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971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971A
KR20240014971A KR1020220092801A KR20220092801A KR20240014971A KR 20240014971 A KR20240014971 A KR 20240014971A KR 1020220092801 A KR1020220092801 A KR 1020220092801A KR 20220092801 A KR20220092801 A KR 20220092801A KR 20240014971 A KR20240014971 A KR 20240014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duct
heat sink
suction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훈
김상진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2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971A/ko
Priority to PCT/KR2023/007242 priority patent/WO2024025114A1/ko
Publication of KR20240014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4Heating plates with overheat prot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조리기기는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복수개의 전장부품과 상기 전장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히트싱크가 마련되는 하판을 포함하는 쿡탑, 상기 상판에 형성되고,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상기 하판의 하부에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 내부에 마련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후드팬, 상기 쿡탑 내부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하판의 측벽에 마련되는 흡입홀을 포함한다. 상기 하판에 상기 배출덕트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드팬에 의해 상기 흡입홀로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복수개의 전장부품 및 히트싱크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킨 후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도록 하는 연통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 APPLIANCE}
개시된 발명은 조리 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장치가 쿡탑에 결합되고, 배출장치의 후드팬을 이용하여 쿡탑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 조리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조리기기는 전기나 가스를 이용하여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쿡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를 이용한 쿡탑인 가스 쿡탑은 가스레인지로, 레버를 돌려 가스를 소형 발전기에서 점화 후 연소시켜 그 열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전기를 이용한 쿡탑인 전기 쿡탑은 인덕션으로, 전기를 사용해 내부코일에 전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전자기 유도법칙에 의해 조리용기에 소용돌이 전류를 유도하여 열을 발생시켜 그 열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쿡탑의 경우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일 미스트(oil mist), 불연소 가스, 냄새 등의 오염물질이 발생하는데, 이렇게 생성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쿡탑의 상부에는 후드가 설치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은 조리 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흡입덕트 및 배출덕트가 쿡탑에 결합되고, 배출덕트에 설치된 후드팬을 이용하여 쿡탑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복수개의 전장부품과 상기 복수개의 전장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히트싱크가 마련되는 하판을 포함하는 쿡탑, 상기 상판에 형성되고,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상기 하판의 하부에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 내부에 마련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후드팬, 상기 쿡탑 내부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하판의 측벽에 마련되는 흡입홀을 포함한다. 상기 하판에 상기 배출덕트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드팬에 의해 상기 흡입홀로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복수개의 전장부품 및 히트싱크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킨 후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도록 하는 연통홀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상판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덕트는 흡입덕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하판까지 연장되는 연장덕트와, 상기 연장덕트로부터 상기 배출덕트까지 연장되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드팬에 의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상기 연장덕트를 통해 상기 필터부로 전달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해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전장부품 및 히트싱크는 상기 흡입덕트를 기준으로 상기 하판의 하면 상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히트싱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는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에는 상기 흡입홀로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히트싱크를 냉각시킨 후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덕트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판은 사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과의 사이에 상기 복수개의 전장부품 및 히트싱크가 배치되는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3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4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홀은 상기 제1측벽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흡입홀과, 상기 제2측벽과 상기 제3측벽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흡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흡입홀은 상기 제1측벽의 전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흡입홀은 상기 제2측벽과 상기 제3측벽 중 상기 제1측벽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홀은 상기 제2측벽과 상기 제3측벽 중 상기 히트싱크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2흡입홀 주위와, 상기 히트싱크와 인접한 상기 하판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3흡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흡입홀은 상기 제1측벽 중 상기 히트싱크와 대응되는 