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187A - 이미다졸리디논류 화합물의 다형체,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이미다졸리디논류 화합물의 다형체,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187A
KR20240007187A KR1020237041500A KR20237041500A KR20240007187A KR 20240007187 A KR20240007187 A KR 20240007187A KR 1020237041500 A KR1020237041500 A KR 1020237041500A KR 20237041500 A KR20237041500 A KR 20237041500A KR 20240007187 A KR20240007187 A KR 20240007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polymorph
compound
crystalline form
ray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1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우시안 주
리앙 첸
시젠 송
신타오 자오
카이 첸
시아오윤 리우
진 왕
지팡 시아
잉 수
유안젱 조우
리에밍 딩
지아빙 왕
Original Assignee
베타 파머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타 파머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타 파머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07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18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8/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8/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8/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881,3-Diazoles condensed with o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e.g. biotin, sorbin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ring hetero atoms, e.g. loxapine, staurosp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On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1-(2-((S)-3-사이클로프로필-5-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일)-5,6-디하이드로벤조[f]이미다조[1,2-d][1,4]옥사제핀-9-일)피롤리딘-2-포름아미드의 다형체, 상기 다형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의 사용 방법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미다졸리디논류 화합물의 다형체,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S)-1-(2-((S)-3-사이클로프로필-5-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일)-5,6-디하이드로벤조[f]이미다조[1,2-d][1,4]옥사제핀-9-일)피롤리딘-2-포름아미드의 다형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다형체의 제조 방법과 상기 다형체를 함유하는 약물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및 상기 화합물 다형체 및 이의 약물 조성물을 사용하여 PI3K가 매개하는 질환을 치료함에 있어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포스파티딜이노시톨-3-키나아제(PI3K) 신호경로는 세포 내에서 세포의 성장, 증식, 생존, 분화, 전이 및 자멸 등 생명 활동을 제어하는 관건적인 신호전달경로이다. PI3K, Akt 및 mTOR가 이 경로의 관건적인 포인트 포지션이므로 PI3K/Akt/mTOR 신호 경로라고도 한다. 최근, PI3K억제제는 이미 국내외 항종양 약물 연구에서 사람들의 주목을 끄는 것으로 되었다.
PI3K는 RTK 또는 Ras에 의해 활성화된 후, 포스파티딜이노시톨-3,4-이인산(PIP2)으로부터의 포스파티딜이노시톨-3,4,5-삼인산(PIP3)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PIP3은 Akt 및 3-포스파티딜이노시톨(PIP)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PDK) 등 단백질 키나아제와 결합하여, Akt의 인산화에 의해 그를 활성화시키며, 또한 Akt를 세포질에서 세포핵으로 전이시킨다. 활성화된 Akt는 나아가 하류의 효능성 기질을 인산화시켜 세포의 생존, 세포주기, 성장 등 세포활동에 영향을 주며(Ma K, Cheung SM, Marshall AJ 등, Cell Signal, 2008, 20:684-694), 따라서 PI3K/Akt/mTOR 신호경로가 활성화된 후,세포자멸을 억제하고, 세포의 내성을 향상시키며, 세포의 생존, 증식을 촉진화하고 혈관신생에 참여하며, 나아가 종양의 성장 및 전이를 촉진할 수 있다.
포스파티딜이노시톨-3-키나아제(PI3K)는 지질 키나아제(Lipid kinase) 계열에 해당되고, 상기 계열의 구성원은 PI3K의 활성화 메커니즘과 구조 특징에 따라 I형, II형 및 III형 이 3가지 종류로 나누어진다(Vanhaesebroeck B, Waterfield MD; Exp Cell Res, 1999, 253:239-254). 현재, 상대적으로 투철하게 연구되어온 것은 I형 PI3K이다. 세포 표면 수용체의 유형이 상이함에 따라 I형 PI3K는 다시 IA와 IB 이 두 가지 상이한 아형으로 나누어지고, 이 두 가지 아형은 각각 티로신 단백질 키나아제 수용체(RTKs) 및 G단백질 커플 수용체(GPCRs)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다(Wu P, Liu T, Hu Y; Curr Med Chem, 2009, 16:916-930). IA형 PI3K는 PI3K α, PI3K β 및 PI3K δ 이 3가지 아형을 포함하고, IB형 PI3K는 오로지 PI3K γ 이 한 가지 아형을 포함한다. II형 PI3K 키나아제는 C말단의 구조가 상이함에 따라, PI3KC2 α, PI3KC2 β 및 PI3KC2 γ 총 3가지 아형으로 나누어지지만, 이들의 생체 내 기질은 아직 명확하지 않고, 이들의 작용 메커니즘 및 구체적 기능에 대한 인식도 상대적으로 한계가 있다(Falasca M, T. Muffucci; Biochem Soc Trans, 2007, 35:211-214). III형 PI3K키나아제는 오로지 Vps34(Vacuolar Protein Sorting, 액포 단백질 분류 34) 이 하나의 구성원이 있으며, 이는 하류의 mTOR신호의 캐스케이드 효과를 조정 시 단백질 수준에서 교정 역할을 한다(Schu P, Takegawa. K, Fry. M 등, Science, 1993, 260:88-91).
I형 PI3K의 4가지 아형 중, PI3K α와 PI3K β는 모든 기관에서 발현되지만, PI3K δ와 PI3K γ는 주로 골수세포에 분포되어 있다(Kong D, Yamori T; Cancer Sci, 2008, 99:1734-1740). 여기서, PI3K α는 종양의 생성 및 발전과 가장 밀접히 연관되어 있고, PI3K α의 촉매적 소단위인 p110 α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PIK3CA이고, 이의 돌연변이는 유방암, 결장암, 자궁내막암, 위암, 난소암 및 폐암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악성 종양에서 흔히 존재한다(Steelman. LS, Chappell. WH, Abrams. SL 등, Aging, 2011, 3:192-222). PI3K α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면, PI3K 신호경로를 활성화하는 것을 상향 조정하고, 이에 의해 세포의 과증식, 성장 및 전이가 촉진화되어, 종양의 형성을 유발한다. 기타 3가지의 아형 PI3K β, PI3K δ 및 PI3K γ는, 각각 혈전 형성, 면역 기능 및 알레르기와 염증반응에서 역할을 하고 있으나, 촉진 활성, 물리화학적 특성, 인터랙션 및 인식 등에 영향을 주는 것을 통하여, 그들이 종양의 발생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한다.
초기 많이 연구해온 PI3K억제제는 보르트만닌(wortmannin)과 Ly294002이고, 양자는 PI3K의 생리적 기능 및 신호경로의 작용 메커니즘 등 분야의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후속의 연구를 위해 중요한 토대를 마련해주었으며, 이로써 1세대 PI3K억제제로 불리우고 있다. 보르트만닌 및 Ly294002에 대한 연구를 통해, 모르폴린아릴류, 이미다조피리딘류 및 이미다조퀴놀린류 등을 포함한, 더욱 새로운 구조, 더욱 높은 활성 그리고 더욱 우수한 약동학적 특성을 갖는 2세대 PI3K억제제가 개발되어, 종양 치료에 새로운 희망을 안겨주었다. 이 중, 이미 수십 가지의 PI3K억제제가 임상연구 단계에 처해있고, 이들은 주로 범-PI3K 억제제, PI3K/mTOR 이중억제제 및 PI3K 아형 특이적 억제제로 나누어진다.
픽틸리십(Pictilisib, GDC-0941 또는 RG7321)은 강력한 다중표적 클래스 I (pan, 범용)의 PI3K 동종형 억제제의 일종으로서, p110 β와 p110 γ에 대해 적당한 선택성이 있고, PI3K의 ATP 결합 포켓에 경쟁적으로 결합함으로써 PI3K 하류 신호를 전달하는 2차 전달자인 포스파티딜이노시톨-3, 4, 5-삼인산(PIP 3)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타셀리십(Taselisib, GDC-0032 또는 Rg7604)은 제넨텍(Genentech) 회사가 연구 개발한 효과적인 PI3K 억제제의 일종으로서, 강력한 PI3K 활성을 가지며(국제특허 WO2011036280), PI3K 촉매적 소단위의 β-동종형 보존 억제제로서, β 소단위에 비하여 α 소단위에 대한 선택성이 31배로 더 강하다.
알페리십(Alpelisib, BYL719)은 노바티스(Norvartis) 회사가 개발한 최초의 PI3K α 선택적 억제제로서, p110 α에 대한 억제 활성이 5nM이다. 임상전 데이터에 의하면, BYL719는 Akt의 인산화를 억제하고, PI3K 신호경로를 차단하며 PIK3CA의 변이를 가진 유방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Dejan Juric 등, Cancer Res, 2012, 72:1). 상기 화합물은, 2019년에 미국 식품의약감독관리국(FDA)으로부터 이미 승인을 받아 출시하였고, 풀베스트란트와 연합하여, PIK3CA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갖는, HR+/HER2- 말기 또는 전이성 유방암으로 앓고 있는, 내분비 요법을 받는 중 또는 받은 후 질환 진행 단계에 처한, 폐경기 여성 및 남성 환자에 사용된다. 더불어, 초기 단계의 결과에 의하면, 이러한 PI3K α 특이적 소분자 억제제는 두경부암, 난소암, 삼중음성유방암, HER2+ 유방암, PIK3CA 관련 과성장 스펙트럼 등 질병의 치료를 위해 좋은 전망을 보여주고 있다.
국제특허 WO2017001658에서는 PI3K 조절 활성 또는 기능을 가진 벤조옥사제핀옥사졸리디논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명세서에서는 상기 발명의 대표적 화합물이 Taselisib과 Alpelisib과 비교할 때 PI3K α에 대해 강한 활성을 보여주고, 기타 동종형 PI3K β, PI3K δ 및 PI3K γ에 비교하여 현저히 향상된 선택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개시하였다.
더 우수한 종양 치료 효과를 달성하고 시장 수요에 더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임상을 위한 새로운 약물 선택지를 제공하기 위해, 활성이 더 높고, 약동학적으로 더 훌륭하거나 독성이 더 낮은 차세대 PI3K α 억제제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화합물: (S)-1-(2-((S)-3-사이클로프로필-5-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일)-5,6-디하이드로벤조[f]이미다조[1,2-d][1,4]옥사제핀-9-일)피롤리딘-2-포름아미드(이하 "화합물 1"으로 칭함)의 다형체에 관한 것이고, 화합물 1은 아래의 구조로 표시된다. 즉,
이다.
나아가, 상기 화합물 1의 다형체는 화합물 1의 무수물, 수화물 및/또는 용매화물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 1의 다형체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재료, 보조제 및 담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약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 1의 다형체와 상기 약물 조성물이 PI3K가 매개하는(mediated) 질환의 치료를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 대상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화합물 1의 다형체 또는 상기 약물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합물 1 및 이의 다형체의 제조 방법을 더 포함한다.
도 1은 화합물 1의 결정형 A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고,
도 2는 화합물 1의 결정형 A의 열중량 분석(TGA) 스펙트럼이며,
도 3은 화합물 1의 결정형 A의 시차주사열량측정(DSC) 스펙트럼이고,
도 4는 화합물 1의 결정형 B-2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며,
도 5는 화합물 1의 결정형 B-3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고,
도 6은 화합물 1의 결정형 D-1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며,
도 7은 화합물 1의 결정형 D-2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고,
도 8은 화합물 1의 결정형 D-3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며,
도 9는 화합물 1의 결정형 E-1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고,
도 10은 화합물 1의 결정형 E-2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며,
도 11은 화합물 1의 결정형 E-3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고,
도 12는 화합물 1의 결정형 F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며,
도 13은 화합물 1의 결정형 G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고,
도 14는 화합물 1의 결정형 H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며,
도 15는 화합물 1의 결정형 I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고,
도 16은 화합물 1의 결정형 J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며,
도 17은 화합물 1의 결정형 K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고,
도 18은 화합물 1의 결정형 B-1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며,
도 19는 화합물 1의 결정형 B-1의 TGA 스펙트럼이고,
도 20은 화합물 1의 결정형 B-1의 DSC 스펙트럼이며,
도 21은 화합물 1의 결정형 C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고,
도 22는 화합물 1의 결정형 C의 TGA 스펙트럼이며,
도 23은 화합물 1의 결정형 C의 DSC 스펙트럼이고,
도 24는 화합물 1의 결정형 D-1의 가열 전후의 XRPD 중첩도이며,
도 25는 화합물 1의 결정형 E-1의 가열 전후의 XRPD 중첩도이고,
도 26은 화합물 1의 결정형 F의 가열 전후의 XRPD 중첩도이며,
도 27은 화합물 1의 결정형 G의 가열 전후의 XRPD 중첩도이고,
도 28은 화합물 1의 결정형 H의 가열 전후의 XRPD 중첩도이며,
도 29는 화합물 1의 결정형 I의 가열 전후의 XRPD 중첩도이고,
도 30은 화합물 1의 결정형 J의 가열 전후의 XRPD 중첩도이며,
도 31은 화합물 1의 결정형 B-1의 연마 민감성 시험의 결과이고,
도 32는 화합물 1의 결정형 C의 연마 민감성 시험의 결과이며,
도 33은 화합물 1의 결정형 M의 XRPD 도면이다.
