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853A - 조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조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853A
KR20240015853A KR1020220093616A KR20220093616A KR20240015853A KR 20240015853 A KR20240015853 A KR 20240015853A KR 1020220093616 A KR1020220093616 A KR 1020220093616A KR 20220093616 A KR20220093616 A KR 20220093616A KR 20240015853 A KR20240015853 A KR 20240015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housing
connector assembly
fastening nu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영
Original Assignee
김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영 filed Critical 김환영
Priority to KR1020220093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5853A/ko
Publication of KR20240015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33/2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a clamping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threaded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냉매관을 실외기의 서비스밸브에 이음연결할 경우, 그립링, 와셔, 오링, 압축링 등을 포함하는 배관연결구 어셈블리를 조립 키트에 가(假) 조립한 후, 조립 키트로부터 분리되는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체결너트를 서비스밸브에 결합후 체결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조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관 이음 연결용 조립 키트는
냉매관이 정위치에 삽입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개구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원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원통부에 순서대로 수용되며, 상기 냉매관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냉매관과 코팅재사이의 틈새를 통해 냉매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튜브, 그립링케이스, 그립링, 와셔, 오링, 오링 압축구로 이루어지는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상기 결합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원통부 외측으로 결합되는 체결너트의 돌출부를 지지하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갖는 집게 형태의 이탈방지구;를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체결너트에 상기 냉매관을 삽입후 상기 이탈방지구를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체결너트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냉매관에 옮겨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assembly kit and refrigerant pipe connection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조립키트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매관을 실외기의 서비스밸브에 이음연결할 경우, 그립링, 와셔, 오링, 압축링 등을 포함하는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체결너트를 조립 키트에 가(假) 조립한 후, 조립 키트로부터 분리되는 배관연결구 어셈블리를 서비스밸브에 결합후 체결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조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유체 또는 가스를 이송시키는 파이프는 운반이나 취급상의 제약에 의해 일정 규격(길이)으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즉, 파이프의 규격 길이보다 긴 구간을 시공하거나 굽은 구간을 시공할 경우에 배관 연결장치를 사용하거나, 파이프를 서로 용접하여 연결하게 된다.
배관에 사용되는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장치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특히 그립 링(grip ring)을 이용하여 연결구 내에 삽입된 파이프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된 배관 연결장치가 연결작업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배관작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배관 연결장치는
파이프(3)를 암나사부(2a)가 구비된 너트(2)에 삽입한 다음, 파이프(3)에 오링(6), 와셔(5) 및 그립 링(4)을 차례로 결합하고, 너트(2)를 배관(1)의 숫나사부(1a)에 나사결합하여 체결하게 된다.
이로 인해, 파이프(3)에 결합된 그립 링(4)이 배관(1)의 제1스토퍼(1b)에 밀착된 상태에서, 너트(2)의 돌출부(2b)가 오링(6)을 압축하면 오링(6) 및 파이프(3)의 외주면이 기밀이 유지되도록 실링(sealing)처리한다.
동시에, 와셔(5)가 그립 링(4)을 밀어주게 되므로 그립 링(4)의 그립(4a)이 파이프(3)를 눌러 배관 연결장치에서 파이프(3)가 분리되지 않도록 클램핑(clamping)하게 된다.
