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633A - 표시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633A
KR20240015633A KR1020237039160A KR20237039160A KR20240015633A KR 20240015633 A KR20240015633 A KR 20240015633A KR 1020237039160 A KR1020237039160 A KR 1020237039160A KR 20237039160 A KR20237039160 A KR 20237039160A KR 20240015633 A KR20240015633 A KR 20240015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data
display
pixels
pa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타 마세
다로 이치츠보
아츠토 모리와키
Original Assignee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5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ixing or overlaying two or more graphic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67Position within a video image, e.g. region of interest [RO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05Simultaneous scanning of several line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4Partial updating of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2Handling of images in compressed format, e.g. JPEG, MPE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2/00Parallel handling of streams of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표시 장치는, 제1 해상도의 전체 화상을 나타내는 제1 화상 데이터 및 전체 화상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제1 해상도보다도 높은 제2 해상도의 제1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수신 회로와, 복수의 화소를 갖는 표시부와,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를, 제1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1 구동과,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 중, 제1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2 이상의 화소를, 제1 수보다 적은 제2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2 구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구동 방법
본 개시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에는, 예를 들어 해상도가 낮은 전체 화상 및 해상도가 높은 부분 화상에 기초하여, 프레임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프레임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9-197224호 공보
표시 장치에서는, 화질이 높을 것이 요망되고 있고, 더한층의 화질의 향상이 기대되고 있다.
화질을 높일 수 있는 표시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는, 수신 회로와, 표시부와, 표시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 회로는, 제1 해상도의 전체 화상을 나타내는 제1 화상 데이터 및 전체 화상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제1 해상도보다도 높은 제2 해상도의 제1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표시부는 복수의 화소를 갖는다. 표시 구동 회로는,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를, 제1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1 구동과,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 중, 제1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2 이상의 화소를, 제1 수보다 적은 제2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2 구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시스템은, 화상 생성 장치와,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생성 장치는, 제1 해상도의 전체 화상을 나타내는 제1 화상 데이터 및 전체 화상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제1 해상도보다도 높은 제2 해상도의 제1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제2 화상 데이터를 송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표시 장치는, 수신 회로와, 표시부와, 표시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 회로는, 제1 화상 데이터 및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표시부는, 복수의 화소를 갖는다. 표시 구동 회로는,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를, 제1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1 구동과,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 중, 제1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2 이상의 화소를, 제1 수보다 적은 제2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2 구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구동 방법은, 제1 해상도의 전체 화상을 나타내는 제1 화상 데이터 및 전체 화상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제1 해상도보다도 높은 제2 해상도의 제1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제2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과, 제1 화상 데이터 및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를, 제1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1 구동을 행하는 것과,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 중, 제1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2 이상의 화소를, 제1 수보다 적은 제2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2 구동을 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구동 방법에서는, 수신 회로에 의해, 제1 화상 데이터 및 제2 화상 데이터가 수신된다. 제1 화상 데이터는, 제1 해상도의 전체 화상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제2 화상 데이터는, 전체 화상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제1 해상도보다도 높은 제2 해상도의 제1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를, 제1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1 구동이 행해진다. 또한,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 중, 제1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2 이상의 화소를, 제1 수보다 적은 제2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2 구동이 행해진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시스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화상 생성 장치가 생성하는 전체 화상 및 부분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a는 참고예에 관한 전체 화상의 화상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b는 전체 화상 및 부분 화상의 화상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화상 생성 장치가 송신하는 화상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표시 패널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화소의 구동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화소의 구동예를 나타내는 다른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다른 설명도이다.
도 12는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스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스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다른 변형예에 관한 화소의 구동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스템의 일 특성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7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전체 화상 및 부분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스템의 일 특성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9는 다른 변형예에 관한 전체 화상 및 부분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전체 화상 및 부분 화상의 화상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다른 변형예에 관한 전체 화상 및 부분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전체 화상 및 부분 화상의 화상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다른 변형예에 관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5는 다른 변형예에 관한 전체 화상 및 부분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스템의 일 특성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27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전체 화상 및 부분 화상의 화상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8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9는 다른 변형예에 관한 화소의 구동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0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스템의 일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1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2는 다른 변형예에 관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3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4는 다른 변형예에 관한 화상 생성 장치가 생성하는 전체 화상 및 부분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5는 다른 변형예에 관한 전체 화상 및 부분 화상의 화상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6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7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8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스템의 일 특성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39는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스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0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전체 화상 및 부분 화상의 화상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1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스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2a는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스템의 일 동작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42b는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스템의 일 동작예를 나타내는 다른 표이다.
도 42c는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스템의 일 동작예를 나타내는 다른 표이다.
도 43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 패널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4는 도 43에 나타낸 화소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5는 도 43에 나타낸 화소의 다른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6은 도 43에 나타낸 화소의 다른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7은 도 43에 나타낸 화소의 다른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8은 도 43에 나타낸 화소의 다른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9는 도 43에 나타낸 화소의 다른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0은 도 43에 나타낸 화소의 다른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1은 적용예에 관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2는 적용예에 관한 다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3a는 다른 적용예에 관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3b는 다른 적용예에 관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4는 다른 적용예에 관한 텔레비전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5는 다른 적용예에 관한 스마트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6a는 다른 적용예에 관한 차량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6b는 다른 적용예에 관한 차량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다른 설명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실시 형태
2. 적용예
<1. 실시 형태>
[구성예]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시스템(표시 시스템(1))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 및 표시 구동 방법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해 구현화되므로, 함께 설명한다.
표시 시스템(1)은, 화상 생성 장치(1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시스템(1)은, 확장 현실(AR: Augmented Reality)이나,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의 용도로 사용된다. 표시 시스템(1)은, 화상을 생성할 때, 주시하고 있는 영역은 고해상도로, 그 이외는 저해상도로 묘화하는 중심와 렌더링(Foveated Rendering)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표시 시스템(1)은, 화상 생성 장치(10)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 사이의 통신은, 이 예에서는, HDMI(등록 상표)(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나 MIPI(등록 상표)(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등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또한, 이 예에서는 이 통신은 유선 통신에 의해 행해지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선 통신에 의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표시 시스템(1)에서는, 화상 생성 장치(10)로부터 송신된 화상 신호 SP에 기초하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가 화상을 표시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가속도 센서(22)(후술)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배향 등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또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아이트래킹 센서(23)(후술)는, 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를 장착하고 있는 유저의 눈의 배향을 검출함으로써, 유저가 표시 화상 중 어느 부분을 보고 있는지를 검출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이것들의 검출 결과를 포함하는 검출 신호 SD를, 화상 생성 장치(10)에 공급한다. 화상 생성 장치(10)는, 가속도 센서(2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배향에 따른 화상(전체 화상 P1)을 생성한다. 또한, 화상 생성 장치(10)는, 아이트래킹 센서(23)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전체 화상 P1 중 유저가 보고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화상(부분 화상 P2)을 생성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한 경우에 있어서의, 부분 화상 P2의 해상도는, 전체 화상 P1의 해상도보다도 높다. 그리고, 화상 생성 장치(10)는,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 및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포함하는 화상 신호 SP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화상 생성 장치(1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화상 생성 장치(10)는, 화상 생성 회로(11)와, 송신 회로(12)와, 수신 회로(13)를 갖고 있다.
화상 생성 회로(11)는, 예를 들어 렌더링 처리 등의 소정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화상 생성 회로(11)는, 수신 회로(1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가속도 센서(2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배향에 따른 풍경을 나타내는 전체 화상 P1을 생성한다. 또한, 화상 생성 회로(11)는, 수신 회로(1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아이트래킹 센서(23)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배향에 따른 풍경 중, 유저가 보고 있는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화상 P2를 생성한다.
도 2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있어서 표시되는 표시 화상 P20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표시 화상 P20은, 인물(9)의 화상을 포함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를 장착하고 있는 유저는, 이 인물(9)의 화상을 보고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아이트래킹 센서(23)는, 이 유저의 눈의 배향을 검출함으로써, 유저가 표시 화상 P20 중 어느 부분을 보고 있는지를 검출한다. 화상 생성 회로(11)는, 수신 회로(1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아이트래킹 센서(23)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 화상 P20의 전체 영역 R1 중, 유저가 보고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 영역 R2를 결정한다. 이 예에서는, 부분 영역 R2의 수평 방향(도 2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크기는, 전체 영역 R1의 수평 방향의 크기의 절반이고, 부분 영역 R2의 수직 방향(도 2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크기는, 전체 영역 R1의 수직 방향의 크기의 절반이다. 즉, 부분 영역 R2의 면적은, 전체 영역 R1의 면적의 1/4이다. 그리고, 화상 생성 회로(11)는, 전체 영역 R1에 관한 전체 화상 P1을 생성함과 함께, 부분 영역 R2에 관한 부분 화상 P2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화상 생성 회로(11)가 생성하는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에 있어서, 모눈은,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화소를 나타내고 있다. 전체 화상 P1은, 전체 영역 R1(도 2)에 대한 해상도가 낮은 화상이다. 부분 화상 P2는, 부분 영역 R2에 대한, 해상도가 높은 화상이다. 부분 화상 P2는, 전체 화상 P1에 있어서의 부분 영역 R2의 화상을, 해상도가 높은 화상으로 한 것이다. 이 예에서는, 전체 화상 P1에 있어서의 각 화소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있어서의 4개분의 화소 PIX(후술)에 대응하고 있고, 부분 화상 P2에 있어서의 각 화소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있어서의 1개분의 화소 PIX에 대응한다. 이 예에서는, 전체 화상 P1에 있어서의 화소의 수 및 부분 화상 P2에 있어서의 화소의 수를, 서로 동등하게 하고 있다.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의 각각은, 서브 프레임 화상이라고도 불린다.
도 4a는, 중심와 렌더링을 행하지 않고, 전체 화상만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 화상 데이터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에 복수의 화소값을 각각 기입하는 경우에 사용 가능한,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b는, 본 기술에 관한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 화상 P1에 있어서의 각 화소는, 4개분의 화소 PIX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전체 화상 P1(도 4b)의 수평 방향의 화소수(수평 화소수)는, 도 4a에 나타낸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수평 화소수의 50%이고, 전체 화상 P1의 수직 방향의 화소수(수직 화소수)는,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수직 화소수의 50%이다. 즉, 전체 화상 P1의 수평 화소수 비율은 50%이고, 전체 화상 P1의 수직 화소수 비율은 50%이다. 따라서,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양은,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화상 데이터양의 1/4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부분 영역 R2의 면적은, 전체 영역 R1의 면적의 1/4이므로, 부분 화상 P2(도 4b)의 수평 방향의 화소수(수평 화소수)는, 도 4a에 나타낸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수평 화소수의 50%이고, 부분 화상 P2의 수직 방향의 화소수(수직 화소수)는,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수직 화소수의 50%이다. 즉, 부분 화상 P2의 수평 화소수 비율은 50%이고, 부분 화상 P2의 수직 화소수 비율은 50%이다. 따라서, 부분 영역 R2의 화상 데이터양은,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화상 데이터양의 1/4이다.
이와 같이, 이 예에서는,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의 수평 화소수 비율은 서로 동등하고,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의 수직 화소수 비율은 서로 동등하다. 또한,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의 합계 데이터양은,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데이터양의 절반이다.
화상 생성 회로(11)는, 이러한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를 생성한다. 그리고, 화상 생성 회로(11)는, 생성한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 및 전체 화상 P1에 있어서의 부분 화상 P2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 회로(12)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송신 회로(12)(도 1)는, 화상 생성 회로(1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신호 SP를 생성하고, 이 화상 신호 SP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 회로(12)는,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을 생성함과 함께,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 및 부분 화상 P2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생성한다. 그리고, 송신 회로(12)는, 이 화상 데이터 DT1 및 화상 데이터 DT2를 포함하는 화상 신호 SP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화상 신호 SP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송신 회로(12)는, 화상 데이터 DT1 및 화상 데이터 DT2를 시분할적으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 회로(12)는,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 및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교호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수신 회로(13)(도 1)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로부터 송신된 검출 신호 SD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수신 회로(13)는, 이 검출 신호 SD에 포함되는, 가속도 센서(22)의 검출 결과 및 아이트래킹 센서(23)의 검출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화상 생성 회로(11)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수신 회로(21)와, 가속도 센서(22)와, 아이트래킹 센서(23)와, 프로세서(24)와, 송신 회로(25)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와, 표시 패널(27)을 갖고 있다.
수신 회로(21)는, 화상 생성 장치(10)로부터 송신된 화상 신호 SP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수신 회로(21)는, 이 화상 신호 SP에 포함되는,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 및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프로세서(24)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22)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배향 등의 움직임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가속도 센서(22)는, 예를 들어 6축 관성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시스템(1)에서는,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배향에 따른 전체 화상 P1을 생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이트래킹 센서(23)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를 장착하고 있는 유저의 눈의 배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표시 시스템(1)에서는, 유저가 표시 화상 중 어느 부분을 보고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고, 유저가 보고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해상도가 높은 부분 화상 P2를 생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프로세서(24)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24)는, 예를 들어 수신 회로(21)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 DT1, DT2에 기초하여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고, 화상 데이터 DT1에 포함되는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 화상 데이터 DT2에 포함되는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 DT2에 포함되는 부분 화상 P2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에 공급한다. 또한, 프로세서(24)는, 가속도 센서(22)의 검출 결과 및 아이트래킹 센서(23)의 검출 결과를 송신 회로(25)에 공급하고, 송신 회로(25)에, 이것들의 검출 결과를 송신시키도록 되어 있다.
