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923A -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923A
KR20240014923A KR1020220092685A KR20220092685A KR20240014923A KR 20240014923 A KR20240014923 A KR 20240014923A KR 1020220092685 A KR1020220092685 A KR 1020220092685A KR 20220092685 A KR20220092685 A KR 20220092685A KR 20240014923 A KR20240014923 A KR 20240014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ation
smart
time
user
hot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투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투조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투조이
Priority to KR1020220092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923A/ko
Publication of KR20240014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92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텔에서 제공되는 조식, 영화관람, 수영장 등의 각종 서비스들을 예약하여 줄을 서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 {Smart hotel re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텔에서 제공되는 조식, 영화관람, 수영장 등의 각종 서비스들을 예약하여 줄을 서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호텔 예약 방법은, 여행자가 숙박지 호텔에 직접 연락하여 예약하는 방법이며, 이는 지금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행 수요가 더욱 증가하고, 이 수요에 발맞추어 중대형 호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한편, 호텔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위와 같은 전통적인 방법을 이용하는 여행자는 많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호텔 예약 대행 사이트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여행자는 호텔 예약 대행 사이트에 온라인 접속하여 해당 사이트에 게재되어 있는 호텔들을 숙박지역에 따라 검색한다. 여행자는 호텔의 명칭과 숙박시설에 대한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직접 호텔에 전화를 걸지 않아도 대행 사이트를 이용하여 원하는 호텔을 예약할 수 있다. 공실 없이 더 많은 객실을 판매하는 것이 호텔 경영상 도움이 되기 때문에, 호텔은 전체 객실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객실을 정상 숙박비용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예약 대행 사이트에 판매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여행자는 더 저렴한 비용으로 호텔을 예약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종래의 호텔 예약 대행 시스템은, 호텔에서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해 직접 호텔에 요청해야 했으며, 최단거리 혹은 최단시간에 원하는 호텔에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여 호텔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많은 불편함을 호소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과제는 사용자가 이용하기 간편하면서도 시스템 불안정을 최소화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과제는 이용자가 최단거리 혹은 최단시간에 원하는 호텔에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대기시간, 대기인원의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은 블루투스, 지그비, RFID, IR, USB, WiFi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스마트 밴드, 스마트 워치, 스마트 고글 또는 스마트 안경을 포함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접속하는 스마트 스크린;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상기 스마트 스크린에 접속하는 경우, 호텔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의시설에 대한 예약을 제공하는 예약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서버는 호텔의 각 편의시설과 이용자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호텔의 구조를 나타낸 지도상에 상기 편의시설과 이용자들을 표시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 스크린에 전송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편의시설의 이용자가 제시한 조건에 따라 최단이용대기시간을 산출하여 제시하고, 또한 산출한 최단이용대기 시간에 따라 예약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예약 시스템은 호텔의 구조, 상기 편의시설의 재원, 위치, 정원, 이용 소요시간, 이용제한사항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 현재까지 이용자의 예약상황, 각 이용자의 편의시설에 대한 이용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용자가 제시한 조건에 따라 최단이용대기시간을 산출하는 것은, 우선순위를 적용할지 여부의 조건에 따라, 특정 편의시설에 우선순위가 지정되어 있으면 우선순위 배열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수만큼의 추천경로나 추천시간을 표시해 주며, 상기 추천경로에 대해서 조작이 필요하면, 이용자가 원하는 대로 임의의 순서로 재배열하고, 편의시설를 이용하는 도중에 쉬는 시간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 쉬는 시간을 배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약서버는, 이용자가 예약하기 위해 선택한 편의시설에 대해서 대기자수와 편의시설 이용에 소요되는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각 편의시설의 최단이용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선택한 전체 편의시설에 대한 최단이용시간, 최단경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상기 스마트 스크린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약서버는, 상기 대기자수의 변화에 따라 상기 최단이용시간, 최단경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실시간으로 갱신하되, 상기 대기자수는 각 편의시설의 이용 대기자가 