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702A -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 Google Patents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702A
KR20240015702A KR1020240009400A KR20240009400A KR20240015702A KR 20240015702 A KR20240015702 A KR 20240015702A KR 1020240009400 A KR1020240009400 A KR 1020240009400A KR 20240009400 A KR20240009400 A KR 20240009400A KR 20240015702 A KR20240015702 A KR 20240015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inlet
lid
cup lid
rece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9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만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상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8230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612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상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상코리아
Priority to KR1020240009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5702A/ko
Publication of KR20240015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70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음료 컵의 컵 뚜껑은, 음료 컵의 상부를 덮도록 컵과 결합될 수 있고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커피 농축액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된 바디부 및 바디부의 투입구 아래쪽에서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면과 연결되어 바디부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투입구에서 아래 방향으로 내려올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부에 커피 농축액이 중력에 의해 아래의 컵 내부로 누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름 0.3mm 내지 2mm 크기의 누수 구멍을 포함하는 수용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CUP LID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CONCENTRATION OF DRINKS}
본 발명은 기능성 일회용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이스 커피 등 음료수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스 커피 등을 일회용 컵에 담을 때는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컵 뚜껑(100)을 사용하게 된다.
도 1의 도시된 기존의 일회용 컵 뚜껑(100)은 일반적으로 투명한 색이나 흰색, 검은색 등의 플라스틱 일회용 컵 뚜껑이 이용되며 아래쪽에 컵에 고정 돌기를 통해 고정되며, 반구 형상이나 평평한 형상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아이스커피와 같은 차가운 음료가 담기는 경우에는 반구 형상의 투명한 컵 뚜껑을 사용하며 뜨거운 음료가 담기는 경우에는 평평한 흰색이나 검은색 일회용 컵 뚜껑을 사용한다. 그리고 도 1에서의 컵 뚜껑과 같이 중앙에 빨대를 꼽을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아이스 커피와 같은 경우, 얼음과 소량의 물 그리고 진한 농도의 에스프레소 커피를 컵에 투입하여 제공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경우, 처음에는 물의 양이 적어 커피가 매우 진하게 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얼음이 녹아 물이 되면서 커피의 농도가 천천히 연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처음 커피를 마실 때는 매우 진한 커피를 마시게 될 것이고 점차 점점 연한 커피를 마시게 될 것이다. 그리고 커피를 천천히 마시게 된다면 마지막에는 거의 물맛이 나는 커피만을 마시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이스 음료의 농도를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컵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컵이 흔들려도 커피 농축액이 흐르거나 넘치지 않는 구조를 갖는 컵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음료 컵의 컵 뚜껑은, 상기 음료 컵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컵과 결합될 수 있고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커피 농축액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기 투입구 아래쪽에서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면과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에서 아래 방향으로 내려올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부에 상기 커피 농축액이 중력에 의해 아래의 상기 컵 내부로 누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름 0.3mm 내지 2mm 크기의 누수 구멍을 포함하는 수용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체부는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체부의 내부면을 따라 결합되고, 상기 테두리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수용체부의 내부면과 떨어져 형성되되, 상기 테두리 중 상기 수용체부의 내부면과 떨어져 형성된 테두리는 상기 투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부의 중심에 가까운 영역에 형성된 흐름 방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흐름 방지턱은 상기 컵 뚜껑의 하단 테두리가 형성하는 가상의 면과 상기 흐름 방지턱이 형성하는 면이, 상기 흐름 방지턱의 테두리 중 상기 바디부의 중심에서 가장 먼쪽에서 상기 내부면과 결합된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흐름 방지턱의 테두리 중 상기 수용체부의 내부면과 떨어진 영역이 소정 각도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흐름 방지턱은, 상기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투입구를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부의 중심에서 먼 영역이 상기 투입구의 일 영역과 이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흐름 방지턱은 상기 컵 뚜껑의 상단 면과 35도 내지 55도 사이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컵 뚜껑은, 상기 바디부의 투입구를 포함하여 상기 바디부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고, 