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428A -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 Google Patents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428A
KR20240007428A KR1020220084300A KR20220084300A KR20240007428A KR 20240007428 A KR20240007428 A KR 20240007428A KR 1020220084300 A KR1020220084300 A KR 1020220084300A KR 20220084300 A KR20220084300 A KR 20220084300A KR 20240007428 A KR20240007428 A KR 20240007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water
vehicle
tube
wa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균
Original Assignee
전재균
주식회사 제이케이글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균, 주식회사 제이케이글로텍 filed Critical 전재균
Priority to KR1020220084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428A/ko
Priority to PCT/KR2022/018260 priority patent/WO2024010151A1/ko
Publication of KR20240007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화재 발생 시에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도록 설치됨에 따라 소방용수의 살수 및 그로 인한 침수를 통해 화재발생 차량의 화재가 외부로의 확산없이 신속하게 진화될 수 있고, 바닥면이 개방 형성되어 화재발생 차량의 둘레에 신속용이하게 설치 가능함에 따라 화재발생 차량을 크레인 등을 통해 들어올려 별도의 화재진화용 수조 내로 이동시킬 필요없이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는 폐쇄형 수조가 단시간 내에 형성될 수 있어 차량화재의 대응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고 외측에는 충전수가 주입되는 충전수주입구가 형성되는 하부워터튜브와,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화재발생 차량에 대해 살수되는 소방용수의 충전에 따라 기립되는 상부스커트와, 상기 상부스커트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화재발생 차량에 대해 살수되는 소방용수의 충전에 따라 상기 상부스커트의 상단을 부상시켜 상기 상부스커트가 기립되도록 하는 부력재를 포함하는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TUBE TYPE APPARATUS FOR EXTINGUISHING FIRE OF VEHICLE}
개시된 내용은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화재 발생 시에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도록 설치됨에 따라 소방용수의 살수 및 그로 인한 침수를 통해 화재발생 차량의 화재가 외부로의 확산없이 신속하게 진화될 수 있고, 바닥면이 개방 형성되어 화재발생 차량의 둘레에 신속용이하게 설치 가능함에 따라 화재발생 차량을 크레인 등을 통해 들어올려 별도의 화재진화용 수조 내로 이동시킬 필요없이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는 폐쇄형 수조가 단시간 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가솔린 자동차와 달리 배터리와 전력변환장치(인버터)와 전기모터를 포함한다.
이 중 배터리는 전기모터의 구동 및 차량 구동을 위한 전기가 축전되는 에너지 저장장치이고, 전력변환장치는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배터리의 전기에너지를 변환하는 장치이며, 전기모터는 전력변환장치에 의해 변환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회전구동되어 전기자동차가 주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친환경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화재 진화가 어려운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에너지 저장장치인 배터리는 공간과 무게에 대한 제약에 따라 고용량의 전지셀들이 조밀하게 배치되고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밀폐된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 소화약제의 침투가 어려워 진화가 상대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압력, 과열, 진동, 충격, 쇼트, 과충전, 방전 등으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안전장치인 분리막이 파손되면서 수천~수만도의 온도도 치솟는 열폭주 현상이 동반되고 배터리가 완전히 타버릴 때까지 불이 꺼지지 않는 특징으로 가짐에 따라 전소될 때까지 외부로 나타나는 불길을 소화용수로 진압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며, 이러한 전기자동차의 열폭주(Thermal runaway) 화재특성상 화재가 활성화된 이후에는 전소되기까지 화재 진압이 불가능하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화재 발생시에는 내연기관차의 화재 진화에 소요되는 물의 10배 이상의 물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기자동차의 화재 진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안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98280호(2019.07.09. 공고)에는 전기자동차의 차체 하부 공간에 다수 개의 리튬이온배터리가 수납되어 있고, 일면에 다수 개의 노즐 및 화재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전기자동차 배터리부; 상기 전기자동차에 설치되어 있고, 불활성가스가 압축 저장되어 있는 압축가스통; 상기 전기자동차에 설치되어 있고, 소화분말이 저장되어 있는 다수 개의 소화기통; 상기 압축가스통의 가스분사구에 연결되는 하나의 메인관 및 상기 메인관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소화기통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지니는 분기관들로 이루어지고,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으로부터 첫번째로 분기되는 분기관 사이에 위치하여 메인관을 개폐하는 압축가스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압축가스 배관; 일단부는 상기 소화기통의 소화분말 분사구에 연결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압축가스 배관의 분기관이 연결되어 T자형을 이루고, 타단부는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부의 각 노즐에 연결되는 소화기 배관; 및 평상시에는 압축가스 밸브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고,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압축가스 밸브를 열어 가스분사구로부터 압축가스가 분사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소화장치가 개시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1-0057278호(2021.05.21. 공개)에는 전기 차량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셀의 팽창을 감지하기 위하여 각각 셀에 장착된 부피팽창 감지센서와, 상기 부피팽창 감지센서에서 팽창이 감지된 셀의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소화약제를 분사시키는 냉각수단과,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내부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수단과, 상기 화재감지수단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를 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내부에 소화약제를 분사시키는 소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소화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기자동차의 화재진화장치는 배터리의 화재 발생을 초기에 감지하여 진화함으로써 배터리의 화재가 활성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일 뿐, 이미 활성화된 전기자동차의 화재를 진화하는 구성이 포함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미국이나 노르웨이 등과 같은 국가에서는 전기자동차의 화재 발생시에 차량에 물을 살수한 후 물에 접은 방화담요로 차량을 덮은 다음 해당 전기자동차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수조 내에 침수시키는 방법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은 현실에서는 예를 들어 아파트 등의 주차장과 같은 장소에서 전기자동차의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크레인의 접근과 수조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 적용이 어려우며, 특히 전기자동차의 화재가 인접 차량에까지 확대되어 대형 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98280호(2019.07.09. 