해당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가능한 거리와 시간의 범위에 있는 지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소정의 범위를 벗어난 대기자를 대기자수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용하기 간편하면서도 사용자가 이용하기 간편하면서도 시스템 불안정을 최소화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가 최단거리 혹은 최단시간에 원하는 호텔에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대기시간, 대기인원의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호텔에는 전광판과 스마트 스크린이 도처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시장, 수영장, 식당, 선물가게, 영화관 등을 포함한 다양한 편의시설이 있으며, 각 편의시설에는 입장 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거나, 상기 전광판이나 스마트 스크린으로 입장장치를 대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프라에서 상기 편의시설의 이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스마트 스크린이나 전광판에서 편의시설의 이용을 예약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호텔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편의시설 이용을 예약하는 스마트 예약 시스템은 전광판(140) 또는 스마트 스크린(150)과 편의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착용하거나 소지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한 스마트 단말(170), 예약서버(110), 데이터베이스(130)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한 스마트 단말(170)에는 스마트폰을 당연히포함하지만, 특히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고글, 스마트 안경, 스마트 밴드를 포함한 다양한 형식과 종류의 스마트 디바이스가 포함된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독립적인 자체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구비되어 있더라도 매우 제한적인 정보만 표시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경우 그 자체만으로는 호텔에서 예약 서버에 접속하여 편의시설의 예약을 수행하는데 제약이 많이 따른다. 그러므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대형, 중형 혹은 소형의 스마트 스크린과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스크린을 통해서 예약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광판(140)은 주로 편의시설 이용자의 예약 상황이나 호텔이 공통적인 홍보, 광고 또는 이용 현황 등에 대한 일방적인 디스플레이를 위해서 사용되지만, 그 크기와 이용자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스마트 스크린과 같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이용자가 직접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편의시설 예약을 수행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마트 스크린(150)은 그 화면 크기에 제한은 없으나, 대략적으로 14인치 이상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장치로, 스마트 단말과의 근거리 유선 혹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또한 예약서버와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스크린은 이용자의 예약 입력 정보를 예약서버로 전달하고, 또한 예약서버에서 전송되어 오는 예약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스마트 스크린은 예약서버에서 전송되어 오는 호텔의 전체 구성에 대한 이미지나 사진과 상기 호텔에 설치되어 있는 편의시설들의 영상이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아울러 해당 스마트 스크린의 위치 및 이용자가 편의시설의 이용 예약을 위해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아울러 이용자가 직접적으로 편의시설 예약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때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인터렉션할 수 있도록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스크린을 위주로 설명하였지만, 전광판의 경우도 스마트 스크린과 동일한 정도의 통신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스마트 스크린과 스마트 단말 사이의 통신은 주로 블루투스, 지그비, RFID, IR, 또는 WiFi를 포함하는 NFC 수단을 포함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호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밖의 유무선 공중 통신망에 대한 인터페이스와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망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서로 접속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스마트 단말은 직접적으로 예약서버와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전광판이나 스마트 스크린이 상기 예약서버와 통신하여 상호 인테페이스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120)는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의 데이터 망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인트라넷으로 구성하거나,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클라우드로 구성할 경우, 상기 예약서버와 데이터 베이스를 별도로 호텔의 운영자가 구성할 필요 없이, IaaS(Infrastruature as a Service)에 의해서 인프라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받아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큐리티 측면에서는 인트라넷으로 구성하면 인터넷보다 더 유리할 수 있으나, 전문 유지보수 인력이 상주하여 관리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인터넷의 경우 편리성은 있으나, 시큐리티가 어려운 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호텔 운영자는 이 중에서 유리한 방법을 선택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 개별적으로는 호텔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위치, 예약내용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공통적으로는 