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919A - 유체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유체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919A
KR20230088919A KR1020237017408A KR20237017408A KR20230088919A KR 20230088919 A KR20230088919 A KR 20230088919A KR 1020237017408 A KR1020237017408 A KR 1020237017408A KR 20237017408 A KR20237017408 A KR 20237017408A KR 20230088919 A KR20230088919 A KR 20230088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ng surface
radially
retainer
flange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노위키
크리스티안 제임스 하겐
헤이든 알리스
Original Assignee
외티커 엔와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20/057312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093166A1/en
Application filed by 외티커 엔와이, 인크. filed Critical 외티커 엔와이, 인크.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21/071953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094524A1/en
Publication of KR2023008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a retaining member the extremities of which, e.g. in the form of a U, engage behind a shoulder of both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6Joints tightened by the action of a wedge-shaped hinged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유체 연결 조립체용 리테이너는,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섹션, 제1 섹션에 대해 변위 가능한 제2 섹션, 반경방향 내향 표면,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제1 섹션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 연결 조립체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6월 2일자로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PCT/US2021/035393호 및 2020년 10월 26일자로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PCT/US2020/057312호의 산업 재산권 보호를 위한 파리 조약의 스톡홀름법 4조 및 8조에 따른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유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에 필요한 삽입력을 감소시키고 도구가 필요 없이 신속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더욱 더 상세히는 유체 연결 조립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리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유체 커넥터, 유체 연결부, 및 유체 연결 조립체는 많은 용례, 특히 자동차 용례에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자동차 시스템은 라디에이터, 트랜스미션, 엔진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로 구성되기 때문에, 유체는 각각의 구성요소 내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 사이에서도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구성요소 사이를 이동하는 유체의 예는 트랜스미션 유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트랜스미션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기로 이동하는 트랜스미션 유체이다. 유체는 주로 유체 커넥터에 의해 각각의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가요성 또는 강성 호스를 통해 구성요소 사이를 이동한다. 이러한 유체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튜브가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될 때 튜브의 융기된 숄더 후방에 스냅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본체 상에 지지된 유지 클립, 유지 링 클립 또는 스냅 링을 포함한다. 그러나, 유체 커넥터가 적절하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유지 클립이 관통 돌출되어 튜브와 맞물릴 수 있도록 커넥터 본체에 슬롯 또는 구멍이 기계가공되어야 하며, 이는 추가의 후공정 제조를 필요로 한다. 조립 프로세스 동안, 커넥터 본체에 유지 클립을 설치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유지 클립을 적절하게 설치하지 않으면 유지 클립의 구조적 무결성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 또한, 튜브를 커넥터 본체에 맞물리게 하고 유지 클립의 반경방향 힘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힘은 현재 설계에서 매우 크다. 또한, 유지 클립은 매우 얇고 작기 때문에, 떨어뜨리거나 제자리에 두지 않으면 잃어버리기 쉽다. 더욱이, 일부 연결 조립체의 해결책은 고정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조립 프로세스를 위한 도구를 필요로 한다. 더욱이, 현재 연결 조립체 해결책은 조립체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분해를 가능하게 하고, 후공정 기계가공의 필요성을 제거하며, 유체 커넥터를 조립하는 데 필요한 삽입력을 감소시키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에 대한 필요성이 오랫동안 있어 왔다. 또한, 커넥터 본체와 리테이너에서 튜브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유체 연결 조립체에 대한 필요성이 오랫동안 있어 왔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섹션, 제1 섹션에 대해 변위 가능한 제2 섹션, 반경방향 내향 표면,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제1 섹션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용 리테이너가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테이너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구멍을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는 구멍에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멍은 내부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플랜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플랜지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과 반경방향 내향 표면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되고 그로부터 이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 내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베이스, 베이스에 연결된 샤프트, 및 샤프트에 연결된 헤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는 베이스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아암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아암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에 대해 인디케이터를 반경방향 내향으로 편향시키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와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완전히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헤드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하고, 부분적으로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헤드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테이너는 제1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제1 플랜지, 및 제2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제2 플랜지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는 제2 플랜지에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는 제1 폭을 포함하고, 제2 플랜지는 제2 폭을 포함하며, 제2 폭은 제1 폭보다 크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유체 연결 조립체가 제공되고, 유체 연결 조립체는,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관통 보어, 및 