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272A - 흡인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흡인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272A
KR20210107272A KR1020200022024A KR20200022024A KR20210107272A KR 20210107272 A KR20210107272 A KR 20210107272A KR 1020200022024 A KR1020200022024 A KR 1020200022024A KR 20200022024 A KR20200022024 A KR 20200022024A KR 20210107272 A KR20210107272 A KR 20210107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nnector
valve
suction
pass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472B1 (ko
Inventor
이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Priority to KR1020200022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472B1/ko
Priority to PCT/KR2020/013342 priority patent/WO2021172681A1/ko
Priority to CN202080013942.7A priority patent/CN113556986A/zh
Priority to US17/431,716 priority patent/US20220305190A1/en
Publication of KR20210107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61M1/741Suction control with means for varying suction manually
    • A61M1/7411Suction control with means for varying suction manually by changing the size of a v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61M1/774Handpieces specially adapted for providing suction as well as irrigation, either simultaneously or independent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61M3/0283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with at least two inner passageways, a first one for irrigating and a second for evacu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61B2018/00202Moving parts rot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89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16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2Hoo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75Electrodes retractable in or deployable from a hou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2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7Aspi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조작이 용이한 흡인세척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흡인세척장치는 핸들부, 삽입부 그리고 흡인공급부를 포함한다. 핸들부는 내측에 설치공간을 가진다. 삽입부는 핸들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환자의 복강으로 삽입된다. 흡인공급부는 설치공간에 구비되고, 삽입부로 세척용 유체를 공급하거나, 삽입부를 통해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을 흡인한다. 흡인공급부는 내부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제1챔버 및 제2챔버와, 제1챔버와 연결되는 제1연결구 및 제2연결구와, 제2챔버에 연결되는 제3연결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제1챔버에 구비되고, 제1챔버와의 사이에 제1유로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제1챔버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제1연결구, 제1유로공간 및 제2연결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1밸브와, 제2챔버에 구비되고, 제2챔버와의 사이에 제2유로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제2챔버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제2유로공간 및 제3연결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밸브를 가지고, 제1챔버 및 제2챔버는 내부격벽에 관통 형성되는 연결홀에 의해 연결된다.

Description

흡인세척장치{SUCTION AND IRRIGATION DEVICE}
본 발명은 흡인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작이 용이한 흡인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또는 복강경) 수술법은 최소 침습술(minimal invasive surgery)로서 환자의 통증, 감염, 상처, 입원 기간 등의 감소 등의 장점으로 최근 들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복강경 수술 시에는 환자의 수술부위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액을 공급하고, 환자의 수술부위를 세척한 이후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해당 오염물을 환자의 신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외과용 수술기구, 즉 복강경 흡인-세척기구(Laparoscopic suction and irrigation system)가 사용된다.
일반적인 복강경 흡인-세척기구는 환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관과, 삽입관과 연결된 혼합챔버를 갖는 기구본체와, 혼합챔버와 연결되어 환자의 신체 내부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유로와, 오염물을 환자의 신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유로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수술 부위의 절개 등을 위해 복강경 흡인-세척기구에 전기 수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 더 포함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복강경 흡인-세척기구를 이용한 복강경 수술 시에는 전기 수술과 세척액의 공급, 또는 오염물 제거가 신속하게 진행된다. 따라서, 수술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조작이 용이한 복강경 흡인-세척기구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37055호(2018.03.09.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작이 용이한 흡인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측에 설치공간을 가지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환자의 복강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로 세척용 유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삽입부를 통해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을 흡인하는 흡인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인공급부는 내부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제1챔버 및 제2챔버와, 상기 제1챔버와 연결되는 제1연결구 및 제2연결구와, 상기 제2챔버에 연결되는 제3연결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제1챔버와의 사이에 제1유로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1챔버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제1연결구, 상기 제1유로공간 및 상기 제2연결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제2챔버와의 사이에 제2유로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2챔버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제2유로공간 및 상기 제3연결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밸브를 가지고, 상기 제1챔버 및 상기 제2챔버는 상기 내부격벽에 관통 형성되는 연결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세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제1챔버의 내주면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1밸브몸체와, 상기 제1밸브몸체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제1밸브몸체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2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1유로공간은 상기 제1밸브몸체 및 상기 제1챔버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밸브의 이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제1플랜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기밀링과, 상기 제2플랜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2기밀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몸체는 일단부에 축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흡인공급부는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챔버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유로공간 