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038A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038A
KR20240005038A KR1020237042138A KR20237042138A KR20240005038A KR 20240005038 A KR20240005038 A KR 20240005038A KR 1020237042138 A KR1020237042138 A KR 1020237042138A KR 20237042138 A KR20237042138 A KR 20237042138A KR 20240005038 A KR20240005038 A KR 20240005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heating
pair
metal plate
generat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나부 야마다
야스노부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5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03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5Pie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4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with fixed piercing or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61M2016/0018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27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pressure 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 A61M2016/003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electrical
    • A61M2016/0039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electrical in the inspiratory circu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5Acoustical, e.g. ultrasonic,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5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Joule effect, i.e. electric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audib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2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7Ligh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과제] 가열부가 보다 잘 접히지 않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통전에 의해 발열되어,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긴 형상의 발열부와, 상기 긴 형상을 따라 상기 발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을 각각 덮도록 형성된 한 쌍의 금속판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이 대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발열부의 전기 저항치는, 상기 긴 형상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금속판 각각의 전기 저항치의 100배∼1400배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본 발명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흡인되는 물질을 생성하는 전자 담배 및 네뷸라이저(nebulizer) 등의 흡인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흡인 장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원, 및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미(香味) 성분을 부여하기 위한 향미원을 사용함으로써,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흡인 장치에서 생성되고,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흡인함으로써, 향미를 맛볼 수 있다. 사용자가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동작을, 이하에서는 퍼프 또는 퍼프 동작이라고도 칭한다.
최근, 스틱 형상으로 형성된 기재를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으로서 사용하는 타입의 흡인 장치에 관한 기술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스틱 형상으로 형성된 기재에 삽입됨으로써 기재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블레이드 형상의 가열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중국 실용신안 제209807157호 명세서
상기 특허문헌 1에 있어서, 세라믹 히터를 금속제 전극으로 끼워 넣고, 전극을 통하여 세라믹 히터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세라믹 히터를 승온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세라믹 히터가 불균일하게 승온되어 버려, 에어로졸의 바람직한 생성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에어로졸의 보다 바람직한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의하면, 통전에 의해 발열되어,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긴 형상의 발열부와, 상기 긴 형상을 따라 상기 발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을 각각 덮도록 형성된 한 쌍의 금속판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이 대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발열부의 전기 저항치는, 상기 긴 형상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금속판 각각의 전기 저항치의 100배∼1400배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과 반대의 후단측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 각각에 전선이 접속되어, 통전되어도 된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사이에서 통전되어도 된다.
상기 한 쌍의 금속판으로 덮인 상기 발열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중 적어도 한 쪽은, 상기 긴 형상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 쪽측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발열부를 따라 구부러진 리브부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긴 형상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길이는, 상기 발열부의 길이보다도 길어도 된다.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과 반대의 후단측에서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상기 발열부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리브부는, 상기 발열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전체에 연장되어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상기 발열부의 형상은, 상기 선단측에 각을 이루어 돌출되는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중 적어도 한 쪽은, 상기 발열부의 상기 선단측의 형상을 따라 가장자리부가 구부러진 선단 리브부를 더 포함해도 된다.
상기 발열부의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에는, 상기 선단측에 각을 이루어 돌출되는 형상의 돌출부가 더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리브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중 적어도 한 쪽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리브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쌍방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발열부는, 평판 형상이며, 상기 평판 형상의 두께는, 상기 평판 형상의 폭의 1/4 미만이어도 된다.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상기 발열부의 상기 평판 형상이 대향하는 양 주면(主面)에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발열부와,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로 접착되어도 된다.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니켈 함유 철 합금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발열부는, PTC 히터여도 된다.
상기 PTC 히터는, 티탄산바륨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발열부의 발열 온도는, 350℃ 미만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로졸의 보다 바람직한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흡인 장치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가열부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제1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5에 나타내는 가열부의 상면도이다.
