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882A - 유체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유체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882A
KR20240013882A KR1020237045049A KR20237045049A KR20240013882A KR 20240013882 A KR20240013882 A KR 20240013882A KR 1020237045049 A KR1020237045049 A KR 1020237045049A KR 20237045049 A KR20237045049 A KR 20237045049A KR 20240013882 A KR20240013882 A KR 20240013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lly inward
fluid connection
connection assembly
connector body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안 제임스 하겐
카리 앤 사우센
라이언 질리크
Original Assignee
외티커 엔와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21/035393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093323A1/en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21/071953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094524A1/en
Application filed by 외티커 엔와이, 인크. filed Critical 외티커 엔와이, 인크.
Publication of KR20240013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a retaining member the extremities of which, e.g. in the form of a U, engage behind a shoulder of both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유체 연결 조립체는,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관통 보어, 환형 홈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 및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리테이너는, 제3 단부, 제4 단부, 제1 섹션, 제1 섹션에 대해 변위 가능한 제2 섹션, 제3 반경방향 내향 표면, 제3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고 환형 홈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제1 플랜지, 및 제3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 연결 조립체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10월 21일자로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PCT/US2021/071953호 및 2021년 6월 2일자로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PCT/US2021/035393호의 산업 재산권 보호를 위한 파리 조약의 스톡홀름법 4조 및 8조에 따른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들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유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에 필요한 삽입력을 감소시키고 도구가 필요 없이 구성요소의 신속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본체와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냉동 시스템용 유체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유체 커넥터, 유체 연결부, 및 유체 연결 조립체는 많은 용례, 특히 자동차 및 산업 용례에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냉동 시스템은 압축기, 공기 냉각기, 응축기, 수액기, 증발기 또는 칠러, 및/또는 흡입 드럼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로 구성되므로, 유체는 각각의 구성요소 내부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 간에도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유체는 주로 유체 커넥터에 의해 각각의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가요성 또는 강성 호스를 통해 구성요소 사이를 이동한다. 이러한 유체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튜브가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될 때 튜브의 융기된 숄더 후방에 스냅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본체 상에 지지된 유지 클립, 유지 링 클립 또는 스냅 링을 포함한다. 그러나, 유체 커넥터가 적절하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유지 클립이 관통 돌출되어 튜브와 맞물릴 수 있도록 커넥터 본체에 슬롯 또는 구멍이 기계가공되어야 하며, 이는 추가의 후공정 제조를 필요로 한다. 조립 프로세스 동안, 커넥터 본체에 유지 클립을 설치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유지 클립을 적절하게 설치하지 않으면 유지 클립의 구조적 무결성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 또한, 튜브를 커넥터 본체에 맞물리게 하고 유지 클립의 반경방향 힘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힘은 현재 설계에서 매우 크다. 또한, 유지 클립은 매우 얇고 작기 때문에, 떨어뜨리거나 제자리에 두지 않으면 잃어버리기 쉽다. 더욱이, 일부 연결 조립체의 해결책은 고정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조립 프로세스를 위한 도구를 필요로 한다. 더욱이, 현재 연결 조립체 해결책은 조립체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신속한 조립, 분해를 가능하게 하고, 후공정 기계가공의 필요성을 제거하며, 유체 커넥터를 조립하는 데 필요한 삽입력을 감소시키는 커넥터 본체 및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냉동 시스템용 유체 연결 조립체에 대한 필요성이 오랫동안 있어 왔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유체 연결 조립체가 제공되고, 유체 연결 조립체는,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관통 보어, 환형 홈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 및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리테이너는, 제3 단부, 제4 단부, 제1 섹션, 제1 섹션에 대해 변위 가능한 제2 섹션, 제3 반경방향 내향 표면, 제3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고 환형 홈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제1 플랜지, 및 제3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환형 홈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환형 홈은 제1 환형 홈, 및 제1 환형 홈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2 환형 홈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밀봉부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홈에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은 