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267A - 우베니멕스와 면역관문 저해제의 병용 - Google Patents

우베니멕스와 면역관문 저해제의 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267A
KR20240016267A KR1020237040875A KR20237040875A KR20240016267A KR 20240016267 A KR20240016267 A KR 20240016267A KR 1020237040875 A KR1020237040875 A KR 1020237040875A KR 20237040875 A KR20237040875 A KR 20237040875A KR 20240016267 A KR20240016267 A KR 20240016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ubenimex
tumor
cancer
admin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0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코 이고
다이치 나가이
케이코 세키네
미치코 아이지마
Original Assignee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6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26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5D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CD28 or CD15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27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B7 molecules, e.g. CD80, CD8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양 면역 메커니즘을 이용한 암 치료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치료 방법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보다 효과적인 종양 면역 요법으로서, 항종양성, 염증성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을 항진시키는 약제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또는, 보다 효과적인 종양 면역 요법으로 종양 침윤성 림프구를 증가시키는 약제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면역관문 저해제(ICI)인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및/또는 항CTLA-4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하기 위한, 우베니멕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종양제, 우베니멕스와 ICI의 병용요법은, 이들의 단독 사용과 비교하여, 종양 면역 기능의 향상을 가져오고, 악성 종양의 치료에 많은 유리한 점이 생긴다.

Description

우베니멕스와 면역관문 저해제의 병용
본 발명은 우베니멕스(ubenimex)와 면역관문 저해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 ICI)인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및/또는 항CTLA-4 항체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악성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암의 악화에 염증세포와 면역세포가 관련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발견을 기반으로, 종양 면역 메커니즘에 기초한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다.
우베니멕스((2S)-2-[(2S,3R)-3-아미노-2-히드록시-4-페닐부타노일아미노]-4-메틸펜탄산/베스타틴(등록상표))은 대식세포(macrophage), T세포, NK 세포 등을 비특이적으로 활성화, 및/또는 아미노펩티다아제류를 통해 면역 담당 세포 표면에 결합하여 항종양 면역능력을 활성화함으로써 항종양 작용을 발현하는 약제로서 「성인급성 비림프성 백혈병에 대한 완전 관해유도(remission induction) 후의 유지강화 화학요법제제와의 병용에 의한 생존 기간의 연장」에서 임상으로 이용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한편, 암세포에는 암에 대한 면역반응을 방해하는 다양한 면역관문 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면역억제 메커니즘을 해제하여 항종양 효과를 얻는 치료제의 연구가 적극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면역관문 분자로는 세포예정사 단백질-1(PD-1) 및 세포예정사 리간드-1(PD-L1), 또는 세포 독성 T림프구 항원-4(CTLA-4)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을 표적으로 하는 ICI가 개발되고 있다. PD-1은 활성화된 T세포에서 발현되며, PD-L1 이나 PD-L2와 결합하면 T세포는 활성이 억제되어 기능 장애가 일어나고, 항종양 면역 반응이 억제된다. 암세포 등에서 발현되는 PD-L1은 활성화된 T세포 상의 PD-1과 결합하여 T세포의 활성을 조절하여 항종양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 CTLA-4는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 Treg)나 활성화 T세포 등에 발현되고 있으며, 항원제시 세포상의 CD80/CD86과 T세포상의 CD28의 결합을 저해함으로써 T세포의 활성을 억제하고, 항종양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면역관문 분자의 주된 작용은 T세포의 활성을 억제성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ICI의 타겟은 PD-1, PD-L1, CTLA-4와 각각 다르지만, 그 작용의 본질은 T세포 활성억제의 해제에 있다. 이처럼, PD-1/PD-L1 및 CTLA-4의 신호전달 경로는 종양 면역 반응의 중요한 조절 인자이며, 이를 차단하는 PD-1 저해제, PD-L1 저해제 및 CTLA-4 저해제로서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및 항CTLA-4 항체가 개발되어, 복수의 악성 종양에서 현저한 항종양 효과를 달성하고 있다. 항PD-1 항체로서는 니볼루맙(Nivolumab, 옵디보(OPDIVO, 등록상표)) 및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키트루다(KEYTRUDA, 등록상표)), 항PD-L1 항체로서는 아테졸리주맙(Atezolizumab, 티쎈트릭(TECENTRIQ, 등록상표)), 더발루맙(Durvalumab, 임핀지(IMFINZI, 등록상표)), 아벨루맙(Avelumab, 바벤시오(BAVENCIO, 등록상표)), 항CTLA-4 항체로서는 이필리무맙(Ipilimumab, 여보이(YERVOY, 등록상표))이 임상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악성 종양의 치료에 있어서 ICI의 효과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찾기 위해, 복수의 항종양제를 조합한 병용요법이 시도되고 있고, 다양한 세포파괴성 약제나 분자타겟 약제 등의 항종양제와의 조합, 그 투여 용량이나 투여 스케줄 등을 포함한 병용요법이 검토되고 있다. 또한, 종양 면역과 관련된 약제와의 병용도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항PD-1 항체와 항CTLA-4 항체의 병용요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종양 면역에 관한 저분자 약제와의 병용에 대해서,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는, 아폽토시스 조절인자인 Smac(프로아폽토시스 단백질) 유사화합물(Smac 모방 화합물(SMC))과 ICI의 병용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고, 또한, 특허문헌 4에는 아폽토시스 단백질 저해제(IAP) 길항제와 항PD-1 분자와의 병용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2-15860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표 2019-506438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표 2020-515600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개 2021-506781호 공보
[비특허문헌 1] 의약품 인터뷰폼(interview form) 「항악성종양제 베스타틴 캡슐 10㎎ 베스타틴 캡슐 30㎎」(일본화약 주식회사, 2020년 10월(개정 제7판))
본 발명은 종양 면역 메커니즘을 이용한 암 치료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치료 방법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보다 유효한 종양 면역요법으로서 항종양성 사이토카인 생산을 항진(亢進)시키는 약제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또는, 보다 효과적인 종양 면역 요법으로 종양 침윤성 림프구를 증가시키는 약제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우베니멕스와 ICI의 병용요법이 이들의 단독 사용과 비교하여, 종양 면역 기능의 향상을 가져오고 악성 종양의 치료에 대해 많은 유리한 점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원은 이하의 발명을 요지로 한다.
[1] 면역관문 저해제인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및/또는 항CTLA-4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하기 위한, 우베니멕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종양제.
[2] 상기 [1]에 있어서, 우베니멕스의 용량이, 1회투여시의 혈중농도 시간곡선 하부면적(AUC)이 3.00~50.00㎍·hr/㎖가 되는 용량인, 항종양제.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우베니멕스가 연일투여(everyday medication) 용법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제.
