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631A - 노즐 관리장치 및 노즐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노즐 관리장치 및 노즐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631A
KR20240017631A KR1020220095560A KR20220095560A KR20240017631A KR 20240017631 A KR20240017631 A KR 20240017631A KR 1020220095560 A KR1020220095560 A KR 1020220095560A KR 20220095560 A KR20220095560 A KR 20220095560A KR 20240017631 A KR20240017631 A KR 20240017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ensing member
management device
insulating casing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환
심재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20095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7631A/ko
Publication of KR20240017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4Accessories therefor for supplying molten metal
    • B22D11/0642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6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 B08B7/0071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3Distributing the molten metal, e.g. using runners, floats,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60Pouring-nozzle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노즐 관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 관리장치는 노즐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및 이동장치에 의해 운반된 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는 검사장치를 포함하고, 검사장치는 노즐이 수용부로 진입 시 노즐의 외경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되고, 감지부는 노즐이 수용부로 진입하는 동안 노즐의 외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움직임 가능한 감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노즐 관리장치 및 노즐 관리방법{APPARATUS FOR MANAGING NOZZLE AND MENAG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노즐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공정(continuous casting process)은 래들로부터 턴디쉬(Tundish)로 용강을 공급하고, 다시 턴디쉬로부터 일정한 형상을 갖춘 주형에 용강을 연속적으로 주입하여 슬라브(slab), 블룸(bloom), 빌렛(billet)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주편을 성형하는 공정이다.
연속주조공정에서 래들에 담긴 용강을 턴디쉬로 공급할 때는 공급과정에서 용강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길이가 긴 쉬라우드 노즐을 이용하여 턴디쉬로 공급한다.
한편, 주조를 완료한 쉬라우드 노즐은 마모 여부를 판단하여 재사용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쉬라우드 노즐의 마모 여부는 수동 작업에 의해 확인이 이루어지므로 쉬라우드 노즐의 열기에 의한 작업자의 화상 위험이 존재하고, 작업 동안 쉬라우드 노즐의 온도가 급격히 하강하여 검사 후 쉬라우드 노즐의 재 사용시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2018-0068016호(2018.06.21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노즐 재사용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노즐 관리장치 및 관라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노즐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에 의해 운반된 상기 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는 검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노즐이 상기 수용부로 진입 시 상기 노즐의 외경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노즐이 상기 수용부로 진입하는 동안 상기 노즐의 외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움직임 가능한 감지부재를 포함하는 노즐 관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외경이 정상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움직이고, 상기 외경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노즐을 보열하기 위한 보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열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벽에 배치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히터의 열을 상기 수용부를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판과, 상기 노즐의 진입 시 상기 히터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히터의 전방에 배치되는 펜스망을 포함한다.
상기 검사장치는 철피의 내부에 내화물로 구성된 단열케이싱을 포함한다.
상기 단열케이싱은 제1 단열케이싱과 제2 단열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열케이싱과 상기 제2 단열케이싱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열케이싱은 상기 노즐이 출입하도록 개방된 출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출입구의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자유경첩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부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열케이싱과 제2 단열케이싱의 개폐동작을 구현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감지부재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1 단열케이싱과 제2 단열케이싱을 닫을 수 있다.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노즐의 상단에 접속하여 상기 노즐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재의 자유단부 사이 간격은 상기 이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노즐의 회전궤적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검사장치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의 길이는 가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노즐의 높이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단열케이싱과 제2 단열 케이싱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개폐 가능한 출입구에 노즐의 외경에 대응하여 선택적인 움직임 가능한 감지부재를 설치하고, 개방된 상기 출입구에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노즐을 진입시키고, 상기 노즐이 상기 출입구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감지부재의 움직임 여부에 따라 상기 노즐의 재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노즐의 관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출입구를 닫은 상태에서 히터의 열을 이용하여 상기 노즐을 보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재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노즐의 상부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의 내부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노즐의 재사용 여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고, 재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노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 관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단열케이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케이싱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 관리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감지부재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정상범위의 직경을 갖는 노즐이 통과하는 경우 감지부재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의 비정상범위의 직경을 갖는 노즐이 통과하는 경우 감지부재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의 세척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8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지부재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 관리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단열케이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케이싱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 관리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노즐 관리장치(10)는 노즐(20)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30)와, 이동장치(30)에 의해 운반된 노즐(20)의 재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검사장치(40)를 포함한다.