부분에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흡입홀은 상기 제2측벽과 상기 제3측벽 중 상기 제1측벽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홀은 상기 제2측벽과 상기 제3측벽 중 상기 히트싱크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2흡입홀 주위와, 상기 히트싱크와 인접한 상기 하판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3흡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를 기준으로 상기 연통홀의 반대쪽에는 상기 히트싱크를 냉각시키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냉각팬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입홀로 흡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후드팬과 상기 냉각팬에 의해 상기 히트싱크를 냉각시킨 후 상기 연통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복수개의 전장부품과 상기 복수개의 전장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히트싱크가 마련되는 하판을 포함하는 쿡탑, 상기 쿡탑 내부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하판의 측벽에 마련되는 흡입홀, 상기 하판의 하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후드팬이 마련되는 배출덕트, 상기 상판에 형성되는 흡입구와 상기 배출덕트를 연결하고, 상기 후드팬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배출덕트로 전달되는 제1유로를 형성하는 흡입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하판에 상기 배출덕트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드팬에 의해 상기 흡입홀로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복수개의 전장부품 및 히트싱크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킨 후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유로를 형성하는 연통홀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하판까지 연장되는 연장덕트와, 상기 연장덕트로부터 상기 배출덕트까지 연장되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연장덕트를 거쳐 상기 필터부를 통해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는 독립적인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연장덕트에 의해 상기 쿡탑 내부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는 상기 후드팬이 설치되는 후드팬 설치부와, 상기 후드팬 설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쿡탑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별도의 냉각팬을 제거하거나 냉각팬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설계의 제약을 줄이고 제조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냉각팬에 비해 고풍량, 고정압 특성을 가지며 작동 RPM이 낮은 후드팬에 의해 쿡탑 내부를 냉각시키기 때문에, 냉각성능을 높임과 동시에 팬 구동 시에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상판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쿡탑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팬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구로 흡입되고, 외부 공기가 복수개의 흡입홀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팬에 의해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제1유로를 통해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팬에 의해 복수개의 흡입홀로 흡입된 외부 공기가 쿡탑 내부를 냉각시킨 후 연통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통홀을 통해 배출덕트로 배출된 공기가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의 상부에 가이드덕트가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제1흡입홀이 제1측벽 중 히트싱크와 대응되는 부분에만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제3흡입홀이 하판의 제3측벽 및 하면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제1흡입홀이 제1측벽 중 히트싱크와 대응되는 부분에만 형성되고, 복수개의 제3흡입홀이 하판의 제3측벽 및 하면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쿡탑의 내부에 냉각팬이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전면”, “후면”,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상판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쿡탑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는 쿡탑(10)의 하부에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후드인 배출장치가 결합되는 후드 일체형 쿡탑일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쿡탑(10)이 전기 쿡탑인 인덕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쿡탑(1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쿡탑(10)은 전기 쿡탑 중에서도 하이라이트일 수 있다. 인덕션의 경우 자기장을 활용해 전류가 흐르는 방식으로 상판(20)은 달구어지지 않고, 조리용기(1)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상판(20)이 뜨겁지 않아 화상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다만, 조리용기(1)로는 자석이 붙는 금속재질의 용기만 사용될 수 있고, 유리나 도자기 또는 알루미늄 등을 사용될 수 없다. 하이라이트의 경우 세라믹판 밑의 니크롬선을 통해 전기가 흘러 그 열로 상판과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상판이 뜨거워지기 때문에, 화상위험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바닥이 평평한 용기라면 직화구이 용기를 제외하고는 모든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쿡탑(10)은 인덕션과 하이라이트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일 수도 있다. 하이브리드는 인덕션과 하이라이트의 장점을 모두 가진 제품일 수 있다. 쿡탑(10)은 전기 쿡탑 외에 가스 쿡탑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쿡탑은 가스레인지일 수 있다. 다만, 도면 상에는 전기 쿡탑인 인덕션을 도시하고 있기 때문에, 후드 일체형 인덕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조리기기는 쿡탑(10)을 포함할 수 있다. 쿡탑(10)은 전기 쿡탑인 인덕션일 수 있다. 쿡탑(10)은 조리용기(1)가 놓여지는 상판(20)을 포함할 수 있다. 쿡탑(10)은 상판(20)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판(30)을 포함할 수 있다. 쿡탑(10)은 조리용기(1)가 놓여질 수 있는 위치들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코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에는 시간에 따라 크기가 변화하는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코일 주변에는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가 변화함에 따라 코일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장 또한 변화될 수 있다. 상판(20)에 접하는 조리용기(1)의 표면에서 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에디 전류(eddy current)가 흐를 수 있고, 에디 전류에 의하여 조리용기(1)가 가열될 수 있다.
