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220A - Nr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 - Google Patents

Nr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220A
KR20220075220A KR1020227010682A KR20227010682A KR20220075220A KR 20220075220 A KR20220075220 A KR 20220075220A KR 1020227010682 A KR1020227010682 A KR 1020227010682A KR 20227010682 A KR20227010682 A KR 20227010682A KR 20220075220 A KR20220075220 A KR 20220075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hz
khz
channel raster
frequency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만영
양윤오
이상욱
임수환
황진엽
박종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75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3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cting errors in frequency or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05Moving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는 NR(new radio)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NR V2X에 대한 채널 래스터는 -5 kHz 또는 5 kHz의 제1 주파수 쉬프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NR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
본 명세서는 이동통신에 관한 것이다.
4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LTE(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LTE-A)의 성공에 힘입어, 차세대, 즉 5세대(소위 5G) 이동통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고, 연구도 속속 진행되고 있다.
상기 5세대(소위 5G) 이동통신을 위해서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 New RAT 또는 NR)이 연구되어 왔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정의하는 5세대 이동통신은 최대 20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어디에서든 최소 100Mbps 이상의 체감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정식 명칭은 ‘IMT-2020’이며 세계적으로 2020년에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LTE/LTE-A 기술과 NR 기술은 차량 통신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V2X(vehicle-to-everything)라고 부른다. V2X는 차량과 모든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 기술을 통칭한다.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V2X 기기들 간에 통신하는 것을 V2X 통신이라고 하고, V2X 기기들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링크를 사이드링크(Sidelink)라고 부르기도 한다.
LTE 기반 V2X 통신에 사용되는 E-UTRA 동작 대역 47을 전환(refarm)하여 NR 기반 V2X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대역 n47로 불림), 아직 구체적인 채널 배치에 대해서 연구되지 않아,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는 NR(new radio)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NR V2X에 대한 채널 래스터는 -5 kHz 또는 5 kHz의 제1 주파수 쉬프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V2X 통신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그리고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는 NR(new radio)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NR V2X에 대한 채널 래스터는 -5 kHz 또는 5 kHz의 제1 주파수 쉬프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기기에 장착되는 칩셋을 제공한다. 상기 칩셋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는 NR(new radio)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NR V2X에 대한 채널 래스터는 -5 kHz 또는 5 kHz의 제1 주파수 쉬프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명령어들을 기록하고 있는 비휘발성(non-volatile)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명령어들은,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기기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는 NR(new radio)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NR V2X에 대한 채널 래스터는 -5 kHz 또는 5 kHz의 제1 주파수 쉬프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V2X 통신 기기를 위한 기지국에서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는 NR(new radio)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NR V2X에 대한 채널 래스터는 -5 kHz 또는 5 kHz의 제1 주파수 쉬프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V2X 통신 기기를 위한 기지국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그리고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는 NR(new radio)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NR V2X에 대한 채널 래스터는 -5 kHz 또는 5 kHz의 제1 주파수 쉬프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도 2는 3GPP LTE에서 FDD에 따른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c는 차세대 이동통신의 서비스를 위한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나타낸 예시도들이다.
도 4는 NR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는 NR에서의 서브프레임 유형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NR에서 SS 블록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NR에서 빔 스위핑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V2X의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5.9 GHz 주파수 대역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LTE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 대비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른 NR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된 프로세서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제1 장치의 송수신부 또는 도 15에 도시된 장치의 송수신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을 예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의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의 내용과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내용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의 내용과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의 내용과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내용과 사상은 첨부된 도면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A 및/또는 B(A and/or B)”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A, B 또는 C(A, B or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슬래쉬(/)나 쉼표(comma)는 “및/또는(and/or)”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는 “A, B 또는 C”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및 B(at least one of A and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또는 B(at least one of A or B)”나 “적어도 하나의 A 및/또는 B(at least one of A and/or B)”라는 표현은 “적어도 하나의 A 및 B(at least one of A and B)”와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B 및 C(at least one of A, B and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A, B 또는 C(at least one of A, B or C)”나 “적어도 하나의 A, B 및/또는 C(at least one of A, B and/or C)”는 “적어도 하나의 A, B 및 C(at least one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괄호는 “예를 들어(for example)”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보(PDCCH)”로 표시된 경우,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의 “제어 정보”는 “PDCCH”로 제한(limit)되지 않고, “PDDCH”가 “제어 정보”의 일례로 제안될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즉, PDCCH)”로 표시된 경우에도,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도면 내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예시적으로 UE(User Equipment)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된 상기 UE는 단말(Terminal), ME(Mobile Equipment),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UE는 노트북, 휴대폰,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멀티미디어 기기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거나, PC,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 UE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예: 무선 통신 장치, 무선 장치, 또는 무선 기기)의 예시로 사용된다. UE가 수행하는 동작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 무선 통신 장치, 무선 장치, 또는 무선 기기 등으로도 지칭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무선기기와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odeB(evolved-Node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gNB(Next generation NodeB)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상기 BS는 gNodeB(혹은 gNB)(20a)와 eNodeB(혹은 eNB)(20b)로 구분된다. 상기 gNB(20a)는 5세대 이동통신을 지원한다. 상기 eNB(20b)는 4세대 이동통신, 즉 LTE(long term evolution)를 지원한다.
각 기지국(20a 및 20b)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이라고 함)(20-1, 20-2, 20-3)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UE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셀에 속하는데, UE이 속한 셀을 서빙 셀(serving cell)이라 한다. 서빙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serving BS)이라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룰러 시스템(cellular system)이므로,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이 존재한다.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을 인접 셀(neighbor cell)이라 한다. 인접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인접 기지국(neighbor BS)이라 한다. 서빙 셀 및 인접 셀은 UE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이하에서, 하향링크는 기지국(20)에서 UE(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는 UE(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UE(1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UE(10)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일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은 크게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과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F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이루어진다. T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서로 다른 시간에 이루어진다. TDD 방식의 채널 응답은 실질적으로 상호적(reciprocal)이다. 이는 주어진 주파수 영역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과 상향링크 채널 응답이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은 상향링크 채널 응답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DD 방식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시분할되므로 기지국에 의한 하향링크 전송과 UE에 의한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될 수 없다.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는 T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LTE 시스템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는 3GPP LTE에서 FDD에 따른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을 포함한다. 무선 프레임 내 슬롯은 0부터 19까지 슬롯 번호가 매겨진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전송시간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라 한다. TTI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단위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 프레임의 길이는 10ms이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슬롯은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몇개의 OFDM 심볼이 포함되는지는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 NRB 개의 자원블록(RB)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 자원블록(RB)의 개수, 즉 NRB은 6 내지 11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이 시간 영역에서 7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고, 자원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면, 하나의 자원블록은 7Х12개의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를 포함할 수 있다.
3GPP LTE에서 물리채널은 데이터 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및 제어채널인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및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로 나눌 수 있다.
