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629Y1 -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629Y1
KR200474629Y1 KR2020140004242U KR20140004242U KR200474629Y1 KR 200474629 Y1 KR200474629 Y1 KR 200474629Y1 KR 2020140004242 U KR2020140004242 U KR 2020140004242U KR 20140004242 U KR20140004242 U KR 20140004242U KR 200474629 Y1 KR200474629 Y1 KR 200474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ear
bluetooth
cuff
jewel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해영
김한솔
Original Assignee
김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솔 filed Critical 김한솔
Priority to KR2020140004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6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6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6Hair straps; Hair 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에 관한 것으로서, 귓구멍에 끼워지는 이어폰 헤드와, 조작을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이 구비되는 리모콘과, 상기 이어폰 헤드와 상기 리모콘을 연결하는 이어폰 연결바디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이어폰(bluetooth ear phone); 및 상기 블루투스 이어폰과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는 이어 커프(ear cuff)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Bluetooth jewelry ear cuff phone}
본 고안은,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이어폰과 이어 커프가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된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은 전기 에너지를 음향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기의 총칭으로서, 소리를 공간에 방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귀의 고막에 진동을 전하여 들을 수 있게 한 음향 장치이다.
귓구멍에 꽂아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히 이어폰이라 하고, 머리에 걸어서 귀를 덮게 한 것을 헤드폰이라 한다.
구조적으로는 영구 자석과 음성 코일 및 진동판으로 이루어지는 전자형(마그네틱형), 진동판에 가동 코일을 부착한 동전형(다이내믹형), 압전 소자를 사용한 압전형(크리스털형)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선 이어폰은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한다.
한편,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이 부각되는 현대사회에서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액세서리를 착용함으로써, 자신감을 배가시킨다.
비단, 연예인이 아니더라도 각종 쥬얼리 액세서리를 착용하여 자신의 아름다움을 표출하는 경우가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다.
다양한 쥬얼리 액세서리 중에 이어 커프(ear cuff)라는 것이 있다. 이어 커프는 귀에 매달거나 걸면서 장식하는 다양한 형태, 사이즈의 쥬얼리 액세서리를 가리키는데, 근자에 들어 이어 커프에 대한 활용도가 점차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즉 단순한 형태의 귀걸이와 달리 이어 커프는 그 형태와 더불어 사이즈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보석의 종류를 다변화할 수 있으며, 또한 귀의 내외부를 비롯하여 귀 주변의 머리 영역까지도 커버하면서 장식할 수 있기 때문에 아름다움과 화려한 연출 혹은 개성 있는 연출을 원하는 여성들에게 특히, 인기가 많다.
그런데, 아직까지는 이어폰, 특히 블루투스 이어폰이라는 기기와 이어 커프라는 쥬얼리 액세서리가 별개로 제작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들을 함께 사용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으로 휴대하여 사용해야 하는데, 이럴 경우, 사용상의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블루투스 이어폰과 이어 커프가 일체화된 제품이 개발된다면 귀에 대한 아름다운 또한 화려한 연출을 수반하면서도 음악 등의 소리를 청취하거나 전화통화가 가능할 것이라 예상되므로 이러한 장치, 예컨대 소위, 이어 커프 폰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0-003311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0-008206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1-701263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079986호
본 고안의 목적은, 블루투스 이어폰과 이어 커프가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된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귓구멍에 끼워지는 이어폰 헤드와, 조작을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이 구비되는 리모콘과, 상기 이어폰 헤드와 상기 리모콘을 연결하는 이어폰 연결바디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이어폰(bluetooth ear phone); 및 상기 블루투스 이어폰과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는 이어 커프(ear cuf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이어 커프는, 귀에 거는 커프 바디; 및 상기 커프 바디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쥬얼리 장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프 바디는 튜브(tube)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커프 바디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상기 커프 바디의 임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주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프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귀의 형상에 대응되는 더미 덧살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더미 덧살부에 결합되는 제1 서브 쥬얼리 장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에 마련되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 쥬얼리 장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헤드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이어폰 연결바디는 한 쌍의 상기 이어폰 헤드를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블루투스 이어폰과 이어 커프가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된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에 따르면, 귀에 대한 아름다운 또한 화려한 연출, 그리고 개성 있는 연출이 가능하며, 또한 별도의 이어폰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음악 등의 소리를 청취하거나 전화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의 부분 분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에 대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100)은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블루투스 이어폰(bluetooth ear phone, 110)과, 이어 커프(ear cuff, 150)를 포함한다.
이처럼 블루투스 이어폰(110)과 이어 커프(150)가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기 때문에, 귀에 대한 아름다운 또한 화려한 연출, 그리고 개성 있는 연출이 가능하며, 또한 별도의 이어폰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음악 등의 소리를 청취하거나 전화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블루투스 이어폰(110)은 전선(line) 없이 전자제품, 예컨대 스마트폰, MP3 플레이어, PC, 오디오 등의 전자제품으로부터의 소리를 전달한다.
