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645A -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 - Google Patents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645A
KR20240016645A KR1020220094652A KR20220094652A KR20240016645A KR 20240016645 A KR20240016645 A KR 20240016645A KR 1020220094652 A KR1020220094652 A KR 1020220094652A KR 20220094652 A KR20220094652 A KR 20220094652A KR 20240016645 A KR20240016645 A KR 20240016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tube container
sleeve
touch cap
discharg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최영준
Original Assignee
이동훈
최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훈, 최영준 filed Critical 이동훈
Priority to KR1020220094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645A/ko
Publication of KR20240016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64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87Lower closure of the 47-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존물을 배출하는 기능이 있는 튜브용기에 있어서,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와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볼(3)과; 외기가 한 방향으로 들어오기만 하는 체크벨브(11)가 구비된 마개(10)를; 슬리브(2)로 일체로 구성한 단일 재질의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vessel of a discharging survival}
본 발명은 잔존물을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튜브용기에 관한 것으로,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와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볼과; 외기가 한방향으로 들어오기만 하는 체크벨브가 구비된 마개를; 슬리브(2)로 일체로 구성한 단일 재질의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에 관한 것으로 마개를 밑으로 하여 직립으로 세울 수 있는 형태로 디자인하여 블로워 방식으로 제조되는 병 포장용기를 대체할 수 있는 경제적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치약, 화장품 등은 튜브용기 내에 내용물이 충진되어 사용되는데, 이러한 튜브용기는 원통형으로 성형한 슬리브와 별도로 사출 성형된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를 접합하여 튜브용기를 제조하거나, 슬리브와 사출성형으로 목부를 구성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출성형 공법으로 튜브용기를 제조하면 생산성이 낮아 생산 비용이 높고, 튜브용기 이용 중에 캡 연결부위 즉 목부와 캡 사이에 이물질이 발생하여 비위생적이 되거나 아동들의 경우에는 캡을 풀어서 삼키는 안전문제가 유발되거나 캡을 분실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슬리브를 구성하는 필름도 금속을 포함하는 다층의 ABL이나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다층의 PBL이나 PE나 KRAFT PAPER가 구성된 다층의 종이 필름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튜브용기의 한 부품인 슬리브를 구성하는 필름의 종류에 따라서 튜브를 제조하는 방법이 결정되어져 고주파 융착 방법이나 사출성형 방법이나 열풍 융착 방법 등 전용설비를 구비해야 하고 특히 사출 성형 공법은 생산성이 낮은 문제도 야기되고 있다. 특히 열풍 융착 방법은 외관이 미려하지 않아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단일 재질로 튜브용기를 구성하는 어려움이 있어 PE, PP, ALUMIUM 등이 혼합 포함되어 있어서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최근에는 폐기되는 플라스틱 용기로 인하여 환경 문제가 대두되어 포장재 재질·구조 등급표시 기준[환경부고시 제2021-57호] 이 2021년 3월 24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 법률의 제1조(목적) 이 고시는「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9조의3 및 같은 법 시행규칙(이하 "규칙"이라 한다) 제3조의4에 따라 법 제16조제1항에 따른 재활용의무생산자(이하 "의무생산자"라 한다)가 포장재 재질·구조 평가결과를 표시함에 있어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며, 제2조(적용대상)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18조제1호부터 제3호까지에 따른 재활용의무대상 포장재를 대상으로 하는데, 제4조(평가결과 표시 기준 및 방법) 의무생산자는 평가결과를 다음 각 호의 기준과 방법에 따라 표시하여야 하는데, 1항에는 평가결과에 따라 "재활용 최우수", "재활용 우수", "재활용 보통", "재활용 어려움" 중 1가지를 표기하여야 하고, 2항에는 표시 대상 제품·포장재의 표면 한 곳 이상에 인쇄 또는 각인을 하거나 라벨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표시하여야 하지만, 제5조(평가결과 표시의 적용예외) 규칙 제3조의4제1항 단서에서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경우"란, 1항 평가결과 "재활용 최우수", "재활용 우수", "재활용 보통" 등급을 받은 포장재와 3항 "재활용 어려움"등급을 받은 포장재 중 제품의 기능에 장애 발생 등이 우려되어 재질·구조 변경이 어려운 경우로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경우로 영 제18조제1호에 따른 종이팩 중 알루미늄박이 부착된 종이팩 등으로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어서 1항 평가결과 "재활용 최우수", "재활용 우수", "재활용 보통" 등급을 받은 포장재로 선정받기 위하여 단일 재질의 포장용기로 제조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유한한 자원을 최대한 사용하기 위하여 잔존물을 최대한 배출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본 발명은 튜브용기의 한 부품인 슬리브를 구성하는 필름의 종류에 따라서 튜브를 제조하는 방법이 결정되어져 고주파 융착 방법이나 사출성형 방법이나 열풍 융착 방법이나 초음파 융착 방법이나 레이져 융착 방법 등 전용설비를 구비해야 하고 특히 사출 성형 공법은 생산성이 낮은 문제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자원의 재활용에 관하여 포장재 재질·구조 등급표시 기준[환경부고시 제2021-57호] 제4조 1항 평가결과 "재활용 최우수", "재활용 우수", "재활용 보통" 등급을 받은 포장재로 선정받기 위하여 단일 재질의 포장용기와 내용물인 잔존물이 배출되는 포장용기로 할 필요성이 대두되어 단일 재질로 구성된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를 고안하였다.
