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655A - 흡인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흡인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655A
KR20240005655A KR1020230193273A KR20230193273A KR20240005655A KR 20240005655 A KR20240005655 A KR 20240005655A KR 1020230193273 A KR1020230193273 A KR 1020230193273A KR 20230193273 A KR20230193273 A KR 20230193273A KR 20240005655 A KR20240005655 A KR 20240005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nnector
vertical bar
hol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9750B1 (ko
Inventor
김사량
홍완기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193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750B1/ko
Publication of KR20240005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61M1/772Suction-irrigation systems operating alternate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8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 A61M1/782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using valves with freely moving parts, e.g. float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5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with gas or fluid supply means, e.g. for supplying rinsing fluids or anticoag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61M3/0283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with at least two inner passageways, a first one for irrigating and a second for evacu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인세척장치는, 내측에 설치공간을 가지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환자의 복강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설치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로 세척용 유체의 공급 및 상기 삽입부를 통해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의 흡인을 조절하는 흡인세척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인세척 조절부는,
제1챔버, 제2챔버, 상기 제1 챔버 및 제2 챔버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통로, 및 상기 연결통로의 하부에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제1챔버에 형성된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와, 상기 제2챔버에 형성된 제3 연결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의 상부에 결합된 제1 버튼의 작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유로를 형성하는 제1수직바; 및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의 상부에 결합된 제2버튼의 작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 통로 및 제3 연결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유로를 형성하는 제2수직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인세척장치{Surgical instruments with suction and irrigation}
본 발명은 흡인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인 및 세척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흡인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또는 복강경) 수술법은 최소침습술(minimal invasive surgery)로서 환자의 통증, 감염, 상처, 입원 기간 등의 감소 등의 장점으로 최근 들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외과적 수술치료시, 특히 환자의 복부에 삽입하여 환자 특정부위의 생체조직을 제거하는 데 전기 수술기 또는 전기 메쓰가 사용된다.
한편, 환자 수술시 각종 이물질, 피나 기타 이물질이 혼합되어 오염물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오염물은 별도의 세척장치를 사용하여 제거하거나 흡입시켜 빨아들이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즉, 복강경 수술시에는 환자의 수술부위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액을 공급하고, 환자의 수술부위를 세척한 이후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해당 오염물을 환자의 신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외과용 수술기구인 복강경 흡인-세척기구(Laparoscopic suction and irrigation apparatus)가 사용된다.
일반적인 복강경 흡인-세척기구는 환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과 연결된 혼합챔버를 갖는 기구본체와, 상기 혼합챔버와 연결되어 환자의 신체 내부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유로와, 상기 세척유로와 개별적으로 상기 혼합챔버와 연결되어 오염물을 환자의 신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유로를 포함한다.
\*8또한, 상기 복강경 흡인-세척기구는 상기 세척유로상에만 설치되는 세척유로 제어밸브와, 상기 배출유로상에만 설치되는 배출유로 제어밸브를 포함한다.
하지만 종래의 복강경 흡인-세척 기구는 흡인 또는 세척시 원하지 않는 유로로 역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세척시에는 세척액이 세척유로를 통해 환부로 공급되는데, 일부 세척액이 배출유로를 통해 배출되거나, 흡인시에는 오염물이 세척유로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37055호, 흡인 및 세척을 위한 외과용 수술기구, 등록일 : 2018.03.05 (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244228호, 의료용 석션 및 세척 장치, 등록일 : 2021.04.20
본 발명은 흡인 및 세척시 오염물 또는 세척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흡인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인세척장치는 내측에 설치공간을 가지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환자의 복강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설치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로 세척용 유체의 공급 및 상기 삽입부를 통해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의 흡인을 조절하는 흡인세척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인세척 조절부는 제1챔버, 제2챔버, 상기 제1 챔버 및 제2 챔버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통로, 및 상기 연결통로의 하부에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제1챔버에 형성된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와, 상기 제2챔버에 형성된 제3 연결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의 상부에 결합된 제1 버튼의 작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유로를 형성하는 제1수직바; 및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의 상부에 결합된 제2버튼의 작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 통로 및 제3 연결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유로를 형성하는 제2수직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직바와 제2수직바는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제1버튼과 제2버튼의 저면에 일체로 구비된 봉이 제1수직바와 제2수직바의 상부를 통해 각각 삽입되며, 상기 제1수직바는 상기 제1버튼이 눌러졌을 때 상기 제1 유로를 형성하도록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의 위치에 대응되는 측면에 제1홀 및 제2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2홀은 원형이고, 상기 제1홀은 축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형성되어 