나사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는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 사이에 배열된 제4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더 포함하고, 제4 반경방향 내향 표면의 직경은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 및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 둘 모두보다 작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는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제4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연결하는 축방향 표면을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는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제4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연결하는 절두원추형 표면을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는 제3 단부에 바로 근접하여 배열되고, 제2 플랜지는 제4 단부에 바로 근접하여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는 제1 직경을 포함하고, 제2 플랜지는 제2 직경을 포함하며, 제1 직경은 제2 직경보다 크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는 숄더를 포함하는 튜브를 더 포함하고, 리테이너는 튜브를 커넥터 본체에 고정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는 복수의 포트를 포함하는 서비스 밸브 본체를 더 포함하고, 커넥터 본체는 복수의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유체 연결 조립체가 제공되고, 유체 연결 조립체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고, 커넥터 본체는,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관통 보어, 환형 홈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 및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 사이에 배열된 제3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포함하고, 제3 반경방향 내향 표면은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 둘 모두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는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리테이너는, 제3 단부, 제4 단부, 제1 섹션, 제1 섹션에 대해 변위 가능한 제2 섹션, 제4 반경방향 내향 표면, 제4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고 환형 홈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제1 플랜지, 및 제4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는 제3 단부에 바로 근접하여 배열되고, 제2 플랜지는 제4 단부에 바로 근접하여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는 제1 직경을 포함하고, 제2 플랜지는 제2 직경을 포함하며, 제1 직경은 제2 직경보다 크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은 제1 환형 홈, 및 제1 환형 홈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2 환형 홈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은 나사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는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제3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연결하는 축방향 표면을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는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제3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연결하는 절두원추형 표면을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산업용 냉매 용례를 위한 연결 용이성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납땜 또는 솔더 조인트의 필요성을 제거하는 서비스 포트 퀵 커넥트 본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은 조작자에 의해 유도되는 품질 실패 및/또는 누설 가능성과, 시스템을 연결하는 시간량을 감소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서비스 포트는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퀵 커넥터 본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퀵 커넥터 본체는 서비스 포트와 나사 결합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퀵 커넥터 본체는 하나 이상의 O-링과 플라스틱 리테이너를 수용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튜브 비드는 퀵 커넥트 본체 플랜지에 맞접하고 리테이너는 비드와 퀵 커넥트 본체 플랜지를 폐쇄하여 튜브를 유지하고 튜브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현장에서 시스템을 서비스하기 위해, 리테이너는 서비스 기술자에 의해 제공되는 교체 부품일 수 있다. 작은 픽/도구를 사용하여, 리테이너의 래치를 비틀어 개방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 및 첨부된 청구범위를 고려하여 본 개시내용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대응하는 참조 부호가 대응하는 부품을 나타내는 첨부된 개략도를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다양한 실시예가 개시되고, 도면에서:
도 1a는 유체 연결 조립체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유체 연결 조립체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로킹 해제 상태에서 도 1a에 도시된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일반적으로 도 1a의 선 4-4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처음에, 다양한 도면 뷰의 유사한 도면 번호는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조 요소를 식별한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청구범위는 개시된 양태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더욱이, 본 개시내용은 설명된 특정 방법론, 재료 및 수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 자체로 물론 다양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이 이해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유사하거나 등가인 임의의 방법, 디바이스 또는 재료가 예시적인 실시예의 실행 또는 테스트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조립체는 유압 장치, 전자 장치, 공압 장치 및/또는 스프링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거의", "매우 거의", "약", "대략", "쯤", "거의 ~에 달하다", "~에 가깝다", "본질적으로", "~의 근처에", "~의 근방에" 등과 같은 용어와 동의어이고, 이러한 용어는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근접한"이라는 용어는 "인근의", "가까운", "인접한", "이웃한", "아주 가까운", "붙어 있는" 등과 같은 용어와 동의어이며 이러한 용어는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대략"이라는 용어는 특정된 값의 10% 이내의 값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출원에서 "또는"의 사용은 "비배타적" 배열에 관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항목 x는 A 또는 B"라고 말할 때, 이는 다음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음이 이해된다: (1) 항목 x는 A와 B 중 단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이다; (2) 항목 x는 A와 B 모두이다. 