이러한 블루투스 이어폰(110) 귓구멍에 끼워지는 이어폰 헤드(111)와, 조작을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116)이 구비되는 리모콘(115)과, 이어폰 헤드(111)와 리모콘(115)을 연결하는 이어폰 연결바디(120)를 포함한다.
참고로, 블루투스(bluetooth)는 휴대폰과 휴대폰 또는 휴대폰과 PC 간에 사진이나 벨소리 등 파일을 전송하는 무선전송기술을 말한다.
블루투스가 주목받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블루투스는 저렴한 가격에 저전력(100mW)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둘째, 블루투스는 주파수 대역을 나누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을 여러 주파수에 걸쳐서 분할해 보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무선 전송에 따른 보안 위협에서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셋째, 블루투스 신호는 벽이나 가방 등을 통과해서 전송될 수 있으므로 배선이나 연결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고 장애물이 있어도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넷째, 주파수 특성도 전 방향으로 신호가 전송되므로 각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다섯째, 무엇보다 전 세계 수많은 국가가 블루투스 표준 규격을 준수하기 때문에 세계 어느 곳에서나 같은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는 언제 어디서나 모든 정보기기 간의 자유로운 데이터 교환이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갖는 블루투스 기술을 응용하여 본 실시예의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100)이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100)은 블루투스 이어폰(110)의 컨트롤을 위해 컨트롤러(190)가 구비된다. 컨트롤러(190)는 리모콘(115) 내에 칩(chip)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90)는 중앙처리장치(191, CPU), 메모리(192, MEMORY),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91)는 본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이어폰(110)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9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91)와 연결된다. 메모리(19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9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9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90)는 블루투스 이어폰(110)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90)가 블루투스 이어폰(110)의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어 커프(ear cuff, 150)는 귀에 매달거나 걸면서 장식하는 다양한 형태, 사이즈의 쥬얼리 액세서리를 가리키는데, 본 실시예에서 이어 커프(150)는 블루투스 이어폰(110)과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이어 커프(150)는 귀에 거는 커프 바디(160)와, 커프 바디(160)에 결합되는 다수의 메인 쥬얼리 장식부재(170)를 포함한다.
커프 바디(160)는 귀에 걸 수 있도록 귀의 외형과 유사한 라인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커프 바디(160)는 튜브(tube)로 제작되고 있으나 쥬얼리 와이어 등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도면과 달리 커프 바디(160)는 귀 전체에 걸리는 형태가 아닌, 예컨대 귀의 일 부분에만 걸리는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메인 쥬얼리 장식부재(170)들이 커프 바디(160)에 결합되기 위해 커프 바디(160)에는 장식부재 결합보스(161)가 마련되고, 메인 쥬얼리 장식부재(170)에는 장식부재 결합보스(161)에 결합되는 보스 로드(171)가 마련된다. 장식부재 결합보스(161)와 보스 로드(171)의 결합은 용접일 수도 있고, 다양한 착탈 방식일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이어폰(110)과, 이어 커프(150)가 한 몸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귀에 대한 아름다운 또한 화려한 연출, 그리고 개성 있는 연출이 가능하며, 또한 별도의 이어폰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음악 등의 소리를 청취하거나 전화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에 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200) 역시,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블루투스 이어폰(210)과, 이어 커프(2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어 커프(250)는 귀에 거는 커프 바디(260)와, 커프 바디(260)에 결합되는 다수의 메인 쥬얼리 장식부재(27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커프 바디(26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커프 바디(260)의 임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주름부(26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주름부(261)가 형성되면 자신의 귀에 맞게 커프 바디(26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귀에 대한 아름다운 또한 화려한 연출, 그리고 개성 있는 연출이 가능하며, 또한 별도의 이어폰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음악 등의 소리를 청취하거나 전화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300) 역시,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블루투스 이어폰(310)과, 이어 커프(3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어 커프(350)는 귀에 거는 커프 바디(360)와, 커프 바디(360)에 결합되는 다수의 메인 쥬얼리 장식부재(37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커프 바디(360)의 내부에는 귀의 형상에 대응되는 더미 덧살부(361)가 더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더미 덧살부(361)가 더 형성되면 자신의 귀에 맞게 커프 바디(360)를 걸 수 있기 때문에 활동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귀에 대한 아름다운 또한 화려한 연출, 그리고 개성 있는 연출이 가능하며, 또한 별도의 이어폰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음악 등의 소리를 청취하거나 전화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400) 역시,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블루투스 이어폰(410)과, 이어 커프(4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어 커프(450)는 귀에 거는 커프 바디(460)와, 커프 바디(460)에 결합되는 다수의 메인 쥬얼리 장식부재(470)를 포함하며, 커프 바디(460)의 내부에는 귀의 형상에 대응되는 더미 덧살부(461)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더미 덧살부(461)에는 제1 서브 쥬얼리 장식부재(462)가 더 연결된다. 