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883A -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883A
KR20240031883A KR1020230101350A KR20230101350A KR20240031883A KR 20240031883 A KR20240031883 A KR 20240031883A KR 1020230101350 A KR1020230101350 A KR 1020230101350A KR 20230101350 A KR20230101350 A KR 20230101350A KR 20240031883 A KR20240031883 A KR 20240031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si
energy saving
network energy
transmission
dc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1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EP23194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36911A1/en
Priority to CN202311119655.6A priority patent/CN117651320A/zh
Priority to US18/240,735 priority patent/US20240080770A1/en
Publication of KR20240031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88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즉, 단말은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CSI-RS를 수신한 이후, CSI 피드백(feedback)을 수행한다. 여기서, CSI-RS 수신 및 CSI 피드백 수행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의 수신을 통해 트리거(trigger)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제안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OF SIGNALING FOR NETWORK ENERGY SAVING}
본 명세서는 3GPP 5G NR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트래픽을 요구하게 되면서, 기존 LTE 시스템보다 향상된 무선 광대역 통신인 차세대 5G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NewRAT이라고 명칭되는, 이러한 차세대 5G 시스템에서는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 Ultra-reliability and low-latency communication (URLLC) /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 등으로 통신 시나리오가 구분된다.
여기서, eMBB는 High Spectrum Efficiency, High User Experienced Data Rate, High Peak Data Rate 등의 특성을 갖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나리오이고, URLLC는 Ultra Reliable, Ultra Low Latency, Ultra High Availability 등의 특성을 갖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나리오이며 (e.g., V2X, Emergency Service, Remote Control), mMTC는 Low Cost, Low Energy, Short Packet, Massive Connectivity 특성을 갖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나리오이다. (e.g., IoT).
본 명세서의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CSI-RS를 수신한 이후, CSI 피드백(feedback)을 수행한다. 여기서, CSI-RS 수신 및 CSI 피드백 수행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의 수신을 통해 트리거(trigger)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를 단말로 전송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단말로 CSI-RS를 전송한 이후, CSI 피드백(feedback)을 수신한다. 여기서, CSI-RS 전송 및 CSI 피드백 수신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의 전송을 통해 트리거(trigger)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명령어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CSI-RS를 수신한 이후, CSI 피드백(feedback)을 수행한다. 여기서, CSI-RS 수신 및 CSI 피드백 수행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의 수신을 통해 트리거(trigger)되는 통신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명령어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를 단말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로 CSI-RS를 전송한 이후, CSI 피드백(feedback)을 수신한다. 여기서, CSI-RS 전송 및 CSI 피드백 수신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의 전송을 통해 트리거(trigger)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 DCI는 단말 전용의(dedicated)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비트맵(bitmap)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CSI-RS 전송 빈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SI-RS 수신 및 상기 CSI 피드백 수행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DCI의 수신 후, 일정 시간 이후에 트리거(trigger)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SI-RS 전송 및 상기 CSI 피드백 수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DCI의 전송 후, 일정 시간 이후에 트리거(trigger)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기능에 대한 효율적인 시그널링(signaling)의 적용으로, 기존 단말에 대한 오동작의 방지가 기대되고,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한 최적의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NR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나타낸 예시도들이다.
도 4는 NR 프레임의 슬롯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는 NR에서의 서브프레임 유형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자기-완비(self-contained) 슬롯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7은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 구조를 예시한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른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CSI-RS 및/또는 CSI 관련 시그널링을 예시한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른 RRC 및 DCI 설정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 개시에 레거시(legacy) UE를 위한 SSB 및/또는 PDSCH 송수신을 예시한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13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된 프로세서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제1 장치의 송수신기 또는 도 14에 도시된 장치의 송수신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의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의 내용과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내용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의 내용과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의 내용과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내용과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A 및/또는 B(A and/or B)”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A, B 또는 C(A, B or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슬래쉬(/)나 쉼표(comma)는 “및/또는(and/or)”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는 “A, B 또는 C”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및 B(at least one of A and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또는 B(at least one of A or B)”나 “적어도 하나의 A 및/또는 B(at least one of A and/or B)”라는 표현은 “적어도 하나의 A 및 B(at least one of A and B)”와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B 및 C(at least one of A, B and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A, B 또는 C(at least one of A, B or C)”나 “적어도 하나의 A, B 및/또는 C(at least one of A, B and/or C)”는 “적어도 하나의 A, B 및 C(at least one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괄호는 “예를 들어(for example)”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보(PDCCH)”로 표시된 경우,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의 “제어 정보”는 “PDCCH”로 제한(limit)되지 않고, “PDDCH”가 “제어 정보”의 일례로 제안될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즉, PDCCH)”로 표시된 경우에도,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도면 내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예시적으로 UE(User Equipment)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된 상기 UE는 단말(Terminal), ME(Mobile Equipment)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UE는 노트북, 휴대폰,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멀티미디어 기기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거나, PC,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 UE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예: 무선 통신 장치, 무선 장치, 또는 무선 기기)의 예시로 사용된다. UE가 수행하는 동작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 무선 통신 장치, 무선 장치, 또는 무선 기기 등으로도 지칭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무선 기기와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odeB(evolved-Node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gNB(Next generation NodeB), RRH(remote radio head), TP(transmission point), RP(reception point), 중계기(relay)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LTE 시스템, LTE-A 시스템 및 NR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상기 정의에 해당되는 어떤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4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LTE(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LTE-A)의 성공에 힘입어, 차세대 즉, 5세대(소위 5G) 이동통신에 대한 상용화 완료 및 후속 연구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정의하는 5세대 이동통신은 최대 20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어디에서든 최소 100Mbps 이상의 체감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정식 명칭은 ‘IMT-2020’이라고 지칭된다.
ITU에서는 3대 사용 시나리오, 예컨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를 제시하고 있다.
URLLC는 높은 신뢰성과 낮은 지연시간을 요구하는 사용 시나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주행, 공장자동화, 증강현실과 같은 서비스는 높은 신뢰성과 낮은 지연시간(예컨대, 1ms 이하의 지연시간)을 요구한다. 현재 4G (LTE)의 지연시간은 통계적으로 21-43ms (best 10%), 33-75ms (median) 이다. 이는 1ms 이하의 지연시간을 요구하는 서비스를 지원하기에 부족하다. 다음으로, eMBB 사용 시나리오는 이동 초광대역을 요구하는 사용 시나리오에 관한 것이다.