본 발명은 화합물: (S)-1-(2-((S)-3-사이클로프로필-5-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일)-5,6-디하이드로벤조[f]이미다조[1,2-d][1,4]옥사제핀-9-일)피롤리딘-2-포름아미드(이하 "화합물 1"으로 칭함)의 다형체에 관한 것이고, 화합물 1은 아래의 구조로 표시된다. 즉,
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합물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형체에서 염 형태가 아닌 유리염기로 존재한다. 따라서, 용어 "화합물 1"은 (S)-1-(2-((S)-3-사이클로프로필-5-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일)-5,6-디하이드로벤조[f]이미다조[1,2-d][1,4]옥사제핀-9-일)피롤리딘-2-포름아미드(유리염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화합물 1은 다양한 용매와 함께 결정질 용매화물을 형성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화합물 1의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n-프로판올, 2-부타논, 이소프로판올, 디메틸설폭사이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1,4-디옥산 및 트리클로로메탄의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화합물 1의 다형체는 결정형 A이고, 상기 결정형 A 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회절각 2θ가 6.2°±0.2°, 7.3°±0.2°, 9.1°±0.2°, 13.6°±0.2°, 14.2°±0.2°인 특징적 피크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형 A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회절각 2θ가 6.2°±0.2°, 7.3°±0.2°, 9.1°±0.2°, 13.6°±0.2°, 14.2°±0.2°, 14.9°±0.2°, 17.1°±0.2°, 17.3°±0.2°인 특징적 피크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형 A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회절각 2θ이 6.2°±0.2°, 7.3°±0.2°, 9.1°±0.2°, 11.5°±0.2°, 13.6°±0.2°, 14.2°±0.2°, 14.9°±0.2°, 17.1°±0.2°, 17.3°±0.2°, 18.1°±0.2°인 특징적 피크를 가진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상기 결정형 A는 화합물 1의 디클로로메탄 용매화물이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상기 결정형 A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의 주요 특징적 피크는 하기 표에 표시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상기 결정형 A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을 가진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상기 결정형 A는 기본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중량분석(TGA) 스펙트럼 및/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차주사열량측정(DSC) 스펙트럼을 더 가진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화합물 1의 아세토니트릴 용매화물 I (결정형 B-2)에 관한 것이고, 상기 결정형 B-2는 약 6.1°±0.2°, 7.7°±0.2°, 9.3°±0.2°, 14.1°±0.2°, 15.4°±0.2°, 16.9°±0.2°, 17.3°±0.2°에 있는 2θ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상기 결정형 B-2는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기본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화합물 1의 디클로로메탄 용매화물 II (결정형 B-3)에 관한 것이고, 상기 결정형 B-3은 약 6.1°±0.2°, 7.7°±0.2°, 9.3°±0.2°, 14.1°±0.2°, 15.4°±0.2°, 16.9°±0.2°, 17.2°±0.2°에 있는 2θ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상기 결정형 B-3은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기본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화합물 1의 아세톤 용매화물(결정형 D-1)에 관한 것이고, 상기 결정형 D-1은 약 6.1°±0.2°, 6.5°±0.2°, 6.8°±0.2°, 7.6°±0.2°, 8.9°±0.2°, 9.3°±0.2°에 있는 2θ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상기 결정형 D-1은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기본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화합물 1의 n-프로판올 용매화물(결정형 D-2)에 관한 것이고, 상기 결정형 D-2는 약 6.1°±0.2°, 6.4°±0.2°, 6.9°±0.2°, 7.6°±0.2°, 8.9°±0.2°, 9.3°±0.2°에 있는 2θ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상기 결정형 D-2는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기본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화합물 1의 2-부타논 용매화물(결정형 D-3)에 관한 것이고, 상기 결정형 D-3은 약 6.1°±0.2°, 6.6°±0.2°, 7.6°±0.2°, 8.8°±0.2°, 9.3°±0.2°, 17.2°±0.2°, 24.2°±0.2°, 25.2°±0.2°에 있는 2θ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상기 결정형 D-3은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기본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화합물 1의 1,4-디옥산 용매화물(결정형 E-1)에 관한 것이고, 상기 결정형 E-1은 약 6.2°±0.2°, 6.9°±0.2°, 8.8°±0.2°, 9.2°±0.2°, 16.9°±0.2°, 17.4°±0.2°, 17.7°±0.2°에 있는 2θ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상기 결정형 E-1은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기본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화합물 1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매화물 I (결정형 E-2)에 관한 것이고, 상기 결정형 E-2는 약 6.3°±0.2°, 7.0°±0.2°, 7.6°±0.2°, 8.8°±0.2°, 9.3°±0.2°, 17.0°±0.2°, 17.5°±0.2°, 17.7°±0.2°에 있는 2θ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상기 결정형 E-2는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기본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화합물 1의 이소프로판올 용매화물 I (결정형 E-3)에 관한 것이고, 상기 결정형 E-3은 약 6.3°±0.2°, 6.9°±0.2°, 7.6°±0.2°, 8.9°±0.2°, 9.2°±0.2°, 17.6°±0.2°, 21.0°±0.2°에 있는 2θ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상기 결정형 E-3은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기본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화합물 1의 디메틸설폭사이드 용매화물(결정형 F)에 관한 것이고, 상기 결정형 F는 약 6.4°±0.2°, 6.8°±0.2°, 8.8°±0.2°, 12.5°±0.2°, 13.7°±0.2°, 20.7°±0.2°에 있는 2θ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상기 결정형 F는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기본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화합물 1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화물(결정형 G)에 관한 것이고, 상기 결정형 G는 약 6.2°±0.2°, 7.0°±0.2°, 8.9°±0.2°, 14.0°±0.2°, 21.2°±0.2°에 있는 2θ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상기 결정형 G는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기본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화합물 1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매화물 II (결정형 H)에 관한 것이고, 상기 결정형 H는 약 6.3°±0.2°, 7.0°±0.2°, 8.9°±0.2°, 12.5°±0.2°, 13.6°±0.2°, 14.0°±0.2°, 15.0°±0.2°, 17.0°±0.2°, 17.5°±0.2°, 18.6°±0.2°에 있는 2θ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상기 결정형 H는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기본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화합물 1의 아세토니트릴 용매화물 II (결정형 I)에 관한 것이고, 상기 결정형 I는 약 6.1°±0.2°, 6.5°±0.2°, 6.8°±0.2°, 7.1°±0.2°, 7.6°±0.2°, 8.8°±0.2°, 9.1°±0.2°, 9.3°±0.2°에 있는 2θ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상기 결정형 I는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기본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화합물 1의 이소프로판올 용매화물 II (결정형 J)에 관한 것이고, 상기 결정형 J는 약 6.4°±0.2°, 6.7°±0.2°, 8.7°±0.2°, 8.8°±0.2°, 11.6°±0.2°, 13.0°±0.2°, 13.4°±0.2°, 21.0°±0.2°에 있는 2θ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상기 결정형 J는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기본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화합물 1의 트리클로로메탄 용매화물(결정형 K)에 관한 것이고, 상기 결정형 K는 약 6.5°±0.2°, 8.9°±0.2°, 13.1°±0.2°, 17.5°±0.2°, 17.8°±0.2°에 있는 2θ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상기 결정형 K는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기본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합물이 의약품 분야에 적용되기에, 화합물 1의 결정형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결정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결정형은 용매화물과 비-용매화물 형태를 포함한다. "인체 대상 의약품 등록을 위한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 ICH 가이드라인, 불순물: 잔류용매 가이드라인 Q3C(R8)"(The International Council For Harmonisation Of Technical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of Pharmaceuticals for Human use, ICH Harmonised Guideline, Impurities: GUIDELINE FOR RESIDUAL SOLVENTS Residual Solvents Q3C(R8))에서는 어떤 양의 잔류용매가 의약품에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되는 지를 추천하였다. "1일 노출 허용량"(PDE)이라는 용어는 잔류용매의 약학적 섭취량으로 정의된다. 잔류용매가 인체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위험을 평가하였으며, 하기 3가지로 분류된다. 즉,
클래스 1의 용매: 회피해야 할 용매, 인간 발암성 물질로 알려진 물질, 받이들일 수 없는 독성을 갖고 있거나 환경에 공해가 있으며 인간에게 발암성이 있는 물질로 강하게 의심되는 용매이다.
클래스 2의 용매: 제한해야 할 용매로서, 일정한 독성을 갖고 있고, 동물에게 발암성이 있는 비유전독성 물질 또는 신경독성이나 기형발생과 같은 비가역적 독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용매, 기타의 심각하지만 가역적인 독성을 가질 수 있는 용매이다.
클래스 3의 용매: 독성이 낮은 용매로서, 인체에게 독성이 낮고, 해로움이 적으며, 건강에 기반한 노출을 제한할 필요가 없다. 클래스 3의 용매의 매일의 PDE는 50 mg 정도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화물에 존재되는 용매는 일반적으로 클래스 3에 해당되는 그러한 용매들이다. 본 발명에 게시된 용매화물 중, 아세톤,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디메틸설폭사이드가 클래스 3의 용매이다. 클래스 3의 용매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지만, 그의 함량은 반드시 PDE 내에 있도록 제어해야 하고, 또한 잠재적인 악영향을 여전히 해소할 수 없어 약물의 개발에 불리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 1의 결정은 상대적으로 특별한 특성을 갖고 있어, 대부분의 일반적인 유기용매가 화합물 1의 결정화 과정에서 결정 격자에 진입하여 나아가 상응하는 용매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약물의 연구 개발에 크나큰 방해로 되고 있음을 연구를 통해 발견하였고, 광범위한 실험적 연구와 노력 끝에 놀랍게도 화합물 1의 무수 결정형을 개발하였다. 화합물 1의 무수 결정형은 용매화물에 비해 상당히 유리한 바, 용매로 인한 잠재적인 용매 독성 문제를 기본적으로 해소시켜 약물 용도로 사용되기에 더 적합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무수 결정형 B-1과 무수 결정형 C는 용매화물에 비해 열역학적으로 더 안정하고 추가 가공 및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더 유리하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본 발명은 화합물 1의 무수 결정형 B-1을 제공하는 바, 상기 무수 결정형 B-1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회절각 2θ이 6.1°±0.2°, 7.6°±0.2°, 9.3°±0.2°, 15.4°±0.2°인 특징적 피크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형 B-1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회절각 2θ이 6.1°±0.2°, 7.6°±0.2°, 9.3°±0.2°, 11.6°±0.2°, 15.4°±0.2°인 특징적 피크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형 B-1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회절각 2θ이 6.1°±0.2°, 7.6°±0.2°, 9.3°±0.2°, 11.6°±0.2°, 14.1°±0.2°, 15.4°±0.2°인 특징적 피크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형 B-1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회절각 2θ이 6.1°±0.2°, 7.6°±0.2°, 9.3°±0.2°, 11.6°±0.2°, 14.1°±0.2°, 15.4°±0.2°, 16.9°±0.2°, 17.2°±0.2°인 특징적 피크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형 B-1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의 주요 특징적 피크는 하기 표에 표시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형 B-1은 기본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을 가진다.
한편, 상기 결정형 B-1은 기본적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중량 분석(TGA) 스펙트럼과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차주사열량측정(DSC) 스펙트럼을 더 가진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본 발명은 화합물 1의 무수 결정형 C를 제공하는 바, 상기 무수 결정형 C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회절각 2θ이 7.0°±0.2°, 8.4°±0.2°, 10.9°±0.2°인 특징적 피크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형 C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회절각 2θ이 5.5°±0.2°, 7.0°±0.2°, 8.4°±0.2°, 9.8°±0.2°, 10.2°±0.2°, 10.9°±0.2°인 특징적 피크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형 C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회절각 2θ이 5.5°±0.2°, 7.0°±0.2°, 8.4°±0.2°, 9.8°±0.2°, 10.2°±0.2°, 10.9°±0.2°, 13.5°±0.2°, 13.9°±0.2°인 특징적 피크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형 C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회절각 2θ이 5.5°±0.2°, 7.0°±0.2°, 8.4°±0.2°, 9.8°±0.2°, 10.2°±0.2°, 10.9°±0.2°, 11.9°±0.2°, 13.5°±0.2°, 13.9°±0.2°, 15.9°±0.2°인 특징적 피크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형 C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회절각 2θ이 5.5°±0.2°, 7.0°±0.2°, 8.4°±0.2°, 9.8°±0.2°, 10.2°±0.2°, 10.9°±0.2°, 11.9°±0.2°, 13.5°±0.2°, 13.9°±0.2°, 15.9°±0.2°, 17.1°±0.2°인 특징적 피크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형 C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의 주요 특징적 피크는 하기 표에 표시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형 C는 기본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을 가진다.
