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359A - 유체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유체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359A
KR20230090359A KR1020237017390A KR20237017390A KR20230090359A KR 20230090359 A KR20230090359 A KR 20230090359A KR 1020237017390 A KR1020237017390 A KR 1020237017390A KR 20237017390 A KR20237017390 A KR 20237017390A KR 20230090359 A KR20230090359 A KR 20230090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ection
teeth
fluid connection
connectio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리 앤 사우센
크리스티안 제이. 하겐
Original Assignee
외티커 엔와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외티커 엔와이, 인크. filed Critical 외티커 엔와이, 인크.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21/037386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093331A1/en
Publication of KR20230090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transversally slidable locking member surrounding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a retaining member the extremities of which, e.g. in the form of a U, engage behind a shoulder of both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045Canted-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8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flex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유체 연결 조립체는,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관통 보어, 제1 관통 보어에 배열된 경사진 코일, 및 제1 홈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스페이서는, 제1 섹션으로서, 제1 홈과 맞물리는 제3 단부, 제4 단부, 제3 단부와 제4 단부 사이에 배열된 제1 축방향 표면, 제1 수형 커넥터, 및 제1 암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섹션, 및 제2 섹션으로서, 제1 홈과 맞물리는 제5 단부, 제6 단부, 제5 단부와 제6 단부 사이에 배열된 제2 축방향 표면, 제1 암형 커넥터와 맞물리도록 배열된 제2 수형 커넥터, 및 제1 수형 커넥터와 맞물리도록 배열된 제2 암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섹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 연결 조립체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10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105,449호의 산업 재산권 보호를 위한 파리 조약의 스톡홀름법 4조 및 8조에 따른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유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진 코일 리테이너 및 제거 가능한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커넥터 본체 내에 튜브를 로킹하고 도구가 필요 없이 신속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유체 커넥터, 유체 연결부, 및 유체 연결 조립체는 많은 용례, 특히 자동차 용례에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자동차 시스템은 라디에이터, 트랜스미션, 엔진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로 구성되기 때문에, 유체는 각각의 구성요소 내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 사이에서도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구성요소 사이를 이동하는 유체의 예는 트랜스미션 유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트랜스미션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기로 이동하는 트랜스미션 유체이다. 유체는 주로 유체 커넥터에 의해 각각의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가요성 또는 강성 호스를 통해 구성요소 사이를 이동한다. 이러한 유체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튜브가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될 때 튜브의 융기된 숄더 후방에 스냅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본체 상에 지지된 유지 클립, 유지 링 클립 또는 스냅 링과 같은 유지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유체 커넥터가 적절하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유지 클립이 관통 돌출되어 튜브와 맞물릴 수 있도록 커넥터 본체에 슬롯 또는 구멍이 기계가공되어야 하며, 이는 추가의 후공정 제조를 필요로 한다. 조립 프로세스 동안, 커넥터 본체에 유지 클립을 설치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유지 클립을 적절하게 설치하지 않으면 유지 클립의 구조적 무결성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 또한, 튜브를 커넥터 본체에 맞물리게 하고 유지 클립의 반경방향 힘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힘은 현재 설계에서 매우 크다. 또한, 유지 클립은 매우 얇고 작기 때문에, 떨어뜨리거나 제자리에 두지 않으면 잃어버리기 쉽다. 더욱이, 일부 연결 조립체의 해결책은 고정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조립 프로세스를 위한 도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용이한 분해를 가능하게 하고, 후공정 기계가공의 필요성을 제거하며, 유체 커넥터를 조립하는 데 필요한 삽입력을 감소시키는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에 대한 필요성이 오랫동안 있어 왔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유체 연결 조립체가 제공되고, 유체 연결 조립체는,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관통 보어, 제1 관통 보어에 배열된 경사진 코일, 및 제1 홈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스페이서는, 제1 섹션으로서, 제1 홈과 맞물리는 제3 단부, 제4 단부, 제3 단부와 제4 단부 사이에 배열된 제1 축방향 표면, 제1 수형 커넥터, 및 제1 암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섹션, 및 제2 섹션으로서, 제1 홈과 맞물리는 제5 단부, 제6 단부, 제5 단부와 제6 단부 사이에 배열된 제2 축방향 표면, 제1 암형 커넥터와 맞물리도록 배열된 제2 수형 커넥터, 및 제1 수형 커넥터와 맞물리도록 배열된 제2 암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섹션을 포함하고, 로킹 상태에서, 제1 축방향 표면 및 제2 축방향 표면은 제2 단부에 맞접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섹션은 제3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제1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제1 플랜지는 제1 홈과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는 숄더를 포함하는 튜브를 더 포함하고, 로킹 상태에서, 숄더는 스페이서에 맞접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브는 제2 홈 및 제2 홈으로부터 이격된 제3 홈을 더 포함하고, 로킹 상태에서, 경사진 코일은 제2 홈과 맞물린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홈의 깊이는 제2 홈의 깊이보다 크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섹션은 제1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고, 제2 섹션은 제1 복수의 치형부와 맞물려 제2 섹션을 제1 섹션에 로킹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제2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복수의 치형부는 제1 수형 커넥터 상에 배열되고 제2 복수의 치형부는 제2 암형 커넥터 상에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형 커넥터는 제1 돌출부 및 제1 돌출부 상에 배열되고 제1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암형 커넥터는 제2 돌출부, 및 제2 돌출부 상에 배열되고 제1 반경방향과 반대인 제2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고, 제2 복수의 치형부는 제1 복수의 치형부와 맞물려 제2 섹션을 제1 섹션과 로킹시키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암형 커넥터는 제2 돌출부로부터 이격된 제3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롯이 제2 돌출부와 제3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고, 제1 돌출부는 슬롯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섹션과 제2 섹션은 제1 단부에서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제2 단부에서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섹션과 제2 섹션은 리빙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유체 연결 조립체가 제공되고, 유체 연결 조립체는,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관통 보어, 제1 관통 보어에 배열된 경사진 코일, 및 제1 홈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스페이서는, 제1 섹션으로서, 제1 홈과 맞물리는 제3 단부, 제4 단부, 제3 단부와 제4 단부 사이에 배열된 제1 축방향 표면, 제1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는 수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섹션, 및 제2 섹션으로서, 제1 홈과 맞물리는 제5 단부, 제6 단부, 제5 단부와 제6 단부 사이에 배열된 제2 축방향 표면, 및 제1 반경방향과 반대인 제2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는 암형 커넥터를 포함하고, 제2 복수의 치형부는 제1 복수의 치형부와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제2 섹션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섹션은 제3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는 제1 홈과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는 숄더, 제2 홈, 및 제2 홈으로부터 이격된 제3 홈을 포함하는 튜브를 더 포함하고, 로킹 상태에서, 숄더는 스페이서에 맞접하고 경사진 코일은 제2 홈과 맞물린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섹션은 제1 직경을 포함하고 제3 단부를 형성하는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 제2 직경을 포함하고 제4 단부를 형성하는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포함하고, 제2 직경은 제1 직경보다 작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형 커넥터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 복수의 치형부는 제1 돌출부 상에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암형 커넥터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2 복수의 치형부는 제2 돌출부 상에 배열되며, 제2 복수의 치형부와 제1 복수의 치형부의 맞물림은 제2 섹션을 제1 섹션에 로킹시킨다. 몇몇 실시예에서, 암형 커넥터는 제2 돌출부로부터 이격된 제3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롯이 제2 돌출부와 제3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고, 제1 돌출부는 슬롯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유체 연결 조립체가 제공되고, 유체 연결 조립체는,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관통 보어, 관통 보어에 배열된 경사진 코일, 및 제1 홈을 포함하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스페이서로서, 제1 섹션으로서, 제1 홈과 맞물리는 제3 단부, 제4 단부, 제3 단부와 제4 단부 사이에 배열된 제1 축방향 표면, 제1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는 수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섹션, 및 제2 섹션으로서, 제1 홈과 맞물리는 제5 단부, 제6 단부, 제5 단부와 제6 단부 사이에 배열된 제2 축방향 표면, 및 제1 반경방향과 반대인 제2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는 암형 커넥터를 포함하고, 제2 복수의 치형부는 제1 복수의 치형부와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제2 섹션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및 숄더, 제2 홈, 및 제2 홈으로부터 이격된 제3 홈을 포함하는 튜브를 포함하고, 로킹 상태에서, 숄더는 스페이서에 맞접하고 경사진 코일은 제2 홈과 맞물린다.
