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711A -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액랭 플러그인 장치 및 배터리 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액랭 플러그인 장치 및 배터리 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711A
KR20240007711A KR1020247000024A KR20247000024A KR20240007711A KR 20240007711 A KR20240007711 A KR 20240007711A KR 1020247000024 A KR1020247000024 A KR 1020247000024A KR 20247000024 A KR20247000024 A KR 20247000024A KR 20240007711 A KR20240007711 A KR 20240007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liquid cooling
assembly
plate
cooling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0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안핑 장
춘후아 후앙
Original Assignee
올턴 뉴 에너지 오토모티브 테크놀러지 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턴 뉴 에너지 오토모티브 테크놀러지 그룹 filed Critical 올턴 뉴 에너지 오토모티브 테크놀러지 그룹
Publication of KR20240007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71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5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adjustable; allowing movement of the parts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60L58/3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 B60L58/33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by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5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액랭 플러그인 장치 및 배터리 팩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제1 고정 플레이트, 플로팅 플레이트, 복수의 제2 탄성 부재 및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플러그인 부재는 모두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내에는 운동 캐비티가 개설되며,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복수의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운동 캐비티 내에 위치하고,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는 복수의 상기 제2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와 플로팅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복수의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의 주변의 외측 가장자리에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액랭 플러그인 장치 및 배터리 팩 어셈블리{LIQUID COOLING PLUG-IN ASSEMBLY, LIQUID COOLING PLUG-IN APPARATUS, AND BATTERY PACK ASSEMBLY}
본 발명은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액랭 플러그인 장치 및 배터리 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기 자동차는 유압을 사용하여 배터리 팩을 냉각시키고, 배터리 팩의 열교환 능력을 증가시키며, 액체 유동을 통해 배터리 팩 내의 셀 온도를 배터리 팩 외부의 냉열 교환 모듈로 전달하여 처리시켜, 배터리 온도를 균형시키고 배터리의 전체 용량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사용 환경의 한정을 직접 향상시키고 차량의 동력 성능, 배터리 수명 등 성능 지표를 직접 개선한다. 그러나 배터리 팩의 액냉 플러그인 부재를 연결한 후, 차체 진동 등 원인으로 플로팅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액랭 플러그인 부재의 플로팅 량이 부족하여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또는 뿌려지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액랭 플러그인 부재의 플로팅 량이 부족하여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뿌려지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액랭 플러그인 장치 및 배터리 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 기술적 수단을 통해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다.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고정 플레이트, 플로팅 플레이트, 복수의 제2 탄성 부재 및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플러그인 부재는 모두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내에는 운동 캐비티가 개설되며,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복수의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운동 캐비티 내에 위치하고,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는 복수의 상기 제2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와 플로팅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복수의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의 주변의 외측 가장자리에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기술적 수단에서, 상기 구조 형태를 사용하면, 복수의 제2 탄성 부재를 통해 플로팅 플레이트와 플로팅 연결되고 위치 상태를 조정하고 큰 플로팅 량을 구비하여, 플로팅 플레이트에 연결된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 내의 액체의 외부 유출 및 뿌려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복수의 제2 탄성 부재를 통해 각각 플로팅 플레이트의 주변에 힘을 작용하여, 플로팅 플레이트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오프셋 변위와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상기 플러그인 부재의 삽입 방향은 모두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과 수직된다.
본 기술적 수단에서, 상기 구조 형태를 사용하면, 제2 탄성 부재를 통해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가 플로팅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평면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여, 플러그인 부재 내의 액체의 외부 유출 및 뿌려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인장 스프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운동 캐비티 내에 위치하고,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와 플로팅 연결된다.
본 기술적 수단에서, 상기 구조 형태를 사용하면,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가 제1 탄성 부재를 통해 제1 고정 플레이트와 플로팅 연결되어, 플러그인 부재가 큰 플로팅 량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연결의 안정성을 크게 증가시켜, 플러그인 부재 내의 액체의 외부 유출 및 뿌려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과 상기 플러그인 부재의 삽입 방향은 동일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당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벨빌 스프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는 고정 프레임,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 및 리어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고정 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운동 캐비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가압 설치된다.
본 기술적 수단에서, 상기 구조 형태를 사용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를 가공 제작함에 있어서 더 편리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제1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에는 제1 연결 개구가 개설되며, 상기 제1 연결 개구는 상기 운동 캐비티에 연통되고,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연결 개구와 상기 운동 캐비티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상기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상기 제1 연결 개구를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둘러싼다.