공고)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1-0057278호(2021.05.21. 공개)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화재 발생 시에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도록 설치됨에 따라 소방용수의 살수 및 그로 인한 침수를 통해 화재발생 차량의 화재가 외부로의 확산없이 신속하게 진화될 수 있도록 한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바닥면이 개방 형성되어 화재발생 차량의 둘레에 신속용이하게 설치 가능함에 따라 화재발생 차량을 크레인 등을 통해 들어올려 별도의 화재진화용 수조 내로 이동시킬 필요없이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는 폐쇄형 수조가 단시간 내에 형성될 수 있어 차량화재의 대응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고 외측에는 충전수가 주입되는 충전수주입구가 형성되는 하부워터튜브와,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화재발생 차량에 대해 살수되는 소방용수의 충전에 따라 기립되는 상부스커트와, 상기 상부스커트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화재발생 차량에 대해 살수되는 소방용수의 충전에 따라 상기 상부스커트의 상단을 부상시켜 상기 상부스커트가 기립되도록 하는 부력재를 포함하는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하단에 부착되어 소방용수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누수방지플랩을 더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워터튜브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누수방지플랩은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하단 둘레를 따라 배열되되 지그재그형 연결선을 따라 상호 연접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내측 하단과 상기 누수방지플랩 사이에 끼워지는 패킹재를 더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외측에는 에어주입배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개시된 내용은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고 외측에는 충전수가 주입되는 충전수주입구가 형성되는 하부워터튜브와,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에어가 배기 가능하게 충전되는 상부에어튜브를 포함하는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를 다른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하단에 부착되어 소방용수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누수방지플랩을 더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워터튜브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누수방지플랩은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하단 둘레를 따라 배열되되 지그재그형 연결선을 따라 상호 연접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내측 하단과 상기 누수방지플랩 사이에 끼워지는 패킹재를 더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외측에는 에어주입배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개시된 내용은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고 외측에는 충전수가 주입되는 충전수주입구가 형성되는 워터튜브와, 상기 워터튜브의 하단에 부착되어 소방용수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누수방지플랩을 포함하는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를 또 다른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워터튜브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누수방지플랩은 상기 워터튜브의 하단 둘레를 따라 배열되되 지그재그형 연결선을 따라 상호 연접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워터튜브의 내측 하단과 상기 누수방지플랩 사이에 끼워지는 패킹재를 더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워터튜브의 외측에는 에어주입배출구가 형성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화재 발생 시에 충전수가 충전되는 하부워터튜브와 상기 화재발생 차량에 대해 살수되는 소방용수의 충전에 따라 기립되는 상부스커트, 또는 충전수가 충전되는 하부워터튜브와 에어가 충전되는 상부에어튜브, 또는 충전수가 충전되는 워터튜브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형 수조를 통해 화재발생 차량을 인접 차량으로부터 격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화재발생 차량에 대해 살수되는 소방용수의 충전을 통해 화재발생 차량을 침수시켜 화재를 진화함에 따라 인접 차량으로의 화재확산없이 화재발생 차량의 화재가 신속용이하게 진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시된 네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에 의하면, 바닥면이 개방 형성됨에 따라 화재발생 차량을 크레인 등을 통해 들어올려 별도의 화재진화용 수조 내로 이동시킬 필요없이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는 폐쇄형 수조가 단시간 내에 형성될 수 있어 차량화재의 대응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의 개략구조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의 단면구조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에 의한 화재발생 차량의 침수상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의 보관 상태 사시도.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의 개략구조도.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의 단면구조도.
도 8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에 의한 화재발생 차량의 침수상태도.
도 9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0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의 보관 상태 사시도.
도 11은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의 개략구조도.
도 12는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의 단면구조도.
도 13은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에 의한 화재발생 차량의 침수상태도.
도 14는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의 보관 상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100)는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화재 발생 시에 화재발생 차량(3)을 인접 차량으로부터 격리시켜 소방용수의 살수 및 그로 인한 침수를 통해 화재를 진화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재발생 차량(3)을 둘러싸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고 외측에는 충전수가 주입되는 충전수주입구(111)가 형성되는 하부워터튜브(110)와, 하부워터튜브(110)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화재발생 차량(3)을 둘러싸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며 화재발생 차량(3)에 대해 살수되는 소방용수의 충전에 따라 기립되는 상부스커트(120)와, 상부스커트(120)의 상단에 구비되고 화재발생 차량(3)에 대해 살수되는 소방용수의 충전에 따라 상부스커트(120)의 상단을 부상시켜 상부스커트(120)가 기립되도록 하는 부력재(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워터튜브(110)는 화재발생 차량(3)의 하측을 둘러싸도록 예를 들어 직사각형과 같은 폐쇄형으로 형성되는 튜브를 형성하는 것으로, 에어 또는 소방용수가 내부에 충전 가능하도록 튜브체로 형성된다.