이처럼 제1 서브 쥬얼리 장식부재(462)가 더 마련되면, 제1 서브 쥬얼리 장식부재(462)로 인한 아름다움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귀에 대한 아름다운 또한 화려한 연출, 그리고 개성 있는 연출이 가능하며, 또한 별도의 이어폰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음악 등의 소리를 청취하거나 전화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500) 역시,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블루투스 이어폰(510)과, 이어 커프(550)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이어폰(510)은 귓구멍에 끼워지는 이어폰 헤드(511)와, 조작을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516)이 구비되는 리모콘(515)과, 이어폰 헤드(511)와 리모콘(515)을 연결하는 이어폰 연결바디(52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블루투스 이어폰(510)의 리모콘(515)에는 고리부(517)가 마련될 수 있으며, 고리부(517)에는 다수의 제2 서브 쥬얼리 장식부재(518)가 달릴 수 있다. 이처럼 제2 서브 쥬얼리 장식부재(518)가 더 마련되면, 제2 서브 쥬얼리 장식부재(518)로 인한 아름다움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귀에 대한 아름다운 또한 화려한 연출, 그리고 개성 있는 연출이 가능하며, 또한 별도의 이어폰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음악 등의 소리를 청취하거나 전화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600) 역시,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블루투스 이어폰(610)과, 이어 커프(650)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이어폰(610)은 귓구멍에 끼워지는 이어폰 헤드(611a,611b)와, 조작을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616)이 구비되는 리모콘(615)과, 이어폰 헤드(611a,611b)와 리모콘(615)을 연결하는 이어폰 연결바디(62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본 실시예의 경우, 이어폰 헤드(611a,611b)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한 쌍으로 마련되며, 이어폰 연결바디(620)는 한 쌍의 이어폰 헤드(611a,611b)를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이어폰 헤드(611a,611b)로 인해 양쪽 청취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귀에 대한 아름다운 또한 화려한 연출, 그리고 개성 있는 연출이 가능하며, 또한 별도의 이어폰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음악 등의 소리를 청취하거나 전화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의 부분 분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700) 역시,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블루투스 이어폰(710)과, 커프 바디(760)를 구비하는 이어 커프(750)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이어폰(710)은 귓구멍에 끼워지는 이어폰 헤드(711)와, 조작을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716)이 구비되는 리모콘(715)과, 이어폰 헤드(711)와 리모콘(715)을 연결하는 이어폰 연결바디(72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블루투스 이어폰(710)의 이어폰 연결바디(720)의 일측에는 커프 바디(760)에 연결되기 위한 다수의 날개형 연결보스(721)가 형성된다. 날개형 연결보스(721)들의 구조상 날개형 연결보스(721)가 커프 바디(760)로의 연결은 용이하나 반대 방향으로의 분리는 어렵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될 경우, 블루투스 이어폰(710)의 유지보수가 쉬울 뿐만 아니라 이어 커프(750)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귀에 대한 아름다운 또한 화려한 연출, 그리고 개성 있는 연출이 가능하며, 또한 별도의 이어폰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음악 등의 소리를 청취하거나 전화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의 부분 분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800) 역시,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블루투스 이어폰(810)과, 커프 바디(860)를 구비하는 이어 커프(850)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이어폰(810)은 귓구멍에 끼워지는 이어폰 헤드(811)와, 조작을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816)이 구비되는 리모콘(815)과, 이어폰 헤드(811)와 리모콘(815)을 연결하는 이어폰 연결바디(82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이어폰 연결바디(820)의 단부에는 커프 바디(860)의 단부에 형성되는 볼 홈부(미도시)에 끼워져 자유회전되는 볼 부재(821)가 마련된다. 이처럼 볼 부재(821)가 마련되면 블루투스 이어폰(810)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귓구멍의 위치가 다른 사람들에게 공히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귀에 대한 아름다운 또한 화려한 연출, 그리고 개성 있는 연출이 가능하며, 또한 별도의 이어폰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음악 등의 소리를 청취하거나 전화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의 부분 분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900) 역시,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블루투스 이어폰(미도시)과, 커프 바디(960)를 구비하는 이어 커프(9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커프 바디(960)에 마련되는 장식부재 결합보스(961)에 대해 보스 로드(971)는 나사식 결합구조를 이룬다. 이럴 경우, 도면처럼 메인 쥬얼리 장식부재(970)를 다양한 것들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귀에 대한 아름다운 또한 화려한 연출, 그리고 개성 있는 연출이 가능하며, 또한 별도의 이어폰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음악 등의 소리를 청취하거나 전화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 110 : 블루투스 이어폰