홈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리테이너는, 제3 단부, 제4 단부, 제1 섹션, 제1 섹션에 대해 변위 가능한 제2 섹션, 반경방향 내향 표면,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표면까지 연장되는 구멍, 및 구멍에 활주 가능하게 배열된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멍은 내부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 내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베이스, 베이스에 연결된 샤프트, 및 샤프트에 연결된 헤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는 베이스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아암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아암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에 대해 인디케이터를 반경방향 내향으로 편향시키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와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완전히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헤드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하고, 부분적으로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헤드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테이너는 제1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제1 플랜지, 및 제2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제2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인디케이터는 제2 플랜지에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는 제1 폭을 포함하고, 제2 플랜지는 제2 폭을 포함하며, 제2 폭은 제1 폭보다 크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 및 첨부된 청구범위를 고려하여 본 개시내용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대응하는 참조 부호가 대응하는 부품을 나타내는 첨부된 개략도를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다양한 실시예가 개시되고, 도면에서:
도 1은 완전히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유체 연결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로킹 해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일반적으로 도 1의 선 5-5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일반적으로 도 2의 선 6-6을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7은 일반적으로 도 1의 선 7-7을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처음에, 다양한 도면 뷰의 유사한 도면 번호는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조 요소를 식별한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청구범위는 개시된 양태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더욱이, 본 개시내용은 설명된 특정 방법론, 재료 및 수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 자체로 물론 다양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이 이해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유사하거나 등가인 임의의 방법, 디바이스 또는 재료가 예시적인 실시예의 실행 또는 테스트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조립체는 유압 장치, 전자 장치, 공압 장치 및/또는 스프링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거의", "매우 거의", "약", "대략", "쯤", "거의 ~에 달하다", "~에 가깝다", "본질적으로", "~의 근처에", "~의 근방에" 등과 같은 용어와 동의어이고, 이러한 용어는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근접한"이라는 용어는 "인근의", "가까운", "인접한", "이웃한", "아주 가까운", "붙어 있는" 등과 같은 용어와 동의어이며 이러한 용어는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대략"이라는 용어는 특정된 값의 10% 이내의 값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출원에서 "또는"의 사용은 "비배타적" 배열에 관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항목 x는 A 또는 B"라고 말할 때, 이는 다음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음이 이해된다: (1) 항목 x는 A와 B 중 단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이다; (2) 항목 x는 A와 B 모두이다. 달리 말해서, "또는"이라는 단어는 "배타적 논리합" 배열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항목 x는 A 또는 B"라는 진술에 대한 "배타적 논리합" 배열은 x가 A와 B 중 하나만 될 수 있어야 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및/또는"은 인용된 요소 또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거나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문법적 접속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제2 요소 및/또는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다음의 구조적 배열 중 어느 하나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제1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시스템 또는 요소와 조합하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및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이라는 문구는 시스템 또는 요소가 문구 뒤에 나열된 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다음의 구조적 배열 중 어느 하나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제1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되는"이라는 문구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유사한 해석이 의도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및/또는"은 인용된 요소 또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거나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문법적 접속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제2 요소 및/또는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다음의 구조적 배열 중 어느 하나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제1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튜브"라는 용어는 호스, 파이프, 채널, 도관, 튜브 단부 형태, 또는 유압 및 유체 역학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파이프 유동과 동의어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튜브"라는 용어는 기체 또는 액체의 유동을 수용하고 허용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재료의 강성 또는 가요성 도관을 의미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완전히 조립된 로킹 상태"는 유체 연결 조립체를 지칭하며 튜브가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연결되고 리테이너가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연결되어 튜브를 내부에 유지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부분적으로 조립된 로킹 상태"는 유체 연결 조립체를 지칭하며 리테이너가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연결되었지만 튜브가 커넥터 본체 또는 리테이너에 배열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리테이너는 또한 커넥터 본체 및 튜브와 독립적인 리테이너의 상태를 나타내는 "로킹 상태" 또는 "로킹 해제 상태"를 갖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완전히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로킹 상태(즉, 튜브(80)가 제거된 상태)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분해 사시도이다. 유체 연결 조립체(10)는 일반적으로 리테이너(20), 튜브(80), 커넥터 본체(40), 및 인디케이터(100)를 포함한다. 다음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읽어야 한다.