종래의 배관 연결방법은 파이프(3)에 끼워지는 그립 링(4)의 삽입(설치) 깊이가 소정의 깊이를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그립 링(4)의 삽입 깊이가 짧으면 배관 연결장치에서 파이프(3)가 쉽게 빠지고, 이와 반대로 그립 링(4)의 삽입 깊이가 깊을 경우 배관(1)에 너트(2)를 나사 결합할 때 파이프(3)의 선단이 배관(1)의 제2스토퍼(1c)에 밀착된 상태에서 너트(2)를 조임에 따라 그립 링(4)이 손상되거나, 파이프(3)의 외주면이 그립 링(4a)에 의해 긁히거나, 오링(6)의 과다 압축으로 파이프(3)의 병목현상이 유발되므로 파이프(3)가 이탈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종래의 배관 연결방법은 작업자의 실수나 작업숙련도가 떨어질 경우, 부품의 조립 순서를 달리함에 따라 배관 연결장치에서 파이프(3)가 분리될 수 있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그립링(4), 와셔(5), 오링(6) 등을 포함하는 배관연결구 어셈블리를 배관(1)(일 예로서, 에어콘 실외기의 서비스밸브를 말함)에 직접 결합시킨 후 너트(2)를 배관(1)에 체결하는 작업현장에서, 작업자 부주의로 인해 배관연결구 어셈블리를 이루는 부품 일부가 손실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691384호(2017.1.9)에 파이프 연결 어셈블리가 등록공고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그립링, 와셔, 오링, 압축링 등을 포함하는 배관연결구 어셈블리를 에어콘 실외기의 서비스밸브에 결합 및 체결하는 과정에서 부품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립 키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실외기의 서비스밸브와 냉매관의 이종금속재 접촉으로 인한 갈바닉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냉매관 틈새(Al배관과 이의 외주연에 형성된 코팅재사이의 틈새를 말함)를 통해 냉매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과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매관 이음 연결용 조립 키트에 적용되고,
냉매관이 정위치에 삽입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개구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원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원통부에 순서대로 수용되며, 상기 냉매관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냉매관의 갈바닉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튜브, 그립링케이스, 그립링, 와셔, 오링, 오링 압축구로 이루어지는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상기 결합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원통부 외측으로 결합되는 체결너트의 돌출부를 지지하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갖는 집게 형태의 이탈방지구;를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체결너트에 상기 냉매관을 삽입후 상기 이탈방지구를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체결너트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냉매관에 옮겨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키트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에 적용되고,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원통부에 배관연결구 어셈블리를 이루는 튜브, 그립링케이스, 그립링, 와셔, 오링, 오링 압축구를 순서대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원통부 외측으로 결합되는 체결너트의 돌출부를 지지하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집게형태의 이탈방지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체결너트에 냉매관을 통과시켜 끼우되,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에 냉매관이 정위치에 삽입된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의 결합홈에 결합된 이탈방지구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냉매관이 통과하는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가 수용된 상기 체결너트를 서비스밸브에 결합 및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키트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냉매관 이음 연결용 조립 키트에 적용되고,
냉매관이 정위치에 삽입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개구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원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원통부에 순서대로 수용되며, 그립링, 와셔, 오링, 오링 압축구로 이루어지는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상기 결합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원통부 외측으로 결합되는 체결너트의 돌출부를 지지하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갖는 집게 형태의 이탈방지구;를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체결너트에 상기 냉매관을 삽입후 상기 이탈방지구를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체결너트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냉매관에 옮겨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키트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에 적용되고,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원통부에 배관연결구 어셈블리를 이루는 그립링, 와셔, 오링, 오링 압축구를 순서대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원통부 외측으로 결합되는 체결너트의 돌출부를 지지하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집게형태의 이탈방지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체결너트에 냉매관을 통과시켜 끼우되, 상기 냉매배관 어셈블리에 냉매관이 정위치에 삽입된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의 결합홈에 결합된 이탈방지구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체결너트 