본 개시내용은 스페이서 또는 스탠드오프 또는 치수 스탠드오프, 커넥터 본체, 스페이서 코일, 및 튜브 또는 튜브 단부 형태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를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는 서로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2개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는 커넥터 본체에 부착될 때 서로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2개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2개의 섹션 각각은 동일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는 리빙 힌지를 통해 힌지 연결된 2개의 섹션을 포함한다. 튜브의 숄더 또는 플레어가 스페이서의 상단 표면에 정합되는 경우, 튜브가 완전히 삽입된다. 이는 유체 연결 조립체가 완전히 조립되었다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이는 설치를 단순화하고 또한 커넥터 본체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제조 프로세스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커넥터 본체에서 슬롯의 필요성을 제거하여 커넥터 본체 제조의 청결도 양태를 개선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유체 연결 조립체는 커넥터 본체 내에 튜브를 조립하는 동안 낮은 삽입력으로 간단한 설치를 제공한다. 튜브를 수리해야 하는 경우, 스페이서가 제거된다. 튜브 숄더는 커넥터 본체의 상단(또는 단부)에서 하단으로 푸시된다. 이 작업은 제거 및 서비스 가능성을 위해 튜브를 로킹 해제하기 위해 설정된 거리만큼 커넥터 본체에 튜브를 삽입한다. 그 후, 튜브를 매우 쉽게 빼낸다. 이 해결책에는 올바른 삽입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튜브를 신속하게 해제하기 위해 특정 스탠드오프 및 튜브 단부 형태 기하형상이 필요하다. 또한, 튜브는 필요한 삽입력을 더욱 더 감소시키기 위해 테이퍼형 및/또는 감소된 직경의 노우즈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는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 후, 숄더가 스페이서에 맞접할 때까지 튜브가 스페이서와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다. 이제, 튜브는 로킹 위치에 있다. 서비스를 위해 스페이서를 제거할 때, 숄더가 커넥터 본체의 단부에 맞접할 때까지 튜브는 커넥터 본체에 더 삽입되며, 이 지점에서 스페이서 또는 경사진 코일 스프링이 튜브를 로킹 상태로부터 해제한다. 그 후, 커넥터 본체로부터 튜브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연결의 시각적 표시, 개선된 청결도, 감소된 삽입력, 및 더 용이한 서비스 가능성을 제공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유체 연결 조립체는 축방향 엔드플레이를 최소화한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 및 첨부된 청구범위를 고려하여 본 개시내용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대응하는 참조 부호가 대응하는 부품을 나타내는 첨부된 개략도를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다양한 실시예가 개시되고, 도면에서:
도 1은 로킹 상태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섹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일반적으로 도 1의 선 5-5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일반적으로 도 1의 선 6-6을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로킹 상태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a는 도 7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섹션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7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섹션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10a는 도 7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7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11은 일반적으로 도 7의 선 11-11을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일반적으로 도 7의 선 12-12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처음에, 다양한 도면 뷰의 유사한 도면 번호는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조 요소를 식별한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청구범위는 개시된 양태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더욱이, 본 개시내용은 설명된 특정 방법론, 재료 및 수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 자체로 물론 다양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이 이해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유사하거나 등가인 임의의 방법, 디바이스 또는 재료가 예시적인 실시예의 실행 또는 테스트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거의", "매우 거의", "약", "대략", "쯤", "거의 ~에 달하다", "~에 가깝다", "본질적으로", "~의 근처에", "~의 근방에" 등과 같은 용어와 동의어이고, 이러한 용어는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근접한"이라는 용어는 "인근의", "가까운", "인접한", "이웃한", "아주 가까운", "붙어 있는" 등과 같은 용어와 동의어이며 이러한 용어는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대략"이라는 용어는 특정된 값의 10% 이내의 값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출원에서 "또는"의 사용은 "비배타적" 배열에 관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항목 x는 A 또는 B"라고 말할 때, 이는 다음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음이 이해된다: (1) 항목 x는 A와 B 중 단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이다; (2) 항목 x는 A와 B 모두이다. 달리 말해서, "또는"이라는 단어는 "배타적 논리합" 배열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항목 x는 A 또는 B"라는 진술에 대한 "배타적 논리합" 배열은 x가 A와 B 중 하나만 될 수 있어야 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및/또는"은 인용된 요소 또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거나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문법적 접속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제2 요소 및/또는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다음의 구조적 배열 중 어느 하나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제1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시스템 또는 요소와 조합하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및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이라는 문구는 시스템 또는 요소가 문구 뒤에 나열된 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다음의 구조적 배열 중 어느 하나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제1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되는"이라는 문구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유사한 해석이 의도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및/또는"은 인용된 요소 또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거나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문법적 접속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제2 요소 및/또는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다음의 구조적 배열 중 어느 하나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제1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튜브"라는 용어는 호스, 파이프, 채널, 도관, 튜브 단부 형태, 또는 유압 및 유체 역학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파이프 유동과 동의어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튜브"라는 용어는 기체 또는 액체의 유동을 수용하고 허용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재료의 강성 또는 가요성 도관을 의미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로킹 상태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분해 사시도이다. 유체 연결 조립체(10)는 일반적으로 스페이서(20), 튜브(80), 및 커넥터 본체(40)를 포함한다. 다음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읽어야 한다.
