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351A -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 Google Patents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11351A KR20240011351A KR1020220088691A KR20220088691A KR20240011351A KR 20240011351 A KR20240011351 A KR 20240011351A KR 1020220088691 A KR1020220088691 A KR 1020220088691A KR 20220088691 A KR20220088691 A KR 20220088691A KR 20240011351 A KR20240011351 A KR 202400113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sh
- case
- groove
- wall
- rotating dru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15 recruit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B65H75/4431—Manual stop or release butt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65H75/4471—Housing enclosing the r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65H2701/3919—USB, earphones, audio or video cables, e.g. for connecting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줄 케이스를 구성하는 제 1 케이싱 및 상기 제 1 케이싱과 결합되어 목줄 케이스를 구성하는 제 2 케이싱과; 상기 목줄 케이스 내부에 축설되어 목줄을 감고 회전하며 목줄의 당김 및 보턴의 누름에 의한 회전 자제되는 회전드럼과; 양단부가 상기 회전드럼 및 목줄 케이스의 내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회전드럼에 회전 텐션을 제공하는 태엽과; 상기 목줄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목줄 케이스로부터 외출되는 보턴을 갖고 상기 회전드럼을 회동 자제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목줄 케이스의 상면 요구에 결합되는 커버와; 단부가 상기 회전드럼에 실링되고 타단은 폐루프 목줄의 단부 영역에 실링되어 상기 회전드럼에 감김 및 감김 해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목줄 출입공에 삽입된 목줄을 포함하고; 핸드폰과 핸드폰 케이스와 사원증 케이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양면테이프로 부착되어 상기 목줄 케이스 후면에 삽입 걸림되어 걸림유지 및 걸림 해제되는 휴대용품 부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휴대용품을 목에 걸어 휴대하는 것으로서 분실 방지 및 휴대가 용이한 이점이 있으며, 사용자의 임의 조작에 따라 휴대용품의 360° 방향 전환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용품 사용이 편리한 위치로의 변경이 가능한 이점이 있고, 목줄의 걸림 없이 출입이 용이한 이점과 아울러, 사용자가 커버의 표면에 마련된 홈을 통해 감김 된 목줄을 쉽게 잡고 인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목에 걸린 휴대용품이 사물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한 힘에 의해 할 때 쉽게 단락되므로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이점이 있으며, 의도치 않은 충격에 의해 휴대용품이 휴대용품 부착구로부터 목줄 케이스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는 효과와 더불어, 목줄 케이스를 이루는 제 1 케이싱을 각종 휴대용품 예컨대 핸드폰 케이스와 사원증 케이스 등의 본체와 일체로 함께 성형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 폭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품인 핸드폰과 핸드폰 케이스 및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사원증 케이스 등에 걸이 및 고정되며 내부에 목줄이 감긴 목줄 케이스를 구비하여 필요한 길이로 목줄을 인출하여 목에 걸어 휴대함으로써 휴대용품의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분실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또는 핸드폰용 걸이용 목걸이는 목줄 일단에 핸드폰 또는 휴대용품을 걸어두고 조절 가능한 목줄을 필요 길이로 당기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기와 같은 종래 문헌에 따르면 핸드폰용 목걸이 줄은 줄의 일단을 권취형 태엽과 연결된 회전드럼에 줄을 권취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핸드폰 줄을 필요 길이로 당김 인출하거나 또는 감김 권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의 채용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하기와 같은 종래문헌에 따른 기술들은 목적달성을 위한 구성이 취약할 뿐만 아니라 복잡 및 난이하여 효과적인 목적달성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하기 종래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근래 들어 출시되는 핸드폰에 부착하여 사용 가능한 핸드폰 부착구의 구성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의 적용함에 있어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종래문헌에 개시된 기술로는 핸드폰의 가로 세로의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핸드폰에 부착하는 핸드폰 부착구로부터 임의로 회전시킬 수 없기 때문에 사용이불편한 단점과 아울러, 핸드폰 휴대용 목걸이로 사용하기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목걸이 줄을 인출할 때 상하부에서 조립되는 조립부에 인출구 형성되어 있어서 줄이 틈 사이로 끼임되어 판손 또는 쉽게 당겨지거나 감겨지지도 않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한편, 종래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휴대용품을 목에 걸어 휴대하는 것으로서 분실의 방지 및 휴대 사용이 용이한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를 제공하는 목적에 있어서는 유사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사용자의 임의 조작에 따라 휴대용품의 360° 방향 전환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휴대용품 사용위치 변경이 불편하고, 구성의 취약성으로 인해 목줄을 당길 때 목줄이 쉽게 당겨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목줄 감김이 완료되면 목줄이 목줄 케이스 상면에 기밀하게 접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감김 된 목줄을 쉽게 잡을 수 없다는 불편함도 내포하고 있다.
