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052A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6052A KR20240006052A KR1020237041497A KR20237041497A KR20240006052A KR 20240006052 A KR20240006052 A KR 20240006052A KR 1020237041497 A KR1020237041497 A KR 1020237041497A KR 20237041497 A KR20237041497 A KR 20237041497A KR 20240006052 A KR20240006052 A KR 202400060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gid body
- generation system
- aerosol generation
- electrical
- aeroso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9000000615 non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JUPQTSLXMOCDHR-UHFFFAOYSA-N benzene-1,4-diol;bis(4-fluorophenyl)methanone Chemical compound OC1=CC=C(O)C=C1.C1=CC(F)=CC=C1C(=O)C1=CC=C(F)C=C1 JUPQTSLXMOCDHR-UHFFFAOYSA-N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41000208125 Nicot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2637 Nicotiana taba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NOOLISFMXDJSKH-UTLUCORTSA-N (+)-Neomenthol Chemical compound CC(C)[C@@H]1CC[C@@H](C)C[C@@H]1O NOOLISFMXDJSKH-UTLUCORTSA-N 0.000 description 1
- NOOLISFMXDJSKH-UHFFFAOYSA-N DL-menthol Natural products CC(C)C1CCC(C)CC1O NOOLISFMXDJS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79 Mentha X verticil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899 Mentha suaveol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636 Mentha x rotund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1 electronic cigaret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79 heat-resista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31 hot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1616 menth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sheet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4—Waterproof or air-tight seals for heate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8—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8—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05B3/28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the insulating material being an organic material, e.g. plastic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gaseous material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과제] 가열부의 접힘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에어로졸원을 함유한 기재(基材)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 저항체, 상기 전기 저항체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전기 절연체, 및 상기 전기 저항체 및 2개의 상기 전기 절연체를 사이에 두는 제1 강체(剛體) 및 제2 강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에 삽입되며, 상기 제1 강체와 상기 제2 강체는 크기가 상이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해결 수단]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에어로졸원을 함유한 기재(基材)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 저항체, 상기 전기 저항체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전기 절연체, 및 상기 전기 저항체 및 2개의 상기 전기 절연체를 사이에 두는 제1 강체(剛體) 및 제2 강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에 삽입되며, 상기 제1 강체와 상기 제2 강체는 크기가 상이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담배 및 네뷸라이저 등의, 유저에게 흡인되는 물질을 생성하는 흡인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면, 흡인 장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원(源), 및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미 성분을 부여하기 위한 향미원(香味源) 등을 포함하는 기재(基材)를 사용하여,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유저는,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된,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흡인함으로써, 향미를 맛볼 수 있다. 유저가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동작을, 이하에서는 퍼프 또는 퍼프 동작이라고도 칭한다.
최근에는, 스틱 형상으로 형성된 기재를 사용하는 타입의 흡인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고, 해당 타입의 흡인 장치에 관한 기술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스틱 형상으로 형성된 기재를 흡인 장치에 삽입했을 때에, 블레이드 형상으로 형성된 가열부가 기재에 삽입되고, 기재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블레이드 형상으로 형성된 가열부를 사용하는 흡인 장치에는, 가열부가 꺾이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가열부가 꺾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느 관점에 의하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에어로졸원을 함유한 기재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 저항체, 상기 전기 저항체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전기 절연체, 및 상기 전기 저항체 및 2개의 상기 전기 절연체를 사이에 두는 제1 강체(剛體) 및 제2 강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에 삽입되며, 상기 제1 강체와 상기 제2 강체는 크기가 상이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상기 가열부를 보지(保持, 보유 지지)하는 보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강체는, 상기 제2 강체보다 크고 상기 보지부는, 상기 제1 강체를 보지해도 된다.
상기 제1 강체는, 상기 기재가 삽입 또는 발거(拔去)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강체보다도 길어도 된다.
상기 제1 강체 및 상기 제2 강체는 판상(板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강체는, 상기 제2 강체보다 두꺼워도 된다.
상기 보지부는, 상기 제1 강체가 관통하는 제1 구멍과 상기 전기 저항체 및 2개의 상기 전기 절연체가 관통하는 제2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2 구멍은 이격(離隔)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보지부의 상기 제1 구멍은 슬릿이며, 상기 보지부는, 상기 슬릿에 있어서 상기 제1 강체를 보지해도 된다.
상기 보지부는, 상기 제1 강체를 협지(挾持)해도 된다.
상기 전기 저항체 및 2개의 상기 전기 절연체는, 상기 제1 강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하고, 상기 제2 구멍을 관통해도 된다.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내부 공간 및 상기 내부 공간을 외부에 연통하는 개구(開口)를 가지고,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상기 기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지부는, 상기 가열부의 선단(先端)이 상기 수용부의 저부(底部)로부터 상기 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가열부를 보지해도 된다.
상기 제2 강체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제2 강체 중 상기 가열부의 후단(後端)측의 단부(端部)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부의 내벽에 위치 맞춤되어도 된다.
상기 가열부 중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저항체는 2개의 상기 전기 절연체에 의해 끼워지는 범위 내에 들어가고, 2개의 상기 전기 절연체는 상기 제1 강체 및 상기 제2 강체에 의해 끼워지는 범위 내에 들어가도 된다.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상기 보지부에 설치된 구멍을 봉지(封止)하는 봉지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봉지부는, 상기 보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구멍을 봉지해도 된다.
상기 봉지부는, 상기 보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부의 내벽과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봉지부는, 상기 보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부의 내벽의 반대 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상기 보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부의 내벽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부의 내벽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봉지부는, 실리콘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보지부는, PEEK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상기 기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부의 꺾임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가 제공된다.
[도 1] 흡인 장치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사시도이다.