및 상기 제2연결구가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제1밸브를 탄발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몸체는 상기 제1삽입홈에 상기 제1밸브몸체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지지돌기를 더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돌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제3플랜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3기밀링과, 상기 제4플랜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4기밀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연결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핸들부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전극이 결합되는 도전성의 삽입관과, 상기 핸들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삽입관과 결합되어 상기 삽입관과 일체로 회전하는 어댑터와, 상기 삽입관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절연성의 보호튜브와, 상기 보호튜브와 결합되어 상기 보호튜브와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핸들부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관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 상기 어댑터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어댑터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절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원주방향을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가지고, 상기 조절구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조절구의 회전력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를 통해 상기 어댑터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연결구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관이 관통되는 제3통공을 가지는 클램프와, 상기 크램프 및 상기 제1연결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관이 관통되는 실링부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구는 삽입관의 축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왕복 이동되면서 어댑터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전극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회전시키는 동작이 조절구의 조절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조작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흡인공급부는 제1밸브 및 제2밸브의 조작만으로 세척용 유체를 공급하거나,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을 흡인하거나, 또는 제1챔버 및 제2챔버의 내부와, 제2연결구 및 제1튜브를 세척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인세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흡인세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핸들부의 돌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흡인세척장치의 삽입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흡인세척장치의 삽입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흡인세척장치의 흡인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흡인세척장치의 전기공급부를 중심으로 나타내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인세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흡인세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핸들부의 돌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인세척장치는 핸들부(100), 삽입부(200) 그리고 흡인공급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100)는 내측에 설치공간(110)을 가질 수 있다.
삽입부(200)는 핸들부(10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환자의 복강으로 삽입될 수 있다.
흡인공급부(300)는 설치공간(110)에 구비될 수 있고, 삽입부(200)로 세척용 유체를 공급하거나, 삽입부(200)를 통해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을 흡인할 수 있다.
상세히, 핸들부(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일 수 있으며, 내측에는 설치공간(110)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핸들부(100)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120)를 가질 수 있으며, 돌출부(120)는 제1지름(D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핸들부(100)는 제1설치홈(130), 제2설치홈(140) 및 연결홈(150)을 가질 수 있다. 제1설치홈(130) 및 제2설치홈(140)은 돌출부(1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120)와 동심축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150)은 돌출부(120)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설치홈(130) 및 제2설치홈(14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흡인세척장치의 삽입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흡인세척장치의 삽입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예시도이다.
도 3과 함께, 도 4 및 도 5를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삽입부(200)는 삽입관(210), 어댑터(220), 보호튜브(230) 그리고 조절구(240)를 가질 수 있다.
삽입관(210)은 일단부가 핸들부(100)의 연결홈(150)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관(210)의 일단부는 제2설치홈(140)을 지나 설치공간(110)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1연결구(315,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관(210)은 핸들부(1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환자의 복강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관(210)은 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삽입관(210)의 타단부에는 전극(211)이 결합될 수 있다. 전극(211)은 삽입관(210)을 통해 전달되는 전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삽입관(210)으로는 선택적으로 전기가 공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극(211)은 선택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전극(211)은 환자의 수술 부위를 절단하거나 응고시키는 등의 전기수술을 수행할 수 있다.
어댑터(220)는 핸들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어댑터(220)는 제1걸림플레이트(221) 및 제2걸림플레이트(224)를 가질 수 있다.
제1걸림플레이트(221)는 핸들부(100)의 돌출부(120)의 일단에 밀착될 수 있다. 제1걸림플레이트(221)는 돌출부(120)의 제1지름(D1)보다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걸림플레이트(221)가 돌출부(120)의 일단에 밀착되면 제1걸림플레이트(221)는 돌출부(120)에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걸림플레이트(221)의 일면에는 결합돌기(223)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23)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결합홈(246)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걸림플레이트(224)는 돌출부(120)의 제1설치홈(130)에 삽입될 수 있다. 제2걸림플레이트(224)는 제1설치홈(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어댑터(220)는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통공(222)을 가질 수 있으며, 제1통공(222)에는 삽입관(210)이 삽입될 수 있다. 삽입관(210)은 제1통공(222)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어댑터(220)가 회전되면 삽입관(210)은 어댑터(220)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보호튜브(230)는 삽입관(210)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호튜브(230)는 삽입관(210)을 내측에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다. 삽입관(210)이 고정된 상태에서 보호튜브(230)는 축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회전될 수 있다. 보호튜브(230)는 절연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절구(240)는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통공(243) 및 수용홈(244)을 가질 수 있다.