노즐(20)은 래들(1)에 담긴 용강을 턴디쉬(2)로 공급하는 쉬라우드 노즐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동장치(30)는 래들(1)의 출강구에 노즐(20)을 탈착 가능하도록 노즐(20)을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장치(30)는 노즐(20)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31)를 구비할 수 있고, 파지부(31)는 조인트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구동암(32)에 의해 상하, 좌우, 회전 등 다자유도 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구동암(32)은 수평 다관절 암 또는 수직 다관절 암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하 또는 좌우로 신축 가능한 로드 및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장치(30)는 휠(33)을 통해 주행 또는 운반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록킹장치(34)를 통해 소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동장치(30)의 파지부(31)와 구동암(32)은 제어부(25)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검사장치(40)는 바닥에 지지되며 지주대 역할을 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기둥(41)에 설치될 수 있다.
검사장치(40)는 이동장치(30)에 의해 운반된 노즐(20)의 마모 여부를 판단 및/또는 보열을 수행하기 위한 단열케이싱(50)과, 노즐(20)의 세척을 수행하기 위한 세척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장치(40)는 기둥(41)의 하단에 설치된 휠(42)을 통해 운반 또는 주행되거나, 바닥에 지지되는 록킹장치(43)를 통해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검사장치(40)는 이동장치(30)의 파지부(31)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운반되는 노즐(20)을 받을 수 있는 범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장치(30)의 구동암(32)이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구동암(32)에 의해 회전하는 노즐(20)의 회전반경 범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는 구동암(32)의 신축 동작에 의해 노즐(20)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구동암(32)의 신축범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둥(41)에 설치된 단열케이싱(50)은 이동장치(30)에 의해 운반된 노즐(2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단열케이싱(50)은 철피(51)와 철피(51) 내부에 구비된 내화물(52)을 포함할 수 있다. 내화물(52)은 세라크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케이싱(50)은 운반된 노즐(20)이 출입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한 제1 단열케이싱(50a)과 제2 단열케이싱(50b)을 포함한다.
단열케이싱(50)은 내부에 수용부(53)가 구비된 중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수용부(53)는 반원 형태의 제1 단열케이싱(50a)과 제2 단열케이싱(50b)이 열리고 닫히는 구조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단열케이싱(50)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로서, 단열케이싱(50)은 중공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단열케이싱(50a)은 기둥(41)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제2 단열케이싱(50b)은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단열케이싱(50a)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단열케이싱(50a)과 제2 단열케이싱(50b)은 구동부(54)에 의해 개폐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54)는 전기식, 전자식, 공압식 도는 유압식 실린더 또는 모터를 이용한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4)는 제어부(25)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단열케이싱(50)은 몸체(55)와, 몸체(55)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56)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55)의 하부는 개방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몸체(55)의 하부는 상부커버(56)와 동일한 형태의 하부커버에 의해 덮힌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커버(56)는 제1 단열케이싱(50a)의 상부를 덮는 반원 형태의 제1 상부커버(56a)와 제2 단열케이싱(50b)의 상부를 덮는 반원 형태의 제2 상부커버(56b)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커버(56)의 중앙에는 노즐(20)이 통과되는 관통홀(57)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57)은 제1 상부커버(56a)의 중앙에서 반경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제1 오목홈(57a)과 제2 상부커버(56b)의 중앙에서 반경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제2 오목홈(57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커버(56a)에 형성된 제1 오목홈(57a)은 이동장치(30)에 의해 운반되는 노즐(20)의 진입 위치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열케이싱(50)이 닫힌 상태에서 관통홀(57)은 노즐(20)의 상부측 외경을 감쌀 수 있다. 이를 위해, 관통홀(57)은 노즐(20)의 상부측 외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단열케이싱(50a)을 구성하는 몸체(55)의 개방된 영역은 노즐(20)이 수용부(53)로 진입할 수 있는 출입구(58)를 형성할 수 있다.
출입구(58)는 제2 단열케이싱(50b)이 회동하여 제1 단열케이싱(50a)에 밀착되는 경우 폐쇄될 수 있다.
출입구(58)의 하부측에는 수용부(53)로 진입하는 노즐(20)의 외경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감지부(60)는 노즐(20)이 수용부(53)로 진입하는 동안 노즐(20)의 외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움직임 가능한 감지부재(61)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재(61)는 출입구(58)의 폭 방향(반경 방향) 양측에서 각각 몸체(5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을 구비할 수 있다.
