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241A -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241A
KR20240009241A KR1020220086471A KR20220086471A KR20240009241A KR 20240009241 A KR20240009241 A KR 20240009241A KR 1020220086471 A KR1020220086471 A KR 1020220086471A KR 20220086471 A KR20220086471 A KR 20220086471A KR 20240009241 A KR20240009241 A KR 20240009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mantling
steam generator
heavy water
water reactor
super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규
박광수
김해웅
Original Assignee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6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241A/ko
Publication of KR20240009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G21D1/003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023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with heating tubes, for nuclear reactors as far as they are not classified, according to a specified heating fluid, in another 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핸들링장치 및 절단장치를 상기 중수로에서 상기 증기발생기가 수용된 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하는 해체준비단계와, 상기 증기발생기의 상부구조물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부구조물 판단단계와, 상기 중수로의 수용공간에서 하부구조물을 해체하는 하부구조물 해체단계 및, 상기 해체된 하부구조물을 상기 중수로의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해체작업에 있어 공간적인 제약이 있는 중수로의 증기발생기를 안정적으로 해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MANTLING STEAM GENERATOR OF HEAVY WATER REACTOR }
본 발명은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체작업에 있어 공간적인 제약이 있는 중수로의 증기발생기를 안정적으로 해체할 수 있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 등의 원자로 시설에서는 운전이 종료되면 폐지 조치가 취해진다. 상기 폐지 조치는 계통제염, 핵연료 안전 저장, 해체 철거의 순으로 실시된다.
상기 해체 철거에서는 내부의 배관이나 기기류를 철거한 후에, 건물을 철거한다. 해체 철거에 있어서는 방사성 물질을 외부에 비산시키지 않아야 되고, 해체 철거에 종사하는 작업자에의 방사능 노출을 방지할 것이 필요하다.
한편, 중수로 원자력 발전소는 경수로 원자력 발전소와 달리 크레인이 없어 격납건물 내에서 증기발생기 등과 같은 대형 기기들의 핸들링이 불가능하다.
전세계적으로 중수로 원자력 발전소 해체 사례가 없으며, 특히 증기발생기 등의 대형 기기들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위치해 있어 더 핸들링이 까다롭다.
이러한 증기발생기 등의 대형 기기들은 격납건물 내 계통에서 분리하여 종합폐기물처리시설로 이송하고 해체하게 된다. 하지만 크레인이 없기 때문에 격납건물 외부로 반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일본특허공개번호 : 특개평8(1996)-4357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체작업에 있어 공간적인 제약이 있는 중수로의 증기발생기를 안정적으로 해체할 수 있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절단장치 및 핸들링장치를 상기 중수로에서 상기 증기발생기가 수용된 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하는 해체준비단계; 상기 증기발생기의 상부구조물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부구조물 판단단계; 상기 중수로의 수용공간에서 하부구조물을 해체하는 하부구조물 해체단계; 및 상기 해체된 하부구조물을 상기 중수로의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구조물 판단단계에서 상부 구조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절단장치로 상기 증기발생기를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로 절단하는 증기발생기 절단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증기발생기 절단단계 이후에, 상기 중수로의 수용공간에서 상부구조물을 해체하는 상부구조물 해체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구조물 해체단계는, 상기 상부구조물의 계통을 분리하는 상부구조물 계통분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구조물 해체단계는, 상기 상부구조물 계통분리단계 이후에, 상기 핸들링장치를 상기 상부구조물에 연결하는 핸들링장치 및 상부구조물 연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구조물 해체단계는, 핸들링장치 연결단계 이후에, 상기 연결된 핸들링장치로 상기 상부구조물을 인양하는 상부구조물 인양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구조물 해체단계는, 상기 하부구조물의 계통을 분리하는 하부구조물 계통분리단계; 상기 하부구조물의 하부에 연결된 주지지대를 절단하는 주지지대 절단단계; 및 상기 하부구조물을 수용공간의 상부로 인양하여 해체하는 인양해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양해체단계는, 상기 핸들링장치를 상기 하부구조물에 연결하는 핸들링장치 및 하부구조물 연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양해체단계는, 상기 핸들링장치 및 하부구조물 연결단계 이후에, 상기 핸들링장치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하부구조물을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로 인양하는 인양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구조물 해체단계는, 상기 하부구조물의 계통을 분리하는 하부구조물 계통분리단계; 상기 하부구조물의 하부에 연결된 주지지대를 절단하는 주지지대 절단단계; 및 상기 하부구조물을 수용공간의 하부로 반출하여 해체하는 반출해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출해체단계는, 상기 중수로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제2 핸들링장치를 설치하는 제2 핸들링장치 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출해체단계는, 상기 제2 핸들링장치 설치단계 이후에, 상기 제2 핸들링장치의 제2 후크를 상기 하부구조물에 연결하는 제2 후크 및 하부구조물 연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출해체단계는, 상기 제2 후크 및 하부구조물 연결단계 이후에, 상기 제2 핸들링장치의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며 상기 하부구조물을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로 반출하는 반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수로상에서 증기발생기가 수용된 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와이어 