송신 회로(25)는, 프로세서(24)로부터 공급된 가속도 센서(22)의 검출 결과 및 아이트래킹 센서(23)의 검출 결과를 포함하는 검출 신호 SD를, 화상 생성 장치(10)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프로세서(24)로부터 공급된,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 및 부분 화상 P2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7)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표시 패널(27)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표시 패널(27)은, 이 예에서는,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표시 패널이다. 또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패널(27)은, 예를 들어 액정 표시 패널이어도 된다.
도 6은, 표시 패널(27)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표시 패널(27)은, 화소 어레이(31)와, 화소 신호 생성 회로(32)와, 주사 회로(33)를 갖고 있다.
화소 어레이(31)는, 복수의 신호선 SGL과, 복수의 제어선 CTL과, 복수의 화소 PIX를 갖고 있다.
복수의 신호선 SGL은, 수직 방향(도 6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으로 연신됨과 함께 수평 방향(도 6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으로 병설된다. 복수의 신호선 SGL의 각각은, 화소 신호 생성 회로(32)가 생성한 화소 신호를 화소 PIX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제어선 CTL은, 수평 방향(도 6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으로 연신됨과함께 수직 방향(도 6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으로 병설된다. 복수의 제어선 CTL의 각각은, 주사 회로(33)가 생성한 제어 신호를 화소 PIX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화소 PIX는, 화소 어레이(31)에 있어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화소 PIX의 각각은, 제어선 CTL을 통해 공급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되고, 신호선 SGL을 통해 공급된 화소 신호가 기입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화소 PIX의 각각은, 기입된 화소 신호에 따른 휘도로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수평 방향으로 병설된 1행분의 화소 PIX는, 화소 라인 L을 구성한다.
화소 신호 생성 회로(32)는, 표시해야 할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소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소 신호를 복수의 신호선 SGL의 각각에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주사 회로(33)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복수의 제어선 CTL의 각각에 인가함으로써, 복수의 화소 PIX를, 1 또는 복수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로 하여 주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수신 회로(21)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수신 회로」의 일 구체예에 대응한다. 전체 화상 P1은,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전체 화상」의 일 구체예에 대응한다. 화상 데이터 DT1은,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제1 화상 데이터」의 일 구체예에 대응한다. 부분 화상 P2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부분 화상」의 일 구체예에 대응한다. 화상 데이터 DT2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제2 화상 데이터」의 일 구체예에 대응한다. 화소 어레이(31)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일 구체예에 대응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 화소 신호 생성 회로(32) 및 주사 회로(33)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표시 구동 회로」의 일 구체예에 대응한다. 아이트래킹 센서(23)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제1 센서」의 일 구체예에 대응한다. 가속도 센서(22)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제2 센서」의 일 구체예에 대응한다. 송신 회로(25)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송신 회로」의 일 구체예에 대응한다.
[동작 및 작용]
계속해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시스템(1)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체 동작 개요)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표시 시스템(1)의 전체 동작 개요를 설명한다. 화상 생성 장치(10)의 수신 회로(13)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로부터 송신된 검출 신호 SD를 수신하고, 이 검출 신호 SD에 포함되는, 가속도 센서(22)의 검출 결과 및 아이트래킹 센서(23)의 검출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화상 생성 회로(11)에 공급한다. 화상 생성 회로(11)는, 수신 회로(1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가속도 센서(2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배향에 따른 풍경을 나타내는 전체 화상 P1을 생성한다. 또한, 화상 생성 회로(11)는, 수신 회로(1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아이트래킹 센서(23)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배향에 따른 풍경 중, 유저가 보고 있는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화상 P2를 생성한다. 송신 회로(12)는,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을 생성함과 함께,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 및 부분 화상 P2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생성한다. 그리고, 송신 회로(12)는, 이 화상 데이터 DT1 및 화상 데이터 DT2를 포함하는 화상 신호 SP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로 송신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수신 회로(21)는, 화상 생성 장치(10)로부터 송신된 화상 신호 SP를 수신하고, 이 화상 신호 SP에 포함되는,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 및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프로세서(24)에 공급한다. 프로세서(24)는, 수신 회로(21)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 DT1, DT2에 기초하여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고, 화상 데이터 DT1에 포함되는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 화상 데이터 DT2에 포함되는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 및 부분 화상 P2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에 공급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프로세서(24)로부터 공급된,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 및 부분 화상 P2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7)의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 패널(27)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가속도 센서(22)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배향 등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아이트래킹 센서(23)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를 장착하고 있는 유저의 눈의 배향을 검출한다. 프로세서(24)는, 가속도 센서(22)의 검출 결과 및 아이트래킹 센서(23)의 검출 결과를, 송신 회로(25)에 공급한다. 송신 회로(25)는, 프로세서(24)로부터 공급된 가속도 센서(22)의 검출 결과 및 아이트래킹 센서(23)의 검출 결과를 포함하는 검출 신호 SD를, 화상 생성 장치(10)로 송신한다.
(상세 동작)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시분할적으로 공급된 화상 데이터 DT1 및 화상 데이터 DT2에 기초하여, 표시 화상 P20을 생성한다.
도 7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있어서의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 및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교호로 수신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가 화상 데이터 DT1을 수신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화상 데이터 DT1에 포함되는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를, 4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표시 패널(27)은, 저해상도의 전체 화상 P1을 포함하는 표시 화상 P21을 표시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가 화상 데이터 DT2를 수신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화상 데이터 DT2에 포함되는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 및 부분 화상 P2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 중,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 PIX를, 1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 중,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는, 표시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표시 패널(27)은, 고해상도의 부분 화상 P2를 포함하는 표시 화상 P22를 표시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이러한, 화상 데이터 DT1을 수신한 경우의 동작과, 화상 데이터 DT2를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반복한다.
도 8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있어서의, 더 상세한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고, (A)는 동기 신호 Vsync의 파형을 나타내고, (B)는 입력 화상을 나타내고, (C)는 표시 패널(27)의 동작을 나타내고, (D)는 표시 패널(27)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나타낸다.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의 페어는, 주기 T로 공급된다. 이 예에서는, 주기 T는, 예를 들어 8.3[msec.](=1/120[㎐])이다.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의 각각은, 주기 Ts로 공급된다. 주기 Ts는, 예를 들어 4.2[msec.](=1/240[㎐])이다.
타이밍 t11에 있어서, 동기 신호 Vsync의 펄스가 발생한다(도 8의 (A)). 타이밍 t11 내지 t12의 기간에 있어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수신 회로(21)는,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을 수신한다(도 8의 (B)). 입력 화상은 전체 화상 P1이므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이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를, 4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도 9는, 화소 PIX를 구동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다. 표시 패널(27)에 있어서, 주사 회로(33)는, 복수의 화소 PIX를, 2개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 US로 하여 주사한다. 또한, 화소 신호 생성 회로(32)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신호선 SGL에, 동일한 화소 신호를 인가한다. 이에 의해, 선택된 2개의 화소 라인 L에서는, 4개의 화소 PIX에, 동일한 화소 신호가 기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패널(27)은, 복수의 화소 PIX를, 4개의 화소 PIX를 단위 UD로 하여 구동한다.
도 8의 (C)에 있어서 굵은 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 회로(33)는, 이 예에서는 화소 어레이(31)의 최하부로부터 최상부를 향하고, 2개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로 하여 순차 주사를 행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1개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로 하여 순차 주사를 행하는 경우에 비해, 동작 주파수를 절반으로 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8의 (C)에 있어서 해칭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 신호가 기입된 화소 PIX는, 이 예에서는, 화소 신호가 기입되고 나서 소정의 기간에 걸쳐 발광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패널(27)은, 표시 화상 P21을 표시한다(도 8의 (D)).
이어서, 타이밍 t12에 있어서, 동기 신호 Vsync의 펄스가 발생한다(도 8의 (A)). 타이밍 t12 내지 t13의 기간에 있어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수신 회로(21)는,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수신한다(도 8의 (B)). 입력 화상은 부분 화상 P2이므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이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 및 이 부분 화상 P2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 중,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 PIX를, 1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도 10은, 화소 PIX를 구동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다. 표시 패널(27)에 있어서, 주사 회로(33)는, 복수의 화소 PIX를, 1개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 US로 하여 주사한다. 또한, 화소 신호 생성 회로(32)는, 복수의 신호선 SGL 중,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한 복수의 신호선 SGL에, 복수의 화소 신호를 각각 인가한다. 이에 의해, 선택된 1개의 화소 라인 L에서는,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한 복수의 화소 PIX에, 복수의 화소 신호가 각각 기입된다. 한편,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관한 복수의 화소 PIX에는, 화소 신호는 기입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패널(27)은, 복수의 화소 PIX를, 1개의 화소 PIX를 단위 UD로 하여 구동한다.
도 8의 (C)에 있어서 굵은 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 회로(33)는, 화소 어레이(31)에 있어서의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 1개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 US로 하여 순차 주사를 행한다. 타이밍 t11 내지 t12의 기간과는 달리, 이 기간에서는, 1개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 US로 하여 순차 주사를 행하므로, 주사 속도는, 타이밍 t11 내지 t12의 기간에 있어서의 주사 속도의 절반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표시 패널(27)의 최하부로부터 최상부까지 순차 주사를 행하는 경우에 비해, 동작 주파수를 절반으로 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8의 (C)에 있어서 해칭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 신호가 기입된 화소 PIX가 속하는 화소 라인 L의 화소 PIX는, 이 예에서는, 화소 신호가 기입되고 나서 소정의 기간에 걸쳐 발광한다. 또한, 화소 신호가 기입되지 않은 최하부 부근의 화소 라인 L의 화소 PIX는, 최초에 화소 신호가 기입된 화소 PIX와 동일한 기간에 있어서 발광하고, 화소 신호가 기입되지 않은 최상부 부근의 화소 라인 L의 화소 PIX는, 최후에 화소 신호가 기입된 화소 PIX와 동일한 기간에 있어서 발광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패널(27)은, 표시 화상 P22를 표시한다(도 8의 (D)). 이 표시 화상 P22 중, 부분 영역 R2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은, 타이밍 t11 내지 t12에 있어서 기입되고, 부분 영역 R2에 있어서의 화상은, 이 타이밍 t12 내지 t13의 기간에 있어서 기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타이밍 t11 내지 t13의 기간에 있어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화상 데이터 DT1 및 화상 데이터 DT2에 포함되는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의 페어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최초에, 전체 화상 P1에 기초하여 표시 화상 P21을 표시하고, 부분 화상 P2에 기초하여, 표시 화상 P21에 있어서의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의 화상을 다시 표시함으로써 표시 화상 P22를 표시한다. 유저는, 표시 화상 P21을 관찰함으로써 화상의 전체를 파악하고, 표시 화상 P22를 관찰함으로써, 부분 영역 R2에 있어서의 화상의 상세를 파악한다. 레이턴시의 관점에서는, 유저가 화상의 전체를 파악하는 타이밍이 중요하다. 이 경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레이턴시는,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 DT1의 입력이 개시되는 타이밍 t11로부터, 표시 패널(27)의 상하 방향의 중앙의 위치의 화소 PIX가 발광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 Δt이다. 이 시간 Δt는, 이 예에서는, 주기 Ts에 대응하는 시간의 절반 정도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주기 Ts가 4.2[msec.](=1/240[㎐])인 경우에는, 시간 Δt는 2[msec.] 정도로 할 수 있다.
표시 시스템(1)은, 이 후에도, 타이밍 tt 내지 t13의 동작을 반복한다. 예를 들어, 타이밍 t13 내지 t14의 기간에 있어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수신 회로(21)는,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을 수신한다(도 8의 (B)).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이 화상 데이터 DT1에 기초하여, 타이밍 t11 내지 t12의 기간에 있어서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표시 화상 P21을 표시한다(도 8의 (C), (D)). 또한, 타이밍 t14 내지 t15의 기간에 있어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수신 회로(21)는,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수신한다(도 8의 (B)).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이 화상 데이터 DT2에 기초하여, 타이밍 t12 내지 t13의 기간에 있어서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표시 화상 P22를 표시한다(도 8의 (C), (D)).
도 11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있어서의, 다른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도 11의 (C)에 있어서 해칭으로 나타낸 발광 동작이, 도 8의 예와는 다르다. 즉, 도 8의 예에서는, 표시 패널(27)은, 선 순차 주사의 타이밍에 따라 발광했지만, 이 예에서는, 전체 영역의 화소 PIX가 동일한 타이밍에 발광한다.
예를 들어, 타이밍 t21 내지 t22의 기간에 있어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수신 회로(21)는,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을 수신한다(도 11의 (B)). 입력 화상은 전체 화상 P1이므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이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를, 4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주사 회로(33)는, 이 예에서는 화소 어레이(31)의 최하부로부터 최상부를 향하고, 2개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 US로 하여 순차 주사를 행한다(도 11의 (C)). 그리고, 도 11의 (C)에 있어서 해칭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모든 화소 PIX에 화소 신호가 기입된 타이밍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 PIX는 소정의 기간에 걸쳐 동일한 타이밍에 발광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패널(27)은, 표시 화상 P21을 표시한다(도 11의 (D)).