본 기술적 수단에서, 상기 구조형태를 사용하면, 제1 실링 부재가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실링 작용을 함으로써,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를 실제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먼지 등 작은 입자의 이물질이 제1 연결 개구를 통해 운동 캐비티 내에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에는 제2 연결 개구가 개설되고, 상기 제2 연결 개구는 상기 운동 캐비티에 연통되고,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연결 개구를 관통하고 상기 플러그인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제2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링 부재는 상기 제2 연결 개구를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제2 실링 부재는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 사이에 가압 설치된다.
본 기술적 수단에서, 상기 구조 형태를 사용하면, 제2 실링 부재가 리어 커버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실링 작용을 함으로써,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를 실제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먼지 등 작은 입자의 이물질이 제2 연결 개구를 통해 운동 캐비티 내에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서 상기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를 향하는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홀이 설치되고, 상기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핀의 일단은 상기 장착홀에 연결되며, 상기 포지셔닝 핀의 타단은 상기 플러그인 부재의 삽입 방향을 따라 외부로 연장된다.
본 기술적 수단에서, 상기 구조 형태를 사용하면, 포지셔닝 핀은 가이드 포지셔닝 작용을 구비하여, 플로팅 플레이트의 정확한 플러그인을 실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홀은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장착홀 내에 삽입되고 상기 포지셔닝 핀에 당접한다.
본 기술적 수단에서, 상기 구조 형태를 사용하면, 장착홀이 제1 탄성 부재에 대해 한정 작용을 수행하여, 제1 탄성 부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오프셋 변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장착이 편리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는 복수의 제1 액체 관통공이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1 액체 관통공은 복수의 상기 플러그인 부재와 일대일 대응되고, 상기 플러그인 부재는 상기 제1 액체 관통공의 일단에 나사 연결되며, 상기 제1 액체 관통공의 타단은 외부의 액체 공급 시스템과 연통되는데 사용된다.
본 기술적 수단에서, 상기 구조 형태를 사용하면, 플로팅 플레이트의 제1 액체 관통공과 플러그인 부재의 연통을 통해, 조립이 편리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다.
액랭 플러그인 장치에 있어서,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 및 상술한 바와 같은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착탈 가능하게 상기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기술적 수단에서, 상기 구조 형태를 사용하면, 제1 탄성 부재를 통해 플러그인 부재가 큰 플로팅 량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액랭 플러그인 장치의 연결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켜, 플러그인 부재 내의 액체의 외부 유출 및 뿌려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액랭 플러그인 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누출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액랭 플러그인 장치의 사용 수명을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제2 고정 플레이트와 복수의 매칭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매칭 부재는 모두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매칭 부재는 복수의 상기 플러그인 부재와 일대일 대응되며, 상기 매칭 부재는 상기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매칭 부재는 상기 플러그인 부재에 연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매칭 부재와 일대일 대응되는 복수의 제2 액체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매칭 부재는 인서트 및 파이프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상기 제2 액체 관통공의 일단에 나사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 조인트는 상기 제2 액체 관통공의 타단에 나사 연결되며, 상기 인서트는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 또는 상기 플러그인 부재에 삽입되고, 상기 플러그인 부재, 상기 인서트 및 상기 파이프 조인트는 서로 연통된다.
본 기술적 수단에서, 상기 구조 형태를 사용하면,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의 조립이 편리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1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를 향하는 일측에는 돌기 링이 설치되며, 상기 돌기 링과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모두 복수의 상기 매칭 부재를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돌기 링은 상기 제1 실링 부재에 당접한다.
본 기술적 수단에서, 상기 구조 형태를 사용하면, 돌기 링을 통해 제1 실링 부재에 당접하여 실링 효과를 더 증가시켜, 먼지 등 작은 입자의 이물질이 운동 캐비티 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액랭 플러그인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핀은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의 방향을 따라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핀은 상기 포지셔닝 슬리브와 일대일 대응되며, 상기 포지셔닝 핀은 상기 포지셔닝 슬리브 내에 삽입 설치된다.
본 기술적 수단에서, 상기 구조 형태를 사용하면, 포지셔닝 슬리브와 포지셔닝 핀은 가이드 포지셔닝 작용을 수행하여,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와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 사이의 플러그인 정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액랭 플러그인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칭 부재는 액랭 소켓이고 상기 플러그인 부재는 액랭 플러그이거나, 또는 상기 매칭 부재는 액랭 플러그이고 상기 플러그인 부재는 액랭 소켓이며, 상기 액랭 플러그는 상기 액랭 소켓과 서로 매칭된다.