상판(20)은 상부에 조리용기(1)가 놓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판(20)은 유리 소재, 예를 들면, 세라믹 글래스(ceramics glass)로 마련될 수 있다. 상판(20)은 조리용기(1)에 담겨있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1)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21)는 상판(2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21)는 하기할 흡입덕트(50)와 연결되고, 흡입덕트(50)에 의해 배출덕트(60)와 연결될 수 있다.
하판(30)은 상판(2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하판(30)에는 복수개의 전장부품(11) 및 히트싱크(13)가 마련될 수 있다. 상판(20)과 하판(3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판(20)과 하판(30) 사이의 공간에 복수개의 전장부품(11) 및 히트싱크(13)가 배치될 수 있다. 쿡탑(10)의 작동 시 복수개의 전장부품(11)에서는 열이 발생되고, 복수개의 전장부품(11)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기 위해 복수개의 전장부품(11) 옆에는 히트싱크(13)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전장부품(11) 및 히트싱크(13)는 흡입덕트(50)를 기준으로 하판(30)의 하면(30a) 상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전장부품(11) 및 히트싱크(13)는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흡입덕트(50)를 기준으로 흡입덕트(50)의 좌측에는 복수개의 전장부품(11) 및 히트싱크(13) 중 히트싱크(13)가 흡입덕트(50)와 인접하게 설치되고, 흡입덕트(50)의 우측에는 복수개의 전장부품(11) 및 히트싱크(13) 중 복수개의 전장부품(11)이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흡입덕트(50)의 좌우 양쪽 모두 복수개의 전장부품(11)이 흡입덕트(50)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흡입덕트(50)의 좌우 양쪽 모두 히트싱크(13)가 흡입덕트(50)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흡입덕트(50)의 좌측에는 복수개의 전장부품(11) 및 히트싱크(13) 중 복수개의 전장부품(11)이 인접하게 설치되고, 흡입덕트(50)의 우측에는 복수개의 전장부품(11) 및 히트싱크(13) 중 히트싱크(13)가 흡입덕트(50)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하판(30)은 사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판(30)은 측벽(31)과 하면(30a)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31)에는 복수개의 흡입홀(36)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흡입홀(36)은 측벽(31) 외에 하판(30)의 하면(30a)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2 참조) 하기할 후드팬(70)이 작동되면 복수개의 흡입홀(36)을 통해 외부 공기가 쿡탑(10) 내부인 상판(20)과 하판(30) 사이의 공간으로 흡입되어 복수개의 전장부품(11) 및 히트싱크(13)를 냉각시킬 수 있다.
하판(30)의 측벽(31)은 하기할 연통홀(40)과의 사이에 복수개의 전장부품(11) 및 히트싱크(13)가 배치되는 제1측벽(3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31)은 도면 상 제1측벽(32)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2측벽(33)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31)은 도면 상 제1측벽(32)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3측벽(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측벽(33)과 제3측벽(34)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측벽일 수 있다. 측벽(31)은 제1측벽(32)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4측벽(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벽(32)과 제4측벽(35)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측벽일 수 있다.