예를 들어, 타이밍 t22 내지 t23의 기간에 있어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수신 회로(21)는,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수신한다(도 11의 (B)). 입력 화상은 부분 화상 P2이므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이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 및 이 부분 화상 P2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 중,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 PIX를, 1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주사 회로(33)는, 복수의 화소 PIX 중,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한 복수의 화소 PIX를, 1개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 US로 하여 순차 주사를 행한다(도 11의 (C)). 그리고, 도 11의 (C)에 있어서 해칭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모든 화소 PIX에 화소 신호가 기입된 타이밍 이후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 PIX는 소정의 기간에 걸쳐 동일한 타이밍에 발광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패널(27)은, 표시 화상 P22를 표시한다(도 11의 (D)).
이와 같이 하여, 타이밍 t21 내지 t23의 기간에 있어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화상 데이터 DT1 및 화상 데이터 DT2에 포함되는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의 페어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이 경우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레이턴시는,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 DT1의 입력이 개시되는 타이밍 t11부터, 표시 패널(27)의 절반을 주사할 때까지의 시간 Δt이다. 이 시간 Δt는, 이 예에서는, 주기 Ts에 대응하는 시간과 동일 정도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주기 Ts가 4.2[msec.](=1/240[㎐])인 경우에는, 시간 Δt는 4[msec.]정도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시스템(1)에서는, 저해상도의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제1 화상 데이터(화상 데이터 DT1) 및 전체 화상 P1의 일부에 대응하는, 고해상도의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제2 화상 데이터(화상 데이터 DT2)를 수신하도록 했다. 그리고, 제1 화상 데이터(화상 데이터 DT1)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 PIX를, 4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1 구동과, 제2 화상 데이터(화상 데이터 DT2)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 PIX 중,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2 이상의 화소를, 1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2 구동을 행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표시 시스템(1)에서는, 최초에, 전체 화상 P1에 기초하여 표시 화상 P21을 표시하고, 부분 화상 P2에 기초하여, 표시 화상 P21에 있어서의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의 화상을 다시 표시함으로써 표시 화상 P22를 표시할 수 있다. 유저는, 표시 화상 P21을 관찰함으로써 화상의 전체를 파악하고, 표시 화상 P22를 관찰함으로써, 부분 영역 R2에 있어서의 화상의 상세를 파악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 DT1의 입력이 개시되는 타이밍으로부터, 표시 패널(27)의 상하 방향의 중앙의 위치의 화소 PIX가 발광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 Δt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레이턴시를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시스템(1)에서는, 화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시스템(1)에서는, 제2 화상 데이터(화상 데이터 DT2)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 PIX 중,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2 이상의 화소를, 1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2 구동을 행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표시 시스템(1)에서는, 예를 들어 유저가 보고 있는 부분을, 고해상도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화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시스템(1)에서는, 저해상도의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제1 화상 데이터(화상 데이터 DT1) 및 전체 화상 P1의 일부에 대응하는, 고해상도의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제2 화상 데이터(화상 데이터 DT2)를 수신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표시 시스템(1)에서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DT1의 화상 데이터양 및 화상 데이터 DT2의 화상 데이터양을,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화상 데이터양에 비해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시스템(1)에서는, 화상 생성 장치(10)로부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로의 화상 신호 SP의 신호 전송에 있어서의, 전송 대역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시스템(1)에서는, 이와 같이 전송 대역을 삭감할 수 있으므로, 짧은 시간에 화상 데이터 DT1 및 화상 데이터 DT2를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시스템(1)에서는, 프레임 레이트를 높일 수 있으므로, 화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시스템(1)에서는, 제1 화상 데이터(화상 데이터 DT1)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 PIX를, 4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1 구동과, 제2 화상 데이터(화상 데이터 DT2)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 PIX 중,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2 이상의 화소를, 1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2 구동을 행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표시 시스템(1)에서는,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를 미리 합성하여, 합성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와는 달리, 반드시 프레임 메모리가 필요하지는 않다. 이와 같이, 프레임 메모리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회로 구성을 심플하게 할 수 있어, 예를 들어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해상도의 전체 화상을 나타내는 제1 화상 데이터 및 전체 화상의 일부에 대응하는, 고해상도의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했다. 그리고,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를, 4개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1 구동과,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 중,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2 이상의 화소를, 1개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2 구동을 행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화질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 중,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2 이상의 화소를, 1개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2 구동을 행하도록 했으므로, 화질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해상도의 전체 화상을 나타내는 제1 화상 데이터 및 전체 화상의 일부에 대응하는, 고해상도의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했으므로, 화질을 높일 수 있다.
[변형예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생성 회로(11)는, 아이트래킹 센서(23)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부분 화상 P2를 생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본 변형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표시 시스템(1A)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표시 시스템(1A)은, 화상 생성 장치(10A)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A)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생성 장치(10A)는, 화상 생성 회로(11A)를 갖고 있다. 화상 생성 회로(11A)는, 수신 회로(1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가속도 센서(2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배향에 따른 풍경을 나타내는 전체 화상 P1을 생성한다. 또한, 화상 생성 회로(11A)는, 전체 화상 P1에 있어서의, 화상이 변화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 화상 P2를 생성한다.
도 13은, 전체 화상 P1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인물(9)의 화상은, 전체 화상 P1 내를 이동하고 있다. 화상 생성 회로(11A)는, 전체 화상 P1에 기초하여, 변화되고 있는 화상을 포함하는 부분 영역 R2를 결정한다. 그리고, 화상 생성 회로(11A)는, 부분 영역 R2에 관한 부분 화상 P2를 생성한다. 즉, 유저는, 표시 화상 중, 변화되고 있는 부분을 볼 가능성이 높으므로, 화상 생성 회로(11A)는, 변화되고 있는 부분에 대한 부분 화상 P2를 생성한다. 그리고, 화상 생성 회로(11A)는, 생성한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 및 전체 화상 P1에 있어서의 부분 화상 P2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 회로(12)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A)(도 12)는, 수신 회로(21)와, 가속도 센서(22)와, 프로세서(24A)와, 송신 회로(25)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와, 표시 패널(27)을 갖고 있다. 즉, 본 변형예에 관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A)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도 1)에 있어서, 아이트래킹 센서(23)를 생략함과 함께, 프로세서(24)를 프로세서(24A)로 변경한 것이다. 프로세서(24A)는, 예를 들어 수신 회로(21)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 DT1, DT2에 기초하여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고, 화상 데이터 DT1에 포함되는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 화상 데이터 DT2에 포함되는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 DT2에 포함되는 부분 화상 P2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에 공급한다. 또한, 프로세서(24A)는, 가속도 센서(22)의 검출 결과를 송신 회로(25)에 공급하고, 송신 회로(25)에, 이것들의 검출 결과를 송신시키도록 되어 있다.
[변형예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생성 회로(11)가 생성한 화상을 표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표시 시스템(1B)과 같이, 이미지 센서(28B)가 촬상한 화상도 표시함으로써, 소위 비디오 시스루를 실현해도 된다. 이 표시 시스템(1B)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B)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B)는, 이미지 센서(28B)와, 프로세서(24B)를 갖고 있다.
이미지 센서(28B)는, 예를 들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B)를 장착한 유저의 전방을 촬상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24B)는, 수신 회로(21)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 DT1, DT2 및 이미지 센서(28B)에 의해 생성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고, 전체 화상의 화상 데이터, 부분 화상의 화상 데이터 및 부분 화상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변형예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체 화상 P1을 표시할 때,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를, 4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 대신에, 예를 들어 도 15,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수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병설된 2개(2×1)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해도 되고, 수평 방향으로 4개의 화소 PIX를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2개의 화소 PIX를 포함하는 8개(4×2)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해도 되고, 수평 방향으로 8개의 화소 PIX를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4개의 화소 PIX를 포함하는 32개(8×4)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수직 방향으로 병설된 2개(1×2)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해도 되고, 수평 방향으로 2개의 화소 PIX를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4개의 화소 PIX를 포함하는 8개(2×4)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해도 되고, 수평 방향으로 4개의 화소 PIX를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8개의 화소 PIX를 포함하는 32개(4×8)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2개의 화소 PIX를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2개의 화소 PIX를 포함하는 4개(2×2)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해도 되고, 수평 방향으로 4개의 화소 PIX를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4개의 화소 PIX를 포함하는 16개(4×4)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해도 되고, 수평 방향으로 8개의 화소 PIX를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8개의 화소 PIX를 포함하는 64개(8×8)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해도 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짝수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홀수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함으로써, 전송 대역을 삭감할 수 있다. 즉, 1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한 경우에 있어서의 대역 사용률을 100%라고 하면,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4개(2×2)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한 경우에는, 전체 화상 P1의 화소수가 1/4이 되므로, 대역 사용률은 25%가 된다. 또한, 예를 들어 16개(4×4)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한 경우에는, 전체 화상 P1의 화소수가 1/16이 되므로, 대역 사용률은 6.25%가 된다.
유저는, 표시 화상 P21을 관찰함으로써 화상의 전체를 파악하고, 표시 화상 P22를 관찰함으로써, 주시하고 있는 부분 영역 R2에 있어서의 화상의 상세를 파악한다. 이와 같이, 유저는, 전체 화상 P1을 주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복수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해도, 화질의 저하를 느끼기 어렵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구동 단위인 화소 PIX의 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화질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전송 대역을 삭감할 수 있다.
[변형예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 화상 P2의 수평 화소수 비율을 50%로 하고, 부분 화상 P2의 수직 화소수 비율을 50%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 대신에, 부분 화상 P2의 수평 화소수 비율 및 수직 화소수 비율을 다양한 값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의 시야가 가로 방향으로 넓은 것을 고려하여, 부분 화상 P2의 수평 화소수 비율을 수직 화소수 비율보다도 크게 해도 된다.
도 19 내지 21은, 부분 화상 P2의 수평 화소수 비율이 100%이고, 수직 화소수 비율이 50%인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19는,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고, 도 20은,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21은,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 화상 P2의 수평 방향의 화소수(수평 화소수)는,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수평 화소수의 100%이고, 부분 화상 P2의 수직 방향의 화소수(수직 화소수)는,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수직 화소수의 50%이다. 한편, 전체 화상 P1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도 4b)와 마찬가지이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밍 t31 내지 t32의 기간에 있어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수신 회로(21)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을 수신한다(도 21의 (B)). 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이 화상 데이터 DT1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도 8, 9)와 마찬가지로, 표시 화상 P21을 표시한다(도 21의 (C), (D)). 또한, 타이밍 t32 내지 t33의 기간에 있어서, 수신 회로(21)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수신한다(도 21의 (B)). 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이 화상 데이터 DT2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도 8, 10)와 마찬가지로, 표시 화상 P22를 표시한다(도 21의 (C), (D)).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시스템에서는, 타이밍 t31 내지 t32의 기간에 있어서,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이 전송되고, 타이밍 t32 내지 t33의 기간에 있어서,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가 전송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양이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양보다 크므로, 전송 대역은,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부분 화상 P2의 수평 화소수 비율이 100%이고, 수직 화소수 비율이 50%인 경우에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역 사용률은 100%이다.
도 22 내지 24는, 부분 화상 P2의 수평 화소수 비율이 75%이고, 수직 화소수 비율이 50%인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19는,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고, 도 20은,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21은,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 화상 P2의 수평 방향의 화소수(수평 화소수)는,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수평 화소수의 75%이고, 부분 화상 P2의 수직 방향의 화소수(수직 화소수)는,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수직 화소수의 50%이다. 한편, 전체 화상 P1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도 4b)와 마찬가지이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밍 t41 내지 t42의 기간에 있어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수신 회로(21)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을 수신한다(도 24의 (B)). 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이 화상 데이터 DT1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도 8, 9)와 마찬가지로, 표시 화상 P21을 표시한다(도 24의 (C), (D)). 또한, 타이밍 t42 내지 t43의 기간에 있어서, 수신 회로(21)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수신한다(도 24의 (B)). 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이 화상 데이터 DT2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도 8, 10)와 마찬가지로, 표시 화상 P22를 표시한다(도 24의 (C), (D)).
이 예에서도,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양이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양보다 크므로, 전송 대역은,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부분 화상 P2의 수평 화소수 비율이 75%이고, 수직 화소수 비율이 50%인 경우에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역 사용률은 75%이다. 이 예에서는, 전송 대역을 삭감할 수 있다.
이상의 예에서는, 부분 화상 P2의 수평 화소수 비율을 수직 화소수 비율보다도 크게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 대신에, 예를 들어 부분 화상 P2의 수직 화소수 비율을 수평 화소수 비율보다도 크게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5,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부분 화상 P2의 수평 화소수 비율 및 수직 화소수 비율을 서로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수평 화소수 비율 및 수직 화소수 비율을 변경해도 된다.
또한, 도 19 내지 21에 나타낸 예에서는, 타이밍 t31 내지 t32의 기간에 있어서, 전송 대역이 남아 버린다. 이렇게 타이밍 t31 내지 t32의 기간에 있어서 남은 전송 대역을 유용하게 이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 화상 P1의 해상도를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도 27 내지 29는, 부분 화상 P2의 수평 화소수 비율이 100%이고, 수직 화소수 비율이 50%인 경우에 있어서, 전체 화상 P1의 해상도를 높인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7은,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28은,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29는, 화소 PIX를 구동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화상 P1의 수평 방향의 화소수(수평 화소수)는,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수평 화소수의 100%이고, 전체 화상 P1의 수직 방향의 화소수(수직 화소수)는,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수직 화소수의 50%이다. 이 예에서는, 도 20의 예에 비해, 전체 화상 P1의 수평 방향의 해상도를 2배로 높이고 있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밍 t51 내지 t52의 기간에 있어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수신 회로(21)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을 수신한다(도 28의 (B)). 입력 화상은 전체 화상 P1이므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이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를, 2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패널(27)에 있어서, 주사 회로(33)는, 복수의 화소 PIX를, 2개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 US로 하여 주사한다. 또한, 화소 신호 생성 회로(32)는, 복수의 신호선 SGL에, 복수의 화소 신호를 각각 인가한다. 이에 의해, 선택된 2개의 화소 라인 L에서는, 2개의 화소 PIX에, 동일한 화소 신호가 기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패널(27)은, 복수의 화소 PIX를, 2개의 화소 PIX를 단위 UD로 하여 구동한다.