도 6은, 제2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3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제4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1. 흡인 장치의 구성예>
본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는, 에어로졸원을 포함하는 기재를 기재 내부로부터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1은, 흡인 장치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은, 전원부(111), 센서부(112), 통지부(113), 기억부(114), 통신부(115), 제어부(116), 가열부(121) 및 수용부(140)을 포함한다. 수용부(140)에 스틱형 기재(150)가 수용된 상태로, 사용자에 의한 흡인이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전원부(111)은, 전력을 축적한다. 그리고, 전원부(111)은, 흡인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111)은,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충전식 배터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111)은,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등에 의해 외부 전원에 접속됨으로써, 충전되어도 된다. 또한, 전원부(111)은, 와이어리스 전력 전송 기술에 의해 송전측의 디바이스에 비접속 상태로 충전되어도 된다. 그 밖에도, 전원부(111)은, 흡인 장치(1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도 되며, 새로운 전원부(111)과 교환 가능하게 형성되어도 된다.
센서부(112)는, 흡인 장치(100)에 관한 각종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116)에 출력한다.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콘덴서 마이크로폰 등의 압력 센서, 유량 센서, 또는 온도 센서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센서부(112)는, 사용자에 의한 흡인에 수반되는 수치를 검출한 경우에, 사용자에 의한 흡인이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부(116)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사용자로부터의 정보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특히, 센서부(112)는, 에어로졸의 생성 개시/정지를 지시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센서부(11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제어부(116)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가열부(121)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에 의해 구성된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가열부(121)의 전기 저항치에 기초하여 가열부(121)의 온도를 검출한다. 이와 같은 경우, 센서부(112)는, 가열부(121)의 온도에 기초하여, 수용부(140)에 수용된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통지부(113)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일례로서, 통지부(113)은,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발광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통지부(113)은, 전원부(111)의 상태가 충전이 필요한 경우, 전원부(111)이 충전 중인 경우, 또는 흡인 장치(10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등에, 각각 상이한 발광 패턴으로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의 발광 패턴이란, 색, 및 점등/소등의 타이밍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통지부(113)은, 발광 장치와 함께, 또는 대신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소리를 출력하는 음 출력 장치, 및 진동하는 진동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그 밖에도, 통지부(113)은, 사용자에 의한 흡인이 가능하게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사용자에 의한 흡인이 가능하게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는, 가열부(121)에 의해 가열된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통지될 수 있다.
기억부(114)는, 흡인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 부(114)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114)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례는, 제어부(116)에 의한 각종 구성 요소의 제어 내용 등의 흡인 장치(100)의 OS(Operating System)에 관한 정보이다. 기억부(114)에 기억되는 정보의 다른 일례는, 흡인 횟수, 흡인 시각, 또는 흡인 시간 누계 등의 사용자에 의한 흡인에 관한 정보이다.
통신부(115)는, 흡인 장치(100)과 다른 장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115)는, 유선 또는 무선의 임의의 통신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실시한다. 이러한 통신 규격으로서는, 예를 들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LAN, Wi-Fi(등록상표), 또는 Bluetooth(등록상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통신부(115)는, 사용자에 의한 흡인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에 표시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한 흡인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에 송신한다. 다른 일례로서, 통신부(115)는, 기억부(114)에 기억되어 있는 OS의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서, 서버로부터 새로운 OS의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16)은,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흡인 장치(100) 내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116)은,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그 밖에, 제어부(116)은, 사용하는 프로그램 및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 그리고 적절히 변화되는 파라미터 등을 일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해도 된다. 흡인 장치(100)은, 제어부(116)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전원부(111)로부터 다른 각 구성 요소로의 급전, 전원부(111)의 충전, 센서부(112)에 의한 정보의 검출, 통지부(113)에 의한 정보의 통지, 기억부(114)에 의한 정보의 기억 및 판독, 그리고 통신부(115)에 의한 정보의 송수신은, 제어부(116)에 의해 제어되는 처리의 일례이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정보의 입력, 및 각 구성 요소로부터 출력된 정보에 기초하는 처리 등, 흡인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그 외의 처리도, 제어부(116)에 의해 제어된다.