[4] 우베니멕스와 조합하여 투여하기 위한,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및 항CTLA-4 항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ICI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종양제.
[5] 상기 [4]에 있어서, 우베니멕스의 용량이, 1회투여시의 AUC가 3.00 내지 50.00㎍·hr/㎖가 되는 용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제.
우베니멕스와 ICI의 조합에 의해, 종양 면역의 활성화 메커니즘에 기여하는 항종양성 사이토카인 생산이 항진된다. 따라서, 항종양성 사이토카인 생산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6] 면역관문 저해제인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및/또는 항CTLA-4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항종양성 사이토카인 생산을 위한, 우베니멕스를 유효성분 하는 의약.
[7] 상기 [6]에 있어서, 우베니멕스의 용량이, 1회투여시의 AUC가 3.00 내지 50.00㎍·hr/㎖가 되는 용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우베니멕스와 ICI의 조합은 종양 면역에서 주요 인자인 세포독성 T세포(CTL)를 종양에서 증가시키는 효과를 유발하여, 효과적인 종양 면역요법에 기여한다. 따라서 종양 침윤성 림프구 활성화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8] 면역관문 저해제인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및/또는 항CTLA-4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종양 침윤성 림프구를 증가시키기 위한, 우베니멕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9] 상기 [8]에 있어서, 우베니멕스의 용량이, 1회투여시의 AUC가 3.00 내지 50.00㎍·hr/㎖가 되는 용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우베니멕스와 ICI의 조합은 광범위한 악성 종양의 치료에 적용될 수 있는 약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10] 면역관문 저해제인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및/또는 항CTLA-4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소세포 폐암, 비소세포 폐암, 식도암, 두경부암, 뇌종양, 결장·직장암, 결장선암, 위암, 유방암, 간세포암, 췌장암, 담도암, 신장암, 전립선암, 방광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및 흑색종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악성 종양의 치료에 사용되는, 우베니멕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11] 상기 [10]에 있어서, 우베니멕스의 용량이, 1회투여시의 혈중농도 시간곡선 하부면적(AUC)이 3.00∼50.00㎍·hr/㎖가 되는 용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12] 상기 [10] 또는 [11]에 있어서, 우베니멕스가 연일투여의 용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우베니멕스와 ICI의 조합은,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항종양 효과의 증강을 가져온다. 또한, 항종양성 사이토카인이나 종양 침윤성 림프구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유발하여, 보다 효과적인 종양 면역요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우베니멕스와 항마우스 PD-1 항체(J43)의 투여에 의한 마우스 흑색종 세포 B16-F0에 대한 항종양 효과 시험에서 각 군의 평균 종양부피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우베니멕스와 항마우스 PD-1 항체(J43)의 투여에 의한 마우스 흑색종 세포 B16-F0에 대한 항종양 효과 시험에서, 이식후 15일 대조군의 종양부피 평균값에 대한 각 군의 상대 종양부피 비율(T/C)의 개별값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은 우베니멕스와 항마우스 PD-1 항체(J43)의 투여에 의한 혈장 중 IFN-γ의 각 군의 개별값 플롯 및 평균값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오차막대는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 P<0.05)
도 4는 우베니멕스와 항마우스 PD-1 항체(J43)의 투여에 의한 혈장 중 TNF-α의 각 군의 개별값 플롯 및 평균값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오차막대는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 P<0.05)
도 5는 우베니멕스와 항마우스 PD-1 항체(J43)의 투여에 의한 종양편으로부터 분산된 단세포 현탁액 중의 생세포 10000개당 CD8 양성 T세포수의 개별값 플롯 및 평균값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오차막대는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도 6은 우베니멕스와 항마우스 PD-1 항체(J43)의 투여에 의한 CD8 양성 T세포수와 상대 종양부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가로축은 생세포 10000 개당 CD8 양성 T세포의 수를 나타내고, 종축은 대조군의 종양부피 평균값에 대한 개체당 상대 종양부피 비율(TGI)을 나타낸다.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은 현저한 종양 성장 억제를 나타내는 개체군에서 CD8 양성 T세포수가 높은 값의 개체를 나타낸다.
도 7은 우베니멕스와 항마우스 PD-1 항체(J43)의 투여에 의한 말초 혈액중 조절T림프구(Treg) 수의 개별값 플롯 및 평균값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오차막대는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도 8은 우베니멕스와 항마우스 PD-1 항체(J43)의 투여에 의한 말초 혈액중 Treg 수와 상대 종양부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가로축은 말초 혈액중 Treg 수를 나타내고 종축은 대조군의 종양부피 평균값에 대한 개체당 상대 종양부피 비율(TGI)을 나타낸다.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은 현저한 종양 성장 억제를 나타내는 개체군에서 Treg 수가 낮은 값의 개체를 나타낸다.
도 9는 우베니멕스와 항마우스 PD-1 항체(J43)의 투여에 의한 마우스 결장선암 세포 MC38에 대한 항종양 효과 시험에서 각 군의 평균 종양부피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 P<0.05, **: P<0.01)
도 10은 우베니멕스와 항마우스 PD-1 항체(J43)의 투여에 의한 혈장 중 IFN-γ의 각 군의 평균값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 P<0.01)
도 11은 우베니멕스와 항마우스 PD-1 항체(J43)의 투여에 의한 혈장 중 TNF-α의 각 군의 평균값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 P<0.05, **: P<0.01)
도 12는 우베니멕스와 항마우스 PD-1 항체(J43)의 투여에 의한 혈장 중 IL-6의 각 군의 평균값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 P<0.05)
도 13은 우베니멕스와 항마우스 PD-1 항체(J43)의 투여에 의한 혈장 중 KC/GRO(IL-8)의 각 군의 평균값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4는 우베니멕스와 항마우스 PD-1 항체(J43)의 투여에 의한 혈장 중 IL-10의 각 군의 평균값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 P<0.01)
본 발명은 우베니멕스와 ICI를 조합한 항종양제를 요지로 한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베니멕스는 (2S)-2-[(2S,3R)-3-아미노-2-히드록시-4-페닐부타노일아미노]-4-메틸펜탄산으로, 아미노펩티다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디펩티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우베니멕스는 염이 아닌 형태나, 염산염, 인산염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우베니멕스는 「베스타틴(등록상표) 캡슐」로 10㎎ 제제 및 30㎎ 제제가 임상적으로 제공되고 있어,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우베니멕스의 용량은 약학적인 유효량을 사용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1회투여시 AUC가 3.00㎍·hr/㎖보다 크고 50.00㎍·hr/㎖보다 작은 범위가 되는 용량으로 적용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최고혈중농도(Cmax)가 2.0㎍/㎖보다 큰 용량으로 적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AUC가 5.00㎍·hr/㎖보다 크고 50.00㎍·hr/㎖보다 작은 범위가 되는 용량이며, 10.00㎍·hr/㎖보다 크고 50.00㎍·hr/㎖보다 작은 범위로 사용되는 용량이 특히 바람직하다.
