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417A - 반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417A
KR20240010417A KR1020230090299A KR20230090299A KR20240010417A KR 20240010417 A KR20240010417 A KR 20240010417A KR 1020230090299 A KR1020230090299 A KR 1020230090299A KR 20230090299 A KR20230090299 A KR 20230090299A KR 20240010417 A KR20240010417 A KR 20240010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conveyance
point
artic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0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치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팩크래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팩크래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팩크래프트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1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41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65G47/68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from a single conveyor lane consisting of one conveyor or several adjacent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65G47/681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from distinct, separate conveyor l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38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76Fixed or adjustable ploughs or transverse scrapers
    • B65G47/763Fixed ploughs or transverse 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부반송로로부터 주반송로로 물품을 적절하게 옮기는 데 유리한 반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반송 시스템(10)은, 합류 개소 Pm을 포함하는 주반송로(21)에 있어서 물품(90)을 반송하는 주반송 유닛(11)과, 부반송로(22)에 있어서 물품(90)을 반송하는 부반송 유닛(12)과, 가이드 저부(41)와, 가이드 저부(41)에 간극 없이 접속되고 또한 가이드 저부(4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세워 설치부(42)를 포함하는 합류 가이드(13)이며, 부반송 유닛(12)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을, 당해 물품(90)의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 저부(41)에 적재된 상태에서, 가이드 세워 설치부(42)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밀어내어, 합류 개소 Pm에서 당해 물품(90) 전체를 주반송로(21)로 옮기는, 합류 가이드(1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반송 시스템{CONVEYANCE SYSTEM}
본 개시는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품을 반송하기 위한 2개의 반송로가 도중에서 합류되고, 최종적으로 단일의 반송로에 있어서 복수의 물품이 반송되는 반송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1595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31779호 공보
주반송로 및 부반송로의 각각에 있어서 반송되는 물품을 합류시켜서 주반송로에 있어서 반송하기 위해, 주반송로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반송로의 종단부로부터 주반송로를 향하여 물품을 낙하시킴으로써, 당해 물품을 부반송로로부터 주반송로로 옮기는 반송 시스템이 생각된다.
이러한 반송 시스템에서는, 부반송로의 종단부를 주반송로의 상방으로 위치를 부여하기 위해, 부반송로 중의 종단부보다도 상류측의 개소가 상향 경사를 가질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상향 경사부를 확보하기 위해, 부반송로가 전체적으로 장대화되고, 광대한 설치 스페이스를 부반송로를 위해 확보하는 것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부반송로로부터의 물품의 낙하에 수반하여, 티끌 등의 이물도 부반송로로부터 낙하하여 주반송로 및 주반송로 상의 물품에 부착될 우려가 있다.
또한 주반송로 및 부반송로가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고, 부반송로에 있어서 반송되는 물품을 수평 방향(특히 반송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반송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물품을 부반송로로부터 주반송로로 옮기는 다른 반송 시스템이 생각된다. 이 반송 시스템에서는 부반송로에 있어서 물품이 반송되면서, 연직 방향으로 세워 설치되는 가이드판에 의해, 당해 물품의 한쪽의 측연부(예를 들어 사이드 시일부)가 주반송로를 향하여 밀림으로써, 당해 물품이 부반송로로부터 주반송로로 옮겨진다.
이러한 반송 시스템에서는, 가이드판에 의해 가이드되는 물품이,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판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반송로 사이의 간극으로 들어갈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물품을 부반송로로부터 주반송로로 적절한 자세로 옮길 수 없거나, 물품이 흠집 등의 대미지를 입거나, 가이드판과 부반송로 사이에 들어간 물품이 막혀서 후속의 물품을 블록하거나 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부반송로로부터 주반송로로 물품을 적절하게 옮기는 데 유리한 반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합류 개소를 포함하는 주반송로에 있어서 물품을 반송하는 주반송 유닛과, 부반송로에 있어서 물품을 반송하는 부반송 유닛과, 가이드 저부와, 가이드 저부에 간극 없이 접속되고 또한 가이드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세워 설치부를 포함하는 합류 가이드이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을, 당해 물품의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 저부에 적재된 상태에서, 가이드 세워 설치부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밀어내어, 합류 개소에서 당해 물품 전체를 주반송로로 옮기는, 합류 가이드를 구비하는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부반송로는, 적어도 합류 개소의 직전에 있어서, 주반송로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주반송로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주반송로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부반송로로부터 합류 개소에 도달하는 물품의 타이밍은, 주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이 합류 개소에 도달하는 타이밍으로부터 어긋나 있고,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은 가이드 저부 중 겹침 개시 개소의 상방을 통과하고, 겹침 개시 개소보다도 하류에 위치하는 가이드 저부 중 합류 근방 개소는, 부반송로 중 당해 합류 근방 개소에 대응하는 개소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은,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박막상 연장부를 구비하는 백을 포함하고,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은, 가이드 세워 설치부에 의해 박막상 연장부가 밀리면서, 합류 개소로 밀어내어져도 된다.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은, 가이드 저부 중 접촉 개시 개소에 있어서, 가이드 저부에 대한 접촉을 개시하고, 접촉 개시 개소에 있어서 가이드 저부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의 물품의, 부반송 유닛에 의한 반송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수평 방향인 반송로 폭 방향에 관한 중심은, 부반송로 중 당해 물품이 적재되는 개소의 반송로 폭 방향에 관한 중심보다도, 가이드 세워 설치부의 근처에 배치되어도 된다.
