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918A - 유체 연결 조립체 및 유체 연결 조립체 연결 및 연결 해제 도구 - Google Patents

유체 연결 조립체 및 유체 연결 조립체 연결 및 연결 해제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918A
KR20240008918A KR1020237043298A KR20237043298A KR20240008918A KR 20240008918 A KR20240008918 A KR 20240008918A KR 1020237043298 A KR1020237043298 A KR 1020237043298A KR 20237043298 A KR20237043298 A KR 20237043298A KR 20240008918 A KR20240008918 A KR 20240008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ement member
radially inward
fluid connection
arm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에이. 앤더슨
Original Assignee
외티커 엔와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외티커 엔와이, 인크. filed Critical 외티커 엔와이, 인크.
Publication of KR20240008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9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16L37/091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with a separate member for releasing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유체 연결 조립체는,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관통 보어, 및 홈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을 포함하고, 홈은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제1 구멍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리테이너는, 제1 맞물림 부재로서,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 및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는 제1 구멍을 통해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제1 맞물림 부재, 및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포함하는 제2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맞물림 부재는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에 의해 제1 맞물림 부재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유체 연결 조립체 및 유체 연결 조립체 연결 및 연결 해제 도구
본 개시내용은 유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에 필요한 삽입력을 감소시키고 도구가 필요 없이 신속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유체 커넥터, 유체 연결부, 및 유체 연결 조립체는 많은 용례, 특히 자동차 용례에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자동차 시스템은 라디에이터, 트랜스미션, 엔진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로 구성되기 때문에, 유체는 각각의 구성요소 내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 사이에서도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구성요소 사이를 이동하는 유체의 예는 트랜스미션 유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트랜스미션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기로 이동하는 트랜스미션 유체이다. 유체는 주로 유체 커넥터에 의해 각각의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가요성 또는 강성 호스를 통해 구성요소 사이를 이동한다. 이러한 유체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튜브가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될 때 튜브의 융기된 숄더 후방에 스냅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본체 상에 지지된 유지 클립, 유지 링 클립 또는 스냅 링을 포함한다. 그러나, 조립 프로세스 동안, 커넥터 본체에 유지 클립을 설치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유지 클립을 적절하게 설치하지 않으면 유지 클립의 구조적 무결성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 또한, 튜브를 커넥터 본체에 맞물리게 하고 유지 클립의 반경방향 힘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힘은 현재 설계에서 매우 크다. 또한, 유지 클립은 매우 얇고 작기 때문에, 떨어뜨리거나 제자리에 두지 않으면 잃어버리기 쉽다. 더욱이, 일부 연결 조립체의 해결책은 고정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조립 프로세스를 위한 도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분해를 가능하게 하고, 조립하기가 더 용이하며, 유체 커넥터를 조립하는 데 필요한 삽입력을 감소시키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에 대한 필요성이 오랫동안 있어 왔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유체 연결 조립체가 제공되며, 유체 연결 조립체는,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관통 보어, 및 홈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을 포함하고, 홈은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제1 구멍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리테이너는, 제1 맞물림 부재로서,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 및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는 제1 구멍을 통해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제1 맞물림 부재, 및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포함하는 제2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맞물림 부재는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에 의해 제1 맞물림 부재에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테이너는 홈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은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에 맞접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은 제2 구멍을 더 포함하고, 제2 맞물림 부재는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제2 돌출부는 제2 구멍을 통해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는 제1 축방향을 향하는 제1 표면, 제2 축방향을 향하는 제2 표면, 및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연결하는 제3 표면을 포함하며, 제3 표면은 반경방향 내향을 향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표면은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에 수직이고, 제2 표면은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에 수직이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은 제1 맞물림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아암, 제1 아암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아암, 및 제2 아암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맞물림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3 아암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아암은 제1 맞물림 부재로부터 제1 원주방향으로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고, 제3 아암은 제2 아암으로부터 제1 원주방향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테이너는 제1 맞물림 부재와 제2 맞물림 부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로부터 리테이너를 제거하기 위해, 제1 맞물림 부재 및 제2 맞물림 부재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변위되어 제1 구멍으로부터 제1 돌출부를 맞물림 해제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는 절두원추형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제1 단부와 맞물려 리테이너를 커넥터 본체에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연결 도구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유체 연결 조립체가 제공되며, 유체 연결 조립체는,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관통 보어, 및 홈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을 포함하고, 홈은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리테이너로서, 리테이너는, 제1 맞물림 부재로서,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 및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는 제1 구멍을 통해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제1 맞물림 부재, 및 제2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맞물림 부재는,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 및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제2 돌출부는 제2 구멍을 통해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고, 제2 맞물림 부재는 제1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에 의해 제1 맞물림 부재에 연결되는, 리테이너, 및 숄더를 포함하는 튜브를 포함하고, 로킹 상태에서, 리테이너는 튜브를 커넥터 본체에 고정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킹 상태에서, 리테이너는 홈과 맞물린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킹 상태에서,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은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에 맞접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축방향을 향하는 제1 표면, 제2 축방향을 향하는 제2 표면, 및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연결하는 제3 표면을 포함하며, 제3 표면은 반경방향 내향을 향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표면은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에 수직이고, 제2 표면은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에 수직이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은 제1 