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167A - 시각적 연결 확인부를 갖는 변조 방지 유체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시각적 연결 확인부를 갖는 변조 방지 유체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167A
KR20230122167A KR1020237026262A KR20237026262A KR20230122167A KR 20230122167 A KR20230122167 A KR 20230122167A KR 1020237026262 A KR1020237026262 A KR 1020237026262A KR 20237026262 A KR20237026262 A KR 20237026262A KR 20230122167 A KR20230122167 A KR 20230122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fluid connection
connection assembly
facing surface
conne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에이. 앤더슨
카리 앤 사우센
Original Assignee
외티커 엔와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외티커 엔와이, 인크. filed Critical 외티커 엔와이,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122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 F16L37/10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in which the coupling is coaxi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유체 연결 조립체는,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관통 보어,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제1 관통 보어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적어도 하나의 구멍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 본체에 연결된 칼라를 포함하고, 칼라는, 커넥터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섹션, 및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과 맞물리고 그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켓을 포함하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포함하는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제2 섹션은 제1 섹션과 맞물리고 제1 섹션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Description

시각적 연결 확인부를 갖는 변조 방지 유체 연결 조립체
본 개시내용은 유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해를 방지하고 시각적 연결 확인부를 포함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유체 커넥터, 유체 연결부, 및 유체 연결 조립체는 많은 용례, 특히 자동차 용례에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자동차 시스템은 라디에이터, 트랜스미션, 엔진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로 구성되기 때문에, 유체는 각각의 구성요소 내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 사이에서도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구성요소 사이를 이동하는 유체의 예는 트랜스미션 유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트랜스미션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기로 이동하는 트랜스미션 유체이다. 구성요소 사이를 이동하는 유체의 또 다른 예는 냉매를 운반할 수 있는 냉동 라인이다. 냉매는 열 펌프와 냉동 사이클에 사용되는 물질 또는 혼합물, 일반적으로 유체이며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냉매가 누설되지 않게 하도록 냉동 라인용 유체 커넥터를 적절하게 고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유체는 주로 유체 커넥터에 의해 각각의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가요성 또는 강성 호스를 통해 구성요소 사이를 이동한다. 이러한 유체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튜브가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될 때 튜브의 융기된 숄더 후방에 스냅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본체 상에 지지된 유지 클립, 유지 링 클립 또는 스냅 링을 포함한다. 그러나, 조립 프로세스 동안, 커넥터 본체에 유지 클립을 설치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유지 클립을 적절하게 설치하지 않으면 유지 클립의 구조적 무결성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 또한, 튜브를 커넥터 본체에 맞물리게 하고 유지 클립의 반경방향 힘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힘은 현재 설계에서 매우 크다. 또한, 유지 클립은 매우 얇고 작기 때문에, 떨어뜨리거나 제자리에 두지 않으면 잃어버리기 쉽다. 더욱이, 일부 연결 조립체의 해결책은 고정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조립 프로세스를 위한 도구를 필요로 한다.
기존 유체 연결 조립체 설계의 다른 문제는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위험한 냉매 또는 기타 유해한 유체가 환경으로 방출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유체 연결 조립체 설계에는 분해를 방지하기 위한 변조 방지 피처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또한, 현재의 유체 연결 조립체 설계는 유체 연결 조립체를 연결 해제하려는 시도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피처(즉, 변조 검출 피처)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분해를 방지하고, 시각적 연결 확인부 및 변조 검출 피처를 포함하며, 조립에 필요한 삽입력을 감소시키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에 대한 필요성이 오랫동안 있어 왔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유체 연결 조립체가 제공되고, 유체 연결 조립체는,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관통 보어,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제1 관통 보어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적어도 하나의 구멍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 본체에 연결된 칼라를 포함하고, 칼라는, 커넥터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섹션, 및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과 맞물리고 그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켓을 포함하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포함하는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제2 섹션은 제1 섹션과 맞물리고 제1 섹션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킹 해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는 적어도 하나의 포켓과 맞물리고, 로킹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맞물리며 제1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포켓은 제1 원주방향으로 깊이가 증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은 절두원추형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섹션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아암을 더 포함하고, 제2 섹션은 리세스를 더 포함하며, 돌출부는 리세스와 맞물려 유체 연결 조립체의 로킹 해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섹션은 리세스에 배열된 제2 관통 보어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는 제2 관통 보어와 맞물려 돌출부를 반경방향 외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연결부는 제1 섹션과 제2 섹션 사이에 배열되는 스프링 요소를 더 포함하고, 스프링 요소는 유체 연결 조립체를 로킹 상태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섹션은 루프를 더 포함하고, 제2 섹션은 루프와 맞물려 제2 섹션과 제1 섹션을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래치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래치는 루프와 맞물려 제2 섹션과 제1 섹션을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제1 반경방향 내향 부분, 및 제1 반경방향 내향 부분과 완전히 중첩되는 제2 반경방향 외향 부분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킹 해제 상태에서, 제2 섹션은 제1 섹션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로킹 상태에서, 제2 섹션은 제1 섹션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는 칼라를 커넥터 본체에 연결하도록 커넥터 본체의 