및 배관연결구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상기 냉매관 단부에 냉매관의 갈바닉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튜브를 결합하되, 상기 냉매관이 통과하는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가 수용된 상기 체결너트를 서비스밸브에 결합 및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키트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그립링, 와셔, 오링, 압축링 등을 포함하는 배관연결구 어셈블리를 실외기의 서비스밸브에 결합 및 체결하는 과정에서 배관연결구 어셈블리를 이루는 부품 일부가 분실되어 발생되는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매관 단부에 결합되는 튜브에 의해 실외기의 서비스밸브(Cu)와 냉매관의 알루미늄(Al)관의 이종금속재의 상호접촉됨을 차단하여 갈바닉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냉매관과 코팅재사이의 틈새를 통해 냉매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냉매관 연결장치의 도면,
도 2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키트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의 작업공정도,
도 3은 도 2에 의한 연결방법에 의해 냉매관을 이음연결할 경우, 조립 키트를 이용하여 냉매관을 이음연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연결방법 에 의해 냉매관을 이음연결할 경우, 서비스밸브와 체결너트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비스밸브 및 체결너트에 냉매관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서비스밸브와 체결너트를 분리시킨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조립 키트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작업공정도,
도 8은 도 7에 의한 연결방법에 의해 냉매관을 이음연결할 경우, 조립 키트를 이용하여 냉매관을 이음연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연결방법 에 의해 냉매관을 이음연결할 경우, 서비스밸브와 체결너트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서비스밸브 및 체결너트에 냉매관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서비스밸브와 체결너트를 분리시킨 상태의 도면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 키트및 이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관 이음 연결용 조립 키트는
알루미늄관(10)의 외측면에 코팅재(11)가 형성되는 통상의 냉매관(12)이 정위치에 삽입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개구부(13)(확인창 기능을 하게 됨)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홈(15)이 형성되며, 내부에 원통부(16b)가 동심원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6);
하우징(16)의 원통부(16b)에 순서대로 수용되며, 냉매관(12) 단부에 결합되어 에어콘 실외기 등의 서비스밸브(26)와 이종금속재 접촉으로 인한 냉매관(12)의 갈바닉부식을 방지하고, 냉매관(12)과 코팅재(11)사이의 틈새를 통해 냉매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튜브(17), 그립링케이스(grip ring case)(18), 그립링(grip ring)(19), 와셔(20), 하나 이상의 오링(21), 오링 압축구(22)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
결합홈(1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원통부(16b) 외측으로 결합되는 체결너트(25)의 돌출부(25a)를 지지하여 하우징(16)으로부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갖는 집게 형태의 이탈방지구(24);를 구비하되,
하우징(16)에 수용된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 및 체결너트(25)에 냉매관(12)을 삽입후 이탈방지구(24)를 결합홈(15)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 및 체결너트(25)가 하우징(16)으로부터 냉매관(12)에 옮겨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키트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은
조립 키트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에 적용되고,
하우징(16)의 내부에 형성된 원통부(16b)에 통상의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를 이루는 튜브(17), 그립링케이스(18), 그립링(19), 와셔(20), 하나 이상의 오링(21), 오링 압축구(22)를 순서대로 삽입하는 단계(S10);
원통부(16b) 외측으로 결합되는 체결너트(25)의 돌출부(25a)를 지지하여 하우징(16)으로부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6)에 형성되는 결합홈(15)에 집게형태의 이탈방지구(24)를 결합하는 단계(S20);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 및 체결너트(25)에 냉매관(12)을 통과시켜 끼우되,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에 냉매관(12)이 정위치에 삽입된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S30);
하우징(16)의 결합홈(15)에 결합된 이탈방지구(24)를 분리하는 단계(S40);
냉매관(12)이 통과하는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가 수용된 체결너트(25)를 에어콘 실외기 등의 서비스밸브(26)에 결합 및 체결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하우징(16)에 관통형성되고, 하우징(16)에 통상의 냉매관(12)이 정위치에 삽입된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보조 확인창(2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을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를 이루는 부품들이 수용되는 조립 키트(A)를 이용하여 에어콘 실외기의 서비스밸브(26)에 통상의 냉매관(12)을 이음연결하는 연결방법에 적용된다.
도 2의 S10에서와 같이, 하우징(16)의 내부에 형성된 원통부(16b)에 통상의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를 이루는 튜브(17), 그립링케이스(18), 그립링(19), 와셔(20), 하나 이상의 오링(21), 오링 압축구(22)를 순서대로 삽입한다.