제2통공(243)에는 보호튜브(230)가 삽입될 수 있으며, 보호튜브(230)는 제2통공(24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조절구(240)가 회전되면 보호튜브(230)는 조절구(240)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수용홈(244)은 돌출부(120)의 제1지름(D1)보다 큰 제2지름(D2)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홈(244)의 내측에는 어댑터(220)의 제1걸림플레이트(221)가 삽입될 수 있다. 어댑터(220)가 핸들부(100)의 돌출부(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홈(244)의 내측에 제1걸림플레이트(221)가 삽입되도록 조절구(240)가 돌출부(120)에 결합되면, 조절구(240)는 돌출부(120)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조절구(240)는 일단부에 걸림턱(245)을 가질 수 있다. 걸림턱(245)은 수용홈(244)의 제2지름(D2)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어댑터(220)의 제1걸림플레이트(221)의 외측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에서와 같은 상태일 때 걸림턱(245)은 제1걸림플레이트(221)에 걸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절구(240)가 어댑터(22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조절구(240)는 수용홈(244)의 내측에 형성되는 결합홈(246)을 가질 수 있다. 결합홈(246)은 결합돌기(2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극(211)의 일단부가 동일선상(SL)에 위치된 상태에서 조절구(240)가 어댑터(220) 방향으로 이동되면 조절구(240)와 함께 보호튜브(230)도 이동하게 되고, 그러면 전극(211)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홈(246)에는 결합돌기(223)가 결합될 수 있는데, 결합돌기(223)는 결합홈(246)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조절구(240)가 회전되면 조절구(240)의 회전력은 결합홈(246)에 삽입된 결합돌기(223)를 통해 어댑터(220)로 전달될 수 있고, 어댑터(220)가 회전하게 되면 삽입관(210) 및 전극(211)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결합홈(246)은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조절구(240)의 회전 상태와 관계 없이 결합돌기(223)는 결합홈(246)에 삽입될 수 있다.
조절구(240)는 삽입관(210)의 축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왕복 이동되면서 어댑터(2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전극(211)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회전시키는 동작이 조절구(240)의 조절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조작이 용이할 수 있다. 조절구(240)는 조절손잡이(241)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미끄럼 없이 조절손잡이(241)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절손잡이(241)는 외주면에 요홈(242)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삽입부(200)는 클램프(250) 및 실링부재(252)를 가질 수 있다.
클램프(250)는 제1연결구(315)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삽입관(210)이 관통되는 제3통공(251)을 가질 수 있다. 즉, 삽입관(210)은 클램프(250)의 제3통공(251)을 통해 제1연결구(315)에 삽입될 수 있다.
실링부재(252)는 클램프(250) 및 제1연결구(315)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삽입관(210)은 실링부재(252)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252)는 클램프(250) 및 제1연결구(315)의 사이를 실링하여, 제1연결구(315) 및 삽입관(210)을 통해 이동하는 세척용 용액이나, 혈액 또는 오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흡인세척장치의 흡인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인공급부(300)는 하우징(310), 제1밸브(330) 그리고 제2밸브(350)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310)은 내측에 형성되는 내부격벽(311)과, 내부격벽(311)에 의해 구획되는 제1챔버(312) 및 제2챔버(313)를 가질 수 있다. 내부격벽(311)에는 연결홀(314)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홀(314)에 의해 제1챔버(312) 및 제2챔버(313)는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10)은 제1연결구(315), 제2연결구(316) 및 제3연결구(317)를 가질 수 있다.
제1연결구(315)는 하우징(310)의 일측에서 제1챔버(31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구(316)는 하우징(310)의 타측에서 제1챔버(31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구(316)는 제1연결구(315)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3연결구(317)는 하우징(310)의 타측에서 제2챔버(313)와 연결될 수 있다. 제3연결구(317)도 제1연결구(315)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밸브(330)는 제1챔버(312)에 구비될 수 있다. 제1밸브(330)는 제1밸브몸체(331), 제1플랜지(332) 및 제2플랜지(333)를 가질 수 있다.