쏘를 이동시켜 증기발생기를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로 절단하는 절단장치; 및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증기발생기를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로 인양 또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로 반출하는 핸들링장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단장치는, 중수로상에서 증기발생기가 수용된 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중수로상에 배치되는 제1 고정휠; 상기 지지프레임상에 배치되는 제2 고정휠; 상기 지지프레임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변휠; 상기 제1,2 고정휠 및 가변휠을 연결하는 와이어 쏘; 및 상기 와이어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핸들링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장치베이스; 상기 장치베이스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후크프레임; 및 상기 후크프레임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2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증기발생의 하부구조물을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로 반출하는 제2 핸들링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핸들링장치는, 상기 중수로상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장치베이스; 상기 제2 장치베이스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증기발생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증기발생기에 연결되는 서브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수로의 증기발생기를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로 절단하고 각각 해체함으로써, 작업 공간상의 제약을 극복하며 작업자의 피폭을 감소시키고 중수로의 증기발생기를 효율적으로 해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인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구체적인 해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인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에서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을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에서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을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에서 핸들링장치로 상부구조물을 인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h는 본 발명인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에서 핸들링장치로 하부구조물을 수용공간의 상부로 인양 해체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인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에서 핸들링장치로 하부구조물을 수용공간의 하부로 반출 해체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복수의 실시예들은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중복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중수로(10)의 증기발생기(S)의 해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인 중수로(10)의 증기발생기(S)의 구체적인 해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인 중수로(10)의 증기발생기(S)의 해체방법은 크게 해체준비단계, 증기발생기(S)의 상부구조물(S1) 해체단계, 증기발생기(S)의 하부구조물(S2) 인양/반출 해체단계 및 이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개시된 순서도는 본 발명인 중수로(10)의 증기발생기(S)의 해체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해체공정의 순서를 나타낸다.
구체적인 해체공정의 순서로는 도 2a 내지 도 2c를 참고하면, 해체준비단계(K1), 증기발생기(S)의 상부구조물(S1) 유무 판단단계(K4), 상부구조물(S1) 해체단계(K6), 하부구조물(S2) 인양 또는 반출 해체단계(K14,K17) 및 이송단계(K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해체준비단계(K1)에서는 중수로(10)의 수용공간(12) 상부에 절단장치(100) 및 핸들링장치(200)를 설치하는 단계(K2,K3)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중수로(10)의 수용공간(12)에는 증기발생기(S)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절단장치(100)가 수용공간(12)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절단장치(100)는 제1 고정휠(111), 제2 고정휠(113), 가변휠(115), 구동부(120), 지지프레임(130) 및 와이어 쏘(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절단장치(100)는 In-situ 절단장치(100)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프레임(130)은 수용공간(1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130)은 사각프레임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고정휠(111)은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중수로(10)의 상부에 연결되며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고정휠(113)은 지지프레임(130)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변휠(115)은 지지프레임(130)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4에 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지지프레임(130)상에는 레일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가변휠(115)은 레일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부(120)는 중수로(10)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부(120)는 와이어 쏘(1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부(120)는 모터일 수 있으며, 모터의 구동축에는 풀리가 배치되며 모터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 쏘(140)를 감거나 또는 풀며 와이어 쏘(1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와이어 쏘(140)가 감기거나 또는 풀리면서 가변휠(115)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와이어 쏘(14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이 증기발생의 상부구조물(S1)과 하부구조물(S2)을 절단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포집장치가 배치되며 비산되는 칩을 포집할 수 있다.
