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446Y1 -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446Y1
KR200205446Y1 KR2020000015734U KR20000015734U KR200205446Y1 KR 200205446 Y1 KR200205446 Y1 KR 200205446Y1 KR 2020000015734 U KR2020000015734 U KR 2020000015734U KR 20000015734 U KR20000015734 U KR 20000015734U KR 200205446 Y1 KR200205446 Y1 KR 200205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tube
hole
case
length
neck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금
Original Assignee
윤종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금 filed Critical 윤종금
Priority to KR2020000015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4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4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3Hollow or hose-like material

Abstract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에 관한 본 고안은, 속이 빈 튜브의 형태를 취하며 사용자의 목에 걸쳐지고 중앙부에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부측에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튜브와; 상기 플렉시블튜브를 내부로 통과시키며 상기 관통홀과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플렉시블튜브의 타단부와는 고정 결합하여 목에 걸려있는 플렉시블튜브를 조이거나 푸는 길이조절수단과;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일단부에 구비된 결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는, 목걸이 줄을 속이 빈 튜브로 적용하고 목걸이줄에 핸드폰이나 MP3를 매달 경우, 이어폰선을 목걸이의 내부로 통과시키도록 구성하여 목걸이선과 이어폰선이 서로 엉키지 않아 항상 단정하며 또한 목걸이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착용이 편리하고 길이조절수단에 디자인을 부가하여 하나의 팬시용품으로도 응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Length adjustable necklace}
본 고안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걸이 줄을 속이 빈 튜브로 제작하여 핸드폰용 이어마이크를 목걸이의 내부로 통과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핸드폰은 점차 널리 보급되어 생활 필수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 출시되는 핸드폰은 크기가 점차 작아지고 다기능화하고 있는데, 그 중의 하나로 이어마이크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핸드폰도 개발되어 있다.
상기 이어마이크는 핸드폰에 이어마이크의 단자를 꼽아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어폰선에 마이크와 이어폰이 설치되어, 사용자는 이어폰을 통해서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있고, 또한 자신의 음성을 마이크를 통해서 보낼 수 있는 것이다. 핸드폰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핸드폰을 목걸이처럼 매달고 다니는 사람이 많은데, 상기와 같이 핸드폰을 목걸이식으로 매달고 다니는 사람이 이어마이크를 사용할 경우 목걸이줄과 이어폰선이 서로 엉킬 수 있어 복잡해지고 복장이 단정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핸드폰이외에 MP3를 목걸이식으로 매달아 휴대하기도 하는데, MP3역시 이어폰을 통해, 저장되어 있는 음악을 듣는 것이므로 핸드폰에서와 같은 문제를 가진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목걸이 줄을 속이 빈 튜브로 제작하고, 핸드폰이나 MP3 등에 연결된 이어폰선을 목걸이줄의 내부로 통과시키도록 구성하여 목걸이선과 이어폰선이 서로 엉키지 않아 항상 단정하며 또한 목걸이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의 길이조절수단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a, 도 3b 및 도 4는 상기 길이조절수단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를 핸드폰에 적용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6의 길이조절수단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를 핸드폰에 적용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에 이어폰선케이스를 더 구비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에 이어폰선케이스를 더 구비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플렉시블튜브 12:관통홀
14:삽입구 16:결착수단
18:하부케이스 20:상부케이스
21:바닥면 22:측벽
23:측벽 24:제 1관통공
26:제 2관통공 28:스프링
30:제 1조임구멍 32:제 2조임구멍
34:끈 36:제 1결착부재
38:제 2결착부재 40:이어폰선
42:마이크 44:이어폰
46:핸드폰 48:걸이구
50:링 52:관통구
54:케이스 56:구멍
58:도르래 60:길이조절수단
62:타단부 64:스프링장착구