제1밸브몸체(331)는 제1챔버(312)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챔버(312)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밸브몸체(331)는 외주면이 제1챔버(312)의 내주면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밸브몸체(331)와 제1챔버(312)의 사이에는 제1유로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플랜지(332)는 제1밸브몸체(331)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챔버(312)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플랜지(333)는 제1밸브몸체(331)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챔버(312)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제1유로공간(S1)은 제1플랜지(332), 제2플랜지(333), 제1밸브몸체(331) 및 제1챔버(31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일 수 있으며, 제1밸브(330)가 이동하게 되면, 제1유로공간(S1)도 이동될 수 있다.
제1플랜지(332) 및 제2플랜지(333)에서의 기밀 성능이 높아지도록 하기 위해, 제1밸브(330)는 제1플랜지(33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기밀링(334)과, 제2플랜지(333)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2기밀링(335)을 가질 수 있다.
제1밸브몸체(331)는 일단부에 축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삽입홈(338)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흡인공급부(300)는 제1탄성부재(370)를 가질 수 있다. 제1탄성부재(370)는 제1챔버(312)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일단부는 제1챔버(312)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제1삽입홈(338)에 삽입되어 제1밸브(330)를 탄발 지지할 수 있다. 제1밸브몸체(331)는 제1삽입홈(338)에 제1밸브몸체(331)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탄성부재(37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지지돌기(339)를 더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 7을 기준으로 제1탄성부재(370)가 압축되도록 제1밸브(330)가 이동하는 방향을 하향/하측으로 하고, 제1탄성부재(370)가 신장되도록 제1밸브(330)가 이동하는 방향을 상향/상측으로 설명한다.
흡인공급부(300)는 제1탄성부재(370)의 양단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제1챔버(312)는 하부에 제1탄성부재(37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돌기(318)를 가질 수 있다.
제1밸브몸체(331)의 상단부에는 제1누름부(33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누름부(336)의 상면에는 제1표시부(33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표시부(337)는 제1누름부(336)가 눌려 제1밸브(330)가 하강될 때 유체의 흐름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제1유로공간(S1)은 제1밸브(330)의 위치에 상관 없이 항상 내부격벽(311)에 형성되는 연결홀(314) 및 제1연결구(315)와 연결될 수 있다.
제1밸브(330)는 제1챔버(312)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제1연결구(315), 제1유로공간(S1) 및 제2연결구(316)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탄성부재(3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밸브(330)가 상측으로 밀어 올려져 제1챔버(312)의 상측에 위치되면, 제1유로공간(S1)은 제1연결구(315)와는 연결되고, 제2연결구(316)와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2밸브(350)는 제2챔버(313)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밸브(350)는 제2밸브몸체(351), 제3플랜지(352) 및 제4플랜지(353)를 가질 수 있다.
제2밸브몸체(351)는 제2챔버(313)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챔버(313)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밸브몸체(351)는 외주면이 제2챔버(313)의 내주면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밸브몸체(351)와 제2챔버(313)의 사이에는 제2유로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제3플랜지(352)는 제2밸브몸체(351)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챔버(313)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4플랜지(353)는 제2밸브몸체(351)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챔버(313)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제2유로공간(S2)은 제3플랜지(352), 제4플랜지(353), 제2밸브몸체(351) 및 제2챔버(31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일 수 있으며, 제2밸브(350)가 이동하게 되면, 제2유로공간(S2)도 이동될 수 있다.
제3플랜지(352) 및 제4플랜지(353)에서의 기밀 성능이 높아지도록 하기 위해, 제2밸브(350)는 제3플랜지(35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3기밀링(354)과, 제4플랜지(353)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4기밀링(355)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흡인공급부(300)는 제2탄성부재(380)를 가질 수 있다. 제2탄성부재(380)는 제2챔버(313)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일단부는 제2챔버(313)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제2밸브(350)에 지지되어 제2밸브(350)를 탄발 지지할 수 있다.