폭방향은 제2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축방향은 제2홀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바는 상기 제2버튼이 눌러졌을 때 상기 제2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연결 통로 및 제3 연결구의 위치에 대응되는 측면에 제3홀 및 제4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4홀은 원형이고, 상기 제3홀은 축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형성되어 폭방향은 제4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축방향은 제4홀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수직바와 제2수직바가 하락하는 경우 제1 수직바와 제2 수직바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제1 오목부와 제2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 챔버, 제2 챔버 및 연결통로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구는 연결통로와 동일한 높이에 일직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구와 제3 연결구는 연결통로 바로 위쪽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인세척장치에 의하면 오염물 및 세척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인세척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인세척 조절부의 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인세척 조절부의 정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인세척 조절부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인세척 조절부의 제1 버튼이 눌려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인세척 조절부의 제2 버튼이 눌려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인세척장치의 외형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a)는 전체적인 외관을 것이고 도 1의 (b)는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하우징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하우징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인세척장치는 내측에 설치공간을 가지는 핸들부(100), 상기 핸들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환자의 복강으로 삽입되는 삽입부(300), 및 상기 설치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로 세척용 유체의 공급 및 상기 삽입부를 통해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의 흡인을 조절하는 흡인세척 조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100)와 삽입부(300)를 연결하는 연결부(200)를 포함할 수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100)는 내측에 공간이 설치되어 하우징을 포함한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수 있다. 상기 핸들부(100)에는 커팅 조절부(110), 전선(120), 세척액 공급 튜브(130), 흡인액 배출 튜브(140) 등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00)는 복강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내부에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삽입관(미도시) 및 전극(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100)의 일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나사선에 회전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00)의 일측에는 삽입부(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흡인세척 조절부(400)는 하우징(410),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수직바(420), 및 제2 수직바(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10)은 제1챔버(411), 제2챔버(412), 상기 제1 챔버 및 제2 챔버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통로(413), 및 상기 연결통로(413)의 하부에 형성된 받침부(4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챔버(411)에는 제1 연결구(4111) 및 제2 연결구(4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구(4111)는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어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연결구(4112)는 세척튜브와 연결되어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통로(413) 바로 위쪽에 형성된다.
상기 제2챔버(412)에는 제3 연결구(4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구(4121)는 흡인튜브와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통로(413) 바로 위쪽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구(4111)는 상기 연결통로(413)에 대응될 수 있도록 연결통로(413)와 인접한 위치 또는 동일한 높이에 일직선 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직바(420) 및 제2 수직바(430)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일 때에도 제1 연결구(4111)는 연결통로(413)를 통해 연결되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414)는 제1 챔버, 제2 챔버, 및 연결통로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방부를 폐쇄한다. 상기 받침부(414)는 상기 제1 수직바(420) 및 제2 수직바(430)가 하강하는 경우 제1 수직바(420) 및 제2 수직바(430)가 각각 수용될 수 있는 제1 오목부(4141) 및 제2 오목부(41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수직바(420)는 상기 제1챔버(411)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의 상부에 결합된 제1 버튼(421)의 작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직바(430)는 상기 제2챔버(412)에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의 상부에 결합된 제2 버튼(431)의 작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 통로 및 제3 연결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바(420) 및 제2 수직바(430)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되,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제1버튼(421)과 제2버튼(431)의 저면에는 일체로 봉(4211,4311)이 각각 구비되는데, 이 봉(4211,4311)은 제1수직바(420)와 제2수직바(43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각각 제1수직바(420)와 제2수직바(430) 내부에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직바(420) 및 제2 수직바(430)는 연결통로(413) 상부에 배치되고, 하강하는 경우 연결통로까지 내려와 연결통로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바(420)는 상기 제1 버튼(421)이 눌러졌을 때 제1 유로(A)를 형성하도록 제1 연결구(4111) 및 제2 연결구(4112)의 위치에 대응되는 측면에 제1홀(423) 및 제2홀(42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홀(424)은 원형이고, 상기 제1홀(423)은 축 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형성되어 폭방향은 제2홀(424)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축방향은 제2홀(424)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제1 연결구(4111) 및 제2 연결구는 제1 챔버의 외벽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고, 제1 버튼(421)이 눌러졌을 때, 상기 제1홀(423)은 상기 제1 연결구(4111)에 위치하게 되고, 제2홀(424)은 제2 연결구(4112)에 위치하게 되어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가 개방된다. 따라서 제1 연결구(4111)와 제2 연결구(4112) 사이에 제1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구(4112)를 통해 세척액이 투입되면 제1 연결구(4111)를 통해 환부로 세척액이 투입될 수 있으며, 제1홀(423)과 제2홀(424)을 통해서만 액체가 이동될 수 있다.
