 연락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010)는 프로세서(102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로세서(6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01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컨대, 절차,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010)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10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010)는 프로세서(1020)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1010)는 프로세서(1020)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102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송수신부(1031)는 프로세서(102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송수신부(1031)는 전송기와 수신기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031)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기저 대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20)는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음성 통신 데이터를 구성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명령 정보를 송수신부(1031)에 전달한다. 안테나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무선 신호를 수신할 때, 송수신부(1031)은 프로세서(1020)에 의해 처리하기 위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기저 대역으로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처리된 신호는 스피커(1042)를 통해 출력되는 가청 또는 가독 정보로 변환될 수 있다.
스피커(1042)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처리된 소리 관련 결과를 출력한다. 마이크(1052)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사용될 소리 관련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입력부(1053)의 버튼을 누르거나(혹은 터치하거나) 또는 마이크(1052)를 이용한 음성 구동(voice activation)에 의해 전화 번호 등과 같은 명령 정보를 입력한다. 프로세서(1020)는 이러한 명령 정보를 수신하고,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거는 등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구동 상의 데이터(operational data)는 심카드 또는 메모리(101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0)는 사용자가 인지하고 또한 편의를 위해 명령 정보 또는 구동 정보를 디스플레이(1041)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된 프로세서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된 프로세서(102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제안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회로(circuitry)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020)은 제1 회로(1020-1), 제2 회로(1020-2) 그리고 제3 회로(102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프로세서(1020)은 더 많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회로는 복수의 트랜지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로 불릴 수 있으며, DSP(digital signal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제1 장치의 송수신기 또는 도 13에 도시된 장치의 송수신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송수신부(1031)는 송신기(1031-1)과 수신기(1031-2)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1031-1)은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부(1031-11), 부반송파 맵퍼(1031-12), IFFT부(1031-13) 및 CP 삽입부(1031-14), 무선 송신부(1031-15)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1031-1)는 변조기(mod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스크램블 유닛(미도시; scramble unit), 모듈레이션 맵퍼(미도시; modulation mapper), 레이어 맵퍼(미도시; layer mapper) 및 레이어 퍼뮤테이터(미도시; layer permutator)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DFT부(1031-11)에 앞서 배치될 수 있다. 즉,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송신기(1031-1)는 부반송파에 신호를 매핑하기 이전에 먼저 정보를 DFT(1031-11)를 거치도록 한다. DFT부(1031-11)에 의해 확산(spreading)(또는 동일한 의미로 프리코딩)된 신호를 부반송파 매퍼(1031-12)를 통해 부반송파 매핑을 한 뒤에 다시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부(1031-13)를 거쳐 시간축 상의 신호로 만들어준다.
DFT부(1031-11)는 입력되는 심벌들에 DFT를 수행하여 복소수 심벌들(complex-valued 심볼)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Ntx 심벌들이 입력되면(단, Ntx는 자연수), DFT 크기(size)는 Ntx이다. DFT부(1031-11)는 변환 프리코더(transform precoder)라 불릴 수 있다. 부반송파 맵퍼(1031-12)는 상기 복소수 심벌들을 주파수 영역의 각 부반송파에 맵핑시킨다. 상기 복소수 심벌들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블록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들에 맵핑될 수 있다. 부반송파 맵퍼(1031-12)는 자원 맵퍼(resource element mapper)라 불릴 수 있다. IFFT부(1031-13)는 입력되는 심벌에 대해 IFFT를 수행하여 시간 영역 신호인 데이터를 위한 기본 대역(baseband) 신호를 출력한다. CP 삽입부(1031-14)는 데이터를 위한 기본 대역 신호의 뒷부분 일부를 복사하여 데이터를 위한 기본 대역 신호의 앞부분에 삽입한다. CP 삽입을 통해 ISI(Inter-심볼 Interference), ICI(Inter-Carrier Interference)가 방지되어 다중 경로 채널에서도 직교성이 유지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수신기(1031-2)는 무선 수신부(1031-21), CP 제거부(1031-22), FFT부(1031-23), 그리고 등화부(1031-2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기(1031-2)의 무선 수신부(1031-21), CP 제거부(1031-22), FFT부(1031-23)는 상기 송신단(1031-1)에서의 무선 송신부(1031-15), CP 삽입부(1031-14), IFF부(1031-13)의 역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신기(1031-2)는 복조기(demod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개시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설명되는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청구항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하향링크(downlink) 수신 및/또는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subband)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서브밴드 설정 정보에 기반한 서브밴드를 통해 하향링크 수신 또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 및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공통 자원 블록(common resource block, CRB)을 기반으로 설정되고,
    상기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상기 서브밴드의 시간 자원은 주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패턴을 기반으로 설정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SCS) 정보 및 순환 전치(cyclic prefix)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i) 상단, 중심 또는 하단의 주파수 위치정보와 RB(resource block) 수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거나, ii) 시작(starting) RB 정보와 RB 수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거나 또는 iii) 시작(starting) RB 정보와 끝 RB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시작(starting) RB(resource block)와 RB(resource block) 수를 도출할 수 있는 RIV(resource indication value)를 기초로 설정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패턴의 개수 및 각 서브밴드 패턴의 주기는, TDD(time division duplex)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 공통(tdd-UL-DL-ConfigurationCommon)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에 포함된 대응되는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의 시간 자원은 각 서브밴드 패턴의 특정 심볼로부터, 심볼 개수를 기초로 하는 구간(duration)을 기반으로 설정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상기 서브밴드를 포함하는 서브밴드 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밴드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는 활성화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활성화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서브밴드의 설정을 해제(releas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수신되는, 방법.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하향링크(downlink) 전송 및/또는 상향링크(uplink) 수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subband)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서브밴드 설정 정보에 기반한 서브밴드를 통해 하향링크 전송 또는 상향링크 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 및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공통 자원 블록(common resource block, CRB)을 기반으로 설정되고,