수용부(140)은, 내부 공간(141)을 가지며, 내부 공간(141)에 스틱형 기재(150)의 일부를 수용하면서 스틱형 기재(150)을 유지한다. 수용부(140)은, 내부 공간(141)을 외부에 연통하는 개구(142)를 가지며, 개구(142)로부터 내부 공간(141)에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수용부(140)은, 개구(142) 및 바닥부(143)을 바닥면으로 하는 통형상체이며, 기둥 형상의 내부 공간(141)을 획정한다. 수용부(140)은, 통형상체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내경이 스틱형 기재(150)의 외경보다도 작아지도록 구성되며, 내부 공간(141)에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을 외주로부터 압박하도록 하여 스틱형 기재(150)을 유지할 수 있다. 수용부(140)은, 스틱형 기재(150)을 지나는 공기의 유로를 획정하는 기능도 갖는다. 이러한 유로 내로의 공기 입구인 공기 유입공은, 예를 들어 바닥 부(143)에 배치된다. 한편, 이러한 유로로부터의 공기의 출구인 공기 유출공은, 개구(142)이다.
스틱형 기재(150)은, 스틱형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이다. 스틱형 기재(150)은, 기재부(151) 및 흡구(吸口)부(152)를 포함한다.
기재부(151)은 에어로졸원을 포함한다. 에어로졸원은, 가열됨으로써 무화(霧化)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에어로졸원은, 예를 들어, 살담배 또는 담배 원료를 입자상, 시트상 또는 분말상으로 성형한 가공물 등의 담배 유래 재료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원은,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어, 민트 또는 허브 등)로 생성된 비담배 유래 재료를 포함해도 된다. 흡인 장치(100)이 의료용 흡입기인 경우, 에어로졸원은, 환자가 흡입하기 위한 약제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원은 고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글라이세린 혹은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또는 물 등의 액체여도 된다. 기재부(151)의 적어도 일부는, 스틱형 기재(150)가 수용부(140)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140)의 내부 공간(141)에 수용된다.
흡구부(152)는, 흡인 시에 사용자에게 물리는 부재이다. 흡구부(152)의 적어도 일부는, 스틱형 기재(150)가 수용부(140)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개구(142)로부터 돌출한다. 그리고, 개구(142)로부터 돌출한 흡구부(152)를 사용자가 물고 흡인함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공기 유입공으로부터 수용부(140)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수용부(140)의 내부 공간(141)을 통과하고, 즉, 기재부(151)을 통과하여, 기재부(151)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과 함께, 사용자의 입 안에 도달한다.
가열부(121)은, 에어로졸원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가열부(121)은, 블레이드 형상으로 구성되어, 수용부(140)의 바닥부(143)으로부터 수용부(140)의 내부 공간(141)에 돌출되도록 하여 배치된다. 그 때문에, 수용부(140)에 스틱형 기재(150)가 삽입되면, 블레이드 형상의 가열부(121)은, 스틱형 기재(150)의 기재부(151)에 꽂히도록 하여,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가열부(121)이 발열되면, 스틱형 기재(150)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이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부터 가열되어 무화되고,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가열부(121)은, 전원부(111)로부터 급전되면 발열된다. 일례로서,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실시된 것이 센서부(112)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급전된 가열부(121)에 의해 에어로졸이 생성되어도 된다. 가열부(121)에 의해 가열된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사용자에 의한 흡인이 가능해진다. 그 후,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실시된 것이 센서부(112)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가열부(121)의 급전이 정지되어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사용자에 의한 흡인이 실시된 것이 센서부(112)에 의해 검출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급전된 가열부(121)에 의해 에어로졸이 생성되어도 된다.
흡인 장치(100)과 스틱형 기재(150)은, 협동하여 사용자에 의해 흡인되는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그 때문에, 흡인 장치(100)과 스틱형 기재(150)의 조합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으로서 파악되어도 된다.
<2. 가열부의 상세한 구성>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이 구비하는 가열부(121)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12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가열부(121)의 상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부(121)은 발열부(1210)과, 제1 금속판(1220)과, 제2 금속판(1230)을 포함한다. 가열부(121)은,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을 통하여 통전되는 발열부(1210)의 발열에 의해, 스틱형 기재(150)을 내부로부터 가열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가열부(121)이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방향을 상방향이라고도 칭하며, 상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을 하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 금속판(1220), 발열부(1210) 및 제2 금속판(1230)이 첩합(貼合)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며,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발열부(1210)은, 저항 가열에 의해 발열되는 긴 형상의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발열부(1210)은,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 사이에서 통전됨으로써 발열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여도 된다.