배터리 팩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액랭 플러그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기술적 수단에서, 상기 구조 형태를 사용하면,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하여 배터리 팩의 성능 지표를 향상시킨다. 이와 동시에, 액체의 외부 유출 및 뿌려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배터리 팩 어셈블리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의 기초상에, 상기 각 바람직한 조건은 임의로 조합되어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구현예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의 적극적이고 진보적인 효과는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액랭 플러그인 장치 및 배터리 팩 어셈블리는, 플로팅 플레이트가 복수의 제2 탄성 부재를 통해 제1 고정 플레이트와 플로팅 연결되어, 플러그인 부재가 큰 플로팅 량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연결의 안정성을 크게 증가시켜, 플러그인 부재 내의 액체의 외부 유출 및 뿌려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랭 플러그인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랭 플러그인 장치의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랭 플러그인 장치의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의 또 다른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방향을 따른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방향을 따른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랭 플러그인 장치의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랭 플러그인 장치의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 개략도이다.
이하, 실시예의 방식에 따라 도면과 결부하여 본 발명을 더 뚜렷하고 완전하게 설명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실시예의 범위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랭 플러그인 장치는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와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2)를 포함하고,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2)는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는 제1 고정 플레이트(11), 플로팅 플레이트(12), 적어도 하나의 제1 탄성 부재(14) 및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13)를 포함하고,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13)는 모두 플로팅 플레이트(12)에 연결되고, 제1 고정 플레이트(11) 내에는 운동 캐비티(111)가 개설되며, 플로팅 플레이트(12)와 제1 탄성 부재(14)는 모두 운동 캐비티(111) 내에 위치하고, 플로팅 플레이트(12)는 제1 탄성 부재(14)를 통해 제1 고정 플레이트(11)와 플로팅 연결된다. 플로팅 플레이트(12)는 제1 탄성 부재(14)를 통해 운동 캐비티(111) 내에서 플로팅 연결되어,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13)로 하여금 함께 플로팅하도록 구동한다.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13)는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2)와 연통되고,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2)가 제공한 냉각수는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의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13)를 통해 냉각되며, 제1 탄성 부재(14)를 통해 플러그인 부재(13)는 큰 플로팅 량을 가지게 되어,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의 연결 안정성을 크게 증가함으로써, 플러그인 부재(13) 내의 액체의 외부 유출 및 뿌려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액랭 플러그인 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누출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액랭 플러그인 장치의 사용 수명을 연장한다.
제1 탄성 부재(14)의 길이 방향은 플러그인 부재(13)의 삽입 방향과 동일하고, 제1 탄성 부재(14)의 양단은 각각 제1 고정 플레이트(11) 및 플로팅 플레이트(12)와 당접된다.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13)는 사용하는 과정에서, 플러그인 부재(13)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와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2)의 플러그인 연결을 실현할 수 있는 바, 즉 플러그인 부재(13)의 삽입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13)와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2)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4)의 길이 방향과 제1 탄성 부재(14)의 탄성 방향이 동일하고, 플러그인 부재(13)의 삽입 방향과 제1 탄성 부재(14)의 탄성 방향이 동일하여, 플러그인 부재(13)로 하여금 삽입 이동할 경우 따라서 이동하는 동시에 위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플러그인 부재(13)의 삽입을 만족시키고 액랭 플러그인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는 복수의 제2 탄성 부재(15)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제2 탄성 부재(15)는 모두 운동 캐비티(111) 내에 위치하고, 제2 탄성 부재(15)의 양단은 각각 제1 고정 플레이트(11) 및 플로팅 플레이트(12)에 연결되며, 복수의 제2 탄성 부재(15)는 플로팅 플레이트(12)의 주위의 외측 가장자리에 분포된다. 