달리 말해서, "또는"이라는 단어는 "배타적 논리합" 배열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항목 x는 A 또는 B"라는 진술에 대한 "배타적 논리합" 배열은 x가 A와 B 중 하나만 될 수 있어야 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및/또는"은 인용된 요소 또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거나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문법적 접속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제2 요소 및/또는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다음의 구조적 배열 중 어느 하나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제1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시스템 또는 요소와 조합하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및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이라는 문구는 시스템 또는 요소가 문구 뒤에 나열된 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다음의 구조적 배열 중 어느 하나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제1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되는"이라는 문구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유사한 해석이 의도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및/또는"은 인용된 요소 또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거나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문법적 접속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튜브"라는 용어는 호스, 파이프, 채널, 도관, 튜브 단부 형태, 또는 유압 및 유체 역학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파이프 유동과 동의어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튜브"라는 용어는 기체 또는 액체의 유동을 수용하고 허용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재료의 강성 또는 가요성 도관을 의미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완전히 조립된 로킹 상태"는 유체 연결 조립체를 지칭하며 튜브가 서비스 밸브 본체에 완전히 연결되고 리테이너가 서비스 밸브 본체에 완전히 연결되어 튜브를 내부에 유지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부분적으로 조립된 로킹 상태"는 유체 연결 조립체를 지칭하며 리테이너가 서비스 밸브 본체에 완전히 연결되었지만 튜브가 서비스 밸브 본체 또는 리테이너에 배열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리테이너는 또한 서비스 밸브 본체 및 튜브와 독립적인 리테이너의 상태를 나타내는 "로킹 상태" 또는 "로킹 해제 상태"를 갖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a는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b는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분해 사시도이다. 유체 연결 조립체(10)는 일반적으로 리테이너(20), 튜브(80), 커넥터 본체(40), 및 서비스 밸브 본체(100)를 포함한다. 다음 설명은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읽어야 한다.
튜브(80)는 단부(82), 섹션(83), 비드 또는 숄더(87), 섹션(89), 단부(82), 및 관통 보어(94)를 포함한다. 관통 보어(94)는 단부(82)로부터 단부(92)까지 튜브(80)를 통해 연장된다. 섹션(183)은 단부(82)와 숄더(87) 사이에 배열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은 단부(82)에 근접한 절두원추형 테이퍼 또는 곡선형 표면을 포함한다(도 4 참조). 숄더(87)는 섹션(83)과 섹션(89) 사이에 배열되고 표면(86)과 표면(88)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8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축방향(AD1)으로 향하는 축방향 표면이고 표면(8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축방향(AD2)으로 향하는 축방향 표면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86)은 숄더(87)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축방향(AD1)에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절두원추형 표면이다. 예를 들어, 표면(86)은 선형 원추형 형상일 수 있고 축방향(AD2)으로 직경이 증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86)은 선형 부분 및 원추형 또는 절두원추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섹션(89)은 숄더(87)와 단부(92) 사이에 배열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90)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90)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포함한다. 튜브(80)는, 구체적으로 단부(82)가 먼저 커넥터 본체(40)에 삽입되도록 배열된다. 튜브(80)는 섹션(83) 또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이 밀봉부(62A-B)와 맞물릴 때까지 커넥터 본체(40)에 삽입된다(도 4 참조). 숄더(87)는 단부(44)와 맞물리고, 더 구체적으로 표면(86)은 단부(44)에 맞접하고 및/또는 맞물리며, 이 지점에서 리테이너(20)는 튜브(80)를 서비스 밸브 본체(100)에 고정하도록 조립되는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튜브(80)는, 튜브를 커넥터 본체 내에 고정하기 위해, 튜브의 외부 표면에서 반경방향 외향 및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드, 반경방향 외향 연장 돌기 또는 플랜지, 또는 경사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임의의 전통적인 튜브 또는 튜브 단부 형태일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브(80)는 금속, 폴리머, 및/또는 세라믹을 포함한다.
도 3은 로킹 해제 상태에서 리테이너(20)의 사시도이다. 리테이너(20)는 로킹 상태에서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1a의 선 4-4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단면도이다. 다음 설명은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읽어야 한다.