한편, 상기 결정형 C는 기본적으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중량 분석(TGA) 스펙트럼과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차주사열량측정(DSC) 스펙트럼을 더 가진다.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상기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모두 Cu 타겟의 Kα 스펙트럼 선을 사용하여 측정된 것이다.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실험 온도는 모두 실온이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화합물 1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상기 화합물 1의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 즉,
a. 염기성 조건에서, 화합물 1-5와 화합물 M-5가 촉매 및 촉매 리간드의 촉매 작용 하에 C-N 커플링 반응을 하여 화합물 1-6을 얻는 단계;
b. 염기성 조건에서, 화합물 1-6과 화합물 M-12가 촉매의 촉매 작용하에 C-N 커플링 반응을 하여 화합물 1-7을 얻는 단계;
c. 염기성 조건에서, 화합물 1-7과 NH3가 축합제 작용 하에 축합 반응을 거쳐 화합물 1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상기 촉매는 본 출원의 발명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계 a에서, 상기 촉매는 CuI, 염화 제1구리, 구리 분말, 산화 제1구리, 초산구리, 구리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황산구리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uI 또는 초산구리이며; 단계 b에서, 상기 촉매는 CuI, 염화제1구리, 구리분말, 산화제1구리, 제1구리 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uI이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상기 촉매 리간드는 본 출원의 발명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계 a에서, 상기 촉매 리간드는 트랜스-N,N'-디메틸사이클로헥산-1,2-디아민, o-페난트롤린,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랜스-N,N'-디메틸사이클로헥산-1,2-디아민 또는 o-페난트롤린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축합제는 본 출원의 발명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계 c에서, 상기 축합제는 HATU, HBTU, PyBOP, BOP, DCC/HOBT, EDCI/HOBT, EDCI/HOSu, T3P, CDI, 클로로포메이트, MsCl, TsCl, NsCl 및 Boc2O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HATU 또는 HBTU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염기성 조건에 사용되는 염기는 본 출원의 발명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계 a에서, 상기 염기는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인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인산수소칼륨, 인산나트륨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산칼륨, 인산칼륨 또는 탄산세슘이며; 단계 b에서, 상기 염기는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인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인산수소칼륨, 인산나트륨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인산칼륨, 탄산칼륨 또는 탄산세슘이며; 단계 c에서, 상기 염기는 NMM, DIPEA 및 TEA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NMM 또는 TEA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a, 단계 b 및 단계 c의 반응은 반응 용매 속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진행되고, 단계 a, 단계 b 및 단계 c의 반응 용매는 본 출원의 발명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계 a에서, 상기 용매는 DMF,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푸란, 톨루엔, 2-MeTHF 및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DMF 및/또는 2-MeTHF이며; 단계 b에서, 상기 용매는 DMF, DMSO, NMP, THF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DMSO 및/또는 DMF이며; 단계 c에서, 상기 용매는 DCM, DMSO, 이소프로판올, THF, 에틸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의 혼합 용매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DCM 및/또는 DMSO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단계 a, 단계 b 및 단계 c는 모두 각각의 특정 반응 온도에서 진행되고, 상기 반응 온도는 본 출원의 발명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계 a의 상기 반응 온도는 60 ~ 13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 90 ℃이며; 단계 b에서, 상기 반응 온도는 60 ~ 13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0 ~ 110 ℃이다. 단계 c에서, 상기 반응 온도는 -5 ~ 25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 ~ 20 ℃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화합물 1-7은 NH3와 함께 용매에서 상응하는 암모늄염 1-7B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2-MeTHF, THF, 디옥산, 메탄올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화합물 1-7B는 NH3와 축합제의 작용 하의 축합 반응을 거쳐 화합물 1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 d에서, 화합물 1-a와 화합물 1-2는 치환 반응을 거치거나 축합제의 작용 하에 축합 반응을 거쳐 화합물 1-3을 형성하고;
단계 e에서, 화합물 1-3은 산성 조건 또는 염기성 조건 또는 촉매 작용 하에 탈보호 반응을 하여 화합물 1-4 또는 그의 상응하는 염을 얻으며;
단계 f에서, 화합물 1-4는 폐환제(ring closure agent) 작용 하에 폐환 반응을 거쳐 화합물 1-5를 형성하고;
여기서, 상기 R1은 보호기이고, 선택적으로 -Boc, -Cbz, -Fmoc, 트리플루오로아세틸 중의 1종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Boc기이고;
상기 R2는 -Cl, 이미다졸기 또는 -OR3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R3은 H, -C1-4알킬, 페닐, 니트로로 치환된 페닐, -C(O)-O-C1-4알킬, -C(O)-O-페닐 또는 -C(O)-O-니트로로 치환된 페닐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축합제는 본 출원의 발명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계 d에서, 상기 축합제는 HATU, HBTU, PyBOP, BOP, DCC/HOBT, EDCI/HOBT, EDCI/HOSu, T3P, CDI, 클로로포메이트, MsCl, TsCl, NsCl 및 Boc2O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HATU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폐환제는 본 출원의 발명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계 f에서, 상기 폐환제는 트리포스겐, CDI,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및 p-니트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d와 단계 f의 반응은 반응 용매 속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진행되고, 단계 d와 단계 f의 반응 용매는 본 출원의 발명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계 d에서, 상기 반응 용매는 DCM, DMF 또는 상기 두 가지 용매를 임의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단계 f에서, 상기 반응 용매는 DCM, THF, 2-MeTHF, 아세토니트릴 및 DMF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산성 조건 또는 염기성 조건은 본 출원의 발명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계 d에서, 상기 염기성 조건은 NMM, DIPEA 및 TEA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단계 e에서, 상기 염기성 조건은 디에틸아민, 피페리딘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에틸아민이고; 단계 f에서, 상기 염기성 조건은 NMM, DIPEA, 탄산수소나트륨 및 TEA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고; 단계 e에서, 상기 산성 조건은 TFA, H2SO4, HCl, HBF4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HCl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촉매는 본 출원의 발명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계 e에서, 상기 촉매는 H2/Pd-C, HCOONH4/Pd-C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H2/Pd-C이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화합물 1의 결정형 C의 제조 방법 1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 즉,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메탄올과 물의 혼합액, n-부탄올, 메틸 이소부틸 케톤,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tert-부틸 에테르 중 1종 이상의 용매에 화합물 1의 결정형 A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현탁시켜 1 ~ 5일 동안 교반하여, 화합물 1의 결정형 C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상기 방법 1은 하기 단계, 즉, 메탄올과 디클로로메탄의 혼합 용액에 화합물 1을 용해시키고, 반용매를 천천히 적가하여 고체를 용출시키며, 건조하여 화합물 1의 결정형 A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화합물 1의 결정형 C의 제조 방법 2를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 즉,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및 디메틸설폭사이드의 혼합 용액 또는 메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 용액에 화합물 1을 넣어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반용매를 적가하여 고체를 용출시키며,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며, 건조하여 화합물 1의 결정형 C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반용매는 n-헵탄, 메틸 tert-부틸 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에테르 중의 1종이고, 바람직하게는 메틸 tert-부틸 에테르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화합물 1의 각종 결정형은 모두 우수한 세포 증식 억제 활성과 우수한 항종양 효과를 갖고 있다. 놀랍게도, 이의 우세적인 무수 결정형은 또한 기존 PI3K α 억제제(예를 들면, WO2017001658에 기재된 실시예 102 또는 WO2017001645에 기재된 실시예 101)보다 더 우수한 약동학적 특성을 더 갖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물 조성물을 제공하는 바, 상기 약물 조성물은 치료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 1의 다형체 또는 다형체의 혼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재료, 보조제 또는 담체를 함유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약물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더 제공하는 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물 조성물은 경구 투여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물 조성물은 정제 또는 캡슐로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물 조성물은 0.01 중량% ~ 99 중량%의 본 발명의 결정형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물 조성물은 0.01 중량% ~ 20 중량%의 본 발명의 결정형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물 조성물은 1 중량% ~ 10 중량%의 본 발명의 결정형을 함유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물 제조에서의 상기 결정형 또는 약물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용도의 바람직한 기술 방안을 제공하는 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물은 암 또는 암전이의 발생 또는 진행을 치료, 예방, 지연 또는 저지하는데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물은 PI3K 억제제로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물은 PI3K가 매개하는 질환의 치료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I3K는 PI3K 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I3K가 매개하는 질환은 암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은 육종, 전립선암, 유방암, 췌장암, 폐암, 위장암, 결장직장암, 갑상선암, 간암, 두경부암, 부신암, 신경교종, 자궁내막암, 흑색종, 신장암, 방광암, 자궁암, 질암, 난소암, 다발성골수종, 식도암, 백혈병, 뇌암, 구강 및 인두암, 후두암, 림프종, 기저세포암, 진성적혈구증다증, 본태성혈소판증가증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PI3K가 매개하는 질환으로 앓고 있는 환자를 위한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을 더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수요되는 환자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화합물 1의 무수 결정형 또는 용매화물 또는 화합물 1의 무수 결정형 또는 용매화물을 함유하는 약물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PI3K는 PI3K α, PI3K β, PI3K δ 및/또는 PI3K γ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PI3K는 PI3K α이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PI3K가 매개하는 질환은 암이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은 육종, 전립선암, 유방암, 췌장암, 폐암, 위장암, 결장직장암, 갑상선암, 간암, 두경부암, 부신암, 신경교종, 자궁내막암, 흑색종, 신장암, 방광암, 자궁암, 질암, 난소암, 다발성골수종, 식도암, 백혈병, 뇌암, 구강 및 인두암, 후두암, 림프종, 기저세포암, 진성적혈구증다증, 본태성혈소판증가증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 대상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화합물 1의 무수 결정형 또는 용매화물 또는 화합물 1의 무수 결정형 또는 용매화물을 함유하는 약물 조성물을 투여하는 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암은 육종, 전립선암, 유방암, 췌장암, 폐암, 위장암, 결장직장암, 갑상선암, 간암, 두경부암, 부신암, 신경교종, 자궁내막암, 흑색종, 신장암, 방광암, 자궁암, 질암, 난소암, 다발성골수종, 식도암, 백혈병, 뇌암, 구강 및 인두암, 후두암, 림프종, 기저세포암, 진성적혈구증다증, 본태성혈소판증가증이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료 대상은 인간이다.
본 명세서의 모든 결정형은 기본적으로 순수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본적으로 순수한 것"이란, 상기 결정형의 함량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85%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의미하는 바, 바람직하게는 95%보다 크거나 같고, 더 바람직하게는 98%보다 크거나 같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고체 형태" 및 그에 관련되는 용어는 주로 액체 또는 기체 상태에 처해 있지 않는 물리적 형태를 의미하는 바, 반고체도 포함된다. 고체 형태는 결정질, 비정질, 무질서 결정질, 부분 결정질, 부분 비정질 형태의 혼합물일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결정형", "결정 형태" 및 이에 관련되는 용어는 호환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바, 모두 결정의 고체 형태를 의미한다. 결정 형태는 단일성분의 결정 형태와 다중성분의 결정 형태를 포함하고, 무용매 형태(예를 들면, 무수 결정형), 용매화물, 수화물, 공결정 및 기타 분자 복합체와 이들의 다형체, 그리고 염, 염의 용매화물, 염의 수화물, 염의 공결정체, 염의 기타 분자 복합체와 이들의 다형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물질의 결정 형태는 비정질 및/또는 기타 결정형태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어떤 실시방안에서, 물질의 결정 형태는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약 50% 이하의 1종 이상의 비정질 및/또는 기타 결정 형태를 함유할 수 있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물질의 결정 형태는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순수한 것일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다형체", "다형체 형태", “다형체형 타입” 및 이에 관련되는 용어는 대체로 동일한 분자 및/또는 이온으로 구성된 고체 물질의 2종 이상의 결정 형태를 의미한다. 다양한 다형체는 다양한 결정형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안정성, 용해도, 용출 속도, 광학적 특성, 용융점, 기계적 특성 및/또는 밀도 등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은 원료약의 가공 및/또는 제조, 약물의 안정성, 용출 및/또는 생체이용률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다형체 현상은 약물의 적어도 1종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바, 상기 특성은 품질, 안전성 및/또는 효능을 포함하는 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용매화물"은, 원료약 및 화학량론적 또는 비화학량론적 양의 용매 분자를 포함하는 분자 복합체를 가리키고, 상기 원료약은 유리염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공결정, 염의 공결정 또는 기타 분자복합체일 수 있다. 용매가 물인 경우, 용매화물은 "수화물"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무정형"은 분자 및/또는 이온의 무질서한 고체 형태를 가리키는 바, 그는 결정이 아니다. 무정형은 동정된 뾰족한 피크가 있는 동정된 X선 회절 스펙트럼을 나타내지 않는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화합물 1은 임의의 단일 고체 형태로 된 유리염기 또는 다양한 고체 형태의 혼합물로 된 유기염기를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무수 결정형”은 물 및 기타 비수성 용매를 함유하지 않는 결정형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무수 결정형 C", "결정형 C” 및 "화합물 1의 결정형 C” 등은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고,“무수 결정형 B-1", "결정형 B-1” 및 "화합물 1의 결정형 B-1" 등은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결정형 A"와 "화합물 1의 결정형 A"는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략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을 가짐" 또는 "이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에서 사용되는 "대략” 및 "기본적으로"라는 용어는 첨부된 도면에서의 피크의 정확한 위치는 절대값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이유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알 수 있듯이,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의 2θ값은 측정 조건(예를 들면, 사용되는 설비 및 기기)과 샘플(예를 들면, 서로 다른 배치의 샘플)에 따라 오차가 생성될 수 있는데,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의 회절각의 측정 오차는 5%이거나 5%보다 더 작으며, 일반적으로, 주어진 값에서 ±0.2°의 차이가 있는 것이 적당하다고 인정된다. 또한 피크의 상대적 강도는 샘플 내 입자의 선호 방향과 같은 실험 조건 및 샘플의 제조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자동 또는 고정된 발산 슬릿의 사용도 상대적 강도의 계산에 영향을 미친다. 여기에 포함된 XRD 곡선에 도시된 강도는 단지 예시일 뿐이고, 절대적인 비교로 간주 되어서는 안된다.