[도 3]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정면도이다.
[도 5]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측면도이다.
[도 6]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에 있어서의 가열부가 배치된 부분의 단면(斷面)도이다.
[도 7] 변형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에 있어서의 가열부가 배치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사시도이다.
[도 3]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정면도이다.
[도 5]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측면도이다.
[도 6]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에 있어서의 가열부가 배치된 부분의 단면(斷面)도이다.
[도 7] 변형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에 있어서의 가열부가 배치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에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1. 흡인 장치의 구성예>
본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는, 에어로졸원을 포함하는 기재를 기재 내부로부터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1은, 흡인 장치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본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는, 전원부(111), 센서부(112), 통지부(113), 기억부(114), 통신부(115), 제어부(116), 가열부(121), 및 수용부(140)를 포함한다. 수용부(140)에 스틱형 기재(150)가 수용된 상태로, 유저에 의한 흡인이 실시된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전원부(111)는, 전력을 축적한다. 그리고, 전원부(111)는, 흡인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111)는, 예를 들면, 리튬이온 이차 전지 등의 충전식 배터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111)는,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등에 의해 외부 전원에 접속됨으로써, 충전되어도 된다. 또한, 전원부(111)는, 와이어리스 전력 전송 기술에 의해 송전측의 디바이스에 비접속인 상태로 충전되어도 된다. 그 밖에도, 전원부(111)만을 흡인 장치(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도 되고, 새로운 전원부(111)와 교환할 수 있어도 된다.
센서부(112)는, 흡인 장치(100)에 관한 각종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센서부(112)는, 검출한 정보를 제어부(116)에 출력한다.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콘덴서 마이크로폰 등의 압력 센서, 유량 센서 또는 온도 센서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센서부(112)는, 유저에 의한 흡인에 따른 수치를 검출한 경우에, 유저에 의한 흡인이 실시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부(116)에 출력한다. 다른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유저로부터의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특히, 센서부(112)는, 에어로졸의 생성 개시/정지를 지시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112)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제어부(116)에 출력한다. 다른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가열부(121)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온도 센서는, 예를 들면, 가열부(121)의 도전(導電) 트랙의 전기 저항값에 근거하여 가열부(121)의 온도를 검출한다. 센서부(112)는, 가열부(121)의 온도에 근거하여, 수용부(140)에 수용된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를 검출해도 된다.
통지부(113)는, 정보를 유저에게 통지한다. 일례로서, 통지부(113)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발광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그 경우, 통지부(113)는, 전원부(111)의 상태가 요(要) 충전인 경우, 전원부(111)가 충전 중인 경우, 및 흡인 장치(100)에 이상(異常)이 발생한 경우 등에, 각각 상이한 발광 패턴으로 발광한다. 여기서의 발광 패턴이란, 색, 및 점등/소등의 타이밍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통지부(113)는, 발광 장치와 함께, 또는 대신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소리를 출력하는 음(音) 출력 장치, 및 진동하는 진동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그 밖에도, 통지부(113)는, 유저에 의한 흡인이 가능하게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유저에 의한 흡인이 가능하게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는, 가열부(121)에 의해 가열된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통지된다.
기억부(114)는, 흡인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부(114)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114)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례는, 제어부(116)에 의한 각종 구성 요소의 제어 내용 등의, 흡인 장치(100)의 OS(Operating System)에 관한 정보이다. 기억부(114)에 기억되는 정보의 다른 일례는, 흡인 횟수, 흡인 시각, 흡인 시간 누계 등의, 유저에 의한 흡인에 관한 정보이다.
통신부(115)는, 흡인 장치(100)와 다른 장치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115)는, 유선 또는 무선의 임의의 통신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실시한다. 이러한 통신 규격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LAN, Wi-Fi(등록상표), 또는 Bluetooth(등록상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통신부(115)는, 유저에 의한 흡인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유저에 의한 흡인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에 송신한다. 다른 일례로서, 통신부(115)는, 기억부(114)에 기억되어 있는 OS의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서, 서버로부터 새로운 OS의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16)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흡인 장치(100) 내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116)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그 밖에, 제어부(116)는, 사용하는 프로그램 및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 및 적적히 변화하는 파라미터 등을 일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흡인 장치(100)는, 제어부(116)에 의한 제어에 근거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전원부(111)로부터 다른 각 구성 요소로의 급전(給電), 전원부(111)의 충전, 센서부(112)에 의한 정보의 검출, 통지부(113)에 의한 정보의 통지, 기억부(114)에 의한 정보의 기억 및 판독, 및 통신부(115)에 의한 정보의 송수신은, 제어부(116)에 의해 제어되는 처리의 일례이다. 각 구성 요소로의 정보의 입력, 및 각 구성 요소로부터 출력된 정보에 근거하는 처리 등, 흡인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그 밖의 처리도, 제어부(116)에 의해 제어된다.
수용부(140)는, 내부 공간(141)을 가지고, 내부 공간(141)에 스틱형 기재(150)의 일부를 수용하면서 스틱형 기재(150)를 보지한다. 수용부(140)는, 내부 공간(141)을 외부에 연통하는 개구(開口)(142)를 가지고, 개구(142)로부터 내부 공간(141)으로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를 보지한다. 예를 들면, 수용부(140)는, 개구(142) 및 저부(143)를 저면(底面)으로 하는 통상체(筒狀體)이며, 기둥 형상의 내부 공간(141)을 획정(劃定)한다. 수용부(140)는, 통상체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내경(內徑)이 스틱형 기재(150)의 외경(外徑)보다도 작아지도록 구성되고, 내부 공간(141)에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를 외주(外周)로부터 압박하도록 하여 스틱형 기재(150)를 보지할 수 있다. 수용부(140)는, 스틱형 기재(15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流路)를 획정하는 기능도 가진다. 이러한 유로 내로의 공기의 입구인 공기 유입 구멍은, 예를 들면 저부(143)에 배치된다. 한편, 이러한 유로로부터의 공기의 출구인 공기 유출 구멍은, 개구(142)이다.