부반송 유닛에 의한 물품의 반송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수평 방향인 반송로 폭 방향에 관한 부반송로의 크기는,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의 반송로 폭 방향에 관한 크기보다도 작아도 된다.
부반송로는, 적어도 합류 개소의 직전에 있어서, 주반송로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부반송 유닛에 의한 물품의 반송 속도는, 주반송 유닛에 의한 물품의 반송 속도와 다르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이 합류 개소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주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이 합류 개소에 도달하는 타이밍으로부터 어긋나도 된다.
주반송로 및 부반송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브를 그리도록 연장되고, 부반송로 중 물품이 공급되는 개소로부터 합류 개소까지의 물품의 반송 거리는, 주반송로 중 물품이 공급되는 개소로부터 합류 개소까지의 물품의 반송 거리와 다르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이 합류 개소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주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이 합류 개소에 도달하는 타이밍으로부터 어긋나도 된다.
본 개시에 따르면, 부반송로로부터 주반송로로 물품을 적절하게 옮기는 데 유리한 반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반송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선 II-II을 따른 반송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선 III-III을 따른 반송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단면선 IV-IV을 따른 반송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단면선 V-V를 따른 반송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류」 및 「하류」의 용어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물품의 반송을 기준으로 한다.
도 1은 반송 시스템(10)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선 II-II을 따른 반송 시스템(1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선 III-III을 따른 반송 시스템(1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단면선 IV-IV을 따른 반송 시스템(1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단면선 V-V을 따른 반송 시스템(1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반송 시스템(10)은 주반송 유닛(11), 부반송 유닛(12) 및 합류 가이드(13)를 구비한다.
주반송 유닛(11)은 합류 개소 Pm을 포함하는 주반송로(21)에 있어서 물품(90)을 반송한다. 부반송 유닛(12)은 부반송로(22)에 있어서 물품(90)을 반송한다.
물품(90)의 구체적인 형태는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물품을 주반송 유닛(11) 및 부반송 유닛(12)에 의해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반송 유닛(11) 및 부반송 유닛(12)은 서로 동일한 종류의 물품(90)을 반송해도 되고, 다른 종류의 물품(90)을 반송해도 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물품(90)은, 백 B와, 백 B의 내측에 봉입되는 내용물을 포함하는 플랫 백 포장 제품이다. 즉 주반송 유닛(11) 및 부반송 유닛(12)에 의해 반송되는 본 예의 물품(90)은,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박막상 연장부 Bs를 구비하는 백 B를 포함한다. 백 B는 직사각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갖고, 4변을 구성하는 정상부(입구부), 저부, 및 정상부와 저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양측부가 시일(예를 들어 히트 시일)되어 박막상 연장부 Bs를 형성한다. 반송로(21, 22)에 쓰러뜨려져 적재되는 각 물품(90) 중, 한쪽의 측면이 반송로(21, 22)에 접촉하고, 다른 쪽의 측면이 상방을 향해 노출된다. 반송로(21, 22)에 적재되어 있는 상태의 각 물품(90)의 두께(상하 방향 Dv의 크기)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0㎜ 내지 25㎜이다.
본 실시 형태의 주반송 유닛(11)은 주반송로(21)에 있어서 1열로 배열된 복수의 물품(90)을 하류를 향해 연속적으로 반송한다. 부반송 유닛(12)도 복수의 물품(90)을 하류를 향해 연속적으로 반송한다. 부반송로(22)에는, 동시적으로 1개의 물품(90)만이 적재되어도 되고, 2 이상의 물품(90)이 동시적으로 적재되어도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반송로(22)에 있어서 반송되는 물품(90)은, 주반송로(21)에 있어서 반송되는 물품(90)과, 주반송로(21)(특히 합류 개소 Pm)에 있어서 합류하고, 그 후, 주반송로(21)에 있어서 하류로 반송된다. 부반송로(22)로부터 합류 개소 Pm으로 보내지는 물품(90)은, 주반송로(21)를 거쳐서 합류 개소 Pm으로 보내져 오는 물품(9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합류 개소 Pm으로 반송된다.
