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058A -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058A
KR20210108058A KR1020200022780A KR20200022780A KR20210108058A KR 20210108058 A KR20210108058 A KR 20210108058A KR 1020200022780 A KR1020200022780 A KR 1020200022780A KR 20200022780 A KR20200022780 A KR 20200022780A KR 20210108058 A KR20210108058 A KR 20210108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uction
chamber
supply valve
pass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473B1 (ko
Inventor
이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Priority to KR1020200022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473B1/ko
Priority to PCT/KR2020/013336 priority patent/WO2021172680A1/ko
Publication of KR20210108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61M1/774Handpieces specially adapted for providing suction as well as irrigation, either simultaneously or independent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06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61M1/743Suction control by changing the cross-section of the line, e.g. flow regul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5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with gas or fluid supply means, e.g. for supplying rinsing fluids or anticoag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61M3/0283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with at least two inner passageways, a first one for irrigating and a second for evacu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7Auxiliary appliance with irrigation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6Ergonomic details therefor, e.g. specific ergonomics for left or right-handed u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조작이 용이한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는 하우징부, 홀더부 그리고 흡인공급부를 포함한다. 하우징부는 내부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내부격벽에 관통 형성되는 연결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전방챔버 및 후방챔버와, 전방챔버의 전면에 전방챔버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구 및 제2연결구와, 후방챔버의 후면에 후방챔버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3연결구를 가진다. 홀더부는 제1연결구에 결합되고, 환자의 복강으로 삽입되는 프로브가 결합된다. 흡인공급부는 전방챔버에 구비되어 제1연결구와 연결되는 전방유로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전방챔버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전방유로공간이 제2연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프로브로 세척용 유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밸브와, 후방챔버에 구비되어 연결홀과 연결되는 후방유로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후방챔버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후방유로공간이 제3연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프로브를 통해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이 흡인되도록 하는 흡인밸브를 가지고, 제1연결구, 제2연결구, 제3연결구, 공급밸브 및 흡인밸브의 중심 단면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된다.

Description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SUCTION AND IRRIGATION DEVICE IN SERIES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작이 용이한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또는 복강경) 수술법은 최소 침습술(minimal invasive surgery)로서 환자의 통증, 감염, 상처, 입원 기간 등의 감소 등의 장점으로 최근 들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복강경 수술 시에는 환자의 수술부위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액을 공급하고, 환자의 수술부위를 세척한 이후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해당 오염물을 환자의 신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외과용 수술기구, 즉 복강경 흡인-세척기구(Laparoscopic suction and irrigation system)가 사용된다.
일반적인 복강경 흡인-세척기구는 환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프로브와, 프로브와 연결된 혼합챔버를 갖는 기구본체와, 혼합챔버와 연결되어 환자의 신체 내부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유로와, 오염물을 환자의 신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유로를 포함한다.
복강경 흡인-세척기구는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더욱 용이한 조작을 위한 복강경 흡인-세척기구의 지속적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37055호(2018.03.09.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작이 용이한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내부격벽에 관통 형성되는 연결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전방챔버 및 후방챔버와, 상기 전방챔버의 전면에 상기 전방챔버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구 및 제2연결구와, 상기 후방챔버의 후면에 상기 후방챔버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3연결구를 가지는 하우징부; 상기 제1연결구에 결합되고, 환자의 복강으로 삽입되는 프로브가 결합되는 홀더부; 그리고 상기 전방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구와 연결되는 전방유로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전방챔버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전방유로공간이 상기 제2연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프로브로 세척용 유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밸브와, 상기 후방챔버에 구비되어 연결홀과 연결되는 