복수의 제2 탄성 부재(15)를 통해 플로팅 플레이트(12)가 플로팅 연결되고 위치 상태를 조정하며, 큰 플로팅 량을 구비함으로써, 플로팅 플레이트(12)에 연결된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13) 내의 액체의 외부 유출 및 뿌려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액랭 플러그인 장치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와 동시에, 복수의 제2 탄성 부재(15)가 각각 플로팅 플레이트(12)의 주위에 작용력을 인가하여, 플로팅 플레이트(21)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오프셋 변위 및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여기서, 플로팅 플레이트(12)의 모양은 사각형 구조를 이루고, 제2 탄성 부재(15)의 수량은 4개이며, 4개의 제2 탄성 부재(15)는 각각 플로팅 플레이트(12)의 네 각에 설치된다.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13)의 삽입 방향은 모두 제2 탄성 부재(15)의 길이 방향과 수직된다. 제1 탄성 부재(14)를 통해 플로팅 플레이트(12)가 운동 캐비티(111) 내에서 플로팅 플레이트(12)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위치를 조정하고, 제2 탄성 부재(15)를 통해 플로팅 플레이트(12)가 운동 캐비티(111) 내에서 플로팅 플레이트(12)의 플레이트 평면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13)로 하여금 플로팅 플레이트(12)의 변위에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플러그인 부재(13) 내의 액체의 외부 유출, 뿌려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액랭 플러그인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탄성 부재(15)는 인장 스프링이다.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2)는 제2 고정 플레이트(21) 및 복수의 매칭 부재(22)를 포함하고, 복수의 매칭 부재(22)는 모두 제2 고정 플레이트(21)에 연결되고, 복수의 매칭 부재(22)는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13)와 일대일 대응되며, 매칭 부재(22)는 착탈 가능하게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에 연결되고, 매칭 부재(22)는 플러그인 부재(13) 와 연통된다. 복수의 매칭 부재(22)는 모두 제2 고정 플레이트(21)에 장착되고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복수의 매칭 부재(22)가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에 연결될 경우, 매칭 부재(22)는 플러그인 부재(13)와 연통되고, 복수의 매칭 부재(22)와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가 분해될 경우, 매칭 부재(22)는 플러그인 부재(13)와 서로 분리된다. 여기서, 복수의 매칭 부재(22)와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13)의 수량은 모두 한정되지 않는 바, 복수의 매칭 부재(22)와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13)는 모두 액체 유입관과 액체 유출관을 포함하고, 액체 유입관과 액체 유출관을 통해 순환 냉각을 실현한다.
매칭 부재(22)는 액랭 소켓일 수 있고, 플러그인 부재(13)는 액랭 플러그일 수 있으며, 액랭 플러그는 액랭 소켓과 매칭된다. 액랭 플러그는 액랭 소켓에 삽입되어 서로 연통됨으로써 냉각수가 출입 유동하도록 한다. 물론, 매칭 부재(22)는 액랭 플러그일 수도 있고, 플러그인 부재(13)는 액랭 소켓일 수도 있으며, 액랭 플러그는 액랭 소켓과 매칭된다. 여기서, 매칭 부재(22)는 플로팅 플레이트(12)를 관통하여 직접적으로 플러그인 부재(13)와 서로 플러그인 연통될 수 있지만, 매칭 부재(22)는 직접적으로 플러그인 부재(13)와 서로 플러그인 연통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매칭 부재(22)는 간접적으로 플러그인 부재(13)와 연결되고 연통될 수도 있고, 매칭 부재(22)는 플로팅 플레이트(12)에 삽입되어 플로팅 플레이트(12)를 통해 플러그인 부재(13)와 연통될 수 있다.
플로팅 플레이트(12)에는 복수의 제1 액체 관통공(122)이 설치될 수 있는 바, 복수의 제1 액체 관통공(122)은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13)와 일대일 대응되고, 플러그인 부재(13)는 제1 액체 관통공(122)의 일단에 나사 연결되며, 제1 액체 관통공(122)의 타단은 외부의 액체 공급 시스템과 연통되는데 사용된다. 제1 액체 관통공(122)의 일단은 플러그인 부재(13)에 나사 연결되고, 매칭 부재(22)는 제1 액체 관통공(122)의 타단에 삽입되며,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2)는 외부의 액체 공급 시스템과 연통되어, 냉각수로 하여금 매칭 부재(22)를 통해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2) 내에 유입되고, 제1 액체 관통공(122)을 통해 플러그인 부재(13)로 유동하며, 마지막으로 냉각 작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13)에는 액체 유입관과 액체 유출관이 포함되고, 냉각수가 액체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어 냉각 작업을 진행하며, 완성한 다음 액체 유출관을 통해 유출되고,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2)를 통해 외부의 액체 공급 시스템 내에 리턴하여 순환 냉각을 실현한다. 플로팅 플레이트(12)의 제1 액체 관통공(122)을 통해 매칭 부재(22)와 플러그인 부재(13)가 연통되도록 하여, 조립이 편리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다.