홈에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유지 링을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는 숄더를 포함하는 튜브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는 숄더와 맞물려 튜브를 커넥터 본체에 고정하도록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숄더는 제1 축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제1 절두원추형 표면, 및 제1 절두원추형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절두원추형 표면을 포함하고, 제2 절두원추형 표면은 제1 축방향으로 직경이 감소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유체 연결 조립체가 제공되고, 유체 연결 조립체는,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관통 보어,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제1 관통 보어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적어도 하나의 구멍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 본체에 연결된 칼라를 포함하고, 칼라는, 커넥터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섹션, 및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과 맞물리고 그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켓을 포함하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포함하는 제2 섹션으로서, 제2 섹션은 제1 섹션과 맞물리고 제1 섹션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제2 섹션, 및 제1 섹션과 제2 섹션 사이에 배열되는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고, 스프링 요소는 유체 연결 조립체를 로킹 상태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킹 해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는 적어도 하나의 포켓과 맞물리고, 로킹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맞물리며 제1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포켓은 제1 원주방향으로 깊이가 증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섹션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아암을 더 포함하고, 제2 섹션은 리세스를 더 포함하며, 돌출부는 리세스와 맞물려 유체 연결 조립체의 로킹 해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섹션은 리세스에 배열된 제2 관통 보어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는 제2 관통 보어와 맞물려 돌출부를 리세스로부터 맞물림 해제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섹션은 루프를 더 포함하고, 제2 섹션은 루프와 맞물려 제2 섹션과 제1 섹션을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래치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래치는 루프와 맞물려 제2 섹션과 제1 섹션을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제1 반경방향 내향 부분, 및 제1 반경방향 내향 부분과 완전히 중첩되는 제2 반경방향 외향 부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시각적 연결 확인부를 포함하는 로킹 변조 방지 유체 신속 연결부 또는 연결 조립체가 제공된다. 유체 연결 조립체는 냉매 또는 다른 유체를 운반하는 공조 라인에 대한 자동차 조립 라인 상태 동안 신속 연결을 제공한다. 유체 연결 조립체는 또한 유체 연결 조립체의 완전한 맞물림이 달성되었다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유체 연결 조립체는 유체 라인(예를 들어, 냉매를 운반하는 공조 라인)에서 사용하기 위한 시각적 연결 확인부를 갖는 도구 및 하드웨어가 없는 유체 연결 조립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유체 연결 조립체는 도구(예를 들어, 전동 도구)의 필요성을 제거하고 튜브 연결 중 곤란한 조립 위치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유해한 인체 공학을 감소시킨다. 유체 연결 조립체는 튜브 단부 형태가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맞물림되었다는 포지티브 시각적 표시기, 뿐만 아니라 연결이 생성된 후 변조 검출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는 튜브 단부 형태의 밀봉면을 커넥터 본체의 면으로 강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을 포함하는 칼라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볼은 칼라의 반경방향 내향 표면 상에 배열된다. 칼라가 회전되어, 볼을 반경방향 내향으로 강제하고 튜브 단부 형태의 밀봉면이 커넥터 본체의 밀봉 표면과 맞물린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는 로킹된 연결이 변조되었는 지(즉, 유체 연결 조립체를 연결 해제하려는 승인되지 않은 시도)를 나타내는 변조 검출 로킹 피처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는 튜브 단부 형태를 커넥터 본체의 밀봉 영역으로 강제하는 볼과 맞물리도록 회전되는 칼라를 포함한다. 칼라가 완전히 회전되면, 로킹 피처는 칼라를 커넥터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여 튜브 단부 형태가 커넥터 본체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변조 방지 검출 피처는 로킹 피처를 덮어 피처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킹 피처는 로킹 피처의 완전한 맞물림 및 따라서 커넥터 본체 내의 튜브의 완전한 맞물림을 나타내기 위한 색상 구성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 피처는 아암 및 리세스와 맞물리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는 로킹 상태(즉, 돌출부가 리세스와 맞물리지 않을 때)에서 보이고 로킹 해제 상태(즉, 돌출부가 리세스와 맞물릴 때)에서 보이지 않는 색상(예를 들어, 적색)을 갖는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로킹 해제 위치에서 리세스와 돌출부의 맞물림은 스프링 요소의 편향력으로 인해 칼라가 로킹 위치로 스냅되는 것을 방지한다. 로킹 요소는 래치 및 루프를 더 포함하고, 래치는 루프와 맞물려 칼라를 커넥터 본체와 회전 불가능하게 로킹시킨다. 몇몇 실시예에서, 래치가 가소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한 래치는 루프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없으며, 이에 의해 변조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 및 첨부된 청구범위를 고려하여 본 개시내용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대응하는 참조 부호가 대응하는 부품을 나타내는 첨부된 개략도를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다양한 실시예가 개시되고, 도면에서:
도 1a는 로킹 상태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로킹 해제 상태에서, 도 1a에 도시된 유체 연결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칼라의 제1 섹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칼라의 제2 섹션의 사시도이고;
도 5a는 일반적으로 도 1a의 라인 5A-5A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5b는 일반적으로 도 1b의 라인 5B-5B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6a는 도 1a에 도시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부분 입면도이며;
도 6b는 도 1b에 도시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부분 입면도이고;
도 7a는 일반적으로 도 1a의 라인 7A-7A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7b는 일반적으로 도 1b의 라인 7B-7B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처음에, 다양한 도면 뷰의 유사한 도면 번호는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조 요소를 식별한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청구범위는 개시된 양태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더욱이, 본 개시내용은 설명된 특정 방법론, 재료 및 수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 자체로 물론 다양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이 이해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유사하거나 등가인 임의의 방법, 디바이스 또는 재료가 예시적인 실시예의 실행 또는 테스트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조립체는 유압 장치, 전자 장치, 공압 장치 및/또는 스프링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거의", "매우 거의", "약", "대략", "쯤", "거의 ~에 달하다", "~에 가깝다", "본질적으로", "~의 근처에", "~의 근방에" 등과 같은 용어와 동의어이고, 이러한 용어는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근접한"이라는 용어는 "인근의", "가까운", "인접한", "이웃한", "아주 가까운", "붙어 있는" 등과 같은 용어와 동의어이며 이러한 용어는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대략"이라는 용어는 특정된 값의 10% 이내의 값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출원에서 "또는"의 사용은 "비배타적" 배열에 관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항목 x는 A 또는 B"라고 말할 때, 이는 다음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음이 이해된다: (1) 항목 x는 A와 B 중 단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이다; (2) 항목 x는 A와 B 모두이다. 