도 28의 (C)에 있어서 굵은 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 회로(33)는, 이 예에서는 화소 어레이(31)의 최하부로부터 최상부를 향하고, 2개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로 하여 순차 주사를 행한다. 그리고, 도 28의 (C)에 있어서 해칭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 신호가 기입된 화소 PIX는, 이 예에서는, 화소 신호가 기입되고 나서 소정의 기간에 걸쳐 발광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패널(27)은, 표시 화상 P21을 표시한다(도 28의 (D)).
또한, 타이밍 t52 내지 t53의 기간에 있어서, 수신 회로(21)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수신한다(도 28의 (B)). 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이 화상 데이터 DT2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도 8, 10)와 마찬가지로, 표시 화상 P22를 표시한다(도 28의 (C), (D)).
[변형예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 및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교호로 전송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22)의 검출 결과나, 아이트래킹 센서(23)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를 바꾸어도 된다. 이 표시 시스템(1)에서는, 기본적으로는,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 및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교호로 전송한다. 이 예에서는, 기간 Tmotion에 있어서, 유저는 헤드의 배향을 크게 변경한다. 가속도 센서(22)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배향 등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그리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송신 회로(25)는, 이 가속도 센서(22)의 검출 결과를 포함하는 검출 신호 SD를 화상 생성 장치(10)로 송신한다. 화상 생성 장치(10)의 수신 회로(13)는, 이 검출 신호 SD를 수신하고, 화상 생성 회로(11)는, 이 가속도 센서(2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배향이 계속해서 변화되고 있는 기간 Tmotion에 있어서, 전체 화상 P1을 반복하여 계속해서 생성한다. 송신 회로(12)는, 이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을 생성하고, 화상 데이터 DT1을 포함하는 화상 신호 SP를 송신한다. 즉, 화상 생성 장치(10)의 송신 회로(12)는, 기간 Tmotion에 있어서,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을 반복하여 계속해서 송신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수신 회로(21)는, 이 화상 데이터 DT1을 수신한다. 그리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화상 데이터 DT1에 기초하여, 전체 화상 P1을 포함하는 표시 화상 P21을 표시한다. 즉,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기간 Tmotion에 있어서, 전체 화상 P1을 포함하는 표시 화상 P21을 반복하여 계속해서 표시한다. 그리고, 유저가 헤드의 방향을 정지하면, 기간 Tmotion은 종료하고, 표시 시스템(1)은,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 및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교호로 전송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헤드를 움직이게 한 경우에, 짧은 레이턴시에, 헤드의 움직임에 따른 전체 화상 P1을 포함하는 표시 화상 P21을 볼 수 있으므로, 유저가 멀미를 느낄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유저가 헤드의 배향을 크게 변경한 경우에, 표시 시스템(1)은,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을 반복해서 전송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 대신에, 예를 들어 유저가 표시 화상 중 보는 부분을 크게 변경한 경우에,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을 반복해서 전송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표시 시스템(1)은, 아이트래킹 센서(23)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을 반복해서 전송한다.
[변형예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화상 데이터 DT1 및 1개의 화상 데이터 DT2를 교호로 전송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1개의 화상 데이터 DT1 및 복수의 화상 데이터 DT2를 교호로 전송해도 된다. 또한, 이 복수의 화상 데이터 DT2의 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하에, 1개의 화상 데이터 DT1 및 3개의 화상 데이터 DT2를 교호로 전송하는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1은, 본 변형예에 관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있어서의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고, (A)는 동기 신호 Vsync의 파형을 나타내고, (B)는 입력 화상을 나타내고, (C)는 표시 패널(27)의 동작을 나타내고, (D)는 표시 패널(27)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나타낸다.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의 각각은, 주기 Ts로 공급된다. 주기 Ts는, 예를 들어 4.2[msec.](=1/240[㎐])이다.
타이밍 t61 내지 t62의 기간에 있어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수신 회로(21)는,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을 수신한다(도 31의 (B)).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이 화상 데이터 DT1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도 8, 9)와 마찬가지로, 표시 화상 P21을 표시한다(도 31의 (C), (D)). 또한, 타이밍 t62 내지 t63의 기간에 있어서, 수신 회로(21)는,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수신한다(도 31의 (B)).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이 화상 데이터 DT2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도 8, 10)와 마찬가지로, 표시 화상 P22를 표시한다(도 31의 (C), (D)). 또한, 타이밍 t63 내지 t64의 기간에 있어서, 수신 회로(21)는,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수신한다(도 31의 (B)).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이 화상 데이터 DT2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도 8, 10)와 마찬가지로, 표시 화상 P22를 표시한다(도 31의 (C), (D)). 또한, 타이밍 t64 내지 t65의 기간에 있어서, 수신 회로(21)는,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수신한다(도 31의 (B)).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이 화상 데이터 DT2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도 8, 10)와 마찬가지로, 표시 화상 P22를 표시한다(도 31의 (C), (D)).
도 32는, 본 변형예에 관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있어서의, 다른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도 11의 예와 마찬가지로, 표시 패널(27)은, 전체 영역의 화소 PIX가 동일한 타이밍에 발광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를 교호로 생성하는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에 비해, 부분 화상 P2의 생성 빈도가 높다. 화상 생성 회로(11)는, 부분 화상 P2를 생성할 때, 부분 화상 P2의 외측의 화상 렌더링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소비 전력을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화상 생성 회로(11)는, 예를 들어 3개의 부분 화상 P2를 동일한 화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부분 화상 P2의 생성 횟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변형예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서브 프레임(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을 마련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것 대신에, 3 이상의 서브 프레임을 마련해도 된다. 이하에, 3개의 서브 프레임을 마련한 경우의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 관한 화상 생성 회로(11)는, 수신 회로(1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가속도 센서(2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배향에 따른 풍경을 나타내는 전체 화상 P1을 생성한다. 또한, 화상 생성 회로(11)는, 수신 회로(1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아이트래킹 센서(23)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배향에 따른 풍경 중, 유저가 보고 있는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화상 P2, P3을 생성한다.
도 33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있어서 표시되는 표시 화상 P20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화상 생성 회로(11)는, 수신 회로(1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아이트래킹 센서(23)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 화상 P20의 전체 영역 R1 중, 유저가 보고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 영역 R2, R3을 결정한다. 이 예에서는, 부분 영역 R2의 수평 방향(도 33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크기는, 전체 영역 R1의 수평 방향의 크기의 절반이고, 부분 영역 R2의 수직 방향(도 33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크기는, 전체 영역 R1의 수직 방향의 크기의 절반이다. 즉, 부분 영역 R2의 면적은, 전체 영역 R1의 면적의 1/4이다. 또한, 이 예에서는, 부분 영역 R3의 수평 방향의 크기는, 부분 영역 R2의 수평 방향의 크기의 절반이고, 부분 영역 R3의 수직 방향의 크기는, 부분 영역 R2의 수직 방향의 크기의 절반이다. 즉, 부분 영역 R3의 면적은, 부분 영역 R2의 면적의 1/4이다. 이 예에서는, 부분 영역 R3의 중심 위치는, 부분 영역 R2의 중심 위치와 동일하다.
도 34는, 화상 생성 회로(11)가 생성하는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 P3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전체 화상 P1은, 전체 영역 R1(도 33)에 대한 해상도가 낮은 화상이다. 부분 화상 P2는, 부분 영역 R2에 대한, 해상도가 중간 정도인 화상이다. 부분 화상 P3은, 부분 영역 R3에 대한, 해상도가 높은 화상이다. 이 예에서는, 전체 화상 P1에 있어서의 각 화소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있어서의 16개분의 화소 PIX에 대응하고 있고, 부분 화상 P2에 있어서의 각 화소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있어서의 4개분의 화소 PIX에 대응하고 있고, 부분 화상 P3에 있어서의 각 화소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있어서의 1개분의 화소 PIX에 대응한다. 이 예에서는, 전체 화상 P1에 있어서의 화소의 수, 부분 화상 P2에 있어서의 화소의 수 및 부분 화상 P3에 있어서의 화소의 수를, 서로 동등하게 하고 있다.
도 35는,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 P3의 화상 데이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 35에 있어서의 전체가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에 복수의 화소값을 각각 기입하는 경우에 사용 가능한,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전체 화상 P1의 수평 방향의 화소수(수평 화소수)는, 도 35에 나타낸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수평 화소수의 25%이고, 전체 화상 P1의 수직 방향의 화소수(수직 화소수)는,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수직 화소수의 25%이다. 즉, 전체 화상 P1의 수평 화소수 비율은 25%이고, 전체 화상 P1의 수직 화소수 비율은 25%이다.
부분 화상 P2의 수평 방향의 화소수(수평 화소수)는,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수평 화소수의 25%이고, 부분 화상 P2의 수직 방향의 화소수(수직 화소수)는,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수직 화소수의 25%이다. 즉, 부분 화상 P2의 수평 화소수 비율은 25%이고, 부분 화상 P2의 수직 화소수 비율은 25%이다.
부분 화상 P3의 수평 방향의 화소수(수평 화소수)는,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수평 화소수의 25%이고, 부분 화상 P3의 수직 방향의 화소수(수직 화소수)는,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수직 화소수의 25%이다. 즉, 부분 화상 P3의 수평 화소수 비율은 25%이고, 부분 화상 P3의 수직 화소수 비율은 25%이다.
이와 같이, 이 예에서는,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 P3의 수평 화소수 비율은 서로 동등하고,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 P3의 수직 화소수 비율은 서로 동등하다. 또한,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 P3의 합계 데이터양은,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데이터양의 3/16이다.
도 36은, 본 변형예에 관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있어서의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는,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 및 부분 화상 P3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3을, 이 순서로 순회적으로 수신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가 화상 데이터 DT1을 수신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화상 데이터 DT1에 포함되는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를, 16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표시 패널(27)은, 저해상도의 전체 화상 P1을 포함하는 표시 화상 P21을 표시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가 화상 데이터 DT2를 수신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화상 데이터 DT2에 포함되는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 및 부분 화상 P2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 중,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 PIX를, 4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 중,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는, 표시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표시 패널(27)은, 중해상도의 부분 화상 P2를 포함하는 표시 화상 P22를 표시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가 화상 데이터 DT3을 수신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화상 데이터 DT3에 포함되는 부분 화상 P3의 화상 데이터 및 부분 화상 P3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 중, 부분 화상 P3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 PIX를, 1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 중, 부분 화상 P3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는, 표시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표시 패널(27)은, 저해상도의 부분 화상 P2를 포함하는 표시 화상 P23을 표시한다.
도 37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에 있어서의, 더 상세한 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타이밍 t71 내지 t72의 기간에 있어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수신 회로(21)는,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을 수신한다(도 37의 (B)). 입력 화상은 전체 화상 P1이므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이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를, 16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표시 패널(27)에 있어서, 주사 회로(33)는, 복수의 화소 PIX를, 4개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로 하여 주사한다. 또한, 화소 신호 생성 회로(32)는, 4개의 신호선 SGL에, 동일한 화소 신호를 인가한다. 이에 의해, 선택된 4개의 화소 라인 L에서는, 16개의 화소 PIX에, 동일한 화소 신호가 기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패널(27)은, 복수의 화소 PIX를, 16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한다.
도 37의 (C)에 있어서 굵은 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 회로(33)는, 이 예에서는 화소 어레이(31)의 최하부로부터 최상부를 향하고, 8개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로 하여 순차 주사를 행한다. 그리고, 도 37의 (C)에 있어서 해칭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모든 화소 PIX에 화소 신호가 기입된 타이밍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 PIX는 소정의 기간에 걸쳐 동일한 타이밍에 발광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패널(27)은, 표시 화상 P21을 표시한다(도 37의 (D)).
이어서, 타이밍 t72 내지 t73의 기간에 있어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수신 회로(21)는,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수신한다(도 37의 (B)). 입력 화상은 부분 화상 P2이므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이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 및 이 부분 화상 P2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 중,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 PIX를, 4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표시 패널(27)에 있어서, 주사 회로(33)는, 복수의 화소 PIX를, 2개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로 하여 주사한다. 또한, 화소 신호 생성 회로(32)는, 복수의 신호선 SGL 중,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한 복수의 신호선 SGL 중 2개의 신호선 SGL에, 동일한 화소 신호를 인가한다. 이에 의해, 선택된 2개의 화소 라인 L에서는, 4개의 화소 PIX에, 동일한 화소 신호가 기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패널(27)은, 복수의 화소 PIX를, 4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한다.
도 37의 (C)에 있어서 굵은 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 회로(33)는, 화소 어레이(31)에 있어서의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 2개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로 하여 순차 주사를 행한다. 그리고, 도 37의 (C)에 있어서 해칭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모든 화소 PIX에 화소 신호가 기입된 타이밍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 PIX는 소정의 기간에 걸쳐 동일한 타이밍에 발광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패널(27)은, 표시 화상 P22를 표시한다(도 37의 (D)).