즉, 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현재의 4G LTE보다 높은 용량을 지원하며, 모바일 광대역 사용자의 밀도를 높이고, D2D(Device to Device), 높은 안정성 및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를 지원할 수 있다. 5G 연구 개발은 또한 사물의 인터넷을 보다 잘 구현하기 위해 4G 이동 통신 시스템 보다 낮은 대기 시간과 낮은 배터리 소모를 목표로 한다. 이러한 5G 이동 통신을 위해서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 New RAT 또는 NR)이 제시될 수 있다.
NR 주파수 밴드(frequency band)는 2가지 type(FR1, FR2)의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로 정의될 수 있다.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가지 type(FR1, FR2)의 주파수 범위는 하기 표 1과 같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NR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 중 FR1은 “sub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FR2는 “above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밀리미터 웨이브(millimeter wave, mmW)로 불릴 수 있다.
Frequency Range designation Corresponding frequency range Subcarrier Spacing
FR1 410MHz - 7125MHz 15, 30, 60kHz
FR2 24250MHz - 52600MHz 60, 120, 240kHz
NR 시스템의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은 표 1와 같이 410MHz 내지 7125MHz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FR1은 6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 내에서 포함되는 6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은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포함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을 위한 통신(예를 들어, 자율주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3GPP 기반 통신 표준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기원한 정보를 나르는 자원 요소들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물리 채널들과, 물리 계층에 의해 사용되나 상위 계층으로부터 기원하는 정보를 나르지 않는 자원 요소들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물리 신호들을 정의된다. 예를 들어,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물리 멀티캐스트 채널(physical multicast channel, PMCH),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물리 하이브리드 ARQ 지시자 채널(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HICH)들이 하향링크 물리 채널들로서 정의되어 있으며, 참조 신호와 동기 신호가 하향링크 물리 신호들로서 정의되어 있다. 파일럿(pilot)이라고도 지칭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는 gNB와 UE가 서로 알고 있는 기 정의된 특별한 파형의 신호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셀 특정적 RS(cell specific RS), UE-특정적 RS(UE-specific RS, UE-RS), 포지셔닝 RS(positioning RS, PRS) 및 채널 상태 정보 RS(channel state information RS, CSI-RS)가 하향링크 참조 신호로서 정의된다. 3GPP LTE/LTE-A 표준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기원한 정보를 나르는 자원 요소들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물리 채널들과, 물리 계층에 의해 사용되나 상위 계층으로부터 기원하는 정보를 나르지 않는 자원 요소들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물리 신호들을 정의하고 있다. 예를 들어,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가 상향링크 물리 채널로서 정의되며,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신호를 위한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와 상향링크 채널 측정에 사용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가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HICH((Physical Hybrid automatic retransmit request Indicator CHannel)/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은 각각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CFI(Control Format Indicator)/하향링크 ACK/NACK(ACKnowlegement/Negative ACK)/하향링크 데이터를 나르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집합 혹은 자원요소의 집합을 의미한다. 또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는 각각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상향링크 데이터/랜덤 엑세스 신호를 나르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집합 혹은 자원요소의 집합을 의미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상기 BS는 gNodeB(혹은 gNB)(20a)와 eNodeB(혹은 eNB)(20b)로 구분된다. 상기 gNB(20a)는 5세대 이동통신을 지원한다. 상기 eNB(20b)는 4세대 이동통신, 즉 LTE(long term evolution)를 지원한다.
각 기지국(20a 및 20b)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이라고 함)(20-1, 20-2, 20-3)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UE(user equipment)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셀에 속하는데, UE가 속한 셀을 서빙 셀(serving cell)이라 한다. 서빙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serving BS)이라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룰러 시스템(cellular system)이므로,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이 존재한다.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을 인접 셀(neighbor cell)이라 한다. 인접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인접 기지국(neighbor BS)이라 한다. 서빙 셀 및 인접 셀은 UE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이하에서, 하향링크는 기지국(20)에서 UE(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는 UE(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UE(1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UE(10)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일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은 크게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과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F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이루어진다. T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서로 다른 시간에 이루어진다. TDD 방식의 채널 응답은 실질적으로 상호적(reciprocal)이다. 이는 주어진 주파수 영역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과 상향링크 채널 응답이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은 상향링크 채널 응답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DD 방식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시분할되므로 기지국에 의한 하향링크 전송과 UE에 의한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될 수 없다.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는 T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된다.
도 2는 NR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NR에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은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무선 프레임은 10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5ms 하프-프레임(Half-Frame, HF)으로 정의된다. 하프-프레임은 5개의 1ms 서브프레임(Subframe, SF)으로 정의된다. 서브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슬롯으로 분할되며, 서브프레임 내 슬롯 개수는 SCS(Subcarrier Spacing)에 의존한다. 각 슬롯은 CP(cyclic prefix)에 따라 12개 또는 14개의 OFDM(A) 심볼을 포함한다.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각 슬롯은 14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확장 CP가 사용되는 경우, 각 슬롯은 12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여기서, 심볼은 OFDM 심볼 (혹은, CP-OFDM 심볼), SC-FDMA 심볼 (혹은, DFT-s-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뉴머롤로지(numerology)의 지원>
NR 시스템에서는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단말에 다수의 뉴머롤로지(numerology)가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CS가 15kHz인 경우, 전통적인 셀룰러 밴드들에서의 넓은 영역(wide area)을 지원하며, SCS가 30kHz/60kHz인 경우, 밀집한-도시(dense-urban), 더 낮은 지연(lower latency) 및 더 넓은 캐리어 대역폭(wider carrier bandwidth)을 지원하며, SCS가 60kHz 또는 그보다 높은 경우, 위상 잡음(phase noise)을 극복하기 위해 24.25GHz보다 큰 대역폭을 지원한다.
상기 뉴머롤로지는 CP(cycle prefix) 길이와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셀은 복수의 뉴머롤로지를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뉴머롤로지의 인덱스를 μ로 나타낼 때, 각 부반송파 간격과 해당하는 CP 길이는 아래의 표와 같을 수 있다.