달리 말해서, "또는"이라는 단어는 "배타적 논리합" 배열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항목 x는 A 또는 B"라는 진술에 대한 "배타적 논리합" 배열은 x가 A와 B 중 하나만 될 수 있어야 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및/또는"은 인용된 요소 또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거나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문법적 접속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제2 요소 및/또는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다음의 구조적 배열 중 어느 하나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제1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시스템 또는 요소와 조합하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및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이라는 문구는 시스템 또는 요소가 문구 뒤에 나열된 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다음의 구조적 배열 중 어느 하나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제1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되는"이라는 문구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유사한 해석이 의도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및/또는"은 인용된 요소 또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거나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문법적 접속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제2 요소 및/또는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다음의 구조적 배열 중 어느 하나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제1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튜브"라는 용어는 호스, 파이프, 채널, 도관, 튜브 단부 형태, 또는 유압 및 유체 역학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파이프 유동과 동의어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튜브"라는 용어는 기체 또는 액체의 유동을 수용하고 허용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재료의 강성 또는 가요성 도관을 의미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요소라 함은, 요소 중 하나가 회전할 때마다 모든 요소가 회전하도록 요소들이 연결된 것; 그리고, 요소 사이의 상대 회전이 불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서로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요소의 반경방향 및/또는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지만 필수는 아니다.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요소라 함은 요소들이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a는 로킹 상태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로킹 해제 상태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칼라(100)의 제1 섹션(11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칼라(110)의 제2 섹션(140)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일반적으로 도 1a의 라인 5A-5A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일반적으로 도 1b의 라인 5B-5B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로킹 상태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 6b는 로킹 해제 상태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 7a는 일반적으로 도 1a의 라인 7A-7A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일반적으로 도 1b의 라인 7B-7B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단면도이다. 유체 연결 조립체(10)는 일반적으로 커넥터 본체(40), 튜브(80), 및 칼라(100)를 포함한다. 다음 설명은 도 1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읽어야 한다.
튜브(80)는 단부(82), 섹션(83), 숄더(87), 섹션(89), 단부(92), 및 관통 보어(94)를 포함한다. 관통 보어(94)는 단부(82)로부터 단부(92)까지 튜브(80)를 통해 연장된다. 섹션(83)은 단부(82)와 숄더(87) 사이에 배열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은 절두원추형 또는 곡선형 테이퍼 근위 단부(82)를 포함한다(도 3a 및 도 3b 참조). 몇몇 실시예에서, 섹션(83)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84)과 숄더(87) 사이에 배열된 융기 섹션을 더 포함한다. 숄더(87)는 섹션(83)과 섹션(89) 사이에 배열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86) 및 반경방향 외향 표면(88)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외향 표면(86)은 반경방향 외부 표면(84)으로부터 표면(88)까지 연장되는 절두원추형 표면이다. 직경이 증가하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86)은 축방향(AD2)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8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AD1)을 향하는 축방향 표면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브(80)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86)과 반경방향 외향 표면(88) 사이에 배열된 일정한 직경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88)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86)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표면(90)까지 연장되는 절두원추형 표면이다. 직경이 증가하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88)은 축방향(AD1)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8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AD2)으로 향하는 축방향 표면이다. 섹션(89)은 숄더(87)와 단부(92) 사이에 배열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90)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90)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섹션(89)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88)과 반경방향 외향 표면(90) 사이에 배열된 융기 섹션을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86)은 튜브(80)의 중심축에 대해 각도(α)로 배열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88)은 튜브(80)의 중심축에 대해 각도(β)로 배열되며, 각도(α)는 각도(β)와 동일하다(도 5a 및 도 5b 참조).
튜브(80)는 특히 단부(82)가 먼저 커넥터 본체(40), 특히 관통 보어(41)에 삽입되도록 배열된다. 튜브(80)는 숄더(87)가 축방향으로 볼 또는 디텐트(64A, 64B)를 치울 때까지(즉, 숄더(87), 구체적으로 반경방향 외향 표면(86)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64A-B)의 우측에 배열될 때까지) 축방향(AD1)으로 커넥터 본체(40) 내에 삽입된다. 커넥터 본체(40) 내에 튜브(80)를 고정시키는 것은 볼(64A-B)과 반경방향 외향 표면(88)의 맞물림이다. 튜브(80)는, 칼라(20)의 볼(64A-B)을 변위시키고 볼과 맞물려 커넥터 본체 내에 튜브를 고정하기 위해, 튜브의 외부 표면에서 반경방향 외향 및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드, 반경방향 외향 연장 돌출부 또는 플랜지, 또는 경사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임의의 전통적인 튜브일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브(80)는 금속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브(80)는 비금속(예를 들어, 폴리머, 고무, 세라믹 등)을 포함한다.