이어서, 타이밍 t73 내지 t74의 기간에 있어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수신 회로(21)는,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3을 수신한다(도 37의 (B)). 입력 화상은 부분 화상 P3이므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이 부분 화상 P3의 화상 데이터 및 이 부분 화상 P3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 중,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 PIX를, 1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표시 패널(27)에 있어서, 주사 회로(33)는, 복수의 화소 PIX를, 1개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로 하여 주사한다. 또한, 화소 신호 생성 회로(32)는, 복수의 신호선 SGL 중, 부분 화상 P3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한 복수의 신호선 SGL에, 복수의 화소 신호를 각각 인가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패널(27)은, 복수의 화소 PIX를, 1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한다.
도 37의 (C)에 있어서 굵은 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 회로(33)는, 화소 어레이(31)에 있어서의 부분 화상 P3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 1개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로 하여 순차 주사를 행한다. 그리고, 도 37의 (C)에 있어서 해칭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패널(27)에 있어서의 모든 화소 PIX에 화소 신호가 기입된 타이밍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 PIX는 소정의 기간에 걸쳐 동일한 타이밍에 발광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패널(27)은, 표시 화상 P23을 표시한다(도 37의 (D)).
도 38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시스템(1) 및 본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스템(1)에 있어서의 대역 사용률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서브 프레임을 2개로 한 경우에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의 합계 데이터양은,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데이터양의 50%이므로, 대역 사용률은 50%이다. 한편, 본 변형예와 같이, 서브 프레임을 3개로 한 경우에는,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 P3의 합계 데이터양은, 고해상도의 전체 화상의 데이터양의 3/16이므로, 대역 사용률은 19%이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대역 사용률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동작 주파수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변형예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 및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 전송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압축해도 된다. 이하에, 본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스템(1C)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9는, 표시 시스템(1C)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표시 시스템(1C)은, 화상 생성 장치(10C)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C)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생성 장치(10C)는, 화상 생성 회로(11C)를 갖고 있다. 화상 생성 회로(11C)는, 화상 압축 회로(19C)를 갖고 있다. 화상 압축 회로(19C)는, 예를 들어 전체 화상 P1 및 부분 화상 P2 중 한쪽 또는 양쪽을 압축하도록 구성된다. 화상 압축 회로(19C)는, 서브 프레임 단위로, 압축을 행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압축 회로(19C)는, 압축하는 경우에는, 서브 프레임 단위로, 압축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에 MIPI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MIPI에 있어서의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DSC(Display Stream Compression)를 사용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C)는, 프로세서(24C)를 갖고 있다. 프로세서(24C)는, 화상 복원 회로(29C)를 갖고 있다. 화상 복원 회로(29C)는, 화상 압축 회로(19C)에 의해 압축된 화상을 복원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 화상 P2의 수평 화소수 비율이 100%이고, 수직 화소수 비율이 50%인 경우에는, 부분 화상 P2의 데이터양은, 전체 화상 P1의 데이터양보다도 크다. 이 경우에는, 전송 대역에 낭비가 발생해 버린다. 따라서, 표시 시스템(1C)에서는, 화상 압축 회로(19C)가 부분 화상 P2를 압축함으로써,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0의 경우에 비해,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양을 줄일 수 있다. 도 40에 있어서, 해칭은, 압축된 화상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화상 압축 회로(19C)는, 부분 화상 P2를, 50%의 압축률로 압축하고 있다. 그 결과, 전송 대역을 삭감할 수 있다. 압축된 부분 화상 P2는, 화상 복원 회로(29C)에 의해 복원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C)는, 복원된 부분 화상 P2에 기초하여, 도 2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상을 표시한다.
[변형예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C)에 가속도 센서(22) 및 아이트래킹 센서(23)를 마련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도 41에 나타내는 표시 시스템(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센서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이 표시 시스템(1D)은, 화상 생성 장치(10D)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D)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생성 장치(10D)는, 화상 생성 회로(11D)를 갖고 있다. 화상 생성 회로(11D)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D)에 표시해야 할 전체 화상 P1을 생성한다. 또한, 화상 생성 회로(11D)는, 전체 화상 P1에 있어서의, 화상이 변화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 화상 P2를 생성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D)는, 프로세서(24D)를 갖고 있다. 프로세서(24D)는, 예를 들어 수신 회로(21)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 DT1, DT2에 기초하여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고, 화상 데이터 DT1에 포함되는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 화상 데이터 DT2에 포함되는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 DT2에 포함되는 부분 화상 P2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에 공급한다.
[변형예 9]
상기 실시 형태는, 도 42a 내지 4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컬러 방식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C1(도 4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RGB 방식에 적용해도 된다. 이 예에서는, 전체 화상 P1의 적색 화상(R), 녹색 화상(G) 및 청색 화상(B)은, 저해상도의 화상이다. 표시 패널(27)은, 이들 화상에 기초하여, 2행 2열로 배치된 4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전체 화상 P1에 관한 표시 구동 동작을 행한다. 또한, 부분 화상 P2의 적색 화상(R), 녹색 화상(G) 및 청색 화상(B)은, 고해상도의 화상이다. 표시 패널(27)은, 이들 화상에 기초하여, 1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부분 화상 P2에 관한 표시 구동 동작을 행한다. 이 경우의 대역 사용률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도 4)와 마찬가지로 50%이다.
또한, 예를 들어 케이스 C2 내지 C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를 사용한 YUV 방식에 적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케이스 C2에 나타낸 예(도 42a)에서는, 전체 화상 P1의 휘도 화상(Y), 제1 색차 화상(U) 및 제2 색차 화상(V)은, 저해상도의 화상이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이들 화상에 기초하여, 저해상도의 적색 화상(R), 녹색 화상(G) 및 청색 화상(B)을 생성하고, 표시 패널(27)은, 생성된 화상에 기초하여, 2행 2열로 배치된 4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전체 화상 P1에 관한 표시 구동 동작을 행한다. 또한, 부분 화상 P2의 휘도 화상(Y), 제1 색차 화상(U) 및 제2 색차 화상(V)은, 고해상도의 화상이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이들 화상에 기초하여, 고해상도의 적색 화상(R), 녹색 화상(G) 및 청색 화상(B)을 생성하고, 표시 패널(27)은, 생성된 화상에 기초하여, 1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부분 화상 P2에 관한 표시 구동 동작을 행한다. 이 경우의 대역 사용률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도 4)와 마찬가지로 50%이다.
예를 들어, 케이스 C3에 나타낸 예(도 42b)에서는, 전체 화상 P1의 휘도 화상(Y), 제1 색차 화상(U) 및 제2 색차 화상(V)은, 저해상도의 화상이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이들 화상에 기초하여, 저해상도의 적색 화상(R), 녹색 화상(G) 및 청색 화상(B)을 생성하고, 표시 패널(27)은, 생성된 화상에 기초하여, 2행 2열로 배치된 4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전체 화상 P1에 관한 표시 구동 동작을 행한다. 또한, 부분 화상 P2의 휘도 화상(Y)은, 고해상도의 화상이고, 제1 색차 화상(U) 및 제2 색차 화상(V)은, 저해상도의 화상이다. 즉, 휘도에 대한 인간의 시감도는 높지만, 색차에 대한 인간의 시감도는 낮으므로, 휘도 화상을 고해상도로 하고, 색차 화상을 저해상도로 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이들 화상에 기초하여, 고해상도의 적색 화상(R), 녹색 화상(G) 및 청색 화상(B)을 생성하고, 표시 패널(27)은, 생성된 화상에 기초하여, 1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부분 화상 P2에 관한 표시 구동 동작을 행한다. 이 경우의 대역 사용률은 37.5%이다.
예를 들어, 케이스 C4에 나타낸 예(도 42b)에서는, 전체 화상 P1의 휘도 화상(Y)은 저해상도의 화상이고, 제1 색차 화상(U) 및 제2 색차 화상(V)은, 더 해상도가 낮은 화상이다. 이 예에서는, 제1 색차 화상(U) 및 제2 색차 화상(V)의 화소는, 8개(4×2)의 화소 PIX에 대응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이들 화상에 기초하여, 저해상도의 적색 화상(R), 녹색 화상(G) 및 청색 화상(B)을 생성하고, 표시 패널(27)은, 생성된 화상에 기초하여, 2행 2열로 배치된 4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전체 화상 P1에 관한 표시 구동 동작을 행한다. 또한, 부분 화상 P2의 휘도 화상(Y)은, 고해상도의 화상이고, 제1 색차 화상(U) 및 제2 색차 화상(V)은, 중해상도의 화상이다. 이 예에서는, 제1 색차 화상(U) 및 제2 색차 화상(V)의 화소는, 2개(2×1)의 화소 PIX에 대응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이들 화상에 기초하여, 고해상도의 적색 화상(R), 녹색 화상(G) 및 청색 화상(B)을 생성하고, 표시 패널(27)은, 생성된 화상에 기초하여, 1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부분 화상 P2에 관한 표시 구동 동작을 행한다. 이 경우의 대역 사용률은 33.3%이다.
예를 들어, 케이스 C5에 나타낸 예(도 42c)에서는, 전체 화상 P1의 휘도 화상(Y)은 저해상도의 화상이고, 제1 색차 화상(U) 및 제2 색차 화상(V)은, 더 해상도가 낮은 화상이다. 이 예에서는, 제1 색차 화상(U) 및 제2 색차 화상(V)의 화소는, 16개(4×4)의 화소 PIX에 대응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이들 화상에 기초하여, 저해상도의 적색 화상(R), 녹색 화상(G) 및 청색 화상(B)을 생성하고, 표시 패널(27)은, 생성된 화상에 기초하여, 2행 2열로 배치된 4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전체 화상 P1에 관한 표시 구동 동작을 행한다. 또한, 부분 화상 P2의 휘도 화상(Y)은, 고해상도의 화상이고, 제1 색차 화상(U) 및 제2 색차 화상(V)은, 저해상도의 화상이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이들 화상에 기초하여, 고해상도의 적색 화상(R), 녹색 화상(G) 및 청색 화상(B)을 생성하고, 표시 패널(27)은, 생성된 화상에 기초하여, 1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부분 화상 P2에 관한 표시 구동 동작을 행한다. 이 경우의 대역 사용률은 25%이다.
[변형예 1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낸 표시 패널(27)을 사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본 변형예에 관한 표시 패널(27E)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3은, 표시 패널(27E)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표시 패널(27E)은, 화소 어레이(31E)와, 화소 신호 생성 회로(32)와, 주사 회로(33)와, 구동 회로(34E)를 갖고 있다.
화소 어레이(31E)는, 복수의 신호선 SGL과, 복수의 제어선 CTL과, 복수의 제어선 WSEN과, 복수의 화소 PIX를 갖고 있다. 복수의 제어선 WSEN은, 수직 방향(도 43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으로 연신됨과 함께 수평 방향(도 43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으로 병설된다. 복수의 제어선 WSEN의 각각은, 구동 회로(34E)가 생성한 제어 신호를 화소 PIX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구동 회로(34E)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복수의 제어선 WSEN에 인가함으로써, 화소 신호 생성 회로(32)가 생성한 화소 신호를 기입하는 화소 PIX를, 복수의 화소 PIX 중 어느 화소 PIX에 기입할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44는, 화소 PIX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화소 PIX를 갖는 화소 어레이는, 제어선 WSL을 갖고 있다. 도 43에 나타낸 제어선 CTL은, 이 제어선 WSL을 포함한다. 화소 PIX는, 트랜지스터 MN01 내지 MN03과, 캐패시터 C01과, 발광 소자 EL을 갖고 있다. 트랜지스터 MN01 내지 MN03은, N형의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이다. 트랜지스터 MN01의 게이트는 제어선 WSEN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신호선 SGL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N02의 드레인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N02의 게이트는 제어선 WSL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N01의 소스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N03의 게이트 및 캐패시터 C01에 접속된다. 캐패시터 C01의 일단은 트랜지스터 MN02의 소스 및 트랜지스터 MN03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타단은 트랜지스터 MN03의 소스 및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N03의 게이트는 트랜지스터 MN02의 소스 및 캐패시터 C01의 일단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전원선 VCCP에 접속되고, 소스는 캐패시터 C01의 타단 및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에 접속된다. 발광 소자 EL은, 예를 들어 유기 EL 발광 소자이고, 애노드는 트랜지스터 MN03의 소스 및 캐패시터 C01의 타단에 접속되고, 캐소드는 전원선 Vcath에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해, 화소 PIX에서는, 트랜지스터 MN01, MN02가 온 상태로 됨으로써, 신호선 SGL로부터 공급된 화소 신호에 기초하여 캐패시터 C01의 양단 사이의 전압이 설정된다. 트랜지스터 MN03은, 캐패시터 C01의 양단 사이의 전압에 따른 전류를 발광 소자 EL에 흐르게 한다. 발광 소자 EL은, 트랜지스터 MN03으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기초하여 발광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소 PIX는, 화소 신호에 따른 휘도로 발광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밍 t11 내지 t12의 기간에 있어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수신 회로(21)는, 전체 화상 P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1을 수신한다(도 8의 (B)). 입력 화상은 전체 화상 P1이므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이 전체 화상 P1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7E)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를, 4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타이밍 t11 내지 t12에 있어서, 표시 패널(27E)의 주사 회로(33)는, 복수의 화소 PIX를, 2개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 US로 하여 주사한다. 구동 회로(34E)는, 모든 제어선 WSEN을 액티브(고레벨)로 한다. 화소 신호 생성 회로(32)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신호선 SGL에, 동일한 화소 신호를 인가한다. 이에 의해, 선택된 2개의 화소 라인 L에서는, 4개의 화소 PIX에, 동일한 화소 신호가 기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패널(27E)은, 복수의 화소 PIX를, 4개의 화소 PIX를 단위 UD로 하여 구동한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밍 t12 내지 t13의 기간에 있어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20)의 수신 회로(21)는, 부분 화상 P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T2를 수신한다(도 8의 (B)). 입력 화상은 부분 화상 P2이므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6)는, 이 부분 화상 P2의 화상 데이터 및 이 부분 화상 P2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7E)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소 PIX 중,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 PIX를, 1개의 화소 PIX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타이밍 t12 내지 t13에 있어서, 표시 패널(27E)의 주사 회로(33)는, 복수의 화소 PIX를, 1개의 화소 라인 L을 주사 단위 US로 하여 주사한다. 구동 회로(34E)는,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한 복수의 제어선 WSEN을 액티브(고레벨)로 하고, 그 이외의 복수의 제어선 WSEN을 비액티브(저레벨)로 한다. 화소 신호 생성 회로(32)는, 복수의 신호선 SGL 중,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한 복수의 신호선 SGL에, 복수의 화소 신호를 각각 인가한다. 이에 의해, 선택된 1개의 화소 라인 L에서는,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한 복수의 화소 PIX에, 복수의 화소 신호가 각각 기입된다. 한편, 부분 화상 P2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관한 복수의 화소 PIX에는, 화소 신호는 기입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패널(27E)은, 복수의 화소 PIX를, 1개의 화소 PIX를 단위 UD로 하여 구동한다.