μ △f=2μ15 [kHz] CP
0 15 일반
1 30 일반
2 60 일반, 확장
3 120 일반
4 240 일반
5 480 일반
6 960 일반
일반 CP의 경우, 뉴머롤로지의 인덱스를 μ로 나타낼 때, 슬롯 당 OFDM 심볼 개수(Nslot symb), 프레임당 슬롯 개수(Nframe,μ slot) 그리고, 서브프레임 당 슬롯 개수(Nsubframe,μ slot)는 아래의 표와 같다.
μ △f=2μ15 [kHz] Nslot symb Nframe,μ slot Nsubframe,μ slot
0 15 14 10 1
1 30 14 20 2
2 60 14 40 4
3 120 14 80 8
4 240 14 160 16
5 480 14 320 32
6 960 14 640 64
확장 CP의 경우, 뉴머롤로지의 인덱스를 μ로 나타낼 때, 슬롯 당 OFDM 심볼 개수(Nslot symb), 프레임당 슬롯 개수(Nframe,μ slot) 그리고, 서브프레임 당 슬롯 개수(Nsubframe,μ slot)는 아래의 표와 같다.
μ SCS (15*2u) Nslot symb Nframe,μ slot Nsubframe,μ slot
2 60KHz (u=2) 12 40 4
NR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단말에게 병합되는 복수의 셀들 간에 OFDM(A) 뉴머롤러지(numerology)(예, SCS, CP 길이 등)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개수의 심볼로 구성된 시간 자원(예, SF, 슬롯 또는 TTI)(편의상, TU(Time Unit)로 통칭)의 (절대 시간) 구간이 병합된 셀들 간에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무선 통신의 서비스를 위한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나타낸 예시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UE는 LTE/LTE-A 기반의 셀과 그리고 NR 기반의 셀에 DC(dual connectivity)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NR 기반의 셀은 기존 4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즉 EPC(Evolved Packet Core)에 연결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와 달리 LTE/LTE-A 기반의 셀은 5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코어 네트워크 즉, 5G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키텍처에 기반한 서비스 방식을 NSA(non-standalone)라고 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UE는 NR 기반의 셀에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아키텍처에 기반한 서비스 방식을 SA(standalone)이라고 한다.
한편, 상기 NR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이용하고, 기지국으로의 송신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이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 방식은 쌍으로 된 스펙트럼 및 쌍을 이루지 않은 스펙트럼에 적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펙트럼은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동작을 위해 두 개의 반송파 스펙트럼을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스펙트럼에서, 하나의 반송파는 서로 쌍을 이루는 하향링크 대역 및 상향링크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NR 프레임의 슬롯 구조를 예시한다.
슬롯은 시간 도메인에서 복수의 심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반 CP의 경우 하나의 슬롯이 14개의 심볼을 포함하나, 확장 CP의 경우 하나의 슬롯이 12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RB(Resource Block)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복수(예, 12)의 연속한 부반송파로 정의된다. BWP(Bandwidth Part)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복수의 연속한 (physical, P)RB로 정의되며, 하나의 뉴머롤로지(numerology)(예, SCS, CP 길이 등)에 대응될 수 있다. 단말은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서 각각 최대 N개(예, 4개)의 BWP가 구성될 수 있다.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전송은 활성화된 BWP를 통해서 수행되며, 정해진 시간(at a given time)에는 단말에게 구성된 BWP들 중 하나의 BWP만 활성화될 수 있다. 자원 그리드에서 각각의 요소는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로 지칭되며, 하나의 복소 심볼이 매핑될 수 있다.
도 5는 NR에서의 서브프레임 유형의 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NR(또는 new RAT)을 위한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으로 불릴 수 있다. 도 5의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은, 데이터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NR(또는 new RAT)의 TDD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은 14 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앞부분 심볼은 하향링크(downlink, DL) 제어 채널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뒷부분 심볼은 상향링크(uplink, UL) 제어 채널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나머지 심볼들은 DL 데이터 전송 또는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구조에 따르면,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은 하나의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에서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내에서 하향링크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고, 그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내에서 상향링크 확인 응답(ACK/NACK)이 전송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구조를 자기-완비(self-contained)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롯 내의 처음 N개의 심볼은 DL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데 사용되고(이하, DL 제어 영역), 슬롯 내의 마지막 M개의 심볼은 UL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이하, UL 제어 영역). N과 M은 각각 0 이상의 정수이다. DL 제어 영역과 UL 제어 영역의 사이에 있는 자원 영역(이하, 데이터 영역)은 D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거나,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L 제어 영역에서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이 전송될 수 있고, DL 데이터 영역에서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이 전송될 수 있다. UL 제어 영역에서는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전송될 수 있고, UL 데이터 영역에서는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구조를 사용하면, 수신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어 최종 데이터 전송 대기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자기-완비(self-contained)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구조에서,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또는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의 전이 과정에 시간 차(time gap)가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브 프레임 구조에서 DL에서 UL로 전환할 때의 일부 OFDM 심볼은 보호 구간(Guard Period: GP)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자기-완비(self-contained) 슬롯의 구조를 예시한다.
NR 시스템에서 프레임은 하나의 슬롯 내에 DL 제어 채널, DL 또는 UL 데이터, UL 제어 채널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는 자기-완비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슬롯 내의 처음 N개의 심볼은 DL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데 사용되고(이하, DL 제어 영역), 슬롯 내의 마지막 M개의 심볼은 UL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이하, UL 제어 영역). N과 M은 각각 0 이상의 정수이다. DL 제어 영역과 UL 제어 영역의 사이에 있는 자원 영역(이하, 데이터 영역)은 D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거나,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음의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각 구간은 시간 순서대로 나열되었다.