커넥터 본체(40)는 단부(42)로부터 단부(44)까지 연장되는 관통 보어(41), 반경방향 내향 표면(46), 반경방향 내향 표면(48), 홈(50), 반경방향 외향 표면(52), 홈(54), 헤드(58) 및 반경방향 외향 표면(60)을 포함한다. 커넥터 본체(40)는 유체로 채워지거나 유체가 유동하는 구성요소에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 본체(40)는 외부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60)을 통해 냉동 압축기 또는 트랜스미션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40)는 (예를 들어, 렌치를 사용하여) 헤드(58)를 통해 압축기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그 다음 냉매 유체로 채워진다. 몇몇 실시예에서, 헤드(58)는 육각형이다; 그러나, 헤드(58)는 커넥터 본체(40)에 토크를 인가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기하형상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유체 커넥터(10), 구체적으로 커넥터 본체(40)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는 응축기, 증발기 또는 펌프이다. 유체 커넥터(10)는 유체 연결이 요구되는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 조립체 및 서브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60)은 홈(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 또는 O-링이 홈(56)에 배열되어 커넥터 본체(40)와 이 커넥터 본체가 연결되는 구성요소 사이에 유밀식 밀봉부를 생성한다. 밀봉부(62)는 커넥터 본체(40)에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밀봉부(62)는 홈(50)에 배열되어 튜브(80)(즉,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와 맞물린다. 홈(50)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48)에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밀봉부(62)는 O-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내향 표면(46)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표면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46)은 절두원추형 표면 또는 반경방향 외향 연장 테이퍼 근위 단부(44)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48)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표면이다. 표면(47)은 표면(46)과 표면(48)을 연결시킨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47)은 축방향을 향하는 표면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47)은 절두원추형 표면이다. 표면(47)은 숄더(87)와 맞물려, 구체적으로 튜브(80)가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1)으로 축방향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밀봉부(20)는 커넥터 본체(40)의 관통 보어(41)에 배열된다. 밀봉부(20)는 단부(22), 단부(24), 반경방향 내향 표면(26), 및 반경방향 외향 표면(28)을 포함한다. 단부(22)는 표면(47)과 밀봉식으로 맞물리고 및/또는 맞접하도록 배열되며, 반경방향 외향 표면(28)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46)과 밀봉식으로 맞물리거나 맞접하도록 배열되고, 반경방향 내향 표면(26)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86)과 밀봉식으로 맞물리거나 맞접하도록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26)은 절두원추형이고 축방향(AD2)으로 직경이 증가한다. 밀봉부(20)는 튜브(80)와 커넥터 본체(40) 사이에 추가적인 유체 밀봉부(즉, 밀봉부(62)에 추가하여)를 제공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홈(54)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52)에 배열된다. 홈(54)은 단부(44)와 헤드(58)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54)은 단부(44)와 헤드(58)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그로부터 이격된다. 유지 링(66)은 홈(54)과 맞물려 칼라(20)와 커넥터 본체(4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홈(54)에 완전히 맞물릴 때, 유지 링(66)은 커넥터 본체(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2)으로 칼라(20)의 축방향 변위를 방지한다.
커넥터 본체(40)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52)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구멍(예를 들어, 구멍(55A, 55B))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구멍(55A, 55B)은 홈(54)과 헤드(58)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52)으로부터 관통 보어(41)까지 연장된다. 구멍(55A, 55B)은 볼(64A, 64B)이 구멍을 통해 연장되고 숄더(87)와 맞물려 튜브(80)를 커넥터 본체(40) 내에 고정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멍(55A-B)은 대체로 원추형 또는 절두원추형이다(즉, 반경방향(RD1)에서 반경방향 내향으로 직경이 감소함). 이러한 설계는 볼(64A-B)이 관통 보어(41)로 단지 부분적으로 연장되게 함으로써, 볼(64A-B)이 관통 보어(41)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구멍(55A-B)의 반경방향 최내측 직경은 볼(64A-B)의 직경보다 작고 반경방향(RD1)으로 볼(64A-B)의 변위를 방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40)는 헤드(58)로부터 축방향(AD2)으로 그리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52)으로부터 반경방향(RD2)으로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57)를 더 포함한다. 돌출부(57)는 커넥터 본체(4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커넥터 본체에 고정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제1 섹션(110)을 커넥터 본체(40)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57)는 제1 섹션(110)의 노치(122)와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40)는 금속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40)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40)는 세라믹을 포함한다.
칼라 또는 로킹 칼라(100)는 커넥터 본체(40)에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칼라(100)는 일반적으로 제1 섹션(110), 제2 섹션(140), 및 스프링 요소(160)를 포함한다.