튜브(80)는 단부(82), 섹션(83), 비드 또는 숄더(87), 섹션(89), 단부(92), 및 관통 보어(94)를 포함한다. 관통 보어(94)는 단부(82)로부터 단부(92)까지 튜브(80)를 통해 연장된다. 섹션(83)은 단부(82)와 숄더(87) 사이에 배열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은 단부(82)에 근접한 절두원추형 테이퍼 또는 곡선형 표면을 포함한다(도 5 참조).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은 하나 이상의 홈, 예를 들어 홈(85A, 85B)을 포함한다.
홈(85A)은 홈(85B)보다 얕다(즉, 홈(85A)은 제1 깊이를 포함하고 홈(85B)은 제2 깊이를 포함하며, 제2 깊이는 제1 깊이보다 큼). 홈(85A)은 하단 표면 및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측면 표면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단 표면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단 표면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에 평행하지 않다. 몇몇 실시예에서, 2개의 측면 표면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2개의 측면 표면은 테이퍼지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에 수직하지 않다. 홈(85A)은 경사진 코일(64)과 맞물려 유체 연결 조립체(10)를 로킹하도록(즉, 로킹 상태에서) 작동식으로 배열되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홈(85B)은 축방향(AD2)으로 홈(85A)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즉, 홈(85B)은 홈(85A)과 숄더(87) 사이에 배열됨). 홈(85B)은 하단 표면 및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측면 표면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단 표면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단 표면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에 평행하지 않다. 몇몇 실시예에서, 2개의 측면 표면은 테이퍼지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에 수직하지 않다.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측면 표면은 반경방향(RD1)으로 서로 멀어지게 테이퍼진다. 몇몇 실시예에서, 2개의 측면 표면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홈(85B)은 경사진 코일(64)과 맞물려 유체 연결 조립체(10)를 로킹 해제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숄더(87)는 섹션(83)과 섹션(89) 사이에 배열되고 표면(86)과 표면(88)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8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축방향(AD1)으로 향하는 축방향 표면이고 표면(8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축방향(AD2)으로 향하는 축방향 표면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86)은 숄더(87)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축방향(AD1)에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절두원추형 표면이다. 예를 들어, 표면(86)은 선형 원추형 형상일 수 있고 축방향(AD2)으로 직경이 증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86)은 선형 부분 및 원추형 또는 절두원추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섹션(89)은 숄더(87)와 단부(92) 사이에 배열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90)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90)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포함한다. 튜브(80)는, 구체적으로 단부(82)가 먼저 커넥터 본체(40)에 삽입되도록 배열된다. 튜브(80)는 숄더(87), 구체적으로 표면(86)이 스페이서(20), 구체적으로 단부(24)와 맞물릴 때까지 커넥터 본체(40)에 삽입된다(도 5 참조). 표면(86)이 단부(24)에 맞접할 때, 섹션(83) 또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은 밀봉부(62)와 맞물리고 경사진 코일(64)이 홈(85A)과 맞물린다. 이것이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로킹 상태이고, 여기서, 튜브(80)는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1)으로(스페이서(20)와 숄더(87)의 맞물림으로 인해) 또는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2)으로(경사진 코일(64)과 홈(85A)의 맞물림으로 인해) 변위될 수 없다. 숄더(87)는 커넥터 본체(40)의 외부에 배열되고 커넥터 본체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튜브(80)는, 튜브를 커넥터 본체 내에 고정하기 위해, 튜브의 외부 표면에서 반경방향 외향 및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드, 반경방향 외향 연장 돌기 또는 플랜지, 또는 경사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임의의 전통적인 튜브 또는 튜브 단부 형태일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브(80)는 금속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브(80)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브(80)는 세라믹을 포함한다.
도 3은 스페이서(20)의 섹션(20A, 20B)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스페이서(2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반적으로 도 1의 선 5-5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1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반적으로 도 1의 선 6-6을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다음 설명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읽어야 한다.
스페이서(20)는 일반적으로 섹션(20A) 및 섹션(20B)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섹션(20A)과 섹션(20B)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섹션(20A, 20B)은 일반적으로 단부(22), 단부(24), 단부(22)와 단부(24)로부터 연장되는 반경방향 표면(23), 단부(22)로부터 단부(24)까지 연장되는 구멍(21), 반경방향 외향 표면(26), 반경방향 내향 표면(28), 및 반경방향 내향 표면(32)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은 단부(24)로부터 축방향 표면(29)까지 연장되고 제1 직경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은 튜브(80), 구체적으로 숄더(87)에 근접하거나 바로 인접한 반경방향 외향 표면(84)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32)은 단부(22)로부터 축방향 표면(29)까지 연장되고 제2 직경을 포함하며, 제2 직경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의) 제1 직경보다 크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32)은 그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플랜지(30)를 포함한다. 플랜지(30)는 단부(22)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제3 직경을 포함하며, 제3 직경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의) 제1 직경보다 크고 (반경방향 내향 표면(32)의) 제2 직경보다 작다. 홈(34)은 플랜지(30), 반경방향 내향 표면(32), 및 표면(29)에 의해 형성된다. 플랜지(30)는 홈(54)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고 반경방향 내향 표면(32)은 스페이서(20)를 커넥터 본체(40)에 연결하기 위해 반경방향 외향 표면(52)과 맞물리도록(즉, 홈(34)이 커넥터 본체(40)의 단부(44)와 맞물림)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32)은 스페이서(20)가 커넥터 본체(40)에 완전히 연결될 때 단부(44)에 맞접하도록 배열되는 축방향 표면(29)을 통해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에 연결된다(도 5 참조). 표면(29)은 홈(34)과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을 분리시킨다.
섹션(20A, 20B)은 수형 커넥터(36) 및 암형 커넥터(38)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섹션(20A) 상의 수형 커넥터(36)는 섹션(20B) 상의 암형 커넥터(38)와 맞물리도록 배열되고, 섹션(20B) 상의 수형 커넥터(36)는 섹션(20A, 20B)이 고정식으로 고정되도록 섹션(20A) 상의 암형 커넥터(38)와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형 커넥터(36)는 반경방향 연장 돌출부(36A)를 포함한다. 돌출부(36A)는 일반적으로 반경방향(RD2)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형 커넥터(36), 구체적으로 돌출부(36A)는 반경방향 표면(23)으로부터 연장되고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의 접선 표면에 평행하게(즉, 돌출부(38B)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수형 커넥터(36)는 복수의 치형부(36B)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치형부(36B)는 돌출부(36A)로부터 반경방향(RD1)으로 반경방향 외향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치형부(36B)는 돌출부(36A)로부터 반경방향(RD2)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36A)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36)와 암형 커넥터(38)가 맞물림 해제되게 하도록 가요성, 탄성 또는 반탄성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암형 커넥터(38)는 돌출부(38A) 및 돌출부(38B)를 포함한다. 돌출부(38B)는 표면(23)으로부터 연장되고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에 접하도록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38B)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에 접하도록 배열되지 않는다. 돌출부(38A)는 돌기(38B)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돌기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슬롯 또는 공간(38C)을 형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38A)는 돌출부(38B)에 평행하지 않게 배열된다. 암형 커넥터(38)는 슬롯(38C) 내에 배열된 복수의 치형부(38D)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치형부(38D)는 돌출부(38A)로부터 반경방향(RD2)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고 치형부(36B)와 맞물려 섹션(20A, 20B)을 함께 로킹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치형부(38D)는 돌출부(38B)로부터 반경방향(RD1)으로 반경방향 외향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치형부(38D)는 슬롯(38C)의 외부에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38A) 및/또는 돌출부(38B)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36)와 암형 커넥터(38)가 맞물림 해제되게 하도록 가요성, 탄성 또는 반탄성이다.