    상기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상기 서브밴드의 시간 자원은 주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패턴을 기반으로 설정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SCS) 정보 및 순환 전치(cyclic prefix)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i) 상단, 중심 또는 하단의 주파수 위치정보와 RB(resource block) 수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거나, ii) 시작(starting) RB 정보와 RB 수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거나 또는 iii) 시작(starting) RB 정보와 끝 RB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시작(starting) RB(resource block)와 RB(resource block) 수를 도출할 수 있는 RIV(resource indication value)를 기초로 설정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패턴의 개수 및 각 서브밴드 패턴의 주기는, TDD(time division duplex)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 공통(tdd-UL-DL-ConfigurationCommon)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에 포함된 대응되는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의 시간 자원은 각 서브밴드 패턴의 특정 심볼로부터, 심볼 개수를 기초로 하는 구간(duration)을 기반으로 설정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상기 서브밴드를 포함하는 서브밴드 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밴드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는 활성화되는,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활성화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서브밴드의 설정을 해제(releas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전송되는, 방법.
  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기기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subband)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수신된 서브밴드 설정 정보에 기반한 서브밴드를 통해 하향링크 수신 또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 및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공통 자원 블록(common resource block, CRB)을 기반으로 설정되고,
    상기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상기 서브밴드의 시간 자원은 주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패턴을 기반으로 설정되는, 통신 기기.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SCS) 정보 및 순환 전치(cyclic prefix) 정보를 더 포함하는, 통신 기기.
  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subband)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전송된 서브밴드 설정 정보에 기반한 서브밴드를 통해 하향링크 전송 또는 상향링크 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밴드 설정 정보는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 및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은 공통 자원 블록(common resource block, CRB)을 기반으로 설정되고,
    상기 시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상기 서브밴드의 시간 자원은 주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패턴을 기반으로 설정되는, 기지국.
KR1020230081035A 2022-08-02 2023-06-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240018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0277 WO2024029787A1 (ko) 2022-08-02 2023-07-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 설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96328 2022-08-02
KR1020220096328 2022-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359A true KR20240018359A (ko) 2024-02-13

Family

ID=8989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1035A KR20240018359A (ko) 2022-08-02 2023-06-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 설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83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1800B2 (ja) NRSを受信する方法及びNB−IoT機器
US11937217B2 (en) Method for relay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US1105784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apability information including power class information and wireless device
CN113597744A (zh) 应用msd的方法及其装置
EP4017094A1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ownlink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internet of things, and device therefor
EP4017095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internet of things, and device for same
EP3996415B1 (en)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internet of things, and apparatus therefor
US20220295451A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switching bwp for sidelink communication
US20200314778A1 (en) Apparatus and base station for supporting nr-u based cell
KR20210129218A (ko) V2x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전송 타이밍 에러에 대한 제안
US11240762B2 (en) Uplink transmit power control for cross link interference
US20220346036A1 (en) Maximum power reduction
KR2024001835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220075220A (ko) Nr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
KR2024011638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4000986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슬롯 포맷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230153932A (ko) 전이중통신을 위한 프레임 구조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240122335A (ko) 전이중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4049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 하는 방법 및 장치
EP42708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beam control information of repeat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23013841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R(new radio technology)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5146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빔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EP4336911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ignaling for network energy saving
KR20240031883A (ko)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KR2023015725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가변 트래픽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