후방유로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후방챔버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후방유로공간이 상기 제3연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프로브를 통해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이 흡인되도록 하는 흡인밸브를 가지는 흡인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구, 상기 제2연결구, 상기 제3연결구, 상기 공급밸브 및 상기 흡인밸브의 중심 단면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구는 전단부에 확대된 지름을 가지는 확관부를 가지고, 상기 확관부에는 걸림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중앙에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프로브가 관통 삽입되는 제1통공을 가지고, 후단부가 상기 확관부에 삽입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확관부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 걸림쇠를 가지는 걸림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는 상기 플러그의 후단부에 상기 확관부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확관부의 내측지름에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며, 상기 프로브가 관통 삽입되도록 중앙에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통공을 가지는 가압플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가압플레이트 및 상기 확관부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걸림쇠는 후단부가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바와, 상기 탄성바의 전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홀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밸브는 상기 전방챔버의 내주면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공급밸브몸체와, 상기 공급밸브몸체의 양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방챔버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제1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전방유로공간은 상기 공급밸브몸체의 외주면, 상기 전방챔버의 내주면 및 상기 한 쌍의 제1플랜지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측 공간이고, 상기 공급밸브의 이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밸브는 상기 제1플랜지의 외주면과 상기 전방챔버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1기밀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밸브몸체는 일단부에 축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흡인공급부는 상기 전방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단부는 상기 전방챔버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유로공간 및 상기 제2연결구가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공급밸브를 탄발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밸브몸체는 상기 제1삽입홈에 상기 공급밸브몸체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지지돌기를 더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방챔버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돌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은 상기 공급밸브 및 상기 흡인밸브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전방유로공간 및 상기 후방유로공간이 항상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흡인공급부는 공급밸브 및 흡인밸브의 조작만으로 세척용 유체를 공급하거나,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을 흡인하거나, 또는 전방챔버 및 후방챔버의 내부와, 제2연결구 및 흡인튜브를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챔버, 후방챔버, 제1연결구, 제2연결구 및 제3연결구는 그 중심 단면이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는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의 하우징부 및 흡인공급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흡인공급부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의 홀더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의 홀더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의 하우징부 및 흡인공급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흡인공급부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는 하우징부(100), 홀더부(200) 그리고 흡인공급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우징부(100) 및 홀더부(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전단/전단부/전방, 후단/후단부/후방으로 설명한다. 즉, 하우징부(100)에서 홀더부(200) 방향을 전단/전단부/정방으로, 홀더부(200)에서 하우징부(100) 방향을 후단/후단부/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하우징부(100)는 전방챔버(111), 후방챔버(112), 제1연결구(115), 제2연결구(116) 및 제3연결구(117)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본체(110)와 하우징 본체(110)를 덮는 하우징 커버(118)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본체(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부격벽(113)과, 내부격벽(113)에 의해 구획되는 전방챔버(111) 및 후방챔버(112)를 가질 수 있다. 내부격벽(113)에는 연결홀(114)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홀(114)에 의해 전방챔버(111) 및 후방챔버(112)는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0)은 제1연결구(115), 제2연결구(116) 및 제3연결구(117)를 가질 수 있다.
제1연결구(115) 및 제2연결구(116)는 전방챔버(111)의 전면에서 전방챔버(111)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구(115) 및 제2연결구(116)는 동일한 수직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연결구(116)는 제1연결구(115)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3연결구(117)는 후방챔버(112)의 후면에 후방챔버(112)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연결구(117)는 제2연결구(116)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질 수 있다.
전방챔버(111), 후방챔버(112), 제1연결구(115), 제2연결구(116) 및 제3연결구(117)는 중심 단면이 동일한 수평의 평면 상에 위치되어 가상의 직선(VL)을 따라 직렬배치될 수 있다.
흡인공급부(300)는 공급밸브(310) 및 흡인밸브(330)를 가질 수 있다.
공급밸브(310)는 전방챔버(111)에 구비될 수 있다. 공급밸브(310)는 공급밸브몸체(311) 및 제1플랜지(312)를 가질 수 있다.