제1 섹션(110)은 단부(112), 단부(114), 반경방향 내향 표면(116), 및 반경방향 외향 표면(118)을 포함한다. 제1 섹션(110)은 커넥터 본체(40)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1a 내지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112)는 돌출부(57)와 맞물려 제1 섹션(110)과 커넥터 본체(40)를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노치(122)를 포함한다. 제1 섹션(110)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 예를 들어 볼트, 리벳, 나사, 못, 도웰, 접착제, 용접, 솔더링 등을 사용하여 커넥터 본체(40)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단부(112)는 헤드(58)와 맞물리거나 근접하도록 배열된다. 단부(114)는 제2 섹션(140)과 맞물리도록 배열되고 채널(120)을 포함한다. 채널(120)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116)과 반경방향 외향 표면(118)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되고, 단부(114)로부터 축방향(AD1)으로 연장된다. 채널(120)은 스프링 요소 또는 비틀림 스프링(16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및/또는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채널(120)은 간극(132)을 더 포함한다(도 3 참조).
제1 섹션(110)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118)으로부터 반경방향(RD2)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그리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에 대해 원주방향(CD1)으로 연장되는 아암(126)을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아암(126)은 단부(114)와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아암(126)은 탄성 변형 가능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118)에 대해 대체로 반경방향(RD1 및 RD2)으로 변위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그 원위 단부에서, 아암(126)은 반경방향(RD1)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축방향(AD2)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돌출부(128)를 포함한다. 돌출부(128)는 리세스(152, 153)와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고, 관통 보어(154)와 정렬되어 볼(64A)과 맞물려 로킹 해제 상태를 유지하고 자동 로킹 피처를 제공하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섹션(110)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118)으로부터 반경방향(RD2)으로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는 루프(130)를 더 포함한다. 루프(130)는 래치(156)와 맞물려 제2 섹션(140)과 제1 섹션(110)을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배열되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118)은 리세스(124)를 더 포함한다. 로킹 해제 상태에서, 아암(126)은 변형되지 않은 상태이고 돌출부(128)는 도 1b 및 도 6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24)(및 리세스(152))와 맞물린다. 로킹 상태에서, 아암(126)은 반경방향 외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돌출부(128)는 도 1a, 도 6a, 및 도 7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53)와 맞물린다(즉, 돌출부(128)는 더 이상 리세스(124, 152)와 맞물리지 않음).
제2 섹션(140)은 단부(142), 단부(144), 반경방향 내향 표면(146), 및 반경방향 외향 표면(148)을 포함한다. 제2 섹션(140)은 커넥터 본체(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단부(142)는 단부(114)와 맞물리고 및/또는 맞접하도록 배열된다. 단부(142)는 간극(158)을 포함한다(도 4 참조). 단부(146)는 유지 링(66)과 맞물리고 및/또는 맞접하도록 배열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146)은 하나 이상의 포켓, 예를 들어 각각 볼(64A-B)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포켓(150A 및 150B)을 포함한다. 포켓(150A-B)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146)으로부터 반경방향(RD2)으로 반경방향 외향 연장된다. 도 7a 및 도 7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150A, 150B)은 원주방향(CD1)으로 깊이가 증가한다. 가장 깊은 부분에서, 포켓(150A-B)은 볼(64A-B)이 반경방향(RD2)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변위되게 하고 숄더(87)를 맞물림 해제함으로써, 튜브(80)가 커넥터 본체(40)로부터 제거되게 한다(즉, 로킹 해제 상태). 가장 얕은 부분에서, 포켓(150A-B)은 볼(64A-B)을 반경방향(RD1)에서 반경방향 내향으로 강제하여 숄더(87)와 맞물림으로써, 튜브(80)가 커넥터 본체(4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즉, 로킹 상태). 포켓(150A-B)의 깊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유체 연결 조립체(10)는 제1 섹션(110)에 대해 원주방향(CD1)으로 제2 섹션(140)을 변위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도 1b, 도 5b, 도 6b 및 도 7b에 도시된 로킹 해제 위치로부터 도 1a, 도 5a, 도 6a 및 도 7a에 도시된 로킹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유체 연결 조립체(10)는 제1 섹션(110)에 대해 제2 섹션(140)을 원주방향(CD2)으로 변위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도 1a, 도 5a, 도 6a 및 도 7a에 도시된 로킹 위치로부터 도 1b, 도 5b, 도 6b 및 도 7b에 도시된 로킹 해제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킹 상태에서, 볼(64A-B)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146)과 맞물린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148)은 그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리세스(152)를 더 포함한다. 로킹 해제 상태에서, 돌출부(128)는 리세스(152)와 맞물려 유체 연결 조립체(10)를 로킹 해제 상태로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28)의 맞물림은 스프링 요소(160)의 비틀림 편향으로 인해 제2 섹션(140)이 제1 섹션(110)에 대해 원주방향(CD2)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리세스(152)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148)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표면(146)으로 연장되는 관통 보어(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152) 및 관통 보어(154)는 포켓(150A)과 정렬된다. 로킹 해제 상태에서, 그리고 도 7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52) 및 관통 보어(154)는 구멍(55A) 및 볼(64A)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된다. 튜브(80)가 관통 보어(41)에 삽입됨에 따라, 숄더(87)는 볼(64A)과 맞물려 반경방향(RD2)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변위시킨다. 볼(64A)은 돌출부(128)와 맞물려 반경방향(RD2)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강제하고 리세스(152)와 맞물림 해제시키고, 이 시점에서 스프링 요소(160)는 제2 섹션을 원주방향(CD2)으로 그리고 도 7a에 도시된 위치로 강제한다. 이는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자동 로킹 피처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148)은 파지를 돕기 위해 표면 상에 널링, 작은 리지 또는 비드, 또는 홈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148)은 일정한 직경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148)은 가변 직경을 포함한다.