맞물림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아암, 제1 아암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아암, 및 제2 아암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맞물림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3 아암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아암은 제1 맞물림 부재로부터 제1 원주방향으로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고, 제3 아암은 제2 아암으로부터 제1 원주방향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테이너는 제1 맞물림 부재를 제2 맞물림 부재에 연결하는 제2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을 더 포함하고, 제1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은 제1 맞물림 부재로부터 제1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은 제1 맞물림 부재로부터 제1 원주방향의 반대쪽인 제2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테이너는 제1 맞물림 부재와 제2 맞물림 부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유체 연결 조립체용 연결 해제 도구가 제공되며, 연결 해제 도구는,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관통 보어, 제1 섹션, 제1 섹션에 연결된 제2 섹션, 제1 섹션과 제2 섹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된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서,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제2 단부로부터 제1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경사 표면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가변 직경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일정한 직경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섹션은 제1 섹션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섹션은 리빙 힌지를 통해 제1 섹션에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빙 힌지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돌출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을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경사 표면은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제1 원주방향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은 반경방향 외향 연장 돌기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기는 구형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은 제1 직경을 포함하고,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은 제2 직경을 포함하며, 제2 직경은 제1 직경과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커넥터 본체, 리테이너, 및 리테이너에 의해 커넥터 본체에 로킹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튜브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용 연결 해제 도구가 제공되며, 연결 해제 도구는,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관통 보어, 제1 섹션, 제1 섹션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섹션, 제1 섹션과 제2 섹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된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서,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제2 단부로부터 제1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돌출부는 커넥터 본체에 대해 리테이너를 반경방향 외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며, 적어도 제1 섹션에 연결되고 제1 경사 표면을 포함하는 제1 돌출부, 및 제2 섹션에 연결되고 제1 돌출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제2 돌출부는 제2 경사 표면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가변 직경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섹션은 리빙 힌지를 통해 제1 섹션에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빙 힌지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돌출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는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을 포함하고, 제1 경사 표면은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제1 원주방향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며, 제2 돌출부는 제3 반경방향 외향 표면을 포함하고, 제2 경사 표면은 제3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제1 원주방향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해제 도구의 관통 보어는 튜브와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은 제1 반경방향 외향 연장 돌기를 포함하고, 제3 반경방향 외향 표면은 제2 반경방향 외향 연장 돌기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기와 제2 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구형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은 제1 직경을 포함하고,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은 제1 직경과 동일한 제2 직경을 포함하며, 제3 반경방향 외향 표면은 제2 직경과 동일한 제3 직경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커넥터 본체, 리테이너, 및 튜브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또는 유체 퀵 커넥터가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테이너는 순응성 플라스틱 리테이너이다. 유체 퀵 커넥터는 조립 프로세스 및/또는 조립 라인 조건 중에 유체 라인의 낮은 힘의 튜브 삽입으로 신속한 연결을 제공한다. 또한, 유체 퀵 커넥터는 낮은 힘의 튜브 제거 프로세스로 용이한 서비스 가능성을 제공한다. 유체 퀵 커넥터는 도구 및 기타 하드웨어에 대한 필요성 없이 유체 라인을 연결하게 하는 조립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리테이너는 낮은 튜브 연결 삽입력 뿐만 아니라 낮은 힘의 제거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유체 퀵 커넥터는 또한 분해 및 서비스 가능성을 허용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는 튜브 숄더로부터 리테이너를 맞물림 해제하기 위해 튜브, 리테이너, 및 커넥터 본체와 맞물리도록 배열된 제거 또는 연결 해제 도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해제 도구는 리테이너의 맞물림 부재를 반경방향 외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경사 표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또한 리테이너의 경사진 유지 치형부(즉, 맞물림 부재)의 전체 간극을 위해 반경방향 외향 표면에 융기된 돌기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해제 도구는 한 손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섹션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섹션을 포함한다. 힌지식 설계는 또한 도구가 튜브와 반경방향으로 맞물리게 한다(즉, 2개의 섹션은 튜브 둘레에 개방되어 배열될 수 있으며, 이 지점에서 2개의 섹션은 튜브 둘레에 함께 폐쇄될 수 있음).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는 커넥터 본체와 맞물려 리테이너가 커넥터 본체에 쉽게 조립되게 하도록 배열된 순응성 유지 링 설치 도구 또는 연결 도구를 더 포함한다. 연결 도구는 반경방향 외향 절두 원추형 표면을 포함하고 커넥터 본체와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리테이너는 연결 도구 위에서 커넥터 본체 위로 활주된다. 연결 도구는 유지 링의 조인트가 완전히 확장되게 하여 유지 링이 커넥터 본체 위로 활주되게 한다.
리테이너는 리테이너가 이동하여 튜브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게 하는, 굴곡 지점과 같은 복수의 조인트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테이너는 각각의 맞물림 부재 또는 치형부와 정렬되어 튜브 및/또는 커넥터 본체로부터 리테이너의 제거 또는 맞물림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루프를 포함한다. 각각의 맞물림 부재 또는 치형부는 튜브가 커넥터 본체에 삽입될 때 튜브 숄더와 맞물리도록 설계된 경사진 표면을 포함한다. 경사진 표면은 또한 낮은 튜브 삽입력을 허용하고 보다 인체 공학적으로 친숙한 조립을 제공한다. 각각의 맞물림 부재는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로킹 위치에서 튜브 숄더와 맞물리는, 경사진 표면 반대쪽의 평탄한 후방 표면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테이너는 일체형 플라스틱 링 형상 설계를 포함한다. 리테이너는 다수의 스타일의 튜브 숄더 유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 및 첨부된 청구범위를 고려하여 본 개시내용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대응하는 참조 부호가 대응하는 부품을 나타내는 첨부된 개략도를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다양한 실시예가 개시되고, 도면에서:
도 1은 로킹 상태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분해 전방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리테이너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리테이너의 정면도이며;
도 4는 일반적으로 도 1의 선 4-4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일반적으로 도 1의 선 5-5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6은 연결 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커넥터 본체와 맞물린 도 6에 도시된 연결 도구의 사시도이며;
도 8은 일반적으로 도 7의 선 8-8을 따라 취한 커넥터 본체와 맞물린 연결 도구의 단면도이고;
도 9a는 연결 해제 도구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연결 해제 도구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10은 유체 연결 조립체와 맞물린 도 9a에 도시된 연결 해제 도구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일반적으로 도 10의 선 11-11을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와 맞물린 연결 해제 도구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일반적으로 도 10의 선 12-12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와 맞물린 연결 해제 도구의 단면도이다.