화소 PIX의 구성은, 도 44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몇몇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5는, 화소 PIX의 다른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화소 PIX를 갖는 화소 어레이는, 제어선 WSL과, 제어선 DSL과, 제어선 AZSL을 갖고 있다. 도 43에 나타낸 제어선 CTL은, 이 제어선 WSL, DSL, AZSL을 포함한다. 이 화소 PIX는, 트랜지스터 MP11, MP12와, 캐패시터 C11, C12와, 트랜지스터 MP13 내지 MP15와, 발광 소자 EL을 갖고 있다. 트랜지스터 MP11 내지 MP15는 P형의 MOSFET이다. 트랜지스터 MP11의 게이트는 제어선 WSEN에 접속되고, 소스는 신호선 SGL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12의 소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12의 게이트는 제어선 WSL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11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14의 게이트 및 캐패시터 C12에 접속된다. 캐패시터 C11의 일단은 전원선 VCCP에 접속되고, 타단은 캐패시터 C12, 트랜지스터 MP13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MP14의 소스에 접속된다. 캐패시터 C12의 일단은 캐패시터 C11의 타단, 트랜지스터 MP13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MP14의 소스에 접속되고, 타단은 트랜지스터 MP12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MP14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13의 게이트는 제어선 DSL에 접속되고, 소스는 전원선 VCCP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14의 소스, 캐패시터 C11의 타단 및 캐패시터 C12의 일단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14의 게이트는 트랜지스터 MP12의 드레인 및 캐패시터 C12의 타단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13의 드레인, 캐패시터 C11의 타단 및 캐패시터 C12의 일단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 및 트랜지스터 MP15의 소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15의 게이트는 제어선 AZSL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14의 드레인 및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전원선 VSS에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해, 화소 PIX에서는, 트랜지스터 MP11, MP12가 온 상태로 됨으로써, 신호선 SGL로부터 공급된 화소 신호에 기초하여 캐패시터 C12의 양단 사이의 전압이 설정된다. 트랜지스터 MP13은, 제어선 DSL의 신호에 기초하여 온 오프된다. 트랜지스터 MP14는, 트랜지스터 MP13이 온 상태인 기간에 있어서, 캐패시터 C12의 양단 사이의 전압에 따른 전류를 발광 소자 EL에 흐르게 한다. 발광 소자 EL은, 트랜지스터 MP14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기초하여 발광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소 PIX는, 화소 신호에 따른 휘도로 발광한다. 트랜지스터 MP15는, 제어선 AZSL의 신호에 기초하여 온 오프된다. 트랜지스터 MP15가 온 상태인 기간에 있어서,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의 전압은 전원선 VSS의 전압으로 설정됨으로써 초기화된다.
도 46는, 화소 PIX의 다른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화소 PIX를 갖는 화소 어레이는, 제어선 WSL과, 제어선 DSL과, 제어선 AZSL을 갖고 있다. 도 43에 나타낸 제어선 CTL은, 이 제어선 WSL, DSL, AZSL을 포함한다. 이 화소 PIX는, 트랜지스터 MN21, MN22와, 캐패시터 C21과, 트랜지스터 MN23 내지 MN25와, 발광 소자 EL을 갖고 있다. 트랜지스터 MN21 내지 MN25는 N형의 MOSFET이다. 트랜지스터 MN21의 게이트는 제어선 WSEN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신호선 SGL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N22의 드레인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N22의 게이트는 제어선 WSL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N21의 소스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N24의 게이트 및 캐패시터 C21에 접속된다. 캐패시터 C21의 일단은 트랜지스터 MN22의 소스 및 트랜지스터 MN24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타단은 트랜지스터 MN24의 소스, 트랜지스터 MN25의 드레인 및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N23의 게이트는 제어선 DSL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전원선 VCCP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N24의 드레인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N24의 게이트는 트랜지스터 MN22의 소스 및 캐패시터 C21의 일단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N23의 소스에 접속되고, 소스는 캐패시터 C21의 타단, 트랜지스터 MN25의 드레인 및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N25의 게이트는 제어선 AZSL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N24의 소스, 캐패시터 C21의 타단 및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에 접속되고, 소스는 전원선 VSS에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해, 화소 PIX에서는, 트랜지스터 MN21, MN22가 온 상태로 됨으로써, 신호선 SGL로부터 공급된 화소 신호에 기초하여 캐패시터 C21의 양단 사이의 전압이 설정된다. 트랜지스터 MN23은, 제어선 DSL의 신호에 기초하여 온 오프된다. 트랜지스터 MN24는, 트랜지스터 MN23이 온 상태인 기간에 있어서, 캐패시터 C21의 양단 사이의 전압에 따른 전류를 발광 소자 EL에 흐르게 한다. 발광 소자 EL은, 트랜지스터 MN24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기초하여 발광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소 PIX는, 화소 신호에 따른 휘도로 발광한다. 트랜지스터 MN25는, 제어선 AZSL의 신호에 기초하여 온 오프된다. 트랜지스터 MN25가 온 상태인 기간에 있어서,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의 전압은 전원선 VSS의 전압으로 설정됨으로써 초기화된다.
도 47는, 화소 PIX의 다른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화소 PIX를 갖는 화소 어레이는, 제어선 WSL과, 제어선 DSL과, 제어선 AZSL1, AZSL2를 갖고 있다. 도 43에 나타낸 제어선 CTL은, 이 제어선 WSL, DSL, AZSL1, AZSL2를 포함한다. 이 화소 PIX는, 트랜지스터 MP31, MP32와, 캐패시터 C31과, 트랜지스터 MP33 내지 MP36과, 발광 소자 EL을 갖고 있다. 트랜지스터 MP31 내지 MP36은 P형의 MOSFET이다. 트랜지스터 MP31의 게이트는 제어선 WSEN에 접속되고, 소스는 신호선 SGL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32의 소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32의 게이트는 제어선 WSL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31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33의 게이트, 트랜지스터 MP34의 소스 및 캐패시터 C31에 접속된다. 캐패시터 C31의 일단은 전원선 VCCP에 접속되고, 타단은 트랜지스터 MP32의 드레인, 트랜지스터 MP33의 게이트 및 트랜지스터 MP34의 소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34의 게이트는 제어선 AZSL1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32의 드레인, 트랜지스터 MP33의 게이트 및 캐패시터 C31의 타단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33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MP35의 소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35의 게이트는 제어선 DSL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33, MP34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36의 소스 및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36의 게이트는 제어선 AZSL2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35의 드레인 및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전원선 VSS에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해, 화소 PIX에서는, 트랜지스터 MP31, MP32가 온 상태로 됨으로써, 신호선 SGL로부터 공급된 화소 신호에 기초하여 캐패시터 C31의 양단 사이의 전압이 설정된다. 트랜지스터 MP35는, 제어선 DSL의 신호에 기초하여 온 오프된다. 트랜지스터 MP33은, 트랜지스터 MP35가 온 상태인 기간에 있어서, 캐패시터 C31의 양단 사이의 전압에 따른 전류를, 발광 소자 EL에 흐르게 한다. 발광 소자 EL은, 트랜지스터 MP33으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기초하여 발광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소 PIX는, 화소 신호에 따른 휘도로 발광한다. 트랜지스터 MP34는, 제어선 AZSL1의 신호에 기초하여 온 오프된다. 트랜지스터 MP34가 온 상태인 기간에 있어서, 트랜지스터 MP33의 드레인 및 게이트가 서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36은, 제어선 AZSL2의 신호에 기초하여 온 오프된다. 트랜지스터 MP36이 온 상태로 되는 기간에 있어서,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의 전압은 전원선 VSS의 전압으로 설정됨으로써 초기화된다.
도 48은, 화소 PIX의 다른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화소 PIX를 갖는 화소 어레이는, 제어선 WSL1, WSL2와, 제어선 DSL과, 제어선 AZSL1, AZSL2와, 신호선 SGL1, SGL2와, 캐패시터 C48, C49와, 트랜지스터 MP49를 갖고 있다. 도 43에 나타낸 제어선 CTL은, 제어선 WSL1, WSL2, DSL, AZSL1, AZSL2를 포함한다. 도 43에 나타낸 신호선 SGL은, 신호선 SGL1, SGL2를 포함한다. 캐패시터 C48의 일단은 신호선 SGL1에 접속되고, 타단은 전원선 VSS에 접속된다. 캐패시터 C49의 일단은 신호선 SGL1에 접속되고, 타단은 신호선 SGL2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49는 P형의 MOSFET이고, 게이트는 제어선 WSL2에 접속되고, 소스는 신호선 SGL1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신호선 SGL2에 접속된다.
화소 PIX는, 트랜지스터 MP41, MP42와, 캐패시터 C41과, 트랜지스터 MP43 내지 MP46과, 발광 소자 EL을 갖고 있다. 트랜지스터 MP41 내지 MP46은, P형의 MOSFET이다. 트랜지스터 MP41의 게이트는 제어선 WSEN에 접속되고, 소스는 신호선 SGL2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42의 소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42의 게이트는 제어선 WSL1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41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43의 게이트 및 캐패시터 C41에 접속된다. 캐패시터(41)의 일단은 전원선 VCCP에 접속되고, 타단은 트랜지스터 MP42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MP43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43의 게이트는 트랜지스터 MP42의 드레인 및 캐패시터 C41의 타단에 접속되고, 소스는 전원선 VCCP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44, MP45의 소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44의 게이트는 제어선 AZSL1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43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MP45의 소스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신호선 SGL2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45의 게이트는 제어선 DSL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43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MP44의 소스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46의 소스 및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46의 게이트는 제어선 AZSL2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45의 드레인 및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전원선 VSS에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해, 화소 PIX에서는, 트랜지스터 MP41, MP42가 온 상태로 됨으로써, 신호선 SGL1로부터 캐패시터 C49를 통해 공급된 화소 신호에 기초하여 캐패시터 C41의 양단 사이의 전압이 설정된다. 트랜지스터 MP45는, 제어선 DSL의 신호에 기초하여 온 오프된다. 트랜지스터 MP43은, 트랜지스터 MP45가 온 상태인 기간에 있어서, 캐패시터 C41의 양단 사이의 전압에 따른 전류를 발광 소자 EL에 흐르게 한다. 발광 소자 EL은, 트랜지스터 MP43으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기초하여 발광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소 PIX는, 화소 신호에 따른 휘도로 발광한다. 트랜지스터 MP44는, 제어선 AZSL1의 신호에 기초하여 온 오프된다. 트랜지스터 MP44가 온 상태인 기간에 있어서, 트랜지스터 MP43의 드레인 및 신호선 SGL2가 서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46은, 제어선 AZSL2의 신호에 기초하여 온 오프된다. 트랜지스터 MP46이 온 상태로 되는 기간에 있어서,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의 전압은 전원선 VSS의 전압으로 설정됨으로써 초기화된다.