샘플의 순도, 샘플의 제조 및 측정 조건(예를 들면, 기기, 가열 속도) 의 변화에 따라 DSC 및/또는 TGA의 측정 데이터에 일정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서로 다른 유형의 기기 또는 아래에 설명된 조건과 서로 다른 조건을 사용함에 따라, 대체 가능한 흡열/용융점 판독값이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 인용된 DSC 및/또는 TGA 스펙트럼은 절대값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DSC 및/또는 TGA 데이터를 해석할 경우 이러한 측정 오차를 고려하여야 해석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적 유효량"이란, 하나의 화합물을 치료 대상에게 투여하여 1종 질환이나 병증의 적어도 1종의 임상 증상이 치료하는 경우, 질환, 병증 또는 증상에 대한 이러한 치료에 영향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치료적 유효량"은 화합물, 질환, 병증 및/또는 질환이나 병증의 증상, 질환, 병증 및/또는 질환이나 병증의 증상의 중증도, 치료받는 환자의 나이, 및/또는 치료받는 환자의 몸무게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된 경우, 한 적당한 양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용량일 수도 있고, 일반적인 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용량일 수도 있다. 병용 치료의 경우, "치료적 유효량"은 질환, 병증 또는 병상황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병용 치료 대상에 대한 전체 용량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무수 결정형 및/또는 용매화물은 약물과 병용하여 활성 성분으로 될 수 있으며, 약물 담체와 혼합되어 약물 조성물을 형성한다. 상기 약물 담체는 경구투여 또는 주사(정맥주사를 포함함) 등 사용하려는 약물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물 조성물은 경구 투여에 적용되는 독립적인 단위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량이 미리 결정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캡슐제, 카세제 또는 정제 등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물 조성물은 분말, 과립, 용액, 수성 현탁액, 비수성 액체, 수중유타입 에멀젼 또는 유중수타입 에멀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언급한 일반적인 제형에 더하여, 본 발명에 기재된 염 형태 또는 결정 형태는 제어방출 방식 및/또는 전달 장치로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물 조성물은 임의의 약제학적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의 경우, 이러한 방법은 활성 성분과, 하나 이상의 필수적 성분을 구성한 담체를 회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의 경우, 상기 약물 조성물은 활성 성분과, 액체 담체 또는 미세하게 분할된 고체담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의 균일한 밀착 혼합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상기 제품은 원하는 모양으로 편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원하는 약물제제에 적합한 일반적인 약물용 담체를 가리키는 바, 예를 들면, 물, 다양한 유기용매 등과 같은 희석제, 부형제; 전분, 프리젤라틴화 전분, 자당, 덱스트린, 만니톨, 유당, 분무 건조 유당, 미결정 셀룰로오스, 규화 미결정 셀룰로오스, 무기염 등과 같은 충전제; 전분슬러리, 덱스트린, 분당, 시럽, 점질물(mucilage), 폴리에틸렌글리콜, 셀룰로오스 유도체, 알지네이트, 젤라틴,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코포비돈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등과 같은 접착제; 증류수, 에탄올 및 글리세린 등과 같은 습윤제; 건조전분,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전분, 한천, 탄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크로스포비돈,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전분나트륨 등과 같은 붕괴제; 4급 암모늄화합물, 아미노산 에틸아민 유도체,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테르계, β-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방향족 산성 화합물, 지방족 산성 화합물 등과 같은 흡수 촉진제; 세틸황산나트륨, 옥타데실황산나트륨, 디옥틸숙신산술폰산나트륨, 도데실술폰산나트륨, 벤잘코늄 브로마이드,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도미펜브로마이드, 레시틴, 헥사데카놀, 도데실황산나트륨, 트윈(Tween) 및 스판(Span)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글리콜, 카보머(Carbomer), 셀룰로오스 유도체, 글리세롤젤라틴, 폴리비닐알코올, 코코아 에스테르, 합성 또는 완전 합성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폴리비닐알코올40 스테아레이트, 바셀린, 고체파라핀, 액체파라핀, 디메티콘, 라놀린, 밀랍, 라드(LARD) 등과 같은 약물 탑재 기질; 카올린과 벤토나이트 등과 같은 흡수성 담체; 활석, 마이크로실리카, 실리카, 식물성 경화유, 도데실황산마그네슘, 도데실황산나트륨,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릴푸마르산나트륨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과 같은 윤활제가 있다. 또한, 약학적 조성물에 항산화제, 착색제, 방부제, pH조정제, 경화제, 유화제, 추진제(propellant), 분산제, 안정제, 증점제, 착화제, 완충제, 침투촉진제, 중합체, 방향제, 감미료 및 염료와 같은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재료를 첨가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하는 제형과 원하는 투여 방식에 적합하는 보조재료를 사용한다.
용어 "질환” 또는 "병증” 또는 "병상황"은 임의의 질환, 불편감, 질병, 증상 또는 적응증을 가리킨다.
실시예
본 발명이 더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아래의 실시예를 열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방안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그 어떠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세부 상황을 떠나 실시될 수 있는 것도,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 표제는 단지 편의를 위한 것이며, 그 어떠한 방식으로 청구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임의의 표제 하에 설명된 실시형태는 임의의 다른 표제 하에 설명된 실시예와 조합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반응물질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획득할 수도 있고,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 않은 경우 구입을 통해 획득하거나 구입될 수 있는 물질로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기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달성 가능한 용매, 온도, 압력, 반응물질 비율 및 기타 반응 조건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박층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반응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수요에 따라 중간체와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에 통과시켜, 염을 형성하거나 재결정화하여 정제할 수 있다.
기기의 세부사항
X선 분말 회절법(XRPD)
Lynxeye 검출기를 사용하여 Bruker X선 분말 회절기(모델 Bruker D8 Advance)에서 데이터를 획득한다. 수집 조건은 방사선: Cu Kα, 발생기 전압: 40 kV, 발생기 전류: 40 mA, 시작 각도 3.0° 2θ, 종료 각도: 40.0° 2θ, 스텝 사이즈: 0.02° 2θ, 스텝당 스캔 시간: 0.2초, 0.3초 또는 0.6초이다. 샘플을 준비할 때 무배경 실리콘 웨이퍼 샘플 트레이에 적당량의 샘플을 놓고 평평하게 눌러 샘플 표면이 매끄럽고 평평하도록 확보한다.
시차주사열량측정법(DSC)
TA Instruments의 Discovery DSC 2500 시차주사열량계를 사용하여 50ml/min의 N2 퍼지 하에 10 ℃/min의 승온 속도로 DSC 열분석 그래프를 획득한다.
열중량분석(TGA)
TA 기기 Discovery TGA 550 열중량분석기를 사용하여 40ml/min의 N2퍼지 하에 10 ℃/min의 승온 속도로 TGA 열분석 그래프를 획득한다.
수소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분석( 1 H-NMR)
1H-NMR(Bruker AVANCE NEO 500): 500Mhz 양성자 주파수, 펄수 여기 및 1s의 사이클 지연을 이용하여 1H-NMR 스펙트럼을 기록한다. 16차 스캔 회수를 합계하고, 중수소화 DMSO를 용매로 사용한다. 용매 피크는 참조용으로 사용되고, TMS 눈금으로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을 보도한다.
동적 수증기 분석(DVS)
표면 측정 시스템(Surface Measurement Systems) 동적 수증기 흡착 장치(모델 DVS Resolution)를 사용하여, N2유속: 200sccm, 검측 온도: 25 ℃, 평형 시간 선택 범위: 5분 ~ 360분, RH구배: 10%(50%RH-90%RH, 90%RH-0%RH-90%RH), 5%(90%RH-95%RH, 95%RH-90%RH)로 동적 수증기 흡착 그래프를 획득한다.
단결정 X선 회절
Bruker D8 Venture Photon II 회절기를 사용하여 회절강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광원은 CuKa방사이고, 스캔 방식은: φ/w 스캔이다.
약어:
API: 원료약;
Boc: tert-부톡시카르보닐기;
Cs2CO3: 탄산세슘;
CDI: N, N'-카르보닐디이미다졸;
CuI: 요오드화구리;
DSC: 시차주사열량측정;
DVS: 동적 수분 흡착;
DCM: 디클로로메탄;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
EA: 에틸아세테이트;
EDCI: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
hrs /h: 시간;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OBT: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HATU: 2-(7-아조벤조트리아졸)-N,N,N',N'-테트라메틸우레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IPAc: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LCMS/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
min: 분;
MIBK: 메틸 이소부틸 케톤;
MTBE: 메틸 tert-부틸 에테르;
MeOH: 메탄올;
NMM: N-메틸모르폴린;
NIS: N-요오도숙신이미드;
PE: 석유 에테르;
Pre-HPLC:제조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RH: 상대 습도;
rt or RT: 실온;
RRT: 상대 머무름 시간;
Solutol: 15-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
TEA: 트리에틸아민;
THF: 테트라히드로푸란;
TGA: 열중량분석;
1H-NMR/HNMR/1H NMR: 수소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XRD/XRPD: X선 분말 회절법.
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Cbz: 벤질옥시카르보닐;
DIP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EtOH: 에탄올;
Fmoc: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HBTU: 벤조트리아졸-N,N,N',N'-테트라메틸우레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OSu: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Hex: 헥산;
K2CO3: 탄산칼륨;
K3PO4: 인산칼륨;
MsCl: 메틸설포닐클로라이드;
NMP: N-메틸피롤리돈;
NsCl: P-니트로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T3P: 1-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sCl: p-톨루엔설포닐클로라이드;
2-MeTHF: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중간체 M-5의 제조:
단계 1: 화합물 M-2의 제조
1000 mL의 1구 플라스크에 4-브로모-2-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40 g) 및 MeOH(400 mL)를 첨가하고, 빙욕(ice bath)에서 교반하면서 암모니아수(136.50 g)를 적하하며, 35 ℃ 유욕에서 가열하면서 반응한다. LC-MS로 반응이 완료될때까지 모니터링한 후, 반응액을 농축시키고, 물을 첨가하여 희석시키며, EA로 4회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쳐, 건조 및 농축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PE : EA=3 : 1), 농축시켜 화합물 M-2를 34.55 g 얻는다.
LC-MS [M+H]+: 239.
단계 2: 화합물 M-3의 제조
1000 mL의 1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M-2(34.55 g), Cs2CO3(133 g) 및 DMF(300 m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20 min 교반한 후 1,2-디브로모에탄(54.30 g)을 적하하며, 적하가 완료되면 80 ℃ 유욕에 넣어 환류 반응을 수행하고,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LC-MS로 모니터링한다. 반응액을 농축시키고, 물을 첨가하여 희석시키며, EA로 3회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쳐, 건조 및 감압 농축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PE : EA = 70 : 30), 농축시켜 화합물 M-3을 21.37 g 얻는다.
LC-MS [M+H]+: 265.
1H NMR (500 Mhz, 클로로포름-d) δ 8.38 (d, J = 8.5 Hz, 1H), 7.30-7.15 (m, 3H), 6.99 (s, 1H), 4.47-4.43 (m, 2H), 4.41-4.35 (m, 2H).
단계 3: 화합물 M-4의 제조
1000mL의 1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M-3(21.37 g)과 DMF(100 mL)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키며, 거기에 DMF(100 mL)에 용해된 NIS(50.78 g)의 용액을 적하하고, 적하가 완료되면 60 ℃ 유욕에 넣어 밤새 반응시킨다. LC-MS로 반응이 완료될때까지 모니터링한 후, 반응액에 물을 첨가하고, 고체가 용출되면 흡인 여과하고 건조시켜 화합물 M-4를 35 g 얻는다.
LC-MS [M+H]+: 517.
1H NMR (500 MHz, 클로로포름-d) δ 8.30 (d, J = 8.6 Hz, 1H), 7.25-7.16 (m, 2H), 4.46 -4.41 (m, 2H), 4.36-4.32 (m, 2H).
단계 4: 화합물 M-5의 제조
500 mL의 3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M-4(35 g)와 THF(150 mL)를 첨가하고, 질소가스 보호 하에 -40 ℃에서 반응 시스템에 브롬화에틸마그네슘 (1 M의 THF용액) 100 mL를 적하하고, 적하가 완료되면 -40 ℃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시킨다 . LC-MS로 반응이 완료될때까지 모니터링한 후, 빙욕 조건에서 포화염화암모늄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퀀칭하고, EA로 3회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쳐, 건조 및 농축시켜, 메틸 tert-부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펄핑하고, 흡인 여과한 후 건조시켜, 화합물 M-5를 19.8 g 얻는다.
LC-MS [M+H] +: 391.
1H NMR (500 MHz, DMSO-d6) δ 8.22 (d, J = 8.6 Hz, 1H), 7.55 (s, 1H), 7.31 -7.23 (m, 2H), 4.47 -4.39 (m, 4H).
실시예1 ( S )-1-(2-(3-사이클로프로필-5-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일)-5,6-디하이드로벤조[ f ]이미다조[1,2-d][1,4]옥사제핀-9-일)피롤리딘-2-포름아미드(화합물 A)의 제조
단계 1: 화합물 2-2의 제조
250 mL의 1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1-1(5.0 g), DCM(100 mL) 및 HATU(9.55 g)를 첨가하고, 질소가스 보호 하에 빙욕 조건에서 TEA(8.15 g)와 화합물 2-1(1.45 g)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2 h 반응시킨다. LCMS로 모니터링하여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농축시키고, EA를 첨가하여 희석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농축시켜, 화합물 2-2를 5.0 g 얻어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한다.
