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786Y1 - 목걸이형 이어폰 - Google Patents

목걸이형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786Y1
KR200389786Y1 KR20-2005-0012556U KR20050012556U KR200389786Y1 KR 200389786 Y1 KR200389786 Y1 KR 200389786Y1 KR 20050012556 U KR20050012556 U KR 20050012556U KR 200389786 Y1 KR200389786 Y1 KR 200389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necklace
pair
strings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성
Original Assignee
박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성 filed Critical 박수성
Priority to KR20-2005-00125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7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7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걸이형으로의 사용이 가능함과 더불어 각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이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조절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목걸이형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제공된 출력신호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한 쌍의 출력부; 상기 각 출력부에 각각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한 쌍의 이어폰줄; 상기 각 이어폰줄이 만나는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연결부; 일단에는 상기 연결부에 감싸여진 상기 각 이어폰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줄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접속 포트에 결합되는 잭이 구비된 잭부;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이어폰줄을 감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이어폰줄을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면서 상호간의 사이에 위치된 각 이어폰줄 간의 벌림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목걸이형 이어폰{necklace style earphone}
본 고안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목에 걸어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목걸이형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멀티미디어 사업의 발전으로 인해 많고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소비 역시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에는 이동중에의 사용이 가능한 예컨대, MP3 플레이어나, 카셋트, CD 플레이어, 핸드폰 등의 다양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는 이동 중이나 외부에서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주위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개인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제공되는 것이 이어폰이다.
즉, 멀티미디어 기기에 이어폰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으로써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악이나 음성 등이 상기 이어폰을 통해서만 출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이어폰 구조가 도시되고 있다.
즉, 통상의 이어폰은 한 쌍의 출력부(11,12)와, 한 쌍의 이어폰줄(21,22)과, 연결부(30) 및 잭부(40)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출력부(11,12)는 멀티미디어 기기(1)로부터 제공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이어폰줄(21,22)은 상기 각 출력부(11,12)에 각각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일종의 피막에 감싸여진 전선이며, 상기 출력부(11,12)와 연결되는 부위를 제외하고는 통상 서로 붙은 상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각 이어폰줄(21,22)의 어느 한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이어폰줄(21,22)이 더 이상 서로 분리됨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부위이다.
또한, 상기 잭부(40)는 상기 각 이어폰줄(21,22)의 끝단에 구비된 상태로 멀티미디어 기기(1)의 접속 포트(1a)에 결합되는 잭(41)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각 이어폰줄(21,22)을 통해 각 출력부(11,12)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1)가 점차 소형화의 추세에 있을 뿐 아니라 디자인 역시 상당히 향상된 상태이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1)를 목에 걸고 다니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이어폰은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1)를 목에 걸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이어폰과는 별도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1)를 목에 걸기 위한 목걸이가 필요시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별도의 목걸이를 구비하더라도 상기 목걸이와 상기 이어폰간의 배선이 쉽게 엉키게 된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물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1799호, 등록의장공보 제30-0291055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4194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6072호 등 최근의 일부 이어폰을 보면 목걸이형 이어폰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목걸이형 이어폰들은 단순히 일반적인 목걸이에 상기 이어폰을 일체화한 구조일 뿐이었으며, 이로 인해 각각의 성형을 위한 제조 비용의 상승이 야기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목걸이형 이어폰들은 사용자의 체형(예컨대, 목 굵기 등)이나 취향에 따른 고려 없이 항상 고정된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족감이 저하되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목걸이형으로의 사용이 가능함과 더불어 각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이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조절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목걸이형 이어폰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제공된 출력신호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한 쌍의 출력부; 상기 각 출력부에 각각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한 쌍의 이어폰줄; 상기 각 이어폰줄이 만나는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연결부; 일단에는 상기 연결부에 감싸여진 상기 각 이어폰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줄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접속 포트에 결합되는 잭이 구비된 잭부;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이어폰줄을 감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이어폰줄을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면서 상호간의 사이에 위치된 각 이어폰줄 간의 벌림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폰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은 첨부된 도 2와 같이 크게 한 쌍의 출력부(110,120)와, 한 쌍의 이어폰줄(210,220)과, 연결부(300)와, 잭부(400) 및 다수의 조절부(510,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출력부(110,120)는 멀티미디어 기기(1)로부터 제공된 출력신호를 제공받아 출력하도록 구성된 부분이다.