또한 하부워터튜브(110)는 충전수의 충전시에 원형, 타원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의 횡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네오프렌과 같은 방수원단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내측면은 방염처리 또는 불연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워터튜브(110)의 외측에는 충전수가 주입되는 충전수주입구(1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충전수주입구(111)는 소방용수의 공급을 위한 관로(5)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의 수전연결구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또한 충전수주입구(111)는 하부워터튜브(110)의 외측 중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캡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필요시에만 캡을 분리시켜 관로(5)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워터튜브(110)의 외측에는 에어가 주입되거나 배출되는 에어주입배출구(113)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워터튜브(110) 내에 충전된 소방용수를 강제배수시킨 상태에서는 하부워터튜브(110) 자체가 서로 달라붙게 됨에 따라 차후 소방용수의 주입시에 충전수가 충전수주입구(111)를 통해 하부워터튜브(110) 내로 잘 주입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개시된 내용에서는 충전수의 주입에 앞서 에어주입배출구(113)를 통해 하부워터튜브(110) 내로 에어가 사전 주입됨에 따라 하부워터튜브(110)가 서로 달라붙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수가 보다 효과적으로 주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주입배출구(113)는 충전수주입구(111)를 통한 충전수의 주입 시에 하부워터튜브(110) 내에 사전 충전된 에어가 배기되도록 한다.
에어주입배출구(113)는 하부워터튜브(110)의 외측 중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시에만 개방 가능하도록 별도의 마개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하부워터튜브(110)의 상부에는 상부스커트(120)가 일체로 연결된다. 상부스커트(120)는 상기 화재발생 차량에 대해 살수되는 소방용수의 충전에 따라 부력에 의해 기립되면서 화재발생 차량(3)의 상측을 둘러싸도록 하부워터튜브(110)의 상부 둘레를 따라 폐쇄형으로 형성된다.
상부스커트(120)는 소방용수에 의한 수압을 좀 더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워터튜브(110)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내측에 부착되고 상부로 갈수록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 하부워터튜브(110)의 수직중심선 상에 부착될 수도 있고 하부워터튜브(110)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외측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스커트(120)는 예를 들어 네오프렌과 같이 하부워터튜브(110)와 동일한 재질의 방수원단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내측면은 방염처리 또는 불연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상부스커트(120)의 상단에는 부력재(130)가 구비된다. 부력재(130)는 상기 화재발생 차량에 대해 살수되는 소방용수의 충전에 따라 상부스커트(120)의 상단을 부력을 통해 부상시켜 상부스커트(120)가 기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부력재(130)는 통상의 합성수지 발포체로 형성 가능하다. 이 경우에 부력재(130)는 전술한 상부스커트(120)의 상단 둘레 전체에 걸쳐 삽입고정될 수도 있고, 전술한 상부스커트(120)의 상단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이격되어 삽입고정될 수 있다. 또한 부력재(130)는 전술한 상부스커트(120)의 상단에 분리될 수 없게 내장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필요시에 상부스커트(120)의 상단에 끼워넣어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부력재(130)는 상부스커트(120)의 상단에 에어튜브의 형태로도 형성 가능하다. 이 경우에 부력재(130)는 전술한 상부스커트(120)의 상단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전술한 상부스커트(120)의 상단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하부워터튜브(110)의 하단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누수방지플랩(140)이 부착된다. 누수방지플랩(140)은 하부워터튜브(110) 내에 충전된 충전수의 수압에 의해 눌려져 바닥면과 밀착되면서 하부워터튜브(110)의 하단과 바닥면 사이를 통해 소방용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누수방지플랩(140)은 하부워터튜브의 하단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연접되게 접합되어 배열되되, 도 1의 부분저면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 연결선(141)을 따라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누수방지플랩(140)의 연접부위가 지그재그형으로 연접됨에 따라 연접부위를 통한 누수현상이 최소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누수방지플랩(14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통상의 방수원단 또는 방수매트로 형성 가능하다.
전술한 하부워터튜브(110)의 내측 하단과 누수방지플랩(140)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패킹재(150)가 끼워질 수 있다. 패킹재(150)는 하부워터튜브(110)의 내측 하단과 누수방지플랩(140) 사이를 밀폐하여 하부워터튜브(110)와 누수방지플랩(140)의 접합부위에 소방용수에 의한 수압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누수방지플랩(140)의 접합부위의 파열과 그로 인한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실리콘 또는 우레탄과 같은 재질의 바형 패킹으로 형성 가능하고 에어튜브 형태로도 형성 가능하다.
이러한 패킹재(150)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도 있지만 하부워터튜브(110)의 내측 하단과 누수방지플랩(140) 사이로 가압에 의해 밀어넣어질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감소되는 쐐기형 횡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패킹재(150) 대신에 하부워터튜브(110)의 내측 하단 또는 누수방지플랩(140)의 내측 상부면에는 공기 또는 물의 주입에 따라 팽창되면서 패킹재(150)의 역할을 대신하는 패킹튜브체가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하부워터튜브(110)의 내측 상부면과 상부스커트(120)의 내측면 사이는 보강플랩(160)에 의해 연결된다. 보강플랩(160)은 상부스커트(120)가 하부워터튜브(110)의 내측 상부면에 더욱 견고하게 연결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워터튜브(110)와 상부스커트(120)의 연결부위를 보강함과 동시에 소방용수에 의한 수압이 가해지더라도 상부스커트(120)가 외측으로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여 내압특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스커트(12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이격배열된다.
보강플랩(160)은 하단이 하부워터튜브(110)의 내측 상부면에 대응되도록 내측을 향해 하향 만곡되게 연장되고 상부로 갈수록 상부스커트(120)의 내측면 일지점으로 수렴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플랩(160)은 예를 들어 네오프렌과 같이 하부워터튜브(110) 및 상부스커트(120)와 동일한 재질의 방수원단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하부워터튜브(110)의 외측면과 상부스커트(120)의 외측면에는 지지벨트(170)가 둘러싸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벨트(170)는 하부워터튜브(110)의 외측면과 상부스커트(120)의 외측면을 폐루프 형태로 둘러싸면서 지지함에 따라 소방용수에 의한 수압에 대한 내압특성을 보강 및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부에 하네스형 결합구가 구비되는 통상의 섬유재 벨트로 형성된다.
