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237A -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 Google Patents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237A
KR20240006237A KR1020220083039A KR20220083039A KR20240006237A KR 20240006237 A KR20240006237 A KR 20240006237A KR 1020220083039 A KR1020220083039 A KR 1020220083039A KR 20220083039 A KR20220083039 A KR 20220083039A KR 20240006237 A KR20240006237 A KR 20240006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oor
space
present
emergency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길
Original Assignee
김윤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길 filed Critical 김윤길
Priority to KR1020220083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6237A/ko
Publication of KR20240006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2Fireproof doors having windows or other openings, e.g. for permitting ventilation or esca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는, 일 영역에 제1방향으로 개방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도어 본체;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판과 제1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제2판;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공간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는 중앙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은 함께 이동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 시 일부 영역을 개방하여 드나들 수 있는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DOOR CAPABLE OF EMERGENT ESCAPE}
본 발명은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 시 일부 영역을 개방하여 드나들 수 있는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Door, 문)는 한 장소의 경계를 구성하면서, 사람이 드나드는 곳에 개폐할 수 있도록 만든 구조물을 말하며, 구획된 두 장소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하므로 주로 담이나 벽 등의 경계요소와 같이 설치된다.
최근 들어, 건축물에 설치되는 도어는 사람에 의해 조작되는 수동식 도어뿐만 아니라,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방하는 자동식 도어, 화재 발생시 화재나 연기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방화문 등과 같이 전자제어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들도 다수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도어들은 각기 다른 이유로 인해 화재 등의 위급상황 발생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 외에도 가정 내에서 도어가 고장나 밀폐된 공간에 갇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영/유아, 어린이들의 경우 밀폐된 공간에 갖히면 심각한 심리적 문제를 겪게된다.
이에 따라, 도어 손잡이가 고장나는 등 도어를 열 수 없을 때, 수동으로 인위적으로 공간을 개방할 수 있는 도어의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67186호(2020.10.12)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6149호(2015.10.29) "이중개폐방식의 비상출구용 몰딩도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는, 비상 시 일부 영역을 개방하여 드나들 수 있는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는, 일 영역에 제1방향으로 개방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도어 본체;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판과 제1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제2판;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공간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는 중앙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은 함께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의 폭은 상기 제1판의 폭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 시 일부 영역을 개방하여 드나들 수 있는 비상 탈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의 도어 본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의 도어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의 구조 설명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의 작동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는, 비상 시 일부 영역을 개방하여 드나들 수 있는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의 도어 본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의 도어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의 구조 설명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의 작동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1000)는, 도어 본체(100)와, 제1판(200)과, 제2판(300) 및 중앙판(400)을 포함한다.
도어 본체(100)는 도어의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본체(100)는 직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 본체(100)는 상부 파트(110)와, 하부 파트(120) 및 연결 파트(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결 파트(130)에는 공간부(150)와, 확장부(160)가 형성된다.
공간부(150)는 비상 시 어느 한 장소에 갇힌 사람이 탈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간이다.
공간부(150)는 도어 본체(100)의 일 영역에 형성되며, 제1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제1방향은 도어 본체(100)의 두께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확장부(160)는 도어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2방향을 따라 공간부(150)로부터 확장된다. 여기서 제2방향은 도어 본체(100)의 폭방향을 의미한다. 즉, 확장부(160)는 공간부(150)로부터 도어 본체(100)의 폭방향을 따라 확장 가능하게 마련되며, 도어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다. 즉 외부에서 육안으로의 확인이 어렵다.
상술한 도어 본체(100)는 비상 시 제1판(200)과 제2판(300)이 이동되는 공간이다.
공간부(150) 및 확장부(160)가 형성된 도어 본체(100)에는 제1판(200)과 제2판(30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슬라이딩 홈(140)이 설치된다.
제1판(20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공간부(150)에 배치된다. 제1판(200)은 공간부(150)에서 도어 본체(100)의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된다. 즉 최외측에 배치된다.
제1판(200)의 하면에는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며, 슬라이딩 홈(140)에 안착되어 공간부(150)에서 확장부(160)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제2판(30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공간부(150)에 배치된다. 제2판(300)은 공간부(150)에서 도어 본체(100)의 타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된다. 즉 최외측에 배치된다.
제2판(300)의 하면에는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며, 슬라이딩 홈(140)에 안착되어 공간부(150)에서 확장부(160)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다시 말해, 제1판(200)과 제2판(300)은 각각 공간부(150)에 배치되되 서로 이격배치된다.
제1판(200)과 제2판(300)의 폭은 확장부(160)의 폭 이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판(200)과 제2판(300)은 연결 부재(50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함께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즉, 문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에서든지 제1판(200) 또는 제2판(300)을 이동시키게 되면, 제2판(300) 또는 제1판(200)도 함께 이동된다.
중앙판(400)은 제1판(200)과 제2판(300) 사이에 배치된다. 중앙판(400)은 비상 시 제거됨으로써 공간부(150)를 개방시켜 사용자가 공간부(150)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중앙부는 제1판(200)과 제2판(300) 사이에 배치되어, 제1판(200)과 제2판(30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고정된 위치를 갖게된다.
그러나 비상 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제1판(200)과 제2판(300)을 확장부(160)로 슬라이딩 이동 시키는 경우, 중앙판(400)은 더 이상 제1판(200)과 제2판(300)에 의해 고정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중앙판(400)을 공간부(150)를 통해 도어 본체(100)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간부(150)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자는 공간부(150)를 통해 드나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판(400)의 폭과 한 쌍의 제1판(200)의 폭의 길이의 합은, 공간부(150)와 한 쌍의 확장부(160)의 폭의 합 이하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판(400)의 크기는 공간부(150)의 크기에 대응되므로, 확장부(160)의 폭은 제1판(200)의 폭 이상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제1판(200)과 제2판(300)을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 확장부(160)에 위치되면, 중앙판(400)은 제1판(200)과 제2판(30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중앙판(400)을 도어 본체(100)로부터 분리시켜 공간부(150)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공간부(150)를 통해 사람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 시 일부 영역을 개방하여 드나들 수 있는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100 : 도어 본체 200 : 제1판
300 : 제2판 400 : 중앙판
500 : 연결부재