제2 고정 플레이트(21)에는 매칭 부재(22)와 일대일 대응되는 복수의 제2 액체 관통공(212)이 포함되고, 매칭 부재(22)에는 인서트(221)와 파이프 조인트(222)가 포함되며, 인서트(221)는 제2 액체 관통공(212)의 일단에 나사 연결되고, 파이프 조인트(222)는 제2 액체 관통공(212)의 타단에 나사 연결되고, 인서트(221)는 플로팅 플레이트(12) 또는 플러그인 부재(13)에 삽입되고, 플러그인 부재(13), 인서트(221) 및 파이프 조인트(222)는 서로 연통된다. 냉각수는 냉각 작업을 진행할 때 순차적으로 인서트(221), 제2 액체 관통공(212) 및 파이프 조인트(222)을 통해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로 흐른다. 이로써 조립이 편리하고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파이프 조인트(222) 내에는 실링 부재가 설치될 수 있는 바, 상기 실링 부재는 파이프 조인트(222) 내에서 이동 가능하여 파이프 조인트(222) 내의 파이프라인의 연통 또는 차단을 실현할 수 있다. 초기 상태에서, 파이프 조인트(222)는 플로팅 플레이트(12) 또는 플러그인 부재(13)에 삽입되지 않고, 실링 부재는 파이프 조인트(222) 내의 파이프라인이 차단되도록 하여,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2) 내의 액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사용할 경우, 파이프 조인트(222)는 플로팅 플레이트(12) 또는 플러그인 부재(13)에 삽입되고, 실링 부재는 파이프 조인트(222) 내에서 이동하여 파이프 조인트(222) 내의 파이프라인이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매칭 부재(22)가 플러그인 부재(13)와 연통되도록 하여, 액랭 플러그인 장치의 냉각 작업을 실현한다.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와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2)의 착탈을 통해 매칭 부재(22)와 플러그인 부재(13)의 연통과 차단을 실현하여, 액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보장하고 자동화 제어를 구현한다.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에서, 제1 고정 플레이트(11)는 고정 프레임(112),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113) 및 리어 커버 플레이트(114)를 포함할 수 있는 바,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113)와 리어 커버 플레이트(114)는 각각 고정 프레임(112)의 양측에 연결되고,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113), 고정 프레임(112)와 리어 커버 플레이트(114) 사이에 운동 캐비티(111)를 형성하며, 제1 탄성 부재(14)는 플로팅 플레이트(12)와 리어 커버 플레이트(114) 사이에 가압 설치된다.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를 가공하여 제작할 경우, 먼저 복수의 제2 탄성 부재(15)의 양단을 각각 플로팅 플레이트(12)와 고정 프레임(112)에 연결하고, 그 다음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113)와 리어 커버 플레이트(114)를 장착하며, 리어 커버 플레이트(114)를 장착할 때 제1 탄성 부재(14)를 리어 커버 플레이트(114)와 플로팅 플레이트(12) 사이에 가압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편리하다.
플로팅 플레이트(12)에서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113)를 향한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홀(121)이 설치되고,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핀(18)을 더 포함하며, 포지셔닝 핀(18)의 일단은 장착홀(121)에 연결되고, 포지셔닝 핀(18)의 타단은 플러그인 부재(13)의 삽입 방향을 따라 외부로 연장된다. 포지셔닝 핀(18)은 가이드 포지셔닝 작용을 구비하여, 플로팅 플레이트(12)의 제1 액체 관통공(122)과 매칭 부재(22)가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장착홀(121)은 플로팅 플레이트(12)를 관통할 수 있고, 제1 탄성 부재(14)는 장착홀(121) 내에 삽입되고 포지셔닝 핀(18)과 당접한다. 장착홀(121)은 제1 탄성 부재(14)에 대해 한정 작용을 하여, 제1 탄성 부재(14)가 사용하는 과정에서 오프셋 변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장착이 편리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탄성 부재(14)는 벨빌 스프링이다.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2)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슬리브(23)를 더 포함하고, 포지셔닝 슬리브(23)는 제2 고정 플레이트(21)에 연결되고, 포지셔닝 핀(18)은 포지셔닝 슬리브(23)와 일대일 대응되며, 포지셔닝 핀(18)은 포지셔닝 슬리브(23) 내에 삽입 설치된다. 포지셔닝 슬리브(23)와 포지셔닝 핀(18)은 가이드 포지셔닝 작용을 수행하여,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와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2)의 플러그인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액랭 플러그인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로팅 플레이트(12)의 동작은 포지셔닝 핀(18)과 포지셔닝 슬리브(23)를 기준으로 하는 바, 포지셔닝 핀(18)이 포지셔닝 슬리브(23) 내에 삽입되어 포지셔닝 슬리브(23) 내에 깊이 들어갈 경우, 플로팅 플레이트(12)는 포지셔닝 핀(18)의 변위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포지셔닝 핀(18)은 먼저 포지셔닝 슬리브(23) 내에 삽입되고, 매칭 부재(22)는 제1 액체 관통공(122) 내에 삽입되지 않으며, 포지셔닝 핀(18)이 포지셔닝 슬리브(23)의 바닥까지 깊이 들어갈 경우에만 매칭 부재(22)가 제1 액체 관통공(122) 내에 정확히 삽입되어, 포지셔닝 핀(18)과 포지셔닝 슬리브(23)로 하여금 먼저 가이드 포지셔닝 작용을 수행하여,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와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2)의 플러그인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다.