이때, 전술한 냉매관(12)은 압출성형되는 알루미늄배관(10)의 외측면에 코팅재(11)가 접착제에 의해 코팅처리된 통상의 냉매관이 사용된다.
전술한 튜브(17)는 알루미늄배관(10)과 서비스밸브(26)의 이종금속재의 상호접촉에 의한 갈바닉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알루미늄배관(10)과 코팅재(11)사이의 틈새를 통해 냉매관(12) 내부의 냉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냉매관(12) 단부에 결합된다.
그립링케이스(18)는 그립링(19)을 수용하되, 그립링(19)은 서비스밸브(26)에 이음연결되는 냉매관(12)이 삽입시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된다.
와셔(20)는 냉매관(12)과 서비스밸브(26)사이의 틈새를 통해 냉매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21)의 탄성변형시 그립링(19)에 접촉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된다.
오링압축구(22)는 서비스밸브(26)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25)를 체결시 오링(21)을 가압하여 압축하도록 사용된다.
도 2의 S20에서와 같이, 원통부(16b) 외측으로 형성되는 통로(16c)에 결합되는 체결너트(25)의 돌출부(25a)를 지지하여 하우징(16)으로부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6)에 형성되는 결합홈(15)에 집게형태의 이탈방지구(24)를 결합한다.
서비스밸브(26)에 냉매관(12)을 이음연결하기 위해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를 이루는 튜브(17), 그립링케이스(18), 그립링(19), 와셔(20), 오링(21), 오링압축구(22)를 원통부(16b)에 순서대로 수용하게 된다.
이때, 체결너트(25)의 돌출부(25a)를 지지함에 따라, 하우징(16)에 형성된 결합홈(1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집게 형태의 탄성력을 갖는 이탈방지구(24)에 의해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를 이루는 낱개의 부품이 하우징(16)으로부터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S30에서와 같이,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 및 체결너트(25)에 냉매관(12)을 통과시켜 끼우되,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에 냉매관(12)이 정위치에 삽입된 유무를 확인한다.
즉, 작업현장에서 실외기의 서비스밸브(26)에 냉매관(12)을 이음연결하기 위해 조립 키트(A)에 수용된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에 냉매관(12)을 통과시켜 끼운다.
따라서,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를 이루는 튜브(17), 그립링케이스(18), 그립링(19), 와셔(20), 오링(21), 오링압축구(22) 및 체결너트(25)가 냉매관(12) 외측으로 결합된다.
이때, 작업자에 의해 냉매관(12) 단부가 튜브(17)에 삽입된 유무를 하우징(16)의 개구부(13)를 통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작업자에 의해 하우징(16)에 관통형성된 보조 확인창(27)을 통하여 냉매관(12)이 정위치에 삽입된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S40에서와 같이, 하우징(16)의 결합홈(1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이탈방지구(24)를 분리한다.
이때, 이탈방지구(24)를 결합홈(15)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에도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를 이루는 부품 및 체결너트(25)는 냉매관(12) 외측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S50에서와 같이, 냉매관(12)이 통과하는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가 수용된 체결너트(25)를 에어콘 실외기 등의 서비스밸브(26)에 결합 및 체결한다.
즉, 하우징(16)으로부터 분리된 후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가 결합된 냉매관(12)이 수용된 체결너트(25)를 서비스밸브(26)에 나사결합시켜 체결한다.
