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050A -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050A
KR20240011050A KR1020220088596A KR20220088596A KR20240011050A KR 20240011050 A KR20240011050 A KR 20240011050A KR 1020220088596 A KR1020220088596 A KR 1020220088596A KR 20220088596 A KR20220088596 A KR 20220088596A KR 20240011050 A KR20240011050 A KR 20240011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edal
fixing unit
support part
fastening mean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식
Original Assignee
최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연식 filed Critical 최연식
Priority to KR1020220088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050A/ko
Publication of KR20240011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05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with locking and release means, e.g. providing parking brake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2Clutches or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패달 고정장치로써, 상기 브레이크 패달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절곡 또는 만곡된 단턱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와 제3 지지부의 회전 중심축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수단 및 상기 체결수단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 지지부와 제3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FIXING UNIT FOR BREAK PEDAL}
본 발명은 이륜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에 관한 것이다.
필수적으로 자동차에는 제동장치, 즉, 브레이크가 제공되어 있어 자동차의 속도를 제어하거나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브레이크에는 브래이크 페달이 연계되어 있어 운전석의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되면 제동력이 예컨대 푸쉬로드, 마스터실린더, 배력장치, 브레이크파이프를 통해 브레이크디스크에 전달되어 자동차의 휠이 제동되어 자동차가 감속되거나 또는 정지된다.
운전자는 신호등의 적신호시나 탑승자의 승, 하차시에 따른 대기시간 발생으로 출발대기하고 있는 시간 동안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어야 한다는 것은 운전자에게 있어서 발과 다리에 힘이 가중되어 피로를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이러한 이유에서 사이드브레이크를 당겨 놓지만은 신호등의 신호 및 승하차가 완료된 후 자동차 출발시에 운전자는 오른쪽 발로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오른손으로는 사이드브레이크를 풀고 기어를 변속한 다음 오른쪽 발로 엑세레이터 페달을 밟으면서 출발을 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화물을 운반하는 대형트럭, 특수차량, 믹서트럭을 포함하는 특수 차량의 경우에는 주차시에 사이드 브레이크에만 의존하고 운전자가 하차한 후 작업중 차량의 부피와 무게로 인하여 사이드 브레이크가 풀려서 위험한 인명 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6-0033952 (1996.10.22)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에 직접 설치하여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중량에 의하여 사이드 브레이크가 비의도적으로 해제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패달 고정장치로써,
상기 브레이크 패달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절곡 또는 만곡된 단턱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와 제3 지지부의 회전 중심축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수단; 및
상기 체결수단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 지지부와 제3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부와 제3 지지부에는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홀은,
상기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1 체결홀; 및
상기 체결수단이 삽입되고 상기 제1 체결홀보다 직경이 작은 기로 형성되는 제2 체결홀; 및
상기 제1 체결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체결수단이 상기 제2 체결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수단은,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고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고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은, 다양한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에 직접 설치하여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중량에 의하여 사이드 브레이크가 비의도적으로 해제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체결수단의 체결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도면들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사용 상태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체결수단의 체결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유닛(100)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패달 고정장치로써,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일측이 절곡된 단턱부(111)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110), 상기 제1 지지부(110)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지지부(120), 상기 제2 지지부(1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지지부(130), 상기 제2 지지부(120)와 제3 지지부(130)의 회전 중심축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수단(10) 및 상기 체결수단(1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 지지부(120)와 제3 지지부(130)의 일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110), 제2 지지부(12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지지부(110)와 제2 지지부(120)는 상호 소정의 절곡된 단턱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턱부(111)를 통하여 브레이크 페달(1)의 상측면 부위가 안착 및 가압됨으로써,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제3 지지부(130)의 일측 단부에는 체결수단(10)이 삽입 가능하도록 제1 체결홀(132) 및 제2 체결홀(133) 및 제1 체결홀(132) 및 제2 체결홀(133)을 연결하는 가이드 홀(13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체결홀(133)은 제1 체결홀(132)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체결수단(10)이 제1 체결홀(132)에서 제2 체결홀(133)으로 이동된 후에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 지지부(120)의 일측 단부에는 체결수단(10)이 삽입 가능하도록 한 쌍의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수단(10)이 제3 지지부(130)의 제1 체결홀(132) 또는 제2 체결홀(133)에 삽입되어 제2 지지부(120)의 상기 체결홀을 순차적으로 각각 관통되어 삽입됨으로써, 제2 지지부(120)와 제3 지지부(130)가 상호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지지부(130)와 제3 지지부(130)는 상기 체결수단(10)을 통하여 상호 결합된 상태로 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2 지지부(130)와 제3 지지부(130)를 관통하는 상기 체결수단(10)에는 탄성부재(50)가 결합된 상태로 제2 지지부(130)와 제3 지지부(130)의 일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지지부(130)와 제3 지지부(130)의 일측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회동하면서 상호 소정의 체결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120)와 제3 지지부(130)에는 상기 체결수단(10)이 삽입되는 한 쌍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수단(10)은 상기 체결홀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전술한 상기 체결홀은 상기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1 체결홀(132) 및 상기 체결수단(10)이 삽입되고 상기 제1 체결홀(132)보다 직경이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제2 체결홀(133) 및 상기 제1 체결홀(132)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체결수단(10)이 상기 제2 체결홀(133)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 홀(13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10)은, 헤드부(11), 상기 헤드부(11)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고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제1 삽입부(12) 및 상기 제1 삽입부(12)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고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제2 삽입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체결수단(10)의 헤드부(11)는 제2 지지부(120)의 일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 삽입부(12)는 상기 제2 지지부(120)의 내면에 밀착된다. 경우에 따라, 체결수단(10)을 상기 제2 체결홀(133)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삽입부(12)를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승강시킨 후에 가이드 홀(135)을 통하여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제1 체결홀(132)에서 제2 체결홀(133)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이한 크기, 두께 및 설치 환경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에 대해서, 필요에 따라 체결수단(10)을 상기 제1 체결홀(132)에서 제2 체결홀(133)로 이동시켜 범용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100)의 제2 지지부(120)의 일측이 소정의 길이로 신장 가능하게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100)의 제2 지지부(120)에는 연장 확장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장 확장부(121)는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연장 확장부(121-1)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연장 확장부(121-2) 및 제1 연장 확장부(121-1)와 제2 연장 확장부(121-2) 사이에 매설되어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제1 연장 확장부(121-1)와 제2 연장 확장부(121-2)를 상호 이격시키는 확장 안내부(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장 안내부(123)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또는 연장 확장부(121)는 제1 연장 확장부(121-1)와 제2 연장 확장부(121-2)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물리적 회전 또는 후크 방식에 의하여 상호 이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장 확장부(121)는 제1 연장 확장부(121-1)와 제2 연장 확장부(121-2)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이격 및 원위치가 가능한 구조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100)의 연장 확장부(121)는 자동차 페달의 길이나 크기에 비례하여 소정의 길이로 연장 또는 확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차종에 상관없이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100)의 장착과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브레이크 페달(1)의 하측 부위에 형성되는 볼트를 제거한 후에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100)의 제3 지지부(130)에 형성된 결합홀(131)을 삽입하고 상기 볼트를 재결합시켜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제1 지지부(110)와 제2 지지부(120)를 제3 지지부(130)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호 이격 각도를 확보한 후에 제1 지지부(120)의 단턱부(111)를 브레이크 페달(10)의 상면 부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밀착시켜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고정되게 되면, 제1 지지부(110)와 제2 지지부(120)와 제3 지지부(13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50)에 의한 탄성력을 지지되어 상기 브레이트 페달(1)이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 체결수단
11: 헤드부
12: 제1 삽입부
13: 제2 삽입부
50: 탄성부재
100: 브레이크 페달 고정유닛
110: 제1 지지부
111: 단턱부
120: 제2 지지부
130: 제3 지지부
131: 결합홀
132: 제1 체결홀
133: 제2 체결홀
135: 가이드 홀