공급밸브몸체(311)는 전방챔버(11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방챔버(111)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공급밸브몸체(311)는 외주면이 전방챔버(111)의 내주면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밸브몸체(311)와 전방챔버(111)의 사이에는 전방유로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플랜지(312)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공급밸브몸체(311)의 양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전방챔버(111)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전방유로공간(S1)은 공급밸브몸체(311)의 외주면, 전방챔버(111)의 내부면 및 한 쌍의 제1플랜지(312)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측 공간일 수 있으며, 공급밸브(310)가 이동하게 되면, 전방유로공간(S1)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제1플랜지(312)에서의 기밀 성능이 높아지도록 하기 위해, 공급밸브(310)는 제1플랜지(31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기밀링(313)을 가질 수 있다. 제1기밀링(313)은 전방챔버(111)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밸브몸체(311)는 일단부에 축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삽입홈(314)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흡인공급부(300)는 제1탄성부재(350)를 가질 수 있다. 제1탄성부재(350)는 전방챔버(11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일단부는 전방챔버(111)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제1삽입홈(314)에 삽입되어 공급밸브(310)를 탄발 지지할 수 있다. 공급밸브몸체(311)는 제1삽입홈(314)에 공급밸브몸체(311)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탄성부재(35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지지돌기(315)를 더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 2 내지 5를 기준으로 제1탄성부재(350)가 압축되도록 공급밸브(310)가 이동하는 방향을 하향/하측으로 하고, 제1탄성부재(350)가 신장되도록 공급밸브(310)가 이동하는 방향을 상향/상측으로 설명한다.
흡인공급부(300)는 제1탄성부재(350)의 양단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전방챔버(111)는 하부에 제1탄성부재(35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돌기(125)를 가질 수 있다.
공급밸브몸체(311)의 상단부에는 제1누름부(316)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누름부(316)의 상면에는 제1누름부(316)가 눌려 공급밸브(310)가 하강될 때 유체의 흐름방향을 나타내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유로공간(S1)은 공급밸브(310)의 위치에 상관 없이 항상 내부격벽(113)에 형성되는 연결홀(114) 및 제1연결구(115)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급밸브(310)는 전방챔버(111)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전방유로공간(S1)이 제1연결구(115)에만 연결되도록 하거나, 전방유로공간(S1)이 제1연결구(115) 및 제2연결구(116)를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공급밸브(310)는 전방유로공간(S1) 및 제2연결구(116)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탄성부재(3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공급밸브(310)가 상측으로 밀어 올려지면, 전방유로공간(S1)은 제1연결구(115)와는 연결되고, 제2연결구(116)와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공급밸브(310)가 하측으로 눌려지면, 전방유로공간(S1)은 제2연결구(116)와도 연결될 수 있다.
흡인밸브(330)는 후방챔버(112)에 구비될 수 있다. 흡인밸브(330)는 흡인밸브몸체(331) 및 제2플랜지(332)를 가질 수 있다.
흡인밸브몸체(331)는 후방챔버(112)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후방챔버(112)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흡인밸브몸체(331)는 외주면이 후방챔버(112)의 내주면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인밸브몸체(331)와 후방챔버(112)의 사이에는 후방유로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플랜지(332)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흡인밸브몸체(331)의 양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후방챔버(112)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즉, 후방유로공간(S2)은 흡인밸브몸체(331)의 외주면, 후방챔버(112)의 내부면 및 한 쌍의 제2플랜지(332)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측 공간일 수 있으며, 흡인밸브(330)가 이동하게 되면, 후방유로공간(S2)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제2플랜지(332)에서의 기밀 성능이 높아지도록 하기 위해, 흡인밸브(330)는 제2플랜지(33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2기밀링(333)을 가질 수 있다. 제2기밀링(333)은 후방챔버(112)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흡인공급부(300)는 제2탄성부재(360)를 가질 수 있다. 제2탄성부재(360)는 후방챔버(112)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일단부는 후방챔버(112)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흡인밸브(330)에 지지되어 흡인밸브(330)를 탄발 지지할 수 있다.
후방챔버(112)는 하부에 제2탄성부재(36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고정돌기(126)를 가질 수 있으며, 흡인밸브몸체(331)는 제2탄성부재(360)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축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삽입홈(334)을 가질 수 있다.
흡인밸브몸체(331)는 제2삽입홈(334)에 흡인밸브몸체(331)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탄성부재(36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돌기(335)를 더 가질 수 있다.