상향링크 채널은 PUSCH, PUCCH,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포함한다.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4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LTE(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LTE-A)의 성공에 힘입어, 차세대, 즉 5세대(소위 5G) 이동통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고, 연구도 속속 진행되고 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정의하는 5세대 이동통신은 최대 20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어디에서든 최소 100Mbps 이상의 체감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정식 명칭은 ‘IMT-2020’이며 세계적으로 2020년에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ITU에서는 3대 사용 시나리오, 예컨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를 제시하고 있다.
URLLC는 높은 신뢰성과 낮은 지연시간을 요구하는 사용 시나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주행, 공장자동화, 증강현실과 같은 서비스는 높은 신뢰성과 낮은 지연시간(예컨대, 1ms 이하의 지연시간)을 요구한다. 현재 4G (LTE) 의 지연시간은 통계적으로 21-43ms (best 10%), 33-75ms (median) 이다. 이는 1ms 이하의 지연시간을 요구하는 서비스를 지원하기에 부족하다. 다음으로, eMBB 사용 시나리오는 이동 초광대역을 요구하는 사용 시나리오에 관한 것이다.
즉, 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현재의 4G LTE보다 높은 용량을 목표로 하며, 모바일 광대역 사용자의 밀도를 높이고, D2D(Device to Device), 높은 안정성 및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을 지원할 수 있다. 5G 연구 개발은 또한 사물의 인터넷을 보다 잘 구현하기 위해 4G 이동 통신 시스템 보다 낮은 대기 시간과 낮은 배터리 소모를 목표로 한다. 이러한 5G 이동 통신을 위해서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 New RAT 또는 NR)이 제시될 수 있다.
NR 주파수 밴드(frequency band)는 2가지 type(FR1, FR2)의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로 정의될 수 있다.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가지 type(FR1, FR2)의 주파수 범위는 하기 표 1과 같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NR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 중 FR1은 “sub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FR2는 “above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밀리미터 웨이브(millimeter wave, mmW)로 불릴 수 있다.
Frequency Range designation Corresponding frequency range Subcarrier Spacing
FR1 450MHz - 7125MHz 15, 30, 60kHz
FR2 24250MHz - 52600MHz 60, 120, 240kHz
상술한 바와 같이, NR 시스템의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은 하기 표 2와 같이 410MHz 내지 7125MHz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FR1은 7.125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 내에서 포함되는 7.125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은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포함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을 위한 통신(예를 들어, 자율주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아래의 표 2의 동작 대역은 NR 을 위하여 새로 정의된 대역과, LTE/LTE-A의 동작 대역으로부터 전환된(refarming)된 동작 대역을 포함하여 FR1 에서 정의되어 있는 동작 대역이다.
NR 동작대역 상향링크(UL) 동작 대역 하향링크(DL) 동작 대역 Duplex Mode
FUL_low - FUL_high FDL_low - FDL_high
n1 1920 MHz - 1980 MHz 2110 MHz - 2170 MHz FDD
n2 1850 MHz - 1910 MHz 1930 MHz - 1990 MHz FDD
n3 1710 MHz - 1785 MHz 1805 MHz - 1880 MHz FDD
n5 824 MHz - 849 MHz 869 MHz - 894 MHz FDD
n7 2500 MHz - 2570 MHz 2620 MHz - 2690 MHz FDD
n8 880 MHz - 915 MHz 925 MHz - 960 MHz FDD
n12 699 MHz - 716 MHz 729 MHz - 746 MHz FDD
n18 815 MHz - 830 MHz 860 MHz - 875 MHz FDD
n20 832 MHz - 862 MHz 791 MHz - 821 MHz FDD
n25 1850 MHz - 1915 MHz 1930 MHz - 1995 MHz FDD
n26 814 MHz - 849 MHz 859 MHz - 894 MHz FDD
n28 703 MHz - 748 MHz 758 MHz - 803 MHz FDD
n29 N/A 717 MHz - 728 MHz SDL
n30 2305 Mhz - 2315 MHz 2350 MHz - 2360 MHz FDD
n34 2010 MHz - 2025 MHz 2010 MHz - 2025 MHz TDD
n38 2570 MHz - 2620 MHz 2570 MHz - 2620 MHz TDD
n39 1880 MHz - 1920 MHz 1880 MHz - 1920 MHz TDD
n40 2300 MHz - 2400 MHz 2300 MHz - 2400 MHz TDD
n41 2496 MHz - 2690 MHz 2496 MHz - 2690 MHz TDD
n48 3550 MHz - 3700 MHz 3550 MHz - 3700 MHz TDD
n50 1432 MHz - 1517 MHz 1432 MHz - 1517 MHz TDD1
n51 1427 MHz - 1432 MHz 1427 MHz - 1432 MHz TDD
n53 2483.5 MHz - 2495 MHz 2483.5 MHz - 2495 MHz TDD
n65 1920 MHz - 2010 MHz 2110 MHz - 2200 MHz FDD
n66 1710 MHz - 1780 MHz 2110 MHz - 2200 MHz FDD
n70 1695 MHz - 1710 MHz 1995 MHz - 2020 MHz FDD
n71 663 MHz - 698 MHz 617 MHz - 652 MHz FDD
n74 1427 MHz - 1470 MHz 1475 MHz - 1518 MHz FDD
n75 N/A 1432 MHz - 1517 MHz SDL
n76 N/A 1427 MHz - 1432 MHz SDL
n77 3300 MHz - 4200 MHz 3300 MHz - 4200 MHz TDD
n78 3300 MHz - 3800 MHz 3300 MHz - 3800 MHz TDD
n79 4400 MHz - 5000 MHz 4400 MHz - 5000 MHz TDD
n80 1710 MHz - 1785 MHz N/A SUL
n81 880 MHz - 915 MHz N/A SUL
n82 832 MHz - 862 MHz N/A SUL
n83 703 MHz - 748 MHz N/A SUL
n84 1920 MHz - 1980 MHz N/A SUL
n86 1710 MHz - 1780 MHz N/A SUL
n89 824 MHz - 849 MHz N/A SUL
n90 2496 MHz - 2690 MHz 2496 MHz - 2690 MHz TDD
n91 832 MHz - 862 MHz 1427 MHz - 1432 MHz FDD
n92 832 MHz - 862 MHz 1432 MHz - 1517 MHz FDD
n93 880 MHz - 915 MHz 1427 MHz - 1432 MHz FDD
n94 880 MHz - 915 MHz 1432 MHz - 1517 MHz FDD
n95 2010 MHz - 2025 MHz N/A SUL
하기의 표는 고주파 상에서 정의되는 NR 동작 대역을 나타낸다. 이를 FR2 대역이라고 한다.