튜브(80)는 단부(82), 섹션(83), 비드 또는 숄더(87), 섹션(89), 단부(82), 및 관통 보어(94)를 포함한다. 관통 보어(94)는 단부(82)로부터 단부(92)까지 튜브(80)를 통해 연장된다. 섹션(183)은 단부(82)와 숄더(87) 사이에 배열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은 단부(82)에 근접한 절두원추형 테이퍼 또는 곡선형 표면을 포함한다(도 5 참조). 숄더(87)는 섹션(83)과 섹션(89) 사이에 배열되고 표면(86)과 표면(88)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8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축방향(AD1)으로 향하는 축방향 표면이고 표면(8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축방향(AD2)으로 향하는 축방향 표면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86)은 숄더(87)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축방향(AD1)에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절두원추형 표면이다. 예를 들어, 표면(86)은 선형 원추형 형상일 수 있고 축방향(AD2)으로 직경이 증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86)은 선형 부분 및 원추형 또는 절두원추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섹션(89)은 숄더(87)와 단부(92) 사이에 배열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90)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90)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포함한다. 튜브(80)는, 구체적으로 단부(82)가 먼저 커넥터 본체(40)에 삽입되도록 배열된다. 튜브(80)는 섹션(83) 또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이 밀봉부(62)와 맞물릴 때까지 커넥터 본체(40)에 삽입된다(도 5 참조). 숄더(87)는 단부(44)와 맞물리고, 더 구체적으로 표면(86)은 단부(44)에 맞접하고 및/또는 맞물리며, 이 지점에서 리테이너(20)는 튜브(80)를 커넥터 본체(40)에 고정하도록 조립되는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튜브(80)는, 튜브를 커넥터 본체 내에 고정하기 위해, 튜브의 외부 표면에서 반경방향 외향 및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드, 반경방향 외향 연장 돌기 또는 플랜지, 또는 경사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임의의 전통적인 튜브 또는 튜브 단부 형태일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브(80)는 금속, 폴리머, 및/또는 세라믹을 포함한다.
도 4는 로킹 해제 상태에서 리테이너(2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반적으로 도 1의 선 5-5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반적으로 도 2의 선 6-6을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반적으로 도 1의 선 7-7을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단면도이다. 다음 설명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읽어야 한다.
리테이너(120)는 일반적으로 섹션(20A), 섹션(20B), 단부(22), 단부(24), 단부(22)로부터 단부(24)까지 연장되는 구멍(21), 반경방향 외향 표면(26), 및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섹션(20A)은, 예를 들어 힌지(34)를 통해 섹션(20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힌지(34)는 리빙 힌지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섹션(20A)은 섹션(20B)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다. 섹션(20A 및 20B)이 연결되거나 리테이너(20)가 로킹 상태에 있을 때(도 1 내지 도 3), 그 사이에 구멍(21)이 형성된다; 그러나, 로킹 해제 상태(도 4)에서도, 섹션(20A 및 20B) 각각은 각각의 구멍(21)을 포함한다고 말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은 단부(22)로부터 연장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52)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은 그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플랜지(30)를 포함한다. 플랜지(30)는 단부(22)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플랜지(30)는 홈(54)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고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52)과 맞물려 리테이너(20)를 커넥터 본체(40)에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은 그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플랜지(32)를 더 포함한다. 플랜지(32)는 단부(24)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플랜지(32)는 숄더(87)와 맞물려 튜브(80)를 커넥터 본체(40)에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플랜지(30)는 폭(W2)을 포함하고 플랜지(32)는 폭(W3)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폭(W3)은 폭(W2)보다 크다.