측벽(31)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흡입홀(36)은 제1측벽(32)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흡입홀(37)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흡입홀(37)은 제1측벽(32)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흡입홀(36)은 제2측벽(33)과 제3측벽(34)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흡입홀(38)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흡입홀(38)은 제2측벽(33)과 제3측벽(34) 중 제1측벽(32)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2흡입홀(38)은 복수개의 제2흡입홀(38)로 흡입된 공기가 히트싱크(13)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하판(30)은 하면(30a)에 형성되는 연통홀(40)을 포함할 수 있다. 연통홀(40)은 배출덕트(6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연통홀(40)에 의해 복수개의 전장부품(11) 및 히트싱크(13)가 배치되는 쿡탑(10)의 내부와 배출덕트(60)가 연통될 수 있다. 연통홀(40)은 히트싱크(1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드팬(70)에 의해 복수개의 흡입홀(36)로 흡입된 외부 공기가 연통홀(40)을 통해 배출덕트(60)로 배출될 때, 복수개의 전장부품(11)보다는 히트싱크(13)를 주로 냉각시키기 위함일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전장부품(11)보다는 히트싱크(13)에서 더 많은 열이 발생되기 때문에, 연통홀(40)을 히트싱크(1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연통홀(40)을 통해 배출덕트(60)로 배출되는 공기가 히트싱크(13)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쿡탑(10) 내부에 히트싱크(13)은 2개로 마련되기 때문에, 연통홀(40)도 히트싱크(13)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2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면상에는 2개의 히트싱크(13)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2개의 히트싱크(13)와 대응되도록 2개의 연통홀(40)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연통홀(40)의 개수가 히트싱크(13)의 개수와 대응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배출장치인 흡입덕트(50)와 배출덕트(60) 및 후드팬(7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흡입덕트(50)는 흡입구(21)와 배출덕트(60)를 연결할 수 있다. 흡입덕트(50)는 흡입구(21)가 형성되는 상판(20)으로부터 하판(30)까지 연장되는 연장덕트(51)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덕트(51)는 상판(20)으로부터 하판(30)의 하면(30a)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연장덕트(51)의 상부에는 그릴(52)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판(20)에 형성된 흡입구(21)에는 그릴(52)이 위치할 수 있다. 연장덕트(51)에 의해 복수개의 전장부품(11) 및 히트싱크(13)가 배치되는 쿡탑(10) 내부는 흡입덕트(50)와는 분리될 수 있다.
흡입덕트(50)는 연장덕트(51)로부터 배출덕트(60)까지 연장되는 필터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53)는 흡입구(21)로 흡입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유증기를 걸러내는 그리스 필터일 수 있다.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흡입구(21)로 흡입되어 연장덕트(51)를 거쳐 필터부(53)로 전달되고, 필터부(53)를 통해 배출덕트(60)로 배출될 수 있다.
흡입덕트(50)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후드팬(70)에 의해 흡입구(21)로 흡입되어 배출덕트(60)로 전달되는 제1유로(P1)를 형성할 수 있다. 연장덕트(51)에 의해 복수개의 전장부품(11) 및 히트싱크(13)가 배치되는 쿡탑(10) 내부는 분리되기 때문에, 제1유로(P1)는 쿡탑(10) 내부와 분리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 참조)
배출덕트(60)는 하판(3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배출덕트(60)는 후드팬(70)이 설치되는 후드팬 설치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후드팬 설치부(61)에 설치된 후드팬(70)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흡입구(21)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구(21)로 흡입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흡입덕트(50)를 거쳐 배출덕트(60)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덕트(60)는 배출덕트(60)로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6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흡입구(21)와 흡입덕트(50)를 거쳐 배출덕트(60)로 배출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배출구(6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배출구(63)는 집 밖으로 연결되는 덕트를 통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집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는, 배출구(63)로 배출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탈취필터를 통과시킨 후 집 안의 주방 내부로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후드팬(70)은 배출덕트(60)의 후드팬 설치부(61)에 설치될 수 있다. 후드팬(70)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발생되면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구(21)로 흡입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다. 후드팬(70)은 고풍량, 고정압 특성을 가지며 작동 RPM이 낮기 때문에, 팬 구동 시에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후드팬(70)는 사용자에 의한 직접적인 제어 없이도 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후드팬(70)을 직접 작동시키지 않아도 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쿡탑(10)이 작동되면, 자동적으로 후드팬(70)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후드팬(70)을 직접 작동시키지 않아도 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쿡탑(10)이 작동되면, 쿡탑(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후드팬(70)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후드팬(70)을 직접 작동시키지 않아도 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쿡탑(10)이 작동되면, 쿡탑(10)이 작동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동적으로 후드팬(70)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후드팬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구로 흡입되어 배출구로 배출되고, 외부 공기가 복수개의 흡입홀로 흡입되어 쿡탑 내부를 냉각시킨 후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팬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구로 흡입되고, 외부 공기가 복수개의 흡입홀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팬에 의해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제1유로를 통해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팬에 의해 복수개의 흡입홀로 흡입된 외부 공기가 쿡탑 내부를 냉각시킨 후 연통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통홀을 통해 배출덕트로 배출된 공기가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발생되면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구(21)로 흡입하기 위해 후드팬(70)이 작동될 수 있다. 