PTC 히터는, 소정의 온도(퀴리(Curie) 온도라고 지칭된다)에 도달하면 급격하게 전기 저항치가 상승하여, 전기가 흐르지 않게 되는 특성(PTC 특성)을 갖는 저항체를 사용한 히터이다. PTC 히터는, PTC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제어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통전량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 온도를 퀴리 온도 미만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PTC 히터는, 대상을 퀴리 온도 미만에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발열부(1210)은, PTC 특성을 갖는 티탄산바륨(BaTiO3)을 저항체로 하는 PTC 히터여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발열부(1210)은, 티탄산바륨의 퀴리 온도를 350℃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350℃ 미만의 온도에서 스틱형 기재(150)을 가열할 수 있다.
발열부(12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형상의 평판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즉, 발열부(1210)의 긴 형상의 길이 방향은, 상하 방향에 대응하고, 긴 형상의 폭 방향은, 좌우 방향에 대응한다. 긴 형상의 평판으로 구성됨으로써, 발열부(121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형상의 길이 방향(즉, 상하 방향)과 수직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이 된다. 이에 따르면, 발열부(1210)은, 그 단면이 원형상이 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동일 단면적이어도 단면 형상의 둘레 길이를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발열부(1210)은, 가열부(121)과, 가열부(121)이 삽입되는 스틱형 기재(150)의 접촉 면적을 보다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스틱형 기재(150)을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부(1210)의 평판 형상의 두께는,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 폭의 1/4 미만이어도 된다.
또한,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발열부(1210)은, 선단측을 향하여(즉, 상방향을 향하여) 각을 이루어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선단측을 향하여 이루어진 각의 형상은, 예각, 직각, 또는 둔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발열부(1210)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즉, 상방향측)에 정점이 존재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을 향하여 잡아늘인 오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발열부(1210)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즉, 상방향측)을 칼끝과 같이 뾰족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의 가열부(121)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을 협지(挾持)하는 한 쌍의 전극판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은, 평판 형상의 발열부(1210) 전후 방향의 대향하는 양 주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은, 단락되지 않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은,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발열부(1210)과 첩합됨으로써, 발열부(1210)에 통전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로서는, 예를 들어, 에폭시계의 접착제 중에 도전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이른바 이방성 도전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은, 열팽창률이 낮은 금속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은, 인바(등록상표) 등의 열팽창률이 낮은 니켈(Ni) 함유 철 합금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이 발열되었을 때의 열팽창에 의해, 발열부(1210)과의 사이의 접착이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의 형상과 대응한 형상으로 발열부(1210)을 덮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의 긴 형상을 길이 방향(즉, 상하 방향)으로 더 잡아늘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은, 선단측을 향하여(즉, 상방향을 향하여) 각을 이루어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선단측을 향하여 이루어진 각의 형상은 예각, 직각 또는 둔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과 동일하게,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즉, 상방향측)에 정점이 존재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을 향하여 잡아늘인 오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즉, 상방향측)을 칼끝과 같이 뾰족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의 가열부(121)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은, 서로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되며,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선단측과 반대의 후단측(즉, 하방향측)의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의 후단측의 단부보다도 하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어도 된다. 발열부(1210)의 후단측의 단부보다도 하방향으로 연장된 영역의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에는,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고정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도시되지 않은 고정부는, 가열부(121)을 흡인 장치(100)의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구조 부재이다. 고정부는, 발열부(1210)으로부터 떨어진 영역에서 가열부(121)을 유지함으로써, 발열부(1210)이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영향을 잘 받지 않기 때문에, 고정부를 구성하는 재료를 보다 유연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후단측(즉, 하방향측)에 있어서,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 각각에 전선이 접속되어, 통전된다. 예를 들어, 제1 금속판(1220)의 하단 및 제2 금속판(1230)의 하단에 전선이 접속되어, 통전된다. 그 결과, 제1 금속판(1220) 또는 제2 금속판(1230)의 한 쪽 하단으로부터 흘러들어간 전류가, 발열부(1210)을 경유하여, 제1 금속판(1220) 또는 제2 금속판(1230)의 다른 쪽 하단으로부터 흘러나오게 된다.