호텔의 구조, 각종 편의시설의 위치나 정보, 탑승(수용) 정원, 이용 소요시간 등에 대한 전반적인 필요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이용자나 관리자 혹은 예약서버의 기능을 확충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 필요한 각종 세부정보나 라이브러리 혹은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각 이용자가 편의시설을 이용할 때 지불할 과금정보 혹은 이용자가 상기 스마트 스크린을 이용하여 외부 인터넷에 접속할 경우 이에 대한 통신비용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유지 관리하고, 최종적으로 이용자가 각종 편의시설을 이용한 대금을 정산할 때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약서버(110)는 호텔의 기본적인 운영과 유지 및 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며, 편의시설 이용자들의 편의시설 이용 예약을 위해서 필요한 정보(현재 사용중인 상황 등)를 상기 이용자들에게 제공하고, 편의시설 자체에 대한 정보와 편의시설을 이용하고자 지금까지 예약을 신청한 이용자의 대기자수와 예약 시에 예상되는 소요시간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각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예약서버는 스마트 스크린에 이용자가 예약하기 편리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입력한 예약 조건을 바탕으로 최적의 예약조건을 산출한 후 다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이용자가 위치해 있는 해당 스마트 스크린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에 대해서는, 각종 편의시설의 위치와 편의시설의 재원 및 종류가 증감하는 호텔의 환경을 고려하여, 예약서버에서 스마트 스크린이나 전광판에 해당 스크린의 해상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화면을 구성하고,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탬플릿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호텔에 대한 환경의 변화에 적응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탬플릿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예약서버에서는 예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을 위한 프레임(화면 사이즈, 메뉴구성, 배열, 이미지 정보, 타이틀 정보 등) 정의하여 탬플릿으로 구성하여 적용하면, 미리 구비된 소프트웨어에서 상기 탬플릿의 프레임 구성을 해석(lexical analysis 및 yacc 와 같은 툴을 이용하는 등)하여 소프트웨어를 새로 컴파일하는 일이 없이 적응적으로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물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는 예약서버가 아닌 전광판이나 스마트 스크린에서 바로 구현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설치 위치는 제한이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먼저 이용자가 편의시설 이용을 예약하기 위해 스마트 스크린 앞으로 다가가면, 스마트 스크린이 이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한 스마트 단말을 인식하게 된다. 처음에는 상기 스마트 스크린이 이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대한 ID 만을 인식하게 되고, 이를 토대로 예약이 진행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ID는 기기가 서로 상대방을 인식하기 위해서 부여한 것이므로, 필요하다면 이용자가 상기 ID에 대한 닉네임을 부여하여 한층 이용자에게 친화적인 ID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용자가 스마트 스크린 또는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서 편의시설 이용 예약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접속한다(S201).
다음으로, 스마트 스크린이 이용자의 스마트 단말(기기)를 인식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상기 스마트 스크린의 화면에 나타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하고 싶은 편의시설을 원하는 개수만큼(예를 들어 5개)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6개 이상이 되어버리면 무분별한 예약이 될 수도 있고, 지속적으로 편의시설 이용할 시간이 바뀌는 상황에 적응하기 힘들 수 있으므로,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한 번에 예약하기에 적합한 편의시설의 수를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S202). 이때 선택한 편의시설 중에서 우선순위를 강제로 지정하거나, 소프트하게 지정하여 이용자가 좀 더 이용하고 싶은 편의시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이용하고 싶은 편의시설 2개를 선정하여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 다만, 우선권을 부여한 편의시설의 수가 많아지면 우선순위에 대한 의미가 퇴색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개수(예를 들면 1개 혹은 2개)로 제한하거나 추천할 수 있다. 이렇게 선택하게 되면 우선권이 있는 편의시설은 우선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배치되고, 그 다음 으로 우선권이 없는 편의시설을 다음으로 배치하여 예약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 덧붙여 지정한 편의시설의 이용에 대한 순서를 미리 정해놓고(예를들어 특정 편의시설을 제일 앞, 제일 뒤라든지, 또는 중간이나 특정 순위를 정해줄 수도 있음) 예약을 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하면 우선권이 있는 편의시설은 일단 고정시켜 놓고 나머지 선택한 편의시설들로 예약순서를 정하게 된다(S202).
그 다음, 선택된 편의시설에 대해 예약서버에서 소요 대기시간과 이용경로를 계산하여 추천 예약 경로 및 예상 이용시간을 보여주고, 소정의 개수만큼 대안이 되는 예약 경로와 예상 이용시간을 추가로 보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2개의 추천루트를 보여줄 수 있으며, 첫 번째 추천경로는 선택된 편의시설들(예, 5개) 중 우선권을 지정한 편의시설(예, 2개)을 제외한 나머지 편의시설들(예, 3개)에 대해 현재 시간에서 최단 시간으로 계산하여 추천경로와 예상 소요시간을 시간별로 디스플레이 한다. 두 번째 추천경로는 선택된 편의시설들(예: 5개) 중 우선권을 설정한 편의시설을 제외한 나머지(예: 3개) 편의시설들에 대해 현재 시간에서 최단 시간으로 계산하여 추천경로와 예상 소요시간을 거리별로 디스플레이 한다. 물론 우선권을 설정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선택된 모든 편의시설들(예: 5개)에 대해 현재 시간이나 현재 장소에서 가장 가까운 시간 혹은 거리별로 계산하여 디스플레이한다(S203).