후드팬(70)이 작동되면,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흡입구(21)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후드팬(70)이 작동되면, 조리기기 외부의 공기는 복수개의 흡입홀(36)을 통해 쿡탑(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구(21)로 흡입된 공기는 흡입덕트(50)를 통해 배출덕트(60)로 배출될 수 있다. 즉, 흡입구(21)로 흡입된 공기는 연장덕트(51)로 전달되고, 연장덕트(51)로 전달된 공기는 필터부(53)를 통해 배출덕트(60)로 배출될 수 있다. 즉, 흡입구(21)로 흡입된 공기는 제1유로(P1)를 통해 배출덕트(60)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덕트(60)로 배출된 공기는 배출구(63)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 참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팬(70)이 작동되어 복수개의 흡입홀(36)을 통해 쿡탑(1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복수개의 전장부품(11) 및 히트싱크(13)를 냉각시킨 후, 연통홀(40)을 통해 배출덕트(60)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흡입홀(36)로 흡입된 공기는 제2유로(P2)를 따라 이동하여 복수개의 전장부품(11) 및 히트싱크(13)를 냉각시킨 후, 배출덕트(60)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덕트(60)로 배출된 공기는 배출구(63)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유로(P1)와 제2유로(P2)는 독립적인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유로(P1)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와 제2유로(P2)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는 배출덕트(60)에서 합쳐져 배출구(63)로 배출될 수 있다.
제1유로(P1)와 제2유로(P2)는 독립적인 유로를 형성하고,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이동되는 제1유로(P1)는 연장덕트(51)에 의해 쿡탑(10) 내부와 분리되기 때문에, 쿡탑(10) 내부로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쿡탑(10)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전장부품(11) 및 히트싱크(13)를 냉각시키기 위해 별도의 냉각팬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계의 제약을 줄이고 제조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쿡탑(10)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전장부품(11) 및 히트싱크(13)를 냉각시키기 위한 별도의 냉각팬에 비해 고풍량, 고정압 특성을 가지며 작동 RPM이 낮은 후드팬(70)에 의해 쿡탑(10) 내부를 냉각시키기 때문에, 냉각성능을 높임과 동시에 팬 구동 시에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의 상부에 가이드덕트가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싱크(13)의 상부에는 가이드덕트(8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덕트(80)가 히트싱크(13)의 상부에 마련되면, 복수개의 흡입홀(36)로 흡입된 조리기기 외부의 공기는 히트싱크(13)를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킨 후, 연통홀(40)을 통해 배출덕트(60)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전장부품(11)에 비해 더 많은 열이 발생되는 히트싱크(13)를 중점적으로 냉각시켜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제1흡입홀이 제1측벽 중 히트싱크와 대응되는 부분에만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제3흡입홀이 하판의 제3측벽 및 하면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제1흡입홀이 제1측벽 중 히트싱크와 대응되는 부분에만 형성되고, 복수개의 제3흡입홀이 하판의 제3측벽 및 하면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흡입홀(36) 중 제1측벽(32)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흡입홀(37)은 제1측벽(32)의 전체가 아닌 히트싱크(13)와 대응되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전장부품(11)에 비해 더 많은 열이 발생되는 히트싱크(13)를 중점적으로 냉각시켜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30)의 제3측벽(34) 및 하면(30a)에는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은 제3측벽(34)에서 복수개의 제2흡입홀(38)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은 하판(30)의 하면(30a)에서 히트싱크(13)와 인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2측벽(33)과 제3측벽(34) 중 제3측벽(34)이 히트싱크(13)와 인접하기 때문에, 제3측벽(34)에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이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히트싱크(13)가 제2측벽(33)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이 제2측벽(33)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은 히트싱크(13)의 위치에 따라 제2측벽(33)과 제3측벽(34) 중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제2측벽(33)과 제3측벽(34)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 상에는 측벽(31)과 인접하지 않은 히트싱크(13)와 인접한 하판(30)의 하면(30a)에만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측벽(31)과 인접한 히트싱크(13) 주위의 하면(30a)에도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전장부품(11)에 비해 더 많은 열이 발생되는 히트싱크(13)를 중점적으로 냉각시켜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흡입홀(36) 중 제1측벽(32)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흡입홀(37)은 제1측벽(32)의 전체가 아닌 히트싱크(13)와 대응되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판(30)의 제3측벽(34) 및 하면(30a)에는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은 제3측벽(34)에서 복수개의 제2흡입홀(38)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은 하판(30)의 하면(30a)에서 히트싱크(13)와 인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2측벽(33)과 제3측벽(34) 중 제3측벽(34)이 히트싱크(13)와 인접하기 때문에, 제3측벽(34)에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이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히트싱크(13)가 제2측벽(33)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이 제2측벽(33)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은 히트싱크(13)의 위치에 따라 제2측벽(33)과 제3측벽(34) 중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제2측벽(33)과 제3측벽(34)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 상에는 측벽(31)과 인접하지 않은 히트싱크(13)와 인접한 하판(30)의 하면(30a)에만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측벽(31)과 인접한 히트싱크(13) 주위의 하면(30a)에도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제1흡입홀(37)이 제1측벽(32)의 전체가 아닌 히트싱크(13)와 대응되는 부분에만 형성되고,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전장부품(11)에 비해 더 많은 열이 발생되는 히트싱크(13)를 중점적으로 냉각시켜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쿡탑의 내부에 냉각팬이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싱크(13)를 기준으로 연통홀(40)의 반대쪽에는 냉각팬(90)이 마련될 수 있다. 