스틱형 기재(150)는, 스틱형의 부재이다. 스틱형 기재(150)는, 기재부(151), 및 흡구부(152)를 포함한다.
기재부(151)는, 에어로졸원을 포함한다. 에어로졸원은, 가열됨으로써 무화(霧化)되고,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에어로졸원은, 예를 들면, 살담배 또는 담배 원료를, 입상(粒狀), 시트상, 또는 분말상으로 성형한 가공물 등의, 담배 유래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원은,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면 민트 및 허브 등)로부터 만들어진, 비담배 유래의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일례로서, 에어로졸원은, 멘톨 등의 향료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흡인 장치(100)가 의료용 흡입기인 경우, 에어로졸원은, 환자가 흡입하기 위한 약제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원은 고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글라이세린 및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물 등의 액체여도 된다. 기재부(151)의 적어도 일부는, 스틱형 기재(150)가 수용부(140)에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140)의 내부 공간(141)에 수용된다
흡구부(152)는, 흡인 시에 유저에게 물리는 부재이다. 흡구부(152)의 적어도 일부는, 스틱형 기재(150)가 수용부(140)에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개구(142)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개구(142)로부터 돌출된 흡구부(152)를 유저가 물고 흡인하면, 도시하지 않는 공기 유입 구멍으로부터 수용부(140)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수용부(140)의 내부 공간(141)을 통과하여, 즉, 기재부(151)를 통과하여, 기재부(151)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과 함께, 유저의 구내(口內)에 도달한다.
가열부(121)는, 에어로졸원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가열부(121)는, 금속 또는 폴리이미드 등의 임의의 소재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가열부(121)는, 블레이드 형상으로 구성되고, 수용부(140)의 저부(143)로부터 수용부(140)의 내부 공간(141)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배치된다. 그 때문에, 수용부(140)에 스틱형 기재(150)가 삽입되면, 블레이드 형상의 가열부(121)는, 스틱형 기재(150)의 기재부(151)에 꽂히도록 하여,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가열부(121)가 발열하면, 스틱형 기재(150)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이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부터 가열되어 무화되고,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가열부(121)는, 전원부(111)로부터 급전되면 발열한다. 일례로서, 소정의 유저 입력이 실시된 것이 센서부(112)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급전되고, 에어로졸이 생성되어도 된다. 가열부(121)에 의해 가열된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유저에 의한 흡인이 가능해진다. 그 후, 소정의 유저 입력이 실시된 것이 센서부(112)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급전이 정지되어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유저에 의한 흡인이 실시된 것이 센서부(112)에 의해 검출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급전되고, 에어로졸이 생성되어도 된다.
여기서, 전원부(111)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의 일례이다. 스틱형 기재(150)는, 에어로졸원을 함유한 기재의 일례이다.
흡인 장치(100)와 스틱형 기재(150)는 협동하여 유저에 의해 흡인되는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그 때문에, 흡인 장치(100)와 스틱형 기재(150)의 조합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으로서 인식되어도 된다.
<2. 가열부의 상세한 구성>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12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12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121)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121)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에 있어서의 가열부(121)가 배치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도 5에 나타내듯이, 가열부(121)는, 전기 저항체(10), 전기 절연체(20)(20A 및 20B), 및 강체(30)(30A 및 30B)를 가진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듯이, 가열부(121)는, 수용부(140)의 내부 공간(141)에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수용부(140)는, 보지부(40), 봉지부(50), 내장 부재(60) 및 외장 부재(70)를 가진다. 외장 부재(70)는, 통상(筒狀)으로 구성되는 부재이다. 외장 부재(70)는, 흡인 장치(100)의 최외각(最外殼)을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내장 부재(60)는, 수용부(140)의 내벽을 구성하는 부재이다. 내장 부재(60)는, 수용부(140)의 측면의 내벽을 구성하는 측벽(61), 및 수용부(140)의 저부(143)의 내벽을 구성하는 저벽(底壁)(62)을 가진다. 보지부(40), 봉지부(50), 및 저벽(62)은, 수용부(140)의 저부(143)를 구성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요소를, 동일한 부호의 뒤에 상이한 알파벳을 붙여 구별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복수의 요소를, 필요에 따라서 강체 30A 및 30B와 같이 구별한다. 다만,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복수의 요소의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동일 부호만을 붙인다. 예를 들면, 강체 30A 및 30B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지 강체(30)라고 칭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가열부(121)에 대하여 스틱형 기재(150)가 삽입되는 방향을 하(下)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가열부(121)로부터 스틱형 기재(150)가 발거되는 방향을 상(上)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가열부(121) 중, 상 방향의 단부(端部)를 선단이라고도 칭하고, 하 방향의 단부를 후단이라고도 칭한다. 상하 방향은, 전기 저항체(10), 전기 절연체(20), 및 강체(3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한다. 또한, 상하 방향은, 가열부(121)의 길이 방향에 대응한다.
전기 저항체(10), 전기 절연체(20), 및 강체(30)가 겹치는 방향을, 전후(前後)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전후 방향은, 전기 저항체(10), 전기 절연체(20), 및 강체(30)의 두께 방향에 대응한다. 또한, 전후 방향은, 가열부(121)의 두께 방향에 대응한다.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左右)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좌우 방향은, 전기 저항체(10), 전기 절연체(20), 및 강체(30)의 단수(短手) 방향에 대응한다. 또한, 좌우 방향은, 가열부(121)의 단수 방향에 대응한다.