흡인밸브몸체(331)의 상단부에는 제2누름부(33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누름부(336)의 상면에는 제2누름부(336)가 눌려 흡인밸브(330)가 하강될 때 유체의 흐름방향을 나타낼 수 있는 표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후방유로공간(S2)은 흡인밸브(330)의 위치에 상관 없이 항상 내부격벽(113)에 형성되는 연결홀(114)과 연결될 수 있다.
흡인밸브(330)는 후방챔버(112)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후방유로공간(S2) 및 제3연결구(117)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인밸브(330)가 상측으로 밀어 올려지면 후방유로공간(S2)은 제3연결구(117)와는 연결되지 않고, 하측으로 이동하면 후방유로공간(S2)과 제3연결구(117)는 연결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제1연결구(115)를 제외하고 흡인공급부(300)는 내부격벽(113)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연결구(116)는 공급튜브(121)를 통해 펌프(500)와 연결될 수 있고, 제3연결구(117)는 흡인튜브(122)를 통해 석션부(5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펌프(500)는 세척용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인밸브(330)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석션부(510)에서 제공하는 흡인력은 제3연결구(117)로는 제공되지만 후방유로공간(S2)으로는 제공되지 못하기 때문에,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은 흡인되지 못한다.
또한, 공급밸브(310)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펌프(500)에서 제공되는 세?r용 유체는 제2연결구(116)로는 제공되지만 전방유로공간(S1)으로는 제공되지 못하기 때문에, 환자 복강으로는 공급되지 못한다.
그러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누름부(316)가 눌러 공급밸브(310)가 하강되면 전방유로공간(S1)은 제2연결구(116)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급밸브(310) 및 흡인밸브(330)의 위치상태와 상관 없이 연결홀(114)은 항상 전방유로공간(S1) 및 후방유로공간(S2)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전방유로공간(S1)으로 이동되는 세척용 유체(M1)는 제1연결구(115)로 이동될 수 있고, 프로브(400)를 통해 환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흡인밸브(330)는 상승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방유로공간(S1)의 세척용 유체(M1)가 연결홀(114)을 통해 후방유로공간(S2)으로 이동되더라도 세척용 유체(M1)는 제3연결구(117)로 이동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흡인밸브(330)가 하강되면 후방유로공간(S2)은 제3연결구(117)와 연결되고 연결홀(114)을 통해 전방유로공간(S1) 및 제1연결구(115)와도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석션부(510)에서 제공되는 흡인력은 제1연결구(115)를 통해 프로브(400)로 제공될 수 있고,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M2)은 흡인될 수 있다. 이때, 전방유로공간(S1)의 혈액 또는 오물(M2)은 석션부(510)에서 제공하는 흡인력에 의해 제2연결구(116)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와같이, 공급밸브(310) 및 흡인밸브(330)가 모두 하강되면 전방유로공간(S1)은 제1연결구(115) 및 제2연결구(116)에 모두 연결되고, 후방유로공간(S2)은 제3연결구(117)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챔버(111)로 공급되는 세척용 유체(M1)는 석션부(510)에서 제공하는 흡인력에 의해 후방챔버(112)로 이동하여 석션부(51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전방챔버(111) 및 후방챔버(112)의 내부와, 제3연결구(117) 및 흡인튜브(122)를 세척하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는 흡인공급부(300)는 공급밸브(310) 및 흡인밸브(330)의 조작만으로 세척용 유체를 공급하거나,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을 흡인하거나, 또는 전방챔버(111) 및 후방챔버(112)의 내부와, 제3연결구(117) 및 흡인튜브(122)를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챔버(111), 후방챔버(112), 제1연결구(115), 제2연결구(116) 및 제3연결구(117)는 중심 단면이 동일한 수평의 평면 상에 위치되어 가상의 직선(VL)을 따라 직렬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는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의 홀더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의 홀더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홀더부(200)는 제1연결구(115)에 결합될 수 있으며, 환자의 복강으로 삽입되는 프로브(400)가 결합될 수 있다.
홀더부(200)는 플러그(210) 및 걸림구(230)를 가질 수 있다.