도 49는, 화소 PIX의 다른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화소 PIX를 갖는 화소 어레이는, 제어선 WSL과, 제어선 DSL과, 제어선 AZSL1, AZSL2를 갖고 있다. 도 43에 나타낸 제어선 CTL은, 이 제어선 WSL, DSL, AZSL1, AZSL2를 포함한다. 이 화소 PIX는, 트랜지스터 MP51 내지 MP54와, 캐패시터 C51과, 트랜지스터 MP55 내지 MP60과, 발광 소자 EL을 갖고 있다. 트랜지스터 MP51 내지 MP60은 P형의 MOSFET이다. 트랜지스터 MP51의 게이트는 제어선 WSEN에 접속되고, 소스는 신호선 SGL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52의 소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52의 게이트는 제어선 WSL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51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53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MP54의 소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53의 게이트는 제어선 DSL에 접속되고, 소스는 전원선 VCCP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52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MP54의 소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54의 게이트는 트랜지스터 MP55의 소스, 트랜지스터 MP57의 드레인 및 캐패시터 C51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52, MP53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58, MP59의 소스에 접속된다. 캐패시터 C51의 일단은 전원선 VCCP에 접속되고, 타단은 트랜지스터 MP54의 게이트, 트랜지스터 MP55의 소스 및 트랜지스터 MP57의 드레인에 접속된다. 캐패시터 C51은, 서로 병렬로 접속된 2개의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트랜지스터 MP55의 게이트는 제어선 AZSL1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54의 게이트, 트랜지스터 MP57의 드레인 및 캐패시터 C51의 타단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56의 소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56의 게이트는 제어선 AZSL1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55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전원선 VSS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57의 게이트는 제어선 WSL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54의 게이트, 트랜지스터 MP55의 소스 및 캐패시터 C51의 타단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58의 드레인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58의 게이트는 제어선 WSL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57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54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MP59의 소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59)의 게이트는 제어선 DSL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54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MP58의 소스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P60의 소스 및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60의 게이트는 제어선 AZSL2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59의 드레인 및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전원선 VSS에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해, 화소 PIX에서는, 트랜지스터 MP51, MP52, MP54, MP58, MP57이 온 상태로 됨으로써, 신호선 SGL로부터 공급된 화소 신호에 기초하여 캐패시터 C51의 양단 사이의 전압이 설정된다. 트랜지스터 MP53, MP59는, 제어선 DSL의 신호에 기초하여 온 오프된다. 트랜지스터 MP54는, 트랜지스터 MP53, MP59가 온 상태인 기간에 있어서, 캐패시터 C51의 양단 사이의 전압에 따른 전류를, 발광 소자 EL에 흐르게 한다. 발광 소자 EL은, 트랜지스터 MP54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기초하여 발광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소 PIX는, 화소 신호에 따른 휘도로 발광한다. 트랜지스터 MP55, MP56은, 제어선 AZSL1의 신호에 기초하여 온 오프된다. 트랜지스터 MP55, MP56이 온 상태인 기간에 있어서, 트랜지스터 MP54의 게이트 전압은 전원선 VSS의 전압으로 설정됨으로써 초기화된다. 트랜지스터 MP60은, 제어선 AZSL2의 신호에 기초하여 온 오프된다. 트랜지스터 MP60이 온 상태인 기간에 있어서,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의 전압은 전원선 VSS의 전압으로 설정됨으로써 초기화된다.
도 50은, 화소 PIX의 다른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화소 PIX를 갖는 화소 어레이는, 제어선 WSENN, WSENP와, 제어선 WSNL, WSPL과, 제어선 AZL과, 제어선 DSL을 갖고 있다. 도 43에 나타낸 제어선 WSEN은, 제어선 WSENN, WSENP를 포함한다. 도 43에 나타낸 제어선 CTL은, 제어선 WSNL, WSPL, AZL, DSL을 포함한다. 제어선 WSENN의 신호 및 제어선 WSENP의 신호는, 서로 반전된 신호이다. 제어선 WSNL의 신호 및 제어선 WSPL의 신호는, 서로 반전된 신호이다.
화소 PIX는, 트랜지스터 MN61, MP62, MN63, MP64와, 캐패시터 C61, C62와, 트랜지스터 MN65 내지 MN67과, 발광 소자 EL을 갖고 있다. 트랜지스터 MN61, MN63, MN65 내지 MN67은 N형의 MOSFET이고, 트랜지스터 MP62, MP64는 P형의 MOSFET이다. 트랜지스터 MN61의 게이트는 제어선 WSENN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신호선 SGL 및 트랜지스터 MP62의 소스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62의 드레인, 트랜지스터 MN63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MP64의 소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62의 게이트는 제어선 WSENP에 접속되고, 소스는 신호선 SGL 및 트랜지스터 MN61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N61의 소스, 트랜지스터 MN63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MP64의 소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N63의 게이트는 제어선 WSNL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N61의 소스, 트랜지스터 MP62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MP64의 소스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P64의 드레인, 캐패시터 C61, C62 및 트랜지스터 MN65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P64의 게이트는 제어선 WSPL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N61의 소스, 트랜지스터 MP62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MN63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N63의 소스, 캐패시터 C61, C62 및 트랜지스터 MN65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캐패시터 C61은, 예를 들어 MOM(Metal Oxide Metal) 캐패시터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일단은 트랜지스터 MN63의 소스, 트랜지스터 MP64의 드레인, 캐패시터 C62 및 트랜지스터 MN65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타단은 전원선 VSS2에 접속된다. 또한, 캐패시터 C61은, 예를 들어 MOS 캐패시터나 MIM(Metal Insulator Metal) 캐패시터를 사용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캐패시터 C62는, 예를 들어 MOS 캐패시터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일단은 트랜지스터 MN63의 소스, 트랜지스터 MP64의 드레인, 캐패시터 C61의 일단 및 트랜지스터 MN65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타단은 전원선 VSS2에 접속된다. 또한, 캐패시터 C62는, 예를 들어 MOM 캐패시터나 MIM 캐패시터를 사용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트랜지스터 MN65의 게이트는 트랜지스터 MN63의 소스, 트랜지스터 MP64의 드레인 및 캐패시터 C61, C62의 일단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전원선 VCCP에 접속되고, 소스는 트랜지스터 MN66, MN67의 드레인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N66의 게이트는 제어선 AZL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N65의 소스 및 트랜지스터 MN67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소스는 전원선 VSS1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N67의 게이트는 제어선 DSL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 MN65의 소스 및 트랜지스터 MN66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소스는 발광 소자 EL의 애노드에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해, 화소 PIX에서는, 트랜지스터 MN61, MP62 중 적어도 한쪽이 온 상태로 됨과 함께, 트랜지스터 MN63, MP64 중 적어도 한쪽이 온 상태로 됨으로써, 신호선 SGL로부터 공급된 화소 신호에 기초하여 캐패시터 C61, C62의 양단 사이의 전압이 설정된다. 트랜지스터 MN67은, 제어선 DSL의 신호에 기초하여 온 오프된다. 트랜지스터 MN65는, 트랜지스터 MN67이 온 상태인 기간에 있어서, 캐패시터 C61, C62의 양단 사이의 전압에 따른 전류를, 발광 소자 EL에 흐르게 한다. 발광 소자 EL은, 트랜지스터 MP65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기초하여 발광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소 PIX는, 화소 신호에 따른 휘도로 발광한다. 트랜지스터 MN66은, 제어선 AZL의 신호에 기초하여 온/오프해도 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MN66은, 제어선 AZL의 신호에 따른 저항값을 갖는 저항 소자로서 기능해도 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 MN65 및 트랜지스터 MN66은 소위 소스 팔로워 회로를 구성한다.
[다른 변형예]
또한, 이들 변형예 중 2 이상을 조합해도 된다.
<2. 적용예>
이어서,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설명한 표시 시스템의 적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적용예 1)
도 51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10)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10)는, 예를 들어 안경형의 표시부(111)의 양측에, 사용자의 헤드부에 장착하기 위한 귀걸이부(112)를 갖는다. 이러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10)에, 상기 실시 형태 등에 관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적용예 2)
도 52는, 다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20)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20)는, 본체부(121)와, 암부(122)와, 경통부(123)를 갖는 투과식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이다. 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20)는, 안경(128)에 장착되어 있다. 본체부(121)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판이나 표시부를 갖고 있다. 이 표시부는, 표시 화상의 화상광을 사출한다. 암부(122)는, 본체부(121)와 경통부(123)를 연결하여, 경통부(123)를 지지한다. 경통부(123)는, 본체부(121)로부터 암부(122)를 통해 공급된 화상광을, 안경(128)의 렌즈(129)를 통해, 유저의 눈을 향해 투사한다. 이러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20)에, 상기 실시 형태 등에 관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20)는, 소위 도광판 방식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소위 버드배스 방식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여도 된다. 이 버드배스 방식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빔 스플리터와, 부분적으로 투명한 미러를 구비하고 있다. 빔 스플리터는, 화상 정보로 인코딩된 광을 미러를 향해 출력하고, 미러는, 광을 유저의 눈을 향해 반사시킨다. 빔 스플리터 및 부분적으로 투명한 미러의 양쪽은, 부분적으로 투명하다. 이에 의해, 주위 환경으로부터의 광이 유저의 눈에 도달한다.
(적용예 3)
도 53a, 53b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30)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53a는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53b는 배면도를 나타낸다. 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130)는, 렌즈 교환식 일안 리플렉스 타입의 카메라이고, 카메라 본체부(카메라 보디)(131)와, 촬영 렌즈 유닛(132)과, 그립부(133)와, 모니터(134)와, 전자 뷰 파인더(135)를 갖는다. 촬상 렌즈 유닛(312)은, 교환식의 렌즈 유닛이고, 카메라 본체부(311)의 정면의 대략 중앙 부근에 마련된다. 그립부(133)는, 카메라 본체부(311)의 정면의 좌측에 마련되고, 촬영자는, 이 그립부(133)를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모니터(134)는, 카메라 본체부(131)의 배면의 대략 중앙보다도 좌측에 마련된다. 전자 뷰 파인더(135)는, 카메라 본체부(131)의 배면에 있어서, 모니터(14)의 상부에 마련된다. 촬영자는, 이 전자 뷰 파인더(135)를 들여다봄으로써, 촬영 렌즈 유닛(132)으로부터 유도된 피사체의 광상을 시인하여, 구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뷰 파인더(135)에, 상기 실시 형태 등에 관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적용예 4)
도 54는, 텔레비전 장치(140)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텔레비전 장치(140)는, 프론트 패널(142) 및 필터 유리(143)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화면부(141)를 갖는다. 이 영상 표시 화면부(141)에, 상기 실시 형태 등에 관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적용예 5)
도 55는, 스마트폰(150)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스마트폰(150)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51)와,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버튼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152)를 갖는다. 이 표시부(151)에, 상기 실시 형태 등에 관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적용예 6)
도 56a, 56b는, 본 개시의 기술이 적용된 차량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56a는, 차량(200)의 후방부로부터 본 차량의 내부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56b는, 차량(200)의 좌측 후방으로부터 본 차량의 내부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6a, 56b의 차량은, 센터 디스플레이(201)와, 콘솔 디스플레이(202)와, 헤드업 디스플레이(203)와, 디지털 리어 미러(204)와, 스티어링 휠 디스플레이(205)와, 리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106)를 갖는다.
센터 디스플레이(201)는, 대시보드(261)에 있어서의, 운전석(262) 및 조수석(263)에 대향하는 장소에 배치되어 있다. 도 56a에서는, 운전석(262)측으로부터 조수석(263)측까지 연장되는 가로로 긴 형상의 센터 디스플레이(201)의 예를 나타내지만, 센터 디스플레이(201)의 화면 사이즈나 배치 장소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터 디스플레이(201)는, 다양한 센서로 검지된 정보를 표시 가능하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센터 디스플레이(201)에는, 이미지 센서로 촬영한 촬영 화상, ToF 센서로 계측된, 차량 전방이나 측방의 장애물까지의 거리 화상, 적외선 센서로 검출된 탑승자의 체온 등을 표시 가능하다. 센터 디스플레이(201)는, 예를 들어 안전 관련 정보, 조작 관련 정보, 라이프 로그, 건강 관련 정보, 인증/식별 관련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관련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안전 관련 정보는,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졸음 검지, 한눈팖 검지, 동승하고 있는 어린이의 장난 검지, 시트 벨트 장착 유무, 탑승자의 방치 검지 등의 정보이다. 조작 관련 정보는, 센서를 사용하여 검출된, 탑승자의 조작에 관한 제스처의 정보이다. 제스처는, 차량 내의 다양한 설비의 조작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공조 설비, 내비게이션 장치, AV(Audio Visual) 장치, 조명 장치 등의 조작을 포함한다. 라이프 로그는, 탑승자 전원의 라이프 로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라이프 로그는, 각 탑승자의 행동 기록을 포함한다. 라이프 로그를 취득하여 보존함으로써, 사고가 발생했을 때, 탑승자가 어떤 상태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건강 관련 정보는,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검출된 탑승자의 체온이나, 검출된 체온에 기초하여 추측된 탑승자의 건강 상태의 정보를 포함한다. 혹은, 탑승자의 건강 상태 정보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상된 탑승자의 얼굴에 기초하여 추측되어도 된다. 또한, 탑승자의 건강 상태의 정보는, 탑승자와 자동 음성을 사용하여 대화를 행함으로써 얻어진 탑승자의 회답 내용에 기초하여 추측되어도 된다. 인증/식별 관련 정보는, 센서를 사용하여 얼굴 인증을 행하는 키리스 엔트리 기능이나, 얼굴 인식으로 시트 높이나 위치의 자동 조정 기능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엔터테인먼트 관련 정보는, 센서에 의해 검출된 탑승자에 의한 AV 장치의 조작 정보나, 센서에 의해 검출되어 인식된 탑승자에게 적합한, 표시해야 할 콘텐츠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콘솔 디스플레이(202)는, 예를 들어 라이프 로그 정보의 표시에 사용할 수 있다. 콘솔 디스플레이(202)는, 운전석(262)과 조수석(263) 사이의 센터 콘솔(264)에 있어서의, 시프트 레버(265)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콘솔 디스플레이(202)도, 다양한 센서로 검지된 정보를 표시 가능하다. 또한, 콘솔 디스플레이(202)는, 이미지 센서로 촬상된 차량 주변의 화상을 표시해도 되고, 차량 주변의 장애물까지의 거리 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203)는, 운전석(262)의 전방의 프론트 글래스(266)의 안쪽에 가상적으로 표시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203)는, 예를 들어 안전 관련 정보, 조작 관련 정보, 라이프 로그, 건강 관련 정보, 인증/식별 관련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관련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203)는, 운전석(262)의 정면에 가상적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차량의 속도, 연료의 잔량, 배터리의 잔량 등의 차량의 조작에 직접 관련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데 적합하다.