섹션(20A)과 섹션(20B)을 연결하기 위해, 수형 커넥터(36)는 암형 커넥터(38)를 향해 변위된다. 수형 커넥터(36)가 암형 커넥터(38)와 맞물림에 따라, 치형부(36B)가 치형부(38D)와 맞물린다. 사용자는 스페이서(20)를 커넥터 본체(40)에 연결하는 데 필요한 만큼 많은 치형부(36B, 38D)를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 특징, 즉, 수형 커넥터(36)와 암형 커넥터(38)의 래칫 치형부는 스페이서(20)가 커넥터 본체(40) 및 튜브(80)의 크기(즉, 직경)에 따라 조절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더 큰 전체 외경을 갖는 커넥터 본체(40)의 경우, 치형부(36B, 38D) 중 1개 또는 2개만 맞물린다. 더 작은 전체 직경을 갖는 커넥터 본체(40)의 경우, 더 많은 치형부(36B 및 38D)가 맞물릴 것이다. 섹션(20A)이 섹션(20B)에 고정될 때, 돌출부(36A)는 슬롯(38C)과 맞물리고 돌출부(38B)는 표면(23)에 근접하게 배열되거나 표면에 맞접한다. 섹션(20A)과 섹션(20B)을 연결 해제하기 위해, 돌출부(36A)와 돌출부(38B) 중 적어도 하나는 치형부(36B)와 치형부(38D)를 맞물림 해제하도록 변위된다. 예를 들어, 돌출부(38A)는 반경방향(RD1)으로 반경방향 외향 변위되어, 치형부(36B)로부터 치형부(38D)를 맞물림 해제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일자형 스크류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돌출부(38A)를 변위시키고 섹션(20A, 20B)을 연결 해제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40)는 단부(42)로부터 단부(44)까지 연장되는 관통 보어(41), 반경방향 내향 표면(46), 반경방향 내향 표면(48), 홈(50), 홈(66), 반경방향 외향 표면(52), 홈(54), 헤드(58), 및 반경방향 외향 표면(60)을 포함한다. 커넥터 본체(40)는 유체로 채워지거나 유체가 유동하는 구성요소에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 본체(40)는 외부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60)을 통해 냉동 압축기 또는 트랜스미션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40)는 (예를 들어, 렌치를 사용하여) 헤드(58)를 통해 압축기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그 다음 냉매 유체로 채워진다. 몇몇 실시예에서, 헤드(58)는 육각형이다; 그러나, 헤드(58)는 커넥터 본체(40)에 토크를 인가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기하형상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유체 커넥터(10), 구체적으로 커넥터 본체(40)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는 응축기, 증발기 또는 펌프이다. 유체 커넥터(10)는 유체 연결이 요구되는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 조립체 및 서브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60)은 홈(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 또는 O-링이 홈(56)에 배열되어 커넥터 본체(40)와 이 커넥터 본체가 연결되는 구성요소 사이에 유밀식 밀봉부를 생성한다. 밀봉부(62)는 커넥터 본체(40)에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밀봉부(62)는 홈(50)에 배열된다. 홈(50)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48)에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밀봉부(62)는 O-링이다. 경사진 코일(64)은 커넥터 본체(40)에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경사진 코일(64)은 홈(66)에 배열된다. 홈(66)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48)에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내향 표면(46)은 대체로 원통형의 반경방향 내향 표면(48)을 단부(44)(예를 들어, 챔퍼링된 표면)와 연결하는 절두원추형 표면이다. 홈(54)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52)에 배열된다. 홈(54)은 단부(44)와 헤드(58)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54)은 헤드(58)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홈(54)은 플랜지(30)와 맞물려 스페이서(20)를 커넥터 본체(40)에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40)는 금속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40)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40)는 세라믹을 포함한다.
유체 연결 조립체(10)를 조립하기 위해, 스페이서(20)가 커넥터 본체(40) 위에 또는 상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섹션(20A)은 플랜지(30)가 홈(54)과 맞물리고, 반경방향 내향 표면(32)이 반경방향 외향 표면(52)과 맞물리며, 표면(29)이 단부(24)와 맞물리도록 커넥터 본체(40) 위에 배열된다. 섹션(20A)이 적절하게 위치 설정되면, 섹션(20B)은 동일한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고 섹션(20B)에 "스냅"된다. 스냅이라 함은 섹션(20B)의 수형 커넥터(36)가 섹션(20A)의 암형 커넥터(38)와 맞물리고, 섹션(20B)의 암형 커넥터(38)가 섹션(20A)의 수형 커넥터(36)와 맞물리거나 그 반대도 마찬가지임을 의미한다. 이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방법은 궁극적으로 리테이너(20)를 커넥터 본체(40)에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치형부(36B)와 치형부(38D) 사이에 스냅 또는 래칫 효과를 생성한다. 이어서, 튜브(80)는 축방향(AD1)으로 단부(82)가 먼저 스페이서(20) 및 커넥터 본체(40)에 삽입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은 밀봉부(62)와 맞물리고 섹션(83)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48)에 근접한 커넥터 본체(40)의 내부에 배열된다. 숄더(87)는 표면(86)이 단부(24)에 맞접하고 경사진 코일(64)이 홈(85A)과 맞물리도록 단부(44)로부터 이격된다. 튜브(80)가 커넥터 본체(40) 내에서 축방향(AD1)으로 삽입됨에 따라,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이 경사진 코일(64)과 맞물림으로써, 코일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코일을 "차징"하거나 회전시킨다. 홈(85A)이 최종적으로 홈(66)과 정렬될 때, 경사진 코일(64)은 차징되거나 와인딩된 상태를 나타내며, 경사진 코일(64)이 튜브(80)가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2)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타원형이다. 이제 차징된 경사진 코일(64)이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2)으로 튜브(80)의 변위를 방지하고, 스페이서(20)는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1)으로 튜브(80)의 변위를 방지하고 유체 연결 조립체(10)는 로킹 상태에 있다. 또한, 로킹 상태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28)은 튜브(80), 구체적으로 반경방향 외향 표면(84)과 맞물려,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반경방향(RD1 및 RD2)으로 튜브(80)의 변위를 추가로 방지한다.