이때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추천된 경로에 따른 선택된 모든 편의시설에 대한 예상 시간과 총소요시간을 표시하여 주고, 추천된 경로를 지도에 겹치게 하여 맵으로 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예약 대기시간이 긴 편의시설이 예약된 시간대에 쉬는 시간을 부여하여 추천경로를 화면에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쉬는 시간을 원하는 시간에 강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편의시설 사이에 쉬는 시간은 1시간 혹은 30분 등으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S204).
이후, 추천된 경로가 마음에 들면 이용자는 예약을 수행하도록 확인 명령을 스마트 스크린을 통해서 보낼 수 있으며, 이 경우 예약서버는 해당되는 경로에 대해서 예약을 실시한다. 만약 디스플레이된 추천 경로를 이용자 자신이 재배열하고자 하는 경우, 새로운 조건에 따라 예약서버는 새로운 예상 소요시간과 거리를 전광판이나 스마트 스크린에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S205).
만약 이용자가 자신이 예약한 편의시설을 이용할 시간인데도 불구하고, 이용자가 편의시설을 예약한 시간에 그 편의시설을 이용할 가능성이 없는 경우, 이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에 알림 메시지(LED, 진동, 경고음 등)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는 호텔 곳곳에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약서버는 각 이용자의 위치가 각 이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로부터 추적 및 파악할 수 있어, 이용자가 예약한 편의시설까지 오는 시간이 이용할 시간보다 초과하기 전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용자가 이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 알림 메시지에도 불구하고 반응이 없거나 예상대로 편의시설을 이용할 가능성이 없다면 강제 취소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스크린으로 예약할 것인지,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예약을 할 것인지, 또는 전광판으로 예약을 할 것인지에 따라 조금씩 그 기능상의 차이가 있으나, 근본적으로 예약서버에서 수행하는 최단경로나 최단시간 예약에 방법과 절차는 다르지 않다.
스마트 스크린으로 예약을 할 경우에, 먼저 이용자는 가장 가까이 있는 스마트 스크린으로 이동하여 스마트 스크린의 NFC 인식기의 위치에 스마트 디바이스를 태그한다. 그러면 스마트 스크린상에 예약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이 나타나고, 전체 편의시설의 이용 상황이나 대기인원과 같은 전체적인 상황을 검색해 볼 수 있다. 이때 이용자는 예약하고자 하는 편의시설의 현재예상인원, 예상소요시간, 예상탑승시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하거나 혹은 이러한 정보와 무관하게 자신이 원하는 편의시설을 선택한다. 그 결과 최적을 이동시간 혹은 소요시간에 따라 해당 편의시설들에 대한 이동 동선을 이용자가 알기 쉽게 그래픽 화면에 표시하여 준다. 한다. 마지막으로 이용자가 해당 스케쥴을 예약하고자 하면, 일괄적으로 선택한 편의시설이 한번에 예약 처리되므로, 이용자는 예약할 내용을 한번 더 확인 한 후 예약을 실행한다. 예약을 실행한 결과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간단하게 시간, 방향, 장소 혹은 이들의 조합을 화살표나 기호의 형태로 간단하게 안내될 수 있다. 이리하여 이용자는 안심하고 후속 예약에는 전혀 신경 쓰지 않고 원하는 시간 동안 자유롭게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예약을 할 경우에, 먼저 이용자는 스마트폰으로 예약서버에 접속한 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거나 원격으로 로깅하여 실행한 다음, 예약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편의시설의 이용에 대한 예약을 수행한다. 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HTML5 기반의 모바일 웹 환경에서 수행되므로, 스마트폰의 기기나 OS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의 편의시설에 대한 이용 대금에 대해서도 Active X와 같은 별도의 인증 프로그램 없이 직접적으로 대금 결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밖의 편의시설 예약에 대한 절차는 스마트 스크린을 이용하여 예약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다만, 스마트 폰을 이용할 경우, 스마트폰이 이용하는 통신 인터페이스가 스마트 스크린을 통할 수도 있고, 바로 직접적으로 WiFi, 3G, 4G, LTE 등의 공중 무선 인터넷이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할 수도 있다.