지지벨트(170)의 설치를 위해 하부워터튜브(110)의 외측면과 상부스커트(120)의 외측면에는 지지벨트(170)가 끼워지는 벨트고리가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워터튜브(110)의 마주보는 내측면과 상부스커트(120)의 마주보는 내측면은 웨빙(18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웨빙(180)은 하부워터튜브(110)의 마주보는 내측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강제하고 상부스커트(120)의 마주보는 내측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강제함에 따라 하부워터튜브(110)가 소방용수에 의한 수압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의 섬유재 벨트로 형성 가능하지만 난연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웨빙(180)은 지지벨트(170) 대신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벨트(170)와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1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재발생 차량(3)이 확인될 경우에, 화재발생 차량(3)을 질식소화포로 덮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화재발생 차량(3)을 향해 살수하는 화재진압작업을 병행하면서, 상부스커트(120)가 연결된 하부워터튜브(110)를 화재발생 차량(3) 둘레에 펼쳐 설치한 후 충전수주입구(111)에 충전수의 공급을 위한 관로(5)를 연결하게 되면, 하부워터튜브(110) 내에 충전수가 충전되면서 바닥면이 개방된 폐쇄형 수조 형태가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충전수의 충전에 앞서 에어주입배출구(113)를 통해 사전에 에어를 하부워터튜브(110) 내로 주입하게 되면 소방용수가 훨씬 용이하게 하부워터튜브(110) 내로 주입가능하며, 이 경우에 사전 주입된 에어는 충전수의 충전에 따라 에어주입배출구(113)를 통해 다시 배출된다.
또한 외부에서 화재발생 차량(3)을 향해 살수가 이루어지면서 소방용수가 하부워터튜브(110)의 내측공간에 충전되면 상부스커트(120)가 부력재(130)의 부력에 의해 점점 부상되면서 기립하게 된다.
계속해서 외부에서 화재발생 차량(3)을 향해 소방용수의 살수가 이루어지면 충전수가 충전되는 하부워터튜브(110)와 부력에 의해 부상되어 기립하는 상부스커트(120)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형 수조 내에 소방용수가 충전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재발생 차량(3)이 폐쇄형 수조 내에 침수되면서 화재가 진화된다.
따라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100)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화재 발생 시에 충전수가 충전되는 하부워터튜브(110)와 부력에 의해 부상되어 기립하는 상부스커트(120)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형 수조를 통해 화재발생 차량(3)을 인접 차량으로부터 격리시킴과 동시에 화재발생 차량(3)에 대한 소방용수의 살수를 통해 해당 화재발생 차량(3)을 폐쇄형 수조 내로 침수시켜 화재를 진화함에 따라 인접 차량으로의 화재확산없이 화재가 신속용이하게 진화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100)는 바닥면이 개방 형성됨에 따라 화재발생 차량(3)을 크레인 등으로 이동시킬 필요없이 화재발생 차량(3) 둘레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어 화재발생 차량의 화재가 더욱 더 신속용이하게 진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100)의 경우에는 하부워터튜브(110)의 하단에 누수방지플랩(140)이 부착되고 하부워터튜브(110)의 내측 하단과 누수방지플랩(140) 사이에 패킹재(150)가 끼워짐에 따라 화재발생 차량(3)에 대한 살수에 의해 폐쇄형 수조 내로 공급된 소방용수가 하부워터튜브(110)와 바닥면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100)의 경우에는, 하부워터튜브(110)의 내측 상부면과 상부스커트(120)의 내측면 사이에 다수의 보강플랩(160)이 개재되고 하부워터튜브(110)와 상부스커트(120)의 외측면이 지지벨트(170)에 의해 각각 둘러싸여지며 웨빙(180)에 의해 하부워터튜브(110)와 상부스커트(120)의 내측면이 각각 연결지지됨에 따라 내수압 특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100)는 미 사용시 또는 사용완료 시에 하부워터튜브(110) 내에 충전된 충전수가 예를 들어 배수펌프의 연결 등을 통해 강제배출된 후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말려진 상태로 보관가방(7) 내에 수납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관가방(7)에는 운반용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200)는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화재 발생 시에 화재발생 차량(3)을 인접 차량으로부터 격리시켜 소방용수의 살수 및 그로 인한 침수를 통해 화재를 진화하는 것으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재발생 차량(3)을 둘러싸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고 외측에는 충전수가 주입되는 충전수주입구(211)가 형성되는 하부워터튜브(210)와, 하부워터튜브(210)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화재발생 차량(3)을 둘러싸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에어가 배기 가능하게 충전되는 상부에어튜브(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워터튜브(210)는 화재발생 차량(3)의 하측을 둘러싸도록 예를 들어 직사각형과 같은 폐쇄형으로 형성되는 튜브를 형성하는 것으로, 에어 또는 소방용수가 내부에 충전 가능하도록 튜브체로 형성된다.
또한 하부워터튜브(210)는 충전수의 충전시에 원형, 타원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의 횡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네오프렌과 같은 방수원단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내측면은 방염처리 또는 불연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워터튜브(210)의 외측에는 충전수가 주입되는 충전수주입구(2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충전수주입구(211)는 소방용수의 공급을 위한 관로(5)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의 수전연결구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또한 충전수주입구(211)는 하부워터튜브(210)의 외측 중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캡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필요시에만 캡을 분리시켜 관로(5)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워터튜브(210)의 외측에는 에어가 주입되거나 배출되는 에어주입배출구(213)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워터튜브(210) 내에 충전된 소방용수를 강제배수시킨 상태에서는 하부워터튜브(210) 자체가 서로 달라붙게 됨에 따라 차후 소방용수의 주입시에 충전수가 충전수주입구(211)를 통해 하부워터튜브(210) 내로 잘 주입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개시된 내용에서는 충전수의 주입에 앞서 에어주입배출구(213)를 통해 하부워터튜브(210) 내로 에어가 사전 주입됨에 따라 하부워터튜브(210)가 서로 달라붙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수가 보다 효과적으로 주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주입배출구(213)는 충전수주입구(211)를 통한 충전수의 주입 시에 하부워터튜브(210) 내에 사전 충전된 에어가 배기되도록 한다.
