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769A - 중장비용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769A
KR20240016769A KR1020220094936A KR20220094936A KR20240016769A KR 20240016769 A KR20240016769 A KR 20240016769A KR 1020220094936 A KR1020220094936 A KR 1020220094936A KR 20220094936 A KR20220094936 A KR 20220094936A KR 20240016769 A KR20240016769 A KR 20240016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vy equipment
location
warning
image
warn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편한자동화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편한자동화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편한자동화기술
Priority to KR1020220094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769A/ko
Publication of KR20240016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76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그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종류를 식별하고 위치를 확인하며, 확인한 대상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장치를 이용하되, 중장비로의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대폭 향상된 이용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는 중장비용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중장비에 설치되어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종류를 식별하고 위치를 확인하며, 확인한 대상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경고음을 출력하고, 운전자의 주의 환기를 위한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리시버 장치로 전송하는 올인원 장치 및, 올인원 장치에서 전송하는 경고 신호를 수신 및 변환하여 운전자에게 주의 환기 목적의 영상과 경고음을 출력하는 리시버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장비용 안전 장치{Heavy equipment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중장비와의 충돌에 의한 인명 사고를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중장비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그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종류를 식별하고 위치를 확인하며, 확인한 대상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장치를 이용하되, 중장비로의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대폭 향상된 이용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는 중장비용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개 쌓인 팰릿 등 상당한 무게의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지게차나 땅을 파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굴착기와 같이 공장이나 건설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을 통칭하여 중장비라고 한다.
이러한 중장비는 승용차와 같은 일반 차량과 비교하여 운전석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는 구조상의 특징이나 사용 환경상의 특징으로 인해 운전자가 주변에 위치한 작업자를 인지하지 못하게 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중장비와 작업자의 충돌에 의한 인명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중장비의 운행 중에는 운전자와 작업자가 모두 주의하여야 하나 이것만으로는 사고의 발생을 완전히 예방할 수 없기 때문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4200호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지게차 근접 경고 및 충돌 방지 장치”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90021호의 “AI와 레이더를 이용한 지게차 안전시스템”과 같은 중장비에 설치되어 주변의 사람을 감지하고 경고하는 방식의 장치나 시스템에 관한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4200호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지게차 근접 경고 및 충돌 방지 장치”에는 지게차의 근접을 경고하는 목적으로 작업자에게 제공되는 작업자 단말기와 작업자 또는 다른 지게차의 근접을 경고하는 목적으로 지게차에 설치되는 경고유닛 그리고 상황에 따라 지게차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지게차와 작업자의 충돌에 의한 인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90021호의 “AI와 레이더를 이용한 지게차 안전시스템”에는 카메라와 AI를 이용하여 지게차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한 사람을 감시하도록 하고, 레이다를 이용하여 지게차의 좌방과 우방에 위치한 사람과 사물을 인식하도록 하여, 충돌이 예상되는 상황에서는 경광등에 의한 경고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선행 발명들을 이용하여 중장비와의 충돌에 의한 인명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 소기의 목적을 일정부분 이상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다만, 상기와 같은 선행 발명들을 구성하고 있는 카메라와 센서 등 감지용의 장치들은 별도의 고정용구의 설치와 함께 배선 작업을 실시하여 중장비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므로 신속한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치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선행 발명들을 포함한 종래의 장치나 시스템은 중장비에 대한 소유권을 가진 상태에서만 자유롭게 실시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임시로 임대한 중장비에는 설치하여 이용하기 어려운 현실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임시로 임대한 중장비에도 신속하고 간편하며 손상없이 설치가 가능한 장치나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4200호(2017. 08. 2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90021호(2022. 04. 20)
상기와 같은 선행 발명들은 중장비의 주변에 위치한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나 센서 등 감지용의 장치를 중장비에 설치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용구의 설치와 함께 배선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신속한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치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로 인해 임시로 임대한 중장비에는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용 안전 장치는 상기와 같은 선행 발명들이 가진 문제들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중장비에 설치되어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종류를 식별하고 위치를 확인하며, 확인한 대상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경고음을 출력하고, 운전자의 주의 환기를 위한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리시버 장치로 전송하는 올인원 장치; 및, 상기 올인원 장치에서 전송하는 경고 신호를 수신 및 변환하여 운전자에게 주의 환기 목적의 영상과 경고음을 출력하는 리시버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안전 장치를 제시한다.