여기서,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이 대향하는 방향(즉,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발열부(1210)의 전기 저항치는, 발열부(1210)의 긴 형상의 길이 방향(즉,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 각각의 전기 저항치의 100배∼140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발열부(121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기 저항치는,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 각각 중 발열부(1210)에 접하는 부분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전기 저항치의 100배∼140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발열부(1210)의 전기 저항치는 1.0∼1.4[Ω]이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 각각의 전기 저항치는, 0.001∼0.01[Ω]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발열부(1210)의 전기 저항치를,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 각각의 전기 저항치보다도 현저하게 높게 함으로써, 에어로졸의 바람직한 생성이 가능해진다. 상세하게는, 제1 금속판(1220) 또는 제2 금속판(1230)에 있어서, 하단으로부터 흘러들어간 전류가 상하 방향의 전 영역에 퍼져, 상하 방향에 있어서 균일하게 발열부(1210)에 통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환언하면, 발열부(1210) 중 하방향측에 집중적으로 전류가 흘러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발열부(1210)을 상하 방향에 있어서 균일하게 발열시켜, 스틱형 기재(150)을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에어로졸의 바람직한 생성이 가능해진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균일하게 발열부(1210)을 발열시킬 수 있는 비교예로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발열부(1210)의 전기 저항치를, 상방향측일수록 작게, 하방향측일수록 크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일례로서, 발열부(1210)의 두께(즉, 전후 방향의 길이), 또는 발열부(1210)의 밀도에, 상하 방향에서 차를 두는 구성이, 비교예로서 생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발열부(1210)을 가공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교예에 있어서 필요한 추가 공정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이 구비하는 가열부(121)에서는, 제1 금속판(1220), 또는 제2 금속판(1230)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리브부(1240)이 더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부(1240)은, 제1 금속판(1220)의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의 전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금속판(1220)이 상하 방향으로 잡아늘인 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리브부(1240)은, 제1 금속판(1220)의 잡아늘인 좌우 방향의 양변의 가장자리부 전부를 각각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리브부(1240)이 형성됨으로써, 제1 금속판(1220)은, 리브부(1240)을 구부린 전후 방향(즉, 제1 금속판(1220)의 주면의 법선 방향)의 강도가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그 법선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열부(121)은, 제1 금속판(1220)의 주면의 법선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잘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가열부(121)이 그 법선 방향으로 접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121)은, 예를 들어, 제1 금속판(1220)에 형성된 리브부(1240)에 의해, 가열부(121)의 주면의 법선 방향(즉, 전후 방향)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121)은, 다른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과 비교하여 강도가 낮은 전후 방향의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었을 때에 가열부(121)이 접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3. 변형예>
도 4∼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121)의 제1∼제5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변형예)
도 4는, 제1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가열부(121A)의 상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도, 도 2 및 도 3과 동일하게,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121A)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방향을 상방향이라고도 칭하며, 상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을 하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 금속판(1220), 발열부(1210) 및 제2 금속판(1230)이 첩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며,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A)에서는, 제1 금속판(1220)에 제1 리브부(1241)이 형성되고, 제2 금속판(1230)에 제2 리브부(124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리브부(1241)은, 제1 금속판(1220)의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한 쪽 가장자리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제2 리브부(1242)는, 제2 금속판(1230)의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다른 쪽 가장자리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이 상하 방향으로 잡아늘인 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리브부(1241)은, 제1 금속판(1220)의 잡아늘인 우변의 가장자리부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2 리브부(1242)는, 제2 금속판(1230)의 잡아늘인 좌변의 가장자리부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제1 리브부(1241) 및 제2 리브부(1242)가 형성됨으로써,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은, 제1 리브부(1241) 및 제2 리브부(1242)를 구부린 전후 방향의 강도가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그 법선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열부(121A)는,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의 주면의 법선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잘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가열부(121A)가 그 법선 방향으로 접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제1 리브부(1241) 및 제2 리브부(1242)는, 한 쌍의 전극판의 양쪽(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제1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A)는, 제1 금속판(1220)에만 리브부(1240)이 형성된 가열부(121)과 동일하게,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었을 때에 가열부(121A)가 접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변형예)
도 6은, 제2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B)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있어서도, 도 2와 동일하게,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121B)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방향을 상방향이라고도 칭하며, 상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을 하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 금속판(1220), 발열부(1210) 및 제2 금속판(1230)이 첩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며,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B)에서는, 리브부(1240)에 더하여, 발열부(1210)의 선단측을 향하여(즉, 상방향을 향하여) 각을 이루어 돌출되는 형상을 따라 선단 리브부(1243)이 더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선단 리브부(1243)은, 제1 금속판(1220)의 상방향측(즉, 발열부(1210)의 선단측)의 각 변의 가장자리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금속판(1220)이 상하 방향으로 잡아늘인 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선단 리브부(1243)은, 제1 금속판(1220)의 상방향 측 2변의 가장자리부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금속판(1220)은, 오각형 형상의 하방향의 변을 제외한 4변에 리브부(1240) 또는 선단 리브부(1243)이 형성되게 된다.