이때, 서비스밸브(26)의 외측단(a)이 체결너트(25)의 내부 바닥면(b)에 밀착됨에 따라 서비스밸브(26)에 체결되는 체결너트(25)의 체결력에 의해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의 오링(21)을 오링압축구(22)를 통해 필요 이상으로 가압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관 이음 연결용 조립 키트는
냉매관 이음 연결용 조립 키트에 적용되고,
통상의 알루미늄관(10)의 외측면에 코팅재(11)가 형성되는 냉매관(12)이 정위치에 삽입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개구부(13)(확인창 기능을 하게 됨)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홈(15)이 형성되며, 내부에 원통부(16b)가 동심원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6);
원통부(16b)에 순서대로 수용되며, 그립링(19), 와셔(20), 하나 이상의 오링(21), 오링 압축구(22)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
결합홈(1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원통부(16b) 외측으로 통로(16c)에 결합되는 체결너트(25)의 돌출부(25a)를 지지하여 하우징(16)으로부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갖는 통상적인 집게 형태의 이탈방지구(24);를 구비하되,
하우징(16)에 수용된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 및 체결너트(25)에 냉매관(12)을 삽입후 이탈방지구(24)를 결합홈(15)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 및 체결너트(25)가 하우징(16)으로부터 냉매관(12) 외측으로 옮겨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키트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은
조립 키트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에 적용되고,
하우징(16)의 내부에 형성된 원통부(16b)에 통상의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를 이루는 그립링(grip ring)(19), 와셔(20), 하나 이상의 오링(21), 오링 압축구(22)를 순서대로 삽입하는 단계(S100);
원통부(16b) 외측으로 결합되는 체결너트(25)의 돌출부(25a)를 지지하여 하우징(16)으로부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6)에 형성되는 결합홈(15)에 집게형태의 이탈방지구(24)를 결합하는 단계(S200);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 및 체결너트(25)에 냉매관(12)을 통과시켜 끼우되, 하우징(16)에 냉매관(12)이 정위치에 삽입된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S300);
하우징(16)의 결합홈(15)에 결합된 이탈방지구(24)를 분리하는 단계(S400);
체결너트(25) 및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를 통과하는 냉매관(12) 단부에 에어콘 실외기 등의 서비스밸브(26)와 이종금속재 접촉으로 인한 냉매관(12)의 갈바닉부식을 방지하고, 냉매관(12)과 코팅재(11)사이의 틈새를 통해 냉매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튜브(17)를 결합하되, 냉매관(12)이 통과하는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가 수용된 체결너트(25)를 서비스밸브(26)에 결합 및 체결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을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7의 S100, 도 8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를 이루는 부품들이 수용되는 조립 키트(A)를 이용하여 에어콘 실외기의 서비스밸브(26)에 통상의 냉매관(12)을 이음연결하는 연결방법에 적용된다.
도 7의 S100에서와 같이, 하우징(16)의 내부에 동심원으로 형성된 원통부(16b)에 통상의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를 이루는 그립링(19), 와셔(20), 하나 이상의 오링(21), 오링 압축구(22)를 순서대로 삽입한다.
즉, 서비스밸브(26)에 냉매관(12)을 이음연결하기 위해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를 이루는 그립링(19), 와셔(20), 오링(21), 오링압축구(22)를 원통부(16b)에 순서대로 수용하게 된다.
이때, 그립링(19)이 하우징(16) 내측면에 형성된 경사면(16a)에 안착되므로 그립링케이스(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 4에 도면부호 18로 도시됨)는 불필요하게 된다.
전술한 냉매관(12)은 압출성형되는 알루미늄배관(10)의 외측면에 코팅재(11)가 접착제에 의해 코팅처리된 통상의 냉매관이 사용된다.
그립링(19)은 서비스밸브(26)에 이음연결되는 냉매관(12)이 삽입시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된다.
와셔(20)는 냉매관(12)과 서비스밸브(26)사이의 틈새를 통해 냉매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21)의 탄성변형시 그립링(19)에 접촉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된다.
오링압축구(22)는 서비스밸브(26)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25)를 체결시 체결력에 의해 오링(21)을 가압하여 압축하도록 사용된다.
도 7의 S200에서와 같이, 원통부(16b) 외측으로 결합되는 체결너트(25)의 돌출부(25a)를 지지하여 하우징(16)으로부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6)에 형성되는 결합홈(15)에 집게형태의 이탈방지구(24)를 결합한다.