주반송로(21) 중 합류 개소 Pm보다도 상류의 개소에 적재되는 물품(90) 사이의 거리(특히 반송 거리)는, 부반송로(22)에 있어서 반송되는 물품(90)의 반송 방향 사이즈 이상의 크기를 갖는다.
주반송 유닛(11) 및 부반송 유닛(12)의 반송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예의 주반송로(21)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단상의 주컨베이어 벨트(23)와, 주컨베이어 벨트(23)를 내측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벨트 가이드(25)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부반송로(22)는 무단상의 부컨베이어 벨트(24)와, 부컨베이어 벨트(24)를 내측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벨트 가이드(26)를 갖는다. 주컨베이어 벨트(23) 및 부컨베이어 벨트(24)는, 주벨트 가이드(25) 및 부벨트 가이드(26)의 각각을 통해 벨트 구동원(27)(도 1 참조)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주행한다. 주컨베이어 벨트(23) 및 부컨베이어 벨트(24)의 각각에 대응지어지도록 별도의 벨트 구동원(27)이 마련되어도 되고, 단일의 벨트 구동원(27)으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에 의해 주컨베이어 벨트(23) 및 부컨베이어 벨트(24)의 양쪽을 주행시켜도 된다
주벨트 가이드(25), 부벨트 가이드(26) 및 벨트 구동원(27)은 본체 프레임(50)에 의해 지지된다. 본체 프레임(50)은 프레임 다리부(52)(도 5 참조)를 통해, 설치 장소(예를 들어 설치대나 지면)에 고정된다.
부반송 유닛(12)에 의한 물품(90)의 반송 방향 Dc와 수직을 이루는 수평 방향인 반송로 폭 방향 Dw에 관한 부반송로(22)(특히 물품(90)이 적재되는 상향 노출면(부벨트 가이드(26)의 상방에서 주행하는 부컨베이어 벨트(24)의 부분))의 크기는, 부반송 유닛(12)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의 반송로 폭 방향 Dw에 관한 크기보다도 작다. 이에 의해 합류 가이드(13)에 의한 물품(90)의 지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부반송로(22)는 적어도 합류 개소 Pm의 직전에 있어서, 주반송로(21)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주반송로(21)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주반송로(21)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말하는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주반송로(21) 및 부반송로(22)」는, 주반송로(21) 및 부반송로(22)가 근처에 배치되어 있으면, 서로 밀착되어 있는 것은 불필요하고, 또한 주반송로(21) 및 부반송로(22)가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는 것은 불필요하다.
도 1에 도시하는 부반송로(22)는, 전체에 걸쳐서 주반송로(21)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단 부반송로(22)는, 전체에 걸쳐서 주반송로(21)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될 필요는 없고, 부반송로(22) 중 합류 개소 Pm으로부터 이격된 상류 개소는, 주반송로(21)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주반송로(21) 중 합류 개소 Pm으로부터 이격된 상류 개소와, 부반송로(22) 중 합류 개소 Pm으로부터 이격된 상류 개소 사이의 상대 위치 관계는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동일한 상류측 장치(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주반송로(21) 및 부반송로(22)에 물품(90)이 공급되어도 되고, 이격된 장소에 설치된 별도의 상류측 장치로부터 주반송로(21) 및 부반송로(22)의 각각에 물품(90)이 공급되어도 된다.
합류 가이드(13)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저부(41)와, 가이드 저부(41)에 간극 없이 접속되고 또한 가이드 저부(4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세워 설치부(42)를 포함한다. 가이드 저부(41)는 물품(90)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가이드 세워 설치부(42)에는 복수의 합류 가이드 설치 부재(51)가 설치되어 있다. 합류 가이드(13)는 복수의 합류 가이드 설치 부재(51)를 통해, 본체 프레임(50)에 의해 고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합류 가이드(13)에서는, 가이드 저부(41)의 연장 방향은 수평 방향에 일치하고, 가이드 세워 설치부(42)의 연장 방향은 연직 방향에 일치하고, 가이드 저부(41) 및 가이드 세워 설치부(42)가 이루는 각도는 90°이다. 단 가이드 저부(41)의 연장 방향은 수평 방향에 일치하지 않아도 되고,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는 방향으로 가이드 저부(41)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는 방향으로 가이드 저부(41)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는 경우, 가이드 저부(41)에 대한 물품(90)의 걸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가이드 저부(41)의 당해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하향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 세워 설치부(42)의 연장 방향도 연직 방향에 일치하지 않아도 되고,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는 방향으로 가이드 세워 설치부(42)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가이드 저부(41) 및 가이드 세워 설치부(42)가 이루는 각도는 한정되지 않지만, 60° 내지 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류 가이드(13)에 대한 물품(90)의 걸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가이드 저부(41) 및 가이드 세워 설치부(42)가 이루는 각도는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합류 가이드(13)(특히 가이드 세워 설치부(42))에 의한 물품(90)의 적절한 가이드를 확보하는 관점에서는, 가이드 저부(41) 및 가이드 세워 설치부(42)가 이루는 각도는 1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반송 유닛(12)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은, 당해 물품(90)의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 저부(41)에 적재된 상태에서, 가이드 세워 설치부(42)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밀어내어져, 합류 개소 Pm에서 당해 물품(90) 전체가 주반송로(21)로 옮겨진다.