제1연결구(115)는 전단부에 확관부(131)를 가질 수 있다. 확관부(131)는 제1연결구(115)보다 확대된 지름을 가질 수 있다. 확관부(131)에는 걸림홀(13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홀(132)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210)는 중앙에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프로브(400)가 관통 삽입되는 제1통공(211)을 가질 수 있다. 플러그(210)의 후단부에는 확관부(131)에 삽입되는 삽입부(2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러그(210)의 전단부에는 삽입부(212)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고 삽입부(212)와 단차지게 형성되고, 삽입부(212)가 확관부(131)에 삽입될 때, 확관부(131)의 전단부에 걸리는 헤드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구(230)는 플러그(210)의 후단부에 연결 형성되고 확관부(131)에 삽입될 수 있으며, 걸림홀(13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 걸림쇠(23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걸림구(230)는 지지프레임(232) 및 가압플레이트(233)를 가질 수 있다.
지지프레임(232)은 플러그(210)의 후단부에 확관부(131)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32)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는 공간(238)이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압플레이트(233)는 지지프레임(232)의 후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가압플레이트(233)는 확관부(131)의 내측지름에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프로브(400)가 관통 삽입되도록 중앙에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통공(234)을 가질 수 있다.
홀더부(200)를 실링부재(250)를 가질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가압플레이트(233) 및 확관부(131)의 바닥면(133)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프로브(400)가 관통되도록 제3통공(251)을 가질 수 있다. 프로브(400)는 제1통공(211), 제2통공(234) 및 제3통공(251)을 통해 제1연결구(115)에 삽입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가압플레이트(233) 및 확관부(131)의 바닥면(133)에 의해 가압되어 제1연결구(115)에서 흐르는 세척용 유체 또는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 걸림쇠(231)는 탄성바(236) 및 걸림돌기(237)를 가질 수 있다.
탄성바(236)는 후단부가 가압플레이트(233)에 연결되고 플러그(21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탄성바(236)는 지지프레임(23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바(236)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238)은 탄성바(236)가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걸림돌기(237)는 탄성바(236)의 전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홀(132)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바(236)는 걸림돌기(237)가 걸림홀(13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바(236)가 공간(238) 쪽으로 변형되어 걸림돌기(237)가 걸림홀(132)에서 빠져나오면 플러그(210)는 확관부(13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부 111: 전방챔버
112: 후방챔버 113: 내부격벽
114: 연결홀 115: 제1연결구
116: 제2연결구 117: 제3연결구
200: 홀더부 210: 플러그
230: 걸림구 250: 실링부재
300: 흡인공급부 310: 공급밸브
330: 흡인밸브 400: 프로브

Claims (12)

  1. 내부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내부격벽에 관통 형성되는 연결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전방챔버 및 후방챔버와, 상기 전방챔버의 전면에 상기 전방챔버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구 및 제2연결구와, 상기 후방챔버의 후면에 상기 후방챔버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3연결구를 가지는 하우징부;
    상기 제1연결구에 결합되고, 환자의 복강으로 삽입되는 프로브가 결합되는 홀더부; 그리고
    상기 전방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구와 연결되는 전방유로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전방챔버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전방유로공간이 상기 제2연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프로브로 세척용 유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밸브와, 상기 후방챔버에 구비되어 연결홀과 연결되는 후방유로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후방챔버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후방유로공간이 상기 제3연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프로브를 통해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이 흡인되도록 하는 흡인밸브를 가지는 흡인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구, 상기 제2연결구, 상기 제3연결구, 상기 공급밸브 및 상기 흡인밸브의 중심 단면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구는 전단부에 확대된 지름을 가지는 확관부를 가지고, 상기 확관부에는 걸림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중앙에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프로브가 관통 삽입되는 제1통공을 가지고, 후단부가 상기 확관부에 삽입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확관부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 걸림쇠를 가지는 걸림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는
    상기 플러그의 후단부에 상기 확관부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확관부의 내측지름에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며, 상기 프로브가 관통 삽입되도록 중앙에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통공을 가지는 가압플레이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가압플레이트 및 상기 확관부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걸림쇠는
    후단부가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바와,