66:이어폰선케이스 68:이어폰잭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속이 빈 튜브의 형태를 취하며 사용자의 목에 걸쳐지고 중앙부에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부측에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튜브와; 상기 플렉시블튜브를 내부로 통과시키며 상기 관통홀과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플렉시블튜브의 타단부와는 고정 결합하여 목에 걸려있는 플렉시블튜브를 조이거나 푸는 길이조절수단과;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일단부에 구비된 결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바닥면과 측벽을 가지고 측벽에는 제 1관통공 및 제 2관통공이 형성되며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씌워지되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측벽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제 1관통공 및 제 2관통공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제 1조임구멍 및 제 2조임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튜브는 하부케이스에 상부케이스가 씌워진 상태로 제 1관통공과 제 1조임구멍과 제 2조임구멍 및 제 2관통공을 차례로 통과함으로써 케이스 내부를 관통한 후 연장되어 타단부가 케이스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착수단은 플렉시블튜브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 1결착부재와, 상기 제 1결착부재와 결착하며 끈이 달려있는 제 2결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측벽은 하부케이스의 측벽과 접하며 승강운동이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목에 걸쳐져 앞으로 내려온 두 줄의 플렉시블튜브를 각각 관통시키는 관통구가 형성된 링과; 상기 링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도르래를 구비하고 링을 향한 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일단부는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어 결착수단과 연결되며, 타단부는 케이스내의 도르래를 걸친 상태로 상부의 링에 고정되어, 플렉시블튜브에 대해 링을 이동시키면 플렉시블튜브가 도르래를 감아돌며 링 및 케이스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착수단은 플렉시블튜브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 1결착부재와, 상기 제 1결착부재와 결착하며 끈이 달려있는 제 2결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수단의 측부에는 이어폰선을 감아 내장하되 이어폰잭은 일정길이로 외부로 연장되고 이어폰은 필요길이만큼 인출가능하도록 구성된 이어폰선 케이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는, 플렉시블튜브(10)와, 상기 플렉시블튜브(10)의 일단부를 내부로 관통시키며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60)과, 상기 플렉시블튜브(1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결착수단(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렉시블튜브(10)는 마치 음료용 빨대와 같이 속이 빈 튜브의 형태를 취하며, 사용자의 목에 걸쳐지는 부재이다. 상기 플렉시블튜브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튜브(10)의 대략 중앙부에는 두 개의 관통홀(12)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12)은 도 5에서와 같이 이어폰선(도 5의 40)이 나오는 구멍으로서 위치는 플렉시블튜브(10)를 목에 걸었을 때에 사용자의 귀의 하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튜브(10)의 일단부에는 삽입구(1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어폰선(도 5의 40)을 상기 삽입구(14)를 통해 튜브(10)내로 집어넣고 플렉시블튜브(10)내부를 통과시켜 관통홀(12)을 통해 외부로 연장해 낼 수 있다. 이와같은 이어폰선의 설치는 목걸이의 제작과정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구(14)가 형성된 플렉시블튜브(10)의 일단부에는 결착수단(16)이 구비된다. 상기 결착수단(16)은 플렉시블튜브(10)에 핸드폰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플렉시블튜브(10)에 직접 연결되는 제 1결착부재(36)와, 상기 제 1결착부재(36)와 결착하는 제 2결착부재(38)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 2결착부재(38)에는 끈(3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끈(34)은 핸드폰에 형성되어 있는 끈 걸이구(도 5의 48)에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의 목에 대한 플렉시블튜브(10)의 조임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길이조절수단(60)이 구비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60)은 플렉시블튜브(10)의 일단부를 관통시키고 타단부(도 4의 62)와는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플렉시블튜브(10)의 타단부(62)와 길이조절수단(60)과의 결합은 공지의 임의의 접합방법을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길이조절수단(60)에 대해 플렉시블튜브(10)를 화살표 a방향으로 당기면 플렉시블튜브(10)가 조여지고, 화살표 a의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플렉시블튜브(10)가 늘어진다.