초음파나 레이져나 히터나 고주파 등 열원을 적용하여 제조되는 한 방향 체크벨브(11)가 구비된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잔존물을 배출하는 기능이 있는 튜브용기에 있어서,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와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볼(3)과; 외기가 한 방향으로 들어오기만 하는 체크벨브(11)가 구비된 마개(10)를; 슬리브(2)로 일체로 구성한 단일 재질의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메틸로센 촉매 또는 지글러-나타 촉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중합한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 유니트 또는 목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맨드럴(mandrel)에 삽입하고, ABL(alumium barrier laminated)이나 PBL(plastic barrier laminated)이나 PE(polyethylene) 또는 KRAFT PAPER로 구성된 슬리브를 맨드럴에 삽입되어 고정된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 유니트 또는 목부에 슬리브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슬리브(2)와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 상부에 열원을 씌워 가압을 하면 1차로 슬리브가 가열, 용융 상태로 유지되며, 2차로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의 테두리 접합부가 가열, 용융되면서 결합이 된다. 이 때 1차 슬리브, 2차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의 테두리 접합부가 용융되는 순서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용융되는 순서가 변경되거나 동시에 용융이 되면 1차로 용융된 슬리브가 수축되며 주름이 지는 접합부를 평평하게 유지시켜줄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의 테두리 접합부가 견고하지 못해서 용융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는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열풍으로 융착하는 공법의 튜브용기는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불량이 발생한다.
상기의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는 소비자에게 미사용을 입증하고 미 개봉을 입증하기 위하여 토출구에 리드실이 융착된 원터치 캡이 힌지로 목부와 일체로 구성된 디자인의 뚜껑이나 용기의 배출구 측에 체결되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일 측면과 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개폐되는 캡을 포함하는 원터치 캡으로서, 상기 힌지의 반대 측의 캡의 전면에 그 전면의 밑단과 소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절취편에 의해 캡 본체의 전면 상부의 둘레를 따라 덮도록 구비되는 개봉 확인편 및 상기 캡 본체의 전면 상부에 캡의 전면 보다 더 돌출되게 상기 복수의 절취편 사이의 캡 밑단과 개봉확인편 상단 사이에 위치하여 개봉확인편의 상단이 걸려져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이 힌지로 목부와 일체로 구성된 디자인의 뚜껑을 포함하고 있다.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볼(3)은 슬리브(2) 내경보다 직경을 다소 크게 구성하여 잔존물을 최소로 하여야 하며, 외기가 한 방향으로 들어오기만 하는 체크벨브(11)가 구비된 마개(10)는 폴리에틸렌 재료로 사출 성형하고 체크벨브(11) 부위를 칼로 일부 절개하여 외력에 의해 절개된 부위가 열리면 한 방향으로만 체크벨브가 개방되도록 구성하고 외력이 소멸되면 개방된 체크벨브가 폐쇄된다.
특히, 잔존물을 배출하는 튜브용기에 내용물을 충진하는데 있어서는 우선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와 슬리브(2)만 결합된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의 개방된 슬리브(2)의 타단으로 충진하고,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볼(3)을 차갑게 냉각하여 삽입하고 외기가 한 방향으로 들어오기만 하는 체크벨브(11)가 구비된 마개(10)를 최종으로 슬리브(2)에 결합하는 순서로 진행하여야 한다. 상기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에 충진하는 과정에서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볼(3)을 차갑게 냉각하여 삽입하는 이유는 내용물을 충진할 때 발생하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틈새를 확보하고 상온에서는 볼이 팽창되어 슬리브(2)와의 밀폐감을 높여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기능을 높이는 것이 냉각하여 삽입하는 이유이며 목적이다.