상기한 각 출력부(110,120)는 인체의 귓속에 인입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출력음이 지근 거리에서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피커임을 그 실시예로 제시한다.
물론, 상기 각 출력부(110,120)는 인체의 귀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골진동을 통해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이어폰줄(210,220)은 상기 각 출력부(110,12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로부터 제공된 출력신호를 상기 출력부(110,12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선이다.
이때, 상기 각 이어폰줄(210,220) 간은 서로간이 일체로 붙어있지 않고, 그 전부위에 걸쳐 서로 분리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각 이어폰줄(210,220)과 후술하는 잭부(400)의 전선줄(420)이 만나는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전선줄(420)과 상기 각 이어폰줄(210,220) 간의 연결 부위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함과 더불어 해당 부위에 대한 외관을 미려(美麗)하게 하여 사용자의 디자인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잭부(400)는 전선줄(420)과 잭(41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선줄(420)은 상기 연결부(300)에 감싸여진 상기 각 이어폰줄(210,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한 전선줄(420) 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인 상기 연결부(300)와 상기 잭(410) 사이의 부위는 단일 라인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디자인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잭(410)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의 접속 포트(1a)에 결합되는 부위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조절부(510,520)는 상기 한 쌍의 이어폰줄(210,220)을 감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이어폰줄(210,220)을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면서 상호간의 사이에 위치된 두 이어폰줄(210,220) 간의 벌림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다수의 조절부(510,520)가 링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그 실시예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각 조절부(510,520)의 내경은 상기 한 쌍의 이어폰줄(210,220)이 합쳐진 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각 조절부(510,520)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될 경우 상기 각 조절부(510,520)가 상기 각 이어폰줄(210,220) 간의 해당 위치에 그 위치 변동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각 조절부(510,520)는 한 쌍의 이어폰줄(210,220) 중 상측 부위에 위치되는 상부 조절부(510)와 하측 부위에 위치되는 하부 조절부(520) 등 두 개를 한 쌍으로 하여 구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조절부(510,520)는 한 쌍의 이어폰줄(210,220)을 넥타이(necktie)식으로 벌림폭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예컨대, 목 둘레 사이즈나 목 길이 등)에 대응되면서 목걸이로의 기능 수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각 조절부는 셋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각 조절부가 셋 이상일 경우 상측의 두 조절부는 사용자의 목을 감싸는 부위에 대한 폭의 조절을 수행하고, 하측의 나머지 조절부들은 장식용으로 사용되거나 혹은, 각 이어폰줄 간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각 조절부(510,520) 중 적어도 어느 한 조절부(510,520)의 외측면상에는 각종 문장(紋章)이나 문양(文樣) 혹은, 메달 등의 장신구(600)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장신구(600)는 상기 각 조절부(510,520) 중 하측에 위치된 하부 조절부(520)에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하부 조절부(520)가 해당 목걸이형 이어폰을 목에 걸었을 경우 사용자의 전방측 목아래 부위에 위치되어 가장 많은 외부의 시선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의 조작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을 목에 걸지않고 이어폰의 기능으로만 사용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조작된다.
즉, 한 쌍의 조절부(510,520) 중 상측에 위치된 상부 조절부(510)는 두 이어폰줄(210,220)이 갈라지는 부위를 결정하도록 조작되고, 하측에 위치된 하부 조절부(520)는 상기 두 이어폰줄(510,520) 중 하측 부위가 서로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적정 부위에 위치되도록 조작된다.
또한, 잭부(400)의 잭(410)은 멀티미디어 기기(1)의 접속 포트(1a)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목걸이형 이어폰은 목에 걸지 않은 상태로 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을 목에 걸어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 3 및 도 4와 같이 조작된다.
즉, 첨부된 도 2와 같은 최초의 상태에서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부 조절부(510)를 조작하여 두 이어폰줄(210,220)이 갈라지는 부위를 결정함과 더불어 하부 조절부(520)를 사용자의 목이 상기 두 이어폰줄 사이로 원활히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조절부(510)와는 충분한 거리만큼 이격되게 조작된다.