냉각팬(90)은 복수개의 흡입홀(36)로 흡입된 외부 공기가 히트싱크(13)를 냉각시키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후드팬(70)에 의해서만 조리기기 외부의 공기가 복수개의 흡입홀(36)로 흡입되어 히트싱크(13)를 냉각시킨 후, 연통홀(40)을 통해 배출덕트(60)로 배출될 때보다는 냉각팬(90)이 추가되면, 히트싱크(13)를 냉각시키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참조)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조리기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개시된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조리용기
10 : 쿡탑 11 : 복수개의 전장부품
13 : 히트싱크
20 : 상판 21 : 흡입구
30 : 하판 30a : 하면
31 : 측벽
32 : 제1측벽 33 : 제2측벽
34 : 제3측벽 35 : 제4측벽
36 : 흡입홀 37 : 제1흡입홀
38 : 제2흡입홀 39 : 제3흡입홀
40 : 연통홀
50 : 흡입덕트 51 : 연장덕트
52 : 그릴 53 : 필터부
60 : 배출덕트 61 : 후드팬 설치부
63 : 배출구
70 : 후드팬
80 : 가이드덕트 90 : 냉각팬
P1 : 제1유로 P2 : 제2유로

Claims (20)

  1. 조리용기(1)가 놓여지는 상판(20)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복수개의 전장부품(11)과 상기 복수개의 전장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히트싱크(13)가 마련되는 하판(30)을 포함하는 쿡탑(10);
    상기 상판에 형성되고,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1);
    상기 하판의 하부에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60);
    상기 배출덕트 내부에 마련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후드팬(70);
    상기 쿡탑 내부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하판의 측벽(31)에 마련되는 흡입홀(36); 및
    상기 하판에 상기 배출덕트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드팬에 의해 상기 흡입홀로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복수개의 전장부품 및 히트싱크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킨 후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도록 하는 연통홀(40);
    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상판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덕트는 흡입덕트(50)에 의해 연결되는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하판까지 연장되는 연장덕트(51)와, 상기 연장덕트로부터 상기 배출덕트까지 연장되는 필터부(53)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팬에 의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상기 연장덕트를 통해 상기 필터부로 전달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해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조리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장부품 및 히트싱크는 상기 흡입덕트를 기준으로 상기 하판의 하면(30a) 상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히트싱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조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덕트는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63)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에는 상기 흡입홀로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히트싱크를 냉각시킨 후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덕트(80)가 마련되는 조리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사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과의 사이에 상기 복수개의 전장부품 및 히트싱크가 배치되는 제1측벽(32)과, 상기 제1측벽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2측벽(33)과, 상기 제1측벽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3측벽(34)과, 상기 제1측벽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4측벽(35)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홀은 상기 제1측벽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흡입홀(37)과, 상기 제2측벽과 상기 제3측벽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흡입홀(38)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흡입홀은 상기 제1측벽의 전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흡입홀은 상기 제2측벽과 상기 제3측벽 중 상기 제1측벽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는 조리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홀은 상기 제2측벽과 상기 제3측벽 중 상기 히트싱크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2흡입홀 주위와, 상기 히트싱크와 인접한 상기 하판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3흡입홀(39)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흡입홀은 상기 제1측벽 중 상기 히트싱크와 대응되는 부분에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흡입홀은 상기 제2측벽과 상기 제3측벽 중 상기 제1측벽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는 조리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홀은 상기 제2측벽과 상기 제3측벽 중 상기 히트싱크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2흡입홀 주위와, 상기 히트싱크와 인접한 상기 하판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3흡입홀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를 기준으로 상기 연통홀의 반대쪽에는 상기 히트싱크를 냉각시키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냉각팬(90)이 마련되는 조리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홀로 흡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후드팬과 상기 냉각팬에 의해 상기 히트싱크를 냉각시킨 후 상기 연통홀로 배출되는 조리기기.