감지부재(61)는 일단이 자유경첩(62)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출입구(58)의 폭 방향 중앙을 향해 횡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길이가 긴 막대 형상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경첩(62)에 연결된 감지부재(61)는 출입구(58)에 대해 반경방향 전후(노즐의 진입방향)로 자유롭게 회동한 후 탄성부(67)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한 쌍의 감지부재(61)의 타단은 자유단부(63)를 형성하며, 자유단부(63) 간는 서로간에 이격될 수 있다.
감지부재(61)의 자유단부(63)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64)은 출입구(58)를 통해 진입하는 노즐(20)이 통과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감지부재(61) 사이의 간격(64)은 노즐(20)이 사용 가능한 정상범위의 외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64)은 마모가 발생되어 폐기되어야 하는 노즐(20)의 직경으로 정의될 수 있고, 폐기할 노즐(20)의 직경보다는 약간 큰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범위의 직경을 갖는 노즐(20)이 이동장치(30)에 의해 운반되어 감지부재(61) 사이의 간격(64)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노즐(20)이 항상 감지부재(61)에 간섭되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다.
이동장치(30)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노즐(20)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감지부재(61)의 자유단부(63)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64)은 노즐(20)의 회전궤적(35)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감지부재(61)에 의한 측정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0a)에 마모가 발생되어 노즐(20a)의 직경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노즐(20a)은 감지부재(61)와 간섭되지 않고 감지부재(61) 사이 간격(64)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장치(30)에 의해 운반된 노즐(20)이 회전궤적을 그리지 않고 선형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제1 오목홈(57a)에 맞춰 노즐(20)을 진입시키면 노즐(20)은 감지부재(61) 사이 간격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감지부(60)는 감지부재(61)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6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65)는 감지부재(61)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마그네틱 센서, 진동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센서(65)는 감지부재(61)의 일측 또는 몸체(55)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25)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5)는 센서(65)로부터 감지 신호가 전송되면, 구동부(54)를 통해 제2 단열케이싱(50b)이 출입구(58)를 폐쇄하도록 회동시킬 수 있다.
검사장치(40)는 단열케이싱(50)에 수용된 노즐(20)을 보온하기 위한 보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열부(70)는 노즐(20)의 외경이 정상범위를 만족한 경우에는 수용부(53)에 수용된 노즐(20)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로서, 노즐(20)이 용강을 공급하는 쉬라우드 노즐인 경우 일반적으로 1000℃일 때 가장 강한 강도를 가지나, 온도가 내려가거나 높으면 강도가 약해져 파손이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보열부(70)는 감지부(60)에 의한 노즐(20) 검사 후 재사용 전 노즐(20)이 강한 강도를 가지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노즐(20)을 보열시킬 수 있다.
보열부(70)는 수용부(53)를 형성하는 내벽에 배치되는 히터(71), 반사판(72) 및 펜스망(73)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71)는 수용부(53)를 향해 열을 발산시키는 할로겐 램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할로겐 램프에 한정되지 않는다.
히터(71)는 제어부(25)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반사판(72)은 히터(71)의 후방측, 즉 내화물(5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판(72)은 히터(71)에서 발산되어 후방으로 향하는 열을 수용부(53) 쪽으로 반사시킴에 의해 히터(71)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펜스망(73)은 히터(71)의 전방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펜스망(73)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히터(71)를 보호하며 히터(71)의 열이 통과될 수 있도록 격자 형태의 망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세척부(80)는 노즐(20)의 외경이 정상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단열케이싱(50)이 폐쇄된 후 일정시간 경과 후 노즐(20)의 내부를 세척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세척부(80)는 기둥(41)의 상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어부(25)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세척부(80)는 산소를 분사시키는 세척헤드(81)와, 세척헤드(81)를 이동시키는 세척구동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헤드(81)는 노즐(20)의 상단 개구에 삽입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분사노즐(81a)이 마련될 수 있다.
분사노즐(81a)은 도시하지 않은 가스공급부와 호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가스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산소 및 연소가스는 분사노즐(81a)을 통해 노즐(2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세척구동부(82)는 세척헤드(81)를 노즐(20)의 상단 개구에 진입시키기 위한 세척구동암(83)을 포함한다.