에어주입배출구(213)는 하부워터튜브(210)의 외측 중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시에만 개방 가능하도록 별도의 마개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하부워터튜브(210)의 상부에는 상부에어튜브(220)가 일체로 연결된다. 상부에어튜브(220)는 에어의 충전에 따라 팽창되면서 화재발생 차량(3)의 상측을 둘러싸는 것으로, 하부워터튜브(210)의 상부 둘레를 따라 폐쇄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부에어튜브(220)는 내부에 에어가 배기 가능하게 충전되도록 에어펌프에 연결 가능한 급기구와, 에어의 배기를 가능하게 하는 배기구가 형성된다. 급기구와 배기구는 개별적으로 상부에어튜브(220) 상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로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에어튜브(220)는 하부워터튜브(210)의 상부면 중앙선을 따라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네오프렌과 같이 하부워터튜브(210)와 동일한 재질의 방수원단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내측면은 방염처리 또는 불연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에어튜브(220)는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사다리꼴 등과 같이 다양한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하부워터튜브(210) 보다 더 큰 체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하부워터튜브(210) 보다 더 작은 체적을 가질 수도 있고, 하부워터튜브(210)와 동일한 횡단면 형상과 동일 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전술한 하부워터튜브(210)의 하단에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누수방지플랩(230)이 부착된다. 누수방지플랩(230)은 하부워터튜브(210) 내에 충전된 충전수의 수압에 의해 눌려져 바닥면과 밀착되면서 하부워터튜브(210)의 하단과 바닥면 사이를 통해 소방용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누수방지플랩(230)은 하부워터튜브(210)의 하단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연접되게 접합되어 배열되되, 도 6의 부분저면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 연결선(231)을 따라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누수방지플랩(230)의 연접부위가 지그재그형으로 연접됨에 따라 연접부위를 통한 누수현상이 최소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누수방지플랩(23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통상의 방수원단 또는 방수매트로 형성 가능하다.
전술한 하부워터튜브(210)의 내측 하단과 누수방지플랩(230) 사이에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패킹재(240)가 끼워질 수 있다. 패킹재(240)는 하부워터튜브(210)의 내측 하단과 누수방지플랩(230) 사이를 밀폐하여 하부워터튜브(210)와 누수방지플랩(230)의 접합부위에 소방용수에 의한 수압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누수방지플랩(230)의 접합부위의 파열과 그로 인한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실리콘 또는 우레탄과 같은 재질의 바형 패킹으로 형성 가능하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에어튜브 형태로도 형성 가능하다.
이러한 패킹재(240)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도 있지만 하부워터튜브(210)의 내측 하단과 누수방지플랩(230) 사이로 가압에 의해 밀어넣어질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감소되는 쐐기형 횡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패킹재(240) 대신에 하부워터튜브(210)의 내측 하단 또는 누수방지플랩(230)의 내측 상부면에는 공기 또는 물의 주입에 따라 팽창되면서 패킹재(240)의 역할을 대신하는 패킹튜브체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하부워터튜브(210)의 내측 상부면과 상부에어튜브(220)의 내측면 사이는 보강플랩(250)에 의해 연결된다. 보강플랩(250)은 상부에어튜브(220)가 하부워터튜브(210)의 내측 상부면에 더욱 견고하게 연결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워터튜브(210)와 상부에어튜브(220)의 연결부위를 보강함과 동시에 소방용수에 의한 수압이 가해지더라도 상부에어튜브(220)가 외측으로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여 내압특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에어튜브(22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이격배열된다.
이러한 보강플랩(250)은 예를 들어 네오프렌과 같이 하부워터튜브(210) 및 상부에어튜브(220)와 동일한 재질의 방수원단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방염처리 또는 불연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하부워터튜브(210)의 외측면과 상부에어튜브(220)의 외측면에는 지지벨트(260)가 둘러싸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벨트(260)는 하부워터튜브(210)의 외측면과 상부에어튜브(220)의 외측면을 폐루프 형태로 둘러싸면서 지지함에 따라 소방용수에 의한 수압에 대한 내압특성을 보강 및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부에 하네스형 결합구가 구비되는 통상의 섬유재 벨트로 형성된다.
지지벨트(260)의 설치를 위해 하부워터튜브(210)의 외측면과 상부에어튜브(220)의 외측면에는 지지벨트(260)가 끼워지는 벨트고리가 형성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워터튜브(210)의 마주보는 내측면과 상부에어튜브(220)의 마주보는 내측면은 웨빙(27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웨빙(270)은 하부워터튜브(210)의 마주보는 내측과 상부에어튜브(220)의 마주보는 내측이 각각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강제함에 따라 하부워터튜브(210)와 상부에어튜브(220)가 소방용수에 의한 수압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의 섬유재 벨트로 형성 가능하되 표면은 난연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웨빙(270)은 지지벨트(280) 대신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벨트(280)와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2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재발생 차량(3)이 확인될 경우에, 화재발생 차량(3)을 질식소화포로 덮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화재발생 차량(3)을 향해 살수하는 화재진압작업을 병행하면서, 상부에어튜브(220)가 연결된 하부워터튜브(210)를 화재발생 차량(3) 둘레에 펼쳐 설치한 후 충전수주입구(211)에 충전수의 공급을 위한 관로(5)를 연결하게 되면, 하부워터튜브(210) 내에 충전수가 충전되면서 바닥면이 개방된 폐쇄형 수조 형태가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충전수의 충전에 앞서 에어주입배출구(213)를 통해 사전에 에어를 하부워터튜브(210) 내로 주입하게 되면 소방용수가 훨씬 용이하게 하부워터튜브(210) 내로 주입가능하며, 이 경우에 사전 주입된 에어는 충전수의 충전에 따라 에어주입배출구(213)를 통해 다시 배출된다.