특히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부반송 유닛(12)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은 가이드 세워 설치부(42)가 백 B의 박막상 연장부 Bs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이드 세워 설치부(42)에 의해 박막상 연장부 Bs가 밀리면서, 합류 개소 Pm으로 밀어내어진다.
도 1에 도시하는 합류 가이드(13)(가이드 저부(41) 및 가이드 세워 설치부(42))는, 적어도 합류 개소 Pm의 근방에 있어서 주반송로(21)에 서서히 근접하도록, 부반송로(22)의 상방을 비스듬히 가로질러서 연장된다.
부반송로(22)로부터 합류 개소 Pm에 도달하는 물품(90)의 타이밍은, 주반송 유닛(11)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이 합류 개소 Pm에 도달하는 타이밍으로부터 어긋나 있다. 합류 개소 Pm에 도달하는 물품(90)의 타이밍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주반송로(21)와 부반송로(22) 사이에 있어서의 물품(90)의 반송 속도차 및/또는 반송 거리차에 기초하여, 물품(90)이 합류 개소 Pm에 도달하는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부반송 유닛(12)에 의한 물품(90)의 반송 속도를, 주반송 유닛(11)에 의한 물품(90)의 반송 속도와 다르게 함으로써, 부반송 유닛(12)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이 합류 개소 Pm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주반송 유닛(11)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이 합류 개소 Pm에 도달하는 타이밍으로부터 어긋나도 된다. 이 경우, 부반송 유닛(12)에 의한 물품(90)의 반송 속도는, 주반송 유닛(11)에 의한 물품(90)의 반송 속도보다 느리거나 빨라도 되고, 주반송 유닛(11)에 의한 물품(90)의 반송 속도가, 부반송 유닛(12)에 의한 물품(90)의 반송 속도보다도 빠른 쪽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또한 주반송로(21) 및 부반송로(2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브(예를 들어 원호)를 그리도록 연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 부반송로(22) 중 물품(90)이 공급되는 개소로부터 합류 개소 Pm까지의 물품(90)의 반송 거리를, 주반송로(21) 중 물품(90)이 공급되는 개소로부터 합류 개소 Pm까지의 물품(90)의 반송 거리와 다르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 경우에도, 부반송 유닛(12)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이 합류 개소 Pm에 도달하는 타이밍을, 주반송 유닛(11)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이 합류 개소 Pm에 도달하는 타이밍으로부터 어긋나게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주반송로(21) 및 부반송로(22)의 양쪽이 곡선인 반송로 부분을 포함하고, 주반송로(21)와 부반송로(22) 사이에 물품(90)의 반송 거리에 차가 있다. 단, 주반송로(21)와 부반송로(22) 사이에 물품(90)의 반송 거리에 차가 없어도 된다. 예를 들어, 주반송로(21) 및 부반송로(22)가 곡선인 반송로 부분을 포함하지 않고 직선로만을 포함하고, 부반송로(22) 중 물품(90)이 공급되는 개소로부터 합류 개소 Pm까지의 물품(90)의 반송 거리가, 주반송로(21) 중 물품(90)이 공급되는 개소로부터 합류 개소 Pm까지의 물품(90)의 반송 거리와, 거의 동일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주반송로(21)와 부반송로(22) 사이에 있어서의 물품(90)의 반송 속도차에 기초하여, 물품(90)이 합류 개소 Pm에 도달하는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주반송로(21)와 부반송로(22) 사이에 있어서의 물품(90)의 반송 속도차 및 반송 거리차 중 한쪽에만 기초하여, 물품(90)이 합류 개소 Pm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조정되어도 되고, 당해 반송 속도차 및 당해 반송 거리차의 양쪽에 기초하여, 물품(90)이 합류 개소 Pm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조정되어도 된다. 또한 다른 조정 요소에 기초하여, 주반송로(21)와 부반송로(22) 사이에서 물품(90)이 합류 개소 Pm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조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반송 속도차 및/또는 반송 거리차 대신에 혹은 반송 속도차 및/또는 반송 거리차에 더하여, 주반송로(21)와 부반송로(22) 사이에서 물품(90)이 공급되는 개소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물품(90)이 공급되는 개소로부터 합류 개소 Pm까지의 물품(90)의 반송 거리가 주반송로(21)와 부반송로(22) 사이에서 바뀌어도 된다.