Claims (2)

  1. 일 영역에 제1방향으로 개방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도어 본체;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판과 제1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제2판;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공간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는 중앙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은 함께 이동되는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폭은 상기 제1판의 폭 이상으로 마련되는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KR1020220083039A 2022-07-06 2022-07-06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KR20240006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039A KR20240006237A (ko) 2022-07-06 2022-07-06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039A KR20240006237A (ko) 2022-07-06 2022-07-06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237A true KR20240006237A (ko) 2024-01-15

Family

ID=89543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039A KR20240006237A (ko) 2022-07-06 2022-07-06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623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149B1 (ko) 2015-05-29 2015-11-13 (주)포그린 이중개폐방식의 비상출구용 몰딩도어
KR102167186B1 (ko) 2020-04-16 2020-10-16 나영선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149B1 (ko) 2015-05-29 2015-11-13 (주)포그린 이중개폐방식의 비상출구용 몰딩도어
KR102167186B1 (ko) 2020-04-16 2020-10-16 나영선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3445B2 (en) Vision panel for movable partition, movable parti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
US4762351A (en) Security device for doors
US4000590A (en) Security grille
US2722722A (en) Window guards
US2660750A (en) Adjustable doorstop
KR20240006237A (ko)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RU2673302C2 (ru) Дверь, выполненная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открывания в случае структурного повреждения здания
KR20240069118A (ko) 비상 개폐가 가능한 도어
KR102100355B1 (ko)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US4679365A (en) Emergency exit for a personnel chamber
US1024837A (en) Hinge.
JP4437725B2 (ja) エレベーター乗場の仮設障壁体装置
US9441410B1 (en) Opening system for a building wall using latching assemblies with axially offset latch mechanisms
US4606145A (en) Shutter-type window panel
KR101960735B1 (ko) 오버헤드 도어의 안전장치
DE3922932A1 (de) Stopper fuer tueren oder dgl.
US743462A (en) Gate.
JP3789180B2 (ja) 可動式連絡通路
DE20114399U1 (de) Unsichtbares Türband mit zweidimensionaler Verstellung
US1407739A (en) Hinge
KR102616431B1 (ko) 안전창을 설치한 창호
KR20200113709A (ko) 엘리베이터 도어
KR102559197B1 (ko) 잠금장치를 갖는 길이 가변형 방범창
KR102630862B1 (ko)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KR102650048B1 (ko) 손끼임 방지기능을 갖는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