제2 섹션(140)은 단부(142)에 연결된 래치(156)를 더 포함한다. 래치(156)는 루프(130)와 맞물려 제2 섹션(140)과 제1 섹션(110)을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배열된다. 래치(156)는 그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는 탱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내향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반경방향 내향 부분은 루프(130)를 통과하도록 배열된다. 래치(156)는 또한 반경방향 외향 측면에서 제1 반경방향 내향 부분을 덮는 제2 반경방향 외향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반경방향 내향 부분은 제2 반경방향 외향 부분의 배열로 인해 루프로부터 탱을 맞물림 해제하기 위해 접근할 수 없다. 이것이 변조 방지 피처이다. 루프로부터 제1 반경방향 내향 부분 탱을 맞물림 해제하기 위해, 제2 반경방향 외향 부분은 가소적으로 변형되어야 한다. 이것이 변조 검출 피처이다.
스프링 요소(16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단부(162)와 단부(164)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160)는 단부(114)로부터 축방향(AD2)으로 연장되는 단부(164)를 제외하고 완전히 채널(120)에 위치한다. 단부(162)는 간극(134)과 맞물려 단부(162)를 제1 섹션(110)과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한다. 단부(164)는 간극(158)과 맞물려 단부(164)를 제2 섹션(140)과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한다. 스프링 요소(160)는 제1 섹션(110)과 제2 섹션(140)을 맞물리게 하여 유체 연결 조립체(10)를 로킹 상태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도 2 및 도 6a는 로킹 상태에서 스프링 요소(160)를 가장 잘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상태에서, 스프링 요소(160)는 이완된 상태에 있고 단부(164)는 원주방향으로 단부(164)로부터 이격된다. 도 6b는 로킹 해제 상태에서 스프링 요소(160)를 가장 잘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해제 상태에서, 스프링 요소(160)는 인장 상태에 있고 여기서 단부(162, 164)는 함께 강제된다(즉, 서로 근접하게 배열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됨). 이와 같이, 로킹 해제 상태에서, 스프링 요소(160)는 제1 섹션(110)에 대해 원주방향(CD1)으로 제2 섹션(140)을 편향시킨다; 그러나, 리세스(124)와 돌출부(128)의 맞물림은 이러한 회전을 방지한다. 튜브(80)를 커넥터 본체(40)에 삽입하면, 숄더(87)와 볼(64A)(및 이어서 돌출부(128))의 맞물림은 돌출부(128)를 리세스(124)와 맞물림 해제하게 강제하고 제2 섹션(140)은 스프링 요소(160)의 편향력으로 인해 제1 섹션(110)에 대해 원주방향(CD1)으로 변위된다. 이러한 회전은 또한 래치(156)가 루프(130)와 맞물리게 함으로써, 제2 섹션(140)과 제1 섹션(110)을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여 튜브(80)를 커넥터 본체 내에 로킹시킨다(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섹션(110)에 대한 제2 섹션(140)의 원주방향(CD1) 변위는 볼(64A-B)을 반경방향(RD1)으로 강제하여 숄더(87)와 맞물리게 함). 몇몇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160)는 유체 연결 조립체(10)가 로킹 해제 상태에 있을 때 제1 섹션(110)에 대해 원주방향(CD1)으로 제2 섹션(140)을 편향시키는 반면, 로킹 상태에서, 스프링 요소(160)는 제1 섹션(110)에 대해 제2 섹션(140)을 전혀 편향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유체 연결 조립체(10)를 조립하기 위해, 밀봉부(62)가 홈(50)에 배열된다. 볼(64A, 64B)은 구멍(55A, 55B)에 각각 배열된다. 그 후, 칼라(100)가 커넥터 본체(40)에 연결된다. 제1 섹션(110)은 돌출부(57)(또는 헤드(58))와 맞물리는 단부(112), 구체적으로 노치(122)를 갖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52) 둘레에 원주형으로 배열된다. 제1 섹션(110)은 이제 커넥터 본체(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 후, 스프링 요소(160)는 단부(162)가 간극(132)과 맞물리고 단부(164)가 채널(120) 밖으로 연장되어 축방향(AD2)으로 단부(114)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채널(120)에 배열된다. 그 후, 섹션(140)은 단부(142)가 단부(114)와 마주하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된다. 단부(164)는 간극(158)과 맞물리고 단부(142)는 단부(114)에 근접하게 및/또는 맞접하게 배열된다. 유지 링(66)은 커넥터 본체(40), 구체적으로 홈(54)에 연결된다. 따라서, 칼라(100)는 돌출부(57)(또는 헤드(58))에 의해 축방향(AD1)으로 그리고 유지 링(66)에 의해 축방향(AD2)으로 축방향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후, 제2 섹션(140)은 제1 섹션(110)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변위되어(이미 그렇지 않은 경우) 도 1b에 도시된 로킹 해제 상태로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2 섹션(140)은 돌출부(128)가 리세스(152)와 맞물릴 때까지 스프링 요소(160)를 예압하는 제1 섹션(110)에 대해 원주방향(CD2)으로 변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세스(152)와 돌출부(128)의 맞물림은 유체 연결 조립체(10)를 로킹 해제 위치에 유지한다(즉, 스프링 요소(160)가 제1 섹션(110)에 대해 원주방향(CD1)으로 제2 섹션(140)을 변위시키는 것을 방지함). 로킹 해제 위치에서, 스프링 요소(160)는 예압을 받기 때문에, 장력은 제1 섹션(110)에 대해 원주방향(CD1)으로 제2 섹션(140)을 편향시킨다. 또한, 로킹 해제 위치에서, 래치(156)는 루프(130)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로킹 해제 상태에서 칼라(100)가 커넥터 본체(40)에 연결되면, 튜브(80)가 그 안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b 및 도 6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해제 상태에서, 볼(64A 및 64B)은 각각 포켓(150A 및 150B)의 깊은 부분으로 반경방향(RD2)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튜브(80)는 축방향(AD1)으로 단부(82)가 먼저 관통 보어(41)에 삽입된다. 숄더(87)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86)은, 숄더(87)가 볼(64A-B)을 축방향으로 치우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86)이 반경방향 내향 표면(26)(또는 표면(47))에 근접하게 및/또는 맞접하게 배열될 때까지 볼(64A-B)과 맞물려 볼을 반경방향(RD2)으로 변위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숄더(87)와 볼(64A)의 맞물림은 돌출부(128)를 반경방향 외향으로 강제하여 리세스(152)와 맞물림 해제시킨다. 이어서, 스프링 요소(160)는, 래치(156)가 루프(130)와 맞물려 섹션(110, 140)을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제1 섹션(110)에 대해 원주방향(CD1)으로 제2 섹션(140)을 자동으로 변위시킨다. 제2 섹션(140)의 회전은 또한 (포켓(150A-B) 및/또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146)으로 인해) 반경방향(RD1)으로 볼(64A-B)을 변위시키고 숄더(87), 구체적으로 반경방향 외향 표면(88)과 맞물리게 한다. 볼(64A-B)이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반경방향(RD2)으로 변위될 수 없고 제2 섹션(140)이 제1 섹션(110)에 대해 원주방향(CD2)으로 변위될 수 없기 때문에, 튜브(80)는 커넥터 본체(40)에 로킹된다.