이하, 가열부(121)에 관한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기 저항체(10)는, 전원부(111)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열한다. 그리고, 전기 저항체(10)는, 전류가 흘렀을 때에 줄열을 일으킨다. 일례로서, 전기 저항체(10)는, 가는 도선으로서 구성되고, 평면을 이루도록 둘러진다. 전기 저항체(10)는, 예를 들면 SUS(Steel Use Stainless)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 저항체(10)는, 높은 내열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전기 저항체(10)는, 2개의 전기 절연체(20)(20A 및 20B)에 의해 끼워진다. 그 때문에, 전기 저항체(10)가 다른 도체에 의도하지 않고 접촉하여 단락(短絡)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전기 절연체(20)의 형상은 동일하다.
전기 절연체(20)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부재이다. 전기 절연체(20)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임의의 소재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전기 절연체(20)는, 폴리이미드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 절연체(20)는, 높은 내열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전기 절연체(20)는, 전기 저항체(10)와 강체(30)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전기 저항체(10)와 강체(30)가 접촉하여 단락되는 사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기 절연체(20)는, 필름상으로 구성된다. 필름상으로 구성된 2개의 전기 절연체(20)와, 이들 2개의 전기 절연체(20)에 의해 끼워진 전기 저항체(10)는, 이른바 필름 히터를 구성한다. 예를 들면, 필름면 위에 도선이 굴곡하면서 둘러짐으로써, 필름 히터가 구성된다. 필름면 위에 있어서의 도선의 분포(즉, 밀도)에 의해, 필름면에 있어서의 열(熱) 분포를 임의로 설계 가능하다.
강체(30)는, 소정의 강성(剛性)을 가지는 부재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강체(30)는, 가열부(121)에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강성을 발휘하여, 가열부(121)가 곡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강체(30)는, 전열성을 가지는 부재이기도 하다. 강체(30)는, 전기 저항체(10)로부터의 전열에 의해 승온(昇溫)한다. 그 때문에, 전기 저항체(10)에 의해 발생한 열은, 강체(30)를 통하여 스틱형 기재(150)에 전달된다.
강체(30)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강체(30)는, 금속판에 의해 구성된다. 일례로서, 강체(30)는, SUS 금속판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강체(30)는, 높은 내열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전기 저항체(10) 및 전기 절연체(20)는, 2개의 강체(30)(30A 및 30B)에 의해 끼워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열부(121)가 전후 방향으로 곡절되는 것을 보다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강체(30A 및 30B)를, 필요에 따라서 제1 강체(30A) 및 제2 강체(30B)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 강체(30A) 및 제2 강체(30B)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동일하다.
여기서, 도 3~도 6에 나타내듯이, 제1 강체(30A)와 제2 강체(30B)는 크기가 상이하다. 특히, 제1 강체(30A)는, 제2 강체(30B)보다 크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듯이, 보지부(40)는, 제1 강체(30A)를 보지함으로써, 가열부(121)를 보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하에 설명하듯이, 가열부(121)를 적합하게 보지함과 함께, 가열부(121)가 곡절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세하게는, 도 6에 나타내듯이, 제1 강체(30A)는, 스틱형 기재(150)가 삽입 또는 발거되는 방향(즉,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2 강체(30B)보다도 길다. 제1 강체(30A) 및 제2 강체(30B)는, 상단(上端)이 위치 맞춤 된 상태로 접합되므로, 제1 강체(30A)를 제2 강체(30B)보다도 하 방향에 연재(延在)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보지부(40)는, 제1 강체(30A)만을 보지함으로써, 가열부(121)를 보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듯이, 제1 강체(30A)는, 제2 강체(30B)보다도 두껍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강체(30A)의 단면 형상을, 제2 강체(30B)의 단면 형상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강체(30A)는, 제2 강체(30B)와 비교하여 높은 강성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보지부(40)가 제1 강체(30A)를 보지함으로써, 가열부(121)가 곡절되는 것을 보다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에 나타내듯이, 제2 강체(30B)는, 내부 공간(141)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 강체(30B) 중 가열부(121)의 후단측(즉, 하측(下側))의 단부는, 저벽(62)에 위치 맞춤된다. 즉,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제2 강체(30B)의 하단(下端)의 위치는, 저벽(62)의 위치와 일치한다. 그 때문에, 스틱형 기재(150)의 선단이 저벽(62)에 접촉할 때까지 스틱형 기재(150)가 내부 공간(141)에 삽입되면, 가열부(121) 중, 제1 강체(30A) 및 제2 강체(30B)에 의해 끼워지는 부분이,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게 된다. 제1 강체(30A) 중 제2 강체(30B)와 전후 방향에 있어서 겹치는 부분 및 제2 강체(30B)는, 가열부(121) 중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는 부분에 있어서, 최외각을 구성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가열부(121) 중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는 부분에 있어서, 전기 저항체(10)는 2개의 전기 절연체(20)에 의해 끼워지는 범위 내에 들어간다. 