즉, 하우징(16)에 형성된 결합홈(1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집게 형태의 탄성력을 갖는 이탈방지구(24)에 의해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를 이루는 낱개의 부품이 하우징(16)으로부터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의 S300에서와 같이,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 및 체결너트(25)에 냉매관(12)을 통과시켜 끼우되,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에 냉매관(12)이 정위치에 삽입된 유무를 확인한다.
즉, 작업현장에서 실외기의 서비스밸브(26)에 냉매관(12)을 이음연결하기 위해 조립 키트(A)에 수용된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에 냉매관(12)을 통과시켜 하우징(16)에 끼운다.
따라서,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를 이루는 그립링(19), 와셔(20), 오링(21), 오링압축구(22) 및 체결너트(25)가 냉매관(12) 외측으로 결합된다.
이때, 작업자에 의해 냉매관(12) 단부가 하우징(16)의 정위치에 삽입된 유무를 개구부(13)를 통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작업자에 의해 하우징(16)에 관통형성된 보조 확인창(27)을 통하여 냉매관(12) 단부가 하우징(16)의 정위치에 삽입된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7의 S400에서와 같이, 하우징(16)의 결합홈(15)에 결합된 집게형태의 이탈방지구(24)를 분리한다.
이때, 이탈방지구(24)를 결합홈(15)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에도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를 이루는 부품들은 이탈방지구(24)에 의해 냉매관(12) 외측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의 S500에서와 같이, 체결너트(25) 및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를 통과하는 냉매관(12) 단부에 에어콘 실외기 등의 서비스밸브(26)와 이종금속재 접촉으로 인한 냉매관(12)의 갈바닉부식을 방지하고, 냉매관(12)과 코팅재(11)사이의 틈새를 통해 냉매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튜브(17)를 결합하되, 냉매관(12)이 통과하는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가 수용된 체결너트(25)를 서비스밸브(26)에 결합 및 체결한다.
즉, 하우징(16)으로부터 분리된 냉매관(12) 단부에 튜브(17)를 결합함에 따라, 냉매관(12)(Al배관으로 이루어짐) 단부에 에어콘 실외기 등의 서비스밸브(26)(Cu재로 형성됨)의 이종금속재의 상호접촉으로 인한 냉매관(12)의 갈바닉부식을 방지하고, 냉매관(12)과 코팅재(11)사이의 틈새를 통해 냉매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가 결합된 냉매관(12)이 수용된 체결너트(25)를 서비스밸브(26)에 나사결합시켜 체결한다.
이때, 서비스밸브(26)의 외측단(a)이 체결너트(25)의 내부 바닥면(b)에 밀착됨에 따라 서비스밸브(26)에 체결되는 체결너트(25)의 체결력에 의해 배관연결구 어셈블리(23)의 오링(21)을 오링압축구(22)를 통해 필요 이상으로 가압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세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사상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알루미늄관
11; 코팅재
12; 냉매관
13; 개구부
15; 결합홈
16; 하우징
17; 튜브
18; 그립링케이스
19; 그립링
20; 와셔
21; 오링
22; 오링압축구
23;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24; 이탈방지구
25; 체결너트
26; 서비스밸브
27; 보조확인창

Claims (5)

  1. 냉매관 이음 연결용 조립 키트에 적용되고,
    냉매관이 정위치에 삽입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개구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원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원통부에 순서대로 수용되며, 상기 냉매관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냉매관과 코팅재사이의 틈새를 통해 냉매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튜브, 그립링케이스, 그립링, 와셔, 오링, 오링 압축구로 이루어지는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상기 결합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원통부 외측으로 결합되는 체결너트의 돌출부를 지지하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갖는 집게 형태의 이탈방지구;를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체결너트에 상기 냉매관을 삽입후 상기 이탈방지구를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체결너트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냉매관에 옮겨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키트.