선단 리브부(1243)이 형성됨으로써, 제1 금속판(1220)은, 발열부(1210)의 선단측(즉, 상방향측)에 형성된 칼끝과 같이 뾰족한 형상을 선단 리브부(1243)으로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열부(121B)는,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었을 때에, 발열부(1210),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 사이에 응력이 작용함으로써,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이 발열부(1210)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부(121B)는, 스틱형 기재(150)으로의 삽입에 대한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3 변형예)
도 7은, 제3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C)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있어서도, 도 2와 동일하게,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121C)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방향을 상방향이라고도 칭하며, 상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을 하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 금속판(1220), 발열부(1210) 및 제2 금속판(1230)이 첩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며,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C)에서는, 제1 금속판(1220) 또는 제2 금속판(1230)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리브부(1240A)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리브부(1240A)는, 제1 금속판(1220)의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부의 일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금속판(1220)이 상하 방향으로 잡아늘인 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리브부(1240A)는, 제1 금속판(1220)의 잡아늘인 좌우 방향의 양변 가장자리부의 일부를 각각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즉, 리브부(1240A)는, 제1 금속판(1220)의 좌우 방향의 양변 선단측(즉, 상방향측)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리브부(1240A)는,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는 영역의 제1 금속판(1220)에 형성됨으로써,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는 영역의 가열부(121C)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제3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C)는, 제1 금속판(1220)의 좌우 방향의 양변 전체 영역에 리브부(1240)이 형성된 가열부(121)과 동일하게,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었을 때에 가열부(121C)가 접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4 변형예)
도 8은, 제4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D)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있어서도, 도 2와 동일하게,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121D)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방향을 상방향이라고도 칭하며, 상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을 하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 금속판(1220), 발열부(1210) 및 제2 금속판(1230)이 첩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며,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D)에서는, 제1 금속판(1220)에 제1 리브부(1241)이 형성되고, 제2 금속판(1230)에 제2 리브부(124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리브부(1241)은, 제1 금속판(1220)의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제2 리브부(1242)는, 제2 금속판(1230)의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이 상하 방향으로 잡아늘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리브부(1241)은, 제1 금속판(1220)의 폭 방향의 양변 가장자리부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2 리브부(1242)는, 제2 금속판(1230)의 폭 방향의 양변 가장자리부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발열부(1210)은, 제1 리브부(1241)과, 제2 리브부(1242)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보다 두께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발열부(12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발열부(1210)은, 선단측을 향하여(즉, 상방향을 향하여) 능선을 이루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제1 리브부(1241) 및 제2 리브부(1242)가 형성됨으로써,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은, 제1 리브부(1241) 및 제2 리브부(1242)를 구부린 전후 방향의 강도가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그 법선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열부(121D)는,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의 주면의 법선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잘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가열부(121A)가 그 법선 방향으로 접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4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D)는, 도 2에서 나타낸 가열부(121)과 동일하게,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었을 때에 가열부(121D)가 접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5 변형예)
제5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에서는, 발열부(1210),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의 선단측에(즉, 상방향측에), 돌출부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발열부(1210),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은,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발열부(1210),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의 상방향측 변 위에 돌출부가 형성된다.