제2챔버(313)는 하부에 제2탄성부재(38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고정돌기(319)를 가질 수 있으며, 제2밸브몸체(351)는 제2탄성부재(380)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축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삽입홈(358)을 가질 수 있다.
제2밸브몸체(351)는 제2삽입홈(358)에 제2밸브몸체(351)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탄성부재(38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돌기(359)를 더 가질 수 있다.
제2밸브몸체(351)의 상단부에는 제2누름부(35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누름부(356)의 상면에는 제2표시부(357)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표시부(357)는 제2누름부(356)가 눌려 제2밸브(350)가 하강될 때 유체의 흐름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제2유로공간(S2)은 제2밸브(350)의 위치에 상관 없이 항상 내부격벽(311)에 형성되는 연결홀(314)과 연결될 수 있다.
제2밸브(350)는 제2챔버(313)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제2유로공간(S2) 및 제3연결구(317)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밸브(350)가 상측으로 밀어 올려지면 제2유로공간(S2)은 제3연결구(317)와는 연결되지 않고,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2유로공간(S2)과 제3연결구(317)는 연결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제1연결구(315)를 제외하고 흡인공급부(300)는 내부격벽(311)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연결구(316)는 제1튜브(321)를 통해 석션부(325)와 연결될 수 있고, 제3연결구(317)는 제2튜브(322)를 통해 펌프(326)와 연결될 수 있으며, 펌프(326)는 세척용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도 8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밸브(330)가 상승하면 석션부(325)에서 제공하는 흡인력은 제2연결구(316)로는 제공되지만 제1유로공간(S1)으로는 제공되지 못하기 때문에,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은 흡인되지 못한다.
그러나, 도 8의 (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제1누름부(336)를 눌려 제1밸브(330)가 하강되면 제1유로공간(S1)은 제2연결구(316)와 연결되고 제1연결구(315)와도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석션부(325)에서 제공되는 흡인력은 제1연결구(315)를 통해 삽입관(210)으로 제공될 수 있고,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M1)은 흡인될 수 있다. 이때, 제1유로공간(S1)의 혈액 또는 오물(M1)은 석션부(325)에서 제공하는 흡인력에 의해 내부격벽(311)의 연결홀(314)을 통해 제2유로공간(S2)으로 이동되지 않고 제2연결구(316)로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9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밸브(350)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펌프(326)에서 제공되는 세?r용 유체는 제3연결구(317)로는 제공되지만 제2유로공간(S2)으로는 제공되지 못하기 때문에, 환자 복강으로는 공급되지 못한다.
그러나, 도 9의 (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제2누름부(356)를 눌러 제2밸브(350)가 하강되면 제2유로공간(S2)은 제3연결구(317)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밸브(330) 및 제2밸브(350)의 위치상태와 상관 없이 연결홀(314)은 항상 제1유로공간(S1) 및 제2유로공간(S2)과 연결되기 때문에, 제2유로공간(S2)으로 이동되는 세척용 유체(M2)는 연결홀(314)을 통해 제1유로공간(S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밸브(330)가 상승된 상태여서 제1유로공간(S1)이 제1연결구(315)에만 연결된 상태인 경우에는 제1유로공간(S1)의 세척용 유체(M2)는 제1연결구(315)로 이동되고 삽입관(210)을 통해 환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2밸브(350) 및 제1밸브(330)가 모두 하강되는 경우, 제1유로공간(S1)의 세척용 유체(M2)는 석션부(325)에서 제공하는 흡인력에 의해 제2연결구(316)로 이동하여 석션부(325)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제1챔버(312) 및 제2챔버(313)의 내부와, 제2연결구(316) 및 제1튜브(321)를 세척하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는 흡인공급부(300)는 제1밸브(330) 및 제2밸브(350)의 조작만으로 세척용 유체를 공급하거나,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을 흡인하거나, 또는 제1챔버(312) 및 제2챔버(313)의 내부와, 제2연결구(316) 및 제1튜브(321)를 세척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흡인세척장치의 전기공급부를 중심으로 나타내 단면도이다.
도 2, 도 3과 함께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인세척장치는 전기공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공급부(400)는 도선(410), 도선링(420) 및 스위치(430)를 가질 수 있다.
도선(410)은 핸들부(100)의 설치공간(1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가 공급될 수 있다.