LC-MS[M-Boc+H]+: 157.
1H NMR (500 MHz, DMSO-d6) δ 7.91 (s, 1H), 6.54 (d, J=9.0 Hz, 1H), 3.69-3.58 (m, 1H), 2.65-2.55 (m, 1H), 1.88-1.80 (m, 1H), 1.37 (s, 9H), 0.79 (d, J=6.0 Hz, 6H), 0.62-0.58 (m, 2H), 0.42-0.30 (m, 2H).
단계 2: 화합물 2-3의 제조
250 mL의 1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2-2(5 g), DCM(20 mL) 및 HCl/디옥산(20 mL, 4.0 mol/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 h 반응시킨다. LCMS로 모니터링하여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농축시키고, 화합물 2-3을 3.75 g 얻는다.
LC-MS[M +H] +: 157.
단계 3: 화합물 2-4의 제조
250 mL의 3구 플라스크에 화합물2-3(2.0 g), DCM(50 mL) 및 TEA(4.20 g)를 첨가하고, 질소가스 보호 하에 빙욕 조건에서 DCM(5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1.54 g)의 용액을 반응 시스템에 적하하며, 빙욕 조건에서 교반하면서 2 h 반응시킨다. LCMS로 모니터링하여 반응이 완료된 후, 빙욕에서 빙수로 반응을 퀀칭하고, 반응액을 농축시키고, EA로 추출하며,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을 수행하며, 조제품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통과시켜 정제하여(PE : EA = 100 : 0 ~ 50 : 50), 화합물 2-4를 810 mg 얻는다.
LC-MS [M+H] +: 183.
1H NMR (500 MHz, 클로로포름-d) δ 6.28 (s, 1H), 3.85 (d, J = 3.6 Hz, 1H), 2.66 -2.48 (m, J = 3.7 Hz, 1H), 2.25-2.15 (m, 1H), 1.03 (d, J = 6.5 Hz, 3H), 0.98 -0.91 (m, 4H), 0.88 (d, J = 7.0 Hz, 3H).
단계 4: 화합물 2-5의 제조
50 mL의 1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2-4(431 mg), 화합물M-5(700 mg), DMF(10 mL), CuI(102 mg), 트랜스-N,N'-디메틸사이클로헥산-1,2-디아민(77 mg) 및 K3PO4(760 mg), 질소가스 보호 하에 120 ℃까지 승온시켜 교반하면서 2 h 반응시킨다. LCMS로 모니터링하여 반응이 완료된 후, EA로 희석시키고, 물로 세척하며,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을 수행하며, 조제품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통과시켜 정제하여(PE : EA = 100 : 0 ~ 60 : 40) 화합물 2-5를 642 mg을 얻는다.
LC-MS [M+H] +: 445/447.
1H NMR (500 MHz, 클로로포름-d) δ 8.23 (d, J = 8.5 Hz, 1H), 7.27 (s, 1H), 7.22 (d, J = 8.7 Hz, 1H), 7.20 (s, 1H), 4.63-4.59 (m, 1H), 4.51-4.38 (m, 2H), 4.36 (t, J = 4.3 Hz, 2H), 2.79-2.71 (m, 1H), 2.68-2.60 (m, 1H), 1.24 (d, J = 7.1 Hz, 3H), 1.02-0.94 (m, 4H), 0.81 (d, J = 6.9 Hz, 3H).
단계 5: 화합물 2-6의 제조
30 mL의 마이크로파관에 화합물2-5(642 mg), 화합물M-12(415 mg), K3PO4(919 mg) 및 DMSO(10 mL)를 첨가하고, 질소가스로 퍼지하며, 거기에 CuI(83 mg)를 첨가하고, 120 ℃까지 승온시켜 마이크로파 하에 1 h 반응시킨다. LCMS로 모니터링하여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한다.
LC-MS [M+H] +: 480.
단계 6: 화합물 A의 제조
50 mL의 1구 플라스크에 단계 5에서 얻어진 반응액을 첨가하고, 질소가스 교환을 수행하며, DCM(10 mL), NH4Cl(462 mg) 및 TEA(1.46 g)를 첨가하고, 반응 시스템을 0 ℃까지 냉각시켜, 빙욕 조건에서 HATU(3.28 g)를 첨가하고, 0 ℃에서 교반하면서 1h 반응시킨다. LCMS로 모니터링하여 반응이 완료된 후, DCM를 첨가하여 반응액을 희석시키고, 물로 세척하며, 유기상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을 수행하며, 얻어진 조제품을 Pre-HPLC에 통과시켜 정제하여(C18컬럼, H2O : MeOH = 95 : 5 ~ 50 : 50), 화합물 A를 85 mg 얻는 바, 이는 한 쌍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이다.
LC-MS [M+H]+: 479.
1H NMR (500 MHz, DMSO-d6) δ 8.03 (d, J = 9.0 Hz, 1H), 7.40 (s, 1H), 7.24 (s, 1H), 7.05 (s, 1H), 6.32 (d, J = 8.9 Hz, 1H), 6.03 (d, J = 2.6 Hz, 1H), 4.48 (s, 1H), 4.41 -4.29 (m, 4H), 3.94 (d, J = 8.8 Hz, 1H), 3.55 (t, J = 8.1 Hz, 1H), 3.25-3.19 (m, 1H), 2.74 -2.55 (m, 2H), 2.25-2.14 (m, 1H), 2.07-1.85 (m, 3H), 1.13 (d, J = 7.0 Hz, 3H), 0.88 (d, J = 7.2 Hz, 2H), 0.81 (d, J = 3.9 Hz, 2H), 0.71 (d, J = 6.8 Hz, 3H).
실시예 2 ( S )-1-(2-(( S )-3-사이클로프로필-5-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일)-5,6-디하이드로벤조[ f ]이미다조[1,2- d ][1,4]옥사제핀-9-일)피롤리딘-2-포름아미드(화합물 1)와 ( S )-1-(2-(( R )-3-사이클로프로필-5-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일)-5,6-디하이드로벤조[ f ]이미다조[1,2-d][1,4]옥사제핀-9-일)피롤리딘-2-포름아미드(화합물 2)의 제조
본 실시양태에서, 하기 조건 하에 키랄 컬럼에서 화합물 A를 분할하면,화합물 1(뒤의 피크) 및 화합물 2(앞의 피크)를 얻을 수 있다.
키랄 HPLC 조건:
화합물 2: LC-MS [M+H]+: 479.
1H NMR (500 MHz, DMSO-d6) δ 8.03 (d, J = 9.0 Hz, 1H), 7.40 (s, 1H), 7.24 (s, 1H), 7.05 (s, 1H), 6.32 (d, J = 8.9 Hz, 1H), 6.03 (d, J = 2.6 Hz, 1H), 4.48 (s, 1H), 4.41 - 4.29 (m, 4H), 3.94 (d, J = 8.8 Hz, 1H), 3.55 (t, J = 8.1 Hz, 1H), 3.25-3.19 (m, 1H), 2.74 - 2.55 (m, 2H), 2.25-2.14 (m, 1H), 2.07-1.85 (m, 3H), 1.13 (d, J = 7.0 Hz, 3H), 0.88 (d, J = 7.2 Hz, 2H), 0.81 (d, J = 3.9 Hz, 2H), 0.71 (d, J = 6.8 Hz, 3H).
화합물 1: LC-MS [M+H]+: 479.
1H NMR (500 MHz, DMSO-d6) δ 8.03 (d, J = 9.0 Hz, 1H), 7.40 (s, 1H), 7.24 (s, 1H), 7.05 (s, 1H), 6.32 (d, J = 8.9 Hz, 1H), 6.03 (d, J = 2.6 Hz, 1H), 4.48 (s, 1H), 4.41 - 4.29 (m, 4H), 3.94 (d, J = 8.8 Hz, 1H), 3.55 (t, J = 8.1 Hz, 1H), 3.25-3.19 (m, 1H), 2.74 - 2.55 (m, 2H), 2.25-2.14 (m, 1H), 2.07-1.85 (m, 3H), 1.13 (d, J = 7.0 Hz, 3H), 0.88 (d, J = 7.2 Hz, 2H), 0.81 (d, J = 3.9 Hz, 2H), 0.71 (d, J = 6.8 Hz, 3H).
얻어진 화합물 1에 대해 구조를 동정한 결과, 기본적으로 도 32에 도시된 XRPD 스펙트럼을 갖고 있는 바, 이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회절각 2θ이 6.1°±0.2°, 6.2°±0.2°, 7.3°±0.2°, 7.6°±0.2°, 9.1°±0.2°, 9.3°±0.2°, 17.2°±0.2°인 특징적 피크를 가지며, 결정형 M로 정의된다. 얻어진 화합물 2에 대해 구조를 동정한 결과, 무정형 물질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화합물 1의 제조
단계 1: 화합물 1-3의 제조
5L의 3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1-a(257 g), DCM(2.5 L)와 NMM(274 g)를 첨가하고, 질소가스 보호 하에 빙욕 조건에서 EDCI(250 g), HOBT(200 g) 및 화합물 1-2(74 g)를 차례로 첨가하여,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킨다. LCMS로 모니터링하여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첨가하고, DCM로 추출하며, 포화식염수로 유기상을 세척하고, 건조 및 감압 농축 시켜 잔여물을 얻고, 잔여물을 MTBE로 펄핑하여 백색 고체 278 g을 얻는다.
LC-MS[M-Boc+H] +: 157.
1H NMR (500 MHz, DMSO-d6) δ 7.91 (s, 1H), 6.54 (d, J=9.0 Hz, 1H), 3.69-3.58 (m, 1H), 2.65-2.55 (m, 1H), 1.88-1.80 (m, 1H), 1.37 (s, 9H), 0.79 (d, J=6.0 Hz, 6H), 0.62-0.58 (m, 2H), 0.42-0.30 (m, 2H).
단계 2: 화합물 1-4의 제조
3L의 1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1-3(278 g), DCM(1.0 L) 및 HCl/디옥산(1.0 L, 4.0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킨다. LCMS로 모니터링하여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농축시키고, 화합물 1-4를 209g 얻는다.
LC-MS[M +H] +: 157.
단계 3: 화합물 1-5의 제조
5 L의 3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1-4(169 g), DCM(2.0 L) 및 NMM (329 g)을 첨가하고, 질소가스 보호 하에 50 ℃까지 승온시켜 CDI(229 g)를 첨가하며, 50 ℃에서 30 min 반응시킨다. 냉각 여과를 수행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킨 후, 2 M 염산으로 pH를 2로 조정하며,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추출한다. 포화식염수로 유기상을 세척하고, 건조, 여과 및 감압 농축을 거쳐 조제품을 얻어, 조제품을 PE/EA로 펄핑하고, 여과 및 건조시켜 제품 1-5(100 g)를 얻는다.
LC-MS [M+H] +: 183.
1H NMR (500 MHz, 클로로포름-d) δ 6.28 (s, 1H), 3.85 (d, J = 3.6 Hz, 1H), 2.66 -2.48 (m, J = 3.7 Hz, 1H), 2.25-2.15 (m, 1H), 1.03 (d, J = 6.5 Hz, 3H), 0.98 -0.91 (m, 4H), 0.88 (d, J = 7.0 Hz, 3H).
단계 4: 화합물 1-6의 제조
500 mL의 1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1-5(6.1 g), 화합물 M-5(13.09 g), DMF(131 mL), CuI(2.25 g), 트랜스-N,N'-디메틸사이클로헥산-1,2-디아민(1.90 g), 분자체(13.09 g) 및 K2CO3(9.25 g)을 첨가하고, 질소가스 보호 하에 85 ℃까지 승온시켜 교반하면서 3 h 반응시킨다. LCMS로 모니터링하여 반응이 완료된 후, EA로 희석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건조시키고, 농축을 수행하며, 조제품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통과시켜 정제하여(PE : EA = 100 : 0 ~ 60 : 40), 화합물 1-6을 6.89 g 얻는다.
LC-MS [M+H] +: 445/447.
1H NMR (500 MHz, 클로로포름-d) δ 8.23 (d, J = 8.5 Hz, 1H), 7.27 (s, 1H), 7.22 (d, J = 8.7 Hz, 1H), 7.20 (s, 1H), 4.63-4.59 (m, 1H), 4.51-4.38 (m, 2H), 4.36 (t, J = 4.3 Hz, 2H), 2.79-2.71 (m, 1H), 2.68-2.60 (m, 1H), 1.24 (d, J = 7.1 Hz, 3H), 1.02-0.94 (m, 4H), 0.81 (d, J = 6.9 Hz, 3H).
단계 5: 화합물 1-7의 제조
500 mL의 1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1-6(6 g), 화합물M-12(4.65 g), CuI(2.57 g), K2CO3(3.72 g) 및 DMSO(180 mL)를 첨가하고, 질소가스 교환을 수행하며, 110 ℃까지 승온시켜 교반하면서 1 h 반응시킨다. LCMS로 모니터링하여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여과하고, 170 mL의 DCM로 여과 케이크를 세척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한다.
LC-MS [M+H] +: 480.