이때, 상기 올인원 장치는 하단이 일측으로 돌출 확장된 케이스 형태로 구성되고, 그 하단에 하나 이상의 자성체가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단이 돌출 확장된 방향에서 그 하단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각도 조절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종류를 식별하고, 식별한 대상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촬영부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확인된 대상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경고 신호를 수신 및 변환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내장 스피커; 및, 상기 촬영부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생성된 경고 신호를 상기 내장 스피커와 상기 리시버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용 안전 장치는,
촬영 기능, 영상 분석 기능, 경고음 출력 기능, 신호 생성 기능 그리고 신호 전송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기능의 올인원 장치를 지게차 등의 중장비에 배선하는 과정 없이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이용을 위한 설치와 제거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중장비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맞춤형의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발생하고, 그로 인해 임시로 임대한 중장비에도 부담없이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중장비와 작업자의 충돌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상황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용 안전 장치를 구성하는 올인원 장치가 중장비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도.
도 3a는 올인원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올인원 장치의 다른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올인원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세부 구성도.
도 5는 진동 센서와의 연계에 의한 올인원 장치의 작동 순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용 안전 장치의 기본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용 안전 장치를 구성하는 리시버 장치의 화면으로 출력되는 영상의 예시도.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에서의 중장비(A)와 작업자(B)의 충돌에 의한 인명 사고를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중장비에 설치되어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종류를 식별하고 위치를 확인하며, 확인한 대상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경고음을 출력하고, 운전자의 주의 환기를 위한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리시버 장치(200)로 전송하는 올인원 장치(100); 및, 상기 올인원 장치(100)에서 전송하는 경고 신호를 수신 및 변환하여 중장비의 운전자에게 주의 환기 목적의 영상과 경고음을 출력하는 리시버 장치(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올인원 장치(100)는 지게차나 굴착기와 같은 중장비에 설치되는 인명 보호용의 장치이며, 인명 보호를 위한 여러 기능을 통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올인원 장치(100)는 중장비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 기능,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그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종류를 식별하고 위치를 확인하는 영상 분석 기능, 확인한 대상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경고음을 출력하는 출력 기능, 확인한 대상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기능 그리고 생성된 신호를 다른 수신용의 장치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 기능을 모두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기능의 장치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이 되는 중장비에 하나 이상이 설치됨으로써 인명 보호를 위한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올인원 장치(100)는 중장비의 후방을 촬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나 그 외의 여러 방향을 각각 촬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된 영상에 대한 분석을 독립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영상의 송수신과 분석에 따른 경고 신호의 생성과 전송이 지연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추가로 영상의 분석을 위한 내부 분석용 장치의 저사양 구성이 가능한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올인원 장치(100)는 중장비의 다양한 위치에 간편하게 탈착이 가능한 탈착형으로 구성되고, 장착된 위치에 따른 영상 촬영 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중장비로의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중장비의 종류와 크기에 따른 맞춤형의 구성이나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의 구성이 가능한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즉,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올인원 장치(100)는 하단이 일측으로 돌출 확장된 케이스의 형태로 구성되고, 그 하단에 하나 이상의 자성체(111)가 설치되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하단이 돌출 확장된 방향에서 그 하단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각도 조절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체부(110) 하단의 자성체(111)를 이용하여 중장비의 다양한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올인원 장치(100)는 기본적인 전체의 형상은 동일하나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렌즈의 위치, 작동 상태와 배터리 상태의 표시를 위한 LED, 열배출을 위한 환풍구 등의 위치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추가로 색상도 다양하게 구성되어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올인원 장치(100) 전체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으며, 