  2. 조립 키트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에 적용되고,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원통부에 배관연결구 어셈블리를 이루는 튜브, 그립링케이스, 그립링, 와셔, 오링, 오링 압축구를 순서대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원통부 외측으로 결합되는 체결너트의 돌출부를 지지하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집게형태의 이탈방지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체결너트에 냉매관을 통과시켜 끼우되,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에 냉매관이 정위치에 삽입된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의 결합홈에 결합된 이탈방지구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냉매관이 통과하는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가 수용된 상기 체결너트를 서비스밸브에 결합 및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키트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
  3. 냉매관 이음 연결용 조립 키트에 적용되고,
    냉매관이 정위치에 삽입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개구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원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원통부에 순서대로 수용되며, 그립링, 와셔, 오링, 오링 압축구로 이루어지는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상기 결합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원통부 외측으로 결합되는 체결너트의 돌출부를 지지하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갖는 집게 형태의 이탈방지구;를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체결너트에 상기 냉매관을 삽입후 상기 이탈방지구를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체결너트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냉매관에 옮겨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키트.
  4. 조립 키트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에 적용되고,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원통부에 배관연결구 어셈블리를 이루는 그립링, 와셔, 오링, 오링 압축구를 순서대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원통부 외측으로 결합되는 체결너트의 돌출부를 지지하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집게형태의 이탈방지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체결너트에 냉매관을 통과시켜 끼우되, 상기 냉매배관 어셈블리에 냉매관이 정위치에 삽입된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의 결합홈에 결합된 이탈방지구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체결너트 및 배관연결구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상기 냉매관 단부에 상기 냉매관과 코팅재사이의 틈새를 통해 냉매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튜브를 결합하되, 상기 냉매관이 통과하는 상기 배관연결구 어셈블리가 수용된 상기 체결너트를 서비스밸브에 결합 및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키트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냉매관이 정위치에 삽입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보조 확인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키트.
KR1020220093616A 2022-07-28 2022-07-28 조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 KR20240015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616A KR20240015853A (ko) 2022-07-28 2022-07-28 조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616A KR20240015853A (ko) 2022-07-28 2022-07-28 조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853A true KR20240015853A (ko) 2024-02-06

Family

ID=89858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616A KR20240015853A (ko) 2022-07-28 2022-07-28 조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58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55577B1 (en) Pipe joint assembly
KR102066605B1 (ko) 배관연결장치
US20060214422A1 (en) Pipe coupling retainer with axial support members
EP1262702B1 (en) Method and structure for preventing slipping-off of a tube in a pipe joint made of resin
US6874824B2 (en) Connection structure having pierced elastomeric gasket
KR101879248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TW201812201A (zh) 消防設備配管之接續構造
KR102237325B1 (ko) 파이프 어셈블리
US11774015B2 (en) Pipe joint
US20220299134A1 (en) Fitting device for making connection tube that can fine position adjustment of the tube
US11808386B2 (en) Mechanical joint restraint
JP2001124258A (ja) 管継手
JP2003074768A (ja) 管継手の構造
CA2189808C (en) Junction holder for connecting pipes with mechanical joints
US20090167017A1 (en) Plug connector for piping
US7159906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lange sealing
KR20240015853A (ko) 조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냉매관 이음 연결방법
WO1991000471A1 (en) Pipe joint mechanism having high maintainability
US7591486B2 (en) Fluid connector
KR20170124072A (ko) 에어컨용 냉매 배관 이음장치
JP3124246B2 (ja)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と管継手の接続機構
US5984377A (en) Bondable plastic piping adapter joint
JP2002327876A (ja) 継手とバルブの接合構造並びに薄肉管継手
JP2021131099A (ja) 火無し継手における気密試験用プラグ取付構造、火無し継手、及び気密試験用プラグ
KR20140060880A (ko) 결합돌기와 첵 마아킹이 형성된 튜브체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