우베니멕스의 용법은, 경구적으로 복용해도 되고, 정맥내 투여 등의 비경구적인 경로로 사용해도 된다.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또한, 우베니멕스는 연일투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치료 사이클 기간에 걸쳐, 경구적으로 연일투여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및 항CTLA-4 항체는 종양 면역을 조절하기 위한 면역관문 분자인 PD-1, PD-L1 또는 CTLA-4에 결합하고, PD-1/PD-L1 또는 CTLA-4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하여, 활성화된 T세포에 대한 억제 메커니즘을 해제하여 항종양 효과를 얻는 치료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또는 항CTLA-4 항체는, PD-1, PD-L1 또는 CTLA-4에 결합하여 종양면역 억제기능의 해제를 갖는 항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다.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항CTLA-4 항체는, 많은 항종양제가 출시 또는 개발중이며, 이들을 적용해도 된다.
항PD-1 항체는 니볼루맙(Nivolumab, 옵디보(OPDIVO, 등록상표)) 및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키트루다(KEYTRUDA, 등록상표))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피딜리맙(Pidilizumab, CT-011), PDR-001, JS001, STI-A1110, AMP-224, AMP-514 (MEDI0680)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항PD-L1 항체로는 아테졸리주맙(Atezolizumab, 티쎈트릭(TECENTRIQ, 등록상표)), 더발루맙(Durvalumab, 임핀지(IMFINZI, 등록상표)), 아벨루맙(Avelumab, 바벤시오(BAVENCIO, 등록상표))을 들 수 있다. 또한 BMS-936559 (MDX1105), LY330005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항CTLA-4 항체로는 이필리무맙(Ipilimumab, 여보이(YERVOY, 등록상표))을 들 수 있다. 또한, 트레멜리무맙(Tremelimumab, CP-675206)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우베니멕스와 병용하는 ICI는 항PD-1 항체 및/또는 항PD-L1이 바람직하다. 우베니멕스와 항PD-1 항체의 병용이 보다 바람직하다.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또는 항CTLA-4 항체는, 의학적 유효량을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면, 항PD-1 항체인 니볼루맙(옵디보(등록상표))을 사용하는 경우는, 통상 1회당 240㎎을 2주 간격으로 점적주입하여 적용한다. 펨브롤리주맙(키트루다(등록상표))을 사용하는 경우는, 통상 1회당 200㎎을 3주 간격으로 점적주입하여 적용한다. 항PD-L1 항체인 아테졸리주맙(티쎈트릭(등록상표))을 사용하는 경우는, 통상, 1회당 840㎎을 2주 간격으로 점적주입하여 적용하거나, 1회당 1200㎎을 3주 간격으로 점적주입하여 적용한다. 더발루맙(임핀지(등록상표))을 사용하는 경우는, 통상, 1회당 10㎎/kg을 2주 간격으로 점적주입하여 적용하거나, 1회당 1500㎎을 3주 간격으로 점적주입하여 적용한다. 아벨루맙(바벤시오(등록상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회당 10㎎/kg을 2주 간격으로 점적주입하여 적용한다. 항CTLA-4 항체인 이필리무맙(여보이(등록상표))을 사용하는 경우는, 통상, 1회당 3㎎/kg을 3주 간격으로 4회 점적주입하여 적용한다.
본 발명은 우베니멕스와 ICI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병용요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병용요법이란, 우베니멕스와 ICI를,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의미하고, 복수 약제의 투여를 포함하는 치료 계획에 있어서, 우베니멕스와 ICI의 투여를 포함하는 일련의 치료방법인 것을 포함한다. 동시에 투여하는 것은 두 약제를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연속 투여는 1 일 또는 며칠에 걸쳐 한쪽의 약물을 투여한 후, 임의의 휴약기간을 거쳐 다른 약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우베니멕스를 연일투여하고, 그 투여기간 중에 ICI를 1주 내지 3주마다 투여하는 조합 요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우베니멕스와 ICI의 병용요법은 악성 종양에 대한 치료 용도에 제공된다. 악성종양으로는 소세포폐암, 비소세포폐암, 식도암, 두경부암, 뇌종양, 결장·직장암, 결장선암, 위암, 유방암, 간세포암, 췌장암, 담도암, 신장암, 전립선암, 방광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흑색종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소세포 폐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베니멕스와 ICI의 병용요법은, 각각의 단독으로 투여에 의한 항종양 효과와 비교하여, 이를 초과하는 종양 증식 억제 효과를 가져온다. 즉, 본 발명은 우베니멕스를 ICI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새로운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는 ICI를 우베니멕스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새로운 용도를 포함한다.
우베니멕스와 ICI는 항종양성 면역을 통한 종양 증식 억제를 하는 약제이다. 우베니멕스는 대식세포, NK 세포, T세포, 골수 세포 등의 활성화를 유발하고, 이들에 의한 직접적인 항종양 효과나, 여기에서 생산되는 인터루킨 1 및 2 등의 다양한 사이토카인에 의해 면역계 네트워크를 연쇄적으로 활성화하여 항종양 효과를 발휘하는 약제이다. 또한, ICI는 PD-1/PD-L1 및/또는 CTLA-4의 결합을 저해하고, 면역 억제 신호를 해제하여 암항원 특이적인 T세포의 활성화와 세포 독성의 활성화에 의해 항종양 효과를 얻는 약제이다.