  16. 조리용기(1)가 놓여지는 상판(20)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복수개의 전장부품(11)과 상기 복수개의 전장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히트싱크(13)가 마련되는 하판(30)을 포함하는 쿡탑(10);
    상기 쿡탑 내부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하판의 측벽(31)에 마련되는 흡입홀(36);
    상기 하판의 하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후드팬(70)이 마련되는 배출덕트(60);
    상기 상판에 형성되는 흡입구와 상기 배출덕트를 연결하고, 상기 후드팬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배출덕트로 전달되는 제1유로(P1)를 형성하는 흡입덕트(50); 및
    상기 하판에 상기 배출덕트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드팬에 의해 상기 흡입홀로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복수개의 전장부품 및 히트싱크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킨 후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유로(P2)를 형성하는 연통홀(40);
    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하판까지 연장되는 연장덕트(51)와, 상기 연장덕트로부터 상기 배출덕트까지 연장되는 필터부(53)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연장덕트를 거쳐 상기 필터부를 통해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조리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는 독립적인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연장덕트에 의해 상기 쿡탑 내부와 분리되는 조리기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덕트는 상기 후드팬이 설치되는 후드팬 설치부(61)와, 상기 후드팬 설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63)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220092801A 2022-07-26 2022-07-26 조리기기 KR20240014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801A KR20240014971A (ko) 2022-07-26 2022-07-26 조리기기
PCT/KR2023/007242 WO2024025114A1 (ko) 2022-07-26 2023-05-26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801A KR20240014971A (ko) 2022-07-26 2022-07-26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971A true KR20240014971A (ko) 2024-02-02

Family

ID=8970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801A KR20240014971A (ko) 2022-07-26 2022-07-26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4971A (ko)
WO (1) WO202402511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673B1 (ko) * 2016-06-15 2018-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쿡탑
KR102140591B1 (ko) * 2018-11-21 2020-08-03 김학규 유도가열기 및 이를 이용한 튀김기
JP2021048030A (ja) * 2019-09-18 2021-03-25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KR102295326B1 (ko) * 2020-07-16 2021-08-27 이진욱 인덕션 레인지
KR102513766B1 (ko) * 2021-01-05 2023-03-24 주식회사 엑스코지 스마트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5114A1 (ko)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1892A (en) Ventilated modular cooktop cartridge
US11732901B2 (en) Ventilation apparatus and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U2012203187B2 (en) Induction cooktop cooling kit
JP2008027739A (ja) 誘導加熱調理器
JP4900141B2 (ja) 加熱調理器
JP4751793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3077627A (ja) 加熱調理器
JP2008311092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8021476A (ja) 加熱調理器
JP2005038653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40014971A (ko) 조리기기
JP5604384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111853874A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CN210399026U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JP3905531B2 (ja) 壁掛け型電子レンジ
JP5860766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813730B1 (ko) 유도 가열 조리기기
JP5896614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047289B1 (ko) 고효율 인덕션 레인지
JP4462778B2 (ja) 加熱調理器
KR20110070470A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2492198B1 (ko) 그리들 냉각장치
JP2005122963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7311282A (ja) 電磁加熱調理器
EP4096353A1 (en) Electric r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