상기 길이조절수단(60)에 대한 플렉시블튜브(10)의 지지력은 후술하는 스프링(도 2의 28)에 의한다. 또한 본 도면에는 상기 길이조절수단(60)이 원형의 형태를 취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하트모양이나 다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얼마든지 변형할 수 있고 평평한 표면에는 캐릭터모양이나 광고문구 등도 형성하거나 붙일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의 길이조절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길이조절수단(60)은 하부케이스(18)와 상기 하부케이스(18)의 상부에 씌워지는 상부케이스(20) 및 상기 하부케이스(18)와 상부케이스(20)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8)는 바닥면(21)과 상기 바닥면(21)에 구비되는 측벽(2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벽(22)에는 제 1관통공(24) 및 제 2관통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관통공(24) 및 제 2관통공(26)은 플렉시블튜브(10)가 관통하는 구멍이다.
아울러 상기 바닥면(21)에는 스프링장착구(64)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장착구(64)는 내부에 스프링(28)을 수용하며, 도 4에서와 같이 외주면으로는 플렉시블튜브(1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상부케이스(20)에도 측벽(2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23)에는 제 1조임구멍(30) 및 제 2조임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조임구멍(30) 및 제 2조임구멍(32)을 통해서도 플렉시블튜브(10)가 관통한다. 이 때 상기 제 1조임구멍(30)은 제 1관통공(2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 2조임구멍(32)은 제 2관통공(2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벽(23)의 외주면은 하부케이스(18)의 측벽(22)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케이스(18)에 상부케이스(20)가 씌워져 승강운동하는 동안 상부케이스의 측벽(23)은 하부케이스의 측벽(22)에 의해 가이드된다. 이와 달리 상부케이스(20)의 측벽(23)이 하부케이스(18)의 측벽(22) 외부로 끼워지도록 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부케이스(18)와 상부케이스(20)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28)은 하부케이스(18)에 대해 상부케이스(20)를 탄성지지하며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은 상기 길이조절수단(60)에 외력을 가함에 따른 상하부케이스(18,20)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부케이스(20)가 하부케이스(18) 위에서 스프링에 의해 상부로 탄성지지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제 1관통공(24)의 수직높이보다 제 1조임구멍(30)이 수직높이가 높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플렉시블튜브(10)는 관통공과 조임구멍을 동시에 관통하는데, 상기와 같은 수직높이의 차이에 의해 플렉시블튜브(10)는 조여지고 그 위치에 머물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태에서 화살표 F방향의 힘을 가하면, 도 3b와 같이 상부케이스(20)는 스프링(도 2의 28)의 힘을 이기면서 하강하여 제 1관통공(24)의 수직높이와 제 1조임구멍(30)의 수직높이가 동일해지고 이에 따라 플렉시블튜브(10)의 움직임이 가능해진다. 이와같은 조임원리는 공지의 원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원리이다.
도 4는 상기 길이조절수단(60)에 플렉시블튜브(10)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케이스(18)의 측벽(22) 내부에 상부케이스(20)의 측벽(23)이 포함되어 있고, 제 1관통공(24)과 제 1조임구멍(30) 및 제 2관통공(26)과 제 2조임구멍(32)이 상호 연통하고 있으며, 연통된 구멍을 통해 플렉시블튜브(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튜브(10)는 스프링장착구(64)의 외주면과 접하며 가이드된다. 사실 목걸이의 길이를 조절하면 플렉시블튜브(10)가 화살표 g의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 때 플렉시블튜브(10)가 스프링장착구(64)의 외주면에 가이드되는 것이다.
한편, 플렉시블튜브(10)의 타단부(62)는 측벽(22)의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타단부(62)와 길이조절수단(60)과의 고정위치 및 고정방법은 실시예에 따라서 다르게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에 핸드폰을 실제로 적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핸드폰(46)에 꼽혀있는 단자의 이어폰선(40)은 삽입구(14)를 통해 플렉시블튜브(10)의 내부로 삽입된 후 두 개의 관통홀(12)로 빠져나가있다. 상기 관통홀(12)을 빠져나간 이어폰선(40)에는 마이크(42)와 이어폰(4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어폰(44)이 두 개가 구비되어 있지만 제품의 종류에 따라서 이어폰이 하나만 구비되어 있는 것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임의의 한 쪽 관통홀(12)만 사용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플렉시블튜브(10)를 목걸이로서 착용하고 플렉시블튜브(10)를 통해 설치된 이어폰(44)을 귀에 꼽아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결착수단(16)에 구비되어 있는 끈(34)은 핸드폰(46)에 형성되어 있는 걸이구(48)에 연결된다. 상기 핸드폰의 무게를 지탱하는 것은 상기 끈(34) 및 결착수단(16)을 통한 플렉시블튜브(10)임은 물론이다.