본 발명은 우베니멕스와 ICI의 조합 투여가 각각의 단독 사용과 비교하여 항종양성 면역을 증강시키는 것을 발견하고, 항종양 면역 증강제로서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우베니멕스와 ICI의 조합 투여는, 인터페론(INF)-γ나 TNF-α 등의 항종양성 사이토카인, IL-6이나 IL-8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IL-10 등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우베니멕스는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IL-1 및 IL-2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베니멕스를 ICI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우베니멕스의 단독투여와 비교하여, 항종양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의 생산이 명백하게 항진된다. 따라서, ICI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 인해, 우베니멕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종양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의 생산 증강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항종양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의 생산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우베니멕스의 용량은, 의약적 유효량을 사용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1회투여시 AUC가 3.00㎍·hr/㎖보다 크고 50.00㎍·hr/㎖보다 작은 범위가 되는 용량을 적용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Cmax가 2.0㎍/㎖보다 큰 용량으로 적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AUC가 5.00㎍·hr/㎖보다 크고 50.00㎍·hr/㎖보다 작은 범위가 되는 용량이며, 10.00㎍·hr/㎖보다 크고 50.00㎍·hr/㎖보다 작은 범위로 사용되는 용량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우베니멕스와 ICI의 조합 투여는 종양 침윤성 림프구의 유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우베니멕스 및 ICI는 CTL의 유도 및 활성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우베니멕스를 ICI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우베니멕스 단독투여와 비교하여 더 많은 종양 침윤성 림프구의 유도를 가져온다. 따라서, ICI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우베니멕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종양 침윤성 림프구의 유도 증강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종양 침윤성 림프구의 유도를 위한 우베니멕스의 용량은, 의약적 유효량을 사용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1회투여시 AUC가 3.00 ㎍·hr/㎖보다 크고 50.00 ㎍·hr/㎖보다 작은 범위가 되는 용량으로 적용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Cmax가 2.0 ㎍/㎖보다 큰 용량으로 적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AUC가 5.00 ㎍·hr/㎖보다 크고 50.00 ㎍·hr/㎖보다 작은 범위가 되는 용량이며, 10.00 ㎍·hr/㎖보다 크고 50.00 ㎍·hr/㎖보다 작은 범위로 사용되는 용량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우베니멕스와 ICI의 조합 투여는, 항종양성 면역에 있어서의 억제인자인 Treg의 유도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항종양 면역을 통한 종양 성장 억제는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CTL의 유도·활성화와 함께, 종양 면역 억제 메커니즘의 해제와 함께 기능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베니멕스와 ICI의 조합 투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암세포에 종양 침윤성 림프구를 유도하는 메커니즘과 함께, Treg의 유도를 억제하여 효율적인 항종양 면역요법을 제공할 수 있다.
Treg의 유도 억제를 위해서는, 우베니멕스의 용량은, 의약적 유효량을 사용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1회투여시 AUC가 3.00 ㎍·hr/㎖보다 크고 50.00 ㎍·hr/㎖보다 작은 범위가 되는 용량으로 적용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Cmax가 2.0 ㎍/㎖보다 큰 용량으로 적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AUC가 5.00 ㎍·hr/㎖보다 크고 50.00 ㎍·hr/㎖보다 작은 범위가 되는 용량이며, 10.00 ㎍·hr/㎖보다 크고 50.00 ㎍·hr/㎖보다 작은 범위로 사용되는 용량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우베니멕스와 ICI의 병용요법에 있어서, 추가로 다른 항종양제를 조합한 병용요법으로 할 수도 있다. 다른 항종양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항종양제로서 허가되어 있는 의약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이포스파미드, 테모졸로미드 등의 알킬화제;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피라루비신, 암루비신, 독소루비신 내포 리포좀 제제(독실(등록상표)) 등의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종양제; 시스플라틴, 카르보플라틴, 옥살리플라틴 등의 항종양성 백금 착물; 에토포사이드, 에토포사이드 포스페이트, 테니포사이드 등의 에토포사이드류; 이리노테칸, 노기테칸 등의 캄프토테신류;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카바지탁셀, 알부민 현탁형 파클리탁셀(아브락산(등록상표)) 등의 탁산류;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빈데신, 비노렐빈 등의 빈카알칼로이드류; 에리불린 등의 튜불린 중합 억제제; 5-플루오로우라실, 테가푸르, 테가푸르-우라실 합제(UFT), 테가푸르-기메라실-오테라실칼륨 합제(S-1), 트리플루리딘·티피라실 합제(론서프(등록상표)), 후트론, 카페시타빈, 젬시타빈, 시토신 아라비노사이드, 아자시티딘 등의 핵산대사 길항제; 메토트렉세이트, 페메트렉시드 등의 엽산대사 길항제;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등의 스테로이드류가 있다.
또한, 엘로티닙, 라파티닙, 제피티닙, 아파티닙, 오시멜티닙, 액시티닙, 스니티닙, 소라페닙, 레고라페닙, 렌바티닙, 알렉티닙, 크리조티닙, 파조파닙 등의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보르테조밉, 카르필조밉, 익사조밉 등의 프로테아좀 저해제; 팔보시클립 등의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제 저해제; 에베로리무스, 템시로리무스 등의 mTOR 저해제; 트라스투주맙, 세툭시맙, 네시투무맙, 베바시주맙, 파니투무맙, 라무시루맙 등의 항성장인자(수용체) 항체; 그 밖에도 공지된 항종양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항종양제는 의약적 유효량을 공지된 용법의 조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소세포폐암의 치료제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공지의 치료 방법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파클리탁셀, 알부민 현탁 파클리탁셀(아브락산(등록상표)), 도세탁셀, 테가푸르-기메라실-오테라실칼륨 합제(S-1), 젬시타빈, 페메트렉시드, 비노렐빈, 제피티닙, 엘로티닙, 아파티닙, 아파티니브, 오시멜티닙, 네시투뮤맵 등을 병용제로서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항종양제에, 추가로 시스플라틴 또는 카보플라틴의 항종양성 백금 착물 조합한 화학요법을 추가로 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파클리탁셀과 항종양성 백금 착물의 병용, 알부민 현탁 파클리탁셀(아브락산(등록상표))과 항종양성 백금 착물의 병용, 페메트렉시드와 항종양성 백금 착물의 병용, 테가푸르-기메라실-오테라실칼륨 합제(S-1)와 항종양성 백금 착물의 병용이다. 이들 병용하는 다른 항종양제는 비소세포 폐암에서 유효성이 확인된 용법 및 용량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재료는 이하와 같이 얻어서 각 시험에 제공하였다.
(1) 종양세포
마우스 흑색종 B16-F0은 ATCC(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입수하였다. 이것을 10% 소태아혈청(Corning International, Inc.) 및 100㎍/㎖ 카나마이신 황산염을 함유하는 DMEM(Thermo Fisher Scientific Inc.)안에 CO2인큐베이터내(37℃, 5% 이산화탄소 하)에서 배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마우스 결장 선암 세포주 MC38은 GenOway S. A.에서 입수하였다. 이것을 10% 소태아혈청(Corning International, Inc.), 2mM L-glutamine(Thermo Fisher Scientific Inc.), 10mM HEPES(Thermo Fisher Scientific Inc.), 1mM Sodium pyruvate(후지필름 와코 쥰야쿠 주식회사), 0.1 mM MEM Non-Essential Amino Acids Solution(Thermo Fisher Scientific Inc.), penicillin/streptomycin(후지필름 와코 쥰야쿠 주식회사)을 포함하는 DMEM(Thermo Fisher Scientific Inc.)안에 CO2 인큐베이터내(37℃, 5% 이산화탄소하)에서 배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2) 피시험 물질
우베니멕스는 일본화약 주식회사로부터 입수하였다.