유체 연결 조립체(10)를 맞물림 해제하거나 로킹 해제하기 위해, 스페이서(20)가 먼저 커넥터 본체(40)로부터 제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38)는, 예를 들어 돌출부(38A)를 돌출부(36A)에 대해 반경방향(RD1)으로 반경방향 외향 변위시킴으로써 수형 커넥터(36)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이는 치형부(36B)로부터 치형부(38D)를 맞물림 해제시킨다. 그 후, 섹션(20A와 20B)이 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튜브(80)는 표면(86)이 커넥터 본체(40)의 단부(44)와 맞물리거나 맞접할 때까지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1)으로 변위된다. 이 지점에서, 홈(85B)은 홈(66)과 정렬되고 경사진 코일(64)과 맞물린다. 홈(85B)은 홈(85A)보다 큰 깊이를 포함하기 때문에, 홈(66)과 정렬될 때 홈(85B)은 경사진 코일(64)이 언와인딩 또는 언차징되게(즉, 장력을 해제하게) 한다. 일단 경사진 코일(64)의 장력이 해제되면, 튜브(80)는 커넥터 본체(4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즉, 커넥터 본체(40)에 대해 축방향(AD2)으로 변위됨).
도 7은 로킹 상태에서 유체 연결 조립체(11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유체 연결 조립체(110)의 분해 사시도이다. 유체 연결 조립체(110)는 일반적으로 스페이서(120), 튜브(180), 및 커넥터 본체(140)를 포함한다. 다음 설명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읽어야 한다.
튜브(180)는 단부(182), 섹션(183), 비드 또는 숄더(187), 섹션(189), 단부(192), 및 관통 보어(194)를 포함한다. 관통 보어(194)는 단부(182)로부터 단부(192)까지 튜브(180)를 통해 연장된다. 섹션(183)은 단부(182)와 숄더(187) 사이에 배열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184) 및 반경방향 외향 표면(185)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184)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184)은 단부(182)에 근접한 절두 원추형 테이퍼 또는 곡선형 표면을 포함한다(도 11 참조). 반경방향 외향 표면(185)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184)과 숄더(187) 사이에 배열되고 하나 이상의 홈, 예를 들어 홈(185A) 및 홈(185B)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184)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185)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184)의 감소된 직경은 경사진 코일(164)과 반경방향 외향 표면(184)의 맞물림을 방지한다. 이러한 맞물림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184)에 스크래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밀봉부(162)로 생성된 밀봉부에 유해하다. 따라서,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경사진 코일(164)을 차징하는 것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184)이 아니라 반경방향 외향 표면(185)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섹션(183)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184A)을 더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184A)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184)을 반경방향 외향 표면(185)과 연결하는 절두원추형 표면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184A)은 축방향(AD1)으로 향하는 축방향 표면이다.
홈(185A)은 홈(185B)보다 얕다(즉, 홈(185A)은 제1 깊이를 포함하고 홈(185B)은 제2 깊이를 포함하며, 제2 깊이는 제1 깊이보다 큼). 홈(185A)은 하단 표면 및 반경방향 외향 표면(185)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측면 표면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단 표면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185)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단 표면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185)에 평행하지 않다. 몇몇 실시예에서, 2개의 측면 표면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185)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2개의 측면 표면은 테이퍼지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185)에 수직하지 않다. 홈(185A)은 경사진 코일(164)과 맞물려 유체 연결 조립체(110)를 로킹하도록(즉, 로킹 상태에서) 작동식으로 배열되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홈(185B)은 축방향(AD2)으로 홈(185A)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즉, 홈(185B)은 홈(185A)과 숄더(187) 사이에 배열됨). 홈(185B)은 하단 표면 및 반경방향 외향 표면(185)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측면 표면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단 표면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185)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단 표면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185)에 평행하지 않다. 몇몇 실시예에서, 2개의 측면 표면은 테이퍼지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185)에 수직하지 않다.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측면 표면은 반경방향(RD1)으로 서로 멀어지게 테이퍼진다. 몇몇 실시예에서, 2개의 측면 표면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185)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홈(185B)은 경사진 코일(164)과 맞물려 유체 연결 조립체(110)를 로킹 해제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숄더(187)는 섹션(183)과 섹션(189) 사이에 배열되고 표면(186)과 표면(188)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18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축방향(AD1)으로 향하는 축방향 표면이고 표면(18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축방향(AD2)으로 향하는 축방향 표면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186)은 숄더(187)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축방향(AD1)에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절두원추형 표면이다. 예를 들어, 표면(186)은 선형 원추형 형상일 수 있고 축방향(AD2)으로 직경이 증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186)은 선형 부분 및 원추형 또는 절두원추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섹션(189)은 숄더(187)와 단부(192) 사이에 배열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190)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190)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포함한다.
튜브(180)는, 구체적으로 단부(182)가 먼저 커넥터 본체(140)에 삽입되도록 배열된다. 튜브(80)는 숄더(187), 구체적으로 표면(186)이 스페이서(120), 구체적으로 단부(124)와 맞물릴 때까지 커넥터 본체(140)에 삽입된다(도 11 참조). 표면(186)이 단부(124)에 맞접할 때, 섹션(183) 또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184)은 밀봉부(162)와 맞물리고 경사진 코일(164)이 홈(185A)과 맞물린다. 이것이 유체 연결 조립체(110)의 로킹 상태이고, 여기서, 튜브(180)는 커넥터 본체(140)에 대해 축방향(AD1)으로(스페이서(120)와 숄더(187)의 맞물림으로 인해) 또는 커넥터 본체(140)에 대해 축방향(AD2)으로(경사진 코일(164)과 홈(185A)의 맞물림으로 인해) 변위될 수 없다. 숄더(187)는 커넥터 본체(140)의 외부에 배열되고 커넥터 본체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튜브(180)는, 튜브를 커넥터 본체 내에 고정하기 위해, 튜브의 외부 표면에서 반경방향 외향 및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드, 반경방향 외향 연장 돌기 또는 플랜지, 또는 경사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임의의 전통적인 튜브 또는 튜브 단부 형태일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브(180)는 금속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브(180)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브(180)는 세라믹을 포함한다.
도 9a는 스페이서(120)의 섹션(120A, 120B)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9b는 스페이서(120)의 섹션(120A, 120B)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a는 스페이서(120)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b는 스페이서(120)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반적으로 도 7의 선 11-11을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110)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반적으로 도 7의 선 12-12를 따라 취한 유체 연결 조립체(110)의 단면도이다. 다음 설명은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읽어야 한다.