NR 동작대역 상향링크(UL) 동작 대역 하향링크(DL) 동작 대역 듀플렉스 모드
FUL_low - FUL_high FDL_low - FDL_high
n257 26500 MHz - 29500 MHz 26500 MHz - 29500 MHz TDD
n258 24250 MHz - 27500 MHz 24250 MHz - 27500 MHz TDD
n259 37000 MHz - 40000 MHz 37000 MHz - 40000 MHz TDD
n260 37000 MHz - 40000 MHz 37000 MHz - 40000 MHz FDD
n261 27500 MHz - 28350 MHz 27500 MHz - 28350 MHz FDD
도 3a 내지 도 3c는 차세대 이동통신의 서비스를 위한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나타낸 예시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UE는 LTE/LTE-A 기반의 셀과 그리고 NR 기반의 셀에 DC(dual connectivity)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NR 기반의 셀은 기존 4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즉 EPC(Evolved Packet Core)에 연결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와 달리 LTE/LTE-A 기반의 셀은 5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코어 네트워크, 즉 NG(Next Generation)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
위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키텍처에 기반한 서비스 방식을 NSA(non-standalone)라고 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UE는 NR 기반의 셀에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아키텍처에 기반한 서비스 방식을 SA(standalone)이라고 한다.
한편, 상기 NR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은 다운 링크 서브프레임을 이용하고, 기지국으로의 송신은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을 이용하는 것이 고려 될 수 있다. 이 방식은 쌍으로 된 스펙트럼 및 쌍을 이루지 않은 스펙트럼에 적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펙트럼은 다운 링크 및 업 링크 동작을 위해 두 개의 반송파 스펙트럼을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 쌍 스펙트럼에서, 하나의 반송파는 서로 쌍을 이루는 하향링크 대역 및 상향링크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NR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NR에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은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무선 프레임은 10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5ms 하프-프레임(Half-Frame, HF)으로 정의된다. 하프-프레임은 5개의 1ms 서브프레임(Subframe, SF)으로 정의된다. 서브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슬롯으로 분할되며, 서브프레임 내 슬롯 개수는 SCS(Subcarrier Spacing)에 의존한다. 각 슬롯은 CP(cyclic prefix)에 따라 12개 또는 14개의 OFDM(A) 심볼을 포함한다. 보통 CP가 사용되는 경우, 각 슬롯은 14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확장 CP가 사용되는 경우, 각 슬롯은 12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여기서, 심볼은 OFDM 심볼 (혹은, CP-OFDM 심볼), SC-FDMA 심볼 (혹은, DFT-s-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NR에서의 서브프레임 유형의 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NR(또는 new RAT)을 위한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으로 불릴 수 있다. 도 5의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은, 데이터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NR(또는 new RAT)의 TDD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은 현재의 서브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14 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앞부분 심볼은 DL 제어 채널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뒷부분 심볼은 UL 제어 채널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나머지 심볼들은 DL 데이터 전송 또는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구조에 따르면, 하향 링크 전송과 상향 링크 전송은 하나의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에서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내에서 하향 링크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고, 그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내에서 상향 링크 확인 응답(ACK / NACK)이 전송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구조를 자기-완비(self-contained)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롯 내의 처음 N개의 심볼은 DL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데 사용되고(이하, DL 제어 영역), 슬롯 내의 마지막 M개의 심볼은 UL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이하, UL 제어 영역). N과 M은 각각 0 이상의 정수이다. DL 제어 영역과 UL 제어 영역의 사이에 있는 자원 영역(이하, 데이터 영역)은 D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거나,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L 제어 영역에서는 PDCCH가 전송될 수 있고, DL 데이터 영역에서는 PDSCH가 전송될 수 있다. UL 제어 영역에서는 PUCCH가 전송될 수 있고, UL 데이터 영역에서는 PUSCH가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구조를 사용하면, 수신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어 최종 데이터 전송 대기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자기-완비(self-contained)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구조에서,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또는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의 전이 과정에 시간 차(time gap)가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브 프레임 구조에서 DL에서 UL로 전환 할 때의 일부 OFDM 심볼은 보호 구간(Guard Period: GP)으로 설정 될 수 있다.
<다양한 뉴머롤로지(numerology)의 지원>
차기 시스템에서는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단말에 다수의 뉴머롤로지(numerology)가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CS가 15kHz인 경우, 전통적인 셀룰러 밴드들에서의 넓은 영역(wide area)를 지원하며, SCS가 30kHz/60kHz인 경우, 밀집한-도시(dense-urban), 더 낮은 지연(lower latency) 및 더 넓은 캐리어 대역폭(wider carrier bandwidth)를 지원하며, SCS가 60kHz 또는 그보다 높은 경우, 위상 잡음(phase noise)를 극복하기 위해 24.25GHz보다 큰 대역폭을 지원한다.
상기 뉴머롤로지는 CP(cycle prefix) 길이와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셀은 복수의 뉴머롤로지를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뉴머롤로지의 인덱스를 μ로 나타낼 때, 각 부반송파 간격과 해당하는 CP 길이는 아래의 표와 같을 수 있다.
μ f=2μ15 [kHz] CP
0 15 일반
1 30 일반
2 60 일반, 확장
3 120 일반
4 240 일반
일반 CP의 경우, 뉴머롤로지의 인덱스를 μ로 나타낼 때, 슬롯 당 OFDM 심볼 개수(Nslot symb), 프레임당 슬롯 개수(Nframe,μ slot) 그리고, 서브프레임 당 슬롯 개수(Nsubframe,μ slot)는 아래의 표와 같다.
μ Nslot symb Nframe,μ slot Nsubframe,μ slot
0 14 10 1
1 14 20 2
2 14 40 4
3 14 80 8
4 14 160 16
5 14 320 32
확장 CP의 경우, 뉴머롤로지의 인덱스를 μ로 나타낼 때, 슬롯 당 OFDM 심볼 개수(Nslot symb), 프레임당 슬롯 개수(Nframe,μ slot) 그리고, 서브프레임 당 슬롯 개수(Nsubframe,μ slot)는 아래의 표와 같다.
μ Nslot symb Nframe,μ slot Nsubframe,μ slot
2 12 40 4
<Bandwidth Part: BWP>
NR에서는 최대 400MHz에 달하는 광대역 주파수가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단말들이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을 분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NR에서는 BWP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였다.
단말들이 초기 액세스를 수행하며 기지국에게 단말의 능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면, 기지국은 이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이 사용할 BWP를 각 단말별로 설정하고 각 단말에게 설정된 BWP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각 단말과 기지국 간의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은 각 단말에 대해 설정된 BWP를 통해서만 수행된다. 즉, 기지국이 단말에게 BWP를 설정하는 것은 이후 단말이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BWP 이외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 말도록 지시하는 것이다.