항마우스 PD-1 항체(클론 J43) 및 이소타입 대조 항체 IgG(polyclonal Armenian hamster IgG)는 BioXcell 사로부터 입수하였다.
우베니멕스는 주사용 증류수(주식회사 오츠카 제약 공장)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항마우스 PD-1 항체 및 IgG는 PBS(-)(Thermo Fisher Scientific Inc.)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마우스 흑색종 세포 B16-F0의 피하이식 모델을 사용하여, 우베니멕스 및 항마우스 PD-1 항체의 병용 투여에 의한 항종양 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동시에, 사이토카인 및 면역계 마커의 변동을 확인하였다.
암컷 C57BL/6N 마우스(니혼 찰스·리버 주식회사)의 피하에 2×105 개의 B16-F0를 이식하여 피하이식 모델을 제작하였다.
B16-F0의 피하이식 모델 마우스에게 우베니멕스를 5 또는 50㎎/kg의 용량으로 이식 다음날부터 이식후 14일까지 1일 1회, 총 14회 경구 투여하였다. 또한, 항마우스 PD-1 항체를 이식후 4, 7, 11 및 14일에 200㎍/body의 용량으로 복강내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 항마우스 PD-1 항체의 이소타입 대조군인 IgG 항체를 항마우스 PD-1 항체와 동일한 조건으로 투여하였다. 각 투여군의 구성을 표 1에 정리하였다.
피시험 물질 투여량 투여스케줄 동물수
1 대조(아르메니아 햄스터-IgG) 200㎍/body 주 2회* 8
2 우베니멕스 5㎎/kg 1일 1회 8
3 우베니멕스 50㎎/kg 1일 1회 8
4 항PD-1항체(J43) 200㎍/body 주 2회* 8
5 우베니멕스 5㎎/kg 1일 1회 8
항PD-1항체(J43) 200㎍/body 주 2회*
6 우베니멕스 50㎎/kg 1일 1회 8
항PD-1항체(J43) 200㎍/body 주 2회*
*:이식후 4, 7, 11, 14일
종양의 장경 및 단경을 디지털 캘리퍼스(주식회사 미츠토요)로 계측하고, 종양 부피(㎣)을 「장경×단경2/2」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또한, 이식후 15일의 종양 부피값 이용하여, 대조군에 대한 각 투여군의 상대 종양 부피(T/C)을 「피험 물질 투여군의 평균 종양 부피/대조군의 평균 종양 부피×100」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동물은 최종투여 다음날인 이식후 15일에 모두 부검하였다. 부검일에, EDTA·2K 용액을 첨가한 시린지 및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경정맥으로부터 채혈하고, 다항목 자동 혈구분석장치 XN-2000V(시스멕스 주식회사)로 총 백혈구수를 측정하였다. 마취하에서 복대동맥으로부터 헤파린 나트륨 용액을 첨가한 시린지 및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채혈하고, 이어서 종양을 채취하였다. 혈액과 종양 조직은 면역표현법(Immunophenotyping)을 이용하였다.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혈장은 ELISA법에 의해 사이토카인을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에는, 통계분석 소프트웨어 EXSUS(ver. 10.0, 주식회사 CAC 크로아)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각 투여군, 병용군과 각각의 단제군(單劑群)에서 Wilcoxon 검정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 P<0.05에서 통계 양측검정하였다.
[실시예 1.1] 항종양 효과
각 투여군에서의 종양 성장 추이를 도 1에 나타냈다. 이식후 15일에 대조군(IgG 투여)에 대한 상대평균 종양부피(T/C)에 있어서, 우베니멕스 5 ㎎/kg 과 50㎎/kg 투여군 및 항PD-1 항체 투여군은 대조군에 대한 종양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음에 반해, 우베니멕스의 고용량과 항PD-1 항체의 병용군의 T/C는 68%로 종양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우베니멕스와 항PD-1 항체의 병용은, 각각의 단독투여로는 확인되지 않은 종양증식 억제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1의 항종양 효과를 상대 종양부피의 개별값으로 해석한 바, 이식후 15일의 T/C가 100% 미만을 나타낸 개체는, 각 단제 투여에서는 군의 반수 이하인 반면, 우베니멕스 저용량과 항PD-1 항체의 병용군 및 우베니멕스 고용량과 항PD-1 항체의 병용군에서는 모두 과반수가 되는 8마리 중 5마리였다(도 2).
[실시예 1.2] 항종양성 사이토카인 생산
각 투여군에 있어서의 혈장 중의 항종양성 사이토카인으로, IFN-γ 및 TNF-α 농도를, 레비스 Mouse IFN-γ ELISA kit, 레비스 Mouse TNF-α ELISA Kit(후지필름 와코 시바야기 주식회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냈다.
우베니멕스 고용량과 항PD-1 항체의 병용군은 대조군, 우베니멕스 단제의 각 투여량군 및 항PD-1 항체 단독의 투여군에 비해 분명한 IFN-γ의 생산 증강 효과를 보였다. 우베니멕스 고용량의 병용군은 대조군 및 우베니멕스 단제 고용량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값 0.02, 도 3).
또한, 우베니멕스와 항PD-1 항체의 병용군은 대조군, 우베니멕스 단제의 각 투여량군 및 항PD-1 항체 단독의 투여군에 비해 TNF-α의 생산 증강 효과를 보였다. 우베니멕스 고용량과 항PD-1 항체의 병용군에서는, 대조군 및 우베니멕스 단제의 고용량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값 0.045, 도 4).
IFN-γ 및 TNF-α는 면역계 네트워크를 연쇄적으로 활성화시켜 항종양 효과에 기여하는 항종양성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져 있다. 우베니멕스와 항PD-1 항체의 병용군이 종양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으로부터, IFN-γ 및 TNF-α는 종양증식 억제에 기여하고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1.3] 종양 침윤 림프구의 면역표현법(Immunophenotyping)
항종양 효과를 확인한 후, 부검에 의해 채취한 종양 조직에 대해서, 유세포분석법(flow cytometry)에 의해 종양 침윤 림프구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면역표현법(Immunophenotyping)은 항마우스 CD45 항체, 항마우스 CD3 항체, 항마우스 CD4 항체, 항마우스 CD8 항체, 항마우스/인간 CD11b 항체, 항마우스 CD25 항체, 항마우스/인간 FOXP3 항체, 항마우스 CD16/32 항체(BioLegend), Lysing Buffer(BD Biosciences), True-Nuclear Transcription Factor Buffer Set(BioLegend), Tumor Dissocioation Kit, mouse(Milteny biotec)를 이용하였다.
