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703U - 꼬임 방지 전선 - Google Patents

꼬임 방지 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703U
KR20110003703U KR2020090013117U KR20090013117U KR20110003703U KR 20110003703 U KR20110003703 U KR 20110003703U KR 2020090013117 U KR2020090013117 U KR 2020090013117U KR 20090013117 U KR20090013117 U KR 20090013117U KR 20110003703 U KR20110003703 U KR 201100037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arphone
twist
presen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승
Original Assignee
박철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승 filed Critical 박철승
Priority to KR2020090013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703U/ko
Publication of KR201100037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70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8Applying discontinuous insulation, e.g. discs, b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4Devices affording localised 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Abstract

본 고안은 꼬임 방지 전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MP3 재생기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연결된 이어폰 선 등을 항상 꼬임이나 엉킴없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꼬임 방지 이어폰 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전선에 복수 개의 이동가능한 관통형 대롱들을 끼워서 이루어지는 꼬임 방지 전선을 제공한다.
전선, 이어폰 선, 꼬임

Description

꼬임 방지 전선{Wire for tangle prevention}
본 고안은 꼬임 방지 전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MP3 재생기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연결된 이어폰 선 등을 항상 꼬임이나 엉킴없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꼬임 방지 이어폰 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휴대용 전자 기기 이를테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예: 모바일 TV 등), 음향 기기(예: MP3 플레이어), 멀티미디어 기기(예: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이에 따라, 여러 사람들이 있는 곳에서는 휴대용 전자 기기로부터 나오는 소리가 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람들에게 들리게 하지 않도록 그 사용자는 그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음성 등의 소리를 듣는 경우가 일상화되었다.
그런데, 휴대용 전자 기기와 이어폰을 연결하는 기존의 이어폰 선은 그 모양의 변형이 자유롭다. 그로 인하여, 휴대용 전자 기기와 함께 이어폰을 활용할 때, 그러한 이어폰 선은 꼬이거나 엉키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또한 이어폰 선의 꼬임이나 엉킴을 풀려고 하다 보면 그러한 꼬임 등이 더욱 악화되고 그 선이 손상 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은 비단 이어폰 선 뿐만 아니라 다른 기존의 전선들(예: 마이크로폰 선 등)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꼬임이나 엉킴이 일어나지 않게 해 주는 꼬임 방지 전선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간편하게 전선의 자유로운 모양 변형에 일정한 제약을 가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에 복수 개의 이동가능한 관통형 대롱들을 끼워서 이루어지는 꼬임 방지 전선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선은 휴대용 전자 기기와 이어폰 헤드를 연결하는 이어폰 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형 대롱들은 가벼운 소재 예컨대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형 대롱들 각각의 단면은 원이나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각종 다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됨이 없이 어떠한 모양도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관통형 대롱들이 상기 전선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관통형 대롱들 각각은 자성 재료로 구성되며 각 대롱의 양단에서 동일한 극성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꼬임 방지 전선을 통하여, 간편하게 전선의 꼬임이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 선의 경우에, 이어폰 사용자가 외출하여 걸으면 서 이어폰을 들을 때, 거기에 끼워진 관통형 대롱들의 정형성으로 인하여 그리고 중력에 의해 일정 정도 아래로 이동된 관통형 대롱들의 무게로 인한 장력으로 인하여 이어폰 선이 직선화되어 사용자가 움직이는데 불편을 최소화한다. 또한 보관시에도, 이어폰 선의 여러 부분들에 흩어져 있는 관통형 대롱들에 의해 이어폰 선의 모양 또는 형상의 자유로운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이어폰 선의 꼬임이나 엉킴을 방지한다.
게다가, 관통형 대롱들로 인하여 관통형 대롱들 내의 전선을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외부에서의 전선에 대한 충격이나 전선의 절단 위험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전선에 끼워지는 각각의 관통형 대롱들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그 제작비용이 저렴하다.
심미적인 관점에서 볼 때에도, 그 관통형 대롱들에 다양한 색을 입히는 경우 외관상으로 심미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과 관련하여, 전선이 이어폰 선인 경우를 예로 들며,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임 방지 전선(20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꼬임 방지 전선(200)은, 음성 등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이어폰 헤드(300) 측의 한 쪽 전선(220)에 복수 개의 이동가능한 관통형 대롱들(210)이 끼워져 있고, 휴대용 전자 기기 이를테면 MP3 재생기(100)와의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이어폰 잭(260) 측의 전선(240)에 복수 개의 이동가능한 관통형 대롱들(230)이 끼워져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꼬임 방지 전선(200)의 이어폰 선(220, 240)은 MP3 재생기(100)로부터 나오는 음성 등의 각종 소리에 관한 신호를 이어폰 헤드(300)에 전달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선이다.
그리고 관통형 대롱들(210, 230)은 이어폰 선(220, 240)에 끼워져서 그 이어폰 선(220,240)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속이 빈 구조체이다. 그 관통형 대롱들(210, 230)은 그것들이 끼워져야 하는 전선의 굵기 또는 모양 등을 감안하여 그 단면의 크기 또는 모양 등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이어폰 잭 측 전선(240)은 이어폰 헤드 측 전선(220)이 두 개가 결합되어 있는 것 - 즉 좌측 이어폰 선과 우측 이어폰 선이 결합되어 있는 것 - 으로 굵기에 있어서 이어폰 잭 측 전선(240)이 이어폰 헤드 측 전선(220)보다 크기 때문에 이어폰 잭 측 관통형 대롱들(230)이 이어폰 헤드 측 관통형 대롱들(210)에 비해 그 단면의 크기가 커야 할 것이다. 또한, 관통형 대롱들(210, 230) 각각의 단면은 제작자의 설계에 따라 원이나 각종 다각형 등 어떠한 모양이든지 가능하다.
그리고, 관통형 대롱들(210, 230)은 어느 정도는 구부러짐이 가능하고 가벼운 플라스틱 또는 고무와 같은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얇고 긴 대롱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이어폰의 보관시에 관통형 대롱들(210, 230)이 이어폰 선(220, 240)을 따라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 관통형 대롱들(210, 230) 각각은 양단에서 N극이나 S극 중 어느 하나의 동일한 극성을 갖는 고무 자석이나 플라스틱 자석과 같은 자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그 관통형 대롱들(210, 230) 간 척력으로 인하여 이들 간에 어느 정도의 간격이 두어질 수 있게 분산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자성의 세기는 바람직하게는, 이어폰 사용시 중력에 따라 관통형 대롱들(210, 230)이 이어폰 선(220, 240)을 따라 내려오는 것을 막을 만큼 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꼬임 방지 전선(200)은 결합부(25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결합부(250)는 좌측 이어폰 선 및 우측 이어폰 선이 만나서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결합부(250)는 고정되어 있는 띠 형태일 수 있고, 그와 다르게 좌측 이어폰 선 및 우측 이어폰 선의 결합 및 분리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이동형의 지퍼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결합부(250)를 기준으로, 이어폰 헤드(300) 측에 있는 관통형 대롱들(210)은 그 결합부(250)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이어폰 잭(260) 측에 있는 관통형 대롱들(230) 또한 그 결합부(250) 위로 올라가지 않는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헤드(300) 측 꼬임 방지 전선(200)의 단면도를 예시하고 있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잭(260) 측 꼬임 방지 전선(200)의 단면도를 예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관통형 대롱(210)과 이어폰 선(220) 사이의 공간(215) 및 관통형 대롱(230)과 이어폰 선(240) 사이의 공간(235)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도식적인 것으로서, 이러한 공간들은 관통형 대롱들(210, 230)의 이동성이나 꼬임 방지 전선(200)의 전체적인 부피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늘어날 수도 혹은 줄어들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임 방지 전선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헤드 측 꼬임 방지 전선의 단면도를 예시하고 있는 도면이며,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잭 측 꼬임 방지 전선의 단면도를 예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Claims (4)