처음에, 다양한 도면 뷰의 유사한 도면 번호는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조 요소를 식별한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청구범위는 개시된 양태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더욱이, 본 개시내용은 설명된 특정 방법론, 재료 및 수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 자체로 물론 다양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이 이해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유사하거나 등가인 임의의 방법, 디바이스 또는 재료가 예시적인 실시예의 실행 또는 테스트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조립체는 유압 장치, 전자 장치, 공압 장치 및/또는 스프링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거의", "매우 거의", "약", "대략", "쯤", "거의 ~에 달하다", "~에 가깝다", "본질적으로", "~의 근처에", "~의 근방에" 등과 같은 용어와 동의어이고, 이러한 용어는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근접한"이라는 용어는 "인근의", "가까운", "인접한", "이웃한", "아주 가까운", "붙어 있는" 등과 같은 용어와 동의어이며 이러한 용어는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대략"이라는 용어는 특정된 값의 10% 이내의 값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출원에서 "또는"의 사용은 "비배타적" 배열에 관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항목 x는 A 또는 B"라고 말할 때, 이는 다음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음이 이해된다: (1) 항목 x는 A와 B 중 단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이다; (2) 항목 x는 A와 B 모두이다. 달리 말해서, "또는"이라는 단어는 "배타적 논리합" 배열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항목 x는 A 또는 B"라는 진술에 대한 "배타적 논리합" 배열은 x가 A와 B 중 하나만 될 수 있어야 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및/또는"은 인용된 요소 또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거나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문법적 접속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제2 요소 및/또는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다음의 구조적 배열 중 어느 하나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제1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시스템 또는 요소와 조합하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및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이라는 문구는 시스템 또는 요소가 문구 뒤에 나열된 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다음의 구조적 배열 중 어느 하나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제1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되는"이라는 문구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유사한 해석이 의도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및/또는"은 인용된 요소 또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거나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문법적 접속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제2 요소 및/또는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다음의 구조적 배열 중 어느 하나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제1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튜브"라는 용어는 호스, 파이프, 채널, 도관, 튜브 단부 형태, 또는 유압 및 유체 역학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파이프 유동과 동의어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튜브"라는 용어는 기체 또는 액체의 유동을 수용하고 허용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재료의 강성 또는 가요성 도관을 의미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로킹 상태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분해 전방 사시도이다. 유체 연결 조립체(10)는 일반적으로 리테이너(20), 튜브(80) 및 커넥터 본체(40)를 포함한다. 다음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읽어야 한다.
튜브(80)는 단부(82), 섹션(83), 비드 또는 숄더(87), 섹션(89), 단부(92), 및 관통 보어(94)를 포함한다. 관통 보어(94)는 단부(82)로부터 단부(92)까지 튜브(80)를 통해 연장된다. 섹션(83)은 단부(82)와 숄더(87) 사이에 배열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은 단부(82)에 근접한 절두원추형 테이퍼 또는 곡선형 표면을 포함한다(도 4 참조). 숄더(87)는 섹션(83)과 섹션(89) 사이에 배열되고 표면(86)과 표면(88)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8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축방향(AD1)으로 향하는 축방향 표면이고 표면(8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축방향(AD2)으로 향하는 축방향 표면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86)은 숄더(87)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축방향(AD1)에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절두원추형 표면이다. 예를 들어, 표면(86)은 선형 원추형 형상일 수 있고 축방향(AD2)으로 직경이 증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86)은 선형 부분 및 원추형 또는 절두원추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섹션(89)은 숄더(87)와 단부(92) 사이에 배열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90)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90)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포함한다. 튜브(80)는, 구체적으로 단부(82)가 먼저 커넥터 본체(40)에 삽입되도록 배열된다. 튜브(80)는 섹션(83) 또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이 밀봉부(62)와 맞물릴 때까지 커넥터 본체(40)에 삽입된다(도 4 참조). 숄더(87)는 커넥터 본체(40)의 외부에 배열되고 커넥터 본체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 지점에서 리테이너(20)가 조립되어 튜브(80)를 커넥터 본체(40)에 고정시키는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튜브(80)는, 튜브를 커넥터 본체 내에 고정하기 위해, 튜브의 외부 표면에서 반경방향 외향 및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드, 반경방향 외향 연장 돌기 또는 플랜지, 또는 경사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임의의 전통적인 튜브 또는 튜브 단부 형태일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브(80)는 금속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브(80)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브(80)는 세라믹을 포함한다.
도 3a는 리테이너(20)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b는 리테이너(2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일반적으로 도 1의 선 4-4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반적으로 도 1의 선 5-5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다음 설명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읽어야 한다.
리테이너(20)는 대체로 링 형상이고 구멍(21) 및 복수의 맞물림 부재, 예를 들어 맞물림 부재(22A-D)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테이너(20)는 연속적인 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테이너(20)는 금속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테이너(20)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테이너(20)는 세라믹을 포함한다.
맞물림 부재(22A)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23A) 및 반경방향 내향 표면(23A)으로부터 반경방향(RD2)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돌출부(24A)를 포함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23A)은 커넥터 본체(40)와 맞물리고 구체적으로 홈(54)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53)에 맞접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돌출부(24A)는 커넥터 본체(40)의 구멍, 예를 들어 구멍(55A)을 통해 연장되어 튜브(80)의 숄더(87)와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돌출부(24A)는 축방향 표면(25A), 반경방향 내향 표면(26A), 및 축방향 표면(27A)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25A)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23A)에 수직하지 않고, 즉, 표면(25A)은 축방향(AD1)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된다(도 2 및 도 4에 가장 잘 도시됨). 표면(25A)의 각도는 커넥터 본체(40) 내로 튜브(80)를 삽입하는 동안 맞물림 부재(22A), 및 리테이너(20)의 반경방향 외향 확장을 촉진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27A)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23A)에 수직이며, 이는 튜브(80)가 커넥터 본체(4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26A)은 표면(25A)과 표면(27A)을 연결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26A)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23A)에 평행하고 및/또는 표면(27A)에 수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맞물림 부재(22A)는 이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는 후크 또는 루프(28A)를 더 포함한다. 후크(28A)는 맞물림 부재(22A)를 반경방향 외향으로 변위시켜 튜브(80)의 숄더(87) 및/또는 커넥터 본체(40)의 구멍(55A)과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즉, 도구는 후크(28A)를 반경방향(RD2)으로 당기는데 사용될 수 있음).