리테이너(20)는 일반적으로 섹션(20A), 섹션(20B), 단부(22), 단부(24), 단부(22)로부터 단부(24)까지 연장되는 구멍(21), 반경방향 외향 표면(26), 및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섹션(20A)은, 예를 들어 힌지(34)를 통해 섹션(20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힌지(34)는 리빙 힌지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섹션(20A)은 섹션(20B)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다. 섹션(20A 및 20B)이 연결되거나 리테이너(20)가 로킹 상태에 있을 때(도 1a 내지 도 2), 그 사이에 구멍(21)이 형성된다; 그러나, 로킹 해제 상태(도 3)에서도, 섹션(20A 및 20B) 각각은 각각의 구멍(21)을 포함한다고 말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은 단부(22)로부터 단부(24)까지 연장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52)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은 그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플랜지(30)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랜지(30)는 단부(22)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플랜지(30)는 홈(54)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고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52)과 맞물려 리테이너(20)를 커넥터 본체(40)에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플랜지(30)는 직경(D1)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은 그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플랜지(32)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랜지(32)는 단부(24)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플랜지(32)는 숄더(87)와 맞물려 튜브(80)를 커넥터 본체(40)에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플랜지(32)는 직경(D2)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직경(D1)은 직경(D2)보다 크다.
도 4에서 가장 잘 확인되는 바와 같이, 플랜지(32)는 제1 거리만큼 플랜지(3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홈(54)은 제2 거리만큼 단부(44)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숄더(87)는 제3 거리와 동일한 폭을 포함한다. 제1 거리는 제2 거리와 제3 거리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설계는, 리테이너(20)가 커넥터 본체(40) 및 튜브(80)에 연결될 때, 플랜지(32)가 표면(88)에 맞접하게 할 뿐만 아니라 표면(86)이 단부(44)에 맞접하게 한다(즉, 리테이너(20)가 숄더(87)를 단부(44)에 클램핑함).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거리는 제2 거리와 제3 거리의 합보다 작다. 이는 숄더(87)와 커넥터 본체(40)가 함께 압착되거나 클램핑되게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거리는 숄더(87)가 커넥터 본체(40)와 맞물리거나 근접하게 되도록 제2 거리와 제3 거리의 합보다 크다. 추가로, 플랜지(30)는 제1 폭을 포함하고 홈(54)은 제2 폭을 포함하며, 제2 폭은 제1 폭보다 크다. 이와 같이, 리테이너(20)가 내부에 배열된 튜브(80) 없이 커넥터 본체(40)에 연결될 때, 리테이너(20)는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1) 및 축방향(AD2)으로 활주되거나 변위될 수 있다. 튜브(80)가 리테이너(20)에 의해 커넥터 본체(40)에 적절하게 고정될 때, 리테이너(20)는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1) 및 축방향(AD2)으로 변위될 수 없다. 이 특징은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연결 상태에 대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며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폭은 제2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32)는 숄더(87)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D2)을 포함한다. 이러한 설계는 숄더(87)가 커넥터 본체(40)로부터 제거되거나 튜브(80)가 축방향(AD2)으로 변위되거나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회전(즉, 굽힘 모멘트)되는 것을 방지한다. 튜브(80)는 커넥터 본체(40) 및 리테이너(20)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여전히 회전할 수 있다.
섹션(20A)은 수형 커넥터(36)를 포함하고 섹션(20B)은 암형 커넥터(38)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섹션(20A) 상의 수형 커넥터(36)는 섹션(20A, 20B)이 고정식으로 고정되도록 섹션(20B) 상의 암형 커넥터(38)와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형 커넥터(36)는 후크 형상(반경방향 외향 방향)이고 홈(36A) 및 하나 이상의 반경방향 외향 연장 돌출부(36B)를 포함한다. 홈(36A)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26)에 배열된다. 돌출부(36B)는 홈(36A)으로부터 반경방향(RD1)으로 대체로 반경방향 외향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36B)는 돌출부(36B)와 암형 커넥터(38), 구체적으로 구멍(38A)의 맞물림이 더 쉽게 발생하게 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반경방향 최외측 단부 근방에 테이퍼형 섹션을 포함한다.
암형 커넥터(38)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26)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38A)을 포함한다. 구멍(38A)은 돌출부(36B)와 맞물려 섹션(20B)을 섹션(20A)에 로킹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암형 커넥터(38)는 리세스(38B)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세스(38B)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에 배열된다(즉,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됨). 섹션(20B)이 섹션(20A)을 향해 변위됨에 따라, 암형 커넥터(38)는 돌출부(36B)와 맞물리고 반경방향(RD1)으로 반경방향 외향 변위된다. 구멍(38A)이 돌출부(36B)와 정렬되면, 암형 커넥터(38)는 반경방향(RD2)에서 반경방향 내향으로 다시 스냅됨으로써, 섹션(20B)을 섹션(20A)에 고정시킨다.