상기 상태로 핸드폰을 휴대하다가 필요시 플렉시블튜브(10)에 대한 핸드폰(46)의 위치를 조절하고자하면, 하부케이스(18)에 대해 상부케이스(20)를 눌러 도 3의 b에서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위치시켜 플렉시블튜브(10)이 위치를 조절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에 적용된 길이조절수단은 링(50)과 상기 링(50)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도르래(도 7의 58)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통 사용자가 플렉시블튜브(10)를 목에 걸어 앞으로 늘여뜨리면 두 줄의 플렉시블튜브가 좌우로 사용자의 가슴앞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링(50)은 이와같이 늘여뜨려진 두 줄의 플렉시블튜브(10)를 관통시켜 모이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링(50)은 일정폭을 가지며 상기 플렉시블튜브(10)를 관통시키는 다수의 관통구(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50)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54)는, 상기 링(50)을 통과하여 하부로 연장된 두 줄의 플렉시블튜브(10)를 받아들이되, 일측의 플렉시블튜브(10)는 통과시켜 핸드폰(도 8의 46)과 연결되도록 하고, 타측의 플렉시블튜브(10)는 케이스(54)내의 도르래(도 7의 58)를 감아 케이스(54)외부로 연장하며 링(50)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플렉시블튜브(10)에 대해서 링(50)을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플렉시블튜브(10)는 링(50)의 관통구(52)내를 화살표 c방향으로 빠져나가며 목걸이가 조여지는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의 길이조절수단에 플렉시블튜브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플렉시블튜브(10)의 타단부(62)는 링(50)에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케이스(54)내부의 도르래(58)에 감겨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플렉시블튜브(10)의 타단부(62)는 케이스(54)의 구멍(56)을 통해 케이스(54)내부로 들어가서 도르래(58)를 감고 다시 구멍(56)을 통해 케이스(54)의 외부로 빠져나가 링(50)에 고정되는 것이다.
아울러 일측의 플렉시블튜브(10)는 케이스(54)를 관통한다. 상기 일측의 플렉시블튜브(10)는 상부로는 링(50)의 관통구(52)를 관통하고 하부로는 케이스(54)를 관통하여 결착수단(도 6의 16)과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링(50)을 화살표 b방향으로 당겨올리면 플렉시블튜브(10)의 타단부(62)는 링(50)과 함께 상승하고, 상대적으로 일측의 플렉시블튜브(10)는 화살표 c방향을 따라 케이스(54)를 관통하여 하부로 상대 이동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에 핸드폰을 적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핸드폰(46)에 꼽혀있는 단자의 이어폰선(40)은 삽입구(14)를 통해 플렉시블튜브(10)의 내부를 거쳐 두 개의 관통홀(12)로 빠져나가 있다. 상기 관통홀(12)을 빠져나간 이어폰선(40)에는 마이크(42)와 이어폰(44)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플렉시블튜브(10)를 목걸이로서 착용한 상태로 이어폰(44)을 귀에 꼽아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결착수단(16)에 구비되어 있는 끈(34)은 핸드폰(46)에 형성되어 있는 걸이구(48)에 연결된다. 상기 핸드폰의 무게를 지탱하는 것은 상기 끈(34) 및 결착수단(16)을 통한 플렉시블튜브(10)임은 상기한 바와같다.
상기 상태로 핸드폰을 휴대하다가 필요시 플렉시블튜브(10)에 대한 핸드폰(46)의 위치를 조절하고자하면, 링(50)을 도 6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켜 목에 걸쳐있는 플렉시블튜브(10)를 조이거나 또는 화살표 b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늘어뜨릴 수 도 있다.