세척구동암(83)은 상하, 좌우, 회전 등 다자유도 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세척구동암(83)은 수평 다관절 암 또는 수직 다관절 암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하 또는 좌우로 신축 가능한 로드 및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구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5)는 단열케이싱(50)이 닫힌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지나면 세척헤드(81)가 노즐(20)의 상단 개구에 진입되도록 세척구동암(83)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세척헤드(81)가 노즐(20)의 상단 개구에 삽입된 후에는 가스공급부를 작동시켜 분사노즐(20)을 통해 산소와 연소가스를 노즐(20) 내부로 분사시킴에 의해 노즐(20) 내부에 고착된 지금, 슬래그 등의 부착물을 용융 제거시킨다.
이때, 제거된 부착물은 단열케이싱(5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의 노즐 관리장치(10)는 제어부(25)를 통해 자동 실행될 수 있고, 별도로 구비된 조작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동 조작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감지부재(61)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정상범위의 노즐(20) 직경에 대응하여 감지부재(61)의 폭 방향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노즐(20)이 간섭되는 기준 간격(64)이 가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감지부재(61)는 노즐(20)의 높이 방향 마모 위치에 대응하도록 단열케이싱(50)의 내벽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열케이싱(50)의 내벽에는 감지부재(61)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68)과, 감지부재(61)의 높이 조절 후 위치 고정을 위한 스토퍼(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 관리장치를 이용한 노즐 관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들(1)로부터 턴디쉬(2)로 용강 배출 완료 후 노즐(20)의 마모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 또는 제어부(25)는 이동장치(30)를 이용하여 래들(1)로부터 노즐(20)을 분리시키고, 분리된 노즐(20)을 이동장치(30)를 통해 검사장치(40)로 이동시킨다.
이때 단열케이싱(50)은 개방된 상태이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장치(30)에 의해 운반된 노즐(20)은 제1 단열케이싱(50a)의 출입구(58)를 통해 제1 단열케이싱(50a)의 수용부(53)로 진입된다.
출입구(58)를 통과하는 노즐(20)은 제1 단열케이싱(50a)에 설치된 감지부재(61) 사이의 간격(64)을 통과하게 되고, 이때 노즐(20)의 마모가 정상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간격(64)을 통과하는 노즐(20)의 외면은 감지부재(61)와 간섭이 발생한다.
감지부재(61)가 노즐(20)과의 간섭에 의해 움직이면 사용자 또는 제어부(25)는 노즐(20)의 마모가 정상범위에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노즐(20)의 재사용이 가능함을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0a)이 감지부재(61) 사이의 간격(64)을 통과하는 동안 감지부재(61)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 또는 제어부(25)는 노즐(20)의 재사용이 불가능함을 인지하여 노즐(20)을 폐기시킨다.
한편, 이동장치(30)에 의해 운반되는 노즐(20)이 제1 단열케이싱(50a)의 출입구(58)를 통과하는 동안 감지부재(61)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사용자 또는 제어부(25)는 구동부(54)를 통해 출입구(58)를 폐쇄하도록 제2 단열케이싱(50b)을 동작시킨다.
단열케이싱(50)이 닫힌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0)의 하부 영역은 단열케이싱(50)의 수용부(53)에 의해 수용된 상태이고, 사용자 또는 제어부(25)는 히터(71)를 온시킴에 의해 단열케이싱(50)의 내부에 수용된 노즐(20)을 보열한다.
그리고, 단열케이싱(50)이 닫힌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사용자 또는 제어부(25)는 세척부(80)를 동작시켜 세척헤드(81)를 노즐(20)의 상단에 접속시킨 후 분사노즐(81a)을 통해 산소 및 연소가스를 분출시킨다. 이에 따라 노즐(20)의 내부에 부착된 부착물을 용융 제거됨에 의해 노즐(20)을 재사용 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래들, 2: 턴디쉬,
10: 노즐 관리장치, 20: 노즐,
25: 제어부, 30: 이동장치,
40: 검사장치, 50: 단열케이싱,
60: 감지부, 61: 감지부재,
70: 보열부, 80: 세척부.