상구 투입구에 대응하는 면에는 압력 조절용 구멍이 형성된 외부 뚜껑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컵 뚜껑은, 상기 투입구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고, 표면에는 압력 조절용 구멍이 형성된 투입구 마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음료 컵의 컵 뚜껑은, 상기 음료 컵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컵과 결합될 수 있고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커피 농축액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된 내부 뚜껑; 상기 내부 뚜껑 의 상기 투입구 아래쪽에서 상기 내부 뚜껑의 적어도 일부면과 연결되어 상기 내부 뚜껑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에서 아래 방향으로 내려올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부에 상기 커피 농축액이 중력에 의해 아래의 상기 컵 내부로 누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름 0.3mm 내지 2mm 크기의 누수 구멍을 포함하는 수용체부; 및 상기 내부 뚜껑의 투입구를 포함하여 상기 내부 뚜껑을 덮을 수 있고, 상구 투입구에 대응하는 면에는 압력 조절용 구멍이 형성된 외부 뚜껑;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체부는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체부의 내부면을 따라 결합되고, 상기 테두리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수용체부의 내부면과 떨어져 형성되되, 상기 테두리 중 상기 수용체부의 내부면과 떨어져 형성된 테두리는 상기 투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 뚜껑의 중심에 가까운 영역에 형성된 흐름 방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흐름 방지턱은 상기 컵 뚜껑의 하단 테두리가 형성하는 가상의 면과 상기 흐름 방지턱이 형성하는 면이, 상기 흐름 방지턱의 테두리 중 상기 내부 뚜껑의 중심에서 가장 먼쪽에서 상기 내부면과 결합된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흐름 방지턱의 테두리 중 상기 수용체부의 내부면과 떨어진 영역이 소정 각도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컵 뚜껑을 사용하면, 컵에 담긴 제1차 고농도 농축액과 컵 뚜껑에 담긴 제2차 고농도 농축액을 별도로 담고 제2차 고농도 농축액은 컵 안쪽으로 천천히 흘러내리게 하여, 컵 내부의 얼음이 녹더라도 천천히 추가되는 고농도 농축액으로 인해 일정한 농도의 음료수를 마실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 뚜껑을 사용하면 수용체부 상단에 경사지게 형성된 흐름 방지턱을 구비하거나 수용체부를 덮는 외부 뚜껑 또는 마개를 구비하여 컵을 들고 걷거나 컵이 약간 기울어지더라도 수용체부 내부에 수용된 커피 액기스가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일반적인 컵 뚜껑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 뚜껑을 이용할 때 커피 농축액이 흐르지 않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나타낸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컵 뚜껑(200)은 바디부(210) 및 수용체부(220)를 포함한다.
바디부(210)는 음료 컵의 상부를 덮도록 컵과 테두리(213)를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커피 농축액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211)가 형성된다.
수용체부(220)는 바디부(210)의 투입구(211) 아래쪽에서 커피 농축액을 담는 기능을 한다. 수용체부(220)는 바디부(210)의 적어도 일부면과 연결되어 바디부(210)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투입구(211)에서 아래 방향으로 내려올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거꾸로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수용체부(220)의 하단부에는 커피 농축액이 중력에 의해 컵 내부로 누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누수 구멍(221)을 포함한다. 이러한 누수 구멍(221)의 크기는 0.3mm 내지 2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누수 구멍은 고객의 커피를 마시는 속도를 감안하여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어, 고객에 따라 원하는 속도로 누수되는 컵 뚜겅(200)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수용체부(220)에는 흐름 방지턱(222)를 포함한다.
흐름 방지턱(222)은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체부(220)의 내부면을 따라 결합되고 테두리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수용체의 내부면과 떨어져 형성되되, 테두리 중 수용체부(220)의 내부면과 떨어져 형성된 테두리는 투입구(21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바디부(210)의 중심에 가까운 영역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흐름 방지턱(222)가 형성되더라도 수용체부(220) 내부로 커피 농축액을 담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흐름 방지턱(222)은 컵 뚜껑(200)의 하단 테두리(213)가 형성하는 가상의 면과 흐름 방지턱(222)이 형성하는 면이, 흐름 방지턱의 테두리 중 상기 바디부(210)의 중심에서 가장 먼쪽에서 상기 내부면과 결합된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흐름 방지턱의 테두리 중 상기 수용체부의 내부면과 떨어진 영역이 소정 각도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흐름 방지턱(222)은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투입구(21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바디부(210)의 중심에서 먼 영역이 투입구(211)의 일 영역과 이어진다. 이를 통해 흐름 방지턱(222)은 바디부(210)의 표면에서 투입구(211)의 가상면과 갈라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흐름 방지턱(222)이 컵 뚜껑의 상단 면과 35도 내지 55도 사이에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람이 컵을 들고 이동하는 경우 컵이 흔들리거나 컵 내부의 커피, 또는 수용체(220) 내부의 커피 농축액이 흔들리는 각도를 고려하여 컵 뚜껑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중심으로 갈수록 아래로 내려가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 뚜껑을 이용할 때 커피 농축액이 흐르지 않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컵이 약간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용체부(220) 내부의 커피 농축액(400)이 흐름 방지턱(222)에 의해 가로막혀 외부로 넘쳐 흐르지 않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은 도 2에 도시된 컵 뚜껑에 투입구 마개(230)를 더 포함한다.