1. DL only 구성
2. UL only 구성
3. 혼합된(Mixed) UL-DL 구성
- DL 영역 + GP(Guard Period) + UL 제어 영역
- DL 제어 영역 + GP + UL 영역
DL 영역: (i) DL 데이터 영역, (ii) DL 제어 영역 + DL 데이터 영역
UL 영역: (i) UL 데이터 영역, (ii) UL 데이터 영역 + UL 제어 영역
DL 제어 영역에서는 PDCCH가 전송될 수 있고, DL 데이터 영역에서는 PDSCH가 전송될 수 있다. UL 제어 영역에서는 PUCCH가 전송될 수 있고, UL 데이터 영역에서는 PUSCH가 전송될 수 있다. PDCCH에서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예를 들어, DL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 UL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 등이 전송될 수 있다. PUCCH에서는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예를 들어, DL 데이터에 대한 ACK/NACK(Positive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정보,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정보, SR(Scheduling Request) 등이 전송될 수 있다. GP는 기지국과 단말이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 또는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시간 갭을 제공한다. 서브프레임 내에서 DL에서 UL로 전환되는 시점의 일부 심볼이 GP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 구조를 예시한다.
단말은 SSB에 기반하여 셀 탐색(search), 시스템 정보 획득, 초기 접속을 위한 빔 정렬, DL 측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SSB는 SS/PBCH(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블록과 혼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SSB는 PSS, SSS와 PBCH로 구성된다. SSB는 4개의 연속된 OFDM 심볼에 구성되며, OFDM 심볼 별로 PSS, PBCH, SSS/PBCH 및 PBCH가 전송된다. PSS와 SSS는 각각 1개의 OFDM 심볼과 127개의 부반송파로 구성되고, PBCH는 3개의 OFDM 심볼과 576개의 부반송파로 구성된다. PBCH에는 폴라 코딩 및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이 적용된다. PBCH는 OFDM 심볼마다 데이터 RE와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RE로 구성된다. RB 별로 3개의 DMRS RE가 존재하며, DMRS RE 사이에는 3개의 데이터 RE가 존재한다.
<본 명세서의 개시>
3GPP LTE 및 NR에서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극대화되는 단말 부분에서만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술이 논의되었으나 이전부터 탄소중립 등 다양한 환경/법률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기지국과 코어 등 즉, 네트워크 구성 요소들의 에너지 절감 기술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Release 18에서는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Network Energy Saving) 관련하여 스터디(study) 및 워크 아이템(work item)을 진행하기로 합의하였고, 2022년 4월부터 11월까지 관련 스터디를 진행하고, 2023년 8월까지 규격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은, 크게 네트워크 전력 관련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도입 방법과 실제 실현을 위한 기술로 나누어서 스터디가 진행 중이다. 하기의 표 5는 구체적인 스터디 아이템(study item)의 목표를 나타낸다.
1. Definition of a base station energy consumption model [RAN1]
* Adapt the framework of the power consumption modelling and evaluation methodology of TR38.840 to the base station side, including relative energy consumption for DL and UL (considering factors like PA efficiency, number of TxRU, base station load, etc), sleep states and the associated transition times, and one or more reference parameters/configurations.
2. Definition of an evaluation methodology and KPIs [RAN1]* The evaluation methodology should target for evaluating system-level network energy consumption and energy savings gains, as well as assessing/balancing impact to network and user performance (e.g. spectral efficiency, capacity, UPT, latency, handover performance, call drop rate, initial access performance, SLA assurance related KPIs), energy efficiency, and UE power consumption, complexity. The evaluation methodology should not focus on a single KPI, and should reuse existing KPIs whenever applicable; where existing KPIs are found to be insufficient new KPIs may be developed as needed.
Note: WGs will decide KPIs to evaluate and how.
3. Study and identify techniques on the gNB and UE side to improve network energy savings in terms of both BS transmission and reception, which may include:* How to achieve more efficient operation dynamically and/or semi-statically and finer granularity adaptation of transmissions and/or receptions in one or more of network energy saving techniques in time, frequency, spatial, and power domains, with potential support/feedback from UE, and potential UE assistance information [RAN1, RAN2]
* Information exchange/coordination over network interfaces [RAN3]
Note: Other techniques are not precluded
표 5의 3번 목표 관련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지국 에너지 절감 기술이 논의되고 있으며, 특히 기지국의 전원을 적절히 관리하거나, 필수 신호의 전송 빈도를 조절하는 형태의 기술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기술은 대부분 어느 정도의 통신 성능 저하를 감수하면서 이루어진다. 예컨대, 사용자가 없는 상황에서 전원을 차단하는 기술의 경우 신규 사용자의 유입 시 재기동을 위한 지연이 발생하고, 그 외에도 송수신 속도나 지연 등에서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상황에 따른 적절한 설정 및 이에 대한 가능한 빠른 시그널링이 요구된다.
그러나 3GPP Release 18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기술이 도입된 기지국이라 하더라도 기존 Release 17 이전의 기술만을 지원하는 단말 또한 망에서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하며, 따라서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관련 시그널링은 이러한 기존 단말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신규 기능 지원 가능한 단말에게 에너지 절감에 대한 성능 감쇄를 최대한 억제하는 형태로 수행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네트워크 에너지/전력 절감 파라미터를 단말에게 전달하는 시그널링 방법을 제공한다. 일 예로,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정도에 따른 기본 신호 빈도 결정에 따른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파라미터에 대한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1)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파라미터 결정 방법에 대한 방안, (2) Release 18 단말에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관련한 시그널링 방법에 대한 방안 그리고, (3) Release 18 이전 (일 예로, Release 17)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운용 방법에 대한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의한다.
Release 18 단말은, Release 18에서 적용되는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관련 기술을 지원하고, 해당 시그널링을 이해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하며, Release 17 단말은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관련 기술을 지원하지 않고 해당 시그널링을 이해하지 못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따라서, 포괄적으로는 Release 16, Release 15 및/또는 Release 18 일부 기능을 지원하지만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기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분하는 Release 17 단말의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개시: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파라미터 결정 방법에 대한 방안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은 크게 온/오프(On/Off) 빈도,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 빈도, SIB (System Information Block) 전송 빈도, 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전송 빈도, 각각의 상태 전이(transition) 결정 임계값(threshold), 혹은 RACH(Random Access Channel) 수신 빈도 등을 조절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값들은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될 수 있는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정도가 달라질 경우를 위해, Release 18 단말에게 복수의 파라미터들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SB 빈도의 경우 기존의 1~8 인덱스(index) 중에서 비트맵(bitmap) 형태로 실제 SSB가 전송되는 영역을 전달할 수 있다. 즉, RRC를 통해 몇 개의 비트맵이 정의되고,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파라미터 값에 의존하여 실제 SSB 전송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파라미터는 유니버셜(universal) 값일 수도 있고, 각 에너지 절감 요소 별로 결정될 수도 있으며, 몇 개의 에너지 절감 요소가 그룹화된 형태일 수도 있다. 예컨대, 유니버셜 값의 경우 기지국은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정도를 특정 정수 형태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수 인덱스에 따라 RRC를 통해 복수로 설정된 각 에너지 절감 요소들 중 실제 의존할 값들이 정의될 수 있다. 각 에너지 절감 요소별로 결정되는 경우에도 해당 파라미터가 결정하는 에너지 절감 요소 종류가 제한될 뿐 동일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에너지 절감 구성 요소만큼의 비트를 사용하여, 에너지 절감 모드로 운용할 요소를 비트맵 형태로 전달 및 운용할 수 있다.