도선링(420)은 제2설치홈(140)에 구비되고 도선(410)과 연결될 수 있다.
도선링(420)은 삽입관(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관(210)이 회전 시에도 삽입관(210)과 밀착이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삽입관(210)이 회전되는 경우에도 삽입관(210)에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스위치(430)는 핸들부(1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선(410)과 연결되어 도선링(420)에 통하는 전기를 온/오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핸들부 200: 삽입부
220: 어댑터 240: 조절구
300: 흡인공급부 310: 하우징
311: 내부격벽 314: 연결홀
315: 제1연결구 316: 제2연결구
317: 제3연결구 330: 제1밸브
350: 제2밸브 400: 전기공급부

Claims (10)

  1. 내측에 설치공간을 가지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환자의 복강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로 세척용 유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삽입부를 통해 환자 복강의 혈액 또는 오물을 흡인하는 흡인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인공급부는
    내부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제1챔버 및 제2챔버와, 상기 제1챔버와 연결되는 제1연결구 및 제2연결구와, 상기 제2챔버에 연결되는 제3연결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제1챔버와의 사이에 제1유로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1챔버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제1연결구, 상기 제1유로공간 및 상기 제2연결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제2챔버와의 사이에 제2유로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2챔버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제2유로공간 및 상기 제3연결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밸브를 가지고,
    상기 제1챔버 및 상기 제2챔버는 상기 내부격벽에 관통 형성되는 연결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제1챔버의 내주면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1밸브몸체와,
    상기 제1밸브몸체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제1밸브몸체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2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1유로공간은 상기 제1밸브몸체 및 상기 제1챔버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밸브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제1플랜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기밀링과,
    상기 제2플랜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2기밀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세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몸체는 일단부에 축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흡인공급부는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챔버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유로공간 및 상기 제2연결구가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제1밸브를 탄발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세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몸체는 상기 제1삽입홈에 상기 제1밸브몸체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지지돌기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세척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세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은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2밸브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제1유로공간 및 상기 제2유로공간이 항상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세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연결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핸들부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전극이 결합되는 도전성의 삽입관과,
    상기 핸들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삽입관과 결합되어 상기 삽입관과 일체로 회전하는 어댑터와,
    상기 삽입관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절연성의 보호튜브와,
    상기 보호튜브와 결합되어 상기 보호튜브와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핸들부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관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 상기 어댑터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어댑터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절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세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가지고,
    상기 조절구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조절구의 회전력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를 통해 상기 어댑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세척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연결구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관이 관통되는 제3통공을 가지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 및 상기 제1연결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관이 관통되는 실링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세척장치.
KR1020200022024A 2020-02-24 2020-02-24 흡인세척장치 KR102362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024A KR102362472B1 (ko) 2020-02-24 2020-02-24 흡인세척장치
PCT/KR2020/013342 WO2021172681A1 (ko) 2020-02-24 2020-09-29 흡인세척장치
CN202080013942.7A CN113556986A (zh) 2020-02-24 2020-09-29 抽吸冲洗装置
US17/431,716 US20220305190A1 (en) 2020-02-24 2020-09-29 Suction and irrig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024A KR102362472B1 (ko) 2020-02-24 2020-02-24 흡인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272A true KR20210107272A (ko) 2021-09-01