돌출부는, 세라믹 또는 금속 등의 강성이 높은 부재로 구성되며, 선단측을 향하여(즉, 상방향을 향하여) 각을 이루어 돌출되는 삼각형 또는 오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발열부(1210),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의 형상을 오각형 형상으로 가공하지 않아도, 가열부(121)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즉, 상방향측)을 칼끝과 같이 뾰족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부(121)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돌출부의 전후 방향의 두께는, 발열부(1210),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의 두께의 합계와 동일해도 되며, 발열부(1210)의 두께와 동일해도 된다.
또한, 돌출부는, 가열부(121)이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었을 때에, 발열부(1210),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 사이에 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돌출부는,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이 발열부(1210)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틱형 기재(150)으로의 삽입에 대한 가열부(121)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想到)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이,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발열부(1210)과 첩합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서,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 각각과 발열부(1210) 사이에, 열전도성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는 열전도층이 배치된 후에,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이들이 첩합되어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이, 열전도성이 높은 물질이 혼입된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발열부(1210)과 첩합되어도 된다. 열전도성이 높은 물질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 SiC, 및 SiV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을, 보다 효율적으로 승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발열부(1210)이, 선단측을 향하여(즉, 상방향을 향하여) 각을 이루어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발열부(1210)의 선단은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되며,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된 발열부(1210)의 선단면에, 선단측을 향하여(즉, 상방향을 향하여) 각을 이루어 돌출되는 형상의 강체(剛體)가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이, 열팽창률이 낮은 금속으로 구성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을 구성하는 세라믹스 등의 재료의 팽창률과 가까운 팽창률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도 된다. 그와 같은 재료의 일례는, SUS430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발열부(1210)이 발열되었을 때의 열팽창에 의해, 제1 금속판(1220) 및 제2 금속판(1230)과 발열부(1210) 사이의 접착이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통전에 의해 발열되어,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긴 형상의 발열부와,
상기 긴 형상을 따라 상기 발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을 각각 덮도록 형성된 한 쌍의 금속판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이 대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발열부의 전기 저항치는, 상기 긴 형상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금속판 각각의 전기 저항치의 100배∼1400배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과 반대의 후단측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 각각에 전선이 접속되어, 통전되는, 상기 (1)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3)
상기 발열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사이에서 통전되는, 상기 (2)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4)
상기 한 쌍의 금속판으로 덮인 상기 발열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더 구비하는, 상기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5)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중 적어도 한 쪽은, 상기 긴 형상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 쪽측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발열부를 따라 구부러진 리브부를 포함하는, 상기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6)
상기 긴 형상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길이는, 상기 발열부의 길이보다도 긴,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7)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과 반대의 후단측에서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상기 발열부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6)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8)
상기 리브부는, 상기 발열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전체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5)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인용하는 상기 (7)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9)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상기 발열부의 형상은, 상기 선단측에 각을 이루어 돌출되는 형상인, 상기 (5)∼(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0)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중 적어도 한 쪽은, 상기 발열부의 상기 선단측의 형상을 따라 가장자리부가 구부러진 선단 리브부를 더 포함하는, 상기 (9)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1)
상기 발열부의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에는, 상기 선단측에 각을 이루어 돌출되는 형상의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상기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2)
상기 리브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중 적어도 한 쪽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5) 또는 상기 (5)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인용하는 상기 (6)∼(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3)
상기 리브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쌍방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5) 또는 상기 (5)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인용하는 상기 (6)∼(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4)
상기 발열부는, 평판 형상이며,
상기 평판 형상의 두께는, 상기 평판 형상의 폭의 1/4 미만인, 상기 (1)∼(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5)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상기 발열부의 상기 평판 형상이 대향하는 양 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14)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6)
상기 발열부와,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로 접착되는, 상기 (1)∼(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7)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니켈 함유 철 합금으로 형성되는, 상기 (1)∼(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8)
상기 발열부는, PTC 히터인, 상기 (1)∼(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9)
상기 PTC 히터는, 티탄산바륨을 포함하는, 상기 (18)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0)
상기 발열부의 발열 온도는, 350℃ 미만인, 상기 (18) 또는 (19)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00: 흡인 장치
111: 전원부
112: 센서부
113: 통지부
114: 기억부
115: 통신부
116: 제어부
121, 121A, 121B, 121C, 121D: 가열부