단계 6: 화합물 1의 제조
500 mL의 1구 플라스크에 단계 5에서 얻어진 여과액을 첨가하고, 질소가스로 공기를 대체하여 NH4Cl(6.60 g)과 NMM(12.49 g)을 첨가하며, 반응 시스템을 0 ℃까지 냉각시키고, 빙욕 조건에서 HATU(18.63 g)을 첨가하며, 0 ℃에서 교반하면서 1h 반응시킨다. LCMS로 모니터링하여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퀀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며, 포화식염수로 유기상을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을 수행한다. 얻어진 조제품을 메탄올 34 mL 및 디클로로메탄 54 mL를 첨가하고 말끔하게 용해될 때까지 가열한다. 실온까지 자연 냉각시키고, 에틸에테르를 천천히 적하하여 고체를 용출시킨 후, 여과시키고, 에틸에테르로 여과 케이크를 세정하고, 건조시켜 화합물 1을 2.88 g 얻는다.
X선 분말 회절법으로 동정한 결과, 화합물 1의 결정형은 결정형 A를 나타내었고,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LC-MS [M+H]+: 479.
1H NMR (500 MHz, DMSO-d6) δ 8.03 (d, J = 9.0 Hz, 1H), 7.40 (s, 1H), 7.24 (s, 1H), 7.05 (s, 1H), 6.32 (d, J = 8.9 Hz, 1H), 6.03 (d, J = 2.6 Hz, 1H), 5.76 (s, 1.56H, DCM), 4.48 (s, 1H), 4.41 - 4.29 (m, 4H), 3.94 (d, J = 8.8 Hz, 1H), 3.55 (t, J = 8.1 Hz, 1H), 3.25-3.19 (m, 1H), 2.74 - 2.55 (m, 2H), 2.25-2.14 (m, 1H), 2.07-1.85 (m, 3H), 1.13 (d, J = 7.0 Hz, 3H), 0.88 (d, J = 7.2 Hz, 2H), 0.81 (d, J = 3.9 Hz, 2H), 0.71 (d, J = 6.8 Hz, 3H).
실시예 4 화합물 1의 다형체
유리 염기 화합물 1의 다형체에 대해 선별 및 평가를 수행하였고, 실온/고온 현탁 및 교반을 이용한 결정화, 기체/액체 침투 결정화, 기체/고체 침투 결정화, 반용매 첨가 결정화 및 느린 휘발 결정화 등 다양한 방법 및 경로를 설정하여 다양한 다형체를 선별하고 특성화시켰는데 하기를 포함한다(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결정형 A
결정형 A는 디클로로메탄 용매화물이고, 1H-NMR 결과에서는 결정형 A 샘플에 약 12.00 wt%의 디클로로메탄 용매가 함유되어 있음을 나타내었다.
결정형 B-1
결정형 A를 150 ℃까지 가열하고 나서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XRPD 특성화를 수행한 결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고, 무수 결정형 B-1을 얻었다. TGA 및 DSC 결과에서 보면, 결정형 B-1은 200 ℃에 이르기 전에 뚜렷한 중량 손실이 관찰되지 않았고, 186 ℃ 정도(피크 값의 온도)에서 흡열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189 ℃ 정도(피크 값의 온도)에서 하나의 발열 피크가 있었고, 229 ℃ 정도(피크 값의 온도)에서 흡열 피크가 관찰되었다.
결정형 B-2
결정형 A를 아세토니트릴 분위기에 놓고 13일 동안 기체 고체 확산을 수행하고, 획득한 결정형 B-2는 아세토니트릴 용매화물이고, XRPD 특성화(도 4) 및 1H-NMR 특성화를 수행한 결과, 1H-NMR 결과에서, 결정형 B-2 샘플에 약 7 wt%의 아세토니트릴 용매가 들어 있음을 나타내었다. TGA/DSC 결과에서, 샘플은 100 ℃에 이르기 전에 중량 손실이 약 5.14 wt%이고, 165 ℃, 167 ℃ 및 236 ℃ 정도에서 3개의 흡열 피크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결정형 B-3
결정형 A를 디클로로메탄 분위기에 놓고 13일 동안 기체 고체 확산을 수행하고, 획득한 결정형 B-3은 디클로로메탄 용매화물이고, 샘플에 대해 XRPD 특성화를 수행한다(도 5). TGA/DSC 결과에서, 샘플은 144.55 ℃에 이르기 전에 중량 손실이 약 4.91 wt%이고, 191 ℃ 정도에서 흡열 피크가 나타났으며, 236 ℃ 정도에서 발열 피크가 나타났다. 결정형 B-3의 XRPD 스펙트럼이 결정형 A와 서로 다른 것은, 결정형 A와 서로 다른 디클로로메탄 용매화물 결정형이 나타났음을 설명하고 있다.
결정형 B-1은 무수 결정형이고, 결정형 B-2는 아세토니트릴 용매화물이며, 결정형 B-3은 디클로로메탄 용매화물인 바, 이 3가지 결정형 결정 격자에는 용매가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포함된 용매의 종류가 서로 다르지만, XRPD 스펙트럼에서의 회절 피크의 수 및 회절 피크의 위치가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결정형 B-1, 결정형 B-2 및 결정형 B-3가 아이소몰픽 구조(isomorphic structure)를 가지는 것으로 본다.
결정형 D-1
실온에서 결정형 A 샘플을 아세톤에 하루 동안 현탁 교반하여, 결정형 D-1로서의 아세톤 용매화물을 얻었고, 샘플에 대해 XRPD(도 6) 및 1H-NMR 특성화를 수행한 결과, 1H-NMR 결과에서 결정형 D-1 샘플에 약 5.62 wt%의 아세톤 용매가 함유되어 있음을 나타내었다. TGA/DSC 결과에서, 샘플은 153 ℃에 이르기 전에 약 5.94 wt%의 중량 손실이 있었고, 185 ℃ 정도(피크 값의 온도)에서 흡열 피크가 있었고, 188 ℃ 정도에서 발열 피크가 나타났으며, 231 ℃ 정도에서 흡열 피크가 다시 관찰되었다. 결정형 D-1을 90 ℃까지 가열시키고, 가열된 샘플에 대해 XRPD 특성화를 수행한 결과, 도 24 결과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된 샘플이 결정형 B-1과 결정형 D-1의 혼합물이다.
결정형 D-2
실온에서 결정형 A 샘플을 n-프로판올에 하루 동안 현탁 교반하여, 결정형 D-2로서의 n-프로판올 용매화물을 얻었고, 샘플에 대해 XRPD 특성화를 수행하였다(도 7). TGA/DSC 결과에서, 샘플은 200 ℃에 이르기 전에 약 1.9 wt%의 중량 손실이 있었고, 183 ℃ 정도(피크 값의 온도)에서 하나의 발열 피크가 있었고, 231 ℃ 정도(피크 값의 온도)에서 하나의 흡열 피크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결정형 D-3
실온에서 결정형 A 샘플을 2-부타논에 하루 동안 현탁 교반하여, 결정형 D-3로서의 2-부타논 용매화물을 얻었고, 샘플에 XRPD 특성화(도 8) 및 1H-NMR 특성화를 수행한 결과, 1H-NMR 결과에서 결정형 D-3 샘플에 약 11.04 wt%의 2-부타논 용매가 함유되어 있음을 나타내었다. TGA/DSC 결과에서, 샘플은 120 ℃에 이르기 전에 약 11.07 wt%의 중량 손실이 있었고, 143 ℃ 정도에서 흡열 신호 피크가 나타났으며, 153 ℃ 정도에서 발열 피크가 나타났고, 그리고 230 ℃ 정도에서 흡열 피크가 관찰되었다.
마찬가지로, 결정형 D-1, 결정형 D-2 및 결정형 D-3, 이 3가지 결정형은 아주 비슷한 XRPD 스펙트럼을 가지므로, 아이소몰픽 구조(isomorphic structure)를 가지는 것으로 본다.
결정형 E-1
실온에서 결정형 A를 1,4-디옥산에 현탁시켜 교반하고, 획득한 결정형 E-1은 1,4-디옥산 용매화물이고, 샘플에 대해 XRPD 특성화(도 9) 및 1H-NMR 특성화를 수행한 결과, 1H-NMR 결과에서 결정형 E-1 샘플에 약 14.26 wt%의 1,4-디옥산 용매가 함유되어 있음을 나타내었다. 결정형 E-1를 150 ℃까지 가열시키고, 가열된 샘플에 대해 XRPD 특성화를 수행한 결과, 도 25 결과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된 샘플이 화합물 1의 결정형 B-1임이다.
결정형 E-2
실온에서 결정형 A를 테트라히드로푸란에 현탁시켜 교반하고, 획득한 결정형 E-2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용매화물이고, 이는 기본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XRPD스펙트럼을 가진다.
결정형 E-3
실온에서 결정형 A를 이소프로판올에 현탁시켜 교반하고, 획득한 결정형 E-3은 이소프로판올 용매화물이고, 샘플에 대해 XRPD 특성화(도 11) 및 1H-NMR 특성화를 수행한 결과, 1H-NMR 결과에서 결정형 E-3 샘플에 약 2.0 wt%의 이소프로판올 용매가 함유되어 있음을 나타내었다. TGA/DSC 결과에서, 샘플은 149 ℃에 이르기전에 약 3.10 wt%의 중량 손실이 있었고, 188 ℃ 정도에서 흡열 신호 피크가 있었으며, 196 ℃ 정도까지 승온될 때 발열 피크가 나타났고, 그리고 230 ℃ 정도에서 흡열 피크가 다시 관찰되었다.
마찬가지로, 결정형 E-1, 결정형 E-2 및 결정형 E-3, 이 3가지 결정형은 아주 비슷한 XRPD스펙트럼을 가지고, 이들은 아이소몰픽 구조(isomorphic structure)를 가지는 것으로 본다.
결정형 C
실온에서 결정형 A를 에틸아세테이트에 첨가하고 48h 교반하고, 획득한 결정형 C는 무수 결정형이고, 이는 기본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XRPD스펙트럼을 가진다. TGA 및 DSC 결과에서, 샘플은 150 ℃까지 가열되기 전에 유의적인 중량 손실이 관찰되지 않았고, 233 ℃ 정도(피크 값의 온도)에서 흡열 피크가 관찰되었다.
결정형 F
실온에서 결정형 A를 디메틸설폭사이드 용매에 첨가하고, 말끔하게 용해시킨 후, 반응액을 순수한 물 분위기에서 7일 동안 기체 액체 확산을 실행하고, 획득한 결정형 F는 디메틸설폭사이드 용매화물이고, 이는 기본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XRPD 스펙트럼을 가진다. 결정형 F를 180 ℃까지 가열시키고, 가열된 샘플에 대해 XRPD 특성화를 수행한 결과, 도 26의 결과에서 가열된 결정형 F가 결정형 C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었다.
결정형 G
실온에서 결정형 A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에 첨가하고, 말끔하게 용해시킨 후, 반응액을 순수한 물 분위기에서 7일 동안 기체 액체 확산을 실행하고, 획득한 결정형 G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화물이고, 이는 기본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XRPD 스펙트럼을 가진다. 결정형 G를 180 ℃까지 가열시키고, 가열된 샘플에 대해 XRPD 특성화를 수행한 결과, 도 27과 같이 결과에서 가열된 결정형 G가 결정형 C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었다.
결정형 H
실온에서 결정형 C 샘플을 테트라히드로푸란 용매 체계에 현탁시켜 교반하고, 획득한 결정형 H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용매화물이고, 이는 기본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XRPD 스펙트럼을 가진다. 상기 결정형 H를 150 ℃까지 가열시키고, 가열된 샘플에 대해 XRPD 특성화를 수행한 결과, 도 28와 같이 결과에서 가열된 결정형 H가 결정형 B-1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었다.
결정형 I
실온에서 결정형 C 샘플을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나서, 반용매 아세토니트릴을 추가하며, 실온에서 현탁시켜 교반하고, 획득한 결정형 I는 아세토니트릴 용매화물이고, 이는 기본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XRPD 스펙트럼을 가진다. 상기 결정형 I를 220 ℃까지 가열시키고, 가열된 샘플에 대해 XRPD 특성화를 수행한 결과, 도 29와 같이 결과에서 가열된 결정형 I가 결정형 C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었다.
결정형 J
실온에서 결정형 C 샘플을 N-메틸피롤리돈에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나서, 반용매 이소프로판올을 추가하며, 실온에서 현탁시켜 교반하고, 획득한 결정형 J는 이소프로판올 용매화물이고, 이는 기본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XRPD 스펙트럼을 가진다. 상기 샘플을 220 ℃까지 가열시키고, 가열된 샘플에 대해 XRPD 특성화를 수행한 결과, 도 30의 결과에서 나타내는 바과 같이 가열된 결정형 J가 결정형 C로 전환되었다.
결정형 K
실온에서 결정형 C 샘플을 아세토니트릴과 트리클로로메탄의 혼합 용매에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5일 동안 자연 휘발하여, 트리클로로메탄 용매화물인 결정형 K 단결정을 얻고, 이는 기본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XRPD 스펙트럼을 가지며, 단결정에 대한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Bruker D8 VENTURE를 사용하여 단결정 검출을 수행한 결과, 결정은 사방정계에 해당되고, 공간군은 P212121이며, 단위 격자의 파라미터는 a=7.2213(3), b=14.5964(7), c=26.9474(12)Å, α=b=γ=90°이고, 단위 격자의 부피 V=2840.4(2)Å3이며, 단위 격자 내의 비대칭 단위수 Z=4인 것으로 나타내었다.