제2 개시: Release 18 단말에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시그널링 방법에 대한 방안
앞서 설명한 제1 개시의 방안을 통해 전달될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파라미터는 Release 18 단말에게 전달됨으로써 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GC-PDCCH (Group Common-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형태로 해당 파라미터가 전달될 수 있으며, 이 그룹은 사전에 Release 18 단말에게 스크램블링(scrambling)을 위한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혹은, 단말 전용의(dedicated) PDCCH 형태로 전달될 수 있으며, 다른 PDCCH와 구분되는 포맷 혹은 RNTI가 적용될 수 있다. 앞서의 GC-PDCCH 또는 전용의(dedicated)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해당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는, 네트워크 에너지 전력 절감 파라미터와 함께 Release 18에서 도입되는 다른 정보를 함께 전달할 수 있으며, 혹은 기존의 DCI 2.x 전송 정보에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전송이 이루어진 후 단말은 곧바로, 혹은 수신 이후 사전 정의된 일정 타이밍 후, 혹은 다음 단위 프레임 이후부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에 의해 사전 결정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변경된 SSB 위치에 따른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을 수행할 수 있다. 혹은, 추가된 CSI-RS 수신 및 CSI 피드백 동작을 수행하거나, 삭제된 CSI-RS 관련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관련한 SSB 혹은 CSI-RS 자원 영역에 대해서, 사전 정의된 RRC(radio resource control)의 조건과 DCI 등으로 지시된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파라미터 값의 조합이 해당 영역의 전송 제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른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CSI-RS 및/또는 CSI 관련 시그널링을 예시한다.
도 8은 앞서 설명한 제1 개시의 방안 및/또는 제2 개시의 방안을 CSI-RS 및 CSI 관련 시그널링에 적용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파라미터와 연관된 CSI-RS 자원(resource) 및/또는 CSI 리포트(report)에 대한 RRC 설정(configuration)을 구성한 후, 구성된 CSI-RS 자원(resource)에 대한 RRC 설정(configuration) 및/또는 CSI 리포트(report)에 대한 RRC 설정(configuration)을 단말로 전송한다 (S801 및 S802). 여기서, 각각의 RRC 설정(configuration)을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각각 별도의 시그널링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하나의 시그널링으로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은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파라미터와 연관된 CSI-RS 자원(resource)에 대한 RRC 설정(configuration) 및/또는 CSI 리포트(report)에 대한 RRC 설정(configuration)을 단말로 전송한 후, 전송한 RRC 설정(configuration)의 적용을 위해 CSI-RS 송수신 및/또는 CSI 리포트를 위한 DCI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S803). 여기서, DCI에는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CSI-RS 자원(resource)에 대한 RRC 설정(configuration) 및/또는 CSI 리포트(report)에 대한 RRC 설정을 수신 받은 이후,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DCI를 수신 받으면, CSI-RS 수신 및/또는 상기 CSI 피드백 수행을 트리거(trigger) 한다. 이에 따라,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CSI-RS를 수신하고 (S804),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RS(즉, 하나의 CSI-RS 또는 복수의 CSI-RSs: CSI-RS(s))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 CSI 피드백을 수행 즉, CSI 리포트(report)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S805).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DCI는 단말이 CSI-RS 수신 이후, 그리고 CSI 피드백 수행 전에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CSI-RS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DCI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CSI 피드백 수행 즉, CSI 리포트(report)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DCI는 CSI 피드백 수행 즉, CSI 리포트(report) 전송에 대해서만 트리거(trigger)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른 RRC 및 DCI 설정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9는 앞서 설명한 도 8의 CSI-RS 자원(resource) 및 CSI 리포트(report)에 대한 RRC 설정(configuration)과, CSI-RS 송수신 및/또는 CSI 리포트를 위한 DCI의 설정(configuration)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CSI-RS 자원(resource)에 대한 RRC 설정(configuration)은 우선 레거시(legacy) CSI-RS를 설정한다(configure). 이후, CSI-RS(s)에 대한 L 개의 서브 구성(sub-configuration)들로부터 N 개의 서브 구성들을 설정할 수 있다. (L과 N은 1보다 큰 자연수이다.) 각 서브 구성(sub-configuration)은 전력 적응(power adaptation) 및/또는 안테나 적응(antenna adaptation) 패턴(pattern)을 가질 수 있으며, N 개의 서브 구성(sub-configuration)들은 비트맵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CSI 리포트(report)에 대한 RRC 설정(configuration)은, CSI-RS(s)를 참조하는(referencing) CSI 리포트 구성한다(configure). 여기서, 상기 CSI-RS(s)는 앞서 설명한 N 개의 서브 구성(sub-configuration)들을 가질 수 있다.
DCI에 의한 CSI-RS 송수신 및/또는 CSI 리포트 설정(configuration)은 앞서 설명한 N 개의 서브 구성(sub-configuration)들의 트리거링(triggering)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N 개의 서브 구성(sub-configuration)들의 트리거링(triggering)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는,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비트맵 형태로 지시될 수 있다.