맞물림 부재(22A)는 복수의 아암, 예를 들어 아암(29A, 30A, 31A)을 통해 맞물림 부재(22B)에 연결된다. 아암(29A)은 맞물림 부재(22A)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암(29A)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23A)으로부터 원주방향(CD1)으로 반경방향 외향 연장된다. 아암(30A)은 아암(29A)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로부터 원주방향(CD1)으로 연장된다. 아암(31A)은 아암(30A)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로부터 원주방향(CD1)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된다. 아암(31A)은 또한 맞물림 부재(22B)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피봇 가능한 연결부는 힌지, 리빙 힌지,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으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아암(29A)은 리빙 힌지를 통해 맞물림 부재(22A)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아암(30A)은 리빙 힌지를 통해 아암(29A)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아암(31A)은 리빙 힌지를 통해 아암(30A)에 연결되고, 아암(31A)은 리빙 힌지를 통해 맞물림 부재(22B)에 연결된다. 맞물림 부재(22A)는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을 통해 맞물림 부재(22B)에 연결되므로, 맞물림 부재(22A)와 맞물림 부재(22B)는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맞물림 부재(22B)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23B) 및 반경방향 내향 표면(23B)으로부터 반경방향(RD2)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돌출부(24B)를 포함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23B)은 커넥터 본체(40)와 맞물리고 구체적으로 홈(54)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53)에 맞접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돌출부(24B)는 커넥터 본체(40)의 구멍, 예를 들어 구멍(55B)을 통해 연장되어 튜브(80)의 숄더(87)와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돌출부(24B)는 축방향 표면(25B), 반경방향 내향 표면(26B), 및 축방향 표면(27B)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25B)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23B)에 수직하지 않고, 즉, 표면(25B)은 축방향(AD1)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된다(돌출부(24A)와 실질적으로 유사함). 표면(25B)의 각도는 커넥터 본체(40) 내로 튜브(80)를 삽입하는 동안 맞물림 부재(22B), 및 리테이너(20)의 반경방향 외향 확장을 촉진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27B)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23B)에 수직이며, 이는 튜브(80)가 커넥터 본체(4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26B)은 표면(25B)과 표면(27B)을 연결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26B)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23B)에 평행하고 및/또는 표면(27B)에 수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맞물림 부재(22B)는 이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는 후크 또는 루프(28B)를 더 포함한다. 후크(28B)는 맞물림 부재(22B)를 반경방향 외향으로 변위시켜 튜브(80)의 숄더(87) 및/또는 커넥터 본체(40)의 구멍(55B)과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즉, 도구는 후크(28B)를 반경방향(RD2)으로 당기는데 사용될 수 있음).
맞물림 부재(22B)는 복수의 아암, 예를 들어 아암(29B, 30B, 31B)을 통해 맞물림 부재(22C)에 연결된다. 아암(29B)은 맞물림 부재(22B)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암(29B)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23B)으로부터 원주방향(CD1)으로 반경방향 외향 연장된다. 아암(30B)은 아암(29B)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로부터 원주방향(CD1)으로 연장된다. 아암(31B)은 아암(30B)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로부터 원주방향(CD1)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된다. 아암(31B)은 또한 맞물림 부재(22C)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피봇 가능한 연결부는 힌지, 리빙 힌지,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으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아암(29B)은 리빙 힌지를 통해 맞물림 부재(22B)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아암(30B)은 리빙 힌지를 통해 아암(29B)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아암(31B)은 리빙 힌지를 통해 아암(30B)에 연결되고, 아암(31B)은 리빙 힌지를 통해 맞물림 부재(22C)에 연결된다. 맞물림 부재(22B)는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을 통해 맞물림 부재(22C)에 연결되므로, 맞물림 부재(22B)와 맞물림 부재(22C)는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맞물림 부재(22C)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23C) 및 반경방향 내향 표면(23C)으로부터 반경방향(RD2)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돌출부(24C)를 포함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23C)은 커넥터 본체(40)와 맞물리고 구체적으로 홈(54)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53)에 맞접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돌출부(24C)는 커넥터 본체(40)의 구멍, 예를 들어 구멍(55C)을 통해 연장되어 튜브(80)의 숄더(87)와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돌출부(24C)는 축방향 표면(25C), 반경방향 내향 표면(26C), 및 축방향 표면(27C)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25C)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23C)에 수직하지 않고, 즉, 표면(25C)은 축방향(AD1)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된다(도 2 및 도 4에 가장 잘 도시됨). 표면(25C)의 각도는 커넥터 본체(40) 내로 튜브(80)를 삽입하는 동안 맞물림 부재(22C), 및 리테이너(20)의 반경방향 외향 확장을 촉진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27C)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23C)에 수직이며, 이는 튜브(80)가 커넥터 본체(4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26C)은 표면(25C)과 표면(27C)을 연결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26C)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23C)에 평행하고 및/또는 표면(27C)에 수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맞물림 부재(22C)는 이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는 후크 또는 루프(28C)를 더 포함한다. 후크(28C)는 맞물림 부재(22C)를 반경방향 외향으로 변위시켜 튜브(80)의 숄더(87) 및/또는 커넥터 본체(40)의 구멍(55C)과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즉, 도구는 후크(28C)를 반경방향(RD2)으로 당기는데 사용될 수 있음).