111 : 이어폰 헤드 115 : 리모콘
116 : 입력버튼 120 : 이어폰 연결바디
150 : 이어 커프 160 : 커프 바디
170 : 메인 쥬얼리 장식부재

Claims (7)

  1. 이어폰 헤드와, 조작을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이 구비되는 리모콘과, 상기 이어폰 헤드와 상기 리모콘을 연결하고 연결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연결바디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및
    상기 이어폰 연결바디와 귀에 커는 커프 바디가 상기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커프 바디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쥬얼리 장식부재가 구비된 튜브 형상의 이어 커프를 포함하고,
    상기 커프 바디는 상기 귀의 형상에 대응되는 더미 덧살부가 형성되고 그 바디의 일부에 주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더미 덧살부에 제1 서브 쥬얼리 장식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커프 바디에 결합되는 날개형 연결보스 또는 볼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에 마련되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 쥬얼리 장식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헤드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이어폰 연결바디는 한 쌍의 상기 이어폰 헤드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
KR2020140004242U 2014-06-03 2014-06-03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 KR200474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42U KR200474629Y1 (ko) 2014-06-03 2014-06-03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42U KR200474629Y1 (ko) 2014-06-03 2014-06-03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629Y1 true KR200474629Y1 (ko) 2014-10-06

Family

ID=5200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242U KR200474629Y1 (ko) 2014-06-03 2014-06-03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6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139A3 (ko) * 2015-01-28 2016-09-15 이승철 다양한 기구 및 장신구를 고정할 수 있는 이어기구
KR101689843B1 (ko) * 2015-10-30 2016-12-26 조중하 장식 및 소리 모음 기능을 갖는 이어 커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121Y1 (ko) * 2004-06-03 2004-08-16 엠엠기어 주식회사 이어폰 악세서리 및 이를 갖는 이어폰
JP2007520125A (ja) * 2004-01-10 2007-07-19 デニス エム. チャン 装飾物を備えるイヤーラップヘッドホンまたはヘッドセット
KR20080105671A (ko) * 2007-05-31 2008-12-04 신정임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KR20100034906A (ko) * 2008-09-25 2010-04-02 김형호 잡음차단수단을 갖는 헤드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0125A (ja) * 2004-01-10 2007-07-19 デニス エム. チャン 装飾物を備えるイヤーラップヘッドホンまたはヘッドセット
KR200359121Y1 (ko) * 2004-06-03 2004-08-16 엠엠기어 주식회사 이어폰 악세서리 및 이를 갖는 이어폰
KR20080105671A (ko) * 2007-05-31 2008-12-04 신정임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KR20100034906A (ko) * 2008-09-25 2010-04-02 김형호 잡음차단수단을 갖는 헤드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139A3 (ko) * 2015-01-28 2016-09-15 이승철 다양한 기구 및 장신구를 고정할 수 있는 이어기구
US10206491B2 (en) 2015-01-28 2019-02-19 Seung Chul Lee Ear instrument to which various instruments and accessories can be fixed
KR101689843B1 (ko) * 2015-10-30 2016-12-26 조중하 장식 및 소리 모음 기능을 갖는 이어 커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1427B2 (ja) 無線オーディオ装置を有する耳用装身具
US9888309B2 (en) Ear jewelry with wireless audio device
US10277971B2 (en) Malleable earpiece for electronic devices
JP3217693U (ja) 装飾的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モジュール
US11206474B2 (en) Bluetooth headset
US9942645B2 (en) Ear jewelry with wireless audio device
CN104254036A (zh) 一种耳机
KR200474629Y1 (ko)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
CN204482016U (zh) 微音响
CN204231609U (zh) 一种可以用户端自由调节音效的入耳式耳机
KR200474630Y1 (ko) 블루투스 쥬얼리 햇 밴드 폰
CN207573591U (zh) 一种饰品蓝牙耳机及耳机系统
KR20160001507U (ko) 체온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어피스를 갖는 블루투스 일체형 귀걸이
WO2015196246A1 (en) Wearable communication interface
US10244298B1 (en) Wearable wireless audio device
CN209806070U (zh) 一种可穿戴定向声音系统
CN209845261U (zh) 一种可换耳部配饰的耳机
CN201528413U (zh) 一种挂绳式拉链耳机
KR101524764B1 (ko)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
CN110430517A (zh) 辅助听力装置
CN207491162U (zh) 一种耳机
KR101689843B1 (ko) 장식 및 소리 모음 기능을 갖는 이어 커프
TWD214104S (zh) 可掛眼鏡耳機套
KR200289324Y1 (ko) 모자형 멀티스피커 헤드폰
KR20160013353A (ko) 팔찌 형태의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