이후, 사용자는 두 조절부(510,520) 사이에 위치된 한 쌍의 이어폰줄(210,220) 사이에 목을 끼우고, 상기 두 조절부(510,520) 중 상부 조절부(510)는 사용자의 뒷목에 위치되도록 함과 더불어 하부 조절부(520)는 사용자의 전면 목 아래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의 상태는 첨부된 도 4와 같다.
그리고,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하부 조절부(520)를 조작하여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한 쌍의 조절부(510,520) 사이에 위치된 두 이어폰줄(210,220)간의 폭이 사용자의 목에 가장 적합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조절부(520)와 연결부(300) 사이의 두 이어폰줄(210,220)의 일단은 서로 벌어질 수 있으나, 잭부(400)의 잭(410)을 멀티미디어 기기(1)를 연결할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0)의 하중을 상기 두 이어폰줄(210,220)이 전달받게 됨으로써 해당 부위는 곧게 펴진 상태로 서로간이 벌어짐은 방지된다.
그리고, 전술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쌍의 출력부(110,120)를 각 귀에 꽂게 되면 한 쌍의 이어폰줄(210,220) 중 상기 각 출력부(110,120)와 연결된 부위는 첨부된 도 5와 같이 사용자의 목 뒤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각 출력부(110,120)로부터 상부 조절부(510) 간의 간격이 상당히 크게 이격되더라도, 상기 각 이어폰줄(210,220)이 외측으로 처지기 때문에 발생될 수 있는 외관상의 사용자 불만은 미연에 방지된다.
따라서, 전술한 일련의 조작에 의해 본 고안의 목걸이형 이어폰은 멀티미디어 기기(1)를 목에 건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은 멀티미디어 기기(1)를 목에 건 상태로 사용할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의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의 접속 포트(1a)로부터 잭부(400)의 잭(410)이 탈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6과 같이 연결부(300)에 별도의 연결고리(301)를 더 형성하고, 상기 연결고리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의 접속 포트(1a) 이외의 부위와 직접 연결되는 연결부재(310)가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상기한 연결부재(310)는 잭부(400)의 잭(410)이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가 본 고안의 목걸이형 이어폰에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 연결부재(310)가 연결줄(311) 및 이 연결줄(311)에 연결된 후크(312)로 구성됨을 실시예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에는 상기 연결줄이 연결되고, 상기 후크(312)는 상기 연결부의 연결고리에 연결된다.
물론, 상기한 연결부재(310)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조가 아니라 나사식의 체결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단순히 연결줄로만 구성될 수도 있는 등 그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의 이어폰줄(210,220)은 상당히 길기 때문에 그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보관하고자 하는 상태에서는 간편한 정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두 이어폰줄(210,220)간의 엉킴 발생이 야기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목걸이형 이어폰을 구성하는 연결부(300)가 상기 이어폰의 보관시 상기 각 이어폰줄(210,220)이 감겨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의 구조는 첨부된 도 7a 내지 도 7c와 같이 상기 연결부(300)가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연결판(330,340)과, 상기 각 연결판(330,340) 간의 대향면에 그 양단이 각각 연결된 연결대(3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판은 도 7a와 같이 원형의 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7b와 같이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7c와 같이 별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0)는 예컨대, 실패의 형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에는 이어폰줄(210,220)을 상기 각 연결판(330,340) 사이에 감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시시예에 따른 연결부(300)는 첨부된 도 8a와 같이 상기 연결부를 구성하는 각 연결판(330,340) 중 어느 하나의 연결판(바람직하게는 후방측에 위치된 연결판)에 걸림홈(341)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연결부(300)에 한 쌍의 이어폰줄(210,220)을 감은 상태에서 상기 각 이어폰줄(210,220)의 잔여 부위를 상기 걸림홈(341)에 걸도록 하여 상기 감겨진 각 이어폰줄(210,220)이 원치않게 풀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연결부(300)가 첨부된 도 8b와 같이 중앙측으로 갈수록 점차 요입되는 아령 형상(혹은, 땅콩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라면 해당 연결부(300)의 상단에 전술한 걸림홈(34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부(300)의 둘레면에 감겨진 한 쌍의 이어폰줄(210,220)이 풀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00)는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상의 가전 제품 중 전원코드의 인입/인출이 가능한 구조의 가전 제품(예컨대, 진공 청소기 등)의 코드릴로 구성함으로써 간편한 조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이어폰줄(210,220)이 자동으로 감겨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목걸이형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통상의 이어폰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실용성을 향상시키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은 목걸이형으로의 사용시 각 조절부의 조작을 통해 각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이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은 상기 각 조절부의 조작을 통한 길이 조절이 넥타이식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조작이 간단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은 각 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각종 문장, 문양, 브로치, 메달 등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이어폰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 중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및 그 측면도