종양편을 Tumor Dissociation Kit의 효소액 내에서 잘게 자르고, gentle MACS Octo Dissociator로 기계적으로 분산시킨 후, 37℃에서 부드럽게 진탕하면서 40분 동안 배양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 후, 다시 기계적 분산 처리를 실시하였다. 10% FBS 함유 RPMI1640을 첨가하고, 70㎛의 셀 스트레이너를 통과하고, 원심처리 후, 세포괴(cell aggregation)를 10% FBS 함유 RPMI1640에 재현탁하고, 이것을 종양편으로부터 분산 제조한 단세포 현탁액으로 하였다. 단세포 현탁액의 일부를 예비분리하고, Lysing Buffer로 용혈처리, 항마우스 CD16/32 항체로 Fc 수용체의 블로킹 처리후, 세포표면마커(cell surface marker) CD45, CD3, CD4, CD8, CD11b를 염색하고, 유세포분석계 LSRII(BD Biosciences)로 측정하였다.
평가는 CTL인 CD8 양성 T세포(CD45+, CD3+, CD8+)를 지표로 했다. CD8 양성 T세포율은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er) 측정에서 단세포 현탁액 중의 전 생세포(living cell) 분획의 카운트 수와 CD8 양성 T세포의 카운트 수로부터 산출된 CD8 양성 T세포율을 사용하여 단세포 현탁액 중의 총 생세포수의 총 CD8 양성 T세포수를 산출하고, 생세포 10000개당 CD8 양성 T세포수로서 산출하였다. 각 투여군에서 CD8 양성 T세포 수의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
종양 중의 CD8 양성 T세포수는, 우베니멕스 고용량과 항PD-1 항체의 병용군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는 개체가 인정되었다. CD8 양성 T세포수와 상대 종양부피와의 상관관계를 검토하면, 현저한 종양 증식 억제를 나타내는 각 병용군의 개체에서, CD8 양성 T세포수의 높은 값을 나타내는 개체와의 일치가 인정되고, 우베니멕스 고용량 뿐만아니라, 저용량의 병용에 있어서도 종양증식 억제효과에 기여하는 CD8 양성 T세포의 유도 작용이 인정되었다(도 6). CD8 양성 T세포는 CTL로서 종양 세포를 손상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따라서, 우베니멕스와 항PD-1 항체의 병용은 종양 중에서 CTL을 유도하여 종양 증식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1.4] 말초혈액중 림프구의 면역표현법
항종양 효과를 확인 후, 부검에 의해 채취한 혈액에 대해 유세포분석법(flow cytometry)에 의해 말초혈액중 림프구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말초혈액을 Lysing Buffer로 용혈처리하고, 말초혈액 단핵세포(PBMC)로 한 후, 항마우스 CD16/32 항체로 Fc수용체를 블로킹하고, 세포표면마커(cell surface marker) CD45, CD3, CD4, CD8, CD25를 염색 하였다. PBMC를 고정, 투과처리하고, 핵내인자 FOXP3을 염색하고,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er) LSRII(BD Biosciences)로 측정하였다.
평가는, CD45+, CD3+, CD4+, CD25+, FOXP3+로 동정되는 Treg를 지표로 하였다. CD45 양성 세포에서 Treg의 존재 비율을 계산하고, 총 백혈구 수의 값으로부터 말초혈액 1㎕ 당 Treg수를 계산하였다. 각 투여군에서의 Treg 수에 대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냈다.
말초혈액 중 Treg 수는, 항PD-1 항체 단제 투여군, 우베니멕스 저용량 및 고용량에서의 항PD-1 항체의 병용군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도 7). 한편, 우베니멕스 단제 투여군에서는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Treg수와 상대 종양부피의 상관 관계를 보면, 현저한 종양 증식 억제를 나타내는 병용군의 개체에서, Treg 수가 낮은 값을 나타내는 개체와 일치되는 것이 인정되어, 우베니멕스 고용량뿐만 아니라 저용량의 병용에 있어서도 종양증식 억제효과에 기여하는 Treg 유도의 억제작용이 인정되었다(도 8). Treg는 종양 면역에서 주요 기능을 갖는 CTL에 대한 활성화 억제 또는 장애를 나타내는 작용을 갖는다. 따라서 Treg의 감소 효과는 종양 면역이 촉진되어 종양 성장 억제에 기여하는 효과이다.
면역표현법의 결과, 우베니멕스와 항PD-1 항체의 병용 투여군은 Treg의 유도를 억제하고, 또한 종양내의 CTL을 유도하는 것이 분명해져, 종양 국소에서의 종양 면역 작용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우베니멕스와 항PD-1 항체의 조합 투여는, 우베니멕스가 가지는 림프구 활성화 작용을 기초로, 종양내 CTL수의 증가, 항종양성 사이토카인 생산의 증가, 종양 면역관용(immune tolerance) 상태의 해제 등, 복수의 종양 면역계 네트워크를 활성화시켜 항종양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마우스 혈중농도의 추이
절식 후의 9주령 암컷 C57BL/6N 마우스(일본 찰스리버 주식회사)에, 우베니멕스의 5㎎/kg 또는 50㎎/kg을 각 군 9마리씩 1회 경구투여하였다. 채혈시점은 투여후 5, 10, 30분, 1, 3, 6, 8, 12 및 24시간의 9개의 시점으로 하고, 투여후 5분부터 6시간까지는 이소플루란 마취하에서 경정맥으로부터 0.1㎖ 채혈하고, 투여후 8시간 이후에는 이소플루란 마취하에 후대정맥으로부터 전체 채혈하였다. 각 시점 n=3을 확보하기 위해, 1개 개체로부터 3시점에 채혈하고, 3마리 1조로 동물을 교체하는 간헐적 채혈(sparse sampling)을 하였다. 얻어진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제조한 후, 혈장 중 우베니멕스 농도를 액체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기(LC/MS/MS)로 측정하였다. 각 투여량에서의 약동학적 파라미터(pharmacokinetic parameter)를 표 2에 나타낸다.
Dose Tmax Cmax AUCinf MRTinf
㎎/㎏ hr ㎍/㎖ ㎍·h/㎖ hr
5 0.083 4.6 3.24 0.872
50 0.17 44 47.7 0.918
50㎎/5㎎ 비율 - 9.57배 14.7배 1.05배
Cmax는 용량에 비례하고 MRTinf는 용량에 관계없이 일정하였다. AUCinf의 50㎎/5㎎ 비율은 투여량보다 높은 큰 경향을 보였으나, 마우스에서 5 내지 50㎎/kg의 용량으로 대체적인 용량 비례성(dose proportionality)이 얻어졌다.