부반송 유닛(12)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은, 가이드 저부(41) 중 겹침 개시 개소 Pv(도 2 참조)의 상방을 통과한다. 이렇게 부반송 유닛(12)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 및 부반송로(22)(특히 물품(90)이 직접적으로 적재되는 부컨베이어 벨트(24)의 반송면인 상방 노출면(물품 지지면))보다도, 가이드 저부(41)의 겹침 개시 개소(특히 상방 노출면) Pv를 낮게 함으로써, 물품(90)이, 가이드 저부(41)에 걸리지 않고, 가이드 저부(41) 상에 원활하게 적재되는 데 유리하다.
부반송 유닛(12)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은, 가이드 저부(41) 중 겹침 개시 개소 Pv보다도 하류에 위치하는 접촉 개시 개소 Pc(도 3 참조)에 있어서, 가이드 저부(41)에 대한 접촉을 개시한다.
접촉 개시 개소 Pc에 있어서 가이드 저부(41)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의 물품(90)의, 부반송 유닛(12)에 의한 반송 방향 Dc와 수직을 이루는 수평 방향인 반송로 폭 방향 Dw에 관한 중심은, 부반송로(22) 중 당해 물품(90)이 적재되는 개소의 반송로 폭 방향 Dw에 관한 중심보다도, 가이드 세워 설치부(42)의 근처에 배치된다. 즉 접촉 개시 개소 Pc에 있어서, 부반송 유닛(12)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의 반송로 폭 방향 Dw의 중심은, 부반송로(22)(특히 부컨베이어 벨트(24)의 상방 노출면)의 반송로 폭 방향 Dw의 중심으로부터, 가이드 세워 설치부(42)측(즉 주반송로(21)와는 반대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이에 의해, 합류 가이드(13)에 의한 물품(90)의 지지 및 합류 개소 Pm으로의 물품(90)의 밀어내기를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있어서, 부호 「L1」은, 부반송로(22)(특히 물품(90)이 적재되는 상향 노출면(부벨트 가이드(26)의 상방에서 주행하는 부컨베이어 벨트(24))의 반송로 폭 방향 Dw에 관한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인 부반송로 폭 중심선을 나타낸다. 또한 부호 「L2」는, 부반송로(22)에 있어서 반송되는 물품(90)의 반송로 폭 방향 Dw에 관한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인 물품 폭 중심선을 나타낸다.
겹침 개시 개소 Pv 및 접촉 개시 개소 Pc보다도 하류에 위치하는 가이드 저부(41) 중 합류 근방 개소 Pn(도 4 참조)은, 부반송로(22) 중 당해 합류 근방 개소 Pn에 대응하는 개소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주반송로(21)의 합류 개소 Pm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합류 근방 개소 Pn은, 주반송로(21)의 합류 개소 Pm에 대응하는 개소(주반송로(21)의 반송로 폭 방향 Dw에 관하여 합류 개소 Pm과 대응하는 범위의 개소)이다. 본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합류 가이드(13)가 부반송로(22)의 상방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고, 「부반송로(22) 중 합류 근방 개소 Pn에 대응하는 개소」의 상방에 「가이드 저부(41)의 합류 근방 개소 Pn」이 위치한다.
그리고 가이드 저부(41)의 합류 근방 개소 Pn의 전후에 있어서, 가이드 세워 설치부(42)는 하류를 향함에 따라서, 주반송로(21)의 합류 개소 Pm에 서서히 가까워진다. 이에 의해, 부반송로(22)를 거쳐 보내져 와서 가이드 저부(41)에 적재되어 있는 물품(90)은, 주반송로(21)의 합류 개소 Pm을 향하는 힘을 가이드 세워 설치부(42)로부터 받아, 최종적으로는, 당해 물품(90)을 부반송로(22)로부터 주반송로(21)의 합류 개소 Pm을 향하여 확실하게 옮길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저부(41)의 합류 근방 개소 Pn 및 부반송로(22) 중 합류 근방 개소 Pn에 대응하는 개소와, 주반송로(21)의 합류 개소 Pm 사이의 상하 방향 Dv의 거리(높이 방향 거리)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5㎜ 정도여도 된다.
이렇게 합류 가이드(13)의 가이드 저부(41)의 높이 위치는 일정하지 않고, 겹침 개시 개소 Pv(도 1의 단면선 II-II 참조), 접촉 개시 개소 Pc(도 1의 단면선 III-III 참조) 및 합류 근방 개소 Pn(도 1의 단면선 IV-IV 참조)에 있어서 가이드 저부(41)는 다른 높이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예의 가이드 저부(41)는 겹침 개시 개소 Pv와 접촉 개시 개소 Pc 사이의 중간 개소로부터 합류 근방 개소 Pn까지의 사이, 계속적으로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반송 시스템(10)에 의하면, 예를 들어 포장기로부터 2열로 동일한 높이 위치로부터 방출된 물품(플랫 백 포장 제품)(90)을, 각각 주반송로(21) 및 부반송로(22)에 적재할 수 있다.