투입구 마개(230)는 투입구(211)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고, 표면에는 압력 조절용 구멍(231)이 형성된다. 압력 조절용 마개(231)은 누수 구멍(221)로 커피 농축액이 누수될 때 내부의 압력이 낮아져 커피 농축액이 더 이상 누수되지 않거나 누수 속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은 도 2에 도시된 컵 뚜껑에 외부 뚜껑(240)를 더 포함한다.
외부 뚜겅(240)은 바디부(210)의 투입구(211)를 포함하여 상기 바디부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고, 상구 투입구(211)에 대응하는 면에는 압력 조절용 구멍(241)이 형성된다. 압력 조절용 마개(241)은 누수 구멍(221)로 커피 농축액이 누수될 때 내부의 압력이 낮아져 커피 농축액이 더 이상 누수되지 않거나 누수 속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뚜겅(300)은 음료 컵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컵과 결합될 수 있고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커피 농축액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된 내부 뚜껑(310), 내부 뚜껑(310)의 투입구(322) 아래쪽에서 내부 뚜껑(310)의 적어도 일부면과 연결되어 상기 내부 뚜껑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투입구에서 아래 방향으로 내려올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용체부(320)를 포함한다. 수용체부(320)는 하단부에 상기 커피 농축액이 중력에 의해 아래의 상기 컵 내부로 누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름 0.3mm 내지 2mm 크기의 누수 구멍(321)을 포함한다. 또한, 컵 뚜껑(300)은, 내부 뚜껑(310)의 투입구(322)를 포함하여 내부 뚜껑(310)을 덮을 수 있고, 투입구(322)에 대응하는 면에는 압력 조절용 구멍(331)이 형성된 외부 뚜껑(330)를 포함한다.
한편, 수용체부(320)는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체부(320)의 내부면을 따라 결합되고, 상기 테두리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수용체부(320)의 내부면과 떨어져 형성되되, 상기 테두리 중 상기 수용체부(320)의 내부면과 떨어져 형성된 테두리는 상기 투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 뚜껑(310)의 중심에 가까운 영역에 형성된 흐름 방지턱(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 방지턱은 상기 컵 뚜껑의 하단 테두리가 형성하는 가상의 면과 상기 흐름 방지턱이 형성하는 면이, 상기 흐름 방지턱의 테두리 중 상기 내부 뚜껑의 중심에서 가장 먼쪽에서 상기 내부면과 결합된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흐름 방지턱의 테두리 중 상기 수용체부의 내부면과 떨어진 영역이 소정 각도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스 아메리카노 등의 얼음과 섞인 음료수를 제공할 때, 컵에는 얼음과 소량의 물 그리고 에스프레소 커피를 넣는다. 이렇게만 아이스 커피를 제공하면 처음에는 너무 진한 커피가 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너무 연한 커피가 되고 만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컵 뚜껑(200, 300)의 수용체부(220, 320)에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가로 주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컵 뚜껑(200, 300)을 이용하는 경우, 처음에 컵에 넣는 에스프레소 커피를 나눠 한 분량은 컵에 넣고 다른 분량은 수용체부(220, 320)에 넣는다. 그런 다음, 커피를 마시는 시간에 따라 다수의 누수 구멍(221, 321)을 통해 에스프레소 커피가 컵 안 쪽으로 떨어지게 한다. 그러면, 커피를 마시는 시간이 지날수록 얼음이 녹더라도 추가되는 에스프레소 커피에 의해 마시는 커피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뚜껑을 사용하면, 컵에 담긴 제1차 고농도 농축액과 컵 뚜껑에 담긴 제2차 고농도 농축액을 별도로 담고 제2차 고농도 농축액은 컵 안쪽으로 천천히 흘러내리게 하여, 컵 내부의 얼음이 녹더라도 천천히 추가되는 고농도 농축액으로 인해 일정한 농도의 음료수를 마실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 뚜껑을 사용하면 수용체부 상단에 경사지게 형성된 흐름 방지턱을 구비하거나 수용체부를 덮는 외부 뚜껑 또는 마개를 구비하여 컵을 들고 걷거나 컵이 약간 기울어지더라도 수용체부 내부에 수용된 커피 액기스가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300: 컵 뚜껑
210: 바디부 220, 320 : 수용체부
211, 322: 투입구 212 : 빨대 구멍
213 : 하단 테두리
221, 321: 누수구멍
222: 흐름방지턱
230: 투입구 마개 240, 330: 외부 뚜껑
231, 241, 331 : 압력 조절용 구멍 400: 커피 농축액

Claims (5)

  1.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음료 컵의 컵 뚜껑에 있어서,
    상기 음료 컵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컵과 결합될 수 있고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커피 농축액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기 투입구 아래쪽에서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면과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에서 아래 방향으로 내려올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부에 상기 커피 농축액이 중력에 의해 아래의 상기 컵 내부로 누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름 0.3mm 내지 2mm 크기의 누수 구멍을 포함하는 수용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투입구는 상기 수용체부의 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디부의 투입구의 적어도 일부는 흐름 방지턱에 의해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방지턱은 상기 컵 뚜껑의 상단 면과 35도 내지 55도 사이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3. 제1 항에 있어서,