도 5에서 가장 잘 확인되는 바와 같이, 플랜지(32)는 제1 거리만큼 플랜지(3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홈(54)은 제2 거리만큼 단부(44)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숄더(87)는 제3 거리와 동일한 폭을 포함한다. 제1 거리는 제2 거리와 제3 거리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설계는, 리테이너(20)가 커넥터 본체(40) 및 튜브(80)에 연결될 때, 플랜지(32)가 표면(88)에 맞접하게 할 뿐만 아니라 표면(86)이 단부(44)에 맞접하게 한다(즉, 리테이너(20)가 숄더(87)를 단부(44)에 클램핑함).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거리는 제2 거리와 제3 거리의 합보다 작다. 이는 숄더(87)와 커넥터 본체(40)가 함께 압착되거나 클램핑되게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거리는 숄더(87)가 커넥터 본체(40)와 맞물리거나 근접하게 되도록 제2 거리와 제3 거리의 합보다 크다. 추가로, 플랜지(30)는 폭(W2)을 포함하고 홈(54)은 폭(W1)을 포함하며, 폭(W2)은 폭(W1)보다 작다. 이와 같이, 리테이너(20)가 튜브(80) 없이 커넥터 본체(40)에 연결될 때, 리테이너(20)는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1) 및 축방향(AD2)으로 활주되거나 변위될 수 있다. 튜브(80)가 리테이너(20)에 의해 커넥터 본체(40)에 적절하게 고정될 때, 리테이너(20)는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1) 및 축방향(AD2)으로 변위될 수 없다. 이 특징은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연결 상태에 대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며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폭(W2)은 폭(W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플랜지(32)는 제1 직경을 포함하고 숄더(87)는 제2 직경을 포함한다. 제1 직경은 제2 직경보다 작고, 따라서 숄더(87)가 커넥터 본체(40)로부터 제거되거나 튜브(80)가 축방향(AD2)으로 변위되거나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회전(즉, 굽힘 모멘트)되는 것을 방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은 제2 직경과 동일한 제3 직경을 포함하며, 이는 숄더(87)가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반경방향(RD1) 또는 반경방향(RD2)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한다.
섹션(20A)은 수형 커넥터(36)를 포함하고 섹션(20B)은 암형 커넥터(38)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섹션(20A) 상의 수형 커넥터(36)는 섹션(20A, 20B)이 고정식으로 고정되도록 섹션(20B) 상의 암형 커넥터(38)와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형 커넥터(36)는 후크 형상(반경방향 외향 방향으로)이고 홈(36A) 및 돌출부(36B)를 포함한다. 홈(36A)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26)에 배열된다. 돌출부(36B)는 홈(36A)으로부터 반경방향(RD1)으로 대체로 반경방향 외향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36B)는 돌출부(36B)와 암형 커넥터(38), 구체적으로 구멍(38A)의 맞물림이 더 쉽게 발생하게 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반경방향 최외측 단부 근방의 테이퍼형 섹션을 포함한다.
암형 커넥터(38)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26)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구멍(38A)을 포함한다. 구멍(38A)은 돌출부(36B)와 맞물려 섹션(20B)을 섹션(20A)에 로킹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암형 커넥터(38)는 리세스(38B)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세스(38B)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에 배열된다(즉,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됨). 섹션(20B)이 섹션(20A)을 향해 변위됨에 따라, 암형 커넥터(38)는 돌출부(36B)와 맞물리고 반경방향(RD1)으로 반경방향 외향 변위된다. 구멍(38A)이 돌출부(36B)와 정렬되면, 암형 커넥터(38)는 반경방향(RD2)에서 반경방향 내향으로 다시 스냅됨으로써, 섹션(20B)을 섹션(20A)에 고정시킨다.