맞물림 부재(22C)는 복수의 아암, 예를 들어 아암(29C, 30C, 31C)을 통해 맞물림 부재(22D)에 연결된다. 아암(29C)은 맞물림 부재(22C)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암(29C)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23C)으로부터 원주방향(CD1)으로 반경방향 외향 연장된다. 아암(30C)은 아암(29C)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로부터 원주방향(CD1)으로 연장된다. 아암(31C)은 아암(30C)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로부터 원주방향(CD1)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된다. 아암(31C)은 또한 맞물림 부재(22D)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피봇 가능한 연결부는 힌지, 리빙 힌지,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으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아암(29C)은 리빙 힌지를 통해 맞물림 부재(22C)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아암(30C)은 리빙 힌지를 통해 아암(29C)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아암(31C)은 리빙 힌지를 통해 아암(30C)에 연결되고, 아암(31C)은 리빙 힌지를 통해 맞물림 부재(22D)에 연결된다. 맞물림 부재(22C)는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을 통해 맞물림 부재(22D)에 연결되므로, 맞물림 부재(22C)와 맞물림 부재(22D)는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맞물림 부재(22D)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23D) 및 반경방향 내향 표면(23D)으로부터 반경방향(RD2)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돌출부(24D)를 포함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23D)은 커넥터 본체(40)와 맞물리고 구체적으로 홈(54)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53)에 맞접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돌출부(24D)는 커넥터 본체(40)의 구멍, 예를 들어 구멍(55D)을 통해 연장되어 튜브(80)의 숄더(87)와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돌출부(24D)는 축방향 표면(25D), 반경방향 내향 표면(26D), 및 축방향 표면(27D)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25D)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23D)에 수직하지 않고, 즉, 표면(25D)은 축방향(AD1)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된다(도 2 및 도 4에 가장 잘 도시됨). 표면(25D)의 각도는 커넥터 본체(40) 내로 튜브(80)를 삽입하는 동안 맞물림 부재(22D), 및 리테이너(20)의 반경방향 외향 확장을 촉진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27D)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23D)에 수직이며, 이는 튜브(80)가 커넥터 본체(4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26D)은 표면(25D)과 표면(27D)을 연결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26D)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23D)에 평행하고 및/또는 표면(27D)에 수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맞물림 부재(22D)는 이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는 후크 또는 루프(28D)를 더 포함한다. 후크(28D)는 맞물림 부재(22D)를 반경방향 외향으로 변위시켜 튜브(80)의 숄더(87) 및/또는 커넥터 본체(40)의 구멍(55D)과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즉, 도구는 후크(28D)를 반경방향(RD2)으로 당기는데 사용될 수 있음).
맞물림 부재(22D)는 복수의 아암, 예를 들어 아암(29D, 30D, 31D)을 통해 맞물림 부재(22A)에 연결된다. 아암(29D)은 맞물림 부재(22D)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암(29D)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23D)으로부터 원주방향(CD1)으로 반경방향 외향 연장된다. 아암(30D)은 아암(29D)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로부터 원주방향(CD1)으로 연장된다. 아암(31D)은 아암(30D)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로부터 원주방향(CD1)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된다. 아암(31D)은 또한 맞물림 부재(22A)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피봇 가능한 연결부는 힌지, 리빙 힌지,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으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아암(29D)은 리빙 힌지를 통해 맞물림 부재(22D)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아암(30D)은 리빙 힌지를 통해 아암(29D)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아암(31D)은 리빙 힌지를 통해 아암(30D)에 연결되고, 아암(31D)은 리빙 힌지를 통해 맞물림 부재(22A)에 연결된다. 맞물림 부재(22D)는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을 통해 맞물림 부재(22A)에 연결되므로, 맞물림 부재(22D)와 맞물림 부재(22A)는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40)는 단부(42)로부터 단부(44)까지 연장되는 관통 보어(41), 반경방향 내향 표면(46), 반경방향 내향 표면(48), 홈(50), 반경방향 외향 표면(52), 홈(54), 헤드(58) 및 반경방향 외향 표면(60)을 포함한다. 커넥터 본체(40)는 유체로 채워지거나 유체가 유동하는 구성요소에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 본체(40)는 외부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60)을 통해 냉동 압축기 또는 트랜스미션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40)는 (예를 들어, 렌치를 사용하여) 헤드(58)를 통해 압축기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그 다음 냉매 유체로 채워진다. 몇몇 실시예에서, 헤드(58)는 육각형이다; 그러나, 헤드(58)는 커넥터 본체(40)에 토크를 인가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기하형상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유체 커넥터(10), 구체적으로 커넥터 본체(40)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는 응축기, 증발기 또는 펌프이다. 유체 커넥터(10)는 유체 연결이 요구되는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 조립체 및 서브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60)은 홈(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 또는 O-링(64)이 홈(56)에 배열되어 커넥터 본체(40)와 이 커넥터 본체가 연결되는 구성요소 사이에 유밀식 밀봉부를 생성한다.
밀봉부(62)는 커넥터 본체(40)에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밀봉부(62)는 홈(50)에 배열된다. 홈(50)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48)에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밀봉부(62)는 O-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46)은 단부(44)로부터 표면(47)까지 연장되는 원통형 표면이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46)은 표면(47)을 통해 반경방향 내향 표면(48)에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47)은 대체로 원통형의 반경방향 내향 표면(46)과 대체로 원통형의 반경방향 내향 표면(48)을 연결하는 절두원추형 표면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47)은 축방향(AD2)으로 향하는 축방향 표면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48)은 단부(42)로부터 표면(47)까지 연장되는 원통형 표면이다.
홈(54)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52)에 배열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53)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53)의 직경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52)의 직경보다 작다. 홈(54)은 단부(44)와 헤드(58)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54)은 헤드(58)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홈(54)은 리테이너(20), 특히 반경방향 내향 표면(23A-D)과 맞물려 리테이너(20)를 커넥터 본체(40)에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홈(54)은 적어도 하나의 구멍, 예를 들어 구멍(55A-D)을 더 포함한다. 구멍(55A-D)은 맞물림 부재(22A-D), 구체적으로 돌출부(24A-D)와 각각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어, 리테이너(20)가 숄더(87)와 맞물려 커넥터 본체(40) 내에 튜브(80)를 로킹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40)는 금속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40)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40)는 세라믹을 포함한다.