상세하게는, 가열부(121) 중 제1 강체(30A) 및 제2 강체(30B)에 의해 끼워지는 부분에 있어서, 전기 저항체(10)의 좌우의 단부는, 전기 절연체(20)의 좌우의 단부보다도 내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전기 저항체(10)의 상단은, 전기 절연체(20)의 상단보다도 하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2개의 전기 절연체(20)는, 가열부(121) 중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는 부분에 있어서, 전기 저항체(10)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일 없이, 전기 저항체(10)를 사이에 두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에 나타내듯이, 가열부(121) 중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는 부분에 있어서, 2개의 전기 절연체(20)는 제1 강체(30A) 및 제2 강체(30B)에 의해 끼워지는 범위 내에 들어간다. 상세하게는, 가열부(121) 중 제1 강체(30A) 및 제2 강체(30B)에 의해 끼워지는 부분에 있어서, 전기 절연체(20)의 좌우의 단부는, 제1 강체(30A) 중 제2 강체(30B)와 전후 방향에 있어서 겹치는 부분 및 제2 강체(30B)의 좌우의 단부보다도 내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전기 절연체(20)의 상단은, 제1 강체(30A) 및 제2 강체(30B)의 상단보다도 하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제1 강체(30A) 및 제2 강체(30B)는, 적어도 가열부(121) 중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는 부분에 있어서, 전기 절연체(20)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일 없이, 전기 절연체(20)를 사이에 두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가열부(121) 중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는 부분에 있어서, 제1 강체(30A) 및 제2 강체(30B) 중 전기 절연체(20)에 접촉하지 않는 단부끼리가 접합된다. 상세하게는, 제1 강체(30A) 및 제2 강체(30B) 중, 전기 절연체(20)에 접촉하지 않는 상단끼리 및 좌우 단부끼리가, 간극 없이 접합된다. 이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듯이, 제1 강체(30A) 및 제2 강체(30B)에 끼워진 전기 저항체(10) 및 전기 절연체(20)가, 외부로부터 은폐된다. 그 때문에, 제1 강체(30A)와 제2 강체(30B)의 사이에 이물(異物)이 혼입되어 가열 효율이 저하하는 등의 불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열부(121)는, 전기 저항체(10), 전기 절연체(20), 및 강체(30)가 핫 프레스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특히, 전기 저항체(10), 2개의 전기 절연체(20), 제1 강체(30A) 중 제2 강체(30B)와 전후 방향에 있어서 겹치는 부분 및 제2 강체(30B)가 핫 프레스됨으로써, 가열부(121)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간극이 없는 접합을 실현함과 함께, 가열부(121)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열부(121)는, 가열부(121)의 선단으로부터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된다. 그래서, 가열부(121)의 선단은, 예리하게 구성된다. 즉, 제1 강체(30A) 및 제2 강체(30B)의 상단은 예리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제1 강체(30A) 및 제2 강체(30B)의 선단은, 동일한 삼각 형상으로 구성되고, 정점(頂点)이 위를 향한 상태로 접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열부(121)를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할 때에, 가열부(121)가 스틱형 기재(150)로부터 받는 저항을 약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가열부(121)가 곡절되는 것을 보다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전기 저항체(10)는, 가열 영역(11) 및 비가열 영역(12)을 형성한다. 가열 영역(11)은, 전기 저항체(10) 중 단위 면적당의 발열량이 소정값 이상인 영역이다. 가열 영역(11)은, 가열부(121)의 선단측(즉, 상측(上側))에 배치된다. 비가열 영역(12)은, 전기 저항체(10) 중 단위 면적당의 발열량이 소정값 미만인 영역이다. 비가열 영역(12)은, 가열부(121)의 후단측(즉, 하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가열 영역(11)을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스틱형 기재(150)를 재빠르게 승온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에 나타내듯이, 가열 영역(11)과 비가열 영역(12)의 경계는, 가열부(121)의 후단측(즉, 하측)에 있어서의 제2 강체(30B)의 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즉, 가열 영역(11)의 하단은, 제2 강체(30B)의 하단과 일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가열 영역(11)은, 가열부(121) 중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는 부분에 있어서, 강체(30)를 직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영역(11)이, 제2 강체(30B)보다도 하측, 즉 가열부(121) 중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지 않는 부분에는 비어져 나오지 않기 때문에, 전원부(111) 등의 다른 구성 요소로의 전열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열에 기인하는 흡인 장치(100)의 고장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에 나타내듯이, 가열부(121)의 후단측(즉, 하측)에 있어서의 전기 절연체(20)의 단부는, 가열부(121)의 후단측(즉, 하측)에 있어서의 제2 강체(30B)의 단부보다도, 가열부(121)의 후단측(즉, 하측)에 위치한다. 즉, 전기 절연체(20)는, 가열부(121) 중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는 부분보다도 하측으로 비어져 나오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전기 절연체(20)는, 전기 저항체(10)와 강체(30)를 확실하게 절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열부(121)는, 가열부(121)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으로의 방향(즉, 상하 방향)에 있어서, 불균일하게 발열해도 된다. 