[실시예 3] 항종양 효과
마우스 결장선암세포 MC38의 피하이식 모델을 사용하여, 우베니멕스 및 항마우스 PD-1 항체의 병용투여에 의한 항종양 효과를 평가하였다.
암컷 C57BL/6N 마우스(일본 찰스리버 주식회사)의 피하에 1×105 개의 MC38을 이식하여 피하이식 모델을 만들었다. MC38의 피하이식 모델 마우스에게 우베니멕스를 0.5 또는 5 ㎎/kg의 용량으로 이식 다음날부터 이식후 24일까지 1일 1회, 총 24회 경구투여하였다. 또한, 항마우스 PD-1 항체를 이식후 7, 11, 14, 18, 21 및 24 일에 50㎍/body의 용량으로 복강 내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서 항마우스 PD-1 항체의 이소타입 대조군인 IgG 항체를 항마우스 PD-1 항체와 동일한 조건으로 투여하였다. 각 투여군 구성을 표 3에 정리하였다.
피시험 물질 투여량 투여스케줄 동물수
1 대조(아르메니아 햄스터-IgG) 50㎍/body 주 2회* 7
2 우베니멕스 0.5㎎/kg 1일 1회 9
3 우베니멕스 5㎎/kg 1일 1회 10
4 항PD-1항체(J43) 50㎍/body 주 2회* 9
5 우베니멕스 0.5㎎/kg 1일 1회 9
항PD-1항체(J43) 50㎍/body 주 2회*
6 우베니멕스 5㎎/kg 1일 1회 9
항PD-1항체(J43) 50㎍/body 주 2회*
*: 이식후 7, 11, 14, 18, 21, 24일
종양의 장경 및 단경을 디지털 캘리퍼스(주식회사 미츠토요)로 계측하고, 종양부피(㎣)을 「장경×단경2/2」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또한, 이식후 25일의 종양 부피값을 이용하여, 대조군에 대한 각 투여군의 상대 종양부피(T/C)을 「피시험물질 투여군의 평균 종양부피/대조군의 평균 종양부피×100」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통계분석은, 통계분석 소프트웨어 EXSUS(ver. 1.0, 주식회사 EP크로아)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각 투여군, 병용군과 각각의 단제군에서, 이식후 5일의 종양부피값에 대해 Wilcoxon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유의수준 P<0.05 및 P<0.01에서 통계 양측검정하였다.
각 투여군에서의 종양 성장 추이를 도 9에 나타냈다. 이식후 25일에 있어서 우베니멕스 단제 또는 항PD-1 항체 단제 투여군의, 대조군(IgG 투여)에 대한 상대 평균 종양부피(T/C)는, 우베니멕스의 0.5㎎/kg군은 62%, 우베니멕스의 5㎎/kg군은 51%, 항PD-1 항체군은 33%이고, 모두 항종양 효과를 나타냈다. 병용군의 T/C는 우베니멕스 0.5㎎/kg과 항PD-1 항체의 병용군에서는 37%, 우베니멕스 5㎎/kg과 항PD-1 항체의 병용군에서는 19%이었다.
우베니멕스의 용량 의존적 항종양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우베니멕스 5㎎/kg과 항PD-1 항체의 병용군에서는, 단제보다 강한 효과가 인정되었다(대조군에 대한 P값: 0.002, 우베니멕스 5㎎/kg군에 대한 P값: 0.015, 우베니멕스 0.5㎎/kg과 항PD-1 항체의 병용군에 대한 P값: 0.039, 도 9).
[실시예 4] 사이토카인 생산
마우스 결장선암세포 MC38의 피하이식 모델을 사용하여, 우베니멕스와 항마우스 PD-1 항체의 병용 투여에 의한 혈장 중 사이토카인의 추이를 평가하였다.
암컷 C57BL/6N 마우스 (일본 찰스리버 주식회사)의 피하에 1×105개의 MC38을 이식하여 피하이식 모델을 만들었다. MC38의 피하이식 모델 마우스에게 우베니멕스를 5㎎/kg 용량으로 이식 다음날부터 이식후 24일까지 1일 1회, 총 24회 경구 투여하였다. 또한, 항마우스 PD-1 항체를 이식후 7, 11, 14, 18, 21 및 24 일에 50㎍/body의 용량으로 복강내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서 항마우스 PD-1 항체의 이소타입 대조군인 IgG 항체를 항마우스 PD-1 항체와 동일한 조건으로 투여하였다. 각 투여군 구성을 표 4에 정리하였다.
피시험 물질 투여량 투여스케줄 동물수
1 대조(아르메니아 햄스터-IgG) 50㎍/body 주 2회* 6
2 우베니멕스 5㎎/kg 1일 1회 5
3 항PD-1항체(J43) 50㎍/body 주 2회* 6
4 우베니멕스 5㎎/kg 1일 1회 6
항PD-1항체(J43) 50㎍/body 주 2회*
*: 이식후 7, 11, 14, 18, 21, 24일
이식후 7, 14, 21 또는 24일에, 헤파린나트륨 용액(모치다 제약 주식회사)을 첨가한 시린지 및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경정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채취한 혈액을 원심분리하고, 얻어진 혈장을 이용하여 ELISA법 또는 전기화학발광법에 의해 사이토카인을 측정하였다. IFN-γ 농도는 레비스 Mouse IFN-γ ELISA kit(후지필름 와코시바야기 주식회사)를 이용하고, TNF-α, IL-6, KC/GRO(IL-8) 및 IL-10 농도는, V-PLexfrPr Panel 1 Mouse Kit (Meso Scale Diagnostics, LL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추이를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냈다.
통계 분석은, 통계 분석 소프트웨어 EXSUS(ver. 10.0, 주식회사 EP 크로아)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각 투여군에서 Wilcoxon 검정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 P<0.05 및 P<0.01로 통계 양측검정하였다.
우베니멕스와 항PD-1 항체의 병용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이토카인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병용군은 대조군, 우베니멕스 단제 및 항PD-1 항체 단제 투여군에 비해 IFN-γ, TNF-α, IL-6, KC/GRO(IL-8) 및 IL-10의 분명한 생산 증강 효과를 나타냈다(도 10 내지 도 14). 이식후 21일 또는 24일 대조군에 대한 병용군의 P값은, IFN-γ는 0.003, TNF-α는 0.045, IL-6은 0.031, IL-10은 0.008이었다.