전광판을 이용하는 경우는, 전광판 자체가 주로 예약 내용을 표시해주는 역할만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광판에 접근하면 전광판은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서 인식되는 사용자의 예약 내용을 자동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는 이용자가 스스로 어떤 행위(터치와 같은)를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인식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심리스(seamless)하게 모든 과정이 이루어져, 이용자는 보다 자유롭고 편리하게 전광판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 예약서버 120: 유무선 네트워크
130: 데이터베이스 140: 전광판
150: 스마트 스크린 160: 근거리통신수단(NFC)
170: 스마트단말(웨어러블 디바이스(기기))

Claims (5)

  1. 블루투스, 지그비, RFID, IR, USB, WiFi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스마트 밴드, 스마트 워치, 스마트 고글 또는 스마트 안경을 포함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접속하는 스마트 스크린;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상기 스마트 스크린에 접속하는 경우, 호텔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의시설에 대한 예약을 제공하는 예약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서버는 호텔의 각 편의시설과 이용자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호텔의 구조를 나타낸 지도상에 상기 편의시설과 이용자들을 표시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 스크린에 전송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편의시설의 이용자가 제시한 조건에 따라 최단이용대기시간을 산출하여 제시하고, 또한 산출한 최단이용대기 시간에 따라 예약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예약 시스템은,
    호텔의 구조, 상기 편의시설의 재원, 위치, 정원, 이용 소요시간, 이용제한사항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 현재까지 이용자의 예약상황, 각 이용자의 편의시설에 대한 이용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가 제시한 조건에 따라 최단이용대기시간을 산출하는 것은,
    우선순위를 적용할지 여부의 조건에 따라, 특정 편의시설에 우선순위가 지정되어 있으면 우선순위 배열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수만큼의 추천경로나 추천시간을 표시해 주며,
    상기 추천경로에 대해서 조작이 필요하면, 이용자가 원하는 대로 임의의 순서로 재배열하고,
    편의시설를 이용하는 도중에 쉬는 시간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 쉬는 시간을 배열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서버는,
    이용자가 예약하기 위해 선택한 편의시설에 대해서 대기자수와 편의시설 이용에 소요되는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각 편의시설의 최단이용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선택한 전체 편의시설에 대한 최단이용시간, 최단경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상기 스마트 스크린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서버는,
    상기 대기자수의 변화에 따라 상기 최단이용시간, 최단경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실시간으로 갱신하되,
    상기 대기자수는 각 편의시설의 이용 대기자가 해당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가능한 거리와 시간의 범위에 있는 지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소정의 범위를 벗어난 대기자를 대기자수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
KR1020220092685A 2022-07-26 2022-07-26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 KR20240014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685A KR20240014923A (ko) 2022-07-26 2022-07-26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685A KR20240014923A (ko) 2022-07-26 2022-07-26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923A true KR20240014923A (ko) 2024-02-02

Family

ID=8990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685A KR20240014923A (ko) 2022-07-26 2022-07-26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9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7852A1 (en) Order management system, order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CN105813969A (zh) 使用无线可编程装置进行的服务请求
KR101975479B1 (ko) 복수의 배차 요청이 가능한 콜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단말
CN109564672B (zh) 楼宇用信标系统
JPWO2018146846A1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システム
US11496604B2 (en)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executable medium
KR20170029238A (ko) 티켓 취소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티켓 취소 안내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87298B1 (ko) 포스 기반 고객 마케팅 시스템, 그 제어방법
KR101565938B1 (ko) 테마파크 시설물의 스마트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JP7271921B2 (ja) 情報処理端末、プログラム、リソース予約システム、制御方法
JP6908765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117809A (ko) 피시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140337A (ja) 情報処理端末、プログラム、制御方法
KR20200119950A (ko) 여행 상품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KR20240014923A (ko)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통합 호텔 예약 시스템.
KR20160104266A (ko)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고객 관리 시스템
KR20190045672A (ko) 여행 가이드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가이드 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사용자 단말
JP2018128737A (ja) 決済代行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28294B1 (ko) 문자 기반 상담 서비스의 예약 관리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30063083A (ko) 앱 다운로드 시스템, 스마트 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앱 설치 방법
JP703277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164717A1 (en) Resource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JP6842207B1 (ja) 店舗検索装置及び店舗検索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102477953B1 (ko) 매장의 좌석 점유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정보 제공 방법
JP7208506B2 (ja) 予約管理システム、予約管理方法、及び予約管理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