유체 연결 조립체(10)를 조립하기 위해, 리테이너(20)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23A-D)이 홈(54)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53)과 맞물리고 돌출부(24A-D)가 구멍(55A-D)과 맞물리도록 커넥터 본체(40) 상에 배열된다(도 4 및 도 5 참조). 리테이너(20)는, 표면(25A-D)이 축방향(AD1)을 향하고 표면(27A-D)이 축방향(AD2)을 향하도록 배향되어야 한다. 커넥터 본체(40) 상에 리테이너(20)를 조립하기 위해, 맞물림 부재(22A-D)는, 돌출부(24A-D)가 반경방향 외향 표면(52)을 통과하고, 이 지점에서 리테이너(20)가 축방향(AD1)으로 커넥터 본체(40) 위로 활주되도록 반경방향(RD1)으로 반경방향 외향 변위되어야 한다.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반경방향 확장을 위해 후크(28A-D)와 맞물리는 도구 또는 도구(100)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튜브(80)는 축방향(AD1)으로 단부(82)가 먼저 커넥터 본체(40)에 삽입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은 밀봉부(62)와 맞물리고 섹션(83)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48)에 근접한 커넥터 본체(40)의 내부에 배열된다. 숄더(87)가 돌출부(24A-D)의 표면(25A-D)과 맞물림에 따라, 맞물림 부재(22A-D)를 반경방향(RD1)으로 반경방향 외향으로 강제한다. 숄더(87)가 반경방향 내향 표면(26A-D)을 통과하면(즉, 돌출부(24A-D)와 표면(47)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되면), 맞물림 부재(22A-D)는 반경방향(RD2)으로 반경방향 내향으로 탄성 복귀되어 로킹 상태를 형성한다. 로킹 상태에서, 숄더(87)는 표면(47) 및 표면(27A-D)과 맞물린다. 표면(47)은 숄더(87) 및 따라서 튜브(80)가 축방향(AD1)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고, 표면(27A-D)은 숄더(87) 및 따라서 튜브(80)가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2)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커넥터 본체(40) 및 튜브(80)와 리테이너(20)의 맞물림은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반경방향(RD1 및 RD2) 뿐만 아니라 축방향(AD1 및 AD2)으로 튜브(80)의 변위를 방지한다. 유체 연결 조립체(10)를 로킹 해제하기 위해, 맞물림 부재(22A-D)는 반경방향(RD1)으로 반경방향 외향 변위되어 돌출부(24A-D)가 숄더(87)와 맞물림 해제되고, 이 지점에서 튜브(80)가 커넥터 본체(40)로부터 제거될 수 있을 때까지 리테이너(20)를 확장시킨다.
도 6은 연결 또는 조립 도구(10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커넥터 본체(40)와 맞물린 연결 도구(10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일반적으로 도 7의 선 8-8을 따라 취한 커넥터 본체(40)와 맞물린 연결 도구(100)의 단면도이다. 다음 설명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읽어야 한다.
연결 도구(100)는 일반적으로 단부(102), 단부(104), 및 단부(102)로부터 단부(104)까지 연장되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106)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106)은 절두원추형이고 축방향(AD1)으로 직경이 증가한다. 따라서, 단부(102)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106)의 직경은 단부(104)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106)의 직경보다 크다. 연결 도구(100)는 단부(102)로부터 축방향(AD1)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08)를 더 포함한다. 돌출부(108)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110)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110)은 단부(102)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106)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도구(100)는 관통 구멍(101)을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통 구멍(101)은 절두원추형이다(도 8 참조). 몇몇 실시예에서, 관통 구멍(101)은 원통형이다.
연결 도구(100)는 리테이너(20)가 커넥터 본체(40)에 조립될 수 있도록 커넥터 본체(40)와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도 7 및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도구(100)는 단부(102)가 단부(44)에 맞접할 때까지 돌출부(108)를 관통 보어(41) 내에 삽입함으로써 커넥터 본체(40)와 맞물린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110)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46)과 맞물리거나 맞접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부(102)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106)의 직경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52)의 직경보다 크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부(102)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106)의 직경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52)의 직경과 동일하다. 완전히 맞물리면, 리테이너(20)는 축방향(AD1)으로 연결 도구(100)를 따라 활주된다. 리테이너(20)가 연결 도구(100)를 따라 축방향(AD1)으로 변위됨에 따라, 돌출부(24A-D), 구체적으로 반경방향 내향 표면(26A-D)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106)과 맞물림으로써, 맞물림 부재(22A-D)를 반경방향(RD1)으로 반경방향 외향 변위시킨다. 리테이너(20)가 단부(102)에 도달하면, 반경방향 내향 표면(26A-D)이 반경방향 외향 표면(52)을 통과하고 리테이너(20)가 홈(54) 내로 활주될 수 있도록 확장된다. 리테이너(20)가 홈(54) 내에 적절하게 위치 설정되면, 연결 도구(100)는 커넥터 본체(40)에서 제거될 수 있고, 이어서 튜브(80)가 커넥터 본체(4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9a는 연결 해제 도구(120)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9b는 연결 해제 도구(120)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유체 연결 조립체(10)와 맞물린 연결 해제 도구(120)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반적으로 도 10의 선 11-11을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10)와 맞물린 연결 해제 도구(120)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반적으로 도 10의 선 12-12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10)와 맞물린 연결 해제 도구(120)의 단면도이다. 다음 설명은 도 1 내지 도 5 및 도 9a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읽어야 한다.