기지국은 최대 400MHz에 달하는 캐리어 주파수 전 대역을 단말에 대한 BWP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일부 대역만을 단말에 대한 BWP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은 하나의 단말에게 여러 개의 BWP를 설정할 수도 있다. 하나의 단말에게 여러 개의 BWP가 설정되는 경우, 각각의 BWP의 주파수 대역은 서로 겹칠 수도 있으며,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NR에서 SS 블록>
5G NR에서는 단말이 초기 액세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 즉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포함하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와 동기 신호(SS)(PSS 및 SSS를 포함)를 SS 블록(SSB)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복수 개의 SS 블록을 묶어서 SS 버스트라 정의하고, 다시 복수 개수의 SS 버스트(burst)를 묶어서 SS 버스트 세트라고 정의할 수 있다. 각 SS 블록은 특정 방향으로 빔포밍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고 있고, SS 버스트 세트내에 있는 여러 SS 블록은 각각 다른 방향에 존재하는 단말을 지원하기 위해서 설계되고 있다.
도 6은 NR에서 SS 블록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S 버스트는 미리 정해진 주기(periodicity) 마다 전송된다. 따라서, 단말은 SS 블록을 수신하고, 셀 검출 및 측정을 수행한다.
한편, 5G NR에서는 SS에 대해서 빔 스위핑(beam sweeping)이 수행된다. 이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NR에서 빔 스위핑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기지국은 SS 버스트 내의 각 SS 블록을 시간에 따라 빔 스위핑(beam sweeping)을 하면서 전송하게 된다. 이때, SS 버스트 세트 내에 있는 여러 SS 블록은 각각 다른 방향에 존재하는 단말을 지원하기 위해서 전송된다. 도 6에서는 SS 버스트 세트가 SS 블록 1~6을 포함하고, 각 SS 버스트는 2개의 SS 블록을 포함한다.
<채널 래스터 및 싱크 래스터>
이하,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 및 싱크 래스터(Sync Raster)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주파수 채널 래스터는 RF 기준 주파수(FREF)의 세트로 정의된다. RF 기준 주파수는 RF 채널, SS 블록 등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로서 사용될 수 있다.
글로벌 주파수 래스터는 0부터 100 GHz까지의 모든 주파수에 대해서 정의된다. 글로벌 주파수 래스터의 단위는 ΔFGlobal로 나타내진다
RF 기준 주파수는 글로벌 주파수 래스터의 범위 (0 .. 2016666)에 있는 NR 절대 무선 주파수 채널 번호(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NR-ARFCN)에 의해서 지정된다. NR-ARFCN과 MHz의 RF 기준 주파수(FREF) 사이의 관계는 하기의 수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FREF-Offs와 NRef-Offs는 다음의 표와 같다.
Figure pct00001
주파수 범위 (MHz) ΔFGlobal (kHz) FREF-Offs (MHz) NREF-Offs NREF의 범위
0 - 3000 5 0 0 0 - 599999
3000 - 24250 15 3000 600000 600000 - 2016666
24250-100000 60 24250.08 2016667 2016667 - 3279165
채널 래스터는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서 RF 채널 위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RF 기준 주파수의 서브 세트를 나타낸다. RF 채널에 대한 RF 기준 주파수는 반송파 상의 자원 요소에 매핑될 수 있다.
채널 래스터의 RF 기준 주파수와 해당 자원 요소 간의 매핑은 RF 채널 위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매핑은 채널에 할당된 총 RB 수에 따라 다르며 UL 및 DL에 모두 적용됩니다.
NRB mod 2 =0 인 경우,
RE 인덱스 k는 0이고,
PRB 개수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2
NRB mod 2 =1 인 경우,
RE 인덱스 k는 6이고,
PRB 개수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3
각 NR 동작 대역 상에서 채널 래스터의 RF 채널 위치는 하기의 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NR 동작 대역 ΔFRaster
(kHz)
NREF의 상향링크 주파수 범위
(First - <Step size> - Last)
NREF의 하향링크 주파수 범위
(First - <Step size> - Last)
n1 100 384000 - <20> - 396000 422000 - <20> - 434000
n2 100 370000 - <20> - 382000 386000 - <20> - 398000
n3 100 342000 - <20> - 357000 361000 - <20> - 376000
n5 100 164800 - <20> - 169800 173800 - <20> - 178800
n7 100 500000 - <20> - 514000 524000 - <20> - 538000
n8 100 176000 - <20> - 183000 185000 - <20> - 192000
n12 100 139800 - <20> - 143200 145800 - <20> - 149200
n20 100 166400 - <20> - 172400 158200 - <20> - 164200
n25 100 370000 - <20> - 383000 386000 - <20> - 399000
n28 100 140600 - <20> - 149600 151600 - <20> - 160600
n34 100 402000 - <20> - 405000 402000 - <20> - 405000
n38 100 514000 - <20> - 524000 514000 - <20> - 524000
n39 100 376000 - <20> - 384000 376000 - <20> - 384000
n40 100 460000 - <20> - 480000 460000 - <20> - 480000
n41 15 499200 - <3> - 537999 499200 - <3> - 537999
30 499200 - <6> - 537996 499200 - <6> - 537996
n51 100 285400 - <20> - 286400 285400 - <20> - 286400
n66 100 342000 - <20> - 356000 422000 - <20> - 440000
n70 100 339000 - <20> - 342000 399000 - <20> - 404000
n71 100 132600 - <20> - 139600 123400 - <20> - 130400
n75 100 N/A 286400 - <20> - 303400
n76 100 N/A 285400 - <20> - 286400
n77 15 620000 - <1> - 680000 620000 - <1> - 680000
30 620000 - <2> - 680000 620000 - <2> - 680000
n78 15 620000 - <1> - 653333 620000 - <1> - 653333
30 620000 - <2> - 653332 620000 - <2> - 653332
n79 15 693334 - <1> - 733333 693334 - <1> - 733333
30 693334 - <2> - 733332 693334 - <2> - 733332
n80 100 342000 - <20> - 357000 N/A
n81 100 176000 - <20> - 183000 N/A
n82 100 166400 - <20> - 172400 N/A
n83 100 140600 - <20> -149600 N/A
n84 100 384000 - <20> - 396000 N/A
n86 100 342000 - <20> - 356000 N/A
NR 동작 대역 ΔFRaster
(kHz)
상향링크 하향링크 주파수 범위
(First - <Step size> - Last)
n257 60 2054166 - <1> - 2104165
120 2054167 - <2> - 2104165
n258 60 2016667 - <1> - 2070832
120 2016667 - <2> - 2070831
n260 60 2229166 - <1> - 2279165
120 2229167 - <2> - 2279165
n261 60 2070833 - <1> - 2084999
120 2070833 - <2> - 2087497
다른 한편, 싱크 래스터는 UE가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SS 블록의 주파수 위치를 나타낸다. SS 블록의 주파수 위치는 대응하는 GSCN 번호를 사용하여 SSREF로 정의될 수 있다.