종래 기술문헌에 따른 목줄의 단부는 회전드럼에 고정된 구조로서 목줄에 의해 목에 걸린 휴대용품이 사물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하면 고정된 목줄이 단락되지 않아 자칫 잘못하면 사용자의 안전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졸래 기술문헌에 따른 목줄을 갖는 목줄 케이싱은 예컨대 핸드폰 케이스와 사원증 케이스 등과 같은 휴대용품에 연결되도록 함께 성형할 수 없는 구성으로서 그 사용 폭이 좁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용품을 목에 걸어 휴대하는 것으로서 분실 방지 및 휴대 사용이 편리한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임의 조작에 따라 휴대용품을 360° 방향 전환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용품 편리한 사용위치로의 변경이 가능하고, 목줄이 목줄 케이스에 걸림 없이 출입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감김 된 목줄을 쉽게 잡을 수 있어 목줄 인출하기가 용이한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목에 걸린 휴대용품이 사물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할 때 쉽게 단락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의도치 않은 충격에 의해 휴대용품이 휴대용품 부착구로부터 목줄 케이스가 분리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목줄 케이스를 이루는 제 1 케이싱을 각종 휴대용품 예컨대 핸드폰 케이스와 사원증 케이스 등의 본체와 연결되도록 함께 성형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 폭을 넓힐 수 있는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목줄 케이스를 구성하는 제 1 케이싱 및 상기 제 1 케이싱과 결합되어 목줄 케이스를 구성하는 제 2 케이싱과; 상기 목줄 케이스 내부에 축설되어 목줄을 감거나 풀고 회전하며 목줄의 당김 및 보턴의 누름에 의한 회전 자제되는 회전드럼과; 양단부가 상기 회전드럼 및 목줄 케이스의 내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회전드럼에 회전 텐션을 제공하는 태엽과; 상기 목줄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목줄 케이스로부터 외출되는 보턴을 갖고 상기 회전드럼을 회동 자제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목줄 케이스의 상면 요구에 결합되는 커버와; 단부가 상기 회전드럼에 실링되고 타단은 폐루프 목줄의 단부 영역에 실링되어 상기 회전드럼에 감김 및 감김 해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목줄 출입공에 삽입된 목줄을 포함하고; 핸드폰과 핸드폰 케이스와 사원증 케이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양면테이프로 부착되어 상기 목줄 케이스 후면에 삽입 걸림되어 걸림유지 및 걸림 해제되는 휴대용품 부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케이싱은 상면에 형성된 요구와, 상기 요구 일측으로부터 타측 일측까지 테두리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리브와, 결속홈을 갖고 상기 리브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개 형성된 걸이편과, 선단부에 일정 깊이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을 갖고 벽체 중앙에서 일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축이 형성되며, 상기 벽체의 후면에 형성된 요구 직하부에 한쌍으로 형성한 결합돌기와, 상기 벽체 후면 중앙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의 키홈과, 상기 키홈과 일정 거리를 둔 키홈 주변에서 삽입홈을 갖는 U자형으로 형성한 걸림턱을 갖고 목줄 케이스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드럼은 격벽을 중심으로 외측공간부와 내측공간부로 나뉘며, 상기 격벽 중앙을 관통하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으로부터 상기 외측공간부를 향하여 소정높이로 돌출되어 대향하도록 형성된 수개의 스톱돌기와, 테두리를 이루는 외벽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태엽 단부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축에 축설된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태엽은 일단이 상기 회전드럼의 내측공간부에서 상기 축의 상기 절개홈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드럼의 태엽 단부 고정홈에 걸림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케이싱은 상면에 형성된 요구와, 상기 요구 일측으로부터 타측 일측까지 테두리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리브결속홈과, 걸림돌기를 갖고 상기 리브결속홈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개 형성된 걸림편과, 벽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과, 중앙에 개구된 축공을 갖고 상기 벽체 내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게 형성된 리브와, 상기 벽체의 후면 요구 직하부에 한쌍으로 형성한 결합돌기로 이루어져 목줄 케이스를 구성하며 상기 제 1 케이싱과 결합되어 하나의 목줄 케이스를 이루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는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축공에 양단부가 걸림되어 회동하는 축과, 상기 축의 양 단부 내측 영역에서 일측으로 일정 각도 들려지게 연결되어 상기 보턴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링과, 상기 축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갖고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제 2 케이싱의 관통공으로 외출되는 반구형 보턴 및 단부에 걸림턱을 갖고 상기 보턴과 일직선상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도록 상기 축의 하부면과 연결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표면 중앙에 만곡 요입된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표면 양측에 목줄 출입공이 형성되며 전 후면에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벽체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끼움되는 걸림홈을 갖고 상기 요구를 커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목줄은 단부가 상기 회전드럼에 형성된 목줄 단부 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과, 상기 목줄 단부가 상기 회전드럼의 외벽에 실링되는 것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으로 이루어진 목줄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폐루프 목줄의 단부 영역에 실링되도록 상기 회전드럼에 감김 및 감김 해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목줄 출입공에 삽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휴대용품 부착구는 후면에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와 