도 5을 참고하면, 핸들링장치(200)는 후크프레임(210), 제1 후크(221), 제2 후크(223) 및 장치베이스(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치베이스(230)는 수용공간(1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장치베이스(230)는 중앙부가 개방된 형태의 사각프레임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크프레임(210)은 장치베이스(23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장치베이스(230)의 상부에는 레일이 배치될 수 있으며, 레일을 따라 후크프레임(210)이 동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1,2 후크(221,223)는 후크프레임(21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2 후크(221,223)는 증기발생기(S)의 상부구조물(S1) 또는 하부구조물(S2)에 각각 연결되며 인양할 수 있다.
다음, 해체준비단계(K1~K3)가 끝나면, 증기발생기(S)의 상부구조물(S1)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K4)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부구조물(S1)이 없다고 판단되면, 곧바로 증기발생기(S)의 하부구조물(S2) 해체진행(K10)을 수행하게 된다.
반대로 상부구조물(S1)이 있다고 판단되면 증기발생기(S)를 상부구조물(S1)과 하부구조물(S2)로 절단하는 단계(K5)를 수행하게 된다.
증기발생기(S)의 절단단계(K5)는 절단장치(100)로 증기발생기(S)를 상부구조물(S1)과 하부구조물(S2)로 절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절단위치는 증기발생기(S)의 전열관 상부를 상부구조물(S1)로 지정하여 절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절단장치(100)의 와이어 쏘(14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증기발생기(S)를 상부구조물(S1)과 하부구조물(S2)로 분리하게 된다. 절단 후에는 상부구조물(S1)과 하부구조물(S2)의 절단된 부분을 플레이트를 용접하여 실링할 수 있다.
이후 상부구조물(S1) 해체를 진행하는 단계(K6)를 수행하게 되는데, 우선 상부구조물(S1)에서 계통를 절단분리하는 단계(K7)를 수행한다. 상부구조물(S1)의 계통 분리는 주증기배관 등을 절단하는 것이다.
상부구조물(S1)의 계통분리가 끝나면, 핸들링장치(200)를 상부구조물(S1)에 연결하는 단계(K8)를 수행하고 상부구조물(S1)을 인양하는 단계(K9)를 수행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후크(221)를 상부구조물(S1)의 상측에 연결하고, 제2 후크(223)를 상부구조물(S1)의 하측에 연결한 후에, 제1 후크(221)의 체인을 늘리고, 제2 후크(223)의 체인을 줄여 상부구조물(S1)을 회전시켜 눕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후크프레임(210)을 장치베이스(230)상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구조물(S1)을 수용공간(12)의 상부를 통해 인양하여 해체한다.
상부구조물(S1)을 인양 해체한 후에는 수용공간(12)의 상부에서 절단장치(100)를 제거할 수 있다.
상부구조물(S1)의 인양해체단계(K9)가 완료된 후에, 다음으로 하부구조물(S2) 해체진행단계(K10)를 수행한다.
우선 하부구조물(S2)의 계통분리단계(K11)를 수행하는데, 이는 하부구조물(S2)에 연결되어 있는 인렛노즐(inlet nozzle), 아웃렛노즐(outlet nozzle), 등을 절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후 하부구조물(S2)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주지지대를 절단하는 단계(K12)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주지지대는 증기발생기(S)가 수용공간(12)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하부구조물(S2)의 하단에 연결되는 봉 형태의 지지대이다.