KR102362472B1 KR102362472B1 (ko) 2022-02-15

Family

ID=7749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024A KR102362472B1 (ko) 2020-02-24 2020-02-24 흡인세척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05190A1 (ko)
KR (1) KR102362472B1 (ko)
CN (1) CN113556986A (ko)
WO (1) WO20211726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5655A (ko) * 2021-12-09 2024-01-1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흡인세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9573A (en) * 1996-02-28 1997-03-11 Conmed Corporation Electrosurgical suction/irrigation instrument
KR101837055B1 (ko) 2017-10-17 2018-03-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흡인 및 세척을 위한 외과용 수술기구
KR20180082922A (ko) * 2017-01-11 2018-07-19 이병갑 전극이 구비된 의료용 흡입 및 세척 장치
KR20190081437A (ko) * 2017-12-29 2019-07-0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두손실 저감형 글로브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6139A (en) * 1991-01-03 1993-10-26 Kamran Ghodsian Intra-abdominal organ manipulator, irrigator, aspirator and method
US5247966A (en) * 1991-01-11 1993-09-28 Tahoe Surgical Instruments, Inc. Suction irrigator valve apparatus
US5120304A (en) * 1991-07-24 1992-06-09 Truman Sasaki Surgical flushing and aspiration device
DE9203955U1 (ko) * 1992-03-24 1992-06-11 Ueth & Haug Gmbh, 7200 Tuttlingen, De
TW259716B (ko) * 1992-10-09 1995-10-11 Birtcher Med Syst
US5354267A (en) * 1993-09-20 1994-10-11 Vital Signs Inc. Irrigation and suction apparatus
JP4033549B2 (ja) * 1998-05-12 2008-01-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処置具
US6652488B1 (en) * 2000-09-11 2003-11-25 Stryker Corporation Surgical suction irrigator
CA2623915C (en) * 2005-09-27 2013-07-30 Allegiance Corporation Medical suction and irrigation device
JP4812515B2 (ja) * 2006-05-26 2011-11-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洗浄アダプタ
JP2012254136A (ja) * 2011-06-08 2012-12-27 Fujifilm Corp 管路切換装置及び内視鏡
CN202909166U (zh) * 2012-11-27 2013-05-01 王玉萍 血液回收装置
JP2016522047A (ja) * 2013-06-21 2016-07-28 ▲銭▼建民Qian, Jianmin 多機能洗浄/吸引カテーテル
US20180161484A1 (en) * 2016-12-12 2018-06-14 Intai Technology Corp. Surgical irrigation and suctio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24733B2 (en) * 2017-02-16 2022-01-18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Complex irrigation/suction flow path in a medical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9573A (en) * 1996-02-28 1997-03-11 Conmed Corporation Electrosurgical suction/irrigation instrument
KR20180082922A (ko) * 2017-01-11 2018-07-19 이병갑 전극이 구비된 의료용 흡입 및 세척 장치
KR101837055B1 (ko) 2017-10-17 2018-03-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흡인 및 세척을 위한 외과용 수술기구
KR20190081437A (ko) * 2017-12-29 2019-07-0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두손실 저감형 글로브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5655A (ko) * 2021-12-09 2024-01-1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흡인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472B1 (ko) 2022-02-15
CN113556986A (zh) 2021-10-26
US20220305190A1 (en) 2022-09-29
WO2021172681A1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073B1 (ko) 흡입 및 세척이 가능한 외과용 수술기구
JP5567602B2 (ja) 外科用器具とともに使用可能なハンドピースを有する外科用器具装置
US20130006225A1 (en) Twin-type cannula assemblies for hand-held power-assisted tissue aspiration instruments
CA2493238C (en) Medical device with high pressure quick disconnect handpiece
US6375653B1 (en) Surgical apparatus providing tool access and replaceable irrigation pump cartridge
US20220395317A1 (en) End effector for electrosurgical instrument with irrigation
US7540873B2 (en) Four function microsurgery instrument
AU2002331012A1 (en) Medical device with high pressure quick disconnect handpiece
JP2007525283A (ja) 気密シールを維持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気密及び付勢特性を備えたガス支援型電気外科用補機コネクタ及び方法
US6027502A (en) Surgical apparatus providing tool access and replaceable irrigation pump cartridge
CN111920519B (zh) 机械臂末端的手术器械装置和手术机器人
EP2345113A1 (en) Rotationally adjustable connector assembly
US10835308B2 (en) Tube, tube unit, and suction/fluid supply unit
CN113576626A (zh) 一种刀管组件、刨削器和刨削系统
KR102362472B1 (ko) 흡인세척장치
CN109152602B (zh) 送液器具、处置器具单元和处置系统
US20200179576A1 (en) Tissue resection systems including fluid outflow management
KR20230106463A (ko) 유량조절형 흡인세척장치
CN107411817B (zh) 带电钩冲洗吸引器
CN216455230U (zh) 一种刀管组件、刨削器和刨削系统
JP2001157663A (ja) 内視鏡の吸引バルブ
KR102362473B1 (ko)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JP2005137814A (ja) 内視鏡用鉗子栓
US20230240743A1 (en) Electrosurgical forceps comprising a suction device
CN218979179U (zh) 手术器械、手术机器人及手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