주반송로(21) 및 부반송로(22)에 적재된 2개의 물품(90)은 주반송로(21) 및 부반송로(22)에 의해 하류로 반송된다.
그리고 합류 개소 Pm의 앞쪽에서, 부반송로(22)에 있어서 반송되는 물품(90)의 한쪽의 측부(예를 들어 사이드 시일부)의 하면이 합류 가이드(13)의 가이드 저부(41)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부반송로(22)에 있어서 반송되는 물품(90)의 한쪽의 측부의 하면이 가이드 저부(4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당해 물품(90)은 하류로 반송되고, 합류 가이드(13)의 가이드 세워 설치부(42)가 당해 한쪽의 측부에 접촉하여 당해 물품(90)이 가이드 세워 설치부(42)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힘을 받아, 그 결과, 당해 물품(90)이 부반송로(22)로부터 주반송로(21)(특히 합류 개소 Pm)로 서서히 이동된다. 이러한 물품(90)의 합류는, 주반송 유닛(11)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 사이의 스페이스에, 부반송로(22)로부터의 물품(90)이 진입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리고 합류 개소 Pm에서 합류한 물품(90)은 주반송로(21)에 있어서 1열로 배열된 상태에서, 주반송 유닛(11)에 의해 더 하류로 반송된다.
이렇게 부반송 유닛(12)에 의해 부반송로(22)로부터 합류 개소 Pm을 향하여 반송되는 각 물품(90)은 부반송로(22)에 적재된 직후(최상류 개소)에서는, 부반송로(22)(특히 부컨베이어 벨트(24))에 의해서만 하류로 반송된다. 그 후, 당해 물품(90)은 부분적으로 주반송로(21)에 올라타도 되고, 그러한 경우, 부반송로(22)로부터뿐만 아니라 주반송로(21)(특히 주컨베이어 벨트(23))로부터도 힘을 받아서 당해 물품(90)은 하류로 반송된다. 그 후, 당해 물품(90)은 합류 개소 Pm에 이르기 직전에 있어서는, 주로 관성력에 의해 하류로 반송되고, 합류 개소 Pm에 진입한다. 또한 당해 물품(90)은 합류 개소 Pm에 이르기 직전에 있어서, 주반송로(21) 및/또는 부반송로(22)로부터 하류로의 반송력을 받고 있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반송 시스템(10)에 의하면, 부반송로(22)로부터 주반송로(21)의 합류 개소 Pm으로 물품(90)을 가이드하는 합류 가이드(13)는 간극 없이 접속되는 가이드 저부(41) 및 가이드 세워 설치부(42)를 갖는다. 그 때문에 물품(90)이 「가이드 저부(41)와 가이드 세워 설치부(42) 사이의 간극」으로 들어가는 일 없이, 부반송로(22)로부터 주반송로(21)로 물품(90)이 적절하게 옮겨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반송 시스템(10)에 의하면, 물품(90)을 부반송로(22)로부터 주반송로(21)로 적절한 자세로 옮길 수 있어, 물품(90)이 합류 가이드(13)로부터 흠집 등의 대미지를 입는 것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고, 부반송로(22)에 있어서의 물품(90)의 막힘을 회피하여 부반송로(22)에 있어서의 연속적이면서 원활한 물품(90)의 반송이 가능하다.
[변형예]
주반송로(21) 및/또는 부반송로(22)에 있어서의 물품(90)의 하류로의 반송의 스톱(스토퍼 온) 및 허가(스토퍼 오프)를 행하는 스토퍼가 마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주반송로(21) 및 부반송로(22)에 있어서의 물품(90)의 반송 상태(예를 들어 반송 위치)를 센서에 의해 검출하고, 제어부가, 당해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스토퍼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해도 된다. 센서의 검출 결과로부터, 주반송 유닛(11)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과, 부반송 유닛(12)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이 합류 개소 Pm에 있어서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제어부가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는, 합류 개소 Pm보다도 상류에 있어서, 주반송로(21) 또는 부반송로(22)에 있어서의 물품(90)의 하류로의 반송을 스토퍼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지해도 된다. 그 후, 제어부는 합류 개소 Pm에 있어서 물품(90)끼리가 충돌하지 않는 타이밍에서, 스토퍼를 스토퍼 오프의 상태로 하여, 하류로의 반송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있던 물품(90)이 합류 개소 Pm을 향하여 반송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반송되는 물품(90)은, 시일된 정상부, 저부 및 양측부를 갖는 백 B를 포함하지만, 자립 백 등의 다른 백을 대신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자립 백은 자립 가능한 백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절첩 구조의 저부를 자립 백은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백 B를 포함하는 물품(90)이 반송되지만, 반송 시스템(10)은 백 이외의 용기를 포함하는 물품(90)을 반송해도 된다.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의 각 요소에 각종의 변형이 가해져도 되고,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 사이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성이 조합되어도 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해 발휘되는 효과도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고, 각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특유의 효과도 발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특허 청구 범위,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는 각 요소에 대해서 다양한 추가, 변경 및 부분적 삭제가 가능하다.