상기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와 슬리브(2)만으로 구성된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는 열원으로 히터 유니트 또는 고주파 유니트가 적용되는데 튜브용기의 접합부 형상으로 구성된 네스트(nest)를 260도에 320도 정도로 가열하여 융착 한다. 상기와 같이 네스트가 고온을 유지하면서 열 용착이 되면 접합되는 시간은 1초 정도 마무리되어 사출성형 공법으로 제조하는 공법에 비해서 매우 높은 생산성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유니트에는 권장 사양으로 히터와 온도센서가 일체로 결합된 카트리지 히터가 중앙에 위치하고 일단에 네스트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열 손실을 차단하기 위한 열 차폐 판이 구비되고, 네스트의 전면부에는 슬리브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네스트 표면은 고온에서도 용융된 플라스틱이 붙지 않도록 코팅이 되어 있는데 코팅 재질은 테프론 또는 세라믹이 적용되고 있고, 코팅면의 공극을 줄이기 위해 그라핀 파우더를 0.1% 정도 혼합하여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주파 유니트에는 고주파 발생기 내부로 네스트가 구비되어 고주파에 의해 순간적으로 고온으로 가열된다. 상기 네스트 상부에는 가열된 네스트가 설정된 깊이 이상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정지판이 구비되고, 가열된 네스트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판이 네스트 타단에 구비되어 있고, 네스트와 냉각판 사이에는 슬리브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판으로 구비되어 있다. 특히 고주파 유니트의 네스트 표면에도 히터 유니트의 네스트 표면과 동일하게 고온에서도 용융된 플라스틱이 붙지 않도록 코팅이 되어 있는데 코팅 재질은 테프론 또는 세라믹이 적용되고 있고, 코팅면의 공극을 줄이기 위해 그라핀 파우더를 0.1% 정도 혼합하여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잔존물을 배출하는 기능이 있는 튜브용기에 있어서,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와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볼(3)과 외기가 한 방향으로 들어오기만 하는 체크벨브(11)가 구비된 마개(10)를 슬리브(2)와 일체로 구성한 단일 재질의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는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제조 공정이 효율적이며, 생산성이 향상되고, 잔존물 배출로 폐 포장용기를 재활용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특히, PBL(plastic barrier laminated)이나 PE(polyethylene)로 구성된 슬리브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가 조립되지 않고 접합되기 때문에 이용 중에 캡이 분실될 염려가 없으며, 캡 위치가 일정하여 이용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고, 단일 재질로 구성되기에 100% 재활용이 가능하여 포장재 재질· 구조 등급표시 기준[환경부고시 제2021-57호] 제4조 1항 평가결과 "재활용 최우수"등급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사례에 의한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사례에 의한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에서 내용물을 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사례에 의한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를 나타내는 실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사례에 의한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를 구성하는 슬리브의 PBL필름 분석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사례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사례에 의한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사례에 의한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에서 내용물을 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사례에 의한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를 나타내는 실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사례에 의한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를 구성하는 슬리브의 PBL필름 분석도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는 우선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와 슬리브(2)만을 초음파나 레이져나 히터나 고주파 등 열원을 활용하여 융착 구성한다.
소비자에게 미사용을 입증하고 미 개봉을 입증하기 위하여 토출구에 리드실이 융착된 원터치 캡이 힌지로 목부와 일체로 구성된 디자인의 뚜껑이나 용기의 배출구 측에 체결되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일측면과 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개폐되는 캡을 포함하는 원터치 캡으로서, 상기 힌지의 반대 측의 캡의 전면에 그 전면의 밑단과 소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절취편에 의해 캡 본체의 전면 상부의 둘레를 따라 덮도록 구비되는 개봉 확인편 및 상기 캡 본체의 전면 상부에 캡의 전면 보다 더 돌출되게 상기 복수의 절취편 사이의 캡 밑단과 개봉확인편 상단 사이에 위치하여 개봉확인편의 상단이 걸려져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이 힌지로 목부와 일체로 구성된 디자인의 뚜껑을 포함하고 있다.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는 메탈로센(metallocene) 촉매 또는 지글러-나타(zeigler-natta) 촉매, 폴리에틸렌(polythylene)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일예로 메탈로센 촉매 또는지글러-나타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한 폴리에틸렌으로 된 단일 소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은 저밀도(LDPE) 또는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메탈로센 촉매는 과학적인 촉매설계와 합성이 가능하고 고분자 구조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한 폴리에틸렌(이하,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이라 함)은 폴리에틸렌에 비하여 투명성 및 강도, 신장률 등 열적, 구조적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한 폴리에틸렌도 메타로센 폴리에틸렌과 같이 투명성 및 강도, 신장률 등 열적, 구조적 특성이 우수한다. 