또한 하부워터튜브(210)에 연결된 상부에어튜브(220)에 에어를 충전하게 되면 상부에어튜브(220)가 팽창되면서 화재발생 차량(3)의 상부둘레를 둘러쌈에 따라 화재발생 차량(3) 주위에 폐쇄형 수조가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외부에서 화재발생 차량(3)을 향해 소방용수의 살수가 이루어지면, 충전수가 충전되는 하부워터튜브(210)와 에어가 충전되는 상부에어튜브(220)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형 수조 내에 소방용수가 충전됨에 따라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재발생 차량(3)이 폐쇄형 수조 내에 침수되면서 화재가 진화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화재 발생 시에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충전수가 충전되는 하부워터튜브(210)와 에어가 충전되는 상부에어튜브(220)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형 수조를 통해 화재발생 차량(3)을 인접 차량으로부터 격리시킴과 동시에 화재발생 차량(3)에 대한 살수를 통해 해당 화재발생 차량(3)을 폐쇄형 수조 내로 침수시켜 화재를 진화함에 따라 인접 차량으로의 화재확산없이 화재가 신속용이하게 진화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200)는 바닥면이 개방 형성됨에 따라 화재발생 차량(3)을 크레인 등으로 이동시킬 필요없이 화재발생 차량(3) 둘레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어 화재발생 차량의 화재가 더욱 더 신속용이하게 진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200)의 경우에는 하부워터튜브(210)의 하단에 누수방지플랩(230)이 부착되고 하부워터튜브(210)의 내측 하단과 누수방지플랩(230) 사이에 패킹재(240)가 끼워짐에 따라 화재발생 차량(3)에 대한 살수에 의해 폐쇄형 수조 내로 공급된 소방용수가 하부워터튜브(210)와 바닥면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200)의 경우에는, 하부워터튜브(210)의 내측 상부면과 상부에어튜브(220)의 내측면 사이에 다수의 보강플랩(250)이 개재되고 하부워터튜브(210)와 상부에어튜브(220)의 외측면이 지지벨트(260)에 의해 각각 둘러싸여지며 웨빙(270)에 의해 하부워터튜브(210)와 상부에어튜브(220)의 내측면이 각각 연결지지됨에 따라 내수압 특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는 미 사용시 또는 사용완료 시에 하부워터튜브(210) 내에 충전된 충전수가 예를 들어 배수펌프의 연결 등을 통해 강제배출됨과 동시에 상부에어튜브(220)에 충전된 에어가 예를 들어 배기펌프의 연결 등을 통해 강제배기된 다음,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말려진 상태로 보관가방(7) 내에 수납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관가방(7)에는 운반용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300)는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화재 발생 시에 화재발생 차량(3)을 인접 차량으로부터 격리시켜 소방용수의 살수 및 그로 인한 침수를 통해 화재를 진화하는 것으로,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재발생 차량(3)을 둘러싸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고 외측에는 충전수가 주입되는 충전수주입구(311)가 형성되는 워터튜브(310)와, 워터튜브(310)의 하단에 부착되어 소방용수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누수방지플랩(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워터튜브(310)는 화재발생 차량(3)을 둘러싸도록 예를 들어 직사각형과 같은 폐쇄형으로 형성되는 튜브를 형성하는 것으로, 충전수가 내부에 충전 가능하도록 튜브체로 형성된다.
또한 워터튜브(310)는 충전수의 충전시에 물방울 형태의 횡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사다리꼴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횡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워터튜브(310)는 예를 들어 네오프렌과 같은 방수원단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내측면은 방염처리 또는 불연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터튜브(310)의 외측에는 충전수가 주입되는 충전수주입구(3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충전수주입구(311)는 소방용수의 공급을 위한 관로(5)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의 수전연결구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또한 충전수주입구(311)는 워터튜브(310)의 외측 중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캡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필요시에만 캡을 분리시켜 관로(5)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터튜브(310)의 외측에는 에어가 주입되거나 배출되는 에어주입배출구(313)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워터튜브(310) 내에 충전된 소방용수를 강제배수시킨 상태에서는 워터튜브(310) 자체가 서로 달라붙게 됨에 따라 차후 소방용수의 주입시에 충전수가 충전수주입구(311)를 통해 워터튜브(310) 내로 잘 주입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개시된 내용에서는 충전수의 주입에 앞서 에어주입배출구(313)를 통해 워터튜브(310) 내로 에어가 사전 주입됨에 따라 워터튜브(310)가 서로 달라붙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수가 보다 효과적으로 주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주입배출구(313)는 충전수주입구(311)를 통한 충전수의 주입 시에 워터튜브(310) 내에 사전 충전된 에어가 배기되도록 한다.