[부기]
본 개시는, 이하의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항목 1]
합류 개소를 포함하는 주반송로에 있어서 물품을 반송하는 주반송 유닛과,
부반송로에 있어서 물품을 반송하는 부반송 유닛과,
가이드 저부와, 상기 가이드 저부에 간극 없이 접속되고 또한 상기 가이드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세워 설치부를 포함하는 합류 가이드이며,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을, 당해 물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 저부에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세워 설치부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합류 개소에서 당해 물품의 전체를 상기 주반송로로 옮기는, 합류 가이드
를 구비하는 반송 시스템.
[항목 2]
상기 부반송로는, 적어도 상기 합류 개소의 직전에 있어서,
상기 주반송로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주반송로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주반송로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부반송로로부터 상기 합류 개소에 도달하는 물품의 타이밍은, 상기 주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합류 개소에 도달하는 타이밍으로부터 어긋나 있고,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은, 상기 가이드 저부 중 겹침 개시 개소의 상방을 통과하고,
상기 겹침 개시 개소보다도 하류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 저부 중 합류 근방 개소는, 상기 부반송로 중 당해 합류 근방 개소에 대응하는 개소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항목 1에 기재된 반송 시스템.
[항목 3]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은,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박막상 연장부를 구비하는 백을 포함하고,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은, 상기 가이드 세워 설치부에 의해 상기 박막상 연장부가 밀리면서, 상기 합류 개소로 밀어내어지는,
항목 1 또는 2에 기재된 반송 시스템.
[항목 4]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은, 상기 가이드 저부 중 접촉 개시 개소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저부에 대한 접촉을 개시하고,
상기 접촉 개시 개소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저부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의 물품의,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한 반송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수평 방향인 반송로 폭 방향에 관한 중심은, 상기 부반송로 중 당해 물품이 적재되는 개소의 상기 반송로 폭 방향에 관한 중심보다도, 상기 가이드 세워 설치부의 근처에 배치되는,
항목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반송 시스템.
[항목 5]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한 물품의 반송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수평 방향인 반송로 폭 방향에 관한 상기 부반송로의 크기는,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의 상기 반송로 폭 방향에 관한 크기보다도 작은,
항목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반송 시스템.
[항목 6]
상기 부반송로는, 적어도 상기 합류 개소의 직전에 있어서, 상기 주반송로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항목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반송 시스템.
[항목 7]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한 물품의 반송 속도는, 상기 주반송 유닛에 의한 물품의 반송 속도와 다르며,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합류 개소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상기 주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합류 개소에 도달하는 타이밍으로부터 어긋나는,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반송 시스템.
[항목 8]
상기 주반송로 및 상기 부반송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브를 그리도록 연장되고,
상기 부반송로 중 물품이 공급되는 개소로부터 상기 합류 개소까지의 물품의 반송 거리는, 상기 주반송로 중 물품이 공급되는 개소로부터 상기 합류 개소까지의 물품의 반송 거리와 다르며,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합류 개소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상기 주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합류 개소에 도달하는 타이밍으로부터 어긋나는,
항목 1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반송 시스템.