이하에서는 메타로센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한 폴리에틸렌도 메타로센 폴리에틸렌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슬리브(2)는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며, 슬리브(2)를 구성하는 필름은 도 4의 본 발명의 일실시 사례에 의한 열융착 튜브용기(100)를 구성하는 슬리브(2)의 PBL필름 분석도를 나타낸 것을 참고하면 ABL(alumium barrier laminated)이나 PBL(plastic barrier laminated)이나 PE(polyethylene) 또는 KRAFT PAPER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 재질의 구성된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와 열융착으로 결합되어 분리 수거되면 단일 재질로 재사용이 가능한 PBL(plastic barrier laminated)은 폴리에틸렌(200,220)과 EVOH(210)를 적용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폴리에틸렌(200)과 폴리에틸렌(220) 사이에 EVOH(210)를 위치하도록 하여 PBL(plastic barrier layer)의 기능을 ABL(alumium barrier laminated)이 갖고 있는 기능을 대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EVOH(210)는 에틸렌과 비닐알코올을 공중합하여 얻는 열가소성 수지로, EV0H수지라고도 하는데, 가스를 차단하는 성질, 내약품성, 표면광택성이 뛰어나고 강성이 매우 크며, 주로 식품의 포장용기로 쓰인다.
가스배리어성(가스를 차단하는 성질), 내약품성, 표면광택성이 뛰어나고 강성이 매우 커서 알루미늄을 대체할 수 있다.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볼(3)은 슬리브(2) 내경보다 직경을 다소 크게 구성하여 잔존물을 최소로 하여야 하며, 외기가 한 방향으로 들어오기만 하는 체크벨브(11)가 구비된 마개(10)는 폴리에틸렌 재료로 사출 성형하고 체크벨브(11) 부위를 칼로 일부 절개하여 외력에 의해 절개된 부위가 열리면 한 방향으로만 체크벨브가 개방되도록 구성하고 외력이 소멸되면 개방된 체크벨브가 폐쇄된다.
특히, 잔존물을 배출하는 튜브용기에 내용물을 충진하는데 있어서는 우선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와 슬리브(2)만 결합된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의 개방된 슬리브(2)의 타단으로 충진하고,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볼(3)을 차갑게 냉각하여 삽입하고 외기가 한 방향으로 들어오기만 하는 체크벨브(11)가 구비된 마개(10)를 최종으로 슬리브(2)에 결합하는 순서로 진행하여야 한다. 상기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에 충진하는 과정에서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볼(3)을 차갑게 냉각하여 삽입하는 이유는 내용물을 충진할 때 발생하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틈새를 확보하고 상온에서는 볼이 팽창되어 슬리브(2)와의 밀폐감을 높여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기능을 높이는 것이 냉각하여 삽입하는 이유이며 목적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사례에 의한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를 나타내는 실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와 슬리브(2)만 결합된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 접합부위를 초음파나 레이져나 히터나 고주파 등 열원을 활용하여 융착 구성한다.
상기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를 구현하는데 열원으로 히터 유니트(10) 또는 고주파 유니트(20)가 적용되는데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의 접합부 형상으로 구성된 각각의 네스트(nest)를 260도에 320도 정도로 가열하여 열융착 한다. 상기와 같이 네스트가 고온을 유지하면서 열 용착이 되면 접합되는 시간은 1초 정도 마무리되어 사출성형 공법으로 제조하는 공법에 비해서 매우 높은 생산성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
1: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
2: 슬리브 3: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볼
10: 체크벨브가 구비된 마개 11: 한 방향 체크벨브

Claims (9)

  1. 잔존물을 배출하는 기능이 있는 튜브용기에 있어서,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 와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볼(3)과;
    외기가 한 방향으로 들어오기만 하는 체크벨브(11)가 구비된 마개(10)를;
    슬리브(2)로 일체로 구성한 단일 재질의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
  2. 제1항에 있어서,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인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와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볼(3)과; 외기가 한 방향으로 들어오기만 하는 체크벨브(11)가 구비된 마개(10)를; 슬리브(2)가 단일 재질인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는 소비자에게 미사용을 입증하고 미 개봉을 입증하기 위하여 토출구에 리드실이 융착된 원터치 캡이 힌지로 목부와 일체로 구성된 디자인의 뚜껑이나 용기의 배출구 측에 체결되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일 측면과 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개폐되는 캡을 포함하는 원터치 캡으로서, 상기 힌지의 반대 측의 캡의 전면에 그 전면의 밑단과 소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절취편에 의해 캡 본체의 전면 상부의 둘레를 따라 덮도록 구비되는 개봉 확인편 및 상기 캡 본체의 전면 상부에 캡의 전면 보다 더 돌출되게 상기 복수의 절취편 사이의 캡 밑단과 개봉확인편 상단 사이에 위치하여 개봉확인편의 상단이 걸려져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이 힌지로 목부와 일체로 구성된 디자인의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