에어주입배출구(313)는 워터튜브(310)의 외측 중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시에만 개방 가능하도록 별도의 마개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워터튜브(310)의 하단에는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누수방지플랩(320)이 부착된다. 누수방지플랩(320)은 워터튜브(310) 내에 충전된 충전수의 수압에 의해 눌려져 바닥면과 밀착되면서 워터튜브(310)의 하단과 바닥면 사이를 통해 소방용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누수방지플랩(320)은 워터튜브(310)의 하단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연접되게 접합되어 배열되되, 도 11의 부분저면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 연결선(321)을 따라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누수방지플랩(320)의 연접부위가 지그재그형으로 연접됨에 따라 연접부위를 통한 누수현상이 최소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누수방지플랩(32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통상의 방수원단 또는 방수매트로 형성 가능하다.
전술한 워터튜브(310)의 내측 하단과 누수방지플랩(320) 사이에는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패킹재(330)가 끼워질 수 있다. 패킹재(330)는 워터튜브(310)의 내측 하단과 누수방지플랩(320) 사이를 밀폐하여 워터튜브(310)와 누수방지플랩(320)의 접합부위에 소방용수에 의한 수압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누수방지플랩(320)의 접합부위의 파열과 그로 인한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실리콘 또는 우레탄과 같은 재질의 바형 패킹으로 형성 가능하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에어튜브 형태로도 형성 가능하다.
이러한 패킹재(330)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도 있지만 워터튜브(310)의 내측 하단과 누수방지플랩(320) 사이로 가압에 의해 밀어넣어질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감소되는 쐐기형 횡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패킹재(330) 대신에 워터튜브(310)의 내측 하단 또는 누수방지플랩(320)의 내측 상부면에는 공기 또는 물의 주입에 따라 팽창되면서 패킹재(330)의 역할을 대신하는 패킹튜브체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워터튜브(310)의 외측면에는 지지벨트(340)가 둘러싸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벨트(340)는 워터튜브(310)의 외측면을 폐루프 형태로 둘러싸면서 지지함에 따라 소방용수에 의한 수압에 대한 내압특성을 보강 및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부에 하네스형 결합구가 구비되는 통상의 섬유재 벨트로 형성된다.
지지벨트(340)의 설치를 위해 워터튜브(310)의 외측면에는 지지벨트(340)가 끼워지는 벨트고리가 형성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워터튜브(310)의 마주보는 내측은 웨빙(35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웨빙(350)은 워터튜브(310)의 마주보는 내측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강제함에 따라 워터튜브(310)가 소방용수에 의한 수압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의 섬유재 벨트로 형성 가능하되 표면은 난연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웨빙(350)은 지지벨트(340) 대신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벨트(340)와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3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재발생 차량(3)이 확인될 경우에, 화재발생 차량(3)을 질식소화포로 덮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화재발생 차량(3)을 향해 살수하는 화재진압작업을 병행하면서, 누수방지플랩(320)이 연결된 워터튜브(310)를 화재발생 차량(3) 둘레에 펼쳐 설치한 후 충전수주입구(311)에 충전수의 공급을 위한 관로(5)를 연결하게 되면, 워터튜브(310) 내에 충전수가 충전되면서 바닥면이 개방된 폐쇄형 수조 형태가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충전수의 충전에 앞서 에어주입배출구(313)를 통해 사전에 에어를 워터튜브(310) 내로 주입하게 되면 소방용수가 훨씬 용이하게 워터튜브(310) 내로 주입가능하며, 이 경우에 사전 주입된 에어는 충전수의 충전에 따라 에어주입배출구(313)를 통해 다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외부에서 화재발생 차량(3)을 향해 소방용수의 살수가 이루어지면, 충전수가 충전되는 워터튜브(310)와 누수방지플랩(320)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형 수조 내에 소방용수가 충전됨에 따라 화재발생 차량(3)이 폐쇄형 수조 내에 침수되면서 화재가 진화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화재 발생 시에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충전수가 충전되는 워터튜브(310)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형 수조를 통해 화재발생 차량(3)을 인접 차량으로부터 격리시킴과 동시에 화재발생 차량(3)에 대한 소방용수의 살수를 통해 해당 화재발생 차량(3)을 폐쇄형 수조 내로 침수시켜 화재를 진화함에 따라 인접 차량으로의 화재확산없이 화재가 신속용이하게 진화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300)는 바닥면이 개방 형성됨에 따라 화재발생 차량(3)을 크레인 등으로 이동시킬 필요없이 화재발생 차량(3) 둘레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어 화재발생 차량의 화재가 더욱 더 신속용이하게 진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300)의 경우에는 워터튜브(310)의 하단에 누수방지플랩(320)이 부착되고 워터튜브(310)의 내측 하단과 누수방지플랩(320) 사이에 패킹재(330)가 끼워짐에 따라 화재발생 차량(3)에 대한 살수를 통해 폐쇄형 수조 내로 공급된 소방용수가 워터튜브(310)와 바닥면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300)의 경우에는, 워터튜브(310)의 외측면이 지지벨트(340)에 의해 각각 둘러싸여지며 웨빙(350)에 의해 워터튜브(310)의 내측면이 각각 연결지지됨에 따라 내수압 특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300)는 미 사용시 또는 사용완료 시에 워터튜브(310) 내에 충전된 소방용수가 예를 들어 배수펌프의 연결 등을 통해 강제배출된 다음,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말려진 상태로 보관가방(7) 내에 수납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관가방(7)에는 운반용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 : 화재발생 차량
5 : 관로
7 : 보관가방
100, 200, 300 :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110 : 하부워터튜브
111 : 충전수주입구
111 : 소방용수 주입구
113 : 에어주입배출구
120 : 상부스커트
130 : 부력재
140 : 누수방지플랩
141 : 지그재그형 연결선
150 : 패킹재
160 : 보강플랩
170 : 지지벨트
180 : 웨빙
210 : 하부워터튜브
211 : 충전수주입구
213 : 에어주입배출구
211b : 충전수주입구
213 : 에어 배출구
220 : 상부에어튜브
230 : 누수방지플랩
231 : 지그재그형 연결선
240 : 패킹재
250 : 보강플랩
260 : 지지벨트
270 : 웨빙
310 : 워터튜브
311 : 충전수주입구
313 : 에어주입배출구
320 : 누수방지플랩
321 : 지그재그형 연결선
330 : 패킹재
340 : 지지벨트
350 : 웨빙

Claims (14)

  1.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고 외측에는 충전수가 주입되는 충전수주입구가 형성되는 하부워터튜브;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화재발생 차량에 대해 살수되는 소방용수의 충전에 따라 기립되는 상부스커트; 및