리테이너(20)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26)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구멍(70)을 더 포함한다. 구멍(70)은 플랜지(32) 상에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멍(70)은 플랜지(32)의 단부들(즉, 단부(24)와 반경방향 내향 표면(28))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그로부터 이격된다. 구멍(70)은 축방향 표면(72A) 및 축방향 표면(72B)을 포함한다. 플랜지(74A)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26)과 플랜지(32)의 반경방향 내향 표면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된다. 플랜지(74A)는 축방향(AD2)으로 축방향 표면(72A)으로부터 연장된다. 플랜지(74B)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26)과 플랜지(32)의 반경방향 내향 표면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된다. 플랜지(74B)는 축방향(AD1)으로 축방향 표면(72B)으로부터 연장된다. 도 5 및 도 6에서 가장 잘 확인되는 바와 같이, 플랜지(74A)와 플랜지(74B) 사이에 축방향 공간이 존재한다. 도면은 섹션(20A) 상에 배열된 구멍(70)을 예시하지만, 몇몇 실시예에서 구멍(70)은 섹션(20B) 상에 배열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섹션(20A 및 20B) 모두가 구멍(70)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테이너(20)는 금속, 폴리머, 및/또는 세라믹을 포함한다.
인디케이터 또는 인디케이터 탭(100)은 리테이너(20)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구체적으로 인디케이터(100)는 구멍(70)에 활주 가능하게 배열된다. 인디케이터(100)는 베이스(102), 샤프트(104), 및 헤드(106)를 포함한다. 샤프트(104)는 베이스(102)에 고정식으로 고정된 제1 단부 및 헤드(106)에 고정식으로 고정된 제2 단부를 포함한다. 샤프트(104)는 축방향(AD1) 및 축방향(AD2)으로 베이스(102)의 폭보다 작고 헤드(106)의 폭보다 작은 폭을 포함한다(도 5 및 도 6 참조). 이와 같이, 레지(108A-B)가 샤프트(104)의 축방향 측면 상에 형성된다. 레지(108A-B)는 플랜지(74A-B)와 각각 맞물려 인디케이터(100)가 반경방향(RD2)에서 리테이너(2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샤프트(104)는 플랜지(74A, 74B) 사이에 활주 가능하게 배열된다. 인디케이터(100)는 베이스(102) 및/또는 아암(110A-B)에 의해 반경방향(RD1)으로 리테이너(20)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암(110A)은 베이스(102)의 제1 단부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축방향 표면(72A)과 맞물린다. 아암(110B)은 베이스(102)의 제2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축방향 표면(72B)과 맞물린다. 아암(110A-B)은 일반적으로 인디케이터(100)를 리테이너(20)에 대해 반경방향(RD2)으로 편향시키는 스프링으로서 작용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100) 및 그 모든 구성요소는 일체로 형성된다.
유체 연결 조립체(10)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조립된 로킹 상태에 있을 때, 아암(110A)은 축방향 표면(72A)과 맞물리고 아암(110B)은 축방향 표면(72B)과 맞물려, 리테이너(100)가 반경방향(RD2)으로 변위되고 레지(108A-B)는 플랜지(74A-B)와 맞물리고 및/또는 맞접된다. 헤드(106)는 리테이너(20)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26)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더욱이, 샤프트(104)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26)의 반경방향 외향에서 보이지 않는다.