  1. 전선에 복수 개의 이동가능한 관통형 대롱들을 끼워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임 방지 전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휴대용 전자 기기와 이어폰 헤드를 연결하는 이어폰 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임 방지 전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형 대롱들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임 방지 전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형 대롱들이 상기 전선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관통형 대롱들 각각은 자성 재료로 구성되며 각 대롱의 양단에서 동일한 극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임 방지 전선.
KR2020090013117U 2009-10-08 2009-10-08 꼬임 방지 전선 KR201100037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117U KR20110003703U (ko) 2009-10-08 2009-10-08 꼬임 방지 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117U KR20110003703U (ko) 2009-10-08 2009-10-08 꼬임 방지 전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03U true KR20110003703U (ko) 2011-04-14

Family

ID=4420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117U KR20110003703U (ko) 2009-10-08 2009-10-08 꼬임 방지 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70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3159A (en) * 2011-07-25 2013-01-30 David Alexander James Brown A cable that does not tangle during u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3159A (en) * 2011-07-25 2013-01-30 David Alexander James Brown A cable that does not tangle during use
GB2493159B (en) * 2011-07-25 2014-05-28 David Alexander James Brown A cable that does not tangle during 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14248A1 (en) Wireless Headphones for Working Out
KR101142400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줄꼬임 방지용 이어폰
KR20130092772A (ko) 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이어폰
KR20110003703U (ko) 꼬임 방지 전선
US20040091128A1 (en) Fixable-wire earphone
KR20150069178A (ko) 이어폰 단선 방지 장치
KR200396764Y1 (ko) 이어폰
US20150078608A1 (en) Earphon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20170155996A1 (en) Earphone device
CN204991220U (zh) 一种螺旋缠绕式音频线
KR200462380Y1 (ko) 선정리개
US20120170787A1 (en) Decorative design molded onto an earphone/headphone cord
CN201319666Y (zh) 音圈
KR200415723Y1 (ko) 귀걸림부를 갖는 핸즈프리 셋
CN210112230U (zh) 一种耳机线
KR200462710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KR200397054Y1 (ko) 이어폰 목걸이의 이어폰 와이어 고정 장치
CN219576143U (zh) 一种一拖二耳机电源线转接头结构
KR200462974Y1 (ko) 이어폰용 줄감개
CN201238373Y (zh) 带自由开合耳机线的耳机
KR20090003868U (ko) 이어폰 전선의 보호를 위한 액세서리
CN201937799U (zh) 一种伸缩耳机
CN206471125U (zh) 一种不易缠绕的石墨烯耳机线
CN205610886U (zh) 一种可收纳线的扩展式耳机
US20130336493A1 (en) Flexible microphone and amplif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