<V2X(VEHICLE-TO-EVERYTHIHG)>
V2X(vehicle-to-everything)는 차량과 모든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 기술을 통칭한다. V2X의 구현 형태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V2X에서 'X'는 사람(Persian) 또는 보행자(PEDESTRIAN)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V2X는 V2P(vehicle-to-person or vehicle-to-pedestrian)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보행자는 반드시 걸어서 이동하는 사람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자전거를 타고 있는 사람, (일정 속도 이하)차량의 운전자 또는 승객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X'는 인프라 스트럭쳐(Infrastructure)/네트워크(Network)일 수 있다. 이 경우 V2X는 V2I(vehicle-to-infrastructure) 또는 V2N(vehicle-to-network) 이라 표시할 수 있으며 차량과 도로변 장치(ROADSIDE UNIT: RSU) 또는 차량과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도로변 장치는 교통 관련 인프라 스트럭쳐 예컨대, 속도를 알려주는 장치일 수 있다. 도로변 장치는 기지국 또는 고정된 단말 등에 구현될 수 있다.
또는, V2X에서 'X'는 차량(VEHICLE)일 수도 있다. 이 경우, V2X는 V2V(vehicle-to-vehicle)라 표시할 수 있으며, 차량들 간의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차량에 탑재된 무선 장치를 V2V 기기 혹은 V2X 기기라고 할 수 있다.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V2X 기기들 간에 통신하는 것을 V2X 통신이라고 하고, V2X 기기들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링크를 사이드링크(Sidelink)라고 부르기도 한다.
상기 사이드링크에 사용되는 물리 채널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 PSDCH(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또한, 사이드 링크에서 사용되는 물리 시그널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 사이드링크 동기 신호(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SLSS)
상기 SLSS는 프라이머리 사이드링크 동기 신호(Primary SLSS; PSLSS)와 세컨더리 사이드링크 동기신호(Secondary SLSS: SSLSS)가 존재한다.
사이드링크는 PC5로 불리기도 한다. 한편, 기지국과의 V2X 기기와의 링크를 Uu링크라고 부른다.
도 8은 V2X의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된 무선 장치들(즉, V2X 기기)(100-1, 100-2, 100-3)은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V2X 통신에 사용되는 사이드링크는 LTE 기반일 수도 있고 혹은 NR 기반일 수도 있다.
LTE 기반일 경우, V2X 통신에 사용되는 사이드링크는 아래와 같이 E-UTRA 동작 대역 47을 사용할 수 있다.
E-UTRA V2X 동작 대역 V2X UE 전송 V2X UE 수신 듀플렉스 모드 Interface
FUL_low - FUL_high FDL_low - FDL_high
47 5855 MHz - 5925 MHz 5855 MHz - 5925 MHz HD PC5
<본 명세서의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LTE 기반 V2X 통신에 사용되는 E-UTRA 동작 대역 47을 전환(refarm)하여 NR 기반 V2X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대역 n47로 불림), 아직 구체적인 채널 배치에 대해서 연구되지 않아,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명세서의 개시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개시는 대역 n47을 V2X 통신에 사용하고자 할 때, 채널 배치를 포함한 여러 사항에 대해서 제시하기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채널 배치의 일반 관점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NR에서 채널 래스터(즉, NR-ARFCN)과 싱크 래스터(즉, GSCN)은 광대역 동작을 고려하여 서로 다르게 사용된다. 반면에 LTE에서는 채널 래스터(즉, EARFCN) 하나로 통합되어 사용되었다.
NR V2X에서, V2X기기가 SL-SSB(sidelink SSB)를 무작위 검색(blind search)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네트워크는 SL-SSB의 정확한 위치를 설정해야 한다. GSCN의 증가 크기는 0-3000MHz의 범위에 대해서는 1.2MHz이고, 3000-24250MHz의 범위에 대해서는 1.44MHz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SL-SSB의 정확한 주파수를 지정하기 위한 GSCN은 SL-SSB 위치의 유연성 관점에서 일부 제약을 가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GSCN의 정확한 정의는 필요 없을 수도 있다.
제안 1. 본 명세서는 NR V2X에서 GSCN 요구 사항을 정의하지 않는다.
NR V2X의 채널 래스터를 위하여, 기존 NR-ARFCN 채널 래스터가 면허 대역(license band)을 위해서 재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제안될 수 있다.
제안 2. 본 명세서는 NR V2X 면허 대역 동작을 위하여 Uu 링크의 NR-ARFCN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LTE 상향링크/사이드링크(7.5 kHz 쉬프트를 갖는 SC-FDMA)와 NR 사이드링크(CP-OFDM) 간의 파형(waveform) 차이를 고려하면, NR V2X는 인접 채널과 SCS를 정수배로 정렬하기 위하여, 기존 7.5 kHz 쉬프트를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 7.5 kHz 쉬프는 RRC 시그널을 통해 V2X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RRC시그널은 frequencyShift7p5kHz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안 3. LTE 상향링크/사이드링크와 NR 사이드링크가 동일 대역에서 공존할 때, 기존 7.5 kHz 쉬프트를 재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는 frequencyShift7p5kHz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시그널을 전송할 수 있다.
n47을 위한 채널 배열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채널 래스터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기 앞서, 인간 몸에 규제를 고려해야 한다.
도 9는 5.9 GHz 주파수 대역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고하면, 5.9 GHz 대역에서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를 위한 ECC(Electronic Communications Committee) 권고를 기반으로 한 채널 배열이 나타나 있다.
5.9 GHz에서 기존 규제에 의한 채널 배치를 고려하면, NR-ARFCN의 전체 범위를 사용하는 대신에, n47 대역에서 축소된 범위의 채널 래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제안 4. 본 명세서는 10 MHz의 채널 배열에 기초하여 축소된 채널 배열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n47 대역을 위하여, 채널 대역폭으로서, 10 MHz, 20 MHz, 또는 40 MHz를 사용할 수 있다.
n47에서 적용가능한 모든 채널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하여, 채널 래스터는 5MHz 단위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제안 5. 본 명세서는 10 MHz, 20 MHz, 또는 40 MHz의 채널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하여, 채널 래스터들을 5MHz 단위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제안 4의 기준으로 검토하면, 채널 래스터 번호는 사용되는 SCS와 종속될 수 있다. NR V2X에서, 15, 30, 60 kHz의 SCS가 사용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적용가능한 가장 큰 SCS가 아닌 SCS에 기초하여 채널 래스터를 줄이는 것을 고려하면, 인접 채널로의 누설(leakage)로 인한 실제 영향은 인접 반송파들 간에 서로 다른 뉴머롤로지를 사용하는 상황보다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60 kHz의 SCS가 n47 채널 래스터를 디자인할 때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인접한 부반송파 간의 간섭을 완화하기 위하여 300 kHz의 채널 래스터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60 kHz와 300 kHz를 위하여 제안 4 및 제안 5에 기초하여 채널 래스터를 아래의 표와 같이 축소하는 것을 제안한다.
아래의 표는 60 kHz와 300 kHz를 사용하는 채널 래스터를 나타낸다.
주파수[MHz] 60kHz 기반 채널 래스터 300kHz 기반 채널 래스터
주파수
[MHz]
NR-ARFCN Δfreq.