유체 연결 조립체(10)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조립된 로킹 상태에 있을 때, 인디케이터(100)는 튜브(80)에 의해 반경방향(RD1)으로 변위됨으로써, 아암(110A-B)이 샤프트(104)를 향해 굽힘되게 한다. 아암(110A)은 축방향 표면(72A) 및 플랜지(74A)와 맞물리고 아암(110B)은 축방향 표면(72B) 및 플랜지(74B)와 맞물린다. 몇몇 실시예에서, 아암(110A-B)은 또한 샤프트(104)와 맞물린다. 아암(110A-B)과 플랜지(74A-B)의 맞물림은 인디케이터(100)가 반경방향(RD1)에서 리테이너(2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헤드(106)는 리테이너(20)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26)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돌출한다. 더욱이, 샤프트(104)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26)의 반경방향 외향에서 보인다. 몇몇 실시예에서, 샤프트(104)는, 샤프트(104)가 리테이너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할 때 쉽게 보이도록 리테이너(20)의 색상과 상이한 색상(예를 들어, 녹색, 황색, 백색 등)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유체 연결 조립체(10)가 완전히 조립된 로킹 상태에 있는 지의 여부를 시각적으로 쉽게 검출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40)는 단부(42)로부터 단부(44)까지 연장되는 관통 보어(41), 반경방향 내향 표면(48), 홈(50), 반경방향 외향 표면(52), 홈(54), 헤드(58) 및 반경방향 외향 표면(60)을 포함한다. 커넥터 본체(40)는 유체로 채워지거나 유체가 유동하는 구성요소에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 본체(40)는 외부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60)을 통해 냉동 압축기 또는 트랜스미션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40)는 (예를 들어, 렌치를 사용하여) 헤드(58)를 통해 압축기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그 다음 냉매 유체로 채워진다. 몇몇 실시예에서, 헤드(58)는 육각형이다; 그러나, 헤드(58)는 커넥터 본체(40)에 토크를 인가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기하형상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유체 커넥터(10), 구체적으로 커넥터 본체(40)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는 응축기, 증발기 또는 펌프이다. 유체 연결 조립체(10)는 유체 연결이 요구되는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 조립체 및 서브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60)은 홈(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 또는 O-링(64)이 홈(56)에 배열되어 커넥터 본체(40)와 이 커넥터 본체가 연결되는 구성요소 사이에 유밀식 밀봉부를 생성한다. 밀봉부(62)는 커넥터 본체(40)에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밀봉부(62)는 홈(50)에 배열되어 튜브(80)(즉,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와 맞물린다. 홈(50)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48)에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밀봉부(62)는 O-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48)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표면이다. 단부(44)는 숄더(87)와 맞물리도록, 구체적으로 튜브(80)가 축방향(AD1)으로 축방향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홈(54)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52)에 배열된다. 홈(54)은 단부(44)와 헤드(58)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홈(54)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45), 표면(46), 및 표면(47)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45)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5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포함한다. 표면(46)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45)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고 축방향(AD1)으로 향한다. 표면(47)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45)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고 축방향(AD2)으로 향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46) 및/또는 표면(47)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45)에 수직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54)은 단부(44)와 헤드(58)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그로부터 이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홈(54)은 헤드(58)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홈(54)은 플랜지(30)와 맞물려 리테이너(20)를 커넥터 본체(40)에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홈(54)은 플랜지(30)의 폭(W2)보다 큰 폭(W1)을 포함한다. 부분적으로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튜브(80)가 적절하게 연결되지 않거나 전혀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리테이너(20)가 커넥터 본체(40)에 연결될 때, 플랜지(30) 및 따라서 리테이너(20)는 홈(54), 및 따라서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1) 및 축방향(AD2)으로 변위 가능하다(즉, 플랜지(30)는 표면(46)과 표면(47) 사이에서 앞뒤로 활주될 수 있음). 이는 유체 연결 조립체(10)가 적절하게 조립되지 않았다는 표시를 제공한다. 리테이너(20)가 튜브(80)가 적절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커넥터 본체(40)에 연결될 때, 플랜지(30) 및 따라서 리테이너(20)는 홈(54), 및 따라서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1) 및 축방향(AD2)으로 변위될 수 없다(즉, 플랜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46)에 맞접함).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40)는 금속, 폴리머, 및/또는 세라믹을 포함한다.
유체 연결 조립체(10)를 조립하기 위해, 튜브(80)는 축방향(AD1)으로 단부(82)가 먼저 커넥터 본체(40)에 삽입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은 밀봉부(62)와 맞물리고 섹션(83)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48)에 근접한 커넥터 본체(40)의 내부에 배열된다. 숄더(87)는 커넥터 본체(40)의 단부(44)와 맞물리며, 구체적으로 표면(86)은 단부(44)에 맞접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숄더(87)는 완전히 커넥터 본체(40)의 외부에 존재한다. 이어서, 리테이너(20)는 커넥터 본체(40)와 튜브(80) 모두 위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섹션(20A 및 20B)은 플랜지(30)가 홈(54)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고 플랜지(32)가 표면(88)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도록 커넥터 본체(40) 위에 배열된다. 섹션(20A 및 20B)은 암형 커넥터(38)가 수형 커넥터(36)와 완전히 맞물리고 리테이너(20)가 로킹 상태에 있을 때까지 서로를 향해 반경방향 내향으로(즉, 반경방향(RD2)으로) 변위된다. 추가로, 베이스(102)는 튜브(80), 구체적으로 반경방향 외향 표면(90)과 맞물림으로써, 인디케이터(100)를 리테이너(20)에 대해 반경방향(RD1)으로 변위시킨다.