서비스 밸브 본체(100)는 일반적으로 섹션 또는 튜브(102), 섹션 또는 튜브(118), 및 섹션 또는 튜브(130)를 포함하여 복수의 포트, 예를 들어 포트(108), 포트(110), 포트(124), 및 포트(136)를 형성한다. 섹션(102), 섹션(118), 섹션(130)은 모든 포트(108, 110, 124 및 136)가 유체 연통하도록 연결된다. 섹션(102)은 포트(108)를 형성하는 단부(104) 및 포트(110)를 형성하는 단부(110)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108)와 포트(110)는 동심으로 정렬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포트(108)는 서비스 포트이고 내부에 배열된 밸브 스템 또는 스톱 칼라(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섹션(102)은 단부(104)에 근접한 반경방향 외향 표면에 나사부(112)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캡(160)은 나사부(112)와 나사 결합 가능하게 맞물려 포트(108)를 밀봉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포트(110)는 냉동 시스템의 압축기 또는 열 펌프에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중간 포트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서비스 밸브 본체(100)는 단부(106)에 연결된 플랜지(114)를 포함한다. 플랜지(114)는 서비스 밸브 본체(100)를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압축기)에 고정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116)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포트(108)는 제1 직경을 포함하고, 포트(110)는 제2 직경을 포함하며, 제2 직경은 제1 직경과 동일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포트(108)는 제1 직경을 포함하고, 포트(110)는 제2 직경을 포함하며, 제2 직경은 제1 직경과 동일하지 않다.
섹션(118)은 섹션(102)에 연결된 단부(122) 및 포트(124)를 형성하는 단부(120)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포트(124)는 밸브 포트일 수 있고, 따라서 내부에 밸브(예를 들어, 슈뢰더 밸브(Schroeder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124) 내의 밸브는 서비스 밸브 본체(100) 내, 예를 들어 포트(108, 110, 136) 사이의 유체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섹션(118)은 단부(120)에 근접한 반경방향 외향 표면에 나사부(126)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캡(162)은 나사부(126)와 나사 결합 가능하게 맞물려 포트(124)를 밀봉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124)는 포트(136)와 동심으로 정렬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섹션(118)은 섹션(102)에 수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섹션(118)은 섹션(102)에 대해 수직이 아니다.
섹션(130)은 섹션(102)에 연결된 단부(134) 및 포트(136)를 형성하는 단부(132)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포트(136)는 라인 포트일 수 있고 유체로 채워지거나 유체가 유동하는 구성요소에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포트(136)는 냉매 라인(즉, 튜브(80))에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섹션(130)은 단부(132)에 근접한 반경방향 외향 표면에 나사부(138)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40)는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나사부(138)와 나사 결합 가능하게 맞물린다. 몇몇 실시예에서, 섹션(130)은 섹션(102)에 수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섹션(130)은 섹션(102)에 수직이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부(132)는 절두원추형 또는 곡선형 테이퍼를 포함하고, 섹션(130)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의 직경은 축방향(AD2)으로 감소한다(도 4 참조). 몇몇 실시예에서, 포트(124)는 제1 직경을 포함하고, 포트(136)는 제2 직경을 포함하며, 제2 직경은 제1 직경보다 크다. 몇몇 실시예에서, 포트(124)는 제1 직경을 포함하고, 포트(136)는 제2 직경을 포함하며, 제2 직경은 제1 직경보다 작거나 같다.