제3 개시: Release 17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운용 방법에 대한 방안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파라미터를 받지 못하는 Release 17 단말은 Release 18 단말과 같은 에너지 절감 상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하지만, 이러한 단말을 위해 기지국은 해당 단말이 설정 상황과 충돌할 때 최선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① SSB 관련 동작 방법: 먼저 SSB의 경우, 두 가지 상황이 가정될 수 있다. 먼저, Release 17 단말이 이해하고 있는 SSB의 전송 빈도보다 Release 18 단말이 이해하고 있는 전송 빈도가 클 때이다. 이 경우, 기지국이 Release 18 단말만 이해하고 있는 SSB 전송 위치에 Release 17 단말에의 스케줄링(scheduling)을 수행할 경우, Release 17 단말은 적절한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Release 17 단말에게 해당 위치에 대한 스케줄링(scheduling)을 수행하지 않거나, 혹은 수행하더라도 SSB 영역에 펑처링(puncturing)을 수행한 형태로 전송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펑처링(puncturing)은 아래와 같은 동작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8개의 자원 영역에 ABCDEFGH의 정보를 전송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이 때, Release 17 단말은 ABCDEFGH라는 정보가 전송될 것으로 가정/판단한다. 그런데, 여기서 4번째, 8번째에는 실제로는 Release 18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S, T의 정보가 전송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접근 방법이 존재하는데, 먼저 줄어든 자원 영역을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ABCSDEFT의 형태 전송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단순히 D, H 정보를 제거하는 ABCSEFGT의 형태로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의 펑처링(puncturing)은 후자의 전송 형태를 의미한다. S, T 가 D, H 대신 전송되었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Release 17 단말은 D 대신 S, H 대신 T가 전송된 것 때문에 일부 잘못된 정보를 수신하게 되지만, 정상적으로 전송된 ABC 및 EFG 정보를 토대로 FEC(Forward Error Correction)를 이용한 오류 정정을 통해 정보의 복구 및 이를 통한 성공적인 수신이 가능할 수 있음을 기지국이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오류 신호로 인해 일반적으로 Release 17 단말의 수신 성능이 낮아질 수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기지국은 현재의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보다 낮은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인덱스를 사용하여 Release 17 단말에 대한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Release 17 단말이 이해하고 있는 SSB의 전송 빈도보다 Release 18 단말이 이해하고 있는 전송 빈도가 작을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이 Release 17 단말은 SSB의 위치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SSB가 전송되지 않는 영역이 생길 수 있는데, 기지국은 이러한 영역에 대해서 Release 18 단말에게는 정상적으로 스케줄링(scheduling)을 지시하고, Release 17 단말에게 이 영역에 스케줄링(scheduling)을 지시할 때는 단말의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동작을 예상하여 SSB가 전송되어야 할 영역을 제외하고 PDSCH를 할당하여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이 영역에 Release 18 단말에게 스케줄링(scheduling)할 때는 이러한 제외 동작이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Release 18 단말은 더 높은 성능으로 해당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② CSI-RS 관련 동작 방법: CSI-RS의 경우도 SSB와 마찬가지로 Release 17 단말이 CSI-RS가 존재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 혹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존재하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전자의 경우 기지국은 Release 17 단말에게 스케줄링(scheduling)할 때는 CSI-RS 영역을 제외하고 전송하고, 해당 영역에서 CSI 리포트를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거나, 혹은 리포트 수행 결과를 무시하는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기지국은 마찬가지로 해당 영역에 Release 17 단말을 스케줄링(scheduling)하지 않거나, 스케줄링(scheduling)하더라도 CSI-RS 영역에 펑처링(puncturing)을 수행한 형태로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SSB 및 CSI-RS에 대하여 기존 단말이 이해하는 전송 영역과 실제 전송 영역이 다른 경우를 설명하였는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다른 신호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방안은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임의의 형태로 조합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새로운 용어의 경우 의미의 이해가 용이한 임의의 명칭을 사용하였으며, 실제로는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 개시에 레거시(legacy) UE를 위한 SSB 및/또는 PDSCH 송수신을 예시한다.
도 10은 앞서 설명한 제3 개시의 레거시(legacy) UE 즉, Release 17 단말을 위한 SSB 관련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0에서는 예시적으로 SSB 관련 동작을 나타내었으나, CSI-RS 관련 동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의 좌측을 참조하면, 레거시(legacy) UE가 이해하고 있는 SSB 전송 위치에 레거시(legacy) UE가 이해하고 있는 자원 영역을 통해 SSB가 할당되고, PDSCH와 멀티플렉싱(multiplexing)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레거시(legacy) UE는 별도의 추가적인 동작없이 기대하는 SSB 및 PDSCH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의 우측을 참조하면, NES(network energy saving) UE 즉, Release 18 단말이 이해하고 있는 SSB 전송 위치에 NES(network energy saving) UE가 이해하고 있는 자원 영역을 통해 SSB가 할당되고, PDSCH와 멀티플렉싱(multiplexing)되어 레거시(legacy) UE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레거시(legacy) UE가 이해하고 있는 SSB의 자원 영역을 통한 SSB 전송은 일어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레거시(legacy) UE가 이해하고 있는 PDSCH 자원 영역을 통해서 SSB 전송이 일어날 수 있다. 기지국은 이러한 SSB 전송이 일어나지 않는 SSB 자원 영역에 대해서 펑처링(puncturing)을 수행한 형태로 PDSCH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레거시(legacy) UE가 이해하고 있는 PDSCH 자원 영역을 통해서 NES(network energy saving) UE를 위한 SSB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레거시(legacy) UE는 이러한 SSB 전송에 대해서는 노이즈(noise)로 이해할 수 있으며, 앞서 제3 개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FEC가 가능하도록 보다 낮은 MCS를 사용하여 PDSCH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정리>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은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1101). 이후, 단말은 CSI 피드백(feedback)을 수행한다(S1102). 여기서, CSI 피드백 수행은 기지국으로 CSI 리포트를 전송하는 것에 대응된다.
한편, 단말의 상기 CSI-RS 수신 및 상기 CSI 피드백 수행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의 수신을 통해 트리거(trigger)될 수 있다. 여기서, DCI는 단말 전용의(dedicated)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비트맵(bitmap)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CSI-RS 전송 빈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SI-RS 수신 및 상기 CSI 피드백 수행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DCI의 수신 후, 일정 시간 이후에 트리거(trigger)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를 단말로 전송한다(S1201). 이후, 기지국은 CSI 피드백(feedback)을 단말로부터 수신한다(S1102).