주지지대를 절단한 후에는 중수로(10)의 작업환경에 대응하여 하부구조물(S2)을 인양 또는 반출로 해체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K13)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중수로(10)의 작업환경상 하부구조물(S2) 인양해체단계(K14)를 선택하는 경우, 핸들링장치(200) 및 하부구조물(S2)을 연결하는 단계(K15) 및 하부구조물(S2)을 중수로(10)의 수용공간(12) 상부로 인양해체하는 단계(K16)를 수행할 수 있다. 수용공간(12)의 상부로 인양해체하는 방법은 해치를 통해 인양해체하는 방법일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h는 본 발명인 중수로(10)의 증기발생기(S)의 해체방법에서 핸들링장치(200)로 하부구조물(S2)을 수용공간(12)의 상부로 인양 해체하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6a에 개시된 것과 같이, 핸들링장치(200)의 제1 후크(221)를 하부구조물(S2)의 제1 지점(S2a)에 연결하고, 수용공간(12)의 상부로 들어올린다.
다음 도 6b에 개시된 것과 같이, 핸들링장치(200)를 장치베이스(230)상에서 이동시켜 하부구조물(S2)의 일측이 수용공간(12)의 내벽에 가까워지도록 한다.
다음 도 6c에 개시된 것과 같이, 핸들링장치(200)의 제2 후크(223)를 하부구조물(S2)의 제2 지점(S2b)에 연결하고, 제2 후크(223)의 체인을 줄여 하부구조물(S2)의 하측을 들어올린다.
다음 도 6d 내지 도 6f를 참고하면, 핸들링장치(200)를 이동시키며, 동시에 제1,2 후크(221,223)의 체인을 줄이거나 또는 늘리면서 하부구조물(S2)의 하측를 수용공간(12)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도 6g를 참고하면, 하부구조물(S2)이 수용공간(12)에서 완전하게 이탈되었고, 핸들링장치(200)를 장치베이스(230)상에서 이동시켜 하부구조물(S2)을 수용공간(12)으로부터 인양해체하였다.
이후 6h에 개시된 것과 같이, 하부구조물(S2)을 후크프레임(210)의 상단에 안착한 후 외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증기발생기(S)의 하부구조물(S2)을 수용공간(12)의 상부를 통해 인양하여 해체하는 방법은 상술한 해체공정을 따라 진행하게 된다.
한편, 중수로(10)의 작업환경상 하부구조물(S2) 반출해체단계(K17)를 선택하는 경우, 중수로(10)의 수용공간(12) 하부에 제2 핸들링장치(300)를 설치하는 단계(K18), 제2 핸들링장치(300) 및 하부구조물(S2)을 연결하는 단계(K19) 및 하부구조물(S2)을 중수로(10)의 수용공간(12) 하부로 반출해체하는 단계(K20)를 수행하게 된다. 수용공간(12)의 하부로 반출해체하는 방법은 에어락을 통해 인양해체하는 방법일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인 중수로(10)의 증기발생기(S)의 해체방법에서 핸들링장치(200)로 하부구조물(S2)을 수용공간(12)의 하부로 반출 해체하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7a에 개시된 것과 같이, 중수로(10)의 수용공간(12) 하부에 제2 핸들링장치(300)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핸들링장치(300)는 제2 장치베이스(310), 이동부재(320), 안착부(325) 및 서브후크(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장치베이스(310)는 중수로(10)상에서 수용공간(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장치베이스(310)는 판 형상일 수 있다. 이동부재(320)는 제2 장치베이스(3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동부재(320)는 제2 장치베이스(310)의 상부를 이동할 수 있다. 안착부(325)는 이동부재(3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안착부(325)는 증기발생기(S)의 하부구조물(S2)이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서브후크(330)는 하부구조물(S2)의 제2 지점(S2b)에 연결되며, 하부구조물(S2)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a를 참고하면, 핸들링장치(200)의 제1 후크(221)를 하부구조물(S2)의 제1 지점(S2a)에 연결하고, 제2 핸들링장치(300)의 서브후크(330)를 하부구조물(S2)의 제2 지점(S2b)에 연결하며, 하부구조물(S2)을 천천히 수용공간(12)의 하부로 반출한다.