IFN-γ, TNF-α, IL-6 및 IL-8은 면역계 네트워크를 연쇄적으로 활성화하여 항종양 효과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항종양성 사이토카인 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져 있다. IL-10은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항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져 있다. 실시예 3에서 우베니멕스와 항PD-1 항체의 병용군이 각각의 단제 투여군보다 강한 종양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으로부터, 우베니멕스와 항PD-1 항체의 조합투여는 IFN-γ, TNF-α, IL-6 및 KC/GRO(IL-8)의 생산 증가를 가져오고, 종양 성장 억제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IL-10은 상기 사이토카인의 생산 증가에 반응하여 보상적으로 증가하고, 생체의 과도한 염증반응을 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Claims (12)

  1. 면역관문 저해제인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및/또는 항CTLA-4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하기 위한, 우베니멕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종양제.
  2. 제1항에 있어서, 우베니멕스의 투여량은, 1회 투여시의 혈중농도 시간곡선 하부면적(AUC)이 3.00 ㎍·hr/㎖ 내지 50.00 ㎍·hr/㎖가 되는 용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우베니멕스가 연일투여 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제.
  4. 우베니멕스와 조합하여 투여하기 위한, 면역관문 저해제인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및 항CTLA-4 항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종양제.
  5. 제4항에 있어서,
    우베니멕스의 투여량은, 1회 투여시의 혈중농도 시간곡선 하부면적(AUC)이 3.00 ㎍·hr/㎖ 내지 50.00 ㎍·hr/㎖가 되는 용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제.
  6. 면역관문 저해제인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및/또는 항CTLA-4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항종양성 사이토카인 생산을 항진시키기 위한, 우베니멕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7. 제6항에 있어서,
    우베니멕스의 용량은, 1회 투여시의 혈중농도 시간곡선 하부면적(AUC)이 3.00 ㎍·hr/㎖ 내지 50.00 ㎍·hr/㎖가 되는 용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8. 면역관문 저해제인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및/또는 항CTLA-4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종양 침윤성 림프구를 증가시키기 위한, 우베니멕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9. 제8항에 있어서, 우베니멕스의 용량은, 1회 투여시의 혈중농도 시간곡선 하부면적(AUC)이 3.00 ㎍·hr/㎖ 내지 50.00 ㎍·hr/㎖가 되는 용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10. 면역관문 저해제인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및/또는 항CTLA-4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소세포 폐암, 비소세포 폐암, 식도암, 두경부암, 뇌종양, 결장·직장암, 결장선암, 위암, 유방암, 간세포암, 췌장암, 담도암, 신장암, 전립선암, 방광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및 흑색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악성종양의 치료에 사용되는, 우베니멕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11. 제10 항에 있어서,
    우베니멕스의 투여량은 1회 투여시 혈중농도 시간곡선 하부면적(AUC)이 3.00 ㎍·hr/㎖ 내지 50.00 ㎍·hr/㎖가 되는 용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우베니멕스가 연일투여 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KR1020237040875A 2021-05-28 2022-05-25 우베니멕스와 면역관문 저해제의 병용 KR202400162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89984 2021-05-28
JPJP-P-2021-089984 2021-05-28
PCT/JP2022/021320 WO2022250070A1 (ja) 2021-05-28 2022-05-25 ウベニメクスと免疫チェックポイント阻害剤の併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267A true KR20240016267A (ko) 2024-02-06

Family

ID=8422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875A KR20240016267A (ko) 2021-05-28 2022-05-25 우베니멕스와 면역관문 저해제의 병용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40082196A1 (ko)
EP (1) EP4349362A1 (ko)
JP (1) JPWO2022250070A1 (ko)
KR (1) KR20240016267A (ko)
CN (1) CN117412762A (ko)
AU (1) AU2022280511A1 (ko)
CA (1) CA3220025A1 (ko)
TW (1) TW202313091A (ko)
WO (1) WO202225007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8605A (ja) 2005-05-09 2012-08-23 Ono Pharmaceut Co Ltd ProgrammedDeath1(PD−1)に対するヒトモノクローナル抗体および抗PD−1抗体単独または他の免疫療法と併用した癌治療方法
JP2019506438A (ja) 2016-02-24 2019-03-07 チルドレンズ ホスピタル オブ イースタン オンタリオ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がんの処置のためのsmc組合せ療法
JP2020515600A (ja) 2017-03-31 2020-05-28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抗がん併用療法
JP2021506781A (ja) 2017-12-21 2021-02-22 デバイオファー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ー. Iapアンタゴニスト及び抗pd−1分子による併用抗癌療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30703A1 (en) * 2018-03-12 2021-02-04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Use of caloric restriction mimetics for potentiating chemo-immun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canc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8605A (ja) 2005-05-09 2012-08-23 Ono Pharmaceut Co Ltd ProgrammedDeath1(PD−1)に対するヒトモノクローナル抗体および抗PD−1抗体単独または他の免疫療法と併用した癌治療方法
JP2019506438A (ja) 2016-02-24 2019-03-07 チルドレンズ ホスピタル オブ イースタン オンタリオ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がんの処置のためのsmc組合せ療法
JP2020515600A (ja) 2017-03-31 2020-05-28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抗がん併用療法
JP2021506781A (ja) 2017-12-21 2021-02-22 デバイオファー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ー. Iapアンタゴニスト及び抗pd−1分子による併用抗癌療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의약품 인터뷰폼(interview form) 「항악성종양제 베스타틴 캡슐 10㎎ 베스타틴 캡슐 30㎎」(일본화약 주식회사, 2020년 10월(개정 제7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250070A1 (ko) 2022-12-01
TW202313091A (zh) 2023-04-01
EP4349362A1 (en) 2024-04-10
AU2022280511A1 (en) 2023-12-14
US20240082196A1 (en) 2024-03-14
CA3220025A1 (en) 2022-12-01
WO2022250070A1 (ja) 2022-12-01
CN117412762A (zh)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2416B2 (en) Use of plinabulin in combination with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US20200323957A1 (en) Combined preparation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CN110381938A (zh) 减少中性粒细胞缺乏症的方法
JP2023036999A (ja) 免疫応答を調節するためのオキサビシクロヘプタン
EP2170318A1 (en) Combination anticancer therapy or om-174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for
KR20240016267A (ko) 우베니멕스와 면역관문 저해제의 병용
IL269769A (en) Mixtures, their composition and use in the treatment of cancer
WO2023210042A1 (ja) Il-34を発現する腫瘍を治療および/または予防するための医薬
EP4025218A1 (en) Methods of treatment
NZ750444B2 (en) Use of plinabulin in combination with immune checkpoint inhibi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