한편, 기지국의 상기 CSI-RS 전송 및 상기 CSI 피드백 수신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의 전송을 통해 트리거(trigger)될 수 있다. 여기서, DCI는 단말 전용의(dedicated)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비트맵(bitmap)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CSI-RS 전송 빈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SI-RS 전송 및 상기 CSI 피드백 수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DCI의 전송 후, 일정 시간 이후에 트리거(trigger)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장치 일반>
지금까지 설명한, 본 명세서의 개시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개시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장치(100a)와 제2 장치(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치(100a)는 기지국, 네트워크 노드, 전송 단말, 수신 단말, 무선 장치, 무선 통신 기기, 차량,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차량, 커넥티드카(Connected Car), 드론(Unmanned Aerial Vehicle, UAV), AI(Artificial Intelligence) 모듈, 로봇, AR(Augmented Reality) 장치, VR(Virtual Reality) 장치, MR(Mixed Reality) 장치, 홀로그램 장치, 공공 안전 장치, MTC 장치, IoT 장치, 의료 장치, 핀테크 장치(또는 금융 장치), 보안 장치, 기후/환경 장치, 5G 서비스와 관련된 장치 또는 그 이외 4차 산업 혁명 분야와 관련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2 장치(100b)는 기지국, 네트워크 노드, 전송 단말, 수신 단말, 무선 장치, 무선 통신 기기, 차량,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차량, 커넥티드카(Connected Car), 드론(Unmanned Aerial Vehicle, UAV), AI(Artificial Intelligence) 모듈, 로봇, AR(Augmented Reality) 장치, VR(Virtual Reality) 장치, MR(Mixed Reality) 장치, 홀로그램 장치, 공공 안전 장치, MTC 장치, IoT 장치, 의료 장치, 핀테크 장치(또는 금융 장치), 보안 장치, 기후/환경 장치, 5G 서비스와 관련된 장치 또는 그 이외 4차 산업 혁명 분야와 관련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1 장치(100a)는 프로세서(1020a)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010a)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송수신기(1031a)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a)는 전술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a)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020a)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계층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10a)는 상기 프로세서(1020a)와 연결되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1031a)는 상기 프로세서(1020a)와 연결되고, 무선 시그널을 송수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2 장치(100b)는 프로세서(1020b)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010b)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와, 송수신기(1031b)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b)는 전술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b)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020b)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계층들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10b)는 상기 프로세서(1020b)와 연결되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1031b)는 상기 프로세서(1020b)와 연결되고, 무선 시그널을 송수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10a) 및/또는 상기 메모리(1010b)는, 상기 프로세서(1020a) 및/또는 상기 프로세서(1020b)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각기 연결될 수도 있고, 유선 또는 무선 연결과 같이 다양한 기술을 통해 다른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장치(100a) 및/또는 상기 제2 장치(100b)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1036a) 및/또는 안테나(1036b)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특히, 도 14에서는 앞서 도 13의 장치를 보다 상세히 예시하는 도면이다.
장치는 메모리(1010), 프로세서(1020), 송수신부(1031), 전력 관리 모듈(1091), 배터리(1092), 디스플레이(1041), 입력부(1053), 스피커(1042) 및 마이크(1052),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2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제안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프로세서(1020)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AP(application processor)일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모뎀(Modem; modulator and demodul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의 예는 Qualcomm®에 의해 제조된 SNAPDRAGONTM 시리즈 프로세서, Samsung®에 의해 제조된 EXYNOSTM 시리즈 프로세서, Apple®에 의해 제조된 A 시리즈 프로세서, MediaTek®에 의해 제조된 HELIOTM 시리즈 프로세서, INTEL®에 의해 제조된 ATOMTM 시리즈 프로세서, HiSilicon®에 의해 제조된 KIRINTM 시리즈 프로세서 또는 대응하는 차세대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091)은 프로세서(1020) 및/또는 송수신부(1031)에 대한 전력을 관리한다. 배터리(1092)는 전력 관리 모듈(1091)에 전력을 공급한다. 디스플레이(1041)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한다. 입력부(1053)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사용될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1053)는 디스플레이(104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SIM 카드는 휴대 전화 및 컴퓨터와 같은 휴대 전화 장치에서 가입자를 식별하고 인증하는 데에 사용되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그와 관련된 키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집적 회로이다. 많은 SIM 카드에 연락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010)는 프로세서(102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로세서(6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01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컨대, 절차,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010)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10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010)는 프로세서(1020)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1010)는 프로세서(1020)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102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송수신부(1031)는 프로세서(102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송수신부(1031)는 전송기와 수신기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031)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기저 대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20)는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음성 통신 데이터를 구성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명령 정보를 송수신부(1031)에 전달한다. 안테나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무선 신호를 수신할 때, 송수신부(1031)은 프로세서(1020)에 의해 처리하기 위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기저 대역으로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처리된 신호는 스피커(1042)를 통해 출력되는 가청 또는 가독 정보로 변환될 수 있다.
스피커(1042)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처리된 소리 관련 결과를 출력한다. 마이크(1052)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사용될 소리 관련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입력부(1053)의 버튼을 누르거나(혹은 터치하거나) 또는 마이크(1052)를 이용한 음성 구동(voice activation)에 의해 전화 번호 등과 같은 명령 정보를 입력한다. 프로세서(1020)는 이러한 명령 정보를 수신하고,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거는 등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구동 상의 데이터(operational data)는 심카드 또는 메모리(101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0)는 사용자가 인지하고 또한 편의를 위해 명령 정보 또는 구동 정보를 디스플레이(1041)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된 프로세서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된 프로세서(102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제안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회로(circuitry)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020)은 제1 회로(1020-1), 제2 회로(1020-2) 그리고 제3 회로(102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프로세서(1020)은 더 많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회로는 복수의 트랜지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로 불릴 수 있으며, DSP(digital signal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제1 장치의 송수신기 또는 도 14에 도시된 장치의 송수신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송수신부(1031)는 송신기(1031-1)과 수신기(1031-2)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1031-1)은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부(1031-11), 부반송파 맵퍼(1031-12), IFFT부(1031-13) 및 CP 삽입부(1031-14), 무선 송신부(1031-15)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1031-1)는 변조기(mod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스크램블 유닛(미도시; scramble unit), 모듈레이션 맵퍼(미도시; modulation mapper), 레이어 맵퍼(미도시; layer mapper) 및 레이어 퍼뮤테이터(미도시; layer permutator)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DFT부(1031-11)에 앞서 배치될 수 있다. 즉,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송신기(1031-1)는 부반송파에 신호를 매핑하기 이전에 먼저 정보를 DFT(1031-11)를 거치도록 한다. DFT부(1031-11)에 의해 확산(spreading)(또는 동일한 의미로 프리코딩)된 신호를 부반송파 매퍼(1031-12)를 통해 부반송파 매핑을 한 뒤에 다시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부(1031-13)를 거쳐 시간축 상의 신호로 만들어준다.