Claims (18)

  1. 노즐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에 의해 운반된 상기 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는 검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노즐이 상기 수용부로 진입 시 상기 노즐의 외경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노즐이 상기 수용부로 진입하는 동안 상기 노즐의 외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움직임 가능한 감지부재를 포함하는 노즐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외경이 정상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움직이고, 상기 외경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 움직이지 않는 노즐 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노즐을 보열하기 위한 보열부를 더 포함하는 노즐 관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열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벽에 배치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히터의 열을 상기 수용부를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판과, 상기 노즐의 진입 시 상기 히터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히터의 전방에 배치되는 펜스망을 포함하는 노즐 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는 철피의 내부에 내화물로 구성된 단열케이싱을 포함하는 노즐 관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케이싱은 제1 단열케이싱과 제2 단열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열케이싱과 상기 제2 단열케이싱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노즐 관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케이싱은 상기 노즐이 출입하도록 개방된 출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출입구의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자유경첩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 관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부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노즐 관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케이싱과 제2 단열케이싱의 개폐동작을 구현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노즐 관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감지부재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1 단열케이싱과 제2 단열케이싱을 닫는 노즐 관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노즐의 상단에 접속하여 상기 노즐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노즐 관리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의 자유단부 사이 간격은 상기 이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노즐의 회전궤적 상에 위치되는 노즐 관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노즐 관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의 길이는 가변 가능한 노즐 관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노즐의 높이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한 노즐 관리장치.
  16. 제1 단열케이싱과 제2 단열 케이싱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개폐 가능한 출입구에 노즐의 외경에 대응하여 선택적인 움직임 가능한 감지부재를 설치하고,
    개방된 상기 출입구에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노즐을 진입시키고,
    상기 노즐이 상기 출입구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감지부재의 움직임 여부에 따라 상기 노즐의 재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노즐의 관리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출입구를 닫은 상태에서 히터의 열을 이용하여 상기 노즐을 보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관리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노즐의 상부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의 내부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관리방법.
KR1020220095560A 2022-08-01 2022-08-01 노즐 관리장치 및 노즐 관리방법 KR20240017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560A KR20240017631A (ko) 2022-08-01 2022-08-01 노즐 관리장치 및 노즐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560A KR20240017631A (ko) 2022-08-01 2022-08-01 노즐 관리장치 및 노즐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631A true KR20240017631A (ko) 2024-02-08

Family

ID=8990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560A KR20240017631A (ko) 2022-08-01 2022-08-01 노즐 관리장치 및 노즐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76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016A (ko)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롱노즐 예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016A (ko)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롱노즐 예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17631A (ko) 노즐 관리장치 및 노즐 관리방법
KR100216682B1 (ko) 용융금속의 온도 측정장치
KR101172375B1 (ko) 용융금속 분사노즐장치
ITMI20112020A1 (it) Apparecchiatura e metodo di posizionamento di lance per forno ad arco elettrico, forno ad arco elettrico comprendente tale apparecchiatura
KR101866794B1 (ko) 자동 개폐식 센서커버를 구비한 용접로봇 및 용접로봇의 센서커버 자동 개폐 방법
KR200450703Y1 (ko) 전기로의 용강 온도 측정장치
US6034345A (en) Apparatus for repairing high temperature process vessels
JPH06292955A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浸漬ノズル交換装置
KR101159910B1 (ko) 압연재의 온도 측정 장치
JP2006088198A (ja) ダイカストマシンのスプレー装置
KR102045380B1 (ko) 개폐장치 및 그 방법
EP0017780B1 (en) Apparatus for removing a skull adhering to a metallurgical lance
KR101038555B1 (ko) 턴디시 침지노즐의 스토퍼 센터링 장치
KR200188745Y1 (ko) 용강의 산화 방지장치
ES2751799T3 (es) Método y disposición para ajustar las características de un proceso de horno en un espacio de horno y unidad de inyección
RU2473030C2 (ru) Дугова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печь
JP6728827B2 (ja) 冷却処理設備及び冷却処理方法
KR101576359B1 (ko) 기체 분사식 인서트 금속 용탕 냉각 및 교반장치
KR200202394Y1 (ko) 아연도금설비용 잉고트 용융바스켓 장치
JPH0638615Y2 (ja) タンディッシュ付着物溶削装置
JPS5943524B2 (ja) 高炉炉壁熱間補修装置
JP3936413B2 (ja) 鋳造用材料の予備加熱装置
JP3974692B2 (ja) 溶融装置
JPS5935558Y2 (ja) 高炉熱間炉壁補修装置
JP2010082690A (ja) ビレット搬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