Claims (5)

  1. 자동차의 브레이크 패달 고정장치로써,
    상기 브레이크 패달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절곡 또는 만곡된 단턱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와 제3 지지부의 회전 중심축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수단; 및
    상기 체결수단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 지지부와 제3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와 제3 지지부에는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상기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1 체결홀; 및
    상기 체결수단이 삽입되고 상기 제1 체결홀보다 직경이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제2 체결홀; 및
    상기 제1 체결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체결수단이 상기 제2 체결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고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고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
KR1020220088596A 2022-07-18 2022-07-18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 KR20240011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596A KR20240011050A (ko) 2022-07-18 2022-07-18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596A KR20240011050A (ko) 2022-07-18 2022-07-18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050A true KR20240011050A (ko) 2024-01-25

Family

ID=8972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596A KR20240011050A (ko) 2022-07-18 2022-07-18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0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952A (ko) 1995-03-22 1996-10-22 배순훈 자동차 브레이크페달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952A (ko) 1995-03-22 1996-10-22 배순훈 자동차 브레이크페달의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11050A (ko) 브레이크 페달 고정 유닛
US20010045124A1 (en) Pedal depressor
JPH0585220A (ja) ペダル装置
JP2007302036A (ja) ブレーキシステム
KR100259250B1 (ko) 브레이크 밀림 방지장치
KR100397852B1 (ko) 차량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KR100254219B1 (ko) 자동차용 자동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2355528B1 (ko) 차량 브레이크 수동 유지장치
KR100224030B1 (ko) 자동차의 주차 안전장치
JPS6221497Y2 (ko)
JP2515039Y2 (ja) ブレーキコントロール装置
KR0160261B1 (ko) 브레이크 페달 고정장치
JPH01153369A (ja) オトマチック自動車のブレーキ装置
JPS603002Y2 (ja) 自動車用ブレ−キの液圧保持装置
JP3015074U (ja) アクセルセットブレーキペダル
KR200290859Y1 (ko) 장거리 운전에 편리한 자동차용 가속 페달
KR19980041231U (ko) 자동차 풋브레이크 잠금장치
KR0125296Y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브레이크 장치
KR0131244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KR100361814B1 (ko) 파킹브레이크를 이용한 소형차량용 차동제한장치
KR100373649B1 (ko) 자동차용 핸드브레이크
KR200293041Y1 (ko) 이륜차용 핸드 브레이크장치
KR100341913B1 (ko)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연동 제어장치
KR19980074154A (ko) 차량용 가속페달 제어장치
JPH0747241Y2 (ja) フットブレーキの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