일정 간격을 둔 전방에 이격틈을 두고 연결 형성된 걸이판 및 상기 걸이판 전면 중앙에서 내측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 홈과, 상기 홈의 내측 벽에 대향하게 요입 형성된 걸이홈과, 상기 홈에 수용되는 스프링 및 양 측벽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이홈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전후 탄발되는 키로 이루어진 휴대용품 부착구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제 1 케이싱의 벽체 후면에는 사원증 케이스와 일면이 개구된 핸드폰 케이스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상기 벽체의 후면과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면에 형성된 요구와, 상기 요구 일측으로부터 타측 일측까지 테두리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리브와, 상기 리브에 복수 개 형성된 결속홈과, 선단부에 일정 깊이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을 갖고 벽체 중앙에서 일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축이 형성되며, 상기 벽체의 내면 요구 측 직하부에 한쌍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와, 나사공을 갖고 상기 벽체 내면 상측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보스와, 휴대용품과 상기 제 1 케이싱의 벽체 후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목줄 케이스를 이루는 제 1 케이싱과; 격벽을 중심으로 외측공간부와 내측공간부로 나뉘며, 상기 격벽 중앙을 관통하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으로부터 상기 외측공간부를 향하여 소정높이로 돌출되어 대향하도록 형성된 수개의 스톱돌기를 갖고 상기 축에 축설된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의 내측공간부에서 일단은 상기 축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절개홈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드럼의 태엽 단부 고정홈에 걸림되도록 위치하는 태엽과; 벽체의 상면에 형성된 요구와, 상기 벽체의 상부 영역 양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나사공 및 관통공과, 상기 벽체 내면 하부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갖고 목줄 케이스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보스에 체결되는 볼트로서 상기 제 1 케이싱과 조립되어 하나의 목줄 케이스를 이루는 제 2 케이싱과;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축공에 양 단부가 걸림되어 회동하는 축과, 상기 축의 양 단부 내측 영역에서 일측으로 일정 각도 들려지게 연결되어 상기 보턴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링과, 상기 축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갖고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제 2 케이싱의 관통공으로 외출되는 반구형 보턴 및 단부에 걸림턱을 갖고 상기 보턴과 일직선상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도록 상기 축의 하부면과 연결 형성된 스토퍼와; 표면 중앙에 만곡 요입된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표면 양측에 목줄 출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에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요구에 위치되는 커버와, 단부가 상기 회전드럼 외벽에 실링 부착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으로 이루어진 목줄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폐루프 목줄의 단부 영역에 실링되도록 상기 회전드럼에 감김 및 감김 해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목줄 출입공에 삽입된 목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폰과 같은 휴대용품의 후면에 부착할 수 있는 휴대용품 부착구에 목줄 케이스를 걸어 휴대시 분실하기 쉬운 휴대용품을 목에 걸어 휴대하는 것으로서 분실 방지 및 휴대가 용이하고, 핸드폰과 같은 각종 휴대용품과 목줄 케이스를 분리하는 것으로서 별도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품 부착구와 목줄 케이스를 사용자의 임의 조작에 따라 360° 방향 전환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용품 즉, 핸드폰의 다양한 사용위치 변경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목줄 케이스 상면에 별도 설치한 커버에 목줄 인출공을 형성하고 있어서 목줄이 목줄 케이스에 걸림 없이 출입이 용이한 이점과 아울러, 커버에 형성한 당김홈 위에 목줄이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감김 된 목줄을 쉽게 잡을 수 있어 목줄을 인출하기가 용이한 이점이 있으며, 폐루프를 이루는 목줄의 양단부를 회전드럼 및 목줄 단부 영역에 접착제로 실링 고정하는 것으로서 목에 걸린 휴대용품이 사물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할 때 쉽게 단락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휴대용품 부착구에 설치된 키와 목줄 케이스에 설치된 키홈을 통해 의도치 않은 충격에 의해 휴대용품이 휴대용품 부착구로부터 목줄 케이스가 분리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실시 예에서와 같이 목줄 케이스를 이루는 제 1 케이싱을 각종 휴대용품 예컨대 핸드폰 케이스와 사원증 케이스 등의 본체와 연결되도록 함께 성형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 폭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라 핸드폰에 적용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을 조립시킨 상태의 확대 종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본 발명을 조립시킨 상태의 확대 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적용시킨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 2 실시 예에 따라 사원증 케이스에 적용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본 발명을 조립시킨 상태의 확대 종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제 2 실시 예에 따라 사원증 케이스의 후면에 적용시킨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제 3 실시 예에 따라 핸드폰 케이스에 적용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제 2 실시 예에 따라 핸드폰 케이스 후면에 적용시킨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을 조립시킨 상태의 확대 종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본 발명을 조립시킨 상태의 확대 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적용시킨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 2 실시 예에 따라 사원증 케이스에 