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309A - 측면 개방형 우드칩운반차 - Google Patents

측면 개방형 우드칩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309A
KR20240018309A KR1020220096392A KR20220096392A KR20240018309A KR 20240018309 A KR20240018309 A KR 20240018309A KR 1020220096392 A KR1020220096392 A KR 1020220096392A KR 20220096392 A KR20220096392 A KR 20220096392A KR 20240018309 A KR20240018309 A KR 20240018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folded
loading box
wood chip
wood ch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호
Original Assignee
(주)한중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중특장 filed Critical (주)한중특장
Priority to KR1020220096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309A/ko
Publication of KR20240018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드 칩등의 벌크운반 차량이 벌크를 운송한 이후에 공차로 회차되는 것을 개선하여 일반 화물의 운송도 가능토록 한 것으로, 적재함을 구성하는 측면의 일정부분이 폴딩되면서 개폐가능토록 함으로서 우드칩 이외에 다양한 물품의 상하차가 가능토록 함으로서 운송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측면 개방형 우드칩운반차{Side Open Wood Chip Carrier}
본 발명은 우드 칩등의 벌크운반 차량이 벌크를 운송한 이후에 공차로 회차되는 것을 개선하여 일반 화물의 운송도 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시각적으로 구분가능한 크기의 입자상으로 이루어진 곡물이나 사료 또는 고철과 RDF 또는 우드칩(이하에는 우드칩 이라함)의 벌크 운반차량은 직사각형의 적재함으로 이루어지고, 대부분 전면과 측면은 차체에 고정되어 막힌 상태에서 상부는 통상 개방된 상태이나 필요시 덮개가 일체로 구비되어져 절첩가능토록 하면서 상부가 개방토록 되고, 뒷면은 통상 자동으로 들어올려지면서 개방되어지는 상부로 상차되어진 우드칩의 하역작업이 가능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우드칩 등은 대부분 포크레인등으로 적재함의 개방된 상부로 상차된 상태에서 절첩되는 덮개가 없을 경우에는 덮개천으로 낙하도는 것을 차단하게 덮어주게 되고, 필요에 따라 하역작업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는 적재함의 바닥면에는 워킹플로어를 구비토록 함으로서 용이한 하역작업을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우드칩 운반차량의 단점은 우드칩을 상차하기 위하여 상차된 우드칩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치밀한 설계와 제작이 이루어져 상당한 고가로 제작되어지는 반면에 실질적인 운행에 따른 이익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우드칩을 상차한 상태에서 목적지로 이송후 하차 이후에 적재함을 구성하는 측면이 막힌 상태로 이루어지고, 통상 우드칩을 일정량으로 적재토록 하기 위하여 적재함이 상당한 전후 길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다른 물건을 상차할 경우에는 뒷면을 연상태에서 또 다른 화물을 적재함에 안정적으로 상차하기에는 상당한 제한적인 부분이 존재하는 것이다.
즉 일정길이로 이루어지는 적재함에 화물을 상차할 경우에 무게중심이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럴 경우에는 일정길이로 이루어지는 적재함에 화물을 상차할 경우에 무게중심의 정확한 위치에 화물을 상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드칩 운반차량은 대부분 화물(우드칩)을 하차한 이후에는 대부분 공차로 회차를 하게 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우드칩을 운송하는 업자의 입장에서는 화물운송의 비 경제적인 부분이 존재하여 우드칩의 운반시에는 왕복비용을 받게 되어 실질적인 우드칩의 운반을 하게 되는 화주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운송비용의 증가에 따라 우드칩을 사용한 제품 등의 원가 상승을 유발하게 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우드칩 운반차량의 사용의 경제성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우드칩 등을 상차하고 운송한 이후 하차한 이후에 공차가 아닌 다양한 물품을 상차가능토록 하여 공차로 회차하는 것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적재함을 구성하는 측면의 일정부분이 폴딩되면서 개폐가능토록 함으로서 우드칩 이외에 다양한 물품의 상하차가 가능토록 함으로서 운송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폴딩되는 폴딩면이 접혀진 상태에서 차체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페이서를 구비토록 한 것이다.
또한 폴딩되는 폴딩면이 적재함의 측면을 구비할 경우에 우드칩 등을 상차할 경우에 발생되는 압력으로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수단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또한 적재함의 측면의 일부가 폴딩될 경우에 폴딩면이 적재함을 구성하는 바닥면과의 이격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수단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또한 폴딩면이 폴딩될 경우에 존재하는 유격을 최소로 하여 우드칩을 상차한 이후에 우드칩의 유실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우드칩 운반차량이 적재물을 상차하여 목적지에 이송토로 하여 적재물을 하차한 이후에도 또 다른 다양한 물품을 상차 가능토록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공차로 돌아오는 우드칩 운반차량의 사용효율을 종전에 비하여 우수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2폴딩면이 폴딩되어지면서 측면의 일부가 개방되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2폴딩면이 닫힌 상태의 일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2폴딩면이 경첩에 의하여 일측방향으로만 절첩되어지게 구비된 상태의 일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2폴딩면이 힌지수단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의 일실시예