일례로서, 전기 저항체(10)의 가열 영역(11)과 비가열 영역(12)은, 상이한 온도로 발열해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가열 영역(11) 중에서, 상이한 온도로 발열하는 복수의 영역이 상하 방향으로 나뉘어 분포하고 있어도 된다. 특히, 가열 영역(11) 중,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는 부분(즉, 전기 저항체(10) 중 제1 강체(30A)와 제2 강체(30B)에 끼워진 부분)에 있어서, 상이한 온도로 발열하는 복수의 영역이 상하 방향으로 나뉘어 분포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틱형 기재(150)를 최적인 온도 분포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기 저항체(10)는, 가열부(121)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으로의 방향(즉, 상하 방향)에 있어서, 불균일하게 분포해도 된다. 일례로서, 전기 저항체(10)의 가열 영역(11)과 비가열 영역(12)에서, 전기 저항체(10)가 불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가열 영역(11) 중에서, 전기 저항체(10)의 분포가 상이한 복수의 영역이 상하 방향으로 나뉘어 분포하고 있어도 된다. 특히, 가열 영역(11) 중,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는 부분(즉, 전기 저항체(10) 중 제1 강체(30A)와 제2 강체(30B)에 끼워진 부분)에 있어서, 전기 저항체(10)의 분포가 상이한 복수의 영역이 상하 방향으로 나뉘어 분포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열부(121)를 상하 방향에 있어서 불균일하게 발열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지부(40)는, 가열부(121)를 보지하는 부재이다. 특히, 보지부(40)는, 제1 강체(30A)를 보지한다. 도 6에 나타내듯이, 보지부(40)는, 가열부(121)의 선단이 수용부(140)의 저부(143)로부터 개구(14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가열부(121)를 보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구(142)로부터 내부 공간(141)에 스틱형 기재(150)가 삽입되었을 때에, 가열부(121)의 선단이 스틱형 기재(150)에 꽂히고,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가열부(121)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지부(40)는, 내열성을 가지는 소재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보지부(40)는, PEEK(Poly Ether Ether Ketone)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열부(121)가 고열을 일으켜도, 가열부(121)를 계속 보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에 나타내듯이, 보지부(40)는, 서로 이격하여 설치된 제1 구멍(41)과 제2 구멍(42)을 가진다. 제1 구멍(41)에는, 제1 강체(30A)가 관통한다. 그리고, 보지부(40)는, 제1 구멍(41)에 있어서 제1 강체(30A)를 보지한다. 제2 구멍(42)에는, 전기 저항체(10) 및 2개의 전기 절연체(20)가 관통한다. 이와 같이, 제1 구멍(41)과 제2 구멍(42)이 이격하고 있으므로, 제1 구멍(41)에 있어서 제1 강체(30A)를 보지하기 위해서 걸리는 힘이 제2 구멍(42)을 관통하는 전기 저항체(10) 및 전기 절연체(20)에 미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전기 저항체(10) 및 전기 절연체(20)가 보지부(40)에 잡아당겨져 파단되는 사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구멍(41)은, 슬릿이어도 된다. 즉, 보지부(40)에는, 슬릿이 미리 설치되어도 된다. 그리고, 보지부(40)는, 슬릿에 있어서 제1 강체(30A)를 보지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구멍(41)은, 제1 구멍(41)의 단면 형상이 제1 강체(30A)의 단면 형상에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간극없이 제1 강체(30A)에 접합된다.
그 밖에, 보지부(40)는, 제1 강체(30A)를 협지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보지부(40)는, 앞쪽에 배치되는 제1 부재와 뒤쪽에 배치되는 제2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제1 강체(30A)를 협지해도 된다.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제1 강체(30A)를 협지한 상태로 접합된다.
도 6에 나타내듯이, 전기 저항체(10) 및 2개의 전기 절연체(20)는, 제1 강체(30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하고, 제2 구멍(42)을 관통한다. 상세하게는, 전기 저항체(10) 및 2개의 전기 절연체(20)는, 제2 강체(30B)의 하단으로부터 제2 구멍(42)에 걸쳐, 휘어진 상태로 만곡하면서 배치된다. 따라서, 가령 보지부(40)와 제1 강체(30A)의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여도, 전기 저항체(10) 및 전기 절연체(20)가 보지부(40)에 잡아당겨져 파단되는 사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봉지부(50)는, 보지부(40)에 설치된 구멍을 봉지한다. 상세하게는, 봉지부(50)는, 적어도 제2 구멍(42)을 봉지한다. 그 밖에도 보지부(40)에 구멍이 있는 경우, 봉지부(50)는, 이러한 구멍을 봉지한다. 예를 들면, 제1 구멍(41)과 제1 강체(30A)의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경우, 봉지부(50)는, 제1 구멍(41)도 봉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틱형 기재(150)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통상으로 구성된 외장 부재(70)에 있어서의 저부(143)보다 하측의 공간(144)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공간(144)에는, 전원부(111) 및 제어부(116) 등의 전자 기기가 배치될 수 있음을 고려하면, 이러한 구성에 의해, 흡인 장치(100)의 고장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보지부(40)에는, 제1 구멍(41) 및 제2 구멍(42)과는 별도로, 내부 공간(141)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상술한 공기 유입 구멍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공기 유입 구멍은, 전자 기기가 배치된 공간(144)과는 독립적으로 구성된 공기 유로를 통하여 외부 공간에 연통한다. 그 경우, 봉지부(50)는, 이러한 공기 유입 구멍을 제외한 구멍을 봉지한다.