[kHz]
주파수
[MHz]
NR-ARFCN Δfreq.
[kHz]
58601 5860.02 790668 20 5859.9 790660 -100
58652 5865 791000 0 5865 791000 0
58701 5869.98 791332 -20 5870.1 791340 100
58753 5875.02 791668 20 5874.9 791660 -100
58801 5880 792000 0 5880 792000 0
58853 5884.98 792332 -20 5885.1 792340 100
58901 5890.02 792668 20 5889.9 792660 -100
58953 5895 793000 0 5895 793000 0
59001 5899.98 793332 -20 5900.1 793340 100
59053 5905.02 793668 20 5904.9 793660 -100
59101 5910 794000 0 5910 794000 0
59152 5914.98 794332 -20 5915.1 794340 100
59201 5920.02 794668 20 5919.9 794660 -100
메모 1. 10MHz 채널 대역폭(CBW)에 적용가능함
메모 2. 20MHz 채널 대역폭(CBW)에 적용가능함
메모 3. 20/40MHz 채널 대역폭(CBW)에 적용가능함
위 표를 검토하면, 300 kHz 래스터가 n47 대역을 위해서 사용될 때, 규제가 적용된 채널 배치에 기초한 중심 주파수와 비교시, 100 kHz 까지의 주파수 쉬프트가 사용될 수 있는데 반해서, 60 kHz SCS 기반 채널 래스터에서는 20 kHz 주파수 쉬프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보호 대역은 100 kHz까지 줄어들 수 있다. 이는 NR V2X 주파수 이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60 kHz SCS 기반 채널 래스터의 사용이 더 적합할 수 있다. SCS 기반 채널 래스터의 경우, [-5 kHz, +5kHz]의 추가적인 주파수 쉬프트가 필요할 수 있다. LTE의 100 kHz 채널 래스터는 파형 차이로 인하여 7.5 kHz 래스터 쉬프트가 필요할 수 있다. 제안 2는 7.5 kHz 주파수 쉬프트의 사용을 제안하고 있으므로, [-5kHz, 5kHz]의 추가적인 주파수 쉬프트는 쉽게 커버될 수 있다.
제안 6. 60 kHz 채널 래스터 스텝 사이즈는 [-5 kHz, 5 kHz]의 추가적인 주파수 쉬프트를 위한 시그널링을 통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것들을 고려하면, 위 표 12에서 굵은 글씨로 표시된 NR-ARFCN을 n47 채널 래스터로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제안 7. n47 채널 래스터를 위하여 아래의 NR-ARFCN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주파수[MHz] 60kHz 기반 채널 래스터
주파수
[MHz]
NR-ARFCN Δfreq.
[kHz]
58601 5860.02 790668 20
58652 5865 791000 0
58701 5869.98 791332 -20
58753 5875.02 791668 20
58801 5880 792000 0
58853 5884.98 792332 -20
58901 5890.02 792668 20
58953 5895 793000 0
59001 5899.98 793332 -20
59053 5905.02 793668 20
59101 5910 794000 0
59152 5914.98 794332 -20
59201 5920.02 794668 20
도 10은 LTE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 대비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른 NR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NR V2X에서는 15kHz 채널 래스터가 사용하고, LTE V2X 에서는 100kHz 채널 래스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매 300kHz 마다 동일한 구간이 반복되는 문제가 있다.
NR 기반의 Uu 통신(즉, 단말과 기지국간의 통신)의 경우 위 문제를 다음과 같이 해결했었다. 구체적으로, 동일 대역에서 NR 기반 통신과 LTE 기반 통신이 서로 공존하는 경우, NR 기반 통신의 채널 래스터를 LTE 기반의 채널 래스터와 동일하게 100kHz 로 맞춤으로써, 위 문제를 해결하였었다.
그러나, V2X 통신의 경우에는 상황이 다르다.
즉, NR 기반 V2X 통신은 LTE 기반 V2X 통신과 달리 15kHz 채널 래스터를 사용한다. 따라서 인접 대역에 LTE 기반 V2X 통신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NR 기반 V2X 통신을 사용할 때, LTE 기반 V2X 통신에서 사용하는 부반송파와 NR 기반 V2X 통신에서 사용하는 부반송파가 15kHz의 정수배가 안되므로, 인접 대역 간에 서로 공존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인접에 LTE 기반 V2X 통신이 존재하는 경우, NR 기반 V2X 통신의 중심 주파수를 -5/0/5 kHz 만큼 쉬프트해 줌으로써, 인접한 부반송파 간에 15kHz의 정수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즉 기지국은 -5/0/5 kHz의 추가적인 주파수 쉬프트를 위한 시그널링을 V2X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은 LTE V2X가 정의된 n47 뿐 아니라, NR V2X가 사용하는 대역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IV. 본 명세서의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장치 일반
지금까지 설명한, 본 명세서의 개시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개시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 1 장치(100a)와 제 2 장치(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장치(100a)는 기지국, 네트워크 노드, 전송 단말, 수신 단말, 무선 장치, 무선 통신 기기, 차량,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차량, 커넥티드카(Connected Car), 드론(Unmanned Aerial Vehicle, UAV), AI(Artificial Intelligence) 모듈, 로봇, AR(Augmented Reality) 장치, VR(Virtual Reality) 장치, MR(Mixed Reality) 장치, 홀로그램 장치, 공공 안전 장치, MTC 장치, IoT 장치, 의료 장치, 핀테크 장치(또는 금융 장치), 보안 장치, 기후/환경 장치, 5G 서비스와 관련된 장치 또는 그 이외 4차 산업 혁명 분야와 관련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 2 장치(100b)는 기지국, 네트워크 노드, 전송 단말, 수신 단말, 무선 장치, 무선 통신 기기, 차량,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차량, 커넥티드카(Connected Car), 드론(Unmanned Aerial Vehicle, UAV), AI(Artificial Intelligence) 모듈, 로봇, AR(Augmented Reality) 장치, VR(Virtual Reality) 장치, MR(Mixed Reality) 장치, 홀로그램 장치, 공공 안전 장치, MTC 장치, IoT 장치, 의료 장치, 핀테크 장치(또는 금융 장치), 보안 장치, 기후/환경 장치, 5G 서비스와 관련된 장치 또는 그 이외 4차 산업 혁명 분야와 관련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 1 장치(100a)는 프로세서(1020a)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010a)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송수신기(1031a)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a)는 전술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a)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020a)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계층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10a)는 상기 프로세서(1020a)와 연결되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1031a)는 상기 프로세서(1020a)와 연결되고, 무선 시그널을 송수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장치(100b)는 프로세서(1020b)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010b)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와, 송수신기(1031b)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b)는 전술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b)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020b)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계층들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10b)는 상기 프로세서(1020b)와 연결되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1031b)는 상기 프로세서(1020b)와 연결되고, 무선 시그널을 송수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10a) 및/또는 상기 메모리(1010b)는, 상기 프로세서(1020a) 및/또는 상기 프로세서(1020b)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각기 연결될 수도 있고, 유선 또는 무선 연결과 같이 다양한 기술을 통해 다른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장치(100a) 및/또는 상기 제 2 장치(100b)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1036a) 및/또는 안테나(1036b)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특히, 도 12에서는 앞서 도 11의 장치를 보다 상세히 예시하는 도면이다.