적용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본 발명을 조립시킨 상태의 확대 종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제 2 실시 예에 따라 사원증 케이스의 후면에 적용시킨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제 3 실시 예에 따라 핸드폰 케이스에 적용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제 2 실시 예에 따라 핸드폰 케이스 후면에 적용시킨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라 핸드폰에 적용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을 조립시킨 상태의 확대 종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본 발명을 조립시킨 상태의 확대 횡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적용시킨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는, 상호 조립되어 목줄 케이스(1)를 이루는 제 1 케이싱(10) 및 제 2 케이싱(20)과 커버(70)로 구비된 목줄 케이스(1) 내부에 설치되어 목줄(30)을 감김 및 감김 해제하는 회전드럼(50)과, 회전드럼(50)에 감김 회전텐션을 전달하여 목줄(30)을 감는 작용을 돕는 태엽(40)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목줄(30)의 당김과 감김을 제어하는 스토퍼(60)와, 회전드럼(50)에 감김된 일정 길이의 목줄(30)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줄 케이스(1)를 핸드폰과 같은 휴대용품(100)에 걸어 사용하기 위한, 휴대용품 즉, 핸드폰 뒷면에 양면테이프(91)로 부착할 수 있는 휴대용품 부착구(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는, 제 1 실시 예에서와 같이, 휴대용품 부착구(90)와, 목줄 케이스(1)를 함께 사용하여 핸드폰(400)을 목에 걸어 휴대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제 2 실시 예에서와 같이, 휴대용품 부착구(90) 필요 없이, 제 1 케이싱(10d)의 후면에 직접 사원증(101)이 넣어진 사원증 케이스(102)와 같은 휴대용품(100)의 본체와 함께 연결 성형하는 것과, 또는 제 3 실시 예에서와 같이 핸드폰(300)을 커버하는 핸드폰 케이스(200)와 같은 휴대용품(100)을 핸드폰 케이스(200) 본체와 함께 연결 성형하는 것으로서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구성이 표현된 도 1 내지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목줄 케이스(1)를 구성하는 제 1 케이싱(10) 그리고 제 1 케이싱(10)과 결합되어 목줄 케이스(1)를 구성하는 제 2 케이싱(20)과, 이들에 형성된 요구(11)(21)에 안착 조립되는 커버(70)를 포함하여 목줄 케이스(1)를 구성한다.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목줄 케이스(1) 내부에 형성한 축(19)에는, 목줄(30)을 감고 회전하며 목줄(30)의 당김 및 보턴(61)의 누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드럼(50)을 설치하고 있으며, 회전드럼(50)에 감김 회전텐션을 제공하는 태엽(40)은 일단부가 회전드럼(5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목줄 케이스(1)의 내부에 축설된 축(19)에 각각 고정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목줄 케이스(1) 내부에는 목줄 케이스(1)로부터 외출되는 보턴(61)을 갖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회전드럼(50)을 멈춤 및 회전시키는 스토퍼(60)를 설치하고 있으며, 목줄(30)의 일 단부는 회전드럼(50)에 실링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폐루프 목줄(30)의 단부 영역에 실링 고정되어 회전드럼(50)에 감김 및 감김 해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드럼(50)은 사용자가 목줄(30)을 잡아당겨 길게 유지할 때 회전되고, 사용자가 목줄(30)을 짧게 유지하려 보턴(61)을 누르면 태엽(40)에 의해 목줄(30)은 회전드럼(50)에 감긴다.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목줄 케이스(1)를 휴대용품(100)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품(100)에 뒷면에 양면테이프(91)로 부착된 휴대용부착구(90)는, 목줄 케이스(1) 후면에 삽입 걸림되어 걸림유지 및 걸림 해제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1 케이싱(10)은, 상면에 요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요구(11) 일측으로부터 타측 일측까지 테두리 방향을 따라 리브(13)를 돌출 형성하고 있고, 결속홈(14)을 갖고 리브(13)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개 형성된 걸이편(15)을 마련하고 있으며, 벽체(10 ')에는 선단부에 일정 깊이의 절개홈(16)이 형성되고 절개홈(16)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17)을 갖을 갖는 축(19)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걸림턱(17)은 축(19)이 회전드럼(50)의 축공(54)에 삽입된 후 회전드럼(50)이 쉽게 축(19)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1 케이싱(10)의 벽체(10 ') 후면에 형성된 요구(11) 직하부에는 한쌍으로 결합돌기(18)를 형성하고 있으며, 벽체(10 ') 후면 중앙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는 함몰된 형상의 키홈(35)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홈(35)에는 휴대용 부착구(90)에 설치된 키(99)가 스프링(97)에 의해 탄지되도록 삽입되어 휴대용품 부착구(90)로부터 목줄 케이스(1)가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홈(35)과 일정 거리를 둔 키홈(35) 주변에는 삽입홈(36)을 갖고 U자형으로 걸림턱(37)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설명될 휴대용품 부착구(90)의 걸이판(94)이 걸림턱(37)에 걸림되고, 이격틈(93)에 걸림턱(37)이 위치하는 것으로서 키(99)가 스프링(97)에 의해 키홈(35) 쪽으로 탄발되는 것이 유지되어 목줄 케이스(1)가 휴대용 부착구(9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축(19)에 축설되는 회전드럼(50)은 격벽(51)을 중심으로 외측공간부(52)와 내측공간부(53)로 나누어 구성하고 있고, 격벽(51) 중앙에는 축공(54)을 관통 형성하고 있으며, 격벽(51)으로부터 내측공간부(53)에는 소정높이로 돌출되어 대향하는 수개의 스톱돌기(55)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드럼(50)의 테두리를 이루는 외벽(56)에는 태엽 단부 고정홈(57)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턴(61)을 누르면 스톱돌기(55)에 걸림되어 있는 스토퍼(6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64)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 회전드럼(50)은 당겨졌던 목줄(30)을 풀게 되는데 이때 목줄(30)의 풀림작용은 태엽(40)에 의해 역회전되는 회전드럼(50)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태엽(40)의 일단은 회전드럼(50)의 내측공간부(53)에서 축(19)의 절개홈(16)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드럼(50)의 태엽 단부 고정홈(58)에 걸림되어 사용자가 목줄(30)을 당기고 당김을 해제할 때 회전드럼(50)에 감김 및 회전테션을 부여한다.