디지털 리어 미러(204)는, 차량의 후방을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뒷좌석의 탑승자의 모습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뒷좌석의 탑승자의 라이프 로그 정보의 표시에 사용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 디스플레이(205)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267)의 중심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휠 디스플레이(205)는, 예를 들어 안전 관련 정보, 조작 관련 정보, 라이프 로그, 건강 관련 정보, 인증/식별 관련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관련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스티어링 휠 디스플레이(205)는, 운전자의 손의 근처에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체온 등의 라이프 로그 정보를 표시하거나, AV 장치나 공조 설비 등의 조작에 관한 정보 등을 표시하는 데 적합하다.
리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206)는, 운전석(262)이나 조수석(263)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뒷좌석의 탑승자가 시청하기 위한 것이다. 리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206)는, 예를 들어 안전 관련 정보, 조작 관련 정보, 라이프 로그, 건강 관련 정보, 인증/식별 관련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관련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리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206)는, 뒷좌석의 탑승자의 눈 앞에 있기 때문에, 뒷좌석의 탑승자에 관련되는 정보가 표시된다. 리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206)는, 예를 들어 AV 장치나 공조 설비의 조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뒷좌석의 탑승자의 체온 등을 온도 센서(5)로 계측한 결과를 표시해도 된다.
이들 센터 디스플레이(201), 콘솔 디스플레이(202), 헤드업 디스플레이(203), 디지털 리어 미러(204), 스티어링 휠 디스플레이(205), 리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206)에, 상기 실시 형태 등에 관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실시 형태 및 변형예, 그리고 전자 기기로의 적용예를 들어 본 기술을 설명했지만, 본 기술은 이들 실시 형태 등에는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는, 본 기술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적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모니터나, 프로젝터 등, 화상을 표시 가능한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상기 실시 형태 등에 나타낸 폐쇄적인 시스템뿐만 아니라, 비디오 시스루의 시스템이나, 혼합 현실(mixed reality)의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항공 시뮬레이션 게임 등의 각종 시뮬레이터, 게이밍, 프로젝션 매핑 등의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하의 구성의 본 기술에 의하면, 화질을 높일 수 있다.
(1)
제1 해상도의 전체 화상을 나타내는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전체 화상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해상도보다도 높은 제2 해상도의 제1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수신 회로와,
복수의 화소를 갖는 표시부와,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소를, 제1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1 구동과,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상기 제1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2 이상의 화소를, 상기 제1 수보다 적은 제2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2 구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구동 회로
를 구비한 표시 장치.
(2)
상기 수신 회로는,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표시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구동을 행한 후에 상기 제2 구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3)
상기 표시 장치는, 유저가 상기 표시부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어느 부분을 관찰하고 있는지를 검출 가능한 제1 센서와,
상기 제1 센서의 검출 결과를,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생성 가능한 화상 생성 장치로 송신 가능한 송신 회로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부분 화상은, 상기 제1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른 화상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표시 장치.
(4)
상기 수신 회로는, 복수의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상 데이터가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상기 제1 부분 화상은 서로 다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표시 장치.
(5)
상기 수신 회로는,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1 또는 복수의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교호로 수신 가능한
상기 (1) 내지 (4)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장치.
(6)
상기 수신 회로는, 제1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교호로 수신 가능하고, 제2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 중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를 계속해서 수신 가능한
상기 (1) 내지 (4)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장치.
(7)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의 자세의 변화를 검출 가능한 제2 센서와,
상기 제2 센서의 검출 결과를,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생성 가능한 화상 생성 장치로 송신 가능한 송신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표시 장치의 자세가 변화되고 있는 기간에 대응하는
상기 (6)에 기재된 표시 장치.
(8)
상기 제2 수는 1인
상기 (1) 내지 (7)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장치.
(9)
상기 수신 회로는, 또한, 상기 제1 부분 화상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해상도보다도 높은 제3 해상도의 제2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제3 화상 데이터를 수신 가능하고,
상기 표시 구동 회로는, 상기 제3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 중, 상기 제2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2 이상의 화소를, 상기 제2 수보다도 적은 제3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3 구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 (1) 내지 (7)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장치.
(10)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양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양은 서로 동등한
상기 (1) 내지 (9)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장치.
(11)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 중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복원 가능한 복원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한쪽이 압축된
상기 (1) 내지 (10)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장치.
(12)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 중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복원 가능한 복원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는 모두 압축되고,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의 압축률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의 압축률은 서로 다른
상기 (1) 내지 (10)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장치.
(13)
제1 해상도의 전체 화상을 나타내는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전체 화상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해상도보다도 높은 제2 해상도의 제1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제2 화상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화상 생성 장치와,
표시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수신 회로와,
복수의 화소를 갖는 표시부와,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소를, 제1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1 구동과,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상기 제1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2 이상의 화소를, 상기 제1 수보다 적은 제2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2 구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구동 회로
를 갖는
표시 시스템.
(14)
상기 표시 장치는, 유저가 상기 표시부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어느 부분을 관찰하고 있는지를 검출 가능한 제1 센서와,
상기 제1 센서의 검출 결과를 상기 화상 생성 장치로 송신 가능한 송신 회로
를 더 갖고,
상기 화상 생성 장치는, 상기 송신 회로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1 센서의 검출 결과를 수신 가능하고, 상기 제1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분 화상을 생성 가능하고, 상기 제1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생성 가능한
상기 (13)에 기재된 표시 시스템.
(15)
상기 화상 생성 장치는, 상기 전체 화상 중, 화상이 변화되는 부분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1 부분 화상을 생성 가능하고, 상기 제1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생성 가능한
상기 (13)에 기재된 표시 시스템.
(16)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의 자세의 변화를 검출 가능한 제2 센서와,
상기 제2 센서의 검출 결과를 상기 화상 생성 장치로 송신 가능한 송신 회로를
더 갖고,
상기 화상 생성 장치는, 상기 송신 회로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2 센서의 검출 결과를 수신 가능하고, 상기 제2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 중 어느 쪽을 송신할지를 결정 가능한
상기 (13) 내지 (15)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시스템.
(17)
제1 해상도의 전체 화상을 나타내는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전체 화상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해상도보다도 높은 제2 해상도의 제1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제2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과,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를, 제1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1 구동을 행하는 것과,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상기 제1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2 이상의 화소를, 상기 제1 수보다 적은 제2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2 구동을 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표시 구동 방법.
본 출원은, 일본 특허청에 있어서 2021년 6월 3일에 출원된 특허 출원 번호 2021-093716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한다.
당업자라면, 설계상의 요건이나 다른 요인에 따라, 다양한 수정, 콤비네이션, 서브 콤비네이션 및 변경을 상도할 수 있지만, 그것들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나 그 균등물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인 것이 이해된다.

Claims (17)

  1. 제1 해상도의 전체 화상을 나타내는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전체 화상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해상도보다도 높은 제2 해상도의 제1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수신 회로와,
    복수의 화소를 갖는 표시부와,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소를, 제1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1 구동과,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상기 제1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2 이상의 화소를, 상기 제1 수보다 적은 제2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2 구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구동 회로를 구비한,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는,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표시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구동을 행한 후에 상기 제2 구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유저가 상기 표시부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어느 부분을 관찰하고 있는지를 검출 가능한 제1 센서와,
    상기 제1 센서의 검출 결과를,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생성 가능한 화상 생성 장치로 송신 가능한 송신 회로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부분 화상은, 상기 제1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른 화상인,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는, 복수의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상 데이터가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상기 제1 부분 화상은 서로 다른,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는,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1 또는 복수의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교호로 수신 가능한,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는, 제1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교호로 수신 가능하고, 제2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 중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를 계속해서 수신 가능한,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의 자세의 변화를 검출 가능한 제2 센서와,
    상기 제2 센서의 검출 결과를,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생성 가능한 화상 생성 장치로 송신 가능한 송신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표시 장치의 자세가 변화되고 있는 기간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는 1인,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는, 또한, 상기 제1 부분 화상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해상도보다도 높은 제3 해상도의 제2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제3 화상 데이터를 수신 가능하고,
    상기 표시 구동 회로는, 상기 제3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 중, 상기 제2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2 이상의 화소를, 상기 제2 수보다도 적은 제3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3 구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양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양은 서로 동등한,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 중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복원 가능한 복원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한쪽이 압축된,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 중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복원 가능한 복원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는 모두 압축되고,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의 압축률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의 압축률은 서로 다른, 표시 장치.
  13. 제1 해상도의 전체 화상을 나타내는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전체 화상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해상도보다도 높은 제2 해상도의 제1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제2 화상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화상 생성 장치와,
    표시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수신 회로와,
    복수의 화소를 갖는 표시부와,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소를, 제1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1 구동과,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상기 제1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2 이상의 화소를, 상기 제1 수보다 적은 제2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2 구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구동 회로를 갖는, 표시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유저가 상기 표시부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어느 부분을 관찰하고 있는지를 검출 가능한 제1 센서와,
    상기 제1 센서의 검출 결과를 상기 화상 생성 장치로 송신 가능한 송신 회로
    를 더 갖고,
    상기 화상 생성 장치는, 상기 송신 회로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1 센서의 검출 결과를 수신 가능하고, 상기 제1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분 화상을 생성 가능하고, 상기 제1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생성 가능한, 표시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생성 장치는, 상기 전체 화상 중, 화상이 변화되는 부분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1 부분 화상을 생성 가능하고, 상기 제1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생성 가능한, 표시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의 자세의 변화를 검출 가능한 제2 센서와,
    상기 제2 센서의 검출 결과를 상기 화상 생성 장치로 송신 가능한 송신 회로를
    더 갖고,
    상기 화상 생성 장치는, 상기 송신 회로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2 센서의 검출 결과를 수신 가능하고, 상기 제2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 중 어느 쪽을 송신할지를 결정 가능한, 표시 시스템.
  17. 제1 해상도의 전체 화상을 나타내는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전체 화상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해상도보다도 높은 제2 해상도의 제1 부분 화상을 나타내는 제2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과,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를, 제1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1 구동을 행하는 것과,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상기 제1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2 이상의 화소를, 상기 제1 수보다 적은 제2 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구동하는 제2 구동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구동 방법.
KR1020237039160A 2021-06-03 2022-05-23 표시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구동 방법 KR202400156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93716 2021-06-03
JP2021093716 2021-06-03
PCT/JP2022/021117 WO2022255147A1 (ja) 2021-06-03 2022-05-23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駆動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633A true KR20240015633A (ko) 2024-02-05

Family

ID=84323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160A KR20240015633A (ko) 2021-06-03 2022-05-23 표시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50682A1 (ko)
JP (1) JPWO2022255147A1 (ko)
KR (1) KR20240015633A (ko)
CN (1) CN117378002A (ko)
WO (1) WO202225514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97224A (ja) 2016-02-09 2019-11-14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映像表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4862B2 (ja) * 2010-12-10 2014-12-24 富士通株式会社 立体視動画像生成装置、立体視動画像生成方法、立体視動画像生成プログラム
US20140347363A1 (en) * 2013-05-22 2014-11-27 Nikos Kaburlasos Localized Graphics Processing Based on User Interest
WO2017036429A2 (en) * 2016-12-01 2017-03-09 Viewtrix Technology Co., Ltd. Zone-based display data processing and transmission
US10713752B2 (en) * 2017-06-09 2020-07-14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Temporal supersampling for foveated rendering systems
DE102017129795A1 (de) * 2017-06-30 2019-01-03 Lg Display Co., Ltd. Anzeigevorrichtung und gate-treiberschaltkreis davon, ansteuerungsungsverfahren und virtuelle-realität-vorrichtung
CN112136094A (zh) * 2018-03-16 2020-12-25 奇跃公司 用于显示系统的基于深度的凹式渲染
JP7414731B2 (ja) * 2018-12-04 2024-01-16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93716A (ja) 2019-09-26 2021-06-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基地局、及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97224A (ja) 2016-02-09 2019-11-14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映像表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378002A (zh) 2024-01-09
WO2022255147A1 (ja) 2022-12-08
EP4350682A1 (en) 2024-04-10
JPWO2022255147A1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97280B (zh) 个人沉浸式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5359540B (zh) 头戴式显示设备及用于控制这样的设备的方法
CN109891381A (zh) 双路径中央凹图形管线
JP5782787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CN107436683A (zh) 显示控制器、电子装置和虚拟现实装置
KR20180102125A (ko) 영상 표시 시스템
US10699673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local dimming in brightness-controlled environments
WO2022166712A1 (zh) 图像的显示方法、装置、可读介质和电子设备
KR20240015633A (ko) 표시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구동 방법
WO2023084950A1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駆動方法
KR102422036B1 (ko) 낮은 레이턴시 가상 현실을 구동 및 보상하는 표시장치
CN115185083B (zh) 一种ar头戴显示器自适应刷新率和分辨率渲染方法
WO2023100468A1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CN108769785B (zh) 视频播放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9137522B2 (en) Device and method for 3-D display control
WO2023176166A1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WO2024048268A1 (ja)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WO2023007819A1 (ja) 表示装置
WO2024101213A1 (ja) 表示装置
US10529276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display flicker
WO2023182097A1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11972718B2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oving body
JP4259562B2 (ja) 映像表示方法、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
WO2023243474A1 (ja) 表示装置
EP4310821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