외부에는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용 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부(120)의 내부에는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종류를 식별하고, 식별된 대상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영상 분석부(130)와 본체부(110)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확인된 대상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경고 신호를 수신 및 변환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내장 스피커(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시 상기 촬영부(120)의 내부에는 신호 생성부(140)에서 생성되는 경고 신호를 내장 스피커(150)와 리시버 장치(200)로 전송하는 전송부(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송부(150)는 블루투스 통신, RF 통신, 와이파이 통신 등 공지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내장 스피커(150)와 리시버 장치(200)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는 신호의 전송을 위한 목적으로 배선을 실시하여야 하는 종래의 장치나 시스템에 비해 설치와 제거에 필요한 시간이 대폭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배선으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임대한 중장비에도 손상없이 간편하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고, 손상없이 간편하게 제거하여 원상태 그대로 반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촬영부(120)에 의한 영상의 촬영은 중장비의 시동이 걸리는 시점으로부터 자동으로 시작될 수 있으며, 그 즉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부(130)의 실시간의 분석이 발생하여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종류가 식별될 수 있고, 식별된 대상체의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촬영부(120)의 구성을 포함한 올인원 장치(100)는 대기 전력만을 소비하는 상태에서 중장비의 시동이 걸리는 시점으로부터 1초 이내로 정상 작동할 수 있어야 하며, 그 시간은 빠를수록 좋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부(130)는 딥러닝 학습에 의해 학습된 사람의 형상을 영상에서 식별 가능한 인공지능 기반의 분석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람을 주요 식별 대상으로 하되, 학습량에 따라서는 공장이나 건설현장 등에서 빈번하게 이용되는 각종 자재 등을 식별 대상에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분석부(130)는 대상체의 식별과 함께 대상체의 위치를 확인하여야 하며, 그 확인 과정에는 중장비에 설치되어 그 중장비 주변의 지면이나 바닥에 빔을 쏘아 라인을 표시해주는 라인빔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 분석부(130)는 라인빔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라인을 현장의 지면이나 바닥과 구분하여 식별하고, 식별된 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중장비의 주변을 위험 구역과 비위험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위험 구역 안에 하나 이상의 대상체가 위치하고 있는 상태와 비위험 구역에만 대상체가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분석부(130)는 대상체의 몸체 대부분이 비위험 구역에 위치하되 몸체 일부가 라인에 걸쳐있는 상태도 대상체가 위험 구역 안에 위치한 상태로 판단하여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더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신호 생성부(140)는 위험 구역 안에 대상체가 위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확인된 대상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부(160)는 신규로 생성된 경고 신호를 내장 스피커(150)와 리시버 장치(200)로 전송함으로써 중장비의 운전자와 그 중방비 주변의 작업자 등에게 동시에 경고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 생성부(140)에서 생성하는 경고 신호는 주의 환기 목적의 경고음이나 멘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내장 스피커(150)로 전송되는 제1 경고 신호와 주의 환기 목적의 경고음이나 멘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확인된 대상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그래픽 형상 또는 대상체의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리시버 장치(200)로 전송되는 제2 경고 신호로 구분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장 스피커(150)는 제1 경고 신호를 수신하는 즉시 경고음 또는 경고 멘트를 출력함으로써 중장비 주변의 작업자 등이 즉시 안전을 위해 다른 위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시버 장치(200)는 제2 경고 신호를 수신하는 즉시 경고음 또는 경고 멘트의 출력과 함께 화면에 대상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그래픽 형상을 표시함으로써 중장비의 운전자가 중장비의 작동을 중지하고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을 확인한 후 직접 주변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장이나 건설현장 등 중장비가 사용되는 현장에서는 상당한 수준의 소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중장비의 운전자와 그 중장비 주변의 작업자 등에게 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수단이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대상을 달리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중장비의 시동이 꺼지는 시점으로부터는 작동하는 중장비가 대상체와 충돌할 가능성이 없으므로 촬영부(120)에 의한 영상의 촬영이 종료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영상 분석부(130)와 신호 생성부(140) 그리고 전송부(160)의 작동도 모두 종료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올인원 장치(100)의 자동으로의 작동과 종료의 구성은 올인원 장치(100)의 내부나 외부 일측에 구비되어 일정수준 이상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170)와의 연계에 의한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올인원 장치(100)는 내부나 외부 일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진동 센서(170)가 일정수준 이상의 진동을 감지할 때 영상의 촬영과 촬영된 영상의 분석을 실시하도록 구성되고, 진동 센서(170)가 진동을 감지하지 못할 때에는 영상의 촬영과 촬영된 영상의 