커넥터 본체(40)는 단부(42)로부터 단부(44)까지 연장되는 관통 보어(41), 반경방향 내향 표면(46), 홈(50), 반경방향 외향 표면(52), 홈(54), 헤드(58), 및 반경방향 내향 표면(56)을 포함한다. 커넥터 본체(40)는 서비스 밸브 본체(100)에 제거 가능하게 그리고 밀봉식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커넥터 본체(40)는 구체적으로 섹션(130)의 나사부(138)와 반경방향 내향 표면(56) 상의 나사부(60)를 나사 결합 가능하게 맞물림으로써 서비스 밸브 본체(100) 상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40)는 (예를 들어, 렌치를 사용하여) 헤드(58)를 통해 섹션(130) 상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헤드(58)는 육각형이다; 그러나, 헤드(58)는 커넥터 본체(40)에 토크를 인가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기하형상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유체 연결 조립체(10)는 유체 연결이 요구되는 다양한 구성요소, 조립체, 및 서브조립체, 예를 들어 냉동 시스템이나 압축기, 또는 트랜스미션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단부(42)는 섹션(130)에 연결된다. 커넥터 본체(40)는 유체로 채워지거나 유체가 유동하는 구성요소에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 본체(40)는 냉매 라인(즉, 튜브(80))에 연결될 수 있다. 밀봉부(62A-B)는 커넥터 본체(40)에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밀봉부(62A-B)는 홈(50A-B)에 배열되어 튜브(80)(즉,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와 맞물린다. 홈(50A-B)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46)에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밀봉부(62A-B)는 O-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40)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46)에 있는 하나의 홈, 및 그 내부에 배열된 하나의 밀봉부만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46)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표면이다. 단부(44)는 숄더(87)와 맞물리도록, 구체적으로 튜브(80)가 축방향(AD1)으로 축방향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40)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48)을 포함하며, 이 표면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46)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48)은 표면(47)을 통해 반경방향 내향 표면(146)에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47)은 실질적으로 축방향 표면이고 축방향(AD2)을 향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47)은 튜브(80)를 위한 정지부 또는 시트로서 작용함으로써, 튜브(80)가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1)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40)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48)을 반경방향 내향 표면(56)과 연결하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49)을 더 포함한다. 표면(49)은 섹션(130)을 위한 정지부 또는 시트로서 작용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49)은 축방향(AD1)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절두원추형 표면이다(도 4 참조).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56)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46)보다 큰 직경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56)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46)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을 포함한다.
홈(54)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52)에 배열된다. 홈(54)은 단부(44)와 단부(42)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홈(54)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과 2개의 축방향 표면을 포함한다. 홈(54)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5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54)은 단부(44)와 헤드(58)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그로부터 이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홈(54)은 헤드(58)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홈(54)은 플랜지(30)와 맞물려 리테이너(20)를 커넥터 본체(40)에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홈(54)은 플랜지(30)의 폭보다 큰 폭을 포함한다. 부분적으로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튜브(80)가 적절하게 연결되지 않거나 전혀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리테이너(20)가 커넥터 본체(40)에 연결될 때, 플랜지(30) 및 따라서 리테이너(20)는 홈(54), 및 따라서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1) 및 축방향(AD2)으로 변위 가능하다(즉, 플랜지(30)는 홈(54) 내에서 앞뒤로 활주될 수 있음). 이는 유체 연결 조립체(10)가 적절하게 조립되지 않았다는 표시를 제공한다. 리테이너(20)가 튜브(80)가 적절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커넥터 본체(40)에 연결될 때, 플랜지(30) 및 따라서 리테이너(20)는 홈(54), 및 따라서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1) 및 축방향(AD2)으로 변위될 수 없다(또는 그 정도로 변위될 수 없다)(즉, 플랜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54)의 좌측 표면에 맞접함).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40)는 금속, 폴리머, 및/또는 세라믹을 포함한다.