완전히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플랜지(30)는 홈(54)과 맞물리고,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52)과 맞물리며, 플랜지(32)는 튜브(80)의 숄더(87)와 맞물리고, 베이스(102)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90)과 맞물리며, 헤드(106) 및 샤프트(104)는 리테이너(20)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26)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돌출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완전히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플랜지(30)는 표면(46)에 맞접하고, 플랜지(32)는 표면(88)에 맞접하며, 표면(86)은 단부(44)에 맞접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완전히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플랜지(30)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45)에 맞접하고, 따라서 커넥터 본체(40)에 대한 리테이너(20)의 반경방향 또는 원주방향 변위를 방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랜지(32)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90)과 맞물린다. 튜브(80)와 커넥터 본체(40)의 맞물림은 튜브(80)의 축방향(AD1)으로의 축방향 변위를 방지하고 리테이너(20)와 커넥터 본체(40) 및 튜브(80)의 맞물림은 커넥터 본체(40)에 대한 튜브(80)의 축방향(AD2) 및 반경방향(RD1 및 RD2)으로의 축방향 변위를 방지한다.
분해하기 위해, 암형 커넥터(38)는 구멍(38A)이 돌출부(36B)와 맞물림 해제될 때까지 수형 커넥터(36)에 대해 반경방향(RD1)으로 반경방향 외향 변위된다. 그 후, 섹션(20A 및 20B)은 숄더(87)로부터 플랜지(32)를 맞물림 해제하기 위해 분리되며, 이 지점에서 튜브(80)는 커넥터 본체(4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추가로, 아암(110A-B)은, 헤드(106) 및 샤프트(104)가 더 이상 반경방향 외향 표면(26)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돌출하지 않도록 리테이너(20)에 대해 반경방향(RD2)으로 인디케이터(100)를 강제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태 및 다른 특징 및 기능, 또는 그 대안이 바람직하게는 많은 다른 여러 시스템 또는 용례에 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현재 예상하지 못하거나 기대하지 못한 다양한 대안, 수정, 변형 또는 개선이 이후에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또한 다음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10 유체 연결 조립체
20 리테이너
20A 섹션
20B 섹션
21 구멍
22 단부
24 단부
26 반경방향 외향 표면
28 반경방향 내향 표면
30 플랜지
32 플랜지
34 힌지
36 수형 커넥터
36A 홈
36B 돌출부
38 암형 커넥터
38A 구멍
38B 리세스
40 커넥터 본체
41 관통 보어
42 단부
44 단부
45 반경방향 외향 표면
46 축방향 표면
47 축방향 표면
48 반경방향 내향 표면
50 홈
52 반경방향 외향 표면
54 홈
56 홈
58 헤드
60 반경방향 외향 표면
62 밀봉부
64 밀봉부
70 구멍
72A 축방향 표면
72B 축방향 표면
74A 플랜지
74B 플랜지
80 튜브
82 단부
83 섹션
84 반경방향 외향 표면
86 표면
87 숄더 또는 비드
88 표면
89 섹션
90 반경방향 외향 표면
92 단부
94 관통 보어
100 인디케이터
102 베이스
104 샤프트
106 헤드
108A 레지
108B 레지
110A 아암
110B 아암
AD1 축방향
AD2 축방향
RD1 반경방향
RD2 반경방향
W1 폭
W2 폭
W3 폭

Claims (20)

  1. 유체 연결 조립체용 리테이너이며,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섹션;
    제1 섹션에 대해 변위 가능한 제2 섹션;
    반경방향 내향 표면;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제1 섹션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리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구멍을 더 포함하는, 리테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인디케이터는 구멍에 배열되는, 리테이너.