장치는 메모리(1010), 프로세서(1020), 송수신부(1031), 전력 관리 모듈(1091), 배터리(1092), 디스플레이(1041), 입력부(1053), 스피커(1042) 및 마이크(1052),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2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제안된 기능, 절차 및/ 또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1020)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AP(application processor)일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모뎀(Modem; modulator and demodul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의 예는 Qualcomm®에 의해 제조된 SNAPDRAGONTM 시리즈 프로세서, Samsung®에 의해 제조된 EXYNOSTM 시리즈 프로세서, Apple®에 의해 제조된 A 시리즈 프로세서, MediaTek®에 의해 제조된 HELIOTM 시리즈 프로세서, INTEL®에 의해 제조된 ATOMTM 시리즈 프로세서 또는 대응하는 차세대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091)은 프로세서(1020) 및/또는 송수신부(1031)에 대한 전력을 관리한다. 배터리(1092)는 전력 관리 모듈(1091)에 전력을 공급한다. 디스플레이(1041)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한다. 입력부(1053)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사용될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1053)는 디스플레이(104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SIM 카드는 휴대 전화 및 컴퓨터와 같은 휴대 전화 장치에서 가입자를 식별하고 인증하는 데에 사용되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그와 관련된 키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집적 회로이다. 많은 SIM 카드에 연락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010)는 프로세서(102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로세서(6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01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컨대, 절차,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010)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10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010)는 프로세서(1020)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1010)는 프로세서(1020)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102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송수신부(1031)는 프로세서(102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송수신부(1031)는 전송기와 수신기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031)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기저 대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하나 이상의 안테나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20)는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음성 통신 데이터를 구성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명령 정보를 송수신부(1031)에 전달한다. 안테나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무선 신호를 수신할 때, 송수신부(1031)은 프로세서(1020)에 의해 처리하기 위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기저 대역으로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처리된 신호는 스피커(1042)를 통해 출력되는 가청 또는 가독 정보로 변환될 수 있다.
스피커(1042)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처리된 소리 관련 결과를 출력한다. 마이크(1052)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사용될 소리 관련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입력부(1053)의 버튼을 누르거나(혹은 터치하거나) 또는 마이크(1052)를 이용한 음성 구동(voice activation)에 의해 전화 번호 등과 같은 명령 정보를 입력한다. 프로세서(1020)는 이러한 명령 정보를 수신하고,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거는 등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구동 상의 데이터(operational data)는 심카드 또는 메모리(101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0)는 사용자가 인지하고 또한 편의를 위해 명령 정보 또는 구동 정보를 디스플레이(104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된 프로세서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된 프로세서(102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제안된 기능, 절차 및/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회로(circuitry)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020)은 제1 회로(1020-1), 제2 회로(1020-2) 그리고 제3 회로(102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프로세서(1020)은 더 많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회로는 복수의 트랜지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은 V2X 기기 또는 기지국에 장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프로세서(1020)가 상기 V2X 기기에 장착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회로(1020-1)는 적어도 하나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는 NR(new radio)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NR V2X에 대한 채널 래스터는 -5 kHz 또는 5 kHz의 제1 주파수 쉬프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1020-2)는 상기 제1 주파수 쉬프트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NR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는 7.5 kHz의 제2 주파수 쉬프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3 회로(1020-3)는 상기 제2 주파수 쉬프트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NR V2X 통신은 NR 대역 n47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NR 대역 n47은 5855 MHz부터 5925 MHz 까지의 주파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회로(미도시)는 상기 SSB를 상기 결정된 주파수 위치 상에서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프로세서(1020)가 상기 기지국에 장착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회로(1020-1)는 적어도 하나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는 NR(new radio)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NR V2X에 대한 채널 래스터는 -5 kHz 또는 5 kHz의 제1 주파수 쉬프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로 불릴 수 있으며, DSP(digital signal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제1 장치의 송수신부 또는 도 15에 도시된 장치의 송수신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송수신부(1031)는 송신기(1031-1)과 수신기(1031-2)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1031-1)은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부(1031-11), 부반송파 맵퍼(1031-12), IFFT부(1031-13) 및 CP 삽입부(1031-14), 무선 송신부(1031-15)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1031-1)는 변조기(mod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스크램블 유닛(미도시; scramble unit), 모듈레이션 맵퍼(미도시; modulation mapper), 레이어 맵퍼(미도시; layer mapper) 및 레이어 퍼뮤테이터(미도시; layer permutator)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DFT부(1031-11)에 앞서 배치될 수 있다. 즉,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송신기(1031-1)는 부반송파에 신호를 매핑하기 이전에 먼저 정보를 DFT(1031-11)를 거치도록 한다. DFT부(1031-11)에 의해 확산(spreading)(또는 동일한 의미로 프리코딩) 된 신호를 부반송파 매퍼(1031-12)를 통해 부반송파 매핑을 한 뒤에 다시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부(1031-13)를 거쳐 시간축상의 신호로 만들어준다.
DFT부(1031-11)는 입력되는 심벌들에 DFT를 수행하여 복소수 심벌들(complex-valued 심볼)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Ntx 심벌들이 입력되면(단, Ntx는 자연수), DFT 크기(size)는 Ntx이다. DFT부(1031-11)는 변환 프리코더(transform precoder)라 불릴 수 있다. 부반송파 맵퍼(1031-12)는 상기 복소수 심벌들을 주파수 영역의 각 부반송파에 맵핑시킨다. 상기 복소수 심벌들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블록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들에 맵핑될 수 있다. 부반송파 맵퍼(1031-12)는 자원 맵퍼(resource element mapper)라 불릴 수 있다. IFFT부(1031-13)는 입력되는 심벌에 대해 IFFT를 수행하여 시간 영역 신호인 데이터를 위한 기본 대역(baseband) 신호를 출력한다. CP 삽입부(1031-14)는 데이터를 위한 기본 대역 신호의 뒷부분 일부를 복사하여 데이터를 위한 기본 대역 신호의 앞부분에 삽입한다. CP 삽입을 통해 ISI(Inter-심볼 Interference), ICI(Inter-Carrier Interference)가 방지되어 다중 경로 채널에서도 직교성이 유지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수신기(1031-2)는 무선 수신부(1031-21), CP 제거부(1031-22), FFT부(1031-23), 그리고 등화부(1031-2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기(1031-2)의 무선 수신부(1031-21), CP 제거부(1031-22), FFT부(1031-23)는 상기 송신단(1031-1)에서의 무선 송신부(1031-15), CP 삽입부(1031-14), IFF부(1031-13)의 역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신기(1031-2)는 복조기(demod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V. 본 명세서의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예시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문서에 개시된 본 명세서의 개시의 다양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기기들간에 무선 통신/연결(예, 5G)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이하의 도면/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다르게 기술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하드웨어 블블록, 소프트웨어 블록 또는 기능 블록을 예시할 수 있다.