제1 유로 형성은 도 5를 참조하면 확인할 수 있다.
제1 유로 형성시, 제1 수직바(420)가 하강되어 제1 챔버(411)와 제2 챔버(412) 사이의 연결통로를 폐쇄하게 되므로 세척액이 제2 챔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직바(430)는 상기 제2버튼(431)이 눌러졌을 때 상기 제2 유로(B)를 형성하도록 상기 연결 통로(413) 및 제3 연결구(4121)의 위치에 대응되는 측면에 제3홀(433) 및 제4홀(43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홀(434)은 원형이고, 상기 제3홀(433)은 축 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형성되어 폭방향은 제4홀(434)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축방향은 제4홀(434)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 수직바와 마찬가지로, 제2 버튼(431)이 눌려지게 되면 상기 제3홀(433)은 연결통로(413)의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어 연결통로(413)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4홀(434)은 제3 연결구(4121)의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어 제3 연결구(4121)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통로(413)와 제3 연결구(4121) 사이에 제2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 형성은 도6을 참조하면 확인할 수 있다.
연결통로(413)는 제1 연결구(4111)와 유로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연결구(4111)를 통해 흡인된 오염물은 연결통로(413)를 통해 제3 연결구(4121)로 배출될 수 있으며, 제3홀(433)과 제4홀(434)을 통해서만 액체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유로(B)는 제1 수직바(420)의 하부를 지나지만 제1 수직바(420)의 하부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제2 유로를 흐르는 액체가 제1 수직바(42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인세척장치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흡인세척장치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 연결구(4111)가 삽입부(200)에 연결되고, 제2 연결구(4112)가 세척액 튜브에 연결되고, 제3 연결구(4121)가 흡인튜브에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이때 제1 버튼(421)은 세척 버튼일 수 있으며, 제2 버튼(431)은 흡인 버튼일 수 있다.
제1 챔버(411) 상부의 제1 버튼(421, 세척 버튼)을 누르면 제2 연결구(4112)를 통해 세척액이 주입되고, 제1 수직바(420)의 중공을 통해 제1 연결구(4111)로 세척액이 배출된다. 상기 제1 연결구는 삽입부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삽입부를 통해 세척액이 환부에 투입되어 환부를 세척수 있다. 이때 제1 삽입바(420)가 하강하면서 연결통로를 폐쇄하게 되어 제2 챔버(412)로는 세척액이 투입되지 않게 된다.
제2 챔버(412) 상부의 제2 버튼(431, 흡인 버튼)을 누르면 제1 연결구(4111)를 통해 오염물이 흡인되고, 연결통로(413)을 통해 제2 수직바(430)의 중공으로 유입되어 제3 연결구(4121)로 오염물이 배출된다. 제2 버튼을 누르는 경우 작동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1 수직바(420)는 상승된 상태이므로 연결통로(413)는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연결구(4111)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물은 연결통로(413)를 통해 제2 챔버까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직바(420)의 하부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오염물이 제1 수직바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및 흡인시 세척액이나 오염물이 불필요하게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핸들부 200 : 연결부
300 : 삽입부 400 : 흡인 세척 조절부
410 : 하우징 411 : 제1 챔버
412 : 제2 챔버 413 : 연결통로
414 : 받침부 4111 : 제1 연결구
4112 : 제2 연결구 4121 : 제3 연결구
420 : 제1 수직바 430 : 제2 수직바

Claims (1)

  1. 내측에 설치공간을 가지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환자의 복강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설치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로 세척용 유체의 공급 및 상기 삽입부를 통해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의 흡인을 조절하는 흡인세척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인세척 조절부는 제1챔버, 제2챔버, 상기 제1 챔버 및 제2 챔버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통로, 및 상기 연결통로의 하부에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제1챔버에 형성된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와, 상기 제2챔버에 형성된 제3 연결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의 상부에 결합된 제1 버튼의 작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유로를 형성하는 제1수직바; 및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의 상부에 결합된 제2버튼의 작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 통로 및 제3 연결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유로를 형성하는 제2수직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직바와 제2수직바는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제1버튼과 제2버튼의 저면에 일체로 구비된 봉이 제1수직바와 제2수직바의 상부를 통해 제1수직바와 제2수직바 내부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제1수직바는 상기 제1버튼이 눌러졌을 때 상기 제1 유로를 형성하도록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의 위치에 대응되는 측면에 제1홀 및 제2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2홀은 원형이고, 상기 제1홀은 축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형성되어 폭방향은 제2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축방향은 제2홀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바는 상기 제2버튼이 눌러졌을 때 상기 제2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연결 통로 및 제3 연결구의 위치에 대응되는 측면에 제3홀 및 제4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4홀은 원형이고, 상기 제3홀은 축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형성되어 폭방향은 제4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축방향은 제4홀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수직바와 제2수직바가 하락하는 경우 제1 수직바와 제2 수직바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제1 오목부와 제2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 챔버, 제2 챔버 및 연결통로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구는 연결통로와 동일한 높이에 일직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구와 제3 연결구는 연결통로 바로 위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세척장치.