포지셔닝 슬리브(23)는 리벳팅 방식을 이용하여 제2 고정 플레이트(21)에 리벳팅되어,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2)의 구조 연결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포지셔닝 슬리브(23)와 포지셔닝 핀(18)의 수량은 모두 2개 일 수 있고, 2개의 포지셔닝 슬리브(23)는 각각 제2 고정 플레이트(21)의 양단에 설치되며, 복수의 매칭 부재(22)는 2개의 포지셔닝 슬리브(2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포지셔닝 슬리브(23)와 포지셔닝 핀(18)의 단면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마름모형, 특수 모양 등 일 수도 있는 바, 포지셔닝 핀(18)이 포지셔닝 슬리브(23) 내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면 된다.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는 제1 실링 부재(16)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113)에는 제1 연결 개구(115)가 개설되고, 제1 연결 개구(115)는 운동 캐비티(111)와 연통되며, 플로팅 플레이트(12)는 제1 연결 개구(115)와 운동 캐비티(111) 내에 위치하고, 제1 실링 부재(16)는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113)에 연결되며, 제1 실링 부재(16)는 제1 연결 개구(115)를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둘러싼다. 포지셔닝 핀(18)은 제1 고정 플레이트(11)의 전면에서 연장되고, 포지셔닝 핀(18)과 제1 액체 관통공(122)은 모두 제1 연결 개구(115)를 통해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2)와 결합 연결하며, 제1 실링 부재(16)는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113)에 장착되어 실링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를 실제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먼지 등 작은 입자의 이물질이 제1 연결 개구(115)를 통해 운동 캐비티(111) 내에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제2 고정 플레이트(21)에서 제1 고정 플레이트(11)를 향한 일측에는 돌기 링(211)이 설치되는 바, 돌기 링(211)과 제1 실링 부재(16)는 모두 복수의 매칭 부재(22)를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둘러싸고, 돌기 링(211)은 제1 실링 부재(16)에 당접한다. 액랭 플러그인 장치를 사용할 경우, 돌기 링(211)은 제1 실링 부재(16)에 밀접하게 당접하여 실링 효과를 진일보로 강화시켜, 먼지 등 작은 입자의 이물질이 운동 캐비티(111) 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액랭 플러그인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리어 커버 플레이트(114)에는 제2 연결 개구(116)가 개설되고, 제2 연결 개구(116)는 운동 캐비티(111)와 연통되고, 플로팅 플레이트(12)는 제2 연결 개구(116)를 관통하여 플러그인 부재(13)와 연결된다.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는 제2 실링 부재(17)를 더 포함하고, 제2 실링 부재(17)는 제2 연결 개구(116)를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둘러싸고, 제2 실링 부재(17)는 리어 커버 플레이트(114)에 연결되고 리어 커버 플레이트(114)와 플로팅 플레이트(12) 사이에 가압 설치된다. 플로팅 플레이트(12)는 제2 연결 개구(116)를 통해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13)와 나사 연결되고, 제2 실링 부재(17)는 리어 커버 플레이트(114)에 장착되어 실링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를 실제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먼지 등 작은 입자의 이물질이 제2 연결 개구(116)를 통해 운동 캐비티(111) 내에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제1 실링 부재(16)와 제2 실링 부재(17)는 모두 실링 슬리브일 수 있고, 실링 슬리브는 볼트를 통해 제1 고정 플레이트(11)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터리 팩 어셈블리를 더 개시하는데, 상기 배터리 팩 어셈블리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액랭 플러그인 장치를 포함한다.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1)와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2)의 연결을 통해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하여, 배터리 팩의 성능 지표를 향상시킨다. 이와 동시에, 큰 플로팅 량을 가지는 플로팅 연결을 실현하여, 액체의 외부 유출 및 뿌려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배터리 팩 어셈블리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비록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의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이것이 단지 예시적인 설명일 뿐, 본 발명의 원리와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이러한 실시형태에 대해 여러가지 변경과 수정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9)

  1. 제1 고정 플레이트, 플로팅 플레이트, 복수의 제2 탄성 부재 및 복수의 플러그인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플러그인 부재는 모두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내에는 운동 캐비티가 개설되며,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복수의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운동 캐비티 내에 위치하고,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는 복수의 상기 제2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와 플로팅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복수의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의 주변의 외측 가장자리에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플러그인 부재의 삽입 방향은 모두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인장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운동 캐비티 내에 위치하고,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와 플로팅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과 상기 플러그인 부재의 삽입 방향은 