140: 수용부
141: 내부 공간
142: 개구
143: 바닥부
150: 스틱형 기재
151: 기재부
152: 흡구부
1210: 발열부
1220: 제1 금속판
1230: 제2 금속판
1240, 1240A: 리브부
1241: 제1 리브부
1242: 제2 리브부
1243: 선단 리브부

Claims (20)

  1. 통전에 의해 발열되어,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긴 형상의 발열부와,
    상기 긴 형상을 따라 상기 발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을 각각 덮도록 형성된 한 쌍의 금속판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이 대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발열부의 전기 저항치는, 상기 긴 형상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금속판 각각의 전기 저항치의 100배∼1400배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과 반대의 후단측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 각각에 전선이 접속되어, 통전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사이에서 통전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으로 덮인 상기 발열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더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중 적어도 한 쪽은, 상기 긴 형상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 쪽측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발열부를 따라 구부러진 리브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긴 형상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길이는, 상기 발열부의 길이보다도 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과 반대의 후단측에서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상기 발열부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발열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전체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청구항 5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인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9.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상기 발열부의 형상은, 상기 선단측에 각을 이루어 돌출되는 형상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중 적어도 한 쪽은, 상기 발열부의 상기 선단측의 형상을 따라 가장자리부가 구부러진 선단 리브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의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에는, 상기 선단측에 각을 이루어 돌출되는 형상의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2.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중 적어도 한 쪽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는,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5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인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3.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쌍방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는,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5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인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평판 형상이며,
    상기 평판 형상의 두께는, 상기 평판 형상의 폭의 1/4 미만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상기 발열부의 상기 평판 형상이 대향하는 양 주면에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와,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로 접착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니켈 함유 철 합금으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PTC 히터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PTC 히터는, 티탄산바륨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0.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의 발열 온도는, 350℃ 미만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0237042138A 2021-06-28 2021-06-28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2400050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24408 WO2023275950A1 (ja) 2021-06-28 2021-06-28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038A true KR20240005038A (ko) 2024-01-11

Family

ID=8469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2138A KR20240005038A (ko) 2021-06-28 2021-06-28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90575A1 (ko)
EP (1) EP4327676A1 (ko)
JP (1) JPWO2023275950A1 (ko)
KR (1) KR20240005038A (ko)
CN (1) CN117377401A (ko)
WO (1) WO2023275950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8102C2 (ru) * 2017-06-28 2021-10-26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Электрический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узел,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и способ резистивного нагрева субстрата, образ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CN109123803B (zh) * 2018-09-21 2023-09-29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烘烤烟具及其发热件和发热件的制造方法
CN209807157U (zh) 2019-04-12 2019-12-20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Ptc发热体及低温烟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27676A1 (en) 2024-02-28
US20240090575A1 (en) 2024-03-21
JPWO2023275950A1 (ko) 2023-01-05
CN117377401A (zh) 2024-01-09
WO2023275950A1 (ja)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6465B2 (en) Non-combustion-type flavor inhaler,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810755B2 (ja) ハウジングおよびカプラを含むエアロゾル送達装置
JP6922926B2 (ja) 電子蒸気供給システム
CN111031822B (zh) 具有模块化感应加热器的气溶胶生成装置
JP2023016810A (ja) エアロゾル供給システム
CN107205491A (zh) 具有锚定加热器的气溶胶生成装置
CN113840551B (zh) 气溶胶生成系统和用于气溶胶生成系统的热输出元件
CN113710115A (zh) 气溶胶生成系统及用于气溶胶生成系统的触觉输出元件
KR102513150B1 (ko) 고정 레그를 갖는 히터 조립체
US20220095678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CN113727620A (zh) 气溶胶生成系统及用于气溶胶生成系统的触觉输出元件
WO2021260894A1 (ja)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507312A (ja)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用のカートリッジ、カートリッジを含む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ならびに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用のヒーター組立品およびカートリッジを製造する方法
KR20240005038A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240005885A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WO2023275955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275954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275956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105654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275952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275949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275948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RU2814916C2 (ru) Система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и тепловой элемент вывода для системы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