도 5는 도4의 힌지수단의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평대에 수직보강대의 고정을 위한 클립부가 구비된 상태의 일실시예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수단이 측면에서 제2폴딩면을 임의적인 열림을 단속하기 위하여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폴딩면이 힌지수단에 의하여 절첩가능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수직보강대에 의하여 클립부에 결합된 상태의 일실시예
도10은 본 발명의 힌지수단이 복수의 수직대에 연결되어 절첩되면서 보강되어진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
도11은 본 발명의 폴딩면의 기밀유지와 보강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규정된 폭이면서도 일정한 길이로 이루어지는 적재함(100)을 구성하는 측면(10)의 일정부분이 개방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개방되어진 부분을 구현하기 위하여 측면의 일정부분을 절개하여 개구부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의 양변에서 힌지수단(150)으로 절첩되어지게 좌우로 각각 폴딩되는 2개의 폴딩면(110,130,120,140)이 각각 힌지수단(150)을 기준으로 다단으로 외측으로 폴딩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폴딩면(110,130,120,140)중에서 각각의 제1폴딩면(110,120)은 각각의 제2폴딩면(130,140)과 경첩(1)에 의하여 일측방향으로만 절첩되어진다.
이 상태에서 제1폴딩면(110,120)은 각각 좌우로 슬라이드 되면서 측면의 일부가 개방되어지고, 이때 제1폴딩면(110,120)은 각각 제2폴딩면(130,140)과 경첩(1)에 의하여 접혀지면서 90도로 폴딩되는 것이고, 이때 거의 동시에 제2폴딩면(130,140)은 힌지수단(150)에 의하여 그 자리에서 90도로 열림되면서 제1폴딩면(110,120)과 제2폴딩면(130,140)이 서로 밀착되어지고, 이 상태에서 서로 밀착된 각각의 제1,2폴딩면(110,120,130,140)은 90도 각도로 폴딩되면서 측면(10)과 밀착되어 측면(10)의 일부가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제1,2폴딩면(110,120,130,140)이 접혀진 상태에서 측면(10)과 밀착된 제1,2폴딩면(110,120,130,140)이 측면(10)에서 밀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하여 임의적으로 벌어지지 않토록 고정수단(20)에 의하여 측면(10)과 제2폴딩면(130,140)이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경첩(1)은 상단과 하단에는 2개로 구비하고, 그 사이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 1개씩 구비토록 한 것이다.
또한 제1,2폴딩면(110,120,130,140)은 적재함(100)의 측면에 개구된 상태에서 상변과 하변으로 구비되는 단턱면(101)에 제1,2폴딩면(110,120,130,140)의 상변과 하변이 일정한 폭으로 밀착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턱면(101)은 개구되어지는 측면의 보강을 위한 직교하게 구비되어지는 수직바(160)와 상기 수직바(160)와 직교하게 구비되는 수평바(170)를 적재함(100)의 바닥면(102)보다 낮은 위치에 고정토록 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수직대(160)는 복수로 구비하여 제1,2폴딩면(130,140)이 힌지수단(150)에 의하여 회전될 경우에 지지력을 보강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턱면(101)을 형성하는 수평바(170)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1,2폴딩면(110,120,130,140)이 닫혀진 상태에서의 임의적인 열림방지를 위한 수직 보강대(180)의 고정을 위한 클립부(181)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2폴딩면(110,120,130,140)이 절첩되기 위하여 제1,2폴딩면(110,120,130,140)의 절첩라인에는 지그재그로 힌지수단이 구비되어져 보강은 물론 저중량을 구현토록 하면서 직하중에 대한 지지력도 보완토록 한 것이다.
또한 제2폴딩면(130,140)이 90도로 접혀질 경우에 회전이 폭을 크게 하기 위하여 힌지수단(150)은 일측으로 만곡되어진 만곡대(151)의 선단에 힌지축(152)을 구비토록 하고, 상기 힌지축(152)에 2단으로 절곡되어진 브라켓(153)이 제2폴딩면(130,140)과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힌지수단(150)은 복수로 구비토록 함으로서 폴딩시에 정위치로 폴딩이 이루어지면서 장시간 사용시에도 정확한 위치에서 폴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수단(150)이 고정되어진 수직대(160)는 복수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후방의 수직대(160b)에 힌지수단(150)이 고정됨으로서 보강도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통상 제1,2폴딩면의 외측으로는 수직대를 사용하여 내부에 충진되는 우드칩에 의한 하중에도 외측으로 벌어짐을 방지하고자 수직보강대가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1,2폴딩면(110,120,130,140)이 폴딩된 상태에서 임의적인 닫힘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20)은 제2폴딩면(130,140)에 피걸림수단(21)을 구비하고, 측면에는 걸림수단(22)을 구비하여 걸어주거나 빼냄으로서 고정과 풀림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측면을 형성할 경우에는 통상 외측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그윽자 엥글을 사용하여 용접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재함의 수평대에는 라켓트수단을 구비하여 밴드를 탈착가능하게 구비토록 한 상태에서 밴드를 조임에 의하여 폴딩면이 외측으로 팽창되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1:경첩
10:측면
20:고정수단
100:적재함
110,130,120,140:폴딩면
110,120:제1폴딩면
130,140:제2폴딩면
150:힌지수단