동일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벨빌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는 고정 프레임,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 및 리어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고정 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운동 캐비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가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제1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에는 제1 연결 개구가 개설되며, 상기 제1 연결 개구는 상기 운동 캐비와 연통되고,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연결 개구와 상기 운동 캐비티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상기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상기 제1 연결 개구를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에는 제2 연결 개구가 개설되고, 상기 제2 연결 개구는 상기 운동 캐비티와 연통되고,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연결 개구를 관통하고 상기 플러그인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제2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링 부재는 상기 제2 연결 개구를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제2 실링 부재는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 사이에 가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서 상기 프론트 커버 플레이트를 향하는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홀이 설치되고, 상기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핀의 일단은 상기 장착홀에 연결되며, 상기 포지셔닝 핀의 타단은 상기 플러그인 부재의 삽입 방향을 따라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은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장착홀 내에 삽입되고 상기 포지셔닝 핀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는 복수의 제1 액체 관통공이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1 액체 관통공은 복수의 상기 플러그인 부재와 일대일 대응되고, 상기 플러그인 부재는 상기 제1 액체 관통공의 일단에 나사 연결되며, 상기 제1 액체 관통공의 타단은 외부의 액체 공급 시스템과 연통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13.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 및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상기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랭 플러그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제2 고정 플레이트와 복수의 매칭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매칭 부재는 모두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매칭 부재는 복수의 상기 플러그인 부재와 일대일 대응되며, 상기 매칭 부재는 상기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매칭 부재는 상기 플러그인 부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랭 플러그인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는 복수의 제2 액체 관통공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2 액체 관통공은 상기 매칭 부재와 일대일 대응되고, 상기 매칭 부재는 인서트와 파이프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는 상기 제2 액체 관통공의 일단에 나사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 조인트는 상기 제2 액체 관통공의 타단에 나사 연결되고, 상기 인서트는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 또는 상기 플러그인 부재에 삽입되고, 상기 플러그인 부재, 상기 인서트 및 상기 파이프 조인트는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랭 플러그인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1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를 향하는 일측에는 돌기 링이 설치되며, 상기 돌기 링과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모두 복수의 상기 매칭 부재를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돌기 링은 상기 제1 실링 부재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랭 플러그인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핀은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의 방향을 따라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매칭 플러그인 어셈블리는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핀은 상기 포지셔닝 슬리브와 일대일 대응되며, 상기 포지셔닝 핀은 상기 포지셔닝 슬리브 내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랭 플러그인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부재는 액랭 소켓이고 상기 플러그인 부재는 액랭 플러그이며, 또는 상기 매칭 부재는 액랭 플러그이고 상기 플러그인 부재는 액랭 소켓이며,
    상기 액랭 플러그는 상기 액랭 소켓과 서로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랭 플러그인 장치.
  19. 제13항에 따른 액랭 플러그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어셈블리.
KR1020247000024A 2018-12-29 2019-12-30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액랭 플러그인 장치 및 배터리 팩 어셈블리 KR202400077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645940.0 2018-12-29
CN201811645940.0A CN111384467A (zh) 2018-12-29 2018-12-29 液冷接插组件、液冷插件装置和电池包总成
KR1020217023810A KR102622000B1 (ko) 2018-12-29 2019-12-30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액랭 플러그인 장치 및 배터리 팩 어셈블리