분석을 종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올인원 장치(100)가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하고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의 특성에 따른 것이며, 이로 인해 다수의 올인원 장치(100)를 운전자 등이 일일이 온 오프 제어할 필요없이 배터리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동 센서(170)는 공장이나 건설현장 등에서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일시적인 진동으로 인한 촬영부(120)의 촬영이 시작되지 아니하도록 일정수준 이상의 진동에서만 반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한 감도값은 중장비에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발생하는 평균적인 진동의 크기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촬영부(120)의 촬영이 반드시 진동 센서(170)와의 연계에 의해서만 실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리시버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작동 신호에 의해 일괄적으로 실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시버 장치(200)는 중장비의 운전석 측에 설치되는 알림용의 장치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올인원 장치(100)에서 전송하는 경고 신호 중 제2 경고 신호를 수신 및 변환하여 주의 환기 목적의 그래픽 형상과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중장비의 운전자가 위험을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리시버 장치(200)는 올인원 장치(100)와의 통신이 가능하고, 경고 신호의 변환과 같은 처리가 가능하며, 영상 출력을 위한 일정크기 이상의 화면과 경고음 출력을 위한 스피커를 구비한 전용의 디스플레이 장치나 운전자의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시버 장치(200)는 즉시 이용이 가능한 상태로 중장비의 운전자에게 지급될 수 있으나, 중장비의 운전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전용앱(app)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실행하는 방식으로 리시버 장치(200)를 직접 구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시버 장치(200)는 그 종류에 따라 맞춤형의 거치대를 이용하여 중장비의 운전석 측에 고정 설치되거나 임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중장비의 운전자는 전용의 디스플레이 장치나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앱(app)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리시버 장치(200)가 하나 이상의 올인원 장치(100)와 페어링되게 할 수 있으며, 페어링된 올인원 장치(100) 각각의 정상 작동 상태를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중장비의 운전자는 상기 리시버 장치(200)에 페어링된 올인원 장치(100) 각각이 실제로 설치된 위치를 특정하여야 하며, 그 방식으로는 영상을 이용한 특정 방식이나 경고음을 이용한 특정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중장비의 운전자는 상기 리시버 장치(200)를 이용하여 올인원 장치(100)의 위치를 특정하고자 하는 중장비의 종류를 선택하고, 페어링된 상태인 하나 이상의 올인원 장치(100)로 영상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중장비의 운전자는 상기 리시버 장치(2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실시간의 영상을 확인하고, 해당 영상을 촬영하는 올인원 장치(100)가 설치된 중장비 상의 위치를 그래픽 화면에서 지정 선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선택 과정의 반복을 통해 중장비에 설치된 모든 올인원 장치(100) 각각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중장비의 운전자는 상기 리시버 장치(200)를 이용하여 올인원 장치(100)의 위치를 특정하고자 하는 중장비의 종류를 선택하고, 페어링된 상태인 하나 이상의 올인원 장치(100)로 경고음의 출력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중장비의 운전자는 중장비에 설치된 다수의 올인원 장치(100) 중 경고음이 출력되는 하나의 올인원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를 확인하고, 그 위치를 리시버 장치(200)에 표시되는 그래픽 화면에서 지정 선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선택 과정의 반복을 통해 중장비에 설치된 모든 올인원 장치(100) 각각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실시예들은 단순한 실시예일 뿐이므로 다른 방식으로 올인원 장치(100)가 중장비에 설치된 위치의 특정이 발생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도 7a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올인원 장치(100)가 중장비에 설치된 수에 따라 리시버 장치(200)의 화면에 출력되는 그래픽 형상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중장비의 운전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대상체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부가적인 효과들이 추가될 수 있다.
아울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시버 장치(200)의 화면에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수준 이하로 감소한 올인원 장치(100)와 배터리가 방전되어 작동이 중지된 올인원 장치(100)가 표시되어 중장비의 운전자가 확인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시버 장치(200)의 화면에는 실시간의 영상이나 그래픽 형상을 대신하여 대상체의 위치 정보가 문자로 명확하게 표시됨으로써 중장비의 운전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대상체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올인원 장치(100)에서 전송하는 경고 신호를 수신 및 변환하여 중장비 주변의 위험 구역 안에 위치한 사람에게 경고 목적의 멘트를 출력하는 포터블 스피커(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포터블 스피커(300)는 중장비의 외부를 향해 설치되는 알림용의 장치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올인원 장치(100)에서 전송하는 경고 신호 중 제1 경고 신호를 수신 및 변환하여 기설정된 경고 멘트를 출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중장비 주변의 위험 반경 안에 위치한 작업자 등이 위험을 인지하고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터블 스피커(300)는 올인원 장치(100)와 같이 하단에 하나 이상의 자성체가 설치되어 중장비의 외부 측에 하나 이상이 자성체의 자력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고, 언제든지 간편하게 회수될 수 있다.