직접법(Shelxs97)을 사용하여 결정 구조를 분석한 결과, 총 39개의 비수소 원자 위치를 얻었고, 최소자승법을 사용하여 구조적 파라미터를 수정하고 원자 종류를 판별하였으며, 기하학적 계산법과 차분 푸리에(Fourier)법을 사용하여 모든 수소원자 위치를 얻고 정련한 결과, R1=0.0995, wR2=0.3135(w=1/σ|F|2), S=1.082이었다. 최종 결정된 화학량론적 화학식은 C25H30N6O4 ·CHCl3이고, 계산된 분자량은 597.92이며, 계산된 결정 밀도는 1.398g/cm3이다.
화합물 1의 무수 결정형 B-1과 무수 결정형 C는, 화합물 1의 용매화물이 갖고 있는 잠재적인 독성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결정형의 안정성을 대폭 향상시켰고, 절대다수의 용매화물의 결정형이 일정한 온도에서 무수 결정형 B-1 또는 무수 결정형 C로 변환되었다.
놀랍게도, 무수 결정형 B-1과 무수 결정형 C는 또한 열역학적 안정성, 압력 민감도 및 연마 민감성 등 다양한 면에서 특정된 장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양자 모두 우수한 안정성을 구비하고, 그는 무수 결정이고, 쉽게 습기를 흡수하지 않고, 용융점이 높아, 약물 제제의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실시예 5 화합물 1의 결정형 C의 제조 방법
EA과 DMSO의 혼합 용액(1 : 1, v/v) 6 mL에 화합물 1(0.6g)을 첨가하고, 50 ℃까지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메틸 tert-부틸 에테르(6 mL)를 적하한다. 적하가 완료되면, 가열을 멈추고 실온까지 자연 냉각시키며, 교반하여 결정이 용출되면, 여과한 후 45 ℃에서 16 h 진공 건조를 수행하는 바, 얻어진 고체가 바로 결정형 C이고, 이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기본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다.
EA과 MeOH의 혼합 용액(1 : 1, v/v) 12 mL에 화합물 1(0.6 g)을 첨가하고, 50 ℃까지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메틸 tert-부틸 에테르(24 mL)를 적하한다. 적하가 완료되면, 가열을 멈추고 실온까지 자연 냉각시키며, 교반하여 결정이 용출되면, 여과한 후 45 ℃에서 16 h 진공 건조를 수행하는 바, 얻어진 고체가 바로 결정형 C이고, 이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기본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표 1의 용매(1 ~ 1.5 mL)에 화합물 1의 결정형 A를 15 mg 각각 첨가하고, 실온에서 현탁시켜 약 3일 동안 교반한 후, 얻어진 고체에 대해 XRPD 검출을 수행한 결과, 모두가 결정형 C이었다. 결정형 C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기본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표 1 결정형 C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용매 리스트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화합물 1의 결정형 C는 상대적으로 높은 방위배열을 갖고 있으며, 서로 다른 샘플의 XRPD 스펙트럼에서, 개별 피크의 강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므로, 도 21 및 그에 해당되는 피크 리스트 중의 2θ 각의 강도 데이터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절대적인 비교를 위해 사용해서는 안된다. 샘플 또는 검출 조건이 서로 다른 경우, 그에 해당되는 XRPD스펙트럼에서 도 21의 강한 피크가 아닌 일부 피크가 더 높은 강도를 나타내거나 및/또는 강한 피크의 일부가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으나, 이는 전반 스펙트럼의 일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실시예 6 압력 민감도 시험
화합물 1의 결정형 B-1과 결정형 C를 적당량 취하여 각각 200 kg/cm2, 300 kg/cm2 및 500 kg/cm2의 압력으로 원료약에 대한 타정시험을 수행하고, 수행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압력 민감도 시험 조건 및 결과
시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화합물 1의 결정형 B-1과 결정형 C는 200 kg/cm2 ~ 500 kg/cm2 압력 범위에서 압출된 경우 결정형이 변함없이 유지되고, XRPD 스펙트럼이 원래의 스펙트럼과 일치하게 유지되며, 결정형 B-1과 결정형 C의 압력 안정성이 우수하여 산업화에 적용된다.
실시예 7 연마 민감성 시험
화합물 1의 결정형 B-1과 결정형 C를 적당량 취하여 막자사발에 넣어 수동으로 연마하는 바, 연마 시간은 1 min이고, 연마된 샘플에 대해 XRPD 검출을 수행하여 결과를 도 31과 도 32에 나타낸다.
도 31과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 시험을 거친 화합물 1의 결정형 B-1과 결정형 C는 XRPD스펙트럼이 원래의 스펙트럼과 일치하게 유지되고, 결정형 B-1과 결정형 C의 연마 안정성이 모두 우수하다.
실시예 8 DVS 테스트 실험
결정형 B-1과 결정형 C의 다양한 습도 조건에서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25 ℃조건에서 0 ~ 95% RH 구간에 처한 결정형 B-1과 결정형 C에 대해 DVS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결과에서는, 결정형 B-1가 80%RH에서 질량 증가량이 1.9%이고,결정형 C가 80%RH에서 질량 증가량이 0.7%인 것으로 나타내어 흡습성이 약간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실시예 9: 화합물 1의 다양한 결정형의 영향 요인 실험
화합물 1의 결정형 M, 결정형 B-1 및 결정형 C에 대해 영향 요인 시험을 수행하는 바, 시험 조건 및 0일째, 5일째 및 30일째의 관련 물질의 전체 불순물 함량에 대한 시험 결과는 표 3을 참조한다.
표 3 화합물 1의 다양한 결정형 영향 요인 실험- 관련 물질의 전체 불순물 함량%
위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영향 요인 실험에서, 화합물 1의 결정형 M은 조사한 다양한 조건에서 전체 불순물 함량이 0일째에 비해 어느 정도로 증가되었고; 결정형 B-1과 결정형 C는 조사한 다양한 조건에서 전체 불순물 함량이 0일째에 비해 큰 변화가 없었고, 또한 모두 한도 범위 내에 있었으며(품질표준의 전체 불순물 함량 한도≤ 1.5%), 화합물 1의 결정형 B-1과 결정형 C는 안정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10: 화합물 1의 결정형 C의 안정성 시험
화합물 1의 결정형 C의 안정성 시험의 조건과 방법은 주로 2020년판의《중국 약전》제4부 일반 규칙의 "9001 원료약 및 약물 제제에 대한 안정성 시험 지침"의 요구 사항에 따라 수행하는 바, 상세하게는 표 4를 참조한다.
표 4 화합물 1의 결정형 C에 대한 안정성 시험 조건 및 방법
시험한 결과, 본 제품은 고온 조건 또는 고습 조건에 30일 동안 노출된 경우, 물성, 함량, 결정형, 이성질체가 0일째에 비해 큰 변화가 없었고; 6달 동안의 가속, 6달 동안의 장기간 안정성 시험을 거쳐 조사한 결과, 각 항목의 검출 지표가 0일째에 비해 큰 변화가 없었다. 이는 화합물 1의 결정형 C가 우수한 물리적/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시예 11: 화합물 1의 키나아제 시험
PI3K α, PI3K β, PI3K γ 키나아제는 그의 기질인 ATP, PIP2:3PS와 효소 반응을 수행하고, ADP-Glo시약과 발광법으로 생성물의 양을 검출하여 PI3K α, PI3K β, PI3K γ의 효소 활성(ATP 최종 농도는 10 μM임)을 반영한다.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1의 PI3K α, PI3K β 및 PI3K γ 키나아제에 대한 억제 활성을 테스트한다.
검출 방법:
시약: 기본 키나아제 완충액(pH 7.5); PI3K α, PI3K β, PI3K γ효소 용액; PIP2:3PS 및 ATP 용액; ADP-Glo 키트(MgCl2 10 mM를 함유함).
여기서, 완충액의 성분은, Hepes (pH7.2- 7.5) 50 mM, MgCl2 3 mM, EGTA 1 mM, CHAPS 0.03%, NaCl 100 mM, DTT 2 mM이다.
화합물의 준비: 본 발명의 화합물 1을 DMSO에 완전히 용해시키고 특정 농도까지 희석시켜, 인큐베이션 시스템 내 화합물의 최종 농도를 1000, 333, 111, 37, 12.4, 4.1, 1.4, 0.46, 0.15, 0.05 nM (PI3K α); 30000, 10000, 3333, 1111, 370, 123, 41, 13.7, 4.6, 1.5 nM(PI3K β, PI3K γ)로 만든다.
반응 과정: 1) 384 반응 플레이트(6008280, PerkinElmer)에 PI3K α, PI3K β, PI3K γ 단백질 용액을 첨가하고, 1000 rpm로 1분간 원심분리하여 사용을 위해 대기시킨다.
2) 효소가 첨가된 상기 384 반응 플레이트에 테스트 대기 화합물, 음성 대조 물질 DMSO 또는 양성 대조 물질 BYL719를 첨가하고, 1000 rpm로 1분간 원심분리하여 25 ℃에서 15분간 인큐베이션한다.
3) 상기 384 반응 플레이트에 PIP2:3PS & ATP용액을 첨가하고, 1000 rpm로 1분간 원심분리하여 25 ℃에서 60분간 인큐베이션한다.
4) ADP-Glo 시약(MgCl2 10 mM를 함유함) 5 μL를 384 반응 플레이트에 전이시키고, 1000 rpm로 1분간 원심분리하여 25 ℃에서 40분간 인큐베이션한다.
5) Detection 시약 10 μL를 384반응 플레이트에 전이시키고, 1000 rpm로 1분간 원심분리하여 25 ℃에서 40분간 인큐베이션한다.
6) Envision 다기능 판독기를 사용하여 RLU(상대 발광 단위, relative luminescence unit) 값을 판독한다. RLU값의 크기는 효소와 기질의 반응 정도를 특성화하고, IC50 값을 산출하는데 사용된다.
7) 실험 데이터의 처리 과정:
화합물 억제율(% inh)=(음성 대조군 RLU - 측정 대기 화합물 RLU)/(음성 대조군 RLU - 양성 대조군 RLU)*100%
아래의 비선형 피팅 공식을 이용하여 화합물의 IC50 값(반수 억제 농도)을 구한다. 즉,
Y = 최소 억제율 + (최대 억제율 - 최소 억제율)/(1+10^((LogIC50-X)*기울기))이고; 여기서, X는 측정 대기 화합물의 농도의 log값이고, Y는 측정 대기 화합물의 억제율(% inh)이다.
실험 결과는 표 5에 표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A는 IC50값이 ≤5 nM임을 대표하고; B는 IC50값이 5 ~ 20 nM임을 대표하며; C는 IC50값이 300 ~ 600 nM임을 대표하고; D는 IC50값이 >600 nM임을 대표한다.
표 5
표 5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화합물 1은 우수한 PI3K α 키나아제 억제 활성을 가지며, PI3K β 및 PI3K γ 키나아제 아형에 대한 좋은 선택성을 구비하고, 다중 타겟 억제로 인한 잠재적인 부작용을 피할 수 있다.
실시예 12: 세포 증식 시험
방법: CellTiter Glo assay 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1의 생체외 배양된 인간 종양 세포 MCF-7 및 HGC-27의 성장에 대한 억제 작용을 관찰한다.
검출 방법: MCF-7세포를 DMEM 배지에 현탁시켜 세포 현탁액을 형성하고, 세포 농도를 25000 cells/mL로 조정하며; HGC-27세포를 RPMI-1640 배지에 현탁시켜 세포 현탁액을 형성하고, 세포 농도를 5000 cells/mL로 조정한다. 세포 현탁액 100 μL를 96웰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CO2 인큐베이터에 넣어 밤을 새운다. 화합물 1을 DMSO에 완전히 용해시키고, 3배 농도 구배로 희석하여, 합계 10개 농도를 얻는다. 10개 농도의 측정 대기 화합물 또는 DMSO 음성 대조군을 배지 100 μL가 함유된 웰에 각각 핏페팅하여, 화합물의 최종 농도를 각각 30000, 10000, 3333, 1111, 370, 123, 41, 13.7, 4.6 nM로 되게 한다. 37 ℃, 5% CO2조건에서 인큐베이션하는 바, HGC-27세포는 96시간 인큐베이션하고, MCF-7세포는 120시간 인큐베이션한다. 그리고, CellTiter-Glo 시약 100 μL를 상기 96웰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실온에 두어 10분간 인큐베이션하여 발광 신호를 안정시킨다. VICTOR TM X5 테스트기를 사용하여 RLU (relative luminescence unit) 값을 기록한 후, IC50값을 산출한다.
화합물 억제율(% inh)=100% - (측정 대기 화합물 RLU - 공백 컨트롤 대조군 RLU)/ (음성 대조군 RLU - 공백 컨트롤 대조군 RLU)*100%
음성 대조군: DMSO웰;
공백 컨트롤 대조군: 공백 컨트롤 배지 웰, 무화합물/무세포;
아래의 비선형 피팅 공식을 이용하여 화합물의 IC50 값(반수 억제 농도)을 구한다. 즉,
Y=최소 억제율 + (최대 억제율-최소 억제율)/(1+10^((LogIC50-X)*기울기))이고; 여기서, X는 측정 대기 화합물의 농도의 log값이고; Y는 측정 대기 화합물의 억제율(% inh)이다.
실험 데이터는 표6과 표 7에 표시된 바와 같다.