유체 연결 조립체(10)를 조립하기 위해, 커넥터 본체(40)는 서비스 밸브 본체(100), 구체적으로 섹션(130)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 본체(40)는 나사부(60)가 나사부(138)와 맞물리도록 섹션(130) 상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부(132)(또는 그 절두원추형 테이퍼)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49)과 맞물린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부(132)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49)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튜브(80)는 축방향(AD1)으로 단부(82)가 먼저 커넥터 본체(40)에 삽입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은 밀봉부(62A-B)와 맞물리고 섹션(83)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46)에 근접하여 커넥터 본체(40)의 내부에 배열된다. 숄더(87)는 커넥터 본체(40)의 단부(44)와 맞물리며, 구체적으로 표면(86)은 단부(44)에 맞접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숄더(87)는 완전히 커넥터 본체(40)의 외부에 존재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부(82)는 표면(47)에 맞접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부(82)는 표면(47)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어서, 리테이너(20)는 커넥터 본체(40)와 튜브(80) 모두 위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섹션(20A 및 20B)은 플랜지(30)가 홈(54)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고 플랜지(32)가 표면(88)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도록 커넥터 본체(40) 위에 배열된다. 섹션(20A 및 20B)은 암형 커넥터(38)가 수형 커넥터(36)와 완전히 맞물리고 리테이너(20)가 로킹 상태에 있을 때까지 서로를 향해 반경방향 내향으로(즉, 반경방향(RD2)으로) 변위된다. 추가로, 플랜지(32)는 튜브(80), 구체적으로 반경방향 외향 표면(90)과 맞물림으로써, 유체 연결 조립체(10)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완전히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플랜지(30)는 홈(54)과 맞물리고,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52)과 맞물리며, 플랜지(32)는 튜브(80)의 숄더(87)와 맞물린다. 몇몇 실시예에서, 완전히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플랜지(30)는 홈(54)의 좌측 표면에 맞접하고, 플랜지(32)는 표면(88)에 맞접하며, 표면(86)은 단부(44)에 맞접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완전히 조립된 로킹 상태에서, 플랜지(30)는 홈(54)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에 맞접하고, 따라서 커넥터 본체(40)에 대한 리테이너(20)의 반경방향 또는 원주방향 변위를 방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랜지(32)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90)과 맞물린다. 튜브(80)와 커넥터 본체(40)의 맞물림은 튜브(80)의 축방향(AD1)으로의 축방향 변위를 방지하고 리테이너(20)와 커넥터 본체(40) 및 튜브(80)의 맞물림은 커넥터 본체(40)에 대한 튜브(80)의 축방향(AD2) 및 반경방향(RD1 및 RD2)으로의 축방향 변위를 방지한다.
분해하기 위해, 암형 커넥터(38)는 구멍(38A)이 돌출부(36B)와 맞물림 해제될 때까지 수형 커넥터(36)에 대해 반경방향(RD1)으로 반경방향 외향 변위된다. 그 후, 섹션(20A 및 20B)은 숄더(87)로부터 플랜지(32)를 맞물림 해제하기 위해 분리되며, 이 지점에서 튜브(80)는 커넥터 본체(4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태 및 다른 특징 및 기능, 또는 그 대안이 바람직하게는 많은 다른 여러 시스템 또는 용례에 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현재 예상하지 못하거나 기대하지 못한 다양한 대안, 수정, 변형 또는 개선이 이후에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또한 다음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10 유체 연결 조립체
20 리테이너
20A 섹션
20B 섹션
21 구멍
22 단부
24 단부
26 반경방향 외향 표면
28 반경방향 내향 표면
30 플랜지
32 플랜지
34 힌지
36 수형 커넥터
36A 홈
36B 돌출부(들)
38 암형 커넥터
38A 구멍(들)
38B 리세스
40 커넥터 본체
41 관통 보어
42 단부
44 단부
46 반경방향 내향 표면
47 축방향 표면 또는 시트
48 반경방향 내향 표면
49 반경방향 내향 표면
50A 홈
50B 홈
52 반경방향 외향 표면
54 홈
56 반경방향 내향 표면
58 헤드
60 나사부
62A 밀봉부
62B 밀봉부
80 튜브
82 단부
83 섹션
84 반경방향 외향 표면
86 표면
87 숄더 또는 비드
88 표면
89 섹션
90 반경방향 외향 표면
92 단부
94 관통 보어
100 서비스 밸브 본체
102 섹션 또는 튜브
104 단부
106 단부
108 포트 또는 서비스 포트
110 포트 또는 중간 포트
112 나사부
114 플랜지
116 구멍(들)
118 섹션 또는 튜브
120 단부
122 단부
124 포트 또는 밸브 포트
126 나사부
130 섹션 또는 튜브
132 단부
134 단부
136 포트 또는 라인 포트
138 나사부
160 캡
162 캡
AD1 축방향
AD2 축방향
RD1 반경방향
RD2 반경방향
D1 직경
D2 직경

Claims (20)

  1. 유체 연결 조립체이며,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관통 보어;
    환형 홈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 및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리테이너는:
    제3 단부;
    제4 단부;
    제1 섹션;
    제1 섹션에 대해 변위 가능한 제2 섹션;
    제3 반경방향 내향 표면;
    제3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고 환형 홈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제1 플랜지; 및
    제3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환형 홈을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환형 홈은:
    제1 환형 홈; 및
    제1 환형 홈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2 환형 홈을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밀봉부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홈에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은 나사부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는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 사이에 배열된 제4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더 포함하고, 제4 반경방향 내향 표면의 직경은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 및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 둘 모두보다 작은, 유체 연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는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제4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연결하는 축방향 표면을 더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는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제4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연결하는 절두원추형 표면을 더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제1 플랜지는 제3 단부에 바로 근접하여 배열되며;