봉지부(50)는, 보지부(40)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봉지부(50)는, 보지부(40)에 밀착하여 배치됨으로써, 보지부(40)에 설치된 구멍을 봉지한다. 특히, 도 6에 나타내듯이, 봉지부(50)는, 보지부(40)와 저벽(62)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러한 예에 의하면, 봉지부(50)는, 보지부(40)에 설치된 구멍을 봉지함에 더하여, 저벽(62)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벽(62)의 위치가 제2 강체(30B)의 하단에 일치하도록, 봉지부(50)의 상하 방향의 두께가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열부(121) 중 제1 강체(30A) 및 제2 강체(30B)에 의해 끼워지는 부분을, 내부 공간(141)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봉지부(50)는, 전기 절연체(20)에 접촉하여 배치된다. 예를 들면, 봉지부(50)는, 전기 저항체(10)를 사이에 둔 전기 절연체(20)의 주위에 밀착하도록 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저부(143)보다 하측의 공간(144)을 확실히 밀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봉지부(50)는, 발수성을 가지는 소재에 의해 구성된다. 일례로서, 봉지부(50)는, 실리콘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틱형 기재(150)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응축하여 생긴 액체가, 저부(143)보다 하측의 공간(144)으로 새어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3. 보충>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사람이면,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생각이 미칠 수 있음은 명백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봉지부(50)가, 보지부(40)와 저벽(62)의 사이에 배치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듯이, 봉지부(50)는, 보지부(40)를 사이에 두고 저벽(62)의 반대 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도 7은, 변형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에 있어서의 가열부(121)가 배치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듯이, 수용부(140)는, 보지부(40), 봉지부(50), 내장 부재(60), 외장 부재(70) 및 위치 결정부(80)를 가진다. 그리고, 보지부(40), 봉지부(50), 저벽(62), 및 위치 결정부(80)가, 수용부(140)의 저부(143)를 구성한다. 봉지부(50)는, 보지부(40)의 하면에 밀착하도록 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도, 저부(143)보다 하측의 공간(144)을 밀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위치 결정부(80)는, 보지부(40)와 저벽(62)의 사이에 배치되고, 저벽(62)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위치 결정부(80)는, 판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저벽(62)의 위치가 제2 강체(30B)의 하단에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부(80)의 상하 방향의 두께가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열부(121) 중 제1 강체(30A) 및 제2 강체(30B)에 의해 끼워지는 부분을, 내부 공간(141)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저항체(10)가 비가열 영역(12)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불균일하게 분포함으로써, 가열부(121)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불균일하게 발열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열부(12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분리된 복수의 전기 저항체(10)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제어부(116)는, 복수의 전기 저항체(10)의 각각으로의 급전을 제어 가능해도 된다. 그 경우, 제어부(116)는, 복수의 전기 저항체(10)의 각각으로의 급전을 제어함으로써, 가열부(121)를 상하 방향에 있어서 불균일하게 발열시켜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도, 가열부(121)를 상하 방향에 있어서 불균일하게 발열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에어로졸원을 함유한 기재를 가열하는 가열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 저항체, 상기 전기 저항체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전기 절연체, 및 상기 전기 저항체 및 2개의 상기 전기 절연체를 사이에 두는 제1 강체 및 제2 강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에 삽입되며,
상기 제1 강체와 상기 제2 강체는 크기가 상이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상기 가열부를 보지하는 보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강체는, 상기 제2 강체보다 크고
상기 보지부는, 상기 제1 강체를 보지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3)
상기 제1 강체는, 상기 기재가 삽입 또는 발거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강체보다도 긴,
상기 (2)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4)
상기 제1 강체 및 상기 제2 강체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강체는, 상기 제2 강체보다 두꺼운,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5)
상기 보지부는, 상기 제1 강체가 관통하는 제1 구멍과 상기 전기 저항체 및 2개의 상기 전기 절연체가 관통하는 제2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2 구멍은 이격하는,
상기 (2)~(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6)
상기 보지부의 상기 제1 구멍은 슬릿이며,
상기 보지부는, 상기 슬릿에 있어서 상기 제1 강체를 보지하는,
상기 (5)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7)
상기 보지부는, 상기 제1 강체를 협지하는,
상기 (5)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8)
상기 전기 저항체 및 2개의 상기 전기 절연체는, 상기 제1 강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하고, 상기 제2 구멍을 관통하는,
상기 (5)~(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9)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내부 공간 및 상기 내부 공간을 외부에 연통하는 개구를 가지고,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상기 기재를 수용하는 수용부,
를 구비하고,
상기 보지부는, 상기 가열부의 선단이 상기 수용부의 저부로부터 상기 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가열부를 보지하는,
상기 (2)~(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0)
상기 제2 강체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9)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1)
상기 제2 강체 중 상기 가열부의 후단측의 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부의 내벽에 위치 맞춤되는,
상기 (9) 또는 (10)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2)
상기 가열부 중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저항체는 2개의 상기 전기 절연체에 의해 끼워지는 범위 내에 들어가고, 2개의 상기 전기 절연체는 상기 제1 강체 및 상기 제2 강체에 의해 끼워지는 범위 내에 들어가는,
상기 (9)~(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3)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상기 보지부에 설치된 구멍을 봉지하는 봉지부를 더 구비하는,
상기 (9)~(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4)
상기 봉지부는, 상기 보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구멍을 봉지하는,
상기 (5)를 간접적으로 인용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5)
상기 봉지부는, 상기 보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부의 내벽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13) 또는 (14)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6)
상기 봉지부는, 상기 보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부의 내벽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상기 (13) 또는 (14)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7)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상기 보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부의 내벽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부의 내벽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더 구비하는,
상기 (16)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8)
상기 봉지부는, 실리콘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13)~(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9)
상기 보지부는, PEEK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2)~(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0)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상기 기재를 포함하는,
상기 (1)~(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00
흡인 장치
111 전원부
112 센서부
113 통지부
114 기억부
115 통신부
116 제어부
121 가열부
140 수용부
141 내부 공간
142 개구
143 저부
150 스틱형 기재
151 기재부
152 흡구부
10 전기 저항체
11 가열 영역
12 비가열 영역
20 전기 절연체
30 강체
30A 제1 강체
30B 제2 강체
31 제1 부분
32 제2 부분
40 보지부
41 제1 구멍
42 제2 구멍
50 봉지부
60 내장 부재
61 측벽
62 저벽
70 외장 부재
80 위치 결정부
111 전원부
112 센서부
113 통지부
114 기억부
115 통신부
116 제어부
121 가열부
140 수용부
141 내부 공간
142 개구
143 저부
150 스틱형 기재
151 기재부
152 흡구부
10 전기 저항체
11 가열 영역
12 비가열 영역
20 전기 절연체
30 강체
30A 제1 강체
30B 제2 강체
31 제1 부분
32 제2 부분