PCT/CN2019/130096 WO2020135883A1 (zh) 2018-12-29 2019-12-30 液冷接插组件、液冷插件装置和电池包总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810A Division KR102622000B1 (ko) 2018-12-29 2019-12-30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액랭 플러그인 장치 및 배터리 팩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711A true KR20240007711A (ko) 2024-01-16

Family

ID=711296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810A KR102622000B1 (ko) 2018-12-29 2019-12-30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액랭 플러그인 장치 및 배터리 팩 어셈블리
KR1020247000024A KR20240007711A (ko) 2018-12-29 2019-12-30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액랭 플러그인 장치 및 배터리 팩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810A KR102622000B1 (ko) 2018-12-29 2019-12-30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액랭 플러그인 장치 및 배터리 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21052A1 (ko)
EP (1) EP3904748A4 (ko)
JP (2) JP7299323B2 (ko)
KR (2) KR102622000B1 (ko)
CN (1) CN111384467A (ko)
SG (1) SG11202107134UA (ko)
WO (1) WO20201358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8316A (zh) * 2020-09-30 2021-01-05 东风马勒热系统有限公司 液冷管路与动力电池包的密封接头及其安装结构
FR3119006A1 (fr) * 2021-01-21 2022-07-22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connexion fluidique au travers d’une ouverture de paroi absorbant des defauts geometriques
CN115574173A (zh) * 2021-07-06 2023-01-06 瑞肯耐特流体控制系统(镇江)有限公司 阴连接器和连接器组件
EP4216354A1 (en) * 2021-09-07 2023-07-26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CN115431835A (zh) * 2021-12-31 2022-12-06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具有浮动功能的液冷连接装置、电动船舶和船舶换电站
CN115284970A (zh) * 2021-12-31 2022-11-04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具有浮动功能的液冷连接装置、电动船舶和船舶换电站
CN116981876A (zh) * 2022-01-14 2023-10-3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水冷管路的连接器、电池及用电设备
CN116428438B (zh) * 2023-05-30 2024-01-30 深圳市正北连接技术有限公司 液冷快接头浮动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39479A (en) * 1970-05-15 1973-12-05 Walther Carl Kurt Pivotally defelctable direct-pull release pipe or hose coupling
DE202004000387U1 (de) * 2004-01-12 2004-04-01 Erich Jaeger Gmbh & Co. Kg Steckverbindungseinrichtung
CN203466364U (zh) * 2013-09-17 2014-03-05 四川永贵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浮动装置的电连接器插座
CA2896454C (en) * 2014-07-08 2021-12-07 Staubli Faverges Connecting plug, cooling circuit equipped with such a connecting plug and method for connecting such a cooling circuit and a cold plate
DE102015208965A1 (de) * 2015-05-15 2016-11-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upplungsteil, Multikupplung und Hochvoltspeichersystem
CN206432475U (zh) * 2016-09-09 2017-08-22 上海电巴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浮动电连接器
CN206617688U (zh) * 2017-01-24 2017-11-07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流体接头组件及包括其的冷却水系统
CN108263353A (zh) * 2018-02-11 2018-07-10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汽车换电站防卡死充电机构
CN209461613U (zh) * 2018-12-29 2019-10-01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液冷接插组件、液冷插件装置和电池包总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15641A (ja) 2022-02-21
WO2020135883A1 (zh) 2020-07-02
EP3904748A4 (en) 2022-08-10
JP7299323B2 (ja) 2023-06-27
KR20210107108A (ko) 2021-08-31
JP2023134449A (ja) 2023-09-27
EP3904748A1 (en) 2021-11-03
US20220021052A1 (en) 2022-01-20
KR102622000B1 (ko) 2024-01-05
CN111384467A (zh) 2020-07-07
SG11202107134UA (en)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2000B1 (ko) 액랭 플러그인 어셈블리, 액랭 플러그인 장치 및 배터리 팩 어셈블리
CN217182347U (zh) 电池包及电动汽车
CN109950441B (zh) 电池包
CN207368165U (zh) 一种电池包
WO2023125609A1 (zh) 具有浮动功能的液冷连接装置、电动船舶和船舶换电站
WO2020177759A1 (zh) 电连接器及其冷媒插接件、插入端和接收端
CN209880767U (zh) 动力电池水冷装置及动力电池
CN217532611U (zh) 具有浮动功能的液冷连接装置、电动船舶和船舶换电站
CN114945263B (zh) 一种高效散热静音密闭液冷机柜
CN216248955U (zh) 一种温控装置
CN209461613U (zh) 液冷接插组件、液冷插件装置和电池包总成
CN206595369U (zh) 热管理装置及电源装置
CN115284970A (zh) 具有浮动功能的液冷连接装置、电动船舶和船舶换电站
CN209925833U (zh) 一种多功能流体转接头
US20210378143A1 (en) Liquid distribution module and heat dissipation system
CN219017881U (zh) 一种电池包的加液工装及换电站
CN215342712U (zh) 电池散热装置及电池包、新能源汽车
CN220545335U (zh) 车载电源和具有其的车辆
CN220118877U (zh) 一种管道连接件及电池冷却装置
CN220629863U (zh) 一种均流效果好的散热板
CN218063506U (zh) 一种大空间温湿度处理送回风四通阀
CN214477652U (zh) 一种具有冷却管路的集成箱体
CN220733151U (zh) 一种使用导冷模块的新型液冷机箱
CN221039319U (zh) 一种芯片老化测试装置风道结构
CN217719754U (zh) 液冷系统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