도 9는 상기 제 1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에 이어폰케이스를 더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길이조절수단(60)의 상면에 이어폰케이스(66)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이어폰케이스(66)는 상부케이스(20)와 같은 지름을 갖는 원통으로서 내부에 이어폰선(40)을 감은 상태로 내장한다. 특히 상기 이어폰선(40)에 있어서 이어폰잭(68)은 이어폰케이스(66)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상태로 핸드폰(46)에 접속되어 있고, 이어폰(44)은 이어폰케이스(66)에 대해 인출이 가능하다. 이와같은 인출원리는 진공청소기나 기타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공지의 원리와 같다.
상기와 같이 이어폰케이스(66)가 따로 마련되어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는 목걸이를 착용한 상태로 이어폰(44)을 이어폰케이스(66)로부터 인출하여 귀에 꼽아 사용하고, 또한 핸드폰(46)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어폰(44)을 소정길이 당겼다 놓아 이어폰선(40)이 이어폰케이스(66)내로 감겨져 이어폰(44)이 이어폰케이스(66)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이어폰케이스(66)와 핸드폰(46)간의 이어폰선(40)의 길이는 변함이 없다. 이는 이어폰선(40)을 이어폰케이스(66)에 고정함으로서 가능하다.
도 10은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에 이어폰케이스를 더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같이, 링(50)의 상부에 이어폰선케이스(66)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이어폰선케이스(66)의 내부에는 이어폰선(40)이 감긴상태로 내장되어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핸드폰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핸드폰에 국한하지 않고 MP3도 적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단순한 캐릭터모형 등을 적용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는, 목걸이 줄을 속이 빈 튜브로 적용하고 목걸이줄에 핸드폰이나 MP3를 매달 경우, 이어폰선을 목걸이의 내부로 통과시키도록 구성하여 목걸이선과 이어폰선이 서로 엉키지 않아 항상 단정하며 또한 목걸이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착용이 편리하고 길이조절수단에 디자인을 부가하여 하나의 팬시용품으로도 응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속이 빈 튜브의 형태를 취하며 사용자의 목에 걸쳐지고 중앙부에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관통홀(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부측에는 삽입구(14)가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튜브(10)와;
    상기 플렉시블튜브(10)를 내부로 통과시키며 상기 관통홀(12)과 삽입구(14)사이에 위치하고 플렉시블튜브(10)의 타단부(62)와는 고정 결합하여 목에 걸려있는 플렉시블튜브(10)를 조이거나 푸는 길이조절수단(60)과;
    상기 플렉시블튜브(10)의 일단부에 구비된 결착수단(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60)은, 바닥면(21)과 측벽(22)을 가지고 측벽에는 제 1관통공(24) 및 제 2관통공(26)이 형성되며 스프링(28)이 설치되어 있는 하부케이스(18)와,
    상기 하부케이스(18)에 씌워지되 스프링(28)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측벽(23)에는 상기 하부케이스(18)의 제 1관통공(24) 및 제 2관통공(26)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제 1조임구멍(30) 및 제 2조임구멍(32)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스(20)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튜브(10)는 하부케이스(18)에 상부케이스(20)가 씌워진 상태로 제 1관통공(24)과 제 1조임구멍(30)과 제 2조임구멍(32) 및 제 2관통공(26)을 차례로 통과함으로써 케이스(18,20) 내부를 관통한 후 연장되어 타단부(62)가 케이스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16)은 플렉시블튜브(1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 1결착부재(36)와, 상기 제 1결착부재(36)와 결착하며 끈(34)이 달려있는 제 2결착부재(38)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케이스(20)의 측벽(23)은 하부케이스(18)의 측벽(22)과 접하며 승강운동이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60)은 목에 걸쳐져 앞으로 내려온 두 줄의 플렉시블튜브(10)를 각각 관통시키는 관통구(52)가 형성된 링(50)과;