스페이서(120)는 일반적으로 섹션(120A) 및 섹션(120B)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섹션(120A)과 섹션(120B)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섹션(120A, 120B)은 일반적으로 단부(122), 단부(124), 반경방향 표면(123), 단부(122)로부터 단부(124)까지 연장되는 구멍(121), 반경방향 외향 표면(126), 반경방향 내향 표면(128), 및 반경방향 내향 표면(132)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128)은 단부(124)로부터 축방향 표면(129)까지 연장되고 제1 직경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128)은 튜브(180), 구체적으로 숄더(187)에 근접하거나 바로 인접한 반경방향 외향 표면(184)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132)은 단부(122)로부터 축방향 표면(129)까지 연장되고 제2 직경을 포함하며, 제2 직경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128)의) 제1 직경보다 크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132)은 그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플랜지(130)를 포함한다. 플랜지(130)는 단부(122)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제3 직경을 포함하며, 제3 직경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128)의) 제1 직경보다 크고 (반경방향 내향 표면(132)의) 제2 직경보다 작다. 홈(134)은 플랜지(130), 반경방향 내향 표면(132), 및 표면(129)에 의해 형성된다. 플랜지(130)는 홈(154)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고 반경방향 내향 표면(132)은 스페이서(120)를 커넥터 본체(140)에 연결하기 위해 반경방향 외향 표면(152)과 맞물리도록(즉, 홈(134)이 커넥터 본체(140)의 단부(144)와 맞물림)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132)은 스페이서(120)가 커넥터 본체(140)에 완전히 연결될 때 단부(144)에 맞접하도록 배열되는 축방향 표면(129)을 통해 반경방향 내향 표면(128)에 연결된다(도 11 참조). 표면(129)은 홈(134)과 반경방향 내향 표면(128)을 분리시킨다.
섹션(120A, 120B)은 수형 커넥터(136) 및 암형 커넥터(138)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섹션(120A) 상의 수형 커넥터(136)는 섹션(120B) 상의 암형 커넥터(138)와 맞물리도록 배열되고, 섹션(120B) 상의 수형 커넥터(136)는 섹션(120A, 120B)이 고정식으로 고정되도록 섹션(120A) 상의 암형 커넥터(138)와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형 커넥터(136)는 반경방향 연장 돌출부(136A)를 포함한다. 돌출부(136A)는 일반적으로 반경방향(RD2)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형 커넥터(136), 구체적으로 돌출부(136A)는 반경방향 표면(123)으로부터 연장되고 반경방향 내향 표면(128)의 접선 표면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수형 커넥터(136)는 복수의 치형부(136B)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치형부(136B)는 섹션(120A, 120B)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RD1)으로 반경방향 외향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치형부(136B)는 반경방향(RD2)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136A)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136)와 암형 커넥터(138)가 맞물림 해제되게 하도록 가요성, 탄성 또는 반탄성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암형 커넥터(138)는 돌출부(138A) 및 돌출부(138B)를 포함한다. 돌출부(138B)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128)에 접하도록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138B)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128)에 접하도록 배열되지 않는다. 돌출부(138A)는 돌기(138B)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돌기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슬롯 또는 공간(138C)을 형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138A)는 돌출부(138B)에 평행하지 않게 배열된다. 암형 커넥터(138)는 슬롯(138C) 내에 배열된 복수의 치형부(138D)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치형부(138D)는 돌출부(138A)로부터 반경방향(RD2)으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고 치형부(136B)와 맞물려 섹션(120A, 120B)을 함께 로킹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치형부(138D)는 돌출부(138B)로부터 반경방향(RD1)으로 반경방향 외향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치형부(138D)는 슬롯(138C)의 외부에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138A) 및/또는 돌출부(138B)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136)와 암형 커넥터(138)가 맞물림 해제되게 하도록 가요성, 탄성 또는 반탄성이다.
섹션(120A)과 섹션(120B)을 연결하기 위해, 수형 커넥터(136)는 암형 커넥터(138)를 향해 변위된다. 수형 커넥터(136)가 암형 커넥터(138)와 맞물림에 따라, 치형부(136B)가 치형부(138D)와 맞물린다. 사용자는 스페이서(120)를 커넥터 본체(140)에 연결하는 데 필요한 만큼 많은 치형부(136B) 및 치형부(138D)를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 특징, 즉, 수형 커넥터(136)와 암형 커넥터(138)의 래칫 치형부는 스페이서(120)가 커넥터 본체(140) 및 튜브(180)의 크기(즉, 직경)에 따라 조절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더 큰 전체 외경을 갖는 커넥터 본체(140)의 경우, 치형부(136B, 138D) 중 1개 또는 2개만 맞물린다. 더 작은 전체 직경을 갖는 커넥터 본체(140)의 경우, 더 많은 치형부(136B 및 138D)가 맞물릴 것이다. 섹션(120A)이 섹션(120B)에 고정될 때, 돌출부(136A)는 슬롯(138C)과 맞물리고 돌출부(138B)는 표면(123)에 근접하게 배열되거나 표면에 맞접한다. 섹션(120A)과 섹션(120B)을 연결 해제하기 위해, 돌출부(136A)와 돌출부(138B) 중 적어도 하나는 치형부(136B)와 치형부(138D)를 맞물림 해제하도록 변위된다. 예를 들어, 돌출부(138A)는 반경방향(RD1)으로 반경방향 외향 변위되어, 치형부(136B)로부터 치형부(138D)를 맞물림 해제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일자형 스크류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돌출부(138A)를 변위시키고 섹션(120A, 120B)을 연결 해제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40)는 단부(142)로부터 단부(144)까지 연장되는 관통 보어(141), 반경방향 내향 표면(146), 반경방향 내향 표면(148), 홈(150), 홈(166), 반경방향 외향 표면(152), 홈(154), 헤드(158), 및 반경방향 외향 표면(160)을 포함한다. 커넥터 본체(140)는 유체로 채워지거나 유체가 유동하는 구성요소에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 본체(140)는 외부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160)을 통해 냉동 압축기 또는 트랜스미션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40)는 (예를 들어, 렌치를 사용하여) 헤드(158)를 통해 압축기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그 다음 냉매 유체로 채워진다. 몇몇 실시예에서, 헤드(158)는 육각형이다; 그러나, 헤드(158)는 커넥터 본체(140)에 토크를 인가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기하형상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유체 커넥터(110), 구체적으로 커넥터 본체(140)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는 응축기, 증발기 또는 펌프이다. 유체 커넥터(110)는 유체 연결이 요구되는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 조립체 및 서브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160)은 홈(1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 또는 O-링이 홈(156)에 배열되어 커넥터 본체(140)와 이 커넥터 본체가 연결되는 구성요소 사이에 유밀식 밀봉부를 생성한다.
밀봉부(162)는 커넥터 본체(140)에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밀봉부(162)는 홈(150)에 배열된다. 홈(150)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148)에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밀봉부(162)는 O-링이다. 경사진 코일(164)은 커넥터 본체(140)에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경사진 코일(164)은 홈(166)에 배열된다. 홈(166)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146)에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140)는 대체로 원통형의 반경방향 내향 표면(148)을 대체로 원통형의 반경방향 내향 표면(146)과 연결하는 표면(147)을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147)은 절두원추형 표면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147)은 축방향(AD2)으로 향하는 축방향 표면이다. 표면(147)은 유체 연결 조립체(110)를 맞물림 해제 또는 로킹 해제할 때 표면(184A)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148)은 제1 직경을 포함하고 반경방향 내향 표면(146)은 제2 직경을 포함하며, 제2 직경은 제1 직경보다 크다. 반경방향 내향 표면(146)은 단부(144)에 연결된다.
홈(154)은 반경방향 외향 표면(152)에 배열된다. 홈(154)은 단부(144)와 헤드(158)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154)은 헤드(158)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홈(154)은 플랜지(130)와 맞물려 스페이서(120)를 커넥터 본체(140)에 연결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140)는 금속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140)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140)는 세라믹을 포함한다.