표 6 실시예 화합물의 MCF-7세포에 대한 IC50 검출 결과
표 7 실시예 화합물의 HGC-27세포에 대한 IC50 검출 결과
유의 사항: 대조 화합물 1은 WO2017001658에 기재된 실시예 102이다.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화합물 1은, 대조 화합물에 비해, PI3K α 점돌연변이된 세포주에 대해 더 좋은 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가지고, 동일 농도에서 더 좋은 항종양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화합물 1은 더 좋은 항종양 효과를 갖는 PI3K α 키나아제 억제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예 13: 화합물 1의 결정형에 대한 약동학 시험
약물의 조제: 대조 화합물,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 1의 결정형 M 및 화합물 2의 무정형을 칭량하여 10% DMSO, 10% 솔루톨 및 80% 생리식염수의 혼합 용액에 넣어 10 mg/mL의 측정 대기 용액을 조제하고; 화합물 1의 결정형 C를 칭량하여 5% 솔루톨과 95% 0.5% CMCNa의 혼합 용액에 넣어 10 mg/mL의 측정 대기 용액을 조제한다.
시험 방법: 체중이 150 ~ 300 g인 수컷 SD 레트 15마리를 무작위로 5개 군으로 나누고, 각 군에 3마리 레트가 있으며, 10 mg/mL의 실시예 화합물을 1회 위내 투여하고, 각각 특정된 시간점(5 min, 15 min, 30 min, 1 h, 2 h, 4 h, 7 h, 24 h)에서 안와정맥신경총을 통해 혈액을 수집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80 ℃ 냉장고에 넣어 보존하여 사용을 위해 대기한다. 상기 혈장 샘플을 아세토니트릴로 단백질을 침전시킨 후 상등액을 추출하고 물과 함께 1 : 1로 혼합시켜 10 μL를 취해 LC-MS/MS 검출을 수행하고, 평균 값을 산출하는 바, 실험 데이터는 표 8에 표시된 바와 같다.
표 8 화합물 1과 화합물 2에 대한 약동학 시험 결과
유의 사항: 대조 화합물 2는 WO2017001645에 기재된 실시예 101이다.

Claims (25)

  1. (S)-1-(2-((S)-3-사이클로프로필-5-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일)-5,6-디하이드로벤조[f]이미다조[1,2-d][1,4]옥사제핀-9-일)피롤리딘-2-포름아미드의 다형체에 있어서,
    상기 다형체는 결정형 A이고, 상기 결정형 A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2θ로 표시되는 약 6.2°±0.2°, 7.3°±0.2°, 9.1°±0.2°, 13.6°±0.2°, 14.2°±0.2°에서의 특징적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형체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2θ로 표시되는 약 6.2°±0.2°, 7.3°±0.2°, 9.1°±0.2°, 13.6°±0.2°, 14.2°±0.2°, 14.9°±0.2°, 17.1°±0.2°, 17.3°±0.2°에서의 특징적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형체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2θ로 표시되는 약 6.2°±0.2°, 7.3°±0.2°, 9.1°±0.2°, 11.5°±0.2°, 13.6°±0.2°, 14.2°±0.2°, 14.9°±0.2°, 17.1°±0.2°, 17.3°±0.2°, 18.1°±0.2°에서의 특징적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형체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5. (S)-1-(2-((S)-3-사이클로프로필-5-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일)-5,6-디하이드로벤조[f]이미다조[1,2-d][1,4]옥사제핀-9-일)피롤리딘-2-포름아미드의 다형체에 있어서,
    상기 다형체는 결정형 B-1이고, 상기 결정형 B-1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2θ로 표시되는 약 6.1°±0.2°, 7.6°±0.2°, 9.3°±0.2°, 15.4°±0.2°에서의 특징적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형체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2θ로 표시되는 약 6.1°±0.2°, 7.6°±0.2°, 9.3°±0.2°, 11.6°±0.2°, 15.4°±0.2°에서의 특징적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형체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2θ로 표시되는 약 6.1°±0.2°, 7.6°±0.2°, 9.3°±0.2°, 11.6°±0.2°, 14.1°±0.2°, 15.4°±0.2°에서의 특징적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형체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2θ로 표시되는 약 6.1°±0.2°, 7.6°±0.2°, 9.3°±0.2°, 11.6°±0.2°, 14.1°±0.2°, 15.4°±0.2°, 16.9°±0.2°, 17.2°±0.2°에서의 특징적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형체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기본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10. (S)-1-(2-((S)-3-사이클로프로필-5-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일)-5,6-디하이드로벤조[f]이미다조[1,2-d][1,4]옥사제핀-9-일)피롤리딘-2-포름아미드의 다형체에 있어서,
    상기 다형체는 결정형 C이고, 상기 결정형 C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2θ로 표시되는 약 7.0°±0.2°, 8.4°±0.2°, 10.9°±0.2°에서의 특징적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형체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2θ로 표시되는 약 5.5°±0.2°, 7.0°±0.2°, 8.4°±0.2°, 10.2°±0.2°, 10.9°±0.2°에서의 특징적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형체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2θ로 표시되는 약 5.5°±0.2°, 7.0°±0.2°, 8.4°±0.2°, 9.8°±0.2°, 10.2°±0.2°, 10.9°±0.2°에서의 특징적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형체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2θ로 표시되는 약 5.5°±0.2°, 7.0°±0.2°, 8.4°±0.2°, 9.8°±0.2°, 10.2°±0.2°, 10.9°±0.2°, 13.5°±0.2°, 13.9°±0.2°에서의 특징적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형체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기본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15. 약물 조성물에 있어서,
    치료적 유효량의 (S)-1-(2-((S)-3-사이클로프로필-5-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일)-5,6-디하이드로벤조[f]이미다조[1,2-d][1,4]옥사제핀-9-일)피롤리딘-2-포름아미드의 다형체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재료, 보조제 및 담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형체는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형체 중의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조성물.
  17.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형체 또는 제 15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물 조성물이 약물 제조에서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암 또는 암 전이의 발생 또는 진행을 치료, 예방, 지연 또는 저지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8.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형체 또는 제 15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물 조성물이 약물 제조에서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PI3K가 매개하는 질환을 치료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PI3K는 PI3K 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1. 제 17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육종, 전립선암, 유방암, 췌장암, 폐암, 위장암, 결장직장암, 갑상선암, 간암, 두경부암, 부신암, 신경교종, 자궁내막암, 흑색종, 신장암, 방광암, 자궁암, 질암, 난소암, 다발성골수종, 식도암, 백혈병, 뇌암, 구강 및 인두암, 후두암, 림프종, 기저세포암, 진성적혈구증다증, 본태성혈소판증가증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2. 치료 대상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형체 또는 제 15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물 조성물을 투여하는 암 치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육종, 전립선암, 유방암, 췌장암, 폐암, 위장암, 결장직장암, 갑상선암, 간암, 두경부암, 부신암, 신경교종, 자궁내막암, 흑색종, 신장암, 방광암, 자궁암, 질암, 난소암, 다발성 골수종, 식도암, 백혈병, 뇌암, 구강 및 인두암, 후두암, 림프종, 기저세포암, 진성적혈구증, 본태성혈소판증가증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 방법.
  23.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형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다형체는 화합물 1의 결정형 C이고, 화합물 1은 (S)-1-(2-((S)-3-사이클로프로필-5-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일)-5,6-디하이드로벤조[f]이미다조[1,2-d][1,4]옥사제핀-9-일)피롤리딘-2-포름아미드이고,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

    a. 염기성 조건에서, 화합물 1-5와 화합물 M-5가 촉매 및 촉매 리간드의 작용 하에 커플링 반응을 하여 화합물 1-6을 얻는 단계;
    b. 염기성 조건에서, 화합물 1-6과 화합물 M-12가 촉매의 작용 하에 커플링 반응을 거쳐 화합물 1-7을 얻는 단계;
    c. 염기성 조건에서, 화합물 1-7과 NH3가 축합제 작용 하에 축합 반응을 거쳐 화합물 1을 형성하는 단계;
    g. 화합물 1을 양용매(good solvent)에 첨가하고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빈용매(poor solvent)를 적하하여 고체를 용출시키고, 여과 및 건조시켜 상기 화합물 1의 결정형 C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의 제조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양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와 디메틸설폭사이드의 혼합 용액, 에틸아세테이트와 메탄올의 혼합 용액 중의 1종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빈용매는 n-헵탄, 메틸 tert-부틸 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에테르 중의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의 제조 방법.
  2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형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다형체는 화합물 1의 결정형 C이고, 화합물 1은 (S)-1-(2-((S)-3-사이클로프로필-5-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일)-5,6-디하이드로벤조[f]이미다조[1,2-d][1,4]옥사제핀-9-일)피롤리딘-2-포름아미드이고,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
    화합물 1의 결정형 A를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메탄올과 물의 혼합액, n-부탄올, 메틸 이소부틸 케톤,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tert-부틸 에테르 중 1종 이상의 용매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현탁시켜 1 내지 5일 동안 교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의 제조 방법.
KR1020237041500A 2021-05-13 2022-05-12 이미다졸리디논류 화합물의 다형체,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400071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093552 2021-05-13
CNPCT/CN2021/093552 2021-05-13
CN202210506024 2022-05-09
CN202210506024.9 2022-05-09
PCT/CN2022/092465 WO2022237871A1 (zh) 2021-05-13 2022-05-12 咪唑烷酮类化合物的多晶型物、制备方法及其用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187A true KR20240007187A (ko) 2024-01-16

Family

ID=8402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1500A KR20240007187A (ko) 2021-05-13 2022-05-12 이미다졸리디논류 화합물의 다형체,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4353729A1 (ko)
JP (1) JP2024520920A (ko)
KR (1) KR20240007187A (ko)
CN (1) CN117242078A (ko)
AU (1) AU2022275275A1 (ko)
CA (1) CA3218470A1 (ko)
IL (1) IL308459A (ko)
TW (1) TW202311267A (ko)
WO (1) WO20222378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6280A1 (en) 2009-09-28 2011-03-31 F. Hoffmann-La Roche Ag Benzoxazepin pi3k inhibitor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BR112013024122A2 (pt) * 2011-03-21 2019-09-24 Hoffmann La Roche compostos de benzoxazepina seletivos para p110 delta pi3k e métodos de uso
EP3317284B1 (en) 2015-07-02 2019-10-30 H. Hoffnabb-La Roche Ag Benzoxazepin oxazolidinon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CN111848643A (zh) 2015-07-02 2020-10-30 豪夫迈·罗氏有限公司 苯并氧氮杂*噁唑烷酮化合物及其使用方法
EP4056575A4 (en) * 2019-11-04 2023-11-08 Betta Pharmaceuticals Co., Ltd IMIDAZOLIDINONE COMPOUND, PROCESS THEREOF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242078A (zh) 2023-12-15
WO2022237871A1 (zh) 2022-11-17
IL308459A (en) 2024-01-01
JP2024520920A (ja) 2024-05-27
CA3218470A1 (en) 2022-11-17
AU2022275275A1 (en) 2023-12-14
TW202311267A (zh) 2023-03-16
EP4353729A1 (en) 202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89641B (zh) 一种取代的2-氢-吡唑衍生物的晶型、盐型及其制备方法
AU2018236286B2 (en) Forms and compositions of a MK2 inhibitor
CN112521390A (zh) 制备parp抑制剂、结晶形式的方法及其用途
TWI774758B (zh) C5-苯胺喹唑啉化合物及其治療癌症之用途
WO2017016463A1 (zh) Egfr抑制剂及其药学上可接受的盐和多晶型物及其应用
KR102557242B1 (ko) P2x3 길항제의 결정질 염 및 다형체
CN113454081A (zh) 咪唑并吡啶基化合物及其用于治疗增生性疾病的用途
CN111788197A (zh) 取代的二氨基杂环甲酰胺化合物及包含该化合物的组合物及其用途
CN112424202A (zh) 抑制cdk4/6活性化合物的晶型及其应用
AU2020242723B2 (en) BTK inhibit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polymorph and application thereof
KR20190012231A (ko) 단백질 키나제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의 결정 형태 및 이의 응용
KR20240007187A (ko) 이미다졸리디논류 화합물의 다형체,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CN111601791B (zh) Ezh2抑制剂及其药学上可接受的盐和多晶型物及其应用
WO2023155760A1 (zh) 一种药物组合物及所含活性成分化合物的制备方法
WO2017206904A1 (zh) Pi3k抑制剂及其药学上可接受的盐和多晶型物及其应用
WO2018220252A1 (es) Derivados de piridoquinazolina eficaces como inhibidores de proteína quinasa
WO2023116895A1 (zh) Kras抑制剂的多晶型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22033563A1 (zh) Jak抑制剂化合物及其用途
CN112654623B (zh) 新型氮杂三环类化合物的盐型、晶型及其用途
WO2023138681A1 (zh) 含氮并环类衍生物抑制剂的酸式盐或晶型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4109871A1 (zh) 一种含氮杂环类化合物的可药用盐、晶型及制备方法
WO2024109233A1 (zh) 一种嘧啶并芳环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7247382A (zh) 吡啶并嘧啶酮化合物的晶型
TW202333672A (zh) Rock抑制劑的鹽及鹽的晶型、組合物和藥物用途
CN116096369A (zh) 布鲁顿酪氨酸激酶抑制剂的多晶型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