    상기 링(50)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도르래(58)를 구비하고 링(50)을 향한 면에는 구멍(56)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54)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튜브(10)의 일단부는 상기 케이스(54)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어 결착수단(16)과 연결되며, 타단부(62)는 케이스(54)내의 도르래(58)를 걸친 상태로 상부의 링(50)에 고정되어, 플렉시블튜브(10)에 대해 링(50)을 이동시키면 플렉시블튜브(10)가 도르래(58)를 감아돌며 링(50) 및 케이스(54)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16)은 플렉시블튜브(1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 1결착부재(36)와, 상기 제 1결착부재(36)와 결착하며 끈(34)이 달려있는 제 2결착부재(3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6.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의 측부에는 이어폰선을 감아 내장하되 이어폰잭은 일정길이로 외부로 연장되고 이어폰은 필요길이만큼 인출가능하도록 구성된 이어폰선 케이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KR2020000015734U 2000-06-02 2000-06-02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KR200205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734U KR200205446Y1 (ko) 2000-06-02 2000-06-02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734U KR200205446Y1 (ko) 2000-06-02 2000-06-02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446Y1 true KR200205446Y1 (ko) 2000-12-01

Family

ID=19659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734U KR200205446Y1 (ko) 2000-06-02 2000-06-02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44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583A (ko) * 2000-09-09 2002-03-15 신기섭 휴대폰 목걸이장치
WO2009014714A2 (en) * 2007-07-23 2009-01-29 Fielding Jerry Jr Lanyard assembly for audio device
CN107668857A (zh) * 2017-11-09 2018-02-09 深圳市缘与美实业有限公司 一种长度可调节的首饰装置、配件及其实现方法
KR20230128715A (ko) 2022-02-28 2023-09-05 김현학 착탈이 용이하고 360°방향전환 및 줄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핸드폰용 목걸이 줄 세트
KR20240011351A (ko) 2022-07-19 2024-01-26 김현학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583A (ko) * 2000-09-09 2002-03-15 신기섭 휴대폰 목걸이장치
WO2009014714A2 (en) * 2007-07-23 2009-01-29 Fielding Jerry Jr Lanyard assembly for audio device
WO2009014714A3 (en) * 2007-07-23 2009-05-07 Jerry Fielding Jr Lanyard assembly for audio device
CN107668857A (zh) * 2017-11-09 2018-02-09 深圳市缘与美实业有限公司 一种长度可调节的首饰装置、配件及其实现方法
KR20230128715A (ko) 2022-02-28 2023-09-05 김현학 착탈이 용이하고 360°방향전환 및 줄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핸드폰용 목걸이 줄 세트
KR20240011351A (ko) 2022-07-19 2024-01-26 김현학 휴대용품 걸이용 목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5446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JP3596601B2 (ja) 携帯用音響機器
WO2014117431A1 (zh) 一种具有装饰功能的蓝牙接听装置
KR200415723Y1 (ko) 귀걸림부를 갖는 핸즈프리 셋
KR100881856B1 (ko) 이어 마이크 세트와 그 승강 방법
KR200240621Y1 (ko) 휴대폰용 목걸이 이어폰
KR200389786Y1 (ko) 목걸이형 이어폰
WO2014098426A1 (ko) 라인조절장치
KR200397054Y1 (ko) 이어폰 목걸이의 이어폰 와이어 고정 장치
CN101773320A (zh) 耳坠蓝牙
CN1084580C (zh) 具有耳钩的塞耳式耳机
KR200262903Y1 (ko) 무선 이어폰
KR200233019Y1 (ko) 목걸이형 이어폰-마이크 세트
KR200365506Y1 (ko) 슬립부재에 의한 이어폰 스피커의 신호선 이동제어 구조
KR200200176Y1 (ko) 헤어 핀 이어폰
JP3068711U (ja) 携帯電話用イヤホンマイク
CN213818119U (zh) 一种蓝牙耳机防掉落机构
KR200276815Y1 (ko) 휴대폰용 이어폰
KR200176942Y1 (ko) 목걸이형 이어폰
KR200184575Y1 (ko) 목걸이형 이어폰-마이크 세트
CN217985121U (zh) 一种可调节长短的手机挂接件
KR200193463Y1 (ko) 걸이형 클립 겸용 이어마이크폰
KR200183238Y1 (ko)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이 결합된 휴대폰용 목걸이
KR100500226B1 (ko) 휴대폰용 목걸이형 이어폰
KR100487617B1 (ko) 목걸이형 이어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