  4. 제1항에 있어서,
    슬리브(2)를 구성하는 필름은 ABL(alumium barrier laminated)이나 PBL(plastic barrier laminated)이나 PE(polyethylene) 또는 KRAFT PAPER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
  5. 제 1항과 제 4항에서,
    특히, PE 재질로 구성된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와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볼(3)과 외기가 한 방향으로 들어오기만 하는 체크벨브(11)가 구비된 마개(10)에 슬리브(2)가 결합되어 분리 수거되면 단일 재질로 재사용이 가능한 PBL(plastic barrier laminated)은 폴리에틸렌(200,220)과 EVOH(210)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폴리에틸렌(200)과 폴리에틸렌(220) 사이에 EVOH(210)를 위치하도록 하여 PBL(plastic barrier layer)의 기능을 ABL(alumium barrier laminated)이 갖고 있는 기능을 대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어 친환경 포장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
  6. 잔존물을 배출하는 튜브용기에 내용물을 충진하는데 있어서,
    우선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와 슬리브(2)만이 결합된 튜브용기의 개방된 슬리브(2)의 타단으로 충진하고,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볼(3)을 차갑게 냉각하여 삽입하고 외기가 한 방향으로 들어오기만 하는 체크벨브(11)가 구비된 마개(10)를 최종으로 슬리브(2)에 결합하는 순서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
  7. 상기 7항에서,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에 충진할 때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볼(3)을 차갑게 냉각하여 삽입함으로서 내용물을 충진할 때 발생하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틈새를 확보하고 상온에서는 볼이 팽창되어 슬리브(2)와의 밀폐감을 높여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기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
  8. 제1항에 있어서,
    외기가 한 방향으로 들어오기만 하는 체크벨브(11)가 구비된 마개(10)는 잔존물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볼(3)이 이동하면서 내용물이 토출된 공간만큼 발생된 빈 공간에 슬리브(2)가 보유하고 있는 탄성으로 외기를 들어오도록 하여 튜브용기를 초기 상태로 복원하지만 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한 방향 체크벨브(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
  9. 제1항에 있어서,
    원터치 캡 또는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을 포함하는 목부(1)와 외기가 한 방향으로 들어오기만 하는 체크벨브(11)가 구비된 마개(10)를 슬리브(2)와 일체로 구성하는 공법으로 고주파, 초음파, 레이져 및 히터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100).
KR1020220094652A 2022-07-29 2022-07-29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 KR20240016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652A KR20240016645A (ko) 2022-07-29 2022-07-29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652A KR20240016645A (ko) 2022-07-29 2022-07-29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645A true KR20240016645A (ko) 2024-02-06

Family

ID=89858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652A KR20240016645A (ko) 2022-07-29 2022-07-29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6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4217A (en) Packag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5178390A (ja) 改良型供給パッケージ
JPH068950A (ja) 誘導シール蓋つきのキャップ
BR112020017746B1 (pt) Embalagem de plástico reciclável
JP2007261607A (ja)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61608A (ja)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で製造された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CN117881602A (zh) 融合包装
CN100528695C (zh) 包装容器以及制造该包装容器的方法
KR20240016645A (ko) 잔존물 배출 튜브용기
EP4238883A1 (en) Packaging bag with spout and method for producing packaging bag with spout
JP2021155050A (ja) 紙製チューブ容器
KR20230158879A (ko) 열융착 튜브용기
KR20220162076A (ko) 열융착 튜브용기 제조장치 및 그 운용방법
BR112019018319A2 (pt) Método para criar uma conexão entre componentes de plásticos, e, receptáculo de plástico
EP079617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ackaging container
JP5375291B2 (ja) 二つ折りの包装容器
JP7447729B2 (ja) 振り出し容器
JP2018002160A (ja) 包装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87982B2 (ja) 容器及び容器の製造方法
JPH0212820B2 (ko)
JP2024013028A (ja) チューブ容器
JP2024063424A (ja) 口栓および口栓付きパウチ並びに口栓付きパウチの製造方法
JP2004142789A (ja) 自立袋
JP2020121748A (ja) チューブ容器
JP2023172343A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