도 8a 및 도 8b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 중 연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및 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120. 출력부 210,220. 이어폰줄
300. 연결부 301. 연결고리
310. 연결부재 311. 연결줄
312. 후크 330,340. 연결판
341. 걸림홈 350. 연결대
400. 잭부 410. 잭
420. 전선줄 510,520. 조절부
600. 장신구

Claims (5)

  1.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제공된 출력신호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한 쌍의 출력부;
    상기 각 출력부에 각각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한 쌍의 이어폰줄;
    상기 각 이어폰줄이 만나는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연결부;
    일단에는 상기 연결부에 감싸여진 상기 각 이어폰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줄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접속 포트에 결합되는 잭이 구비된 잭부;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이어폰줄을 감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이어폰줄을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면서 상호간의 사이에 위치된 각 이어폰줄 간의 벌림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각종 멀티미디어 기기의 접속 포트 이외의 부위와 직접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더 연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절부는
    그 내경은 상기 한 쌍의 이어폰줄이 합쳐진 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외력의 제거시 해당 위치로의 유지가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조절부의 외측면상에는
    각종 문장(紋章), 문양(文樣), 메달 혹은, 링 등의 장신구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폰.
  5. 제 3 항에 있어서,
    연결부는
    이어폰의 보관시 상기 각 이어폰줄이 감겨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폰.
KR20-2005-0012556U 2005-05-04 2005-05-04 목걸이형 이어폰 KR200389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556U KR200389786Y1 (ko) 2005-05-04 2005-05-04 목걸이형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556U KR200389786Y1 (ko) 2005-05-04 2005-05-04 목걸이형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786Y1 true KR200389786Y1 (ko) 2005-07-18

Family

ID=4369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556U KR200389786Y1 (ko) 2005-05-04 2005-05-04 목걸이형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7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926A1 (ru) * 2012-12-28 2014-07-03 Ushakov Alexey Leonidovich Гарнитура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RU2688056C1 (ru) * 2018-09-04 2019-05-20 Владими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арамошко Способ защиты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от падения на пол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926A1 (ru) * 2012-12-28 2014-07-03 Ushakov Alexey Leonidovich Гарнитура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EA032317B1 (ru) * 2012-12-28 2019-05-31 Алексей Леонидович УШАКОВ Гарнитура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RU2688056C1 (ru) * 2018-09-04 2019-05-20 Владими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арамошко Способ защиты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от падения на пол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1427B2 (ja) 無線オーディオ装置を有する耳用装身具
KR100922183B1 (ko)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
CN201011738Y (zh) 耳挂
US9942645B2 (en) Ear jewelry with wireless audio device
KR200389786Y1 (ko) 목걸이형 이어폰
CN201298911Y (zh) 线材定位管
US20160119706A1 (en) Earring with enhanced functionality
KR200272819Y1 (ko) 이어폰전선엉킴방지기능을갖는결합구조
KR200474629Y1 (ko)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
CN201238373Y (zh) 带自由开合耳机线的耳机
CN204291299U (zh) 耳机型音响装置
WO2013091307A1 (zh) 耳机及其加工方法
KR100317725B1 (ko) 목걸이형 이어폰세트
CN1084580C (zh) 具有耳钩的塞耳式耳机
CN207039847U (zh) 一种diy组合式耳机
KR100500226B1 (ko) 휴대폰용 목걸이형 이어폰
KR200336027Y1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목걸이형 이어폰
JP4296672B2 (ja) ヘッドホン係止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ヘッドホン
KR200351445Y1 (ko) 조정형 귀걸이식 이어폰 마이크
KR200384757Y1 (ko) 다목적 이어폰
JP3143713U (ja) ヘッドホン用装飾品
CN201307922Y (zh) 耳机
KR20180000472U (ko) 이어폰 줄의 꼬임을 방지하는 지퍼팩으로 구성 된 이어폰 줄
KR20010035803A (ko) 이어폰을 구비한 목걸이
KR200368542Y1 (ko) 지퍼락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