Claims (3)

  1. 적재함을 구성하는 측면의 일정부분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된 부분에는 폴딩되면서 개폐가능토록 제1,2폴딩면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2폴딩면은 힌지수단에 의하여 수직대에 힌지수단으로 결합되어 절첩되고,
    상기 제1폴딩면은 제2폴딩면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제2폴딩면과 밀착되어져 측면으로 접근하면서 접혀지고,
    상기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 적재함의 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임의적인 닫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탈착가능한 고정수단으로 단속되어지는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측면 개방형 우드칩운반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폴딩면의 상변과 하변은 적재함의 바닥면에의 수평대에 의하여 구비되는 단턱면에 밀착되어져 적재함에 상차되어진 우드칩의 누출을 방지토록 하는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측면 개방형 우드칩운반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면의 외측으로는 라쳇트에 의하여 밴드를 고정토록 하여 폴딩면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단속토록 한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측면 개방형 우드칩운반차.
KR1020220096392A 2022-08-02 2022-08-02 측면 개방형 우드칩운반차 KR20240018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392A KR20240018309A (ko) 2022-08-02 2022-08-02 측면 개방형 우드칩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392A KR20240018309A (ko) 2022-08-02 2022-08-02 측면 개방형 우드칩운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309A true KR20240018309A (ko) 2024-02-13

Family

ID=8989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392A KR20240018309A (ko) 2022-08-02 2022-08-02 측면 개방형 우드칩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83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858B1 (ko) 컨테이너
US2761581A (en) Cargo container
CN101242996B (zh) 适配拖运器和货盘、及装运方法
US20080017638A1 (en) Collapsible Container Having Collapsible Dunnage With Integral Stabilizing Members
CH711565A1 (en) Transport bag for the transport and / or storage of objects and transport device with such a transport bag.
CN101134523B (zh) 抽屉及使用了该抽屉的集装箱
EP1663816B1 (en) Bulk material cargo container liner with internal restraint system for preventing the outward bulging of the liner
JPH0624487A (ja) バラ荷材料、流体および同等品用コンテナー
US5511681A (en) Bulkheadless liner
JP3166108U (ja) 輸送用のコンテナ
CN110914106A (zh) 用于货物运输的可变形交通工具
KR101211137B1 (ko) 수화물 이송장치
KR20240018309A (ko) 측면 개방형 우드칩운반차
US6425558B1 (en) Cargo extension frame
JP5402227B2 (ja) 航空機用コンテナ
EP1744965B1 (en) A container having sidewalls that are pivotally and detachable attached by menas of hinge and a method of use
KR200484170Y1 (ko) 코일 및 벌크 화물 겸용 컨테이너
CN208746741U (zh) 台架式集装箱
JP3129686U (ja) リターナブルコンテナ
EP1500610A2 (en) Modified shipping container
CN107618774B (zh) 运输支架及具有其的集装箱
JPS6242943Y2 (ko)
US3580411A (en) Container having moveable wall
JP2022014179A (ja) コンテナ
JP3093486U (ja) 現金輸送車用カ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