40 보지부
41 제1 구멍
42 제2 구멍
50 봉지부
60 내장 부재
61 측벽
62 저벽
70 외장 부재
80 위치 결정부
Claims (20)
-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에어로졸원을 함유한 기재(基材)를 가열하는 가열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 저항체, 상기 전기 저항체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전기 절연체, 및 상기 전기 저항체 및 2개의 상기 전기 절연체를 사이에 두는 제1 강체(剛體) 및 제2 강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에 삽입되며,
상기 제1 강체와 상기 제2 강체는 크기가 상이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상기 가열부를 보지(保持, 보유 지지)하는 보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강체는, 상기 제2 강체보다 크고
상기 보지부는, 상기 제1 강체를 보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강체는, 상기 기재가 삽입 또는 발거(拔去)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강체보다도 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강체 및 상기 제2 강체는 판상(板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강체는, 상기 제2 강체보다 두꺼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부는, 상기 제1 강체가 관통하는 제1 구멍과 상기 전기 저항체 및 2개의 상기 전기 절연체가 관통하는 제2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2 구멍은 이격(離隔)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지부의 상기 제1 구멍은 슬릿이며,
상기 보지부는, 상기 슬릿에 있어서 상기 제1 강체를 보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지부는, 상기 제1 강체를 협지(挾持)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저항체 및 2개의 상기 전기 절연체는, 상기 제1 강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하고, 상기 제2 구멍을 관통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내부 공간 및 상기 내부 공간을 외부에 연통하는 개구(開口)를 가지고,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상기 기재를 수용하는 수용부,
를 구비하고,
상기 보지부는, 상기 가열부의 선단(先端)이 상기 수용부의 저부(底部)로부터 상기 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가열부를 보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강체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강체 중 상기 가열부의 후단(後端)측의 단부(端部)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부의 내벽에 위치 맞춤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 중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저항체는 2개의 상기 전기 절연체에 의해 끼워지는 범위 내에 들어가고, 2개의 상기 전기 절연체는 상기 제1 강체 및 상기 제2 강체에 의해 끼워지는 범위 내에 들어가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상기 보지부에 설치된 구멍을 봉지(封止)하는 봉지부를 더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5를 간접적으로 인용하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보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구멍을 봉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보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부의 내벽의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보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부의 내벽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상기 보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부의 내벽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부의 내벽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더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실리콘에 의해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부는, PEEK에 의해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상기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21/024410 WO2023275952A1 (ja) | 2021-06-28 | 2021-06-28 |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6052A true KR20240006052A (ko) | 2024-01-12 |
Family
ID=8468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41497A KR20240006052A (ko) | 2021-06-28 | 2021-06-28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041118A1 (ko) |
EP (1) | EP4364594A1 (ko) |
JP (1) | JP7518295B2 (ko) |
KR (1) | KR20240006052A (ko) |
CN (1) | CN117425416A (ko) |
WO (1) | WO2023275952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54394B2 (ja) | 2012-12-28 | 2016-02-09 |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のための加熱アセンブリ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54485A (ja) * | 1987-12-10 | 1989-06-16 | Hitachi Metals Ltd | 面状ヒータ |
JP2003031341A (ja) * | 2001-07-13 | 2003-01-31 | Espec Corp | プレートヒータ |
EP2921065A1 (en) | 2015-03-31 | 2015-09-23 | Philip Morris Products S.a.s. | Extended heating and heating assembly fo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
JP6930687B2 (ja) | 2017-04-11 | 2021-09-01 | ケーティー・アンド・ジー・コーポレーション | エアロゾル生成装置 |
WO2018235241A1 (ja) * | 2017-06-22 | 2018-12-27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香味発生セグメント、ならびにこれを備える香味発生物品および香味吸引システム |
-
2021
- 2021-06-28 JP JP2023531167A patent/JP7518295B2/ja active Active
- 2021-06-28 EP EP21948264.3A patent/EP4364594A1/en active Pending
- 2021-06-28 KR KR1020237041497A patent/KR20240006052A/ko unknown
- 2021-06-28 WO PCT/JP2021/024410 patent/WO202327595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06-28 CN CN202180098703.0A patent/CN117425416A/zh active Pending
-
2023
- 2023-10-19 US US18/490,633 patent/US20240041118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54394B2 (ja) | 2012-12-28 | 2016-02-09 |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のための加熱アセンブリ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041118A1 (en) | 2024-02-08 |
EP4364594A1 (en) | 2024-05-08 |
CN117425416A (zh) | 2024-01-19 |
JP7518295B2 (ja) | 2024-07-17 |
JPWO2023275952A1 (ko) | 2023-01-05 |
WO2023275952A1 (ja) | 2023-0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033448A1 (en) | Aerosol-generating system including a heated gel container | |
US11291248B2 (en) | Aerosol-generating system including a cartridge containing a gel and a device for heating the cartridge | |
JP6840289B2 (ja) | エアロゾル生成装置 | |
US10772355B2 (en) | Aerosol-generating system including a heated gel container | |
KR101986773B1 (ko) |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 | |
US20180027883A1 (en) | Aerosol-generating system including a cartridge containing a gel | |
KR102602605B1 (ko) | 다층의 열전도 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 조립체 | |
UA126927C2 (uk) | Системи надання аерозолю | |
UA128579C2 (uk) | Атомайзер і пристрій доставки аерозолю | |
US20170360092A1 (en) | Electronic nicotine delivery system | |
CN115460946A (zh) | 吸入装置、方法以及程序 | |
KR20240006052A (ko)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
KR20240006051A (ko)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
KR20240006053A (ko)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
WO2022064560A1 (ja) | 吸引装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 |
WO2023275951A1 (ja) |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 |
JP7544978B2 (ja) |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 |
KR102536914B1 (ko) | 다층의 열전도 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 조립체 | |
JP7544977B2 (ja) |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 |
WO2022190281A1 (ja) | 吸引装置 | |
WO2023002633A1 (ja) |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 |
KR20240005038A (ko)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
EP4434377A1 (en) | Inhalation device | |
KR20240005885A (ko)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
KR20240101928A (ko) | 흡인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