도 15은 본 명세서의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을 예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은 무선 기기, 기지국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기기는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New RAT), LTE(Long Term Evolution))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를 의미하며, 통신/무선/5G 기기로 지칭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기기는 로봇(100a), 차량(100b-1, 100b-2), XR(eXtended Reality) 기기(100c), 휴대 기기(Hand-held device)(100d), 가전(100e), IoT(Internet of Thing) 기기(100f), AI기기/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차량, 자율 주행 차량, 차량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예, 드론)를 포함할 수 있다. XR 기기는 AR(Augmented Reality)/VR(Virtual Reality)/MR(Mixed Reality) 기기를 포함하며, HMD(Head-Mounted Device), 차량에 구비된 HUD(Head-Up Display),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전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차량, 로봇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웨어러블 기기(예,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컴퓨터(예, 노트북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은 TV, 냉장고, 세탁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기기는 센서, 스마트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네트워크는 무선 기기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무선 기기(200a)는 다른 무선 기기에게 기지국/네트워크 노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을 통해 네트워크(30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에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기기(100a~100f)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AI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3G 네트워크, 4G(예, LTE) 네트워크 또는 5G(예, NR)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e.g. 사이드링크 통신(사이드링크 communication))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들(100b-1, 100b-2)은 직접 통신(e.g. V2V(Vehicle to Vehicle)/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을 할 수 있다. 또한, IoT 기기(예, 센서)는 다른 IoT 기기(예, 센서) 또는 다른 무선 기기(100a~100f)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기지국(200), 기지국(200)/기지국(200) 간에는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이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연결은 상향/하향링크 통신(150a)과 사이드링크 통신(150b)(또는, D2D 통신), 기지국간 통신(150c)(e.g. relay, IAB(Integrated Access Backhaul)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을 통해 무선 기기와 기지국/무선 기기, 기지국과 기지국은 서로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은 다양한 물리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의 개시의 다양한 제안들에 기반하여, 무선 신호의 송신/수신을 위한 다양한 구성정보 설정 과정, 다양한 신호 처리 과정(예, 채널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자원 매핑/디매핑 등), 자원 할당 과정 등 중 적어도 일부가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개시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설명되는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청구항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8)

  1.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는 NR(new radio)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NR V2X에 대한 채널 래스터는 -5 kHz 또는 5 kHz의 제1 주파수 쉬프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쉬프트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R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는 7.5 kHz의 제2 주파수 쉬프트에 의해서 결정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쉬프트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R V2X 통신은 NR 대역 n47상에서 수행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R 대역 n47은
    5855 MHz부터 5925 MHz 까지의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SB를 상기 결정된 주파수 위치 상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기기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그리고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는 NR(new radio)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NR V2X에 대한 채널 래스터는 -5 kHz 또는 5 kHz의 제1 주파수 쉬프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V2X 통신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제1 주파수 쉬프트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V2X 통신 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NR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는 7.5 kHz의 제2 주파수 쉬프트에 의해서 결정되는 V2X 통신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제2 주파수 쉬프트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V2X 통신 기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NR V2X 통신은 NR 대역 n47상에서 수행되는 V2X 통신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NR 대역 n47은
    5855 MHz부터 5925 MHz 까지의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는 V2X 통신 기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SSB를 상기 결정된 주파수 위치 상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V2X 통신 기기.
  15.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기기에 장착되는 칩셋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는 NR(new radio)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NR V2X에 대한 채널 래스터는 -5 kHz 또는 5 kHz의 제1 주파수 쉬프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칩셋.
  16. 명령어들을 기록하고 있는 비휘발성(non-volatile)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기기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는 NR(new radio)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NR V2X에 대한 채널 래스터는 -5 kHz 또는 5 kHz의 제1 주파수 쉬프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V2X 통신 기기를 위한 기지국에서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는 NR(new radio)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NR V2X에 대한 채널 래스터는 -5 kHz 또는 5 kHz의 제1 주파수 쉬프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18. V2X 통신 기기를 위한 기지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그리고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위치는 NR(new radio)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NR V2X에 대한 채널 래스터는 -5 kHz 또는 5 kHz의 제1 주파수 쉬프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기지국.
KR1020227010682A 2019-10-03 2020-09-25 Nr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 KR202200752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720 2019-10-03
KR20190122720 2019-10-03
PCT/KR2020/013067 WO2021066403A1 (ko) 2019-10-03 2020-09-25 Nr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220A true KR20220075220A (ko) 2022-06-07

Family

ID=75338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682A KR20220075220A (ko) 2019-10-03 2020-09-25 Nr v2x를 위한 채널 래스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417884A1 (ko)
KR (1) KR20220075220A (ko)
WO (1) WO20210664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77922A1 (en) * 2020-09-09 2022-03-10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forward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885B1 (ko) * 2017-09-11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싱크 래스터에 따라 ssb를 수신하는 방법 및 사용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17884A1 (en) 2022-12-29
WO2021066403A1 (ko)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4038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EP329264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ubframe structure for wideband lte
US11122518B2 (en) Method for applying P-MPR and apparatus thereof
US20220151003A1 (en) Method for applying msd and apparatus thereof
WO2018227498A1 (en) Method and device for cross-numerology scheduling
US11722199B2 (en) Method for supporting beam correspondence and apparatus thereof
US11937217B2 (en) Method for relay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US20220295451A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switching bwp for sidelink communication
US1105784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apability information including power class information and wireless device
CN108633055B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通信设备
US11785659B2 (en) Method for applying MSD and apparatus thereof
US20200314778A1 (en) Apparatus and base station for supporting nr-u based cell
US20220150857A1 (en) Proposal, relating to transmission timing error, for v2x sidelink communication
US20220417884A1 (en) Channel raster for nr v2x
US11777581B2 (en) Operation method in V2X device mounted on vehicle
US20220279485A1 (en) Method for switching bwp for sidelink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220330160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easurement through multiple antenna panels
US20220346036A1 (en) Maximum power reduction
US11895600B2 (en) Maximum power reduction
US20220201633A1 (en) Suggestion for transmission timing error when nr-based cell or lte-based cell is selected as synchronization reference source for v2x sidelink communication
KR20200032795A (ko) 비면허 대역의 차세대 무선망에서 서브밴드 기반 cbg 구성 방법 및 장치
WO202308729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resource allocation in a sub-band full duplex scenario
WO2024011632A1 (zh) 资源配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312321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nhancements of frequency hopping for full duplex
KR2024000986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슬롯 포맷 설정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