KR1020230193273A 2021-12-09 2023-12-27 흡인세척장치 KR102639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3273A KR102639750B1 (ko) 2021-12-09 2023-12-27 흡인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948A KR20230087206A (ko) 2021-12-09 2021-12-09 흡인세척장치
KR1020230193273A KR102639750B1 (ko) 2021-12-09 2023-12-27 흡인세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948A Division KR20230087206A (ko) 2021-12-09 2021-12-09 흡인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655A true KR20240005655A (ko) 2024-01-12
KR102639750B1 KR102639750B1 (ko) 2024-02-21

Family

ID=869483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948A KR20230087206A (ko) 2021-12-09 2021-12-09 흡인세척장치
KR1020230193273A KR102639750B1 (ko) 2021-12-09 2023-12-27 흡인세척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948A KR20230087206A (ko) 2021-12-09 2021-12-09 흡인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87206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6204A1 (en) * 2005-09-27 2007-05-10 Fedenia Adam S Medical suction and irrigation device
KR20110006411A (ko) * 2009-07-14 2011-01-20 봄텍전자 주식회사 문신 및 반영구문신용 색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문신장치
KR101837055B1 (ko) 2017-10-17 2018-03-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흡인 및 세척을 위한 외과용 수술기구
KR102244228B1 (ko) 2019-03-28 2021-04-26 주식회사 화인메디 의료용 석션 및 세척 장치
KR20210107272A (ko) * 2020-02-24 2021-09-01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흡인세척장치
KR20210108058A (ko) * 2020-02-25 2021-09-02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6204A1 (en) * 2005-09-27 2007-05-10 Fedenia Adam S Medical suction and irrigation device
KR20110006411A (ko) * 2009-07-14 2011-01-20 봄텍전자 주식회사 문신 및 반영구문신용 색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문신장치
KR101837055B1 (ko) 2017-10-17 2018-03-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흡인 및 세척을 위한 외과용 수술기구
KR102244228B1 (ko) 2019-03-28 2021-04-26 주식회사 화인메디 의료용 석션 및 세척 장치
KR20210107272A (ko) * 2020-02-24 2021-09-01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흡인세척장치
KR20210108058A (ko) * 2020-02-25 2021-09-02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750B1 (ko) 2024-02-21
KR20230087206A (ko)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07794B (zh) 用于抽吸和冲洗的外科用手术器械
JP7321147B2 (ja) 流れ転向特徴を有する末梢静脈内カテーテル
JP2009527337A (ja) 内視鏡の吸引装置
US9199046B2 (en) Trocar sleeve
EP1626820B1 (en) Valve holding fixture for automated reprocessor
JP2010527710A (ja) カニューレ用シール組立体
JP2007520253A (ja) オリフィス制御サンプリング針
ATE509647T1 (de) Katheter
KR102639750B1 (ko) 흡인세척장치
US9872603B2 (en) Endoscope connector and endoscope reprocessor
KR102501729B1 (ko) 수직평면 배치형 흡인세척장치
CN108697309B (zh) 医疗用配管部件
JP2006325814A (ja) 内視鏡用送水装置
KR102566128B1 (ko)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
KR20120139105A (ko) 수액주사용 의료기구
KR102641223B1 (ko) 수술부위 대응이 용이한 세척 및 흡입장치
KR100948311B1 (ko) 전립선 수술용 워터젯의 캐뉼러 구조
KR20020038662A (ko) 석션 및 세척처리를 위한 내시경장치 및 그 처리방법
JPH0723897A (ja) 逆流防止弁を配置した内視鏡
KR200288827Y1 (ko) 석션 및 세척처리를 위한 내시경장치
JP3267400B2 (ja) 送気用コネクタを設けた内視鏡
KR102221591B1 (ko) 최소 침습 수술용 투관침 장치
JP4203681B2 (ja) 歯科治療用可動型殺菌・洗浄水供給装置
KR20220108545A (ko) 약액 주입용 내시경 시술 기구
WO2023056415A1 (en) Multi-port, high-flow pneumoperitoneum and smoke evacuation distribu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