DFT부(1031-11)는 입력되는 심벌들에 DFT를 수행하여 복소수 심벌들(complex-valued 심볼)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Ntx 심벌들이 입력되면(단, Ntx는 자연수), DFT 크기(size)는 Ntx이다. DFT부(1031-11)는 변환 프리코더(transform precoder)라 불릴 수 있다. 부반송파 맵퍼(1031-12)는 상기 복소수 심벌들을 주파수 영역의 각 부반송파에 맵핑시킨다. 상기 복소수 심벌들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블록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들에 맵핑될 수 있다. 부반송파 맵퍼(1031-12)는 자원 맵퍼(resource element mapper)라 불릴 수 있다. IFFT부(1031-13)는 입력되는 심벌에 대해 IFFT를 수행하여 시간 영역 신호인 데이터를 위한 기본 대역(baseband) 신호를 출력한다. CP 삽입부(1031-14)는 데이터를 위한 기본 대역 신호의 뒷부분 일부를 복사하여 데이터를 위한 기본 대역 신호의 앞부분에 삽입한다. CP 삽입을 통해 ISI(Inter-심볼 Interference), ICI(Inter-Carrier Interference)가 방지되어 다중 경로 채널에서도 직교성이 유지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수신기(1031-2)는 무선 수신부(1031-21), CP 제거부(1031-22), FFT부(1031-23), 그리고 등화부(1031-2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기(1031-2)의 무선 수신부(1031-21), CP 제거부(1031-22), FFT부(1031-23)는 상기 송신단(1031-1)에서의 무선 송신부(1031-15), CP 삽입부(1031-14), IFF부(1031-13)의 역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신기(1031-2)는 복조기(demod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개시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설명되는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청구항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CSI-RS를 수신한 이후, CSI 피드백(feedback)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SI-RS 수신 및 상기 CSI 피드백 수행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의 수신을 통해 트리거(trigger)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I는 단말 전용의(dedicated)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수신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비트맵(bitmap) 형태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을 통해 설정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CSI-RS 전송 빈도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SI-RS 수신 및 상기 CSI 피드백 수행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DCI의 수신 후, 일정 시간 이후에 트리거(trigger)되는,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CSI-RS를 전송한 이후, CSI 피드백(feedback)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SI-RS 전송 및 상기 CSI 피드백 수신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의 전송을 통해 트리거(trigger)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CI는 단말 전용의(dedicated)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송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비트맵(bitmap) 형태인,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을 통해 설정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CSI-RS 전송 빈도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SI-RS 전송 및 상기 CSI 피드백 수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DCI의 전송 후, 일정 시간 이후에 트리거(trigger)되는, 방법.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기기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CSI-RS를 수신한 이후, CSI 피드백(feedback)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SI-RS 수신 및 상기 CSI 피드백 수행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의 수신을 통해 트리거(trigger)되는, 통신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CI는 단말 전용의(dedicated)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수신되는, 통신 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비트맵(bitmap) 형태인, 통신 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을 통해 설정되는, 통신 기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CSI-RS 전송 빈도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SI-RS 수신 및 상기 CSI 피드백 수행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DCI의 수신 후, 일정 시간 이후에 트리거(trigger)되는, 통신 기기.
  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를 전송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CSI-RS를 전송한 이후, CSI 피드백(feedback)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SI-RS 전송 및 상기 CSI 피드백 수신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의 전송을 통해 트리거(trigger)되는, 기지국.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DCI는 단말 전용의(dedicated)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송되는, 기지국.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비트맵(bitmap) 형태인, 기지국.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을 통해 설정되는, 기지국.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과 연관된 파라미터 정보는 CSI-RS 전송 빈도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CSI-RS 전송 및 상기 CSI 피드백 수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DCI의 전송 후, 일정 시간 이후에 트리거(trigger)되는, 기지국.
KR1020230101350A 2022-09-01 2023-08-03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KR20240031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3194277.2A EP4336911A1 (en) 2022-09-01 2023-08-30 Method and apparatus of signaling for network energy saving
CN202311119655.6A CN117651320A (zh) 2022-09-01 2023-08-31 无线通信系统中终端及基站的操作方法和通信设备
US18/240,735 US20240080770A1 (en) 2022-09-01 2023-08-31 Method and apparatus of signaling for network energy sa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10752 2022-09-01
KR1020220110752 2022-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883A true KR20240031883A (ko) 2024-03-08

Family

ID=9023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1350A KR20240031883A (ko) 2022-09-01 2023-08-03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18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227B1 (ko) 전송 블록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 및 무선 기기
US10492191B2 (en) Data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user equipment
US928255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EP3116185B1 (en) Method and corresponding terminal for setting downlink power for communication techniques using high order modulation
EP31350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iding maximum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147994A1 (ja) 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512602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특정 플렉서블 tdd 기법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7301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ell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343713B (zh) 控制上行链路发送功率的方法和装置
TW201309065A (zh) 用於上行鏈路功率控制之方法及配置
KR20210117611A (ko) Ai를 이용한 이동통신 방법
WO2014119865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896885A1 (en)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WO2014051285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778661B2 (en) Techniques for determining contention window update
US20220132543A1 (en) Multiple trp pdsch scheduling using dci without tci field
US20230231682A1 (en)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time bundling for partial frequency sounding
EP3125459B1 (en) Communication method for dual connectivity and apparatus using same
US20150215882A1 (en)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over an lte air interface
US11240762B2 (en) Uplink transmit power control for cross link interference
KR102246988B1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240031883A (ko)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EP4336911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ignaling for network energy saving
KR2023015725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가변 트래픽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4001835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통신(Full Duplex)을 위한 서브밴드 설정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