    컵 뚜껑은,
    상기 바디부의 투입구를 포함하여 상기 바디부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고, 상구 투입구에 대응하는 면에는 압력 조절용 구멍이 형성된 외부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4. 제1 항에 있어서,
    컵 뚜껑은,
    상기 투입구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고, 표면에는 압력 조절용 구멍이 형성된 투입구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5.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음료 컵의 컵 뚜껑에 있어서,
    상기 음료 컵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컵과 결합될 수 있고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커피 농축액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된 내부 뚜껑;
    상기 내부 뚜껑 의 상기 투입구 아래쪽에서 상기 내부 뚜껑의 적어도 일부면과 연결되어 상기 내부 뚜껑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에서 아래 방향으로 내려올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부에 상기 커피 농축액이 중력에 의해 아래의 상기 컵 내부로 누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름 0.3mm 내지 2mm 크기의 누수 구멍을 포함하는 수용체부; 및
    상기 내부 뚜껑의 투입구를 포함하여 상기 내부 뚜껑을 덮을 수 있고, 상구 투입구에 대응하는 면에는 압력 조절용 구멍이 형성된 외부 뚜껑;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뚜껑부의 투입구는 상기 수용체부의 상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KR1020240009400A 2021-12-20 2024-01-22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KR20240015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9400A KR20240015702A (ko) 2021-12-20 2024-01-22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306A KR102666126B1 (ko) 2021-12-20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KR1020240009400A KR20240015702A (ko) 2021-12-20 2024-01-22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306A Division KR102666126B1 (ko) 2021-12-20 2021-12-20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702A true KR20240015702A (ko) 2024-02-05

Family

ID=8694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9400A KR20240015702A (ko) 2021-12-20 2024-01-22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570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564A (ko)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3583B2 (en) Cup lid for beverages with foam
ES2463475T3 (es) Recipiente resistente a los derrames
US6571973B1 (en) Cup lid with cooling spillover chamber
US9944435B2 (en) Two-piece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US20080061069A1 (en) Drink cup lid
US20110309092A1 (en) Drink container with ice flow dam
US10759574B1 (en) Cup lid
EP1591046A1 (en) A Glass with the drinking plane not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container
US10856682B2 (en) Aroma enhancing beverage containers and lids
KR102666126B1 (ko)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ES2959936T3 (es) Una tapa desechable para envases de bebidas
KR20240015702A (ko)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KR20170095476A (ko) 음료의 출렁임 방지를 위한 컵 뚜껑
CN209915600U (zh) 具有改进的流体流动的饮料壶
JP5123500B2 (ja) ピッチャー、ピッチャーカバー及びそれらの組合せ
KR200433822Y1 (ko) 핫음료 테이크아웃용 컵 뚜껑
KR102324274B1 (ko)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KR20230151211A (ko)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KR102181484B1 (ko) 테이크아웃용 컵뚜껑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25470A (ko) 음료용기용 캡 및 이를 갖는 음료용기
TWI818711B (zh) 防漏咖啡杯蓋
KR20200001114U (ko) 농도 조절이 가능한 음료용 컵
JP6958881B2 (ja) ピッチャー
AU2011101703A4 (en) Cup lid for beverages with foam
KR20220000097A (ko)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음료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