연결 해제 도구(120)는 일반적으로 섹션(120A), 섹션(120B), 단부(122), 단부(124), 반경방향 외향 표면(128), 및 관통 보어(121)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섹션(120B)은, 예를 들어 힌지식 연결부(126)를 통해 섹션(120A)에 힌지식으로 또는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힌지식 연결부(126)는, 예를 들어 힌지, 리빙 힌지, 또는 피봇 가능한 연결을 위한 일부 다른 수단일 수 있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128)은 단부(122)로부터 단부(124)까지 연장된다. 섹션(120A 및 120B) 사이의 힌지식 연결부는 연결 해제 도구(120)가 단부(92)로부터 축방향으로 활주되는 것과 달리 튜브(80)와 반경방향으로 맞물리게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식 연결부(126)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128) 또는 섹션(120A-B)으로부터 반경방향(RD1)으로 반경방향 외향 돌출한다. 달리 말하면, 힌지식 연결부(126)는 섹션(120A-B)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외향 표면(128)은 단차식이다(즉, 직경이 다양함).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128)은 일정한 직경을 포함한다. 단부(122)에 근접하여, 반경방향 외향 표면(128)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146)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포함한다. 더욱이, 관통 보어(121)의 직경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90)의 직경보다 크다. 이는 단부(122)가 커넥터 본체(40)와 튜브(80) 사이에서, 구체적으로 반경방향 내향 표면(146)과 반경방향 외향 표면(90)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활주되어 돌출부(24A-D)와 맞물리게 한다.
연결 해제 도구(120)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 예를 들어 돌출부(130)를 더 포함한다. 돌출부(130)는 축방향(AD1)으로 단부(122)로부터 연장되고 돌출부(24A-D)와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각각의 돌출부(130)는 경사부 또는 원주방향 경사 표면(132) 및 반경방향 외향 표면(134)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134)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128)과 반경방향으로 정렬된다(즉, 반경방향 외향 표면(134)의 직경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128)의 직경과 동일함). 경사부(132)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134)으로부터 관통 보어(121)까지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경사부(132)의 직경은 원주방향(CD1)으로 감소한다(도 12 참조). 경사부(132)는 돌출부(124A-D)와 맞물려 맞물림 부재(122A-D)를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키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134)은 그로부터 돌출하는 돌기(136)를 더 포함한다. 돌기(136)는 돌출부(124A-D)와 맞물려 맞물림 부재(122A-D)를 반경방향 외향으로 더 변위시켜 숄더(87) 및/또는 구멍(55A-B)을 통과하도록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기(136)는 형상이 구형이다.
유체 연결 조립체(10)가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 본체(40)로부터 튜브(80)를 연결 해제하기 위해, 연결 해제 도구(120)는 먼저 튜브(80), 구체적으로 반경방향 외향 표면(90)과 동심으로 맞물리고, 돌출부(130)는 축방향(AD1)으로 커넥터 본체(40)를 향하게 된다. 이는 연결 해제 도구(120)를 단부(92)로부터 튜브(80) 위로 축방향으로 활주시키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섹션(120B)을 섹션(120A)으로부터 멀어지게 변위시킨 다음, 관통 보어(121)가 반경방향 외향 표면(90)과 맞물리도록 튜브(80) 둘레에 연결 해제 도구(120)를 반경방향으로 위치 설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연결 해제 도구(120)는 돌출부(130)가 돌출부(24A-D)와 맞물릴 때까지 축방향(AD1)으로 튜브(80)를 따라 변위된다. "맞물림"이라 함은 돌출부(130)가 도 1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4A-D)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그 후, 연결 해제 도구(120)는 경사부(132)가 돌출부(24A-D)와 맞물리도록 원주방향(CD1)으로 변위된다. 경사부(132)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26A-D)을 반경방향(RD1)으로 반경방향 외향으로 강제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26A-D)이 반경방향 외향 표면(134) 및/또는 돌기(136)와 정렬되어 위치 설정되면, 돌출부(24A-D)는 숄더(87)와 맞물림 해제되고 튜브(80)와 연결 해제 도구(120) 모두가 커넥터 본체(40)로부터 축방향(AD2)으로 제거될 수 있다. 즉, 반경방향 외향 표면(134) 및/또는 돌기(136)의 최외측 직경은 숄더(87)의 최외측 직경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26A-D)이 반경방향 외향 표면(134) 및/또는 돌기(136)와 정렬되고 배열될 때, 리테이너(20)는 홈(54) 및 따라서 커넥터 본체(4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해제 도구(120)는 커넥터 본체(40)로부터 튜브(80)를 로킹 해제할 뿐만 아니라 커넥터 본체(40)로부터 리테이너(20)를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태 및 다른 특징 및 기능, 또는 그 대안이 바람직하게는 많은 다른 여러 시스템 또는 용례에 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현재 예상하지 못하거나 기대하지 못한 다양한 대안, 수정, 변형 또는 개선이 이후에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또한 다음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10 유체 연결 조립체
20 리테이너
20A 섹션
20B 섹션
21 구멍
22A 맞물림 부재
22B 맞물림 부재
22C 맞물림 부재
22D 맞물림 부재
23A 반경방향 내향 표면
23B 반경방향 내향 표면
23C 반경방향 내향 표면
23D 반경방향 내향 표면
24A 돌출부
24B 돌출부
24C 돌출부
24D 돌출부
25A 표면
25B 표면
25C 표면
25D 표면
26A 표면
26B 표면
26C 표면
26D 표면
27A 표면
27B 표면
27C 표면
27D 표면
28A 후크
28B 후크
28C 후크
28D 후크
29A 아암
29B 아암
29C 아암
29D 아암
30A 아암
30B 아암
30C 아암
30D 아암
31A 아암
31B 아암
31C 아암
31D 아암
40 커넥터 본체
41 관통 보어
42 단부
44 단부
46 반경방향 내향 표면
48 반경방향 내향 표면
50 홈
52 반경방향 외향 표면
53 반경방향 외향 표면
54 홈
55A 구멍
55B 구멍
55C 구멍
55D 구멍
56 홈
58 헤드
60 반경방향 외향 표면
62 밀봉부
64 밀봉부
80 튜브
82 단부
83 섹션
84 반경방향 외향 표면
86 표면
87 숄더 또는 비드
88 표면
89 섹션
90 반경방향 외향 표면
92 단부
94 관통 보어
100 연결 도구
101 관통 구멍
102 단부
104 단부
106 반경방향 외향 표면
108 돌출부
110 반경방향 외향 표면
120 연결 해제 도구
120A 섹션
120B 섹션
121 구멍
122 단부
124 단부
126 힌지 또는 힌지식 연결부
128 반경방향 외향 표면
130 돌출부
132 경사부 또는 경사 표면
134 반경방향 외향 표면
136 돌기
AD1 축방향
AD2 축방향
CD1 원주방향
CD2 원주방향
RD1 반경방향
RD2 반경방향

Claims (20)

  1. 유체 연결 조립체이며,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관통 보어; 및
    홈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을 포함하고, 홈은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제1 구멍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리테이너는:
    제1 맞물림 부재로서,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 및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는 제1 구멍을 통해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제1 맞물림 부재; 및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포함하는 제2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맞물림 부재는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에 의해 제1 맞물림 부재에 연결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리테이너는 홈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은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에 맞접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홈은 제2 구멍을 더 포함하고;
    제2 맞물림 부재는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제2 돌출부는 제2 구멍을 통해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제1 돌출부는:
    제1 축방향을 향하는 제1 표면;
    제2 축방향을 향하는 제2 표면; 및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연결하는 제3 표면을 포함하고, 제3 표면은 반경방향 내향을 향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제1 표면은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에 수직이고;
    제2 표면은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에 수직이 아닌, 유체 연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은:
    제1 맞물림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아암;
    제1 아암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아암; 및
    제2 아암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맞물림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3 아암을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제1 아암은 제1 맞물림 부재로부터 제1 원주방향으로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고;
    제3 아암은 제2 아암으로부터 제1 원주방향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리테이너는 제1 맞물림 부재와 제2 맞물림 부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더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로부터 리테이너를 제거하기 위해, 제1 맞물림 부재 및 제2 맞물림 부재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변위되어 제1 구멍으로부터 제1 돌출부를 맞물림 해제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절두원추형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제1 단부와 맞물려 리테이너를 커넥터 본체에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연결 도구를 더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2. 유체 연결 조립체이며,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관통 보어; 및
    홈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을 포함하고, 홈은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리테이너로서, 리테이너는:
    제1 맞물림 부재로서,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 및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는 제1 구멍을 통해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제1 맞물림 부재; 및
    제2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맞물림 부재는: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 및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제2 돌출부는 제2 구멍을 통해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고, 제2 맞물림 부재는 제1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에 의해 제1 맞물림 부재에 연결되는, 리테이너; 및
    숄더를 포함하는 튜브를 포함하고, 로킹 상태에서, 리테이너는 튜브를 커넥터 본체에 고정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로킹 상태에서, 리테이너는 홈과 맞물리는, 유체 연결 조립체.
  14. 제11항에 있어서, 로킹 상태에서,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은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에 맞접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5. 제11항에 있어서,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축방향을 향하는 제1 표면;
    제2 축방향을 향하는 제2 표면; 및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연결하는 제3 표면을 포함하고, 제3 표면은 반경방향 내향을 향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표면은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에 수직이고;
    제2 표면은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에 수직이 아닌, 유체 연결 조립체.
  17. 제11항에 있어서, 제1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은:
    제1 맞물림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아암;
    제1 아암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아암; 및
    제2 아암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맞물림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3 아암을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아암은 제1 맞물림 부재로부터 제1 원주방향으로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고;
    제3 아암은 제2 아암으로부터 제1 원주방향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9. 제17항에 있어서,
    리테이너는 제1 맞물림 부재를 제2 맞물림 부재에 연결하는 제2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을 더 포함하고;
    제1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은 제1 맞물림 부재로부터 제1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복수의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은 제1 맞물림 부재로부터 제1 원주방향의 반대쪽인 제2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20. 제11항에 있어서, 리테이너는 제1 맞물림 부재와 제2 맞물림 부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더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KR1020237043298A 2021-05-19 2021-05-19 유체 연결 조립체 및 유체 연결 조립체 연결 및 연결 해제 도구 KR202400089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21/033112 WO2022245345A1 (en) 2021-05-19 2021-05-19 Fluid connection assembly and fluid connection assembly connect and disconnect too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918A true KR20240008918A (ko) 2024-01-19

Family

ID=7644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298A KR20240008918A (ko) 2021-05-19 2021-05-19 유체 연결 조립체 및 유체 연결 조립체 연결 및 연결 해제 도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41595A1 (ko)
JP (1) JP2024518611A (ko)
KR (1) KR20240008918A (ko)
WO (1) WO2022245345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22574B1 (en) * 2011-06-16 2017-08-30 Togo Seisakusyo Corporation Pipe connector
DE102017119979A1 (de) * 2017-08-31 2019-02-28 Norma Germany Gmbh Verbinder für eine Fluidlei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45345A1 (en) 2022-11-24
EP4341595A1 (en) 2024-03-27
JP2024518611A (ja) 202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79187A1 (en) Fluidic coupling with deformable quick connector
EP1669655A1 (en) Fluid coupling with dual function retention ring
US7891380B2 (en) Protective cap for quick connector
US7874318B2 (en) Plumbing test cap with pivotal latch
US7533908B2 (en) Coupling assembly and retainer for use with same
US20170159863A1 (en) Pipe-fitting with adaptor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US20040103946A1 (en) Coupling assembly having a coupling member removably securable in an apparatus
US10371293B2 (en) Movement-constraining assembly for fluid-conveying system
KR20240008918A (ko) 유체 연결 조립체 및 유체 연결 조립체 연결 및 연결 해제 도구
US20230228355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WO2022245346A1 (en) Disconnect tool for a fluid connection assembly
JP2023547911A (ja) 流体接続アセンブリ
KR20240010567A (ko)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30088919A (ko)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30088918A (ko) 유체 연결 조립체
WO2023101701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with a retainer holder
JP2023507579A (ja) 拡張リング付き流体コネクタ
KR20240013882A (ko)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30122167A (ko) 시각적 연결 확인부를 갖는 변조 방지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30090358A (ko) 유체 연결 조립체
US20230392732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KR20230090359A (ko)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30122168A (ko) 시각적 연결 확인부를 갖는 변조 방지 유체 연결 조립체
CA2176822A1 (en) Quick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