다음 도 7b를 참고하면, 서브후크(330)의 체인을 서서히 줄이고 제1 후크(221)의 체인을 서서히 늘리며, 하부구조물(S2)을 수용공간(12)의 내부에서 기울려 수용공간(12)을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다음 도 7c 및 도 7d를 참고하면, 하부구조물(S2)이 수용공간(12)의 하부로 완전하게 이탈하였으며, 이후 하부구조물(S2)을 안착부(325)에 안착시킬 수 있게 수평하게 눕힌다.
마지막으로 도 7e를 참고하면, 하부구조물(S2)을 안착부(325)에 안착시키고 이동부재(320)를 이동시켜 중수로(10)에서 하부구조물(S2)을 반출해체한다.
이후 이송단계(K21)를 수행하는데, 이는 상부구조물(S1)과 하부구조물(S2)을 트레일러를 이용하여 외부로 이송시키는 단계이며, 이 단계를 마침으로서, 중수로(10)에서 증기발생기(S)의 해체공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의 사항은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및 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중수로 12:수용공간
100:절단장치 111:제1 고정휠
113:제2 고정휠 115:가변휠
120:구동부 130:지지프레임
140:와이어 쏘
200:핸들링장치 210:후크프레임
221:제1 후크 223;제2 후크
230:장치베이스
300:제2 핸들링장치 310:제2 장치베이스
320:이동부재 325:안착부
330:서브후크
S:증기발생기 S1:상부구조물
S2:하부구조물

Claims (18)

  1.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에 있어서,
    절단장치 및 핸들링장치를 상기 중수로에서 상기 증기발생기가 수용된 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하는 해체준비단계;
    상기 증기발생기의 상부구조물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부구조물 판단단계;
    상기 중수로의 수용공간에서 하부구조물을 해체하는 하부구조물 해체단계; 및
    상기 해체된 하부구조물을 상기 중수로의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단계;
    를 포함하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물 판단단계에서 상부 구조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절단장치로 상기 증기발생기를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로 절단하는 증기발생기 절단단계;
    를 수행하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기 절단단계 이후에,
    상기 중수로의 수용공간에서 상부구조물을 해체하는 상부구조물 해체단계;
    를 수행하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물 해체단계는,
    상기 상부구조물의 계통을 분리하는 상부구조물 계통분리단계;
    를 포함하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물 해체단계는,
    상기 상부구조물 계통분리단계 이후에,
    상기 핸들링장치를 상기 상부구조물에 연결하는 핸들링장치 및 상부구조물 연결단계;
    를 더 포함하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물 해체단계는,
    핸들링장치 연결단계 이후에,
    상기 연결된 핸들링장치로 상기 상부구조물을 인양하는 상부구조물 인양단계;
    를 더 포함하는, 중수로 증기발생의 해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구조물 해체단계는,
    상기 하부구조물의 계통을 분리하는 하부구조물 계통분리단계;
    상기 하부구조물의 하부에 연결된 주지지대를 절단하는 주지지대 절단단계; 및
    상기 하부구조물을 수용공간의 상부로 인양하여 해체하는 인양해체단계;
    를 포함하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해체단계는,
    상기 핸들링장치를 상기 하부구조물에 연결하는 핸들링장치 및 하부구조물 연결단계;
    를 더 포함하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해체단계는,
    상기 핸들링장치 및 하부구조물 연결단계 이후에,
    상기 핸들링장치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하부구조물을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로 인양하는 인양단계;
    를 더 포함하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구조물 해체단계는,
    상기 하부구조물의 계통을 분리하는 하부구조물 계통분리단계;
    상기 하부구조물의 하부에 연결된 주지지대를 절단하는 주지지대 절단단계; 및
    상기 하부구조물을 수용공간의 하부로 반출하여 해체하는 반출해체단계;
    를 포함하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해체단계는,
    상기 중수로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제2 핸들링장치를 설치하는 제2 핸들링장치 설치단계;
    를 포함하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해체단계는,
    상기 제2 핸들링장치 설치단계 이후에,
    상기 제2 핸들링장치의 제2 후크를 상기 하부구조물에 연결하는 제2 후크 및 하부구조물 연결단계;
    를 더 포함하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해체단계는,
    상기 제2 후크 및 하부구조물 연결단계 이후에,
    상기 제2 핸들링장치의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며 상기 하부구조물을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로 반출하는 반출단계;