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2 케이싱(20)은, 상면에 요구(21)를 형성하고 있으며, 요구(21) 일측으로부터 타측 일측까지 테두리 방향을 따라서 함몰 형성된 리브결속홈(22)은 제 1 케이싱(10)의 리브(13)와 결속되고, 리브결속홈(22)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걸림돌기(23)는 제 1 케이싱(10)의 결속홈(14)과 결속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케이싱(20)의 벽체(20 ')에는 관통공(28)을 형성하고 있고, 벽체(20' ) 내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방향에 리브(26)를 형성하고 있으며, 리브(26)에는 축(62)을 축수하는 개구된 축공(25)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보턴(61)을 누르면 축(62)이 회동하도록 하며, 벽체(20 ')의 후면 요구(21) 직하부에는 한쌍으로 형성한 결합돌기(27)를 형성하여 커버(70)의 걸림홈(73)과 조립되어 목줄 케이스(1)를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60)는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며 축공(25)에 양 단부가 걸림되어 회동하는 축(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62)의 양 단부 내측 영역에서 일측으로 일정 각도 들려지게 연결되어 보턴(61)에 텐션을 부여하여 이동 복귀시키는 텐션링(63)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셩링(63)은 사용자가 보턴(61)를 누르면 스토퍼(60)의 단부 즉 걸림턱(64)이 들려지고, 손을 떼면 스토퍼(60)가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턴(61)를 누르면 회전드럼(50)의 스톱돌기(55)에 걸림되어 있던 스토퍼(60)의 걸림턱(64)이 스톱돌기(55)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것으로서 회전드럼(50)은 회전하여 목줄(30)을 감는 역할과 더불어 회전드럼(50)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60)는 축(62)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갖고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케이싱(20)의 관통공(28)으로 외출되는 반구형 보턴(61) 및 단부에 걸림턱(64)이 형성된 스토퍼(60)는 보턴(61)과 일직선상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도록 축(62)의 하부면에 연결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1 케이싱(10)과 제 2 케이싱(20)의 요구(11)(21)에는 표면 양측에 목줄 출입공(71)이 형성되고, 표면에는 홈(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 후면에는 벽체(10 ')(20' )에 형성된 결합돌기(18)(27)에 끼움되는 걸림홈(73)을 갖는 커버(70)를 구성하여, 커버(70)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1 케이싱(10)과 제 2 케이싱(20)에 조립되는 것을 포함하여 목줄 케이스(1)가 조립 구성된다.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목줄(30)은 단부가 회전드럼(50)에 형성된 목줄 단부 고정홈(57)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과, 목줄 단부가 회전드럼(50)의 외벽(56)에 실링 고정되는 것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고정된다. 목줄(30)의 타단은 회전드럼(50)에 접착된 목줄 단부 영역에 접착제로 실링 고정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목에 걸린 휴대용품(100)이 사물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하면 그 이동하는 힘에 의해 실링 고정된 목줄(30)의 일단이 단락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품 부착구(90)는 후면에 양면테이프(91)가 부착되는 베이스(92)를 가지고 있고, 베이스(92)와 일정 간격을 둔 전방에는 이격틈(93)을 두고 연결 형성시킨 걸이판(94) 및 걸이판(94) 전면 중앙에서 내측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으로 홈(95)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홈(95)의 내측 벽에는 대향하는 걸이홈(96)을 형성하고 있으며, 홈(95)의 내부에는 스프링(97)이 마련되고, 스프링(97) 외부에는 상기 걸이홈(96)에 걸림되도록 측벽에 걸림돌기(98)가 형성되어 있고, 홈(95)에 삽입되어 스프링(97)에 의해 전후 탄발되는 키(99)가 위치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 제 2 실시 예에 따라 사원증 케이스에 적용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따른 본 발명을 조립시킨 상태의 확대 종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제 2 실시 예에 따라 사원증 케이스의 후면에 적용시킨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제 3 실시 예에 따라 핸드폰 케이스에 적용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제 2 실시 예에 따라 핸드폰 케이스 후면에 적용시킨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 제 2 실시 예 및 제 3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 1 케이싱(10a )의 벽체(10-1)후면에는 휴대용품(100)이 벽체(10-1) 후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의 사용 폭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 제 2 및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제 1 케이싱(10d)은 상면에 요구(11a)를 형성하고 있고, 요구(11a) 일측으로부터 타측 일측까지 테두리 방향에는 벽을 형성하는 리브(13a)를 돌출 형성하고 있으며, 리브(13a)에는 복수 개의 결속홈(14a)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 제 2 및 제 3 실시 예에 따른 축(19a)은 중앙에 절개홈(16a)을 형성하고 있고 선단에는 걸림턱(17a)을 형성하고 있으며, 벽체(10-1)의 중앙에서 일측 방향을 향하여는 축(19a)을 돌출 형성하고 있고, 상기 벽체(10-1)의 내면 요구(11a)측 직하부에는 한쌍으로 결합돌기(10-2)를 돌출 형성하고 있고, 나사공(10-3)을 갖는 보스(10b)를 구비하여, 신분증 케이스(102) 즉 휴대용품(100)과 제 1 케이싱(10d)의 벽체(10-1) 후면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드럼(50a)은 격벽(51a)을 중심으로 외측공간부(52a)와 내측공간부(53a)로 나뉘며, 격벽(51a)에는 축공(54a)을 형성하고 있고, 격벽(51a)으로부터 외측공간부(52a)를 향하여는 소정높이로 돌출되어 대향하도록 스톱돌기(55a)가 수개 형성하고 있으며, 회전드럼(50a)은 회전축(19a)에 축설되어 회전하며 목줄(30a)의 감거나 푸는 역할을 행한다.
상기 회전드럼(50a)의 내측공간부(53a) 위치한 태엽(40a)의 일단은 축(19a)의 절개홈(16a)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드럼(50a)의 태엽 단부 고정홈(58a)에 걸림되도록 구성하여, 회전드럼(50a)에 감김 회전텐션을 제공하는 역할을 행한다.