Claims (8)

  1. 합류 개소를 포함하는 주반송로에 있어서 물품을 반송하는 주반송 유닛과,
    부반송로에 있어서 물품을 반송하는 부반송 유닛과,
    가이드 저부와, 상기 가이드 저부에 간극 없이 접속되고 또한 상기 가이드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세워 설치부를 포함하는 합류 가이드이며,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을, 당해 물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 저부에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세워 설치부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합류 개소에서 당해 물품의 전체를 상기 주반송로로 옮기는, 합류 가이드
    를 구비하는 반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반송로는, 적어도 상기 합류 개소의 직전에 있어서,
    상기 주반송로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주반송로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주반송로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부반송로로부터 상기 합류 개소에 도달하는 물품의 타이밍은, 상기 주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합류 개소에 도달하는 타이밍으로부터 어긋나 있고,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은, 상기 가이드 저부 중 겹침 개시 개소의 상방을 통과하고,
    상기 겹침 개시 개소보다도 하류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 저부 중 합류 근방 개소는, 상기 부반송로 중 당해 합류 근방 개소에 대응하는 개소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반송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은,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박막상 연장부를 구비하는 백을 포함하고,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은, 상기 가이드 세워 설치부에 의해 상기 박막상 연장부가 밀리면서, 상기 합류 개소로 밀어내어지는,
    반송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은, 상기 가이드 저부 중 접촉 개시 개소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저부에 대한 접촉을 개시하고,
    상기 접촉 개시 개소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저부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의 물품의,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한 반송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수평 방향인 반송로 폭 방향에 관한 중심은, 상기 부반송로 중 당해 물품이 적재되는 개소의 상기 반송로 폭 방향에 관한 중심보다도, 상기 가이드 세워 설치부의 근처에 배치되는,
    반송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한 물품의 반송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수평 방향인 반송로 폭 방향에 관한 상기 부반송로의 크기는,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의 상기 반송로 폭 방향에 관한 크기보다도 작은,
    반송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반송로는, 적어도 상기 합류 개소의 직전에 있어서, 상기 주반송로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반송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한 물품의 반송 속도는, 상기 주반송 유닛에 의한 물품의 반송 속도와 다르며,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합류 개소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상기 주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합류 개소에 도달하는 타이밍으로부터 어긋나는,
    반송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반송로 및 상기 부반송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브를 그리도록 연장되고,
    상기 부반송로 중 물품이 공급되는 개소로부터 상기 합류 개소까지의 물품의 반송 거리는, 상기 주반송로 중 물품이 공급되는 개소로부터 상기 합류 개소까지의 물품의 반송 거리와 다르며, 상기 부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합류 개소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상기 주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합류 개소에 도달하는 타이밍으로부터 어긋나는,
    반송 시스템.
KR1020230090299A 2022-07-15 2023-07-12 반송 시스템 KR202400104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14187 2022-07-15
JP2022114187A JP2024011881A (ja) 2022-07-15 2022-07-15 搬送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417A true KR20240010417A (ko) 2024-01-23

Family

ID=8728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0299A KR20240010417A (ko) 2022-07-15 2023-07-12 반송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06455A1 (ko)
JP (1) JP2024011881A (ko)
KR (1) KR2024001041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955A (ja) 2000-05-09 2001-11-13 Okura Yusoki Co Ltd 搬送装置
JP2005231779A (ja) 2004-02-18 2005-09-02 Daisey Machinery Co Ltd 合流コンベ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40367B4 (de) * 2007-08-17 2022-11-17 Ssi Schäfer Automation Gmbh Materialflusssteuerung zur Kollisionsvermeidung in einer Förderanlage
DE102013223494A1 (de) * 2013-11-18 2015-05-21 Robert Bosch Gmbh Produktstromüberführungsvorrichtung
CN106414281A (zh) * 2014-04-16 2017-02-15 德马泰克公司 预先调整用于分选的物品的角度
DE102014106400A1 (de) * 2014-04-25 2015-11-12 Weber Maschinenbau Gmbh Breidenbach Individueller transport von lebensmittelportionen
DE102018222397A1 (de) * 2018-12-20 2020-06-25 Multivac Sepp Haggenmüller Se & Co. Kg Verpackungsanlage mit Untergreif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955A (ja) 2000-05-09 2001-11-13 Okura Yusoki Co Ltd 搬送装置
JP2005231779A (ja) 2004-02-18 2005-09-02 Daisey Machinery Co Ltd 合流コンベ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06455A1 (en) 2024-01-17
JP2024011881A (ja)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344B2 (en) Device for buffering product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is
RU225152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носа пленочных пакетов
JP2004516210A (ja) 下向き傾斜積降ろし装置及び積重ねた品物を積降ろす方法
CN104364173A (zh) 用于在相邻的模块之间传送制品的层的装置和方法
CN103201199A (zh) 用于输送容器的输送装置
JP2009524533A (ja) 平坦な物体を丁合いするためおよび丁合いされた物体をさらに搬送するための装置
KR20240010417A (ko) 반송 시스템
US2008009249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Packing Units from at Least Two Packs
US11111083B2 (en) Article accumulating apparatus
JP2007217020A (ja) 商品の自動段積み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9147581A (ja) 包装物集積装置
JP2004010250A (ja) 無人搬送車システム
KR890000596B1 (ko) 컨베이어상에 부설되는 물품방향전환장치
JP4276161B2 (ja) 仕分けシステム
JP3798423B2 (ja) 積み重ねられた物品グループを形成する方法
EP1199265B1 (en) Product diverting mechanism in a packaging system
KR20160139795A (ko) 물품분류기용 슈트
KR20140045016A (ko) 물품 정렬 공급장치
US4875570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lithographic plate
JP2021120315A (ja) 搬送装置および自動倉庫システム
JP4184297B2 (ja) 合流コンベア装置
JP7268609B2 (ja) 物品搬送設備
JP7283018B2 (ja) コンベヤ装置
JP2017043483A (ja) 整列システム
JPH0228401A (ja) 物品搬送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