    를 더 포함하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14. 중수로상에서 증기발생기가 수용된 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와이어 쏘를 이동시켜 증기발생기를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로 절단하는 절단장치; 및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증기발생기를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로 인양 또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로 반출하는 핸들링장치;
    을 포함하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는,
    중수로상에서 증기발생기가 수용된 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중수로상에 배치되는 제1 고정휠;
    상기 지지프레임상에 배치되는 제2 고정휠;
    상기 지지프레임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변휠;
    상기 제1,2 고정휠 및 가변휠을 연결하는 와이어 쏘; 및
    상기 와이어 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장치베이스;
    상기 장치베이스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후크프레임; 및
    상기 후크프레임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2 후크;
    를 포함하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의 하부구조물을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로 반출하는 제2 핸들링장치;
    를 더 포함하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핸들링장치는,
    상기 중수로상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장치베이스;
    상기 제2 장치베이스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증기발생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증기발생기에 연결되는 서브후크;
    를 포함하는,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장치.





KR1020220086471A 2022-07-13 2022-07-13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및 장치 KR20240009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471A KR20240009241A (ko) 2022-07-13 2022-07-13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471A KR20240009241A (ko) 2022-07-13 2022-07-13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241A true KR20240009241A (ko) 2024-01-22

Family

ID=89716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471A KR20240009241A (ko) 2022-07-13 2022-07-13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241A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특허공개번호 : 특개평8(1996)-4357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3924B2 (ja) 原子炉の炉内構造物の取扱い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装置
US201502283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mantling a nuclear reactor
JP5536583B2 (ja) 壁構造体の切断装置及び切断・解体方法
US8411813B2 (en) Method for carrying out reactor internal
JP2007183278A (ja) 熱交換器の水室に対して作業を行う装置及び方法
US10614925B2 (en) Modular portable cask transfer facility
KR20180022951A (ko) 풍력 터빈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풍력 터빈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시스템
JP6337410B1 (ja) 原子炉圧力容器の解体工法
KR20240009241A (ko) 중수로 증기발생기의 해체방법 및 장치
JP6424437B2 (ja) 原子炉の撤去工法
CN212767836U (zh) 一种废物填埋装置及刚性填埋场
KR102244627B1 (ko) 원자로의 해체 방법
JP4088796B2 (ja) 原子炉圧力容器の解体工法
JP2021196313A (ja) 原子炉機器の解体方法及びその解体装置
JP2011196903A (ja) 原子炉プラットホームおよび原子炉点検方法
JP7308121B2 (ja) 天井クレーンの解体方法
JP2016035439A (ja) 破損した原子炉炉心の解体方法
JP2007271405A (ja) ドライヤセパレータプール上作業床
CN212967140U (zh) 适用于泳池式反应堆燃料装卸的燃料组件定位装置
CN216190308U (zh) 钢梁吊装及临时定位的装置
WO2021109976A1 (zh) 一种立体循环钢卷余料堆放平台
US20230162877A1 (en) Platform and platform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JP3038323B2 (ja) 新燃料検査装置
JPH0333698A (ja) 中性子計測管切断処理システム
Kreitman et al. Steam Dryer Segmentation and Packaging at Grand Gulf Nuclear Station–13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