유체 연결 조립체(10)를 로킹 해제하기 위해, 래치(56)의 반경방향 외부 부분은 래치(56)의 반경방향 내부 부분에 접근하도록 가소적으로 변형되어야 한다. 그 후, 래치(56)의 반경방향 내부 부분은 반경방향 내향으로 변위되어 루프(30)로부터 탱을 맞물림 해제시켜, 이 시점에서 제2 섹션(140)은 제1 섹션(110)에 대해 원주방향(CD2)으로 변위될 수 있다. 볼(64A-B)은 다시 각각 포켓(150A-B) 내로 반경방향(RD2)으로 변위되도록 허용되며, 따라서 튜브(80)는 커넥터 본체(4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돌출부(128)의 위치는 또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상태에 대한 시각적 표시기를 제공할 수 있음을 추가로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돌출부(128)가 리세스(152) 내에 또는 위에 배열될 때, 유체 연결 조립체(10)는 로킹 해제 위치에 있다. 돌출부(128)가 리세스(152) 내에 또는 위에(또는 리세스(153) 위에) 배열되지 않을 때, 유체 연결 조립체(10)는 로킹 위치에 있다. 리세스(152)는 시각적 표시 프로세스를 돕는 색상(예를 들어, 적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이 보이는 경우, 유체 연결 조립체(10)가 로킹 위치에 있고, 적색이 보이지 않는 경우, 유체 연결 조립체(10)는 로킹 해제 위치에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태 및 다른 특징 및 기능, 또는 그 대안이 바람직하게는 많은 다른 여러 시스템 또는 용례에 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현재 예상하지 못하거나 기대하지 못한 다양한 대안, 수정, 변형 또는 개선이 이후에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또한 다음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10 유체 연결 조립체
20 밀봉부
22 단부
24 단부
26 반경방향 내향 표면
28 반경방향 외향 표면
40 커넥터 본체
41 관통 보어
42 단부
44 단부
46 반경방향 내향 표면
47 표면
48 반경방향 내향 표면
50 홈
52 반경방향 외향 표면
54 홈
55A 구멍
55B 구멍
56 홈
58 헤드
60 반경방향 외향 표면
62 밀봉부
64A 볼 또는 디텐트
64B 볼 또는 디텐트
66 유지 링
80 튜브
82 단부
83 섹션
84 반경방향 외향 표면
86 반경방향 외향 표면
87 숄더
88 표면
89 섹션
90 반경방향 외향 표면
92 단부
94 관통 보어
100 로킹 칼라 또는 칼라
110 섹션
112 단부
114 단부
116 반경방향 내향 표면
118 반경방향 외향 표면
120 채널
122 노치
124 리세스
126 아암
128 돌출부
130 루프
132 간극
140 섹션
142 단부
144 단부
146 반경방향 내향 표면
148 반경방향 외향 표면
150A 포켓
150B 포켓
152 리세스
153 리세스
154 관통 보어
156 래치
158 간극
160 스프링 요소 또는 비틀림 스프링
162 단부
164 단부
AD1 축방향
AD2 축방향
CD1 원주방향
CD2 원주방향
RD1 반경방향
RD2 반경방향
α 각도
β 각도

Claims (20)

  1. 유체 연결 조립체이며,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관통 보어;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제1 관통 보어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적어도 하나의 구멍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 본체에 연결된 칼라를 포함하고, 칼라는:
    커넥터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섹션; 및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과 맞물리고 그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켓을 포함하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포함하는 제2 섹션을 포함하며, 제2 섹션은 제1 섹션과 맞물리고 제1 섹션에 대해 회전 가능한, 유체 연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로킹 해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는 적어도 하나의 포켓과 맞물리고;
    로킹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맞물리며 제1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포켓은 제1 원주방향으로 깊이가 증가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은 절두원추형인, 유체 연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제1 섹션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아암을 더 포함하고;
    제2 섹션은 리세스를 더 포함하며, 돌출부는 리세스와 맞물려 유체 연결 조립체의 로킹 해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제2 섹션은 리세스에 배열된 제2 관통 보어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는 제2 관통 보어와 맞물려 돌출부를 반경방향 외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제1 섹션과 제2 섹션 사이에 배열되는 스프링 요소를 더 포함하고, 스프링 요소는 유체 연결 조립체를 로킹 상태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제1 섹션은 루프를 더 포함하고;
    제2 섹션은 루프와 맞물려 제2 섹션과 제1 섹션을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래치를 더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래치는:
    루프와 맞물려 제2 섹션과 제1 섹션을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제1 반경방향 내향 부분; 및
    제1 반경방향 내향 부분과 완전히 중첩되는 제2 반경방향 외향 부분을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로킹 해제 상태에서, 제2 섹션은 제1 섹션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로킹 상태에서, 제2 섹션은 제1 섹션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칼라를 커넥터 본체에 연결하도록 커넥터 본체의 홈에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유지 링을 더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숄더를 포함하는 튜브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는 숄더와 맞물려 튜브를 커넥터 본체에 고정하도록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숄더는:
    제1 축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제1 절두원추형 표면; 및
    제1 절두원추형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절두원추형 표면을 포함하고, 제2 절두원추형 표면은 제1 축방향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4. 유체 연결 조립체이며,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관통 보어;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제1 관통 보어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적어도 하나의 구멍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 본체에 연결된 칼라를 포함하고, 칼라는:
    커넥터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섹션;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과 맞물리고 그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켓을 포함하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포함하는 제2 섹션으로서, 제2 섹션은 제1 섹션과 맞물리고 제1 섹션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제2 섹션; 및
    제1 섹션과 제2 섹션 사이에 배열되는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고, 스프링 요소는 유체 연결 조립체를 로킹 상태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로킹 해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는 적어도 하나의 포켓과 맞물리고;
    로킹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과 맞물리며 제1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포켓은 제1 원주방향으로 깊이가 증가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7. 제14항에 있어서,
    제1 섹션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아암을 더 포함하고;
    제2 섹션은 리세스를 더 포함하며, 돌출부는 리세스와 맞물려 유체 연결 조립체의 로킹 해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제2 섹션은 리세스에 배열된 제2 관통 보어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는 제2 관통 보어와 맞물려 돌출부를 리세스로부터 맞물림 해제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9. 제1항에 있어서,
    제1 섹션은 루프를 더 포함하고;
    제2 섹션은 루프와 맞물려 제2 섹션과 제1 섹션을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래치를 더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20. 제8항에 있어서, 래치는:
    루프와 맞물려 제2 섹션과 제1 섹션을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제1 반경방향 내향 부분; 및
    제1 반경방향 내향 부분과 완전히 중첩되는 제2 반경방향 외향 부분을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KR1020237026262A 2021-01-04 2021-01-04 시각적 연결 확인부를 갖는 변조 방지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301221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21/012047 WO2022146450A1 (en) 2021-01-04 2021-01-04 Tamper resistant fluid connection assembly with visual connection verif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167A true KR20230122167A (ko) 2023-08-22

Family

ID=7428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262A KR20230122167A (ko) 2021-01-04 2021-01-04 시각적 연결 확인부를 갖는 변조 방지 유체 연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60589A1 (ko)
EP (1) EP4271928A1 (ko)
JP (1) JP2024502590A (ko)
KR (1) KR20230122167A (ko)
WO (1) WO2022146450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44920A (ko) *
US3083042A (en) * 1958-08-25 1963-03-26 Lear Siegler Inc Quick connect coupling
DE1525878B1 (de) * 1966-10-18 1970-11-12 Rudolf Stender Sicherheits-Absperrhah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71928A1 (en) 2023-11-08
US20240060589A1 (en) 2024-02-22
JP2024502590A (ja) 2024-01-22
WO2022146450A1 (en)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22167A (ko) 시각적 연결 확인부를 갖는 변조 방지 유체 연결 조립체
US20240060588A1 (en) Tamper resistant fluid connection assembly with visual connection verifier
WO2022146449A1 (en) Disconnect tool for a tamper resistant fluid connection assembly with visual connection verifier
KR20230093460A (ko) 유체 연결 조립체
US20230392732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US20230375113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KR20240013882A (ko)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30088919A (ko)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40010567A (ko) 유체 연결 조립체
US20230366496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US20240191820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and fluid connection assembly connect and disconnect tools
WO2023196021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WO2023101701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with a retainer holder
WO2023009163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KR20230090359A (ko) 유체 연결 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