    제2 플랜지는 제4 단부에 바로 근접하여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제1 플랜지는 제1 직경을 포함하고;
    제2 플랜지는 제2 직경을 포함하며;
    제1 직경은 제2 직경보다 큰, 유체 연결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숄더를 포함하는 튜브를 더 포함하고, 리테이너는 튜브를 커넥터 본체에 고정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포트를 포함하는 서비스 밸브 본체를 더 포함하고, 커넥터 본체는 복수의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3. 유체 연결 조립체이며,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고, 커넥터 본체는: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관통 보어;
    환형 홈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 및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 사이에 배열된 제3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포함하고, 제3 반경방향 내향 표면은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 둘 모두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유체 연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리테이너는:
    제3 단부;
    제4 단부;
    제1 섹션;
    제1 섹션에 대해 변위 가능한 제2 섹션;
    제4 반경방향 내향 표면;
    제4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고 환형 홈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제1 플랜지; 및
    제4 반경방향 내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플랜지는 제3 단부에 바로 근접하여 배열되며;
    제2 플랜지는 제4 단부에 바로 근접하여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제1 플랜지는 제1 직경을 포함하고;
    제2 플랜지는 제2 직경을 포함하며;
    제1 직경은 제2 직경보다 큰, 유체 연결 조립체.
  17. 제13항에 있어서,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은:
    제1 환형 홈; 및
    제1 환형 홈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2 환형 홈을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8. 제13항에 있어서,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은 나사부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9. 제13항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는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제3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연결하는 축방향 표면을 더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20. 제13항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는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제3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연결하는 절두원추형 표면을 더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KR1020237045049A 2021-06-02 2022-04-05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400138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PCT/US2021/035393 2021-06-02
PCT/US2021/035393 WO2022093323A1 (en) 2020-10-26 2021-06-02 Fluid connection assembly
PCT/US2021/071953 WO2022094524A1 (en) 2020-10-26 2021-10-21 Fluid connection assembly
USPCT/US2021/071953 2021-10-21
PCT/US2022/071545 WO2022256757A1 (en) 2021-06-02 2022-04-05 Fluid connection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882A true KR20240013882A (ko) 2024-01-30

Family

ID=8157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5049A KR20240013882A (ko) 2021-06-02 2022-04-05 유체 연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48090A1 (ko)
JP (1) JP2024520641A (ko)
KR (1) KR20240013882A (ko)
WO (1) WO2022256757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90600B1 (it) * 2008-07-08 2011-09-09 Sit La Precisa Spa Con Socio Unico Sistema di connessione a tenuta di gruppi valvolari con rispettive tubazioni, in particolare nell'impiego con gas combustibili
US20170114935A1 (en) * 2014-05-30 2017-04-27 Jiffy-Tite Co., Inc. Fluid connector with full insertion assurance cap disconnect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20641A (ja) 2024-05-24
EP4348090A1 (en) 2024-04-10
WO2022256757A1 (en)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0497B1 (en) Push-to-connect joint assembly with protective shield device and method
US4653291A (en) Coupling mechanism for an expansion device in a refrigeration system
KR20240013882A (ko) 유체 연결 조립체
US9022055B2 (en) Assembling a check valve having a seal
KR20230093460A (ko) 유체 연결 조립체
US20230375113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US7108296B2 (en) Fluid quick connector for threaded fluid components
WO2023196021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WO2022093323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KR20230088919A (ko) 유체 연결 조립체
US20230392732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KR20240010567A (ko)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30122167A (ko) 시각적 연결 확인부를 갖는 변조 방지 유체 연결 조립체
US20230375115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KR20230122168A (ko) 시각적 연결 확인부를 갖는 변조 방지 유체 연결 조립체
WO2023101701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with a retainer holder
WO2022265676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WO2022093331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