    상기 상부스커트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화재발생 차량에 대해 살수되는 소방용수의 충전에 따라 상기 상부스커트의 상단을 부상시켜 상기 상부스커트가 기립되도록 하는 부력재를 포함하는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하단에 부착되어 소방용수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누수방지플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워터튜브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누수방지플랩은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하단 둘레를 따라 배열되되 지그재그형 연결선을 따라 상호 연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내측 하단과 상기 누수방지플랩 사이에 끼워지는 패킹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외측에는 에어주입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6.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고 외측에는 충전수가 주입되는 충전수주입구가 형성되는 하부워터튜브; 및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에어가 배기 가능하게 충전되는 상부에어튜브를 포함하는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하단에 부착되어 소방용수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누수방지플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부워터튜브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누수방지플랩은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하단 둘레를 따라 배열되되 지그재그형 연결선을 따라 상호 연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내측 하단과 상기 누수방지플랩 사이에 끼워지는 패킹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워터튜브의 외측에는 에어주입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11. 화재발생 차량을 둘러싸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고 외측에는 충전수가 주입되는 충전수주입구가 형성되는 워터튜브; 및
    상기 워터튜브의 하단에 부착되어 소방용수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누수방지플랩을 포함하는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워터튜브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누수방지플랩은 상기 워터튜브의 하단 둘레를 따라 배열되되 지그재그형 연결선을 따라 상호 연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워터튜브의 내측 하단과 상기 누수방지플랩 사이에 끼워지는 패킹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14.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튜브의 외측에는 에어주입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KR1020220084300A 2022-07-08 2022-07-08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KR20240007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300A KR20240007428A (ko) 2022-07-08 2022-07-08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PCT/KR2022/018260 WO2024010151A1 (ko) 2022-07-08 2022-11-18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300A KR20240007428A (ko) 2022-07-08 2022-07-08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428A true KR20240007428A (ko) 2024-01-16

Family

ID=8945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300A KR20240007428A (ko) 2022-07-08 2022-07-08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7428A (ko)
WO (1) WO202401015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280B1 (ko) 2018-12-04 2019-07-09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전기자동차의 소화장치
KR20210057278A (ko) 2019-11-11 2021-05-21 주식회사 아산정밀 전기 차량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소화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283B1 (ko) * 2012-10-25 2013-11-14 채준기 에어 풀장의 변형방지 장치
DE102019003289A1 (de) * 2019-05-09 2020-01-02 Daimler Ag Löschvorrichtung zum Löschen eines Kraftwagenbrandes
KR102084887B1 (ko) * 2019-08-28 2020-03-04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FI128972B (en) * 2020-04-27 2021-04-15 Firesea Equipment Oy Extinguishing system and method of extinguishing
KR102376222B1 (ko) * 2021-06-09 2022-03-18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화재발생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냉각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280B1 (ko) 2018-12-04 2019-07-09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전기자동차의 소화장치
KR20210057278A (ko) 2019-11-11 2021-05-21 주식회사 아산정밀 전기 차량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소화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0151A1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287B1 (ko)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KR102491008B1 (ko)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장치
KR102552703B1 (ko)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자동소화시스템
CN111137173B (zh) 电动汽车及其热失控防护方法
KR102626312B1 (ko)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US20220134154A1 (en) System for extinguishing a fire and / or preventing the taking or resumption of an electric vehicle fire, associated operating method comprising a step of first lifting the vehicle off the ground
KR102475355B1 (ko) 부상식 수조형 전기차 화재진압장치
KR102567278B1 (ko) 전기 자동차용 이동식 소화 주차장
CN111346323B (zh) 一种特高压换流变压器阀侧套管火灾防护系统及使用方法
KR102516605B1 (ko)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절첩식 배터리 침수조
JP2008506420A (ja) 貯蔵タンクにある防火装置
KR102650981B1 (ko) 방수겸용 질식 소화포
KR20240007428A (ko)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KR102514985B1 (ko)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KR102539154B1 (ko) 질식소화포를 상단에 구비한 튜브형 전기차 화재진압장치
CN110448838B (zh) 浮盘密封圈灭火装置及方法
KR102598807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진압용 침수장치
RU2359723C2 (ru)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 вертикальных резервуарах
KR102696985B1 (ko) 접이식 전기차 화재 진압 수조
US20220134153A1 (en) System for extinguishing a fire and / or preventing the taking or resumption of an electric vehicle fire, associated operating method
KR102673899B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전기차 화재 진압 장비
KR102577392B1 (ko) 차량화재 진압용 튜브
KR102670457B1 (ko) 튜브형 수조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장 소화방재 시스템
KR102684923B1 (ko)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소화 수조 튜브
KR102708714B1 (ko) 급수풀 형성에 의한 전기차의 화재 진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