  4. 제3항에 있어서, 구멍은 내부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플랜지를 포함하는, 리테이너.
  5.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플랜지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과 반경방향 내향 표면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되고 그로부터 이격되는, 리테이너.
  6. 제4항에 있어서, 인디케이터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 내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베이스;
    베이스에 연결된 샤프트; 및
    샤프트에 연결된 헤드를 포함하는, 리테이너.
  7. 제6항에 있어서,
    인디케이터는 베이스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아암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아암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에 대해 인디케이터를 반경방향 내향으로 편향시키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리테이너.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와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리테이너.
  9. 제6항에 있어서,
    완전히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헤드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돌출하고;
    부분적으로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헤드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돌출하지 않는, 리테이너.
  10.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제1 플랜지; 및
    제2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하는 제2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리테이너.
  11. 제10항에 있어서, 인디케이터는 제2 플랜지에 배열되는, 리테이너.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 플랜지는 제1 폭을 포함하고;
    제2 플랜지는 제2 폭을 포함하며;
    제2 폭은 제1 폭보다 큰, 리테이너.
  13. 유체 연결 조립체이며,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관통 보어; 및
    홈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리테이너는:
    제3 단부;
    제4 단부;
    제1 섹션;
    제1 섹션에 대해 변위 가능한 제2 섹션;
    반경방향 내향 표면;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
    제2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표면까지 연장되는 구멍; 및
    구멍에 활주 가능하게 배열된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구멍은 내부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인디케이터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 내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베이스;
    베이스에 연결된 샤프트; 및
    샤프트에 연결된 헤드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인디케이터는 베이스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아암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아암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에 대해 인디케이터를 반경방향 내향으로 편향시키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와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8. 제15항에 있어서,
    완전히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헤드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돌출하고;
    부분적으로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헤드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돌출하지 않는, 유체 연결 조립체.
  19. 제13항에 있어서, 리테이너는:
    제1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제1 플랜지; 및
    제2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하는 제2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인디케이터는 제2 플랜지에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제1 플랜지는 제1 폭을 포함하고;
    제2 플랜지는 제2 폭을 포함하며;
    제2 폭은 제1 폭보다 큰, 유체 연결 조립체.
KR1020237017408A 2020-10-26 2021-10-21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300889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20/057312 WO2022093166A1 (en) 2020-10-26 2020-10-26 Fluid connection assembly
USPCT/US2020/057312 2020-10-26
USPCT/US2021/035393 2021-06-02
PCT/US2021/035393 WO2022093323A1 (en) 2020-10-26 2021-06-02 Fluid connection assembly
PCT/US2021/071953 WO2022094524A1 (en) 2020-10-26 2021-10-21 Fluid connection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919A true KR20230088919A (ko) 2023-06-20

Family

ID=8699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408A KR20230088919A (ko) 2020-10-26 2021-10-21 유체 연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58290A1 (ko)
EP (1) EP4232739A1 (ko)
JP (1) JP2023548298A (ko)
KR (1) KR20230088919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48298A (ja) 2023-11-16
US20230258290A1 (en) 2023-08-17
EP4232739A1 (en)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2607A (en) Quick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 confirming feature
US20230228355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KR20230088919A (ko)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30093460A (ko)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30088918A (ko)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30090358A (ko)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40010567A (ko)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40013882A (ko)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30090359A (ko) 유체 연결 조립체
US20230392732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KR20230122167A (ko) 시각적 연결 확인부를 갖는 변조 방지 유체 연결 조립체
WO2023196021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WO2023101701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with a retainer holder
WO2022093331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WO2022265676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WO2023009163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KR20240008918A (ko) 유체 연결 조립체 및 유체 연결 조립체 연결 및 연결 해제 도구
KR20230122168A (ko) 시각적 연결 확인부를 갖는 변조 방지 유체 연결 조립체
WO2022245346A1 (en) Disconnect tool for a fluid connection assembly
KR20220110311A (ko) 내부 유지 클립을 포함하는 유체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