본 발명 제 2 실시 예 및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제 2 케이싱(20a)은 벽체(20-1)의 상면에 요구(21a)가형성되어 있고, 벽체(20-1)의 상부 영역 양측에는 볼트공(21b) 및 관통공(28a)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벽체(20-1) 내면 하부측에는 걸림돌기(23a)가형성된 제 2 케이싱(20a)을 구성하여 목줄 케이스(1)로 구성하고, 볼트공(21b)에는 볼트(10c)를 삽입하여 보스(10b)에 체결하도록 구성하여, 제 1 케이싱(10d)과 조립되어 하나의 목줄 케이스(1)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60a)는 제 1 실시 예에서와 같이 구성된 축공(25)에 양 단부가 걸림되어 회동하는 축(62a)을 마련하고 있고, 축(62a)의 양 단부 내측 영역에서 일측으로 일정 각도 들려져 보턴(61a)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링(63a)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구형 보턴(61a)은 축(62a)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갖고 연결 형성되어 제 2 케이싱(20a)의 관통공(28a)으로 외출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60a)의 단부에는 보턴(61a)과 일직선상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도록 상기 축(62a)의 하부면과 연결된 스토퍼(60a)의 걸림턱(64a)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제 2 실시 예 및 제 3 실시 예에 따른 커버(70a)는 표면 중앙에 만곡 요입된 형상의 홈(72a)이 형성되어있고, 표면 양측에는 목줄 출입공(71a)을 형성하고 있으며, 결합돌기(10-2)에 삽입되는 통공(70b)을 형성하고 있고, 볼트(10c)가 볼트공(21b)으로 삽입되어 보스(10b)의 볼트공(10-3))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요구(16a)(21a)에 위치되는 커버(70a)로 구성되어 제 1 케이싱(10d) 및 제 2 케이싱(20a)과 함께 목줄 케이스(1)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줄(30a)은 단부가 회전드럼(50a) 외벽(56a)에 실링 부착되고, 타단은 제 1 및 제 2 케이싱(10d)(20a)으로 이루어진 목줄 케이스(1a) 내부에 위치하는 폐루프 목줄(30a)의 단부 영역에 실링 고정되도록 회전드럼(50a)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마련되어 목줄 출입공(71a)에 폐루프 형상으로 삽입함으로써 목에 걸린 휴대용품(100)이 사물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할 때 쉽게 단락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각종 휴대용품(100)을 휴대용 부착구(90)에 걸어 사용하거나 또는, 각종 휴대용품(100)을 이루는 벽체(10 ', 10-1)과 제 1 케이싱(10, 10d)을 함께 일체로 성형하여 목줄을 목에 걸어 휴대하는 것으로서 분실의 방지 및 휴대가능하며, 사용자의 임의 조작에 따라 휴대용품의 360° 방향 전환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용품 사용위치 변경이 가능하고, 목줄의 걸림 없이 출입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품 목걸이는 사용자가 감김 된 목줄을 커버의 홈을 통해 쉽게 잡고 당길 수 있어서 인출이 쉽고, 목줄의 단부를 실링 고정하고 있어서 목에 걸린 휴대용품이 사물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하는 힘에 의해 쉽게 단락되어 서ㅏ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있으며, 의도치 않은 충격에 의해 휴대용품이 휴대용품 부착구로부터 목줄 케이스가 분리 이탈되지 않고, 목줄 케이스를 이루는 제 1 케이싱을 각종 휴대용품 예컨대 핸드폰 케이스와 사원증 케이스 등과 연결되도록 함께 성형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 폭을 넓힐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목줄 케이스
10, 10d : 제 1 케이싱
10' , 20' , 10-1, 20-1 : 벽체
20, 20a : 제 2 케이싱
11, 11a, 21, 21a : 요구
13, 13a : 리브
14, 14a : 결속홈
15 : 걸이편
16, 16a : 절개홈
17, 17a : 걸림턱
18, 27, 10-2 : 결합돌기
19, 19a, 62, 62a : 축
22 : 리브 결속홈
23 : 걸림돌기
25, 25a : 축공
27 : 결합돌기
28, 28a : 관통공
30, 30a : 목줄
35 : 키홈
36 : 삽입홈
37 : 걸림턱
40, 40a : 태엽
50, 50a : 회전드럼
51, 51a : 격벽
52, 52a : 외측공간부
53, 53a : 내측공간부
54, 54a : 축공
55, 55a : 스톱돌기
57, 57a : 목줄 단부 고정홈
58 : 태엽 단부 고정홈
60, 60a : 스토퍼
61, 61a : 보턴
63, 63a : 텐션링
64, 64a : 걸림턱
70, 70a : 커버
71, 71a : 묵줄 출입공
72, 72a : 홈
90 : 휴대용품 부착구
91 : 양면테이프
92 : 베이스
94 : 걸이판
97 : 스프링
99 : 키
10, 10d : 제 1 케이싱
10' , 20' , 10-1, 20-1 : 벽체
20, 20a : 제 2 케이싱
11, 11a, 21, 21a : 요구
13, 13a : 리브
14, 14a : 결속홈
15 : 걸이편
16, 16a : 절개홈
17, 17a : 걸림턱
18, 27, 10-2 : 결합돌기
19, 19a, 62, 62a : 축
22 : 리브 결속홈
23 : 걸림돌기
25, 25a : 축공
27 : 결합돌기
28, 28a : 관통공
30, 30a : 목줄
35 : 키홈
36 : 삽입홈
37 : 걸림턱
40, 40a : 태엽
50, 50a : 회전드럼
51, 51a : 격벽
52, 52a : 외측공간부
53, 53a : 내측공간부
54, 54a : 축공
55, 55a : 스톱돌기
57, 57a : 목줄 단부 고정홈
58 : 태엽 단부 고정홈
60, 60a : 스토퍼
61, 61a : 보턴
63, 63a : 텐션링
64, 64a : 걸림턱
70, 70a : 커버
71, 71a : 묵줄 출입공
72, 72a : 홈
90 : 휴대용품 부착구
91 : 양면테이프
92 : 베이스
94 : 걸이판
97 : 스프링
99 : 키
Claims (11)
- 목줄 케이스(1)를 구성하는 제 1 케이싱(10) 및 상기 제 1 케이싱(10)과 결합 조립되어 목줄 케이스(1)를 구성하는 제 2 케이싱(20)과;
상기 목줄 케이스(1) 내부의 축(19)에 축설되어 목줄(30)을 감거나 풀고 회전하며 목줄(30)의 당김 및 보턴(61)의 누름에 의한 회전 자제되는 회전드럼(50)과;
양단부가 상기 회전드럼(50) 및 목줄 케이스(1)의 내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회전드럼(50)에 감김 회전텐션을 제공하는 태엽(40)과;
상기 목줄 케이스(1)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목줄 케이스(1)로부터 외출되는 보턴(61)을 갖고 상기 회전드럼(50)을 회전 및 멈춤시키는 스토퍼(60)와;
상기 목줄 케이스(1)의 상면 요구(11)(21)에 결합되는 커버(70)와;
단부가 상기 회전드럼(50)에 실링되고 타단은 폐루프 목줄(30)의 단부 영역에 실링되어 상기 회전드럼(50)에 감김 및 감김 해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목줄 출입공(71)에 출입되는 목줄(30)을 포함하고;