그리고 중장비의 운전자는 전용의 디스플레이 장치나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앱(app)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올인원 장치(100)와 포터블 스피커(300)의 페어링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올인원 장치(100)로 확인용 멘트의 전송을 요청하여 출력되는 멘트를 확인하는 방식 등으로 올인원 장치(100)와 포터블 스피커(300)의 페어링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올인원 장치
→ 110 : 본체부 → 111 : 자성체
→ 120 : 촬영부
→ 130 : 영상 분석부
→ 140 : 신호 생성부
→ 150 : 내장 스피커
→ 160 : 전송부
→ 170 : 진동 센서
200 : 리시버 장치
300 : 포터블 스피커

Claims (5)

  1. 중장비에 설치되어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종류를 식별하고 위치를 확인하며, 확인한 대상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경고음을 출력하고, 운전자의 주의 환기를 위한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리시버 장치(200)로 전송하는 올인원 장치(100); 및,
    상기 올인원 장치(100)에서 전송하는 경고 신호를 수신 및 변환하여 운전자에게 주의 환기 목적의 영상과 경고음을 출력하는 리시버 장치(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안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인원 장치(100)는,
    하단이 일측으로 돌출 확장된 케이스 형태로 구성되고, 그 하단에 하나 이상의 자성체(111)가 설치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하단이 돌출 확장된 방향에서 그 하단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각도 조절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120);
    상기 촬영부(12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종류를 식별하고, 식별한 대상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영상 분석부(130);
    상기 촬영부(12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확인된 대상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140);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경고 신호를 수신 및 변환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내장 스피커(150);
    상기 촬영부(12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생성된 경고 신호를 상기 내장 스피커(150)와 상기 리시버 장치(200)로 전송하는 전송부(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안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올인원 장치(100)에서 생성되는 경고 신호는,
    주의 환기 목적의 멘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내장 스피커(150)로 전송되는 제1 경고 신호와 확인된 대상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그래픽 형상 또는 대상체의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리시버 장치(200)로 전송되는 제2 경고 신호로 구분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안전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올인원 장치(100)는,
    일정수준 이상의 진동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진동 센서(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진동 센서(170)가 일정수준 이상의 진동을 감지할 때 영상의 촬영과 촬영된 영상의 분석을 자동으로 실시하고, 진동을 감지하지 못할 때에는 영상의 촬영과 촬영된 영상의 분석을 자동으로 종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안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인원 장치(100)에서 전송하는 경고 신호를 수신 및 변환하여 중장비 주변의 위험 구역 안에 위치한 사람에게 경고 목적의 멘트를 출력하는 포터블 스피커(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안전 장치.
KR1020220094936A 2022-07-29 2022-07-29 중장비용 안전 장치 KR20240016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936A KR20240016769A (ko) 2022-07-29 2022-07-29 중장비용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936A KR20240016769A (ko) 2022-07-29 2022-07-29 중장비용 안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769A true KR20240016769A (ko) 2024-02-06

Family

ID=8985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936A KR20240016769A (ko) 2022-07-29 2022-07-29 중장비용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76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200B1 (ko) 2017-07-13 2017-09-01 최기성 무선 통신을 이용한 지게차 근접 경고 및 충돌 방지 장치
KR102390021B1 (ko) 2021-12-27 2022-04-26 주식회사 파트넷 Ai와 레이더를 이용한 지게차 안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200B1 (ko) 2017-07-13 2017-09-01 최기성 무선 통신을 이용한 지게차 근접 경고 및 충돌 방지 장치
KR102390021B1 (ko) 2021-12-27 2022-04-26 주식회사 파트넷 Ai와 레이더를 이용한 지게차 안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784B1 (ko) 산업용 및 건설용 중장비 접근감시 및 작동제어 시스템
EP3480374B1 (en) Shovel
KR101322201B1 (ko) 건설용 중장비 접근 감시 시스템
KR102190271B1 (ko) 이동체 접근 경보 시스템
US20190152753A1 (en) System for assisting i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a danger on an aerial lift
JP2009251637A (ja) 車両事故防止ロボット及び車両事故防止システム
KR20160130332A (ko) 산업용 및 건설용 중장비 접근감시 및 작동 감속·정지 제어시스템
US20180144638A1 (en) Novel Applications of a Plurality of Safety Laser Scanners Combined with a Camera or Mobile Computer
JP2015035181A (ja) 遠隔走行制御システム、遠隔走行制御器及び車載走行制御装置
KR102117046B1 (ko) 지게차 충돌 예방 시스템
JP2014161087A (ja) 作業車両用周辺監視システム及び作業車両
JP2017049792A (ja) 指定範囲監視システム
KR20240016769A (ko) 중장비용 안전 장치
KR101558035B1 (ko) Rfid 및 카메라를 이용한 작업장비의 안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31063A (ko) 지게차의 주변 감시용 안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454857B1 (ko) 탐지용 로봇 시스템
KR101887010B1 (ko) 차량 신호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JP5361409B2 (ja) 車両監視装置、車両監視システム、車両監視プログラム、半導体装置
JP2021033701A (ja) 作業支援システム
KR20130102217A (ko) 안전 시스템 및 안전장치의 설치 방법, 안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구동방법
JP2017073040A (ja) 車両用視認装置及び車両用視認制御プログラム
KR102063957B1 (ko) 지게차 작업사고를 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WO2021149775A5 (ko)
KR20130104393A (ko) 열감지 센서를 이용한 고소차 자동 경보 장치 및 제어방법
KR101756092B1 (ko) 애플리케이션 연동 차량용 초음파 센서 모듈 및 그에 의한 차량 탐지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