    상기 탄성바의 전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홀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밸브는
    상기 전방챔버의 내주면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공급밸브몸체와,
    상기 공급밸브몸체의 양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방챔버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제1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전방유로공간은 상기 공급밸브몸체의 외주면, 상기 전방챔버의 내주면 및 상기 한 쌍의 제1플랜지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측 공간이고, 상기 공급밸브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밸브는
    상기 제1플랜지의 외주면과 상기 전방챔버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1기밀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밸브몸체는 일단부에 축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흡인공급부는
    상기 전방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단부는 상기 전방챔버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유로공간 및 상기 제2연결구가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공급밸브를 탄발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밸브몸체는 상기 제1삽입홈에 상기 공급밸브몸체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지지돌기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챔버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은 상기 공급밸브 및 상기 흡인밸브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전방유로공간 및 상기 후방유로공간이 항상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KR1020200022780A 2020-02-25 2020-02-25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KR102362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780A KR102362473B1 (ko) 2020-02-25 2020-02-25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PCT/KR2020/013336 WO2021172680A1 (ko) 2020-02-25 2020-09-29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780A KR102362473B1 (ko) 2020-02-25 2020-02-25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058A true KR20210108058A (ko) 2021-09-02
KR102362473B1 KR102362473B1 (ko) 2022-02-15

Family

ID=7749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780A KR102362473B1 (ko) 2020-02-25 2020-02-25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2473B1 (ko)
WO (1) WO20211726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5655A (ko) * 2021-12-09 2024-01-1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흡인세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273B1 (ko) * 2010-10-12 2011-10-19 케이넷(주) 마이크로 튜브용 커넥터
KR101837055B1 (ko) 2017-10-17 2018-03-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흡인 및 세척을 위한 외과용 수술기구
KR20190081437A (ko) * 2017-12-29 2019-07-0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두손실 저감형 글로브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56628B2 (en) * 1991-10-18 1995-02-09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 for aspiration and irrigation
KR20180082922A (ko) * 2017-01-11 2018-07-19 이병갑 전극이 구비된 의료용 흡입 및 세척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273B1 (ko) * 2010-10-12 2011-10-19 케이넷(주) 마이크로 튜브용 커넥터
KR101837055B1 (ko) 2017-10-17 2018-03-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흡인 및 세척을 위한 외과용 수술기구
KR20190081437A (ko) * 2017-12-29 2019-07-0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두손실 저감형 글로브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5655A (ko) * 2021-12-09 2024-01-1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흡인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473B1 (ko) 2022-02-15
WO2021172680A1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07794B (zh) 用于抽吸和冲洗的外科用手术器械
US7503891B2 (en) Tissue stabilizer and methods of use
KR101396931B1 (ko) 개선된 공기 여과성을 갖는 수술용 카세트
ES2233742T3 (es) Valvula conectora sin aguja.
US4525220A (en) Method of cleaning endoscope channels
KR102501729B1 (ko) 수직평면 배치형 흡인세척장치
US9462934B2 (en) Washing treatment apparatus and wash treatment method
JP2008500131A (ja) スワバブル・バルブを備えるtポート
KR102362473B1 (ko)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CN106691361B (zh) 一种内窥镜头座与内窥镜
CN110624140A (zh) 冲洗吸引器以及设备
CN216823610U (zh) 用于接收内窥镜的接入组件
KR102362472B1 (ko) 흡인세척장치
CN218870241U (zh) 用于内窥镜的接入组件
CN216317505U (zh) 用于内窥镜的接入组件
US20220117591A1 (en) Adsorption head and adsorption device
JP2937101B2 (ja) 内視鏡装置
CN113925440A (zh) 用于内窥镜的接入组件及其使用方法
CN215960044U (zh) 手术装置与操作通道器件
CN216455120U (zh) 一种独立气体过滤组件
CN220125191U (zh) 抽吸套组
CN215960046U (zh) 手术装置与操作通道器件
CN218899383U (zh) 电子内窥镜
CN116407232A (zh) 用于接收内窥镜的接入组件
CN217040073U (zh) 内窥镜负压阀安装结构、内窥镜手柄及内窥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