유체 연결 조립체(110)를 조립하기 위해, 스페이서(120)가 커넥터 본체(140) 위에 또는 상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섹션(120A)은 플랜지(130)가 홈(154)과 맞물리고, 반경방향 내향 표면(132)이 반경방향 외향 표면(152)과 맞물리며, 표면(129)이 단부(124)와 맞물리도록 커넥터 본체(140) 위에 배열된다. 섹션(120A)이 적절하게 위치 설정되면, 섹션(120B)은 동일한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고 섹션(120B)에 "스냅"된다. 스냅이라 함은 섹션(120B)의 수형 커넥터(136)가 섹션(120A)의 암형 커넥터(138)와 맞물리고, 섹션(120B)의 암형 커넥터(138)가 섹션(120A)의 수형 커넥터(136)와 맞물리거나 그 반대도 마찬가지임을 의미한다. 이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방법은 궁극적으로 리테이너(120)를 커넥터 본체(140)에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치형부(136B)와 치형부(138D) 사이에 스냅 또는 래칫 효과를 생성한다. 이어서, 튜브(180)는 축방향(AD1)으로 단부(182)가 먼저 스페이서(120) 및 커넥터 본체(140)에 삽입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184)은 임의의 유해한 접촉(즉, 경사진 코일(164)이 반경방향 외향 표면(184)을 스크래칭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맞물림) 없이 경사진 코일(164)을 통과하고 밀봉부(162)와 맞물리며, 섹션(183)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148)에 근접한 커넥터 본체(140)의 내부에 배열된다. 숄더(187)는 표면(186)이 단부(124)에 맞접하고 경사진 코일(164)이 홈(185A)과 맞물리도록 단부(144)로부터 이격된다.
튜브(180)가 커넥터 본체(140) 내에서 축방향(AD1)으로 삽입됨에 따라, 반경방향 외향 표면(185)이 경사진 코일(164)과 맞물림으로써, 코일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코일을 "차징"하거나 회전시킨다. 홈(185A)이 최종적으로 홈(166)과 정렬될 때, 경사진 코일(164)은 차징되거나 와인딩된 상태를 나타내며, 경사진 코일(164)이 튜브(180)가 커넥터 본체(140)에 대해 축방향(AD2)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타원형이다. 이제 차징된 경사진 코일(164)이 커넥터 본체(140)에 대해 축방향(AD2)으로 튜브(180)의 변위를 방지하고, 스페이서(120)는 커넥터 본체(140)에 대해 축방향(AD1)으로 튜브(180)의 변위를 방지하고 유체 연결 조립체(110)는 로킹 상태에 있다. 또한, 로킹 상태에서, 반경방향 내향 표면(128)은 튜브(180), 구체적으로 반경방향 외향 표면(185)과 맞물려, 커넥터 본체(140)에 대해 반경방향(RD1 및 RD2)으로 튜브(180)의 변위를 추가로 방지한다.
유체 연결 조립체(110)를 맞물림 해제하거나 로킹 해제하기 위해, 스페이서(120)가 먼저 커넥터 본체(140)로부터 제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138)는, 예를 들어 돌출부(138A)를 돌출부(136A)에 대해 반경방향(RD1)으로 반경방향 외향 변위시킴으로써 수형 커넥터(136)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이는 치형부(136B)로부터 치형부(138D)를 맞물림 해제시킨다. 그 후, 섹션(120A 및 120B)이 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튜브(180)는 표면(186)이 커넥터 본체(140)의 단부(144)와 맞물리거나 맞접할 때까지 커넥터 본체(140)에 대해 축방향(AD1)으로 변위된다. 이 지점에서, 홈(185B)은 홈(166)과 정렬되고 경사진 코일(164)과 맞물리며, 표면(184A)은 표면(147)에 근접하게 배열되거나 표면에 맞접한다. 홈(185B)은 홈(185A)보다 큰 깊이를 포함하기 때문에, 홈(166)과 정렬될 때 홈(185B)은 경사진 코일(164)이 언와인딩 또는 언차징되게(즉, 장력을 해제하게) 한다. 일단 경사진 코일(164)의 장력이 해제되면, 튜브(180)는 커넥터 본체(14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즉, 커넥터 본체(140)에 대해 축방향(AD2)으로 변위됨).
유체 연결 조립체(10) 및 유체 연결 조립체(110)의 구성요소는 서로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고 및/또는 서로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도록 수정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태 및 다른 특징 및 기능, 또는 그 대안이 바람직하게는 많은 다른 여러 시스템 또는 용례에 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현재 예상하지 못하거나 기대하지 못한 다양한 대안, 수정, 변형 또는 개선이 이후에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또한 다음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10 유체 연결 조립체
20 스페이서
20A 섹션
20B 섹션
21 구멍
22 단부
23 표면
24 단부
26 반경방향 외향 표면
28 반경방향 내향 표면
29 표면
30 플랜지
32 반경방향 내향 표면
34 홈
36 수형 커넥터
36A 돌출부
36B 치형부
38 암형 커넥터
38A 돌출부
38B 돌출부
38C 슬롯 또는 공간
38D 치형부
40 커넥터 본체
41 관통 보어
42 단부
44 단부
46 반경방향 내향 표면
48 반경방향 내향 표면
50 홈
52 반경방향 외향 표면
54 홈
56 홈
58 헤드
60 반경방향 외향 표면
62 밀봉부
64 경사진 코일
66 홈
80 튜브
82 단부
83 섹션
84 반경방향 외향 표면
85A 홈
85B 홈
86 표면
87 숄더 또는 비드
88 표면
89 섹션
90 반경방향 외향 표면
92 단부
94 관통 보어
110 유체 연결 조립체
120 스페이서
120A 섹션
120B 섹션
121 구멍
122 단부
123 표면
124 단부
126 반경방향 외향 표면
128 반경방향 내향 표면
129 표면
130 플랜지 또는 플랜지들
132 반경방향 내향 표면
134 홈
136 수형 커넥터
136A 돌출부
136B 치형부
138 암형 커넥터
138A 돌출부
138B 돌출부
138C 슬롯 또는 공간
138D 치형부
140 커넥터 본체
141 관통 보어
142 단부
144 단부
146 반경방향 내향 표면
147 표면
148 반경방향 내향 표면
150 홈
152 반경방향 외향 표면
154 홈
156 홈
158 헤드
160 반경방향 외향 표면
162 밀봉부
164 경사진 코일
166 홈
180 튜브
182 단부
183 섹션
184 반경방향 외향 표면
184A 반경방향 외향 표면
185 반경방향 외향 표면
185A 홈
185B 홈
186 표면
187 숄더 또는 비드
188 표면
189 섹션
190 반경방향 외향 표면
192 단부
194 관통 보어
AD1 축방향
AD2 축방향
RD1 반경방향
RD2 반경방향

Claims (20)

  1. 유체 연결 조립체이며,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관통 보어;
    제1 관통 보어에 배열된 경사진 코일; 및
    제1 홈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스페이서는:
    제1 섹션으로서,
    제1 홈과 맞물리는 제3 단부;
    제4 단부;
    제3 단부와 제4 단부 사이에 배열된 제1 축방향 표면;
    제1 수형 커넥터; 및
    제1 암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섹션; 및
    제2 섹션으로서,
    제1 홈과 맞물리는 제5 단부;
    제6 단부;
    제5 단부와 제6 단부 사이에 배열된 제2 축방향 표면;
    제1 암형 커넥터와 맞물리도록 배열된 제2 수형 커넥터; 및
    제1 수형 커넥터와 맞물리도록 배열된 제2 암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섹션을 포함하고;
    로킹 상태에서, 제1 축방향 표면 및 제2 축방향 표면은 제2 단부에 맞접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섹션은 제3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제1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제1 플랜지는 제1 홈과 맞물리도록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숄더를 포함하는 튜브를 더 포함하고, 로킹 상태에서, 숄더는 스페이서에 맞접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튜브는 제2 홈 및 제2 홈으로부터 이격된 제3 홈을 더 포함하고, 로킹 상태에서, 경사진 코일은 제2 홈과 맞물리는, 유체 연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제3 홈의 깊이는 제2 홈의 깊이보다 큰, 유체 연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제1 섹션은 제1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고;
    제2 섹션은 제1 복수의 치형부와 맞물려 제2 섹션을 제1 섹션에 로킹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제2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제1 복수의 치형부는 제1 수형 커넥터 상에 배열되고;
    제2 복수의 치형부는 제2 암형 커넥터 상에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제1 수형 커넥터는:
    제1 돌출부; 및
    제1 돌출부 상에 배열되고 제1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제2 암형 커넥터는:
    제2 돌출부; 및
    제2 돌출부 상에 배열되고 제1 반경방향과 반대인 제2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고, 제2 복수의 치형부는 제1 복수의 치형부와 맞물려 제2 섹션을 제1 섹션과 로킹시키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암형 커넥터는 제2 돌출부로부터 이격된 제3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슬롯이 제2 돌출부와 제3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고;
    제1 돌출부는 슬롯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2. 유체 연결 조립체이며,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관통 보어;
    제1 관통 보어에 배열된 경사진 코일; 및
    제1 홈을 포함하는 제1 반경방향 외향 표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스페이서는:
    제1 섹션으로서,
    제1 홈과 맞물리는 제3 단부;
    제4 단부;
    제3 단부와 제4 단부 사이에 배열된 제1 축방향 표면;
    제1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는 수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섹션; 및
    제2 섹션으로서,
    제1 홈과 맞물리는 제5 단부;
    제6 단부;
    제5 단부와 제6 단부 사이에 배열된 제2 축방향 표면; 및
    제1 반경방향과 반대인 제2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는 암형 커넥터를 포함하고, 제2 복수의 치형부는 제1 복수의 치형부와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제2 섹션을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섹션은 제3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향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는 제1 홈과 맞물리도록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숄더, 제2 홈, 및 제2 홈으로부터 이격된 제3 홈을 포함하는 튜브를 더 포함하고, 로킹 상태에서, 숄더는 스페이서에 맞접하고 경사진 코일은 제2 홈과 맞물리는, 유체 연결 조립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제1 섹션은:
    제1 직경을 포함하고 제3 단부를 형성하는 제1 반경방향 내향 표면;
    제2 직경을 포함하고 제4 단부를 형성하는 제2 반경방향 내향 표면을 포함하고, 제2 직경은 제1 직경보다 작은, 유체 연결 조립체.
  16. 제12항에 있어서, 수형 커넥터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 복수의 치형부는 제1 돌출부 상에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암형 커넥터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2 복수의 치형부는 제2 돌출부 상에 배열되며, 제2 복수의 치형부와 제1 복수의 치형부의 맞물림은 제2 섹션을 제1 섹션에 로킹시키는, 유체 연결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암형 커넥터는 제2 돌출부로부터 이격된 제3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유체 연결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슬롯이 제2 돌출부와 제3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고;
    제1 돌출부는 슬롯과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유체 연결 조립체.
  20. 유체 연결 조립체이며,
    커넥터 본체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관통 보어;
    관통 보어에 배열된 경사진 코일; 및
    제1 홈을 포함하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커넥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된 스페이서로서,
    제1 섹션으로서,
    제1 홈과 맞물리는 제3 단부;
    제4 단부;
    제3 단부와 제4 단부 사이에 배열된 제1 축방향 표면;
    제1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는 수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섹션; 및
    제2 섹션으로서,
    제1 홈과 맞물리는 제5 단부;
    제6 단부;
    제5 단부와 제6 단부 사이에 배열된 제2 축방향 표면; 및
    제1 반경방향과 반대인 제2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는 암형 커넥터를 포함하고, 제2 복수의 치형부는 제1 복수의 치형부와 맞물리도록 작동식으로 배열되는, 제2 섹션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및
    숄더, 제2 홈, 및 제2 홈으로부터 이격된 제3 홈을 포함하는 튜브를 포함하고;
    로킹 상태에서, 숄더는 스페이서에 맞접하고 경사진 코일은 제2 홈과 맞물리는, 유체 연결 조립체.
KR1020237017390A 2020-10-26 2021-06-15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300903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105449P 2020-10-26 2020-10-26
US63/105,449 2020-10-26
PCT/US2021/037386 WO2022093331A1 (en) 2020-10-26 2021-06-15 Fluid connection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359A true KR20230090359A (ko) 2023-06-21

Family

ID=8698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390A KR20230090359A (ko) 2020-10-26 2021-06-15 유체 연결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375115A1 (ko)
KR (1) KR20230090359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75115A1 (en)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2607A (en) Quick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 confirming feature
US7891380B2 (en) Protective cap for quick connector
US20100219629A1 (en) Quick connector with seal assembly retainer
US20100052315A1 (en) Quick connector coupling with lateral stabilization
JP2012511681A (ja) 導管継手用フェルールアセンブリ
US6234544B1 (en) Quick connector with confirmation feature
KR20230090359A (ko) 유체 연결 조립체
US9683690B2 (en) Movement-constraining assembly for fluid-conveying system
KR20230093460A (ko) 유체 연결 조립체
WO2022093331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US1079451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xpansion coupling for pipes with sheathed grooves
KR20230088918A (ko)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30090358A (ko)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30088919A (ko) 유체 연결 조립체
WO2022265676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US20230392732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JP2008281190A (ja) ヘッダーと管継手との接続構造
KR20240013882A (ko) 유체 연결 조립체
US20240191820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and fluid connection assembly connect and disconnect tools
KR20240010567A (ko) 유체 연결 조립체
KR20230122167A (ko) 시각적 연결 확인부를 갖는 변조 방지 유체 연결 조립체
WO2022108593A1 (en) Tool for a fluid connection assembly
WO2023196021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RU244393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жестких объектов
WO2018136177A1 (en) Quick connect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