휴대용품 뒷면에 양면테이프(91)로 부착되어 상기 목줄 케이스(1) 후면에 삽입 걸림되어 목줄 케이스의 걸림유지 및 걸림 해제시키는 휴대용품 부착구(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10)은, 상면에 형성된 요구(11)와, 상기 요구(11) 일측으로부터 타측 일측까지 테두리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리브(13)와, 결속홈(14)을 갖고 상기 리브(13)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개 형성된 걸이편(15)과, 선단부에 일정 깊이의 절개홈(16)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16)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17)을 갖고 벽체(10' ) 중앙에서 일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축(19)이 형성되며, 상기 벽체(10' )의 후면에 형성된 요구(11) 직하부에 한쌍으로 형성한 결합돌기(18)와, 상기 벽체(10 ') 후면 중앙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의 키홈(35)과, 상기 키홈(35)과 일정 거리를 둔 키홈(35) 주변에서 삽입홈(36)을 갖는 U자형으로 형성한 걸림턱(37)을 갖고 목줄 케이스(1)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50)은 격벽(51)을 중심으로 외측공간부(52)와 내측공간부(53)로 나뉘며, 상기 격벽(51) 중앙을 관통하는 축공(54)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51)으로부터 상기 외측공간부(52)를 향하여 소정높이로 돌출되어 대향하도록 형성된 수개의 스톱돌기(55)와, 테두리를 이루는 외벽(56)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태엽 단부 고정홈(58)이 형성되어 상기 축(19)에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엽(40)은 일단이 상기 회전드럼(50)의 내측공간부(53)에서 상기 축(19)의 절개홈(16)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드럼(50)의 태엽 단부 고정홈(58)에 걸림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싱(20)은, 상면에 형성된 요구(21)와, 상기 요구(21) 일측으로부터 타측 일측까지 테두리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리브결속홈(22)과, 상기 리브결속홈(22)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개 형성된 걸림돌기(23)와, 벽체(20 ')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28)과, 중앙에 개구된 축공(25)을 갖고 상기 벽체(20' ) 내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게 형성된 리브(26)와, 상기 벽체(20 ')의 후면 요구(21) 직하부에 한쌍으로 형성한 결합돌기(27)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케이싱과(10) 결합되어 하나의 목줄 케이스(1)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60)는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축공(25)에 양 단부가 걸림되어 회동하는 축(62)과, 상기 축(62)의 양 단부 내측 영역에서 일측으로 일정 각도 들려지게 연결되어 상기 보턴(61)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링(63)과, 상기 축(62)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갖고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제 2 케이싱(20)의 관통공(28)으로 외출되는 반구형 보턴(61) 및 단부에 걸림턱(64)을 갖고 상기 보턴(61)과 일직선상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도록 상기 축(62)의 하부면과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70)는 표면 중앙에 만곡 요입된 형상의 홈(72)이 형성되고, 표면 양측에 목줄 출입공(71)이 형성되며 전 후면에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10)(20)의 벽체(10 ')(20' )에 형성된 결합돌기(18)(27)에 끼움되는 걸림홈(73)을 갖고 상기 요구(11)(21)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줄(30)은 단부가 상기 회전드럼(50)에 형성된 목줄 단부 고정홈(57)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과, 상기 목줄 단부가 상기 회전드럼(50)의 외벽(56)에 실링되는 것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10)(20)으로 이루어진 목줄 케이스(1) 내부에 위치하는 폐루프 목줄(30)의 단부 영역에 실링 고정되어 상기 회전드럼(50)에 감김 및 감김 해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목줄 출입공(71)에서 출입 가능하게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품 부착구(90)는 후면에 양면테이프(91)가 부착된 베이스(92)와, 상기 베이스(92)와 일정 간격을 둔 전방에 이격틈(93)을 두고 연결 형성된 걸이판(94) 및 상기 걸이판(94) 전면 중앙에서 내측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 홈(95)과, 상기 홈(95)의 내측 벽에 대향하게 요입 형성된 걸이홈(96)과, 상기 홈(95)에 수용되는 스프링(97) 및 양 측벽에 걸림돌기(98)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98)가 상기 홈(95)에 삽입되어 이탈방지되는 것으로서 전후 탄발되는 키(9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10)의 벽체(10 ') 후면에는 휴대용품(100)이 상기 벽체(10' )의 후면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 상면에 형성된 요구(11a)와, 상기 요구(11a) 일측으로부터 타측 일측까지 테두리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리브(13a)와, 상기 리브(13a)에 복수개 형성된 결속홈(14a)과, 선단부에 일정 깊이의 절개홈(16a)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16a)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17a)을 갖고 벽체(10-1) 중앙에서 일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축(19a)이 형성되며, 상기 벽체(10-1)의 내면 요구(11a)측 직하부에 한쌍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10-2)와, 볼트공(10-3)을 갖고 상기 벽체(10-1) 내면 상측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보스(10b)와, 휴대용품(100)과 상기 제 1 케이싱(10d)의 벽체(10-1) 후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목줄 케이스(1)를 이루는 제 1 케이싱(10d)과;
격벽(51a)을 중심으로 외측공간부(52a)와 내측공간부(53a)로 나뉘며, 상기 격벽(51a) 중앙을 관통하는 축공(54a)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51a)으로부터 상기 외측공간부(52a)를 향하여 소정높이로 돌출되어 대향하도록 형성된 수개의 스톱돌기(55a)를 갖고 상기 축(19a)에 축설된 회전드럼(50a)과;
상기 회전드럼(50a)의 내측공간부(53a)에서 일단은 상기 축(19a)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절개홈(16a)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드럼(50a)의 태엽 단부 고정홈(58a)에 걸림되도록 위치하는 태엽(40a)과;
벽체(20-1)의 상면에 형성된 요구(21a)와, 상기 벽체(20-1)의 상부 영역 양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공(21b) 및 관통공(28a)과, 상기 벽체(20-1) 내면 하부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3a)를 갖고 목줄 케이스(1)로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21b)으로 삽입되어 상기 보스(10b)에 체결되는 볼트(10c)로서 상기 제 1 케이싱(10d)과 조립되어 하나의 목줄 케이스(1)를 이루는 제 2 케이싱(20a)과;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축공(25)에 양 단부가 걸림되어 회동하는 축(62a)과, 상기 축(62a)의 양 단부 내측 영역에서 일측으로 일정 각도 들려지게 연결되어 상기 보턴(61a)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링(63a)과, 상기 축(62a)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갖고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제 2 케이싱(20a)의 관통공(28a)으로 외출되는 반구형 보턴(61a) 및 단부에 걸림턱(64a)을 갖고 상기 보턴(61a)과 일직선상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도록 상기 축(62a)의 하부면과 연결 형성된 스토퍼(60a)와;
표면 중앙에 만곡 요입된 형상의 홈(72a)이 형성되고, 표면 양측에 목줄 출입공(71a)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0-2)에 삽입되는 통공(70b)이 형성되어 상기 요구(11a)(21a)에 위치되는 커버(70a)와,
단부가 상기 회전드럼(50a) 외벽(56a)에 실링 부착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10d)(20a)으로 이루어진 목줄 케이스(1) 내부에 위치하는 폐루프 목줄(30a)의 단부 영역에 실링 고정되어 상기 회전드럼(50a)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마련되어 상기 목줄 출입공(71a)에 삽입된 목줄(3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8691A KR20240011351A (ko) | 2022-07-19 | 2022-07-19 |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8691A KR20240011351A (ko) | 2022-07-19 | 2022-07-19 |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1351A true KR20240011351A (ko) | 2024-01-26 |
Family
ID=8971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8691A KR20240011351A (ko) | 2022-07-19 | 2022-07-19 |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11351A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2450Y1 (ko) | 1998-03-03 | 2000-11-15 | 성주용 | 가설용 조명기구 |
KR200205446Y1 (ko) | 2000-06-02 | 2000-12-01 | 윤종금 |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
KR200213795Y1 (ko) | 2000-09-08 | 2001-02-15 | 함춘식 | 장신용 악세사리 겸 휴대폰용 목걸이줄 |
KR101147853B1 (ko) | 2005-03-17 | 2012-05-24 | 명성통신 주식회사 | 코드 및 목걸이 줄 권취 장치 |
-
2022
- 2022-07-19 KR KR1020220088691A patent/KR2024001135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2450Y1 (ko) | 1998-03-03 | 2000-11-15 | 성주용 | 가설용 조명기구 |
KR200205446Y1 (ko) | 2000-06-02 | 2000-12-01 | 윤종금 |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
KR200213795Y1 (ko) | 2000-09-08 | 2001-02-15 | 함춘식 | 장신용 악세사리 겸 휴대폰용 목걸이줄 |
KR101147853B1 (ko) | 2005-03-17 | 2012-05-24 | 명성통신 주식회사 | 코드 및 목걸이 줄 권취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37756B1 (en) | Key storage device | |
US9538833B2 (en) | Assembly for storing and deploying for use a handheld digital device | |
JP7083187B2 (ja) | 連結品を備えた取付システム | |
US10702049B2 (en) | Buckle belt assembly | |
JP4610591B2 (ja) | 携帯保持具 | |
US9206836B2 (en) | Magnetic snap latch | |
US4624276A (en) | Umbrella handle | |
US12058991B2 (en) | Lure containers | |
KR20240011351A (ko) |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 |
JP2009172259A (ja) | ロック機構付き付勢巻取りリール装置 | |
JP6348921B2 (ja) | 収納ボックス | |
US11071321B2 (en) | Container for electronic smoking articles | |
JP5424189B2 (ja) | 非常用携帯笛 | |
JP4229336B2 (ja) | 携帯電話の携帯補助具 | |
CN107224075B (zh) | 手包 | |
CN210016507U (zh) | 手机固定装置 | |
JP2022508826A (ja) | 入れ物(コンテナ)接続システム | |
KR101985281B1 (ko) | 플랩 탈부착형 가방 | |
JP2008043719A (ja) | 付勢巻取り装置 | |
CN206729441U (zh) | 一种方便耐用首饰盒 | |
JP2008194499A (ja) | 付勢巻取り式携帯補助具 | |
JP2002165627A (ja) | 携帯品の保持長さ調節具 | |
CN209638724U (zh) | 一种通信设备绑带结构 